KR102051833B1 - 판 유리와 판 유리의 제조 방법, 및 판 유리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판 유리와 판 유리의 제조 방법, 및 판 유리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833B1
KR102051833B1 KR1020147018058A KR20147018058A KR102051833B1 KR 102051833 B1 KR102051833 B1 KR 102051833B1 KR 1020147018058 A KR1020147018058 A KR 1020147018058A KR 20147018058 A KR20147018058 A KR 20147018058A KR 102051833 B1 KR102051833 B1 KR 102051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glass
scribe
manufactur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8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7724A (ko
Inventor
타카히데 후지이
마사오 츠카다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7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10Glass-cutting tools, e.g. scoring tools
    • C03B33/105Details of cutting or scoring means, e.g. t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28D1/225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for scoring or breaking, e.g. t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07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be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plan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4Cutting or splitting in curves, especially for making spectacle len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9Severing cooled glass by thermal sho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2Other than completely through work thickness
    • Y10T83/0333Sco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2Other than completely through work thickness
    • Y10T83/0333Scoring
    • Y10T83/0341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직사각형상의 판 유리(G)에 있어서의 가장자리부(Ga) 주변에, 가장자리부(Ga)와 평행한 스크라이브(S)를 그 일표면에 형성하고, 스크라이브(S)를 경계로 해서 판 유리(G)를 브레이킹하는 판 유리의 제조 방법으로서, 스크라이브(S)를 가장자리부(Ga)를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를 제외하고 형성함과 아울러, 판 유리(G)의 코너부(Gb)에 있어서 스크라이브(S)에 연결된 가상 연장 직선보다 내측에 최대 응력이 발생하도록 브레이킹했다.

Description

판 유리와 판 유리의 제조 방법, 및 판 유리의 제조 장치{SHEET GLASS, METHOD FOR MANUFACTURING SHEET GLASS,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SHEET GLASS}
본 발명은 판 유리와 판 유리에 형성한 스크라이브를 경계로 해서 상기 판 유리를 브레이킹하는 판 유리의 제조 방법, 및 판 유리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판 유리 제품의 제조 공정에서는 대면적의 판 유리로부터 소면적의 판 유리를 잘라내거나, 판 유리의 변을 따르는 가장자리부를 트리밍하거나 한다. 그것을 위한 방법으로서는 판 유리를 할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판 유리를 할단하는 방법 중 하나로서는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브레이킹에 의한 할단 방법이 공지로 되어 있다. 이 방법은 판 유리에 스크라이브를 형성한 후, 브레이킹 부재를 이용하여 스크라이브의 주변을 압박한다. 이에 따라, 스크라이브의 근방에 굽힘 모멘트를 부여하고, 이것에 기인해서 판 유리에 발생하는 인장 응력에 의해 스크라이브에 의해 생긴 미디언 크랙을 판 유리의 스크라이브면(스크라이브를 형성한 면)측으로부터 다른 면측으로 진전시켜서 할단을 행하는 방법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 7-25633호 공보
그런데, 이 방법에 의해 브레이킹된 판 유리는 그 코너부가 모난 날카로운 형상이 된다. 이것에 기인하여, 하기와 같은 해결해야 할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즉, 제조 도중의 판 유리를 공정 내, 또는 공정간에서 이동시킬 경우, 상기 판 유리를 반송 컨베이어 등에 적재해서 소정의 반송 경로를 따라 반송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이때, 날카로운 코너부가 반송 경로의 주변에 설치된 지그 등과 접촉하여 상기 코너부에 결함이 생기거나, 파손되어 버리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판 유리 제품의 제품 수율이 악화되는 사태를 초래하고 있었다.
