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583B1 - 무용접 방식으로 트러스를 연결하는 브라켓 - Google Patents

무용접 방식으로 트러스를 연결하는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583B1
KR102049583B1 KR1020190051882A KR20190051882A KR102049583B1 KR 102049583 B1 KR102049583 B1 KR 102049583B1 KR 1020190051882 A KR1020190051882 A KR 1020190051882A KR 20190051882 A KR20190051882 A KR 20190051882A KR 102049583 B1 KR102049583 B1 KR 102049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rt
member fixing
horizontal member
bracket
vert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선
Original Assignee
김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선 filed Critical 김광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직 부재와 수평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브라켓은, 상기 수평 부재의 제 1 면에 대응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접하고, 상기 본체부와 직각 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수평 부재의 제 2 면에 대응하는 제 1 수평재 고정부,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접하고, 상기 본체부와 직각 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수평 부재의 제 3 면에 대응하는 제 2 수평재 고정부, 상기 제 1 수평재 고정부에 접하고, 상기 제 1 수평재 고정부와 직각으로 벤딩처리되어 상기 수직 부재의 제 1 지점에 접하는 제 1 수직재 고정부, 그리고 상기 제 2 수평재 고정부에 접하고, 상기 제 2 수평재 고정부와 직각으로 벤딩처리되어 상기 수직 부재의 제 2 지점에 접하는 제 2 수직재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용접 방식으로 트러스를 연결하는 브라켓{BRACKET FOR CONNECTING TRUSS BY NON-WELDING SCHEME}
본 발명은 건축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수평 부재와 수직 부재를 용접없이 체결할 수 있는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외장재 패널은 사각 평판형으로 가공 제작되어 건축물에 부착된다. 이러한 패널을 건축물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벽체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트러스(Truss)가 설치된다. 트러스는 통상 수직 부재와 수평 부재가 일정한 규격의 격자형 단위 모듈을 이루도록 제작된다. 트러스는 내구성 및 패널의 지지를 위한 강도를 구비한 금속 트러스로서 건축물의 슬라브나 외벽에 설치된다. 통상의 트러스는 수직 부재와 수평 부재가 체결되는 부분을 용접하여 연결한다.
용접 방식으로 트러스를 연결하는 작업에서는, 불똥이 튀어 화재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 또한, 용접 시공시에는 용접 불똥에 의한 단열재나 건축 자재의 소실위험, 작업자의 화상과 같은 안전 문제가 있다. 더불어, 용접을 위한 작업 인원 증가에 따라 시공 비용도 증가한다.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비용접 방식으로 트러스를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저비용으로도 효율적으로 생산이 가능하고, 트러스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면서도 충분한 지지 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비용접 방식의 브라켓에 대한 요구가 절실한 실정이다.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쉽게 가공 및 성형될 수 있는 브라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구조를 가지면서도 다용도로 사용 가능한 브라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직 부재와 수평 부재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는 브라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직 부재와 수평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브라켓은, 상기 수평 부재의 제 1 면에 대응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접하고, 상기 본체부와 직각 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수평 부재의 제 2 면에 대응하는 제 1 수평재 고정부,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접하고, 상기 본체부와 직각 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수평 부재의 제 3 면에 대응하는 제 2 수평재 고정부, 상기 제 1 수평재 고정부에 접하고, 상기 제 1 수평재 고정부와 직각으로 벤딩처리되어 상기 수직 부재의 제 1 지점에 접하는 제 1 수직재 고정부, 그리고 상기 제 2 수평재 고정부에 접하고, 상기 제 2 수평재 고정부와 직각으로 벤딩처리되어 상기 수직 부재의 제 2 지점에 접하는 제 2 수직재 고정부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저비용으로도 효율적으로 생산 가능하고, 트러스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으면서도 충분한 지지 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브라켓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절단 작업 이후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일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a는 절단 작업을 통해서 형성된 브라켓(100)의 벤딩 방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b는 벤딩 처리 이후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브라켓(100) 형태를 본체부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c는 벤딩 처리 이후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브라켓(100) 형태를 제 1 수평재 고정부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을 사용하는 트러스의 고정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b는 수직 부재와 2개의 수평 부재를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들을 사용하여 코너에 설치하는 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c는 수직 부재와 2개의 수평 부재를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들을 사용하여 코너에 설치하는 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일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a는 절단 작업을 통해서 형성된 제 2 실시 예의 브라켓(200)의 벤딩 방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b는 벤딩 처리 이후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브라켓(200) 형태를 제 1 수평재 고정부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c는 벤딩 처리 이후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브라켓(200) 형태를 제 1 및 제 2 수직재 고정부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d는 벤딩 처리 이후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브라켓(200) 형태를 본체부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을 사용하는 트러스의 고정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일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제 3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300)의 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을 사용한 수직 부재와 수평 부재의 체결 형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앞의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 예시적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하며, 청구된 발명의 부가적인 설명이 제공되는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 참조 부호들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상세히 표시되어 있으며, 그것의 예들이 참조 도면들에 표시되어 있다. 가능한 어떤 경우에도,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분을 참조하기 위해서 설명 및 도면들에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건축용 자재인 트러스를 연결하는 브라켓이 본 발명의 이점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하지만, 이 기술 분야에 정통한 사람은 여기에 기재된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이점들 및 성능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들을 통해 또한, 구현되거나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 기술적 사상 그리고 다른 목적으로부터 상당히 벗어나지 않고 관점 및 응용에 따라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절단 작업 이후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일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100)은 본체부(110), 제 1 수평재 고정부(120), 제 2 수평재 고정부(130), 제 1 수직재 고정부(140) 그리고 제 2 수직재 고정부(15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제 1 수평재 고정부(120)와 벤딩 라인(L1)을 따라 지면 안쪽 방향으로 90° 각도로 접히게 된다. 그리고 본체부(110)는 제 2 수평재 고정부(130)와 벤딩 라인(L2)을 따라 지면 안쪽 방향으로 90° 각도로 접히게 된다. 벤딩 라인들(L1, L2)은 지면 안쪽 방향으로 'L'자 형태로 접히는 벤딩 가공을 통해서 처리될 것이다. 벤딩 가공이 완료되면, 본체부(110)와 제 1 수평재 고정부(120), 제 2 수평재 고정부(130)는 'ㄷ' 자 형태를 이루며 수평 부재를 수용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스크류 홈(112)과 센터 홈(114)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 홈(112)은 필요시 수직 부재 또는 수평 부재와 결합을 위한 스크류(Screw 또는 피스)가 삽입될 수 있다. 센터 홈(114)은 필요시 본체부(110)가 수용하는 수직 부재나 수평 부재에 그려진 센터 라인(Center Line)과의 정렬을 위해 제공된다. 스크류 홈(112)이 위치하는 본체부(110)의 돌출 부분은 코너에 위치하는 수직 부재에 90°로 연결되는 수평 부재들을 연결하는 경우에 두 브라켓(100)이 맞물리게 하는 역할을 갖는다. 이러한 부분을 이하에서는 받침(111)이라 칭하기로 한다.
