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022Y1 - 파티션 패널커버의 고정용 부재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사용되는 고정용 부재 - Google Patents

파티션 패널커버의 고정용 부재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사용되는 고정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022Y1
KR200332022Y1 KR20-2003-0024507U KR20030024507U KR200332022Y1 KR 200332022 Y1 KR200332022 Y1 KR 200332022Y1 KR 20030024507 U KR20030024507 U KR 20030024507U KR 200332022 Y1 KR200332022 Y1 KR 2003320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rtition panel
main body
panel cover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광씨스템
Priority to KR20-2003-0024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0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0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0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2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support posts
    • E04B2/7425Details of connection of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61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 E04B2002/7466Details of connection of sheet panels to frame or posts using hoo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3Details of furniture, e.g. tables or shelves, associated with the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티션 패널커버의 고정용 부재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고정용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형상의 평판상인 표면의 반대면인 이면의 테두리부에 상기 이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각각 굴곡되어서 형성된 네 부위의 면인 제1 굴곡편(10a)과, 상기 제1 굴곡편(10a)에 내측의 직각방향으로 굴곡되어서 형성된 네 부위의 면인 제2 굴곡편(10b)으로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양측 제2 굴곡편(10b)의 소정의 네 부위에 삽입용 요부(10ba')와, 상기 삽입용 요부(10ba')의 주변의 양측 부위에 고정용 통공(10ba")이 형성된 고정부(10ba)와;
상기 고정부(10ba)에 고정되는 고정용 부재(11)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은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A)에 고정용 부재(11)를 설치하는 작업이 간편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A)의 본체(10)의 평판상의 면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찌그러지는 등의 손상의 우려가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티션 패널커버의 고정용 부재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고정용 부재{ASSEMBLY STRUCTURE OF FIXING MEMBER FOR PARTITION PANEL COVER AND FIXING MEMBER THEREFOR}
본 고안은 파티션 패널의 고정용 부재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고정용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티션 패널의 소정의 부위에 단위 프레임에 삽입, 고정되어지는 고정용 부재를 조립하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파티션 패널의 고정용 부재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고정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은 대체로 사각형상의 단위 프레임에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파티션 패널을 서로 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실내공간을 일정하게 구획하여 독립된 여러 공간으로 형성되도록 사무실 등의 실내에 일정한 규격으로 제작된 파티션을 설치한 후 책상을 배치하여 편리하면서도 개개인의 업무능률을 향상시켜주고 쾌적한 근무환경이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방음기능까지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사무자동화와 함께 컴퓨터 등에 사용되는 각종 전선 등을 양측 파티션 패널 사이의 공간부에 수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이용되었던 파티션 패널 본체에 고정용 부재를 조립하는 구조는 파티션 패널커버(F)의 본체(1)의 소정의 각 부위인 네 부위에 파티션 패널커버(F)를 양측의 수직채널(2a), 상측 수평채널(2b), 중간의 보강용 수평 사각파이프(2c) 및 하측의 수평 사각파이프(2d)로 구성된 단위 프레임(2)의 수직채널(2a)의 고정공(2aa)에 고정시켜주는 고정용 부재(3)가 조립되는 파티션 패널커버(F)의 고정용 부재(3) 조립구조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면(1c)의 테두리부에서 연장되어서 상기 이면(1c)에 직각으로 굴곡되어진 네 부위의 제1굴곡부(1a)와, 상기 제1굴곡부(1a)에 내측 방향으로 직각이 되도록 굴곡되어진 네 부위의 제2굴곡부(1b)와, 상기 제2굴곡부(1b)의 양측의 소정의 네 부위에 체결공(1bb)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소정의 네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1bb)에 나사공이 일치되도록 상기 제2굴곡부(1b)의 저면에 용접되어 있는 너트(3b)와 상기 너트(3b)에 나사결합 되면서 일측에 환형상의 간격유지부(3aa)가 형성된 고정용 볼트(3a)로 구성된 파티션 패널 고정용 부재(3)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파티션 연결용 단위프레임(2)의 각 수직채널(2a)의 상광하협형상인 상측부(12aa')와 하측부(12aa")로 형성된 고정공(12aa)의 상측부(12aa')에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F)의 고정용 부재(3)의 두부를 삽입한 후 하측부(12aa")로 내려서 삽입 고정되도록 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파티션 