또한, 판 유리를 반송할 때에는 상기 판 유리의 표리면에 상처나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판 유리를 보호 시트 상에 적재한 상태에서 반송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코너부가 날카로운 판 유리를 반송할 경우에는 상기 코너부가 보호 시트에 찔리거나, 걸리거나 하여 보호 시트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은 판 유리를 제조할 때에 판 유리의 코너부에 있어서의 결함의 발생이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보호 시트로의 찔림이나 걸림을 회피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직사각형상의 유리 원판에 있어서의 가장자리부 주변에 그 가장자리부와 평행한 스크라이브를 그 일표면에 형성하고, 그 스크라이브를 경계로 해서 상기 유리 원판을 브레이킹하는 판 유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스크라이브를 상기 가장자리부를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를 제외하고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유리 원판의 코너부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브에 연결된 가상 연장 직선보다 내측에 최대 응력이 발생하도록 브레이킹을 행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유리 원판을 브레이킹할 때에 있어서, 그 할단부는 유리 원판에 있어서의 강도가 약한 부위를 기점으로 하고, 또한 주변부에 대하여 높은 응력이 발생하고 있는 부위를 따라 진전된다. 그 때문에, 유리 원판의 코너부에 있어서 할단부는 유리 원판의 가장자리부를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스크라이브의 단부를 기점으로 하고, 상기 스크라이브에 연결된 가상 연장 직선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최대 응력이 발생한 부위를 통과하도록 진전되게 된다. 그 결과, 브레이킹의 실시 후에 있어서의 유리 원판의 코너부는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이 된다. 이에 따라, 제조 도중의 판 유리를 공정 내, 또는 공정간에서 반송하는 경우에 그 코너부가 반송 경로의 주변에 설치된 지그 등과의 접촉에 의해 결함을 발생시키거나, 파손되거나 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 유리를 보호 시트 상에 적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코너부가 보호 시트에 찔리거나, 걸리거나 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리 원판을 브레이킹하기 위한 브레이킹 부재가 상기 가장자리부를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유리 원판의 상기 일표면을 압박하는 압박부를 구비하고, 그 압박부의 상기 가장자리부를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선단부가 그 선단측으로 이행함에 따라서 상기 유리 원판의 가장자리부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점차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그 브레이킹 부재의 압박부에서 상기 스크라이브보다 가장자리부측을 압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레이킹 부재로 유리 원판을 압박할 때, 유리 원판에는 굽힘 모멘트에 의해 상기 유리 원판이 국소적으로 절곡된 굴곡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유리 원판의 코너부에 있어서 이 굴곡부는 코너부를 압박하는 브레이킹 부재의 돌출부의 형상을 모방하여, 가장자리부를 따르는 방향의 선단측으로 이행함에 따라서 유리 원판의 가장자리부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점차 돌출됨과 아울러 스크라이브에 연결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굴곡부에는 그 주변부와 비교해서 높은 인장 응력이 작용한 상태가 됨과 아울러 이 굴곡부에 있어서 최대 응력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코너부에 있어서는 유리 원판은 스크라이브가 아니라, 스크라이브에 연결된 굴곡부를 따라 브레이킹되게 된다. 그 결과, 코너부를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브를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피복 부재로 덮음으로써 수증기의 유통 공간을 형성하고, 그 유통 공간에 있어서의 상기 스크라이브를 따르는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유통 공간 내로 상기 수증기를 유입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크라이브를 따르는 방향의 타단측으로부터 유통 공간 밖으로 유출되는 상기 수증기에 의해 브레이킹에 의해 발생한 유리 치핑을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수증기」란 수증기만으로 이루어지는 기체뿐만 아니라, 수증기와 공기로 이루어지는 혼합 기체도 포함한다(이하에 있어서 동일함).
이렇게 하면, 피복 부재에 의해 형성한 유통 공간 내로 수증기를 흘림으로써 피복 부재로 덮은 스크라이브 주변이 단순히 공기를 흘릴 뿐인 경우와 비교해서 가습된 상태가 된다. 이 가습된 상태 하에 있어서는 유리 원판을 브레이킹하기 위해서 필요한 압박력이 작아지는 것이 명백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브레이킹시에 할단부로부터 발생하는 유리 치핑의 양은 이 압박력의 대소에 영향을 받고 있고, 압박력이 클수록 다량의 유리 치핑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브레이킹시에 유리 원판의 할단부로부터 발생하는 유리 치핑의 양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증기를 유통 공간에 있어서의 스크라이브를 따르는 방향의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흘림으로써 할단부로부터 발생한 유리 치핑을 비산시키지 않고, 유출 공간 내로부터 유출 공간 밖으로 운반하여 회수할 수 있다. 그 결과, 유리 치핑을 유리 원판에 부착시키지 않고 적절하게 회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킹 부재의 압박부가 상기 가장자리부를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이행함에 따라서 상기 유리 원판의 상기 일표면에 대하여 점차 이반되는 경사부를 갖고, 상기 브레이킹 부재의 압박부에서 상기 스크라이브보다 가장자리부측을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순서대로 압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유리 원판에 압박력을 작용시킬 때에 있어서 유리 원판은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브레이킹 부재에 의해 순서대로 압박된다. 