제 1 수평재 고정부(120)는 스크류 홈들(122, 124)을 포함한다. 스크류 홈들(122, 124)에 삽입되는 스크류들을 통해서 제 1 수평재 고정부(120)와 수평 부재가 결합된다. 제 1 수평재 고정부(120)는 제 1 수직재 고정부(140)와는 벤딩 라인(L3)을 따라 지면 바깥쪽 방향으로 90° 각도로 접히게 된다. 벤딩 라인들(L3, L4)은 지면 바깥쪽 방향으로 'L'자 형태로 접히는 벤딩 가공을 통해서 처리될 것이다.
제 2 수평재 고정부(130)는 스크류 홈들(132, 134)을 포함한다. 스크류 홈들(132, 134)에 삽입되는 스크류들을 통해서 제 2 수평재 고정부(130)와 수평 부재가 체결된다. 제 2 수평재 고정부(130)는 제 2 수직재 고정부(150)와는 벤딩 라인(L4)을 따라 지면 바깥쪽 방향으로 90° 각도로 접히게 된다.
제 1 수직재 고정부(140)는 벤딩 라인(L3)을 경계로 제 1 수평재 고정부(120)에 인접한다. 제 1 수직재 고정부(140)는 스크류 홈들(142, 144)을 포함하며, 이들 스크류 홈들(142, 144)을 관통하는 스크류들에 의해서 수직 부재와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벤딩 라인(L3)과 절단 라인(실선) 사이의 간격(S)은 브라켓(100)을 구성하는 금속판의 두께에 의존한다. 그리고 벤딩 라인(L1)과 제 1 수직재 고정부(140)의 에지면 사이의 간격(S)도 브라켓(100)을 구성하는 금속판의 두께에 의존한다. 예를 들면, 간격(S)은 브라켓(100)을 구성하는 금속판의 두께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제 2 수직재 고정부(150)는 벤딩 라인(L4)을 경계로 제 2 수평재 고정부(130)에 인접한다. 제 2 수직재 고정부(150)는 스크류 홈들(152, 154)을 포함하며, 이들 스크류 홈들(152, 154)을 관통하는 스크류들에 의해서 수직 부재와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수직재 고정부(150)의 에지와 본체부(110) 사이의 간격(S)도 브라켓(100)을 구성하는 금속판의 두께에 의존한다. 예컨대, 간격(S)은 브라켓(100)을 구성하는 금속판의 두께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간략히 설명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100)은 하나의 금속 판에 도시된 레이아웃 형태로 절단 작업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절단 작업 이후에, 도시된 벤딩 라인들(L1, L2, L3, L4)에 대한 벤딩 가공(예를 들면, V형 펀치와 다이를 사용하는)을 통해서 수직 부재와 수평 부재를 체결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a는 절단 작업을 통해서 형성된 브라켓(100)의 벤딩 방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금속판 형태의 브라켓(100)의 벤딩 라인들(L1, L2)을 통해서 제 1 수평재 고정부(120)와 제 2 수평재 고정부(130)는 본체부(110)에 대해 지면 안쪽 방향으로 90° 각도로 접히게 된다. 벤딩 가공이 완료되면, 본체부(110)와 제 1 수평재 고정부(120), 제 2 수평재 고정부(130)는 'ㄷ' 자 형태를 이루며 수평 부재를 수용할 수 있다. 더불어, 벤딩 라인(L3)을 통해서 제 1 수평재 고정부(120)와 제 1 수직재 고정부(140)는 지면 바깥쪽 방향으로 90°접히도록 벤딩 처리된다. 벤딩 라인(L4)을 통해서 제 2 수평재 고정부(130)와 제 2 수직재 고정부(150)는 지면 바깥쪽 방향으로 90°접히도록 벤딩 처리된다.