연결용 단위 프레임(2)에 파티션 패널커버(F)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용 부재(3)의 볼트(3a)와 너트(3b)로 구성되어서 상기 볼트(3a)를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 본체(1)의 양측의 제2굴곡부(1b)의 소정의 각 부위에 형성된 체결공(1bb)을 관통시킨 후 제2굴곡부(1b)의 내면에 용접된 너트(3b)의 나사공에 상기 고정용 볼트(3a)를 일일이 돌려서 너트(3b)에 결합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고정용 부재(3)를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 본체(1)에 결합, 고정시키는 작업이 간편하지 않으면서 짧은 시간내에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또한 상기 고정용 볼트(3a)의 일단부와 파티션 패널커버 본체(1)의 이면(1c)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 본체(1)의 이면(1c)과 상기 제2굴곡부(1b)의 저면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되어 파티션 패널커버(F)가 단위 프레임(2)에 연결된 후에도 파티션 패널커버(F)의 면이 유동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파티션 패널커버의 소정의 부위에 단위 프레임에 연결, 고정되어지는 고정용 부재를 조립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파티션 패널커버의 이면과 제2굴곡부 사이의 공간부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파티션 패널커버의 고정용 부재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고정용 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티션 패널커버의 일부 고정용 부재가 조립된 상태의 파티션 패널커버의 이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파티션 패널커버의 고정용 부재를 조립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파티션 패널커버의 일부 절개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파티션 패널커버의 고정용 부재를 제거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파티션 패널커버의 고정용 부재 조립구조에 사용되는 고정용 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a 및 6b는 본 고안의 고정용 부재에 의해서 파티션 패널커버가 파티션 연결용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6b에서 일측 파티션 패널커버를 분리시킨 상태의 일부 확대사시도,
도 8은 도 7의 G부 종단면도,
도 9는 도 7의 H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일측의 커버부재를 제거시킨 상태의일부 사시도,
도 10은 도 7의 G부를 우측에서 바라본 상태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평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파티션 패널커버가 고정 설치되는 일측 단위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파티션 패널본체 10a : 제1 굴곡편
10b : 제2 굴곡편 10ba : 고정부
11 : 고정용 부재 11a : 걸림부
11b : 간격유지 겸 밀착용 고정편 11c : 받침부
12 : 단위프레임 12a : 수직채널
A : 파티션 패널커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파티션 패널의 고정용 부재 조립구조는 파티션 패널커버(A)의 본체(10)의 소정의 각 부위에 파티션 패널커버(A)를 단위 프레임(12)의 수직채널(12a)의 고정공(12aa)에 고정시켜주는 고정용 부재(11)가 조립되는 구조로서,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평판상인 표면의 반대면인 이면의 테두리부에 상기 이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각각 굴곡되어서 형성된 네 부위의 면인 제1굴곡편(10a)과, 상기 제1굴곡편(10a)에 내측의 직각방향으로 굴곡되어서 형성된 네 부위의 면인 제2굴곡편(10b)으로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양측 제2굴곡편(10b)의 소정의 네 부위에 삽입용 요부(10ba')와, 상기 삽입용 요부(10ba')의 주변의 양측 부위에 고정용 통공(10ba")이 형성된 고정부(10ba)와;
상기 고정부(10ba)에 고정되는 고정용 부재(1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용 부재(11)는 일단부에 단위 프레임(12)의 양측 수직채널(12a)의 각 고정공(12aa)에 삽입되어 걸려서 고정되도록 걸림용 돌편(11aa)이 일측에 형성된 걸림부(11a)가 형성되어 있고, 그 타측에 연장되어서 형성되어 있으면서 저면의 양측에 상기 본체(10)의 양측 고정용 통공(10ba")에 각각 삽입 고정되는 고정용 돌부(11ba)가 형성된 간격유지 겸 밀착용 고정편(11b)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의 중심부에서 연장되어서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A)의 본체(10)의 제2굴곡편(10b)과 본체(10)의 이면 사이의 공간부에 삽입되는 받침부(11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용 부재(11)의 받침부(11c)는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A)의 본체(10)의 삽입용 요부(10ba')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간격유지 겸 밀착용 고정편(11b)의 일측면의 중간부의 양측에 삽입편(11ca)이 상기 간격유지 겸 밀착용 고정편(11b)에 각각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측 삽입편(11ca)의 각 일단부에 상기 양측 삽입편(11ca)에 대하여 외측의 직각방향으로 서로 굴곡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본체(10)의 이면에 접하는 접촉편(11c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접촉편(11cb)의 각 일단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의 외측에 일정한 경사각도로 경사지게 각각 형성되면서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A)의 본체(10)의 제2굴곡편(10b)의 저면에 각 일단부가 각각 접하는 받침편(11c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측의 받침편(11cc)의 경사각도는 외측 방향으로 대략 15。정도가 바람직 하고, 상기 간격유지 겸 밀착용 고정편(11b)의 저면과 상기 받침부(11c)의 양측 받침편(11cc)의 상면과의 사이의 거리는 제2굴곡편(10b)의 삽입용 요부(10ba')에 삽입편(11ca)이 삽입될 수 있도록 대략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A)의 본체(10)의 두께와 같은 거리이다.