이 때문에, 브레이킹의 진행 방향과 유통 공간 내를 흐르는 수증기의 방향이 모두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되어, 유리 치핑을 회수하기 위한 대량의 수증기를 불필요하게 유출 공간에 유입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낭비 없이 확실하게 유리 치핑을 회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리 원판이 종자세임과 아울러 상기 유통 공간에 있어서의 일단측을 상방측, 타단측을 하방측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유리 치핑이 중력에 의해 유리 원판의 표면으로 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유리 치핑의 유리 원판의 표면으로의 부착을 보다 효과적으로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를 대경부와 소경부가 교대로 연결된 주름상자 구조를 갖는 통 형상체 내를 통과시켜서 상기 유통 공간의 상방측으로부터 유통 공간 내로 유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주름상자 구조를 갖는 통 형상체의 대경부에 의해 수증기의 결로에 기인해서 발생한 물방울이 막아지기 때문에, 물방울이 유통 공간 내로 유입되어 유리 원판의 표면을 오염시킬 우려가 가급적으로 저감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직사각형상의 유리 원판에 있어서의 가장자리부 주변에 그 가장자리부와 평행하고 또한 그 가장자리부를 따르는 방향의 양단부를 제외하고 형성된 스크라이브를 경계로 해서 상기 유리 원판을 브레이킹하는 브레이킹 부재를 구비한 판 유리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유리 원판이 브레이킹될 때에, 그 유리 원판의 코너부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브에 연결된 가상 연장 직선보다 내측에 최대 응력이 발생하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판 유리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이미 설명한 사항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향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본 발명에 의한 판 유리는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코너부를 갖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 유리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에 있어서의 끝면이 잘라낸 그대로의 경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에서, 「잘라낸 그대로의 경면」이란 연마 가공 등에 의하지 않고, 절단시에 있어서 이미 경면으로 마무리된 면인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코너부에 있어서 끝면이 잘라낸 그대로의 경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판 유리를 공정 내, 또는 공정간에서 반송하는 경우에 그 코너부가 반송 경로의 주변에 설치된 지그 등과의 접촉에 의해 결함이 발생하거나, 파손되거나 하는 사태를 가급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조 상 결함이 발생하기 쉽고 깨지기 쉬운 코너부가 스크라이브에 의한 치핑 등의 결함이 없는 경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 후의 공정에 있어서 판 유리의 코너부로부터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판 유리를 보호 시트 상에 적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코너부가 보호 시트에 찔리거나, 걸리거나 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판 유리의 코너부는 절단시에 있어서 이미 경면으로 마무리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코너부에 대하여 다시 연마 가공 등을 실시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이 판 유리는 신속, 또한 간편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코너부는 스크라이브를 형성하지 않고 절단되어 있기 때문에 유리 가루의 발생이 가급적으로 저감된다. 그 결과, 유리 가루에 기인해서 판 유리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수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를 제외한 부위에 있어서의 끝면이 판 두께 방향의 한쪽에 존재하는 스크라이브 자국과, 다른쪽에 존재하는 잘라낸 그대로의 경면으로 구성된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판 유리는 코너부를 제외한 부위에 있어서의 끝면에, 스크라이브를 따른 브레이킹에 의해 형성된 영역을 포함하고 있게 된다. 그 때문에, 상기 영역의 형성, 나아가서는 이 판 유리의 제조를 더 신속, 또한 간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판 유리를 제조할 때에 판 유리의 코너부에 있어서의 결함의 발생이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보호 시트로의 찔림이나 걸림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판 유리의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판 유리의 제조 장치에 구비된 피복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는 판 유리의 제조 장치에 구비된 브레이킹 바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b는 판 유리의 제조 장치에 구비된 브레이킹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판 유리의 제조 방법의 실시 상황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판 유리의 제조 방법의 실시 상황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판 유리의 제조 방법의 실시 상황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판 유리의 제조 방법의 실시 상황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판 유리의 제조 장치에 구비된 브레이킹 바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판 유리의 코너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판 유리의 코너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판 유리의 코너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판 유리의 코너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e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판 유리의 코너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판 유리의 제조 장치에 구비된 브레이킹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판 유리의 제조 장치에 구비된 브레이킹 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의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종자세로 된 판 유리 상하 방향과 평행한 양측의 가장자리부를 스크라이브를 경계로 해서 브레이킹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판 유리의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유리의 제조 장치(1)는 종자세로 한 유리 원판으로서의 판 유리(G)의 표면에 형성된 스크라이브(S)를 덮어서 수증기(M)의 유통 공간(F)을 형성하는 피복 부재(2)와, 유통 공간(F) 내로 수증기(M)를 유입시키는 통 형상체로서의 공급 호스(4)와, 유통 공간(F) 밖으로 수증기(M)를 유출시키는 배기 호스(5)와, 판 유리(G)에 있어서의 가장자리부(Ga) 주변을 압박해서 스크라이브(S)의 근방에 굽힘 모멘트를 작용시키는 브레이킹 부재로서의 브레이킹 바(3)를 주요한 요소로 해서 구성된다. 또한, 브레이킹의 대상인 판 유리(G)는 도시 생략의 파지 부재(예를 들면 척)에 의해 매달려 있다.