도 2b는 벤딩 처리 이후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브라켓(100) 형태를 본체부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브라켓(100)은 비회전된 본체부(110a)를 보여주는 단면과 회전된 본체부(110b)의 단면을 보여주는 형태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상측에 도시된 비회전 본체부(110a)를 살펴보면, 본체부(110a)에는 스크류 홈(112a)과 센터 홈(114a)이 형성된다. 스크류 홈(112a)이 위치하는 부분은 코너용 브라켓으로 사용시에 두 브라켓들이 잘 맞물릴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받침(111a)이 형성된다. 본체부(110a)의 좌측에는 벤딩 처리에 의해서 단면만 보이는 제 1 수평재 고정부(120a)와 제 1 수직재 고정부(140a)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수평재 고정부(120a)와 제 1 수직재 고정부(140a)는 두께(T)의 금속 단면으로 나타나 있다. 더불어, 본체부(110a)의 우측에는 벤딩 처리에 의해서 단면만 보이는 제 2 수평재 고정부(130a)와 제 2 수직재 고정부(150a)가 도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수평재 고정부(130a)와 제 2 수직재 고정부(150a)도 두께(T)의 단면만이 도시되어 있다.
하측에 도시된 회전된 본체부(110b)를 살펴보면, 본체부(110b)에는 스크류 홈(112b)과 센터 홈(114b)이 형성된다. 스크류 홈(112b)이 위치하는 부분은 코너용 브라켓으로 사용시에 두 브라켓들이 잘 맞물릴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받침(111b)이 형성된다. 본체부(110b)의 좌측에는 벤딩 처리에 의해서 단면만 보이는 제 2 수평재 고정부(130b)와 제 2 수직재 고정부(150b)가 도시되어 있다. 제 2 수평재 고정부(130b)와 제 2 수직재 고정부(150b)도 두께(T)의 단면만이 도시되어 있다. 더불어, 회전된 본체부(110b)의 우측에는 벤딩 처리에 의해서 단면만 보이는 제 1 수평재 고정부(120b)와 제 1 수직재 고정부(140b)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수평재 고정부(120b)와 제 1 수직재 고정부(140b)는 두께(T)의 금속 단면으로 나타나 있다.
도 2c는 벤딩 처리 이후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브라켓(100) 형태를 제 1 수평재 고정부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브라켓(100)은 제 1 수평재 고정부(120)를 정면으로 본체부(110) 및 제 1 수직재 고정부(140)가 각각 금속판의 단면 형태로만 도시되어 있다.
도 2d는 벤딩 처리 이후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브라켓(100) 형태를 제 1 및 제 2 수직재 고정부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d를 참조하면, 브라켓(100)은 제 1 수직재 고정부(140) 및 제 2 수직재 고정부(150)를 정면으로 금속판의 단면 형태로 도시된 본체부(110) 및 제 1 수평재 고정부(120), 제 2 수평재 고정부(130)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을 사용하는 트러스의 고정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수직 부재들(20, 22)이 벽면에 고정되면, 수평 부재들(30, 31, 32, 33, 34, 35)이 본 발명의 브라켓(100)과 스크류들(50)에 의해서 조립 및 체결될 수 있다.
먼저, 수직 부재들(20, 22)이 금속 브라켓들(40, 42, 44, 46)에 의해서 벽체에 고정된다. 수직 부재들(20, 22)은 예를 들면 사각 형태의 금속 파이프들일 수 있다. 수직 부재(20)는 금속 브라켓들(40, 42)에 의해서 벽면에 고정된다. 금속 브라켓들(40, 42)은 수직 부재들(20, 22)과 벽면 사이에 단열재를 충전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수직 부재들(20, 22)이 벽면과 일정 이격 거리를 가지고 고정되도록 금속 브라켓들(40, 42, 44, 46)이 설치될 것이다.
수직 부재들(20, 22)의 설치가 완료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100)이 수직 부재와 수평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브라켓들(100a, 100b)이 수직 부재들(20, 22)과 수평 부재(32)를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것이다. 수평 부재(32)도 예를 들면 사각 형태의 파이프인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수직 부재들(20, 22)과 수평 부재(32)가 본 발명의 브라켓들(100a, 100b) 및 스크류(50)에 의해서 고정되면 순차적으로 나머지 수평 부재들(31, 32, 33, 34, 35)이 브라켓(100)과 스크류(50)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설치 순서는 여기의 개시에 국한되지 않으며,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100)이 수직 부재와 수평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예가 설명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100)은 벽면의 코너에서 90°로 꺽이는 수평 부재들을 수직 부재와 체결하는 경우에 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도를 코너 브라켓이라 칭하기로 한다. 브라켓(100)을 코너 브라켓으로 사용하는 예는 후술하는 도 3b 및 도 3c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b는 수직 부재와 2개의 수평 부재를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들을 사용하여 코너에 설치하는 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코너에 위치하는 수직 부재(10)에 90°로 수평 부재들(11, 12)이 브라켓들(100a, 100b)에 의해서 설치될 수 있다.
수평 부재(11)를 수용하는 제 1 브라켓(100a)의 받침(111a)과 수평 부재(12)를 수용하는 제 2 브라켓(100b)의 받침(111b)은 서로 90°로 맞물리는 형태로 설치된다.
도 3c는 수직 부재와 2개의 수평 부재를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들을 사용하여 코너에 설치하는 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코너에 위치하는 수직 부재(13)에 90°로 수평 부재들(14, 15)이 브라켓들(100a, 100b)에 의해서 설치될 수 있다.
수평 부재(15)를 수용하는 제 1 브라켓(100a)의 받침(111a)은 수직 부재(13)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제 1 브라켓(100a)의 받침(111a)은 벽면이 아닌 바깥쪽에 위치한다. 더불어, 수평 부재(14)를 수용하는 제 2 브라켓(100b)의 받침(111b)도 수직 부재(13)의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브라켓(100a)의 받침(111a)과 제 2 브라켓(100b)의 받침(111b)은 전혀 맞물리지 않는 형태로 배치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100)의 구조 및 용도들이 예시적으로 설명되었다. 브라켓(100)은 특히 코너에 위치하는 수직 부재와 수평 부재들을 체결하는 코너 브라켓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이 설명되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일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절단 작업 이후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200)이 도시되어 있다. 브라켓(200)은 본체부(210), 제 1 수평재 고정부(220), 제 2 수평재 고정부(230), 제 1 수직재 고정부(240) 그리고 제 2 수직재 고정부(250)를 포함한다.