상기 고정용 부재(11)의 걸림부(11a)는 걸림용 돌편(11aa)과, 상기 걸림용 돌편(11aa)과 간격유지 겸 밀착용 고정편(11b)의 사이의 환형요부(11ab)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환형요부(11ab)에 단위 프레임(12)의 수직채널(12a)의 고정공(12aa)의 주변의 부위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용 돌편(11aa)은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측 삽입편(11ca)의 상단부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의 이면과 제2굴곡편(10b)인 네 부위의 각 면의 저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고정용 부재(11)의 양측 받침부(11c)의 접촉편(11cb)의 저면으로부터 받침편(11cc)의 상면 까지의 거리와 같은 것으로서, 상기 고정용 부재(11)의 양측 삽입편(11ca)이 본체(10)의 삽입용 요부(10ba')에 삽입되고 양측 고정용 돌부(11ba)가 본체(10)의 고정용 통공(10b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용 부재(11)의 양측 받침부(11c)의 받침편(11cc)의 상면은 상기 본체(10)의 제2 굴곡편(10b)의 저면에 접하고, 양측 받침부(11c)의 접촉편(11cb)의 저면은 본체(10)의 이면에 각각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굴곡편(10b)과 본체(10) 사이의 공간부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파티션 패널커버(A)를 단위 프레임(12)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A)의 면이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찌그러지거나 손상될 우려가 없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A)의 본체(10)의 네 부위에 각각 직각으로 굴곡되어 있는 제2 굴곡편(10b)의 각 면은 서로 일치되도록 굴곡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본 고안의 파티션 패널 고정용 부재 조립구조에 사용되는 고정용 부재(11)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고정용 부재(1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단부에 단위 프레임(12)의 양측 수직채널(12a)의 각 고정공(12aa)에 삽입되어 걸려서 고정되도록 걸림용 돌편(11aa)이 일측에 형성된 걸림부(11a)와;
상기 걸림부(11a)의 타측에 연장되어서 형성되어 있으면서 저면의 양측에 상기 본체(10)의 양측 고정용 통공(10ba")에 각각 삽입 고정되는 고정용 돌부(11ba)가 형성된 간격유지 겸 밀착용 고정편(11b)과,
상기 간격유지 겸 밀착용 고정편(11b)의 일측의 중심부에서 연장되어서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A)의 본체(10)의 제2굴곡펀(10b)과 본체(10)의 이면 사이의 공간부에 삽입되는 받침부(11c)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용 부재(11)의 받침부(11c)는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A)의 본체(10)의 삽입용 요부(10ba')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간격유지 겸 밀착용 고정편(11b)의 일측면의 중간부의 양측에 상기 간격유지 겸 밀착용 고정편(11b)에 각각 직각을 이루도록 각각 형성된 삽입편(11ca)과;
상기 양측 삽입편(11ca)의 각 일단부에 상기 양측 삽입편(11ca)에 대하여 외측의 직각방향으로 서로 굴곡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본체(10)의 이면(10c)에 접하는 접촉편(11cb)과;
상기 양측 접촉편(11cb)의 각 일단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의 외측에 일정한 경사각도로 경사지게 각각 형성되면서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A)의 본체(10)의 제2굴곡편(10b)의 저면에 각 일단부가 각각 접하는 받침편(11cc)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양측의 받침편(11cc)의 경사각도는 외측방향으로 대략 15。정도가 바람직하고, 상기 간격유지 겸 밀착용 고정편(11b)의 저면과 상기 받침부(11c)의 양측 받침편(11cc)의 상면과의 사이의 거리는 제2 굴곡편(10b)의 삽입용 요부(10ba')에 삽입편(11ca)이 삽입될 수 있도록 대략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A)의 본체(10)의 두께와 같은 거리이다.