피복 부재(2)는 판 유리(G)를 그 두께 방향에 끼운 1쌍을 1세트로 하여 2세트가 설치되어 있고, 판 유리(G)의 상하 방향과 평행한 가장자리부(Ga)와 평행하게 형성된 2개의 스크라이브(S)를 각각 판 유리(G)의 표면측과 이면측으로부터,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피복 부재(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ㄷ」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고 있고, 판 유리(G)의 표면 및 이면과 피복 부재(2)로 둘러싸이는 수증기(M)의 유통 공간(F)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판 유리(G)의 표면 및 이면의 2개소의 접촉부 중, 가장자리부(Ga)측의 접촉부에는 고무(2a)가 설치되어 있고, 후술하는 브레이킹 바(3)를 사용해서 동 도면에 나타내는 P방향으로 판 유리(G)를 압박할 때에 판 유리(G)의 변형에 따라서 고무(2a)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유통 공간(F)을 항상 밀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피복 부재(2)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는 각각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방측의 개구가 유통 공간(F)으로 수증기(M)를 유입시키는 유입구가 되고, 하방측의 개구가 유통 공간(F)으로부터 수증기(M)를 유출시키는 유출구로 되어 있다.
피복 부재(2)에 형성된 유입구와 접속되는 공급 호스(4), 및 유출구와 접속되는 배기 호스(5)는 내경이 큰 대경부와, 내경이 작은 소경부가 교대로 연결된, 소위 주름상자 구조를 갖고 있다. 공급 호스(4)는 도시 생략의 수증기의 공급 장치(예를 들면, 가습기)와 접속되어 있고, 공급 장치에서 발생한 수증기(M)가 공급 호스(4) 내를 통과해서 유통 공간(F) 내로 유입된다. 배기 호스(5)는 도시 생략의 흡인 장치(예를 들면, 진공 펌프)와 접속되어 있고, 이 흡인 장치의 흡인에 의해 배기 호스(5) 내에 부압이 작용하여 유통 공간(F) 밖으로 수증기(M)가 유출된다.
이상의 구성으로부터, 수증기의 공급 장치에서 발생한 수증기(M)는 공급 호스(4) 내를 통과해서 유입구로부터 유출 공간(F) 내로 유입된 후, 판 유리(G)에 형성된 스크라이브(S)를 따라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으로 흐른다. 그 후에, 유출구로부터 유통 공간(F) 밖으로 배기되어 배기 호스(5) 내를 통과해서 흡인 장치에 도달한다.
브레이킹 바(3)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유리(G)의 가장자리부(Ga)와 평행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하 방향의 양측 선단부에는 그 선단측으로 이행함에 따라서 판 유리(G)의 가장자리부(Ga)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점차 돌출되는 돌출부(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나타내는 A방향으로부터 브레이킹 바(3)를 보았을 때의 측면도인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유리(G)의 표면을 압박하는 압박부(3b)는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으로 이행함에 따라서 판 유리(G)의 표면에 대하여 점차 이반되도록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전역이 경사져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킹 바(3)가 판 유리(G)를 압박할 때에 압박부(3b)가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으로 순차적으로 판 유리(G)의 표면과 접촉해서 압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압박부(3b)의 연직선에 대한 경사 각도는 0.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판 유리의 제조 장치(1)를 사용한 판 유리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첨부의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판 유리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각 도면에 있어서 피복 부재(2), 공급 호스(4), 배기 호스(5), 유통 공간(F)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우선,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휠 커터에 의한 압박, 레이저의 조사 등에 의해 동 도면에 나타내는 B점을 기점으로 해서 판 유리(G)의 표면에 스크라이브(S)를 형성한다. 이 스크라이브(S)는 판 유리(G)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를 제외하고, 또한 가장자리부(Ga)와 평행이 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B점의 가장자리부(Ga)로부터의 이간 거리는 3㎜∼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3㎜ 미만이 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코너부(Gb)를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판 유리(G)의 반송시에 진동 등에 기인하여 브레이킹 바(3)로 브레이킹하기 전에 스크라이브(S)를 경계로 해서 판 유리(G)가 깨지기 쉬워지게 되어버린다. 또한, 50㎜를 초과하면 코너부를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하는 것이 실용적이지는 않다.
이어서, 스크라이브(S)의 형성이 완료되면 도시 생략의 피복 부재(2)에 의해 스크라이브(S)를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덮는다. 그 후에,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레이킹 바(3)를 사용해서 판 유리(G)의 표면을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으로 순서대로 압박한다(압박력이 작용하는 방향은 동 도면에 있어서 지면의 앞쪽으로부터 안쪽을 향하는 방향). 여기에서, 동 도면에 나타내는 브레이킹 바(3)에 있어서 크로스 해칭(cross-hatching)을 실시한 영역은 그 영역이 판 유리(G)를 압박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이후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함).