본체부(210)는 제 1 수평재 고정부(220)와 벤딩 라인(L1)을 따라 지면 안쪽 방향으로 90° 각도로 접히게 된다. 그리고 본체부(110)는 제 2 수평재 고정부(130)와 벤딩 라인(L2)을 따라 지면 안쪽 방향으로 90° 각도로 접히게 된다. 벤딩 라인들(L1, L2)은 지면 안쪽 방향으로 'L'자 형태로 접히는 벤딩 가공을 통해서 처리될 것이다. 벤딩 가공이 완료되면, 본체부(110)와 제 1 수평재 고정부(120), 제 2 수평재 고정부(130)는 'ㄷ' 자 형태를 이루며 수평 부재를 수용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스크류 홈들(211, 213)과 센터 홈들(212, 214)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 홈들(211, 213)에는 필요시 수직 부재 또는 수평 부재와 결합을 위한 스크류가 삽입될 수 있다. 센터 홈들(212, 214)은 필요시 본체부(210)가 수용하는 수직 부재에 그려진 센터 라인과의 정렬을 위해 제공된다.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200)의 특징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100)과 달리 받침(111)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200)은 코너 브라켓으로는 사용 가능하지만, 벽면에 위치하는 코너 브라켓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200)은 코너가 아닌 일반적인 벽면에서 수직 부재와 수평 부재를 체결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수평재 고정부(220)는 스크류 홈들(222, 224)을 포함한다. 스크류 홈들(222, 224)에 삽입되는 스크류들을 통해서 제 1 수평재 고정부(220)와 수평 부재가 결합된다. 제 1 수평재 고정부(220)는 제 1 수직재 고정부(240)와는 벤딩 라인(L3)을 따라 지면 바깥쪽 방향으로 90° 각도로 접히게 된다. 벤딩 라인들(L3, L4)은 지면 바깥쪽 방향으로 'L'자 형태로 접히는 벤딩 가공을 통해서 처리될 것이다.
제 2 수평재 고정부(230)는 스크류 홈들(232, 234)을 포함한다. 스크류 홈들(232, 234)에 삽입되는 스크류들을 통해서 제 2 수평재 고정부(230)와 수평 부재가 체결된다. 제 2 수평재 고정부(230)는 제 2 수직재 고정부(250)와는 벤딩 라인(L4)을 따라 지면 바깥쪽 방향으로 90° 각도로 접히게 된다.
제 1 수직재 고정부(240)는 벤딩 라인(L3)을 경계로 제 1 수평재 고정부(220)에 인접한다. 제 1 수직재 고정부(240)는 스크류 홈들(242, 244)을 포함하며, 이들 스크류 홈들(242, 244)을 관통하는 스크류들에 의해서 수직 부재와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벤딩 라인(L3)과 절단 라인 사이의 간격(S)은 브라켓(200)을 구성하는 금속판의 두께에 의존한다. 그리고 벤딩 라인(L1)과 제 1 수직재 고정부(240)의 에지면 사이의 간격(S)도 브라켓(200)을 구성하는 금속판의 두께에 의존한다. 예를 들면, 간격(S)은 브라켓(200)을 구성하는 금속판의 두께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제 2 수직재 고정부(250)는 벤딩 라인(L4)을 경계로 제 2 수평재 고정부(230)에 인접한다. 제 2 수직재 고정부(250)는 스크류 홈들(252, 254)을 포함하며, 이들 스크류 홈들(252, 254)을 관통하는 스크류들에 의해서 수직 부재와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수직재 고정부(250)의 에지와 본체부(210) 사이의 간격(S)도 브라켓(100)을 구성하는 금속판의 두께에 의존한다. 예컨대, 간격(S)은 브라켓(200)을 구성하는 금속판의 두께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간략히 설명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200)은 하나의 금속 판에 도시된 레이아웃 형태로 절단 작업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절단 작업 이후에, 도시된 벤딩 라인들(L1, L2, L3, L4)에 대한 벤딩 가공(예를 들면, V형 펀치와 다이를 사용하는)을 통해서 수직 부재와 수평 부재를 체결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a는 절단 작업을 통해서 형성된 제 2 실시 예의 브라켓(200)의 벤딩 방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금속판 형태의 브라켓(200)의 벤딩 라인들(L1, L2)을 통해서 제 1 수평재 고정부(220)와 제 2 수평재 고정부(230)는 본체부(210)에 대해 지면 안쪽 방향으로 90° 각도로 접히게 된다. 벤딩 가공이 완료되면, 본체부(210)와 제 1 수평재 고정부(220), 제 2 수평재 고정부(230)는 'ㄷ' 자 형태를 이루며 수평 부재를 수용할 수 있다. 더불어, 벤딩 라인(L3)을 통해서 제 1 수평재 고정부(220)와 제 1 수직재 고정부(240)는 지면 바깥쪽 방향으로 90°접히도록 벤딩 처리된다. 벤딩 라인(L4)을 통해서 제 2 수평재 고정부(230)와 제 2 수직재 고정부(250)는 지면 바깥쪽 방향으로 90°접히도록 벤딩 처리된다.
도 5b는 벤딩 처리 이후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브라켓(200) 형태를 제 1 수평재 고정부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브라켓(200)은 제 1 수평재 고정부(220)를 정면으로 본체부(210) 및 제 1 수직재 고정부(240)가 각각 금속판의 단면 형태로만 도시되어 있다.