상기 고정용 부재(11)의 걸림부(11a)는 걸림용 돌편(11aa)과, 상기 걸림용 돌편(11aa)과 간격유지 겸 밀착용 고정편(11b)의 사이의 환형요부(11ab)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환형요부(11ab)에 단위 프레임(12)의 수직채널(12a)의 고정공(12aa)의 주변의 부위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용 돌편(11aa)은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측 삽입편(11ca)의 상단부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2b는 단위프레임(12)의 상측 수평채널, 12c는 단위프레임(12)의 보강용 사각파이프, 12d는 단위프레임(12)의 하측 수평사각파이프, 14는 상부면 커버부재, 15는 측면 커버부재, 16은 책상, 17은 체결볼트, 18은 커버부재, 19는 받침구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파티션 패널커버의 고정용 부재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고정용 부재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용 부재(11)를 파티션 패널커버(A)의 소정의 부위에 각각 설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파티션 패널커버(A)의 본체(10)의 삽입용 요부(10ba')에 고정용 부재(11)의간격유지 겸 밀착용 고정편(11b)과 양측 받침편(11cc)의 상면 사이의 부위이면서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부위인 양측 삽입편(11ca)의 상단부를 삽입시킴과 동시에 고정용 부재(11)의 간격유지 겸 밀착용 고정편(11b)의 저면과 양측 받침편(11cc)의 상면의 사이로 상기 본체(10)의 삽입용 요부(10ba')의 주변 부위도 삽입되면서 상기 고정용 부재(11)의 간격유지 겸 밀착용 고정편(11b)의 저면에 형성된 양측 고정용 돌부(11ba)가 상기 본체(10)의 삽입용 요부(10ba')의 양측 고정용 통공(10ba")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용 부재(11)가 파티션 패널커버(A)의 고정부(10ba)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조립방법으로 나머지 고정용 부재(11)도 파티션 패널커버(A)의 소정의 위치에 조립해나가면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A)의 각 소정의 위치에 고정용 부재(11) 들의 조립작업이 완료된다.
상기 고정용 부재(11)의 고정용 돌부(11ba)는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A)의 삽입용 요부(10ba') 주변의 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양측 고정용 통공(10ba")에 용이하게 삽입되어서 고정될 수 있을 정도로 돌출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고정용 부재(11)가 소정의 네 부위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있는 파티션 패널커버(A)를 각 파티션 패널커버(A) 연결용 단위 프레임(12)의 각 수직채널(12a)에 각각 연결 고정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6a 및 도6b는 일정한 공간을 구획하기 위하여 파티션 패널커버(A) 연결용 각 단위프레임(12)을 직선으로 연결 결합하고자 할 경우의 직선 연결구조프레임(B), 직각으로 파티션 패널커버(A) 연결용 단위프레임(12)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의 직각 연결구조프레임(C), 세 방향으로 파티션 패널커버(A) 연결용 단위프레임(12)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의 세 방향 연결구조 프레임(D) 및 파티션 패널커버(A) 연결용 단위프레임(12)을 중앙의 네 방향으로 연결 결합하고자 할 경우의 네 방향 연결구조프레임(E)에 각각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A)들을 고정시켜서 설치한 도면으로서, 도 6b에서 일측 파티션 패널커버(A)를 분리시킨 상태의 일부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 도 7과 상기 도 7의 수직채널(12a) 부위인 G부 종단면도인 도 8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각 단위 파티션 패널커버(A)의 네 부위에 설치된 고정용 부재(11)의 걸림부(11a)를 단위프레임(12)의 상광하협 형상인 고정공(12aa)의 상측부(12aa')로 삽입시킨 후, 고정용 부재(11)의 환형요부(11ab)에 상기 단위 프레임(12)의 고정공(12aa)의 주변부위인 면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하측부(12aa")로 내리면 고정용 부재(11)의 걸림용 돌편(11aa)에 의해서 파티션 패널커버(A)가 상기 단위 프레임(12)의 소정의 위치에 걸려 있는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A)의 소정의 네 부위에 각각 조립된 고정용 부재(11)들은 도12에서와 같은 단위 프레임(12)의 각 고정공(12aa)들의 위치에 일치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A)의 각 고정용 부재(11)들을 동시에 단위 프레임(12)의 각 고정공(12aa)에 삽입시킴으로써 견고하게 단위 프레임(12)에 파티션 패널커버(A)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용 부재(11)의 접촉편(11cb)의 일측면이 파티션 패널커버(A)의 이면(10c)에 접해 있게 됨으로써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A)의 이면(10c)과 제2굴곡편(10b)의 사이의 공간부가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해서도 파티션 패널커버(A)의 면이 찌그러지는 등 손상되지 않게 된다.