브레이킹 바(3)에 의한 판 유리(G)의 압박이 개시되면, 공급 호스(4)를 통해서 유통 공간(F) 내로 수증기(M)를 유입시킨다. 이때, 공급 호스(4)가 주름상자 구조를 가짐으로써 수증기(M)의 결로에 기인해서 공급 호스(4) 내에 물방울이 발생한 경우라도 이 물방울이 주름상자 구조의 대경부에서 막아지기 때문에, 물방울이 유통 공간(F)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물방울에 의해 판 유리(G)의 표면이 오염될 우려를 가급적으로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판 유리(G)에 있어서의 상방측 단부 부근이 브레이킹 바(3)에 의해 압박되면, 판 유리(G)에는 압력에 기인해서 발생하는 굽힘 모멘트에 의해 동 도면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유리(G)가 국소적으로 절곡된 굴곡부(L)가 형성된다. 이 굴곡부(L)는 브레이킹 바(3)에 형성된 돌출부(3a)의 형상을 모방하여, 판 유리(G)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상방측 선단으로 이행함에 따라서 가장자리부(Ga)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점차 돌출됨과 아울러 B점에서 스크라이브(S)에 연결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굴곡부(L)에는 그 주변부와 비교해서 높은 인장 응력이 작용한 상태로 됨과 아울러 이 굴곡부(L)에 있어서 최대 응력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이 부위에 있어서는 판 유리(G)가 스크라이브(S)가 아니라, 스크라이브(S)에 연결된 굴곡부(L)를 따라 브레이킹됨으로써 동 도면에 나타내는 V방향으로 할단부(C)가 순서대로 형성되어 간다. 또한, 할단부(C)로부터는 유리 소편(小片)이나 유리 분말로 이루어지는 유리 치핑(K)이 발생한다. 이 유리 치핑(K)은 유통 공간(F) 내를 흐르는 수증기(M)에 의해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으로 운반된다.
그 후에,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레이킹 바(3)에 의한 판 유리(G)의 압박을 하방측으로 더 진행시키면, 판 유리(G)의 표면에 형성된 스크라이브(S)의 근방에서는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으로 순서대로 굽힘 모멘트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판 유리(G)는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으로 스크라이브(S)를 경계로 해서 순차적으로 브레이킹된다. 이때에 있어서도 상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할단부(C)로부터 유리 치핑(K)이 발생한다.
이 판 유리(G)의 브레이킹이 진행될 때, 유통 공간(F) 내를 흐르는 수증기(M)에 의해 스크라이브(S)의 주변은 단순히 공기를 흘릴 뿐인 경우와 비교하여 가습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가습된 상태 하에서는 판 유리(G)를 브레이킹하기 위해서 필요한 압박력이 작아지는 것이 판명되어 있다. 이 때문에, 브레이킹시에 할단부(C)로부터 발생하는 유리 치핑(K)의 양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브레이킹의 진행 방향과, 유통 공간(F) 내를 흐르는 수증기(M)의 방향이 모두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으로 됨으로써 유리 치핑(K)을 회수하기 위한 대량의 수증기(M)를 불필요하게 유출 공간(F) 내로 유입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수증기(M)와 유리 치핑(K)이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으로 중력을 거스르지 않고 운반되게 된다. 이 때문에, 낭비 없이 확실하게 유리 치핑(K)을 회수할 수 있다.
또한, 판 유리(G)를 종자세로 함으로써 유리 치핑(K)이 중력에 의해 판 유리(G)의 표면으로 낙하하여 부착되어 버리는 사태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유통 공간(F) 내가 가습됨으로써 정전기가 유리 치핑(K)에 대전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판 유리(G)로의 부착을 방지하는 효과를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판 유리(G)의 브레이킹이 더 진행되어 판 유리(G)의 하방측 단부 부근이 브레이킹 바(3)에 의해 압박되면, 상술의 상방측 단부 부근을 압박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해서 판 유리(G)가 브레이킹되고, 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유리(G)의 가장자리부(Ga)가 완전하게 할단된다. 또한, 수증기(M)에 의해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으로 운반된 유리 치핑(K)은 수증기(M)와 함께 배기 호스(5)를 통해서 유통 공간(F) 밖으로 운반되어 회수된다. 이것들이 완료되면 수증기(M)의 유통 공간(F)으로의 유입을 정지시킨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판 유리(G)는 그 코너부(Gb)가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이 됨과 아울러 상기 코너부(Gb)의 끝면이 연마 가공 등에 의하지 않고, 절단시에 있어서 이미 경면으로 마무리된 잘라낸 그대로의 경면이 된다. 또한, 코너부(Gb)를 제외한 부위 중, 도 4d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끝면은 판 두께 방향의 한쪽[스크라이브(S)를 형성한 면측]에 존재하는 스크라이브 자국과, 다른쪽에 존재하는 잘라낸 그대로의 경면으로 구성된다.