도 5c는 벤딩 처리 이후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브라켓(200) 형태를 제 1 및 제 2 수직재 고정부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브라켓(200)은 제 1 수직재 고정부(240) 및 제 2 수직재 고정부(250)를 정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브라켓(200)의 본체부(210), 제 1 수평재 고정부(220), 그리고 제 2 수평재 고정부(230)는 금속판의 단면 형태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5d는 벤딩 처리 이후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브라켓(200) 형태를 본체부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d를 참조하면, 브라켓(200)은 본체부(210)를 중심으로 금속판의 단면 형태로 제 1 수평재 고정부(220), 제 2 수평재 고정부(230), 제 1 수직재 고정부(240) 및 제 2 수직재 고정부(250)가 나타나 있다.
본체부(210)를 살펴보면, 본체부(210)의 좌측에는 벤딩 처리에 의해서 단면만 보이는 제 1 수평재 고정부(220)와 제 1 수직재 고정부(240)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수평재 고정부(220)와 제 1 수직재 고정부(240)는 두께(T)의 금속 단면으로 나타나 있다. 더불어, 본체부(210)의 우측에는 벤딩 처리에 의해서 단면만 보이는 제 2 수평재 고정부(230)와 제 2 수직재 고정부(250)가 도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수평재 고정부(230)와 제 2 수직재 고정부(250)도 두께(T)의 단면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을 사용한 트러스의 고정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수직 부재(20)가 벽체에 고정되면, 수평 부재들(31, 3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들(200a, 200b)에 의해서 수직 부재(20)에 조립 및 체결될 수 있다. 좌측의 브라켓(200a)이 수직 부재(20)의 센터 라인에 따라 장착되고, 스크류들(61, 62)에 의해서 고정될 것이다. 그러면, 브라켓(200a)은 수직 부재(20)에 단단히 체결된다. 이어서, 수직 부재(20)에 고정된 브라켓(200a)에 수평 부재(31)가 삽입될 수 있다. 브라켓(200a)에 삽입된 수평 부재(31)는 스크류 홈들에 스크류들(63a, 63b, 64a, 64b)을 삽입하고 고정하면 수직 부재(20)에 단단히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우측의 브라켓(200b)이 수직 부재(20)의 센터 라인에 따라 장착되고, 스크류들(65, 66)에 의해서 고정될 것이다. 그러면, 브라켓(200b)은 수직 부재(20)의 우측에 체결된다. 이어서, 수직 부재(20)의 우측에 고정된 브라켓(200b)에 수평 부재(33)가 삽입될 수 있다. 브라켓(200b)에 삽입된 수평 부재(33)는 스크류 홈들에 스크류들(67a, 67b, 68a, 68b)을 삽입하고 고정하면 수직 부재(20)에 단단히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들(200a, 200b) 각각의 본체부가 위치하는 방향이 벽면일 수 있다. 하지만, 브라켓들(200a, 200b)의 설치 방향은 작업 환경이나 다양한 요건에 따라 변경 가능함을 잘 이해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200)이 수직 부재와 수평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예가 설명되었다.
도 6b를 참조하면, 수직 부재(20)와 2개의 수평 부재(31, 33)를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들(200a, 200b)을 사용하여 설치한 상부에서 바라본 형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수직 부재(20)는 빗금친 단면만 도시되어 있다. 좌측 브라켓(200a)이 수직 부재(20)에 고정된 후에, 스크류들에 의해서 고정될 것이다. 이후, 수평 부재(31)가 좌측 브라켓(200a)에 삽입되고, 스크류로 고정된다. 우측 브라켓(200b)이 수직 부재(20)에 고정된 후에, 스크류들에 의해서 고정될 것이다. 이후, 수평 부재(33)가 우측 브라켓(200b)에 삽입되고, 스크류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들(200a, 200b)의 본체부가 위치하는 도면의 상부가 벽면 방향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브라켓들(200a, 200b)의 본체부가 위치하는 도면의 상부가 벽면의 반대 방향이 될 수도 있음은 이 분야의 당업자들에게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6c를 참조하면, 수직 부재(20)와 2개의 수평 부재(31, 33)를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들(200a, 200b)을 사용하여 설치한 측면에서 바라본 형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수평 부재(31, 33)는 빗금친 단면만 도시되어 있다. 좌측 브라켓(200a) 또는 우측 브라켓(200b)이 수직 부재(20)에 고정된 후에, 스크류 홈들을 사용하여 스크류들이 삽입될 것이다. 이후, 수평 부재들(31, 33)이 좌측 브라켓(200a) 및 우측 브라켓(200b)에 삽입되고, 스크류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200)의 구조 및 용도들이 예시적으로 설명되었다. 브라켓(200)은 수평 부재와 수직 부재를 스크류만으로 간단히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일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절단 작업 이후의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300)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브라켓(300)은 본체부(310), 제 1 수평재 고정부(320), 제 2 수평재 고정부(330), 제 3 수평재 고정부(360), 제 4 수평재 고정부(370), 제 1 수직재 고정부(340), 제 2 수직재 고정부(350), 제 3 수직재 고정부(380), 그리고 제 4 수직재 고정부(390)를 포함한다. 제 3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300)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200)을 2개를 연결한 형태이다. 따라서, 제 3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300)을 반으로 절곡하는 과정을 통해서 2개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200)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310)는 제 1 수평재 고정부(320)와 벤딩 라인(L1)을 따라 지면 안쪽 방향으로 90° 각도로 접히게 된다. 그리고 본체부(310)는 제 2 수평재 고정부(330)와 벤딩 라인(L2)을 따라 지면 안쪽 방향으로 90° 각도로 접히게 된다. 벤딩 라인들(L1, L2)은 지면 안쪽 방향으로 'L'자 형태로 접히는 벤딩 가공을 통해서 처리될 것이다. 더불어, 본체부(310)는 제 3 수평재 고정부(360)와 벤딩 라인(L3)을 따라 지면 안쪽 방향으로 90° 각도로 접히게 된다. 그리고 본체부(310)는 제 4 수평재 고정부(370)와 벤딩 라인(L4)을 따라 지면 안쪽 방향으로 90° 각도로 접히게 된다. 벤딩 라인들(L3, L4)은 지면 안쪽 방향으로 'L'자 형태로 접히는 벤딩 가공을 통해서 처리될 것이다. 벤딩 가공이 완료되면, 본체부(310)와 제 1 수평재 고정부(320), 제 2 수평재 고정부(330)는 'ㄷ' 자 형태를 이루며 수평 부재를 수용할 수 있다. 벤딩 가공이 완료되면, 본체부(310)와 제 3 수평재 고정부(360), 제 4 수평재 고정부(370)는 'ㄷ' 자 형태를 이루며 또 다른 수평 부재를 수용할 수 있다.
본체부(310)는 스크류 홈들(311, 313, 315, 317)과 센터 홈들(312, 314, 316)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 홈들(311, 313, 315, 317)에는 필요시 수직 부재 또는 수평 부재와 결합을 위한 스크류가 삽입될 수 있다. 센터 홈들(312, 314, 316)은 필요시 본체부(310)가 수용하는 수직 부재에 그려진 센터 라인과의 정렬을 위해 제공된다.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200)의 특징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200)과 달리 하나의 브라켓(300)이 2개의 수평 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 3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300)은 다수의 수직 부재와 수평 부재를 체결하는 경우 작업의 간략화를 가능케 한다.
제 1 수평재 고정부(320)는 스크류 홈들(321, 323)을 포함한다. 스크류 홈들(321, 323)에 삽입되는 스크류들을 통해서 제 1 수평재 고정부(320)와 수평 부재가 결합된다. 제 1 수평재 고정부(320)는 제 1 수직재 고정부(340)와는 벤딩 라인(L5)을 따라 지면 바깥쪽 방향으로 90° 각도로 접히게 된다. 벤딩 라인들(L5, L6)은 지면 바깥쪽 방향으로 'L'자 형태로 접히는 벤딩 가공을 통해서 처리될 것이다.
제 2 수평재 고정부(330)는 스크류 홈들(331, 333)을 포함한다. 스크류 홈들(331, 333)에 삽입되는 스크류들을 통해서 제 2 수평재 고정부(330)와 수평 부재가 체결된다. 제 2 수평재 고정부(330)는 제 2 수직재 고정부(350)와는 벤딩 라인(L6)을 따라 지면 바깥쪽 방향으로 90° 각도로 접히게 된다.
제 3 수평재 고정부(360)는 스크류 홈들(361, 363)을 포함한다. 스크류 홈들(361, 363)에 삽입되는 스크류들을 통해서 제 3 수평재 고정부(360)와 수평 부재가 결합된다. 제 3 수평재 고정부(360)는 제 3 수직재 고정부(380)와는 벤딩 라인(L7)을 따라 지면 바깥쪽 방향으로 90° 각도로 접히게 된다. 벤딩 라인들(L7, L8)은 지면 바깥쪽 방향으로 'L'자 형태로 접히는 벤딩 가공을 통해서 처리될 것이다.
제 4 수평재 고정부(370)는 스크류 홈들(371, 373)을 포함한다. 스크류 홈들(371, 373)에 삽입되는 스크류들을 통해서 제 4 수평재 고정부(370)와 수평 부재가 체결된다. 제 4 수평재 고정부(370)는 제 4 수직재 고정부(390)와는 벤딩 라인(L8)을 따라 지면 바깥쪽 방향으로 90° 각도로 접히게 된다.
여기서, 본체부(310)와 제 1 수평재 고정부(320), 제 2 수평재 고정부(330)에 의해서 하나의 수평 부재가 수직 부재에 체결될 수 있다. 더불어, 본체부(310)와 제 3 수평재 고정부(360), 제 4 수평재 고정부(370)에 의해서 다른 하나의 수평 부재가 수직 부재에 체결될 수 있다.
제 1 수직재 고정부(340)는 벤딩 라인(L5)을 경계로 제 1 수평재 고정부(320)에 인접한다. 제 1 수직재 고정부(340)는 스크류 홈들(341, 343)을 포함하며, 이들 스크류 홈들(341, 343)을 관통하는 스크류들에 의해서 수직 부재와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벤딩 라인(L1)과 제 1 수직재 고정부(340)의 에지면 사이의 간격(S)은 브라켓(300)을 구성하는 금속판의 두께에 의존한다. 예를 들면, 간격(S)은 브라켓(300)을 구성하는 금속판의 두께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제 2 수직재 고정부(350)는 벤딩 라인(L6)을 경계로 제 2 수평재 고정부(330)에 인접한다. 제 2 수직재 고정부(350)는 스크류 홈들(351, 353)을 포함하며, 이들 스크류 홈들(351, 353)을 관통하는 스크류들에 의해서 수직 부재와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수직재 고정부(350)의 에지와 본체부(310) 사이의 간격(S)도 브라켓(300)을 구성하는 금속판의 두께에 의존한다.
제 3 수직재 고정부(380)는 벤딩 라인(L7)을 경계로 제 3 수평재 고정부(360)에 인접한다. 제 3 수직재 고정부(380)는 스크류 홈들(381, 383)을 포함하며, 이들 스크류 홈들(381, 383)을 관통하는 스크류들에 의해서 수직 부재와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벤딩 라인(L1)과 제 3 수직재 고정부(380)의 에지면 사이의 간격(S)은 브라켓(300)을 구성하는 금속판의 두께에 의존한다.