종래에 있어서, 이러한 경면을 얻기 위해서는 숫돌 등을 사용한 연삭 가공과 연마 가공을 판 유리의 코너부에 실시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제조 효율이 악화되기 쉽다고 하는 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의한 판 유리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이것들의 가공에 대하여 제조 효율의 관점으로부터 대폭 유리한 브레이킹의 실행만으로 이것에 수반하여 경면을 구비한 코너부(Gb)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판 유리(G)의 제조를 신속, 또한 간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코너부(Gb)는 스크라이브를 형성하지 않고 절단되어 있기 때문에 유리 가루의 발생이 가급적으로 저감된다. 그 결과, 유리 가루에 기인해서 판 유리(G)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수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조 상 결함이 발생하기 쉽고 깨지기 쉬운 코너부(Gb)가 스크라이브에 의한 치핑 등의 결함이 없는 경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절단 후의 공정에 있어서 판 유리(G)의 코너부(Gb)로부터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조 도중에 있어서의 판 유리(G)를 공정 내, 또는 공정간에서 이동시킬 경우, 판 유리(G)에 상처나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판 유리(G)를 보호 시트 상에 적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종래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판 유리에 있어서는 그 코너부가 모난 날카로운 형상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상기 코너부가 보호 시트에 찔리거나, 걸리거나 하여 보호 시트가 손상되는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상술의 판 유리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판 유리(G)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가급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판 유리(G)의 상하의 코너부(Gb)를 쌍방 모두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판 유리(G)가 양측의 가장자리부(Ga)를 할단한 후 반송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하의 코너부(Gb) 중, 할단 후에 판 유리(G)의 반송 방향의 전방이 되는 측의 코너부(Gb)만을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의한 판 유리의 제조 장치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으로 수증기를 흘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하방측으로부터 상방측으로 흘리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브레이킹 바의 압박부에 있어서의 경사의 방향을 상기 실시형태와는 상하 반대 방향으로 해서 브레이킹의 진행 방향을 하방측으로부터 상방측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밖에 수증기를 수평 방향이나 경사 방향으로 흘리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브레이킹 바의 형상에 대해서도 반드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브레이킹 바에 형성된 돌출부의 형상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곡된 형상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돌출부의 형상을 적당하게 변경함으로써 도 6a∼도 6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유리(G)에 있어서의 코너부(Gb)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코너부(Gb)를 구비한 판 유리(G)에 의해서도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효과를 마찬가지로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브레이킹 바의 압박부는 상하 방향의 전역이 경사진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가 경사진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박부(3b)는 2단계로 구배가 형성된 형상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압박부(3b)의 제 1 구배부(3ba)가 브레이킹 바(3)의 길이에 대하여 그 비율이 10% 이하가 되도록 형성함과 아울러, 연직선에 대한 경사 각도를 3°∼10°로 하고, 제 1 구배부(3ba)에 연결되는 제 2 구배부(3bb)의 경사 각도를 0.1°∼5°로 하면 보다 브레이킹의 실시가 용이해진다.
또한, 유통 공간 내로 수증기를 유입시키는 타이밍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브레이킹 바가 판 유리를 압박하기 전에 유통 공간 내로 수증기를 유입시켜도 좋고, 브레이킹의 진행 상황과는 무관계로 항상 유통 공간으로 수증기를 흘리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종자세에 있어서의 판 유리 상하 방향에 평행한 양측의 가장자리부를, 스크라이브를 경계로 해서 브레이킹할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횡자세에 있어서의 판 유리의 가장자리부를 브레이킹하도록 해도 좋고,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진 자세에 있어서의 판 유리의 가장자리부를 브레이킹하도록 해도 좋다.
1 : 판 유리의 제조 장치 2 : 피복 부재
2a : 고무 3 : 브레이킹 바
3a : 돌출부 3b : 압박부
3ba : 제 1 구배부 3bb : 제 2 구배부
4 : 공급 호스 5 : 배기 호스
G : 판 유리 Ga : 판 유리의 가장자리부
Gb : 판 유리의 코너부 S : 스크라이브
B : 스크라이브의 기점 L : 굴곡부
M : 수증기 F : 수증기의 유통 공간
C : 할단부 K : 유리 치핑

Claims (9)

  1. 직사각형상의 유리 원판에 있어서의 가장자리부 주변에 그 가장자리와 평행한 스크라이브를 그 일표면에 형성하고, 그 스크라이브를 경계로 해서 상기 유리 원판을 브레이킹하는 판 유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스크라이브를 상기 가장자리부를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를 제외하고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유리 원판의 코너부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브에 연결된 가상 연장 직선보다 내측에 최대 응력이 발생하도록 브레이킹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유리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원판을 브레이킹하기 위한 브레이킹 부재는 상기 가장자리부를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유리 원판의 상기 일표면을 압박하는 압박부를 구비하고, 그 압박부의 상기 가장자리부를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선단부는 그 선단측으로 이행함에 따라서 상기 유리 원판의 가장자리부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점차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브레이킹 부재의 압박부에서 상기 스크라이브보다 가장자리부측을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유리의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브를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피복 부재로 덮음으로써 수증기의 유통 공간을 형성하고, 그 유통 공간에 있어서의 상기 스크라이브를 따르는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유통 공간 내로 상기 수증기를 유입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크라이브를 따르는 방향의 타단측으로부터 유통 공간 밖으로 유출되는 상기 수증기에 의해 브레이킹에 의해 발생한 유리 치핑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유리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킹 부재의 압박부가 상기 가장자리부를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이행함에 따라서 상기 유리 원판의 상기 일표면에 대하여 점차 이반되는 경사부를 갖고,
    상기 브레이킹 부재의 압박부에서 상기 스크라이브보다 가장자리측을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순서대로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유리의 제조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원판이 종자세임과 아울러 상기 유통 공간에 있어서의 일단측을 상방측, 타단측을 하방측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유리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를 대경부와 소경부가 교대로 연결된 주름상자 구조를 갖는 통 형상체 내를 통과시켜서 상기 유통 공간의 상방측으로부터 유통 공간 내로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유리의 제조 방법.
  7. 직사각형상의 유리 원판에 있어서의 가장자리부 주변에 그 가장자리부와 평행하고 또한 그 가장자리부를 따르는 방향의 양단부를 제외하고 형성된 스크라이브를 경계로 해서 상기 유리 원판을 브레이킹하는 브레이킹 부재를 구비한 판 유리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유리 원판이 브레이킹될 때에, 그 유리 원판의 코너부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브에 연결된 가상 연장 직선보다 내측에 최대 응력이 발생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 유리의 제조 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147018058A 2012-07-27 2013-07-25 판 유리와 판 유리의 제조 방법, 및 판 유리의 제조 장치 KR102051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67172 2012-07-27
JPJP-P-2012-167172 2012-07-27
PCT/JP2013/070151 WO2014017577A1 (ja) 2012-07-27 2013-07-25 板ガラス、及び板ガラスの製造方法、並びに板ガラスの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724A KR20150037724A (ko) 2015-04-08
KR102051833B1 true KR102051833B1 (ko) 2019-12-04

Family

ID=49997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8058A KR102051833B1 (ko) 2012-07-27 2013-07-25 판 유리와 판 유리의 제조 방법, 및 판 유리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08806B2 (ko)
JP (1) JP6012003B2 (ko)
KR (1) KR102051833B1 (ko)
CN (1) CN104066694B (ko)
TW (1) TWI580651B (ko)
WO (1) WO20140175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0283B2 (en) * 2015-01-15 2019-08-06 Heraeus Quartz North America Llc Method for forming a glass preform
JP6738557B2 (ja) * 2016-06-20 2020-08-12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CN107879615A (zh) * 2016-09-30 2018-04-06 坂东机工株式会社 折断分离方法及折断分离装置
JP2018058353A (ja) * 2016-09-30 2018-04-12 坂東機工株式会社 折割分断方法及び折割分断装置
JP2018150191A (ja) * 2017-03-13 2018-09-2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製造方法
FR3068136B1 (fr) * 2017-06-22 2021-04-02 Saint Gobain Obtention d'un vitrage resistant a un impact
JP7336071B2 (ja) * 2019-10-08 2023-08-3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2023002006A (ja) * 2021-06-22 2023-01-1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製造方法、板ガラスの製造装置、及び板ガラス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8285A (ja) 2001-05-22 2002-1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ラス切断装置、及びガラス切断方法