제 4 수직재 고정부(390)는 벤딩 라인(L8)을 경계로 제 4 수평재 고정부(730)에 인접한다. 제 4 수직재 고정부(390)는 스크류 홈들(391, 393)을 포함하며, 이들 스크류 홈들(391, 393)을 관통하는 스크류들에 의해서 수직 부재와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4 수직재 고정부(390)의 에지와 본체부(310) 사이의 간격(S)도 브라켓(300)을 구성하는 금속판의 두께에 의존한다.
여기서, 제 1 수직재 고정부(340)와 제 3 수직재 고정부(380)는 간격(M) 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간격(M)은 필요에 따라 조정 가능하다. 더불어, 제 2 수직재 고정부(350)와 제 4 수직재 고정부(390)도 간격(M) 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간략히 설명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300)은 하나의 금속판 상에 도시된 레이아웃 형태로 절단 작업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절단 작업 이후에, 도시된 벤딩 라인들(L1, L2, L3, L4, L5, L6, L7, L8)에 대한 벤딩 가공(예를 들면, V형 펀치와 다이를 사용하는)을 통해서 수직 부재와 수평 부재를 체결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제 3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300)의 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8a는 벤딩 처리 이후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브라켓(300) 형태를 제 1 수평재 고정부(320) 및 제 3 수평재 고정부(360)의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3 수평재 고정부(320, 360)가 정면으로, 본체부(310) 및 제 1 및 제 3 수직재 고정부(340, 380)가 각각 금속판의 단면 형태로만 도시되어 있다.
도 8b는 벤딩 처리 이후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브라켓(300) 형태를 제 1 및 제 3 수직재 고정부(340, 380)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 1 수직재 고정부(340) 및 제 3 수직재 고정부(380)가 정면으로, 본체부(310)는 금속판의 단면 형태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8c는 벤딩 처리 이후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브라켓(300) 형태를 본체부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8c를 참조하면, 본체부(310)를 중심으로 상측에는 금속판의 단면 형태로 제 1 수평재 고정부(320), 제 2 수평재 고정부(330), 제 1 수직재 고정부(340) 및 제 2 수직재 고정부(350)가 도시되어 있다. 본체부(310)를 중심으로 하측에는 금속판의 단면 형태로 제 3 수평재 고정부(360), 제 4 수평재 고정부(370), 제 3 수직재 고정부(380) 및 제 4 수직재 고정부(390)가 도시되어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을 사용한 수직 부재와 수평 부재의 체결 형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수직 부재(20)가 금속 브라켓들에 의해서 벽면에 고정되면, 수평 부재들(31, 3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300)에 의해서 수직 부재(20)에 조립 및 체결될 수 있다. 브라켓(300)은 센터 홈(316)을 통해서 센터 라인에 따라 수직 부재(20)에 장착되고, 스크류들(61, 62, 65, 66)에 의해서 고정될 것이다. 그러면, 하나의 브라켓(300)에 의해서 수직 부재들(31, 33)이 수직 부재(20)에 고정될 수 있다. 수직 부재(20)에 고정된 브라켓(300)에 수평 부재들(31, 33)이 삽입되고, 스크류들(63a, 63b, 64a, 64b, 67a, 67b, 68a, 68b)을 삽입하고 고정하면 수직 부재(20)에 단단히 체결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수직 부재(20)와 2개의 수평 부재(31, 33)를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300)을 사용하여 설치한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수직 부재(20)는 빗금친 단면만 도시되어 있다. 브라켓(300)이 수직 부재(20)에 고정된 후에, 스크류들에 의해서 고정될 것이다. 이후, 수평 부재(31)가 브라켓(300)의 좌측에 삽입되고, 스크류로 고정된다. 또한, 수평 부재(33)가 브라켓(300)의 우측에 삽입되고, 스크류로 고정된다.
도 9c를 참조하면, 수직 부재(20)와 2개의 수평 부재(31, 33)를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300)을 사용하여 설치한 측면에서 바라본 형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수평 부재(31, 33)는 빗금친 단면만 도시되어 있다. 브라켓(300)이 수직 부재(20)에 고정된 후에, 스크류 홈들을 사용하여 스크류들이 삽입될 것이다. 이후, 수평 부재들(31, 33)이 브라켓(300)의 좌측 및 우측에 삽입되고, 스크류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300)의 구조 및 용도들이 예시적으로 설명되었다. 브라켓(300)을 사용하면 하나의 브라켓으로 2개의 수평 부재들을 수직 부재에 체결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3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을 사용하여 수직 부재와 수평 부재를 체결한 예를 보여주는 사진들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2개의 브라켓들(100a, 100b)을 사용하여 벽면의 코너에 위치하는 수직 부재와 수평 부재들을 체결한 예가 나타나 있다. 코너에 위치하는 수직 부재(세로 방향 트러스)에 90°로 수평 부재들이 브라켓들에 의해서 설치될 수 있다. 수평 부재들이 체결되는 브라켓들 각각의 받침들은 서로 90°로 맞물리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들(200a, 200b)을 사용하여 수직 부재(세로 방향 트러스)와 수평 부재(가로 방향 트러스)를 채결하는 예가 나타나 있다. 수직 부재가 벽체에 고정되면, 수평 부재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들에 의해서 수직 부재에 조립 및 체결될 수 있다. 좌측의 브라켓에 의해서 수평 부재가 수직 부재에 체결되고, 스크류들에 의해서 고정될 것이다. 그리고 우측의 브라켓도 수직 부재의 임의의 위치에 장착되고, 스크류들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우측 브라켓에는 수평 부재가 삽입된 모습은 생략되었지만, 좌측 브라켓과 마찬가지로 수평 부재가 삽입되고 체결될 수 있다.
도 10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300)을 사용하여 수직 부재(세로 방향 트러스)와 수평 부재들(가로 방향 트러스들)을 채결하는 예가 나타나 있다. 도 10c는 앞서 설명된 도 9a의 실시 결과를 보여준다. 수평 부재들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브라켓(300)에 의해서 수직 부재에 체결될 수 있다. 수직 부재에 고정된 브라켓(300)에 수평 부재들이 삽입되고, 스크류들을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수직 부재와 제 1 수평 부재를 체결하기 위한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평 부재의 제 1 면에 대응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접하고, 상기 본체부와 직각 방향으로 제 1 벤딩 라인을 기준으로 벤딩처리되어 상기 제 1 수평 부재의 제 2 면에 대응하는 제 1 수평재 고정부;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접하고, 상기 본체부와 직각 방향으로 제 2 벤딩 라인을 기준으로 벤딩처리되어 상기 제 1 수평 부재의 제 3 면에 대응하는 제 2 수평재 고정부;
    상기 제 1 수평재 고정부에 접하고, 상기 제 1 수평재 고정부와 직각 방향으로 제 3 밴딩 라인을 기준으로 벤딩처리되어 상기 수직 부재의 제 1 지점에 접하는 제 1 수직재 고정부; 및
    상기 제 2 수평재 고정부에 접하고, 상기 제 2 수평재 고정부와 직각 방향으로 제 4 벤딩 라인을 기준으로 벤딩처리되어 상기 수직 부재의 제 2 지점에 접하는 제 2 수직재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직 부재의 표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된 받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브라켓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 제 2 브라켓을 통해 상기 수직 부재 및 상기 제 1 수평 부재와 직각 방향으로 제 2 수평 부재를 체결하는 경우에, 상기 수직 부재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상기 제 2 브라켓의 받침을 수용하도록 소정의 간격을 갖는 브라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평재 고정부, 상기 제 2 수평재 고정부, 상기 제 1 수직재 고정부 그리고 상기 제 2 수직재 고정부 각각은 상기 제 1 수평 부재 또는 상기 수직 부재와 스크류를 통해서 연결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홈을 포함하는 브라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수직 부재의 센터 라인과의 정렬을 위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터 홈을 포함하는 브라켓.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상기 제 1 수평재 고정부, 상기 제 2 수평재 고정부, 상기 제 1 수직재 고정부, 그리고 상기 제 2 수직재 고정부는 하나의 금속판의 절단 공정을 통해서 형성되는 브라켓.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벤딩 라인의 연장선과 상기 제 1 수직재 고정부 사이, 그리고 상기 제 2 벤딩 라인의 연장선과 상기 제 2 수직재 고정부 사이에는 상기 금속판의 두께에 해당하는 간격이 존재하는 브라켓.
KR1020190051882A 2019-04-18 2019-05-02 무용접 방식으로 트러스를 연결하는 브라켓 KR102049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45278 2019-04-18
KR1020190045278 2019-04-1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608A Division KR20200127830A (ko) 2019-11-21 2019-11-21 무용접 방식으로 트러스를 연결하는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583B1 true KR102049583B1 (ko) 2019-11-27

Family

ID=68729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882A KR102049583B1 (ko) 2019-04-18 2019-05-02 무용접 방식으로 트러스를 연결하는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5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412A (ko) * 2020-01-23 2021-08-02 최규수 다용도 코너 브라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105B1 (ko) * 2017-01-24 2017-12-13 주식회사 동림 건축물 외장벽체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105B1 (ko) * 2017-01-24 2017-12-13 주식회사 동림 건축물 외장벽체 및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412A (ko) * 2020-01-23 2021-08-02 최규수 다용도 코너 브라켓
KR102306170B1 (ko) * 2020-01-23 2021-09-27 최규수 다용도 코너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6830B2 (en) Deck framing system
KR20200127830A (ko) 무용접 방식으로 트러스를 연결하는 브라켓
US10508454B2 (en) Exterior-material securing member and building exterior structure
KR102049583B1 (ko) 무용접 방식으로 트러스를 연결하는 브라켓
KR101973319B1 (ko) 천장 프레임 체결용 고강도 행거
US8132383B1 (en) Clip for attaching to column or beam
US11525261B2 (en) Suspended ceiling connectors for unique grid designs
KR101103679B1 (ko) 조립식 부스용 조립벽체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부스
JP4308029B2 (ja) 床板材連結金具、床板材連結方法及びその床構造体
JP6933363B2 (ja) ダクト用コーナーピース
JP6838854B2 (ja) 外装構造の施工法、及び外装構造
JP3221776B2 (ja) 自重受け金物の取付構造及び自重受け金物
JP5721201B1 (ja) フロアパネル
JP3212762U (ja) カバー構造
JP4818741B2 (ja) 設備取付用下地及び界壁下地、並びに界壁パネル
JP6441448B1 (ja) 工事用補助具
JP2007031969A (ja) 下地補強材取付金物
JP2021025402A (ja) 防音パネル
JP2021172992A (ja) I型ジョイスト部材連結具、i型ジョイスト部材連結具を用いたi型ジョイスト部材の連結方法およびi型ジョイスト部材連結具を用いた木造建物
KR200332022Y1 (ko) 파티션 패널커버의 고정용 부재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사용되는 고정용 부재
JP3207573U (ja) 建材連結金物
JP3949973B2 (ja) 天井板取付金物及び天井板の取付構造
KR20010061972A (ko) 내부 확장 시공용 확장 패널의 연결 부품 및 내부 확장시공용 확장 패널의 연결 배치
JP6047034B2 (ja) 野縁及びそれを用いた天井構造
JP6080203B2 (ja) 間仕切り用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