JP2007126322A (ja) * 2005-11-02 2007-05-24 Citizen Seimitsu Co Ltd 回転式カッターヘッドとそれを備えたスクライブ装置、及びそのスクライブ方法とその方法によって形成した脆性材料部品
JP2009083079A (ja) 2007-10-03 2009-04-23 Seiko Epson Corp 貼合せ基板の分断装置および貼合せ基板の分断方法
US20110250423A1 (en) 2008-12-25 2011-10-13 Asahi Glass Company, Limited Process and system for cutting a brittle-material plate, and window glass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08656A (fr) * 1961-09-25 1962-11-09 Saint Gobain Procédé et dispositif de rupture des feuilles de verre suivant un tracé déterminé
JPH0725633Y2 (ja) 1989-04-28 1995-06-07 建設省九州地方建設局長 ベンド流量計
JP2961721B2 (ja) * 1991-01-16 1999-10-12 旭硝子株式会社 板硝子の切断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25633A (ja) 1993-07-09 1995-01-27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ガラス基板の折割り方法及びその装置
JP3077462B2 (ja) 1993-09-01 2000-08-14 日立電線株式会社 ガラスの切断方法
JP3632254B2 (ja) * 1995-09-27 2005-03-23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ホイルカッタおよび脆性材料板の切断方法
US6962279B1 (en) * 2000-10-18 2005-11-08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mpany,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glass separation for flat panel displays
JP4863168B2 (ja) 2007-04-17 2012-01-2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ガラス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76282B2 (ja) * 2008-03-25 2013-12-2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折割方法及びガラス板折割装置
CN102194626B (zh) 2010-03-08 2015-11-25 旭硝子株式会社 玻璃基板
KR20120034295A (ko) 2010-10-01 2012-04-12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글래스 패널의 스크라이빙 방법
US9862634B2 (en) * 2011-08-12 2018-01-09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peripheral portion of a glass sheet
JP5867725B2 (ja) 2012-07-27 2016-02-2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355807B1 (ko) * 2012-09-11 2014-02-03 로체 시스템즈(주) 비금속 재료의 곡선 절단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8285A (ja) 2001-05-22 2002-1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ラス切断装置、及びガラス切断方法
JP2007126322A (ja) * 2005-11-02 2007-05-24 Citizen Seimitsu Co Ltd 回転式カッターヘッドとそれを備えたスクライブ装置、及びそのスクライブ方法とその方法によって形成した脆性材料部品
JP2009083079A (ja) 2007-10-03 2009-04-23 Seiko Epson Corp 貼合せ基板の分断装置および貼合せ基板の分断方法
US20110250423A1 (en) 2008-12-25 2011-10-13 Asahi Glass Company, Limited Process and system for cutting a brittle-material plate, and window glass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724A (ko) 2015-04-08
CN104066694A (zh) 2014-09-24
TWI580651B (zh) 2017-05-01
US9908806B2 (en) 2018-03-06
JPWO2014017577A1 (ja) 2016-07-11
JP6012003B2 (ja) 2016-10-25
WO2014017577A1 (ja) 2014-01-30
US20150210585A1 (en) 2015-07-30
TW201408608A (zh) 2014-03-01
CN104066694B (zh)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833B1 (ko) 판 유리와 판 유리의 제조 방법, 및 판 유리의 제조 장치
JP5488907B2 (ja) ガラスフィルムの回収装置及び回収方法
TWI610893B (zh) 貼合基板之分斷裝置
WO2008047622A1 (fr) Appareil de découpe de verre, appareil de désassemblage de substrat de verre, système de désassemblage de substrat de verre, procédé de découpe de verre et procédé de désassemblage de substrat de verre
TWI542556B (zh) A glass substrate cutting apparatus, a glass substrate cutting method, and a glass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US20160115068A1 (en) Method for scribing tempered glass sheet
JP2014097905A (ja) ガラス板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2921461B1 (en) Laser fusion-cutting method for glass plates
KR20140142224A (ko) 유리 필름의 할단 방법 및 유리 필름 적층체
JP5867725B2 (ja)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105390444A (zh) 脆性材料基板的分断方法及分断装置
CN103296578B (zh) 一种解理装置
JP5988043B2 (ja) 強化ガラス板のスクライブ方法
JPWO2006129752A1 (ja) フィルム切断剥離用刃物およびフィルム切断剥離装置
CN109715570B (zh) 玻璃板的制造方法
JP2015027933A (ja) 強化ガラス板のスクライブ方法
TWI669278B (zh) 貼合基板之分斷方法
CN104353933B (zh) 光伏电池片的激光划片装置
CN206485036U (zh) 光伏双玻璃组件层压用防护工装
TWI613057B (zh) 基板分斷裝置
CN105711229B (zh) 一种预贴合生产工艺方法
TWI680953B (zh) 劃線方法
CN103706581B (zh) 刮胶工具
JP6011476B2 (ja) 強化ガラス板のスクライブ方法
JP6287060B2 (ja) スクライビング工具、スクライビング工具の製造方法、およびスクライブライン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