도 9, 도 10 및 도 11은 상기한 파티션 패널커버(A)를 단위 각 프레임(12)에 고정시키는 방법에 의해서 세 방향으로 연결부재(13)에 의해서 연결된 각 단위 프레임(12)의 각 수직채널(12a)에 각 파티션 패널커버(A)를 결합시키는 경우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각 단위프레임(12)의 각 수직채널(12a)의 양측면에 파티션 패널커버(A)가 고정용 부재(11)에 의해서 각각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파티션 패널커버(A)의 본체(10)의 양측 제2 굴곡편(10b)의 소정의 부위에 삽입용 요부(10ba')와 양측의 고정용 통공(10ba")으로 구성된 고정부(10b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10ba)에 고정용 부재(11)를 삽입시키기만 하면 상기 고정용 부재(11)가 파티션 패널커버(A)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A)에 고정용 부재(11)를 설치하는 작업이 간편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또한 상기 고정용 부재(11)의 받침편(11cc)의 일측면이 파티션 패널커버(A)의 이면 (10c)에 접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A)의 본체(10)의 평판상의 면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찌그러지는 등의 손상의 우려가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사각형상의 평판상인 표면의 반대면인 이면의 테두리부에 상기 이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각각 굴곡되어서 형성된 네 부위의 면인 제1굴곡편과, 상기 제1굴곡편에 내측의 직각방향으로 굴곡되어서 형성된 네 부위의 면인 제2굴곡편으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 제2굴곡편의 소정의 네 부위에 삽입용 요부와, 상기 삽입용 요부의 주변의 양측 부위에 고정용 통공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고정용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패널커버의 고정용 부재 조립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용 부재는 일단부에 단위 프레임의 양측 수직채널의 각 고정공에 삽입되어 걸려서 고정되도록 걸림용 돌편이 일측에 형성된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타측에 연장되어서 형성되어 있으면서 저면의 양측에 상기 본체의 양측 고정용 통공에 각각 삽입 고정되는 고정용 돌부가 형성된 간격유지 겸 밀착용 고정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의 중심부에서 연장되어서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의 본체의 제2굴곡편과 본체의 이면 사이의 공간부에 삽입되는 받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패널커버의 고정용 부재 조립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고정용 부재의 받침부는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의 본체의 삽입용 요부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간격유지 겸 밀착용 고정편의 일측면의 중간부의 양측에 삽입편이 상기 간격유지 겸 밀착용 고정편에 각각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측 삽입편의 각 일단부에 상기 양측 삽입편에 대하여 외측의 직각방향으로 서로 굴곡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본체의 이면에 접하는 접촉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접촉편의 각 일단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의 외측에 일정한 경사각도로 경사지게 각각 형성되면서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의 본체의 제2 굴곡편의 저면에 각 일단부가 각각 접하는 받침편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패널커버의 고정용 부재 조립구조.
  4. 고정용 부재는 일단부에 단위프레임의 양측 수직채널의 각 고정공에 삽입되어 걸려서 고정되도록 걸림용 돌편이 일측에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타측에 연장되어서 형성되어 있으면서 저면의 양측에 상기 본체의 양측 고정용 통공에 각각 삽입 고정되는 고정용 돌부가 형성된 간격유지 겸 밀착용 고정편과;
    상기 간격유지 겸 밀착용 고정편의 일측의 중심부에서 연장되어서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의 본체의 제2 굴곡펀과 본체의 이면 사이의 공간부에 삽입되는 받침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용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부재의 받침부는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의 본체의 삽입용 요부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간격유지 겸 밀착용 고정편의 일측면의 중간부의 양측에 상기 간격유지 겸 밀착용 고정편에 각각 직각을 이루도록 각각 형성된 삽입편과;
    상기 양측 삽입편의 각 일단부에 상기 양측 삽입편에 대하여 외측의 직각방향으로 서로 굴곡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본체의 이면에 접하는 접촉면과;
    상기 양측 접촉편의 각 일단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의 외측에 일정한 경사각도로 경사지게 각각 형성되면서 상기 파티션 패널커버의 본체의 제2 굴곡편의 저면에 각 일단부가 각각 접하는 받침편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용 부재.
KR20-2003-0024507U 2003-07-29 2003-07-29 파티션 패널커버의 고정용 부재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사용되는 고정용 부재 KR2003320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507U KR200332022Y1 (ko) 2003-07-29 2003-07-29 파티션 패널커버의 고정용 부재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사용되는 고정용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507U KR200332022Y1 (ko) 2003-07-29 2003-07-29 파티션 패널커버의 고정용 부재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사용되는 고정용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022Y1 true KR200332022Y1 (ko) 2003-11-03

Family

ID=49418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507U KR200332022Y1 (ko) 2003-07-29 2003-07-29 파티션 패널커버의 고정용 부재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사용되는 고정용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0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367B1 (ko) 2013-01-03 2014-05-30 김태영 파티션의 외장패널 조립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367B1 (ko) 2013-01-03 2014-05-30 김태영 파티션의 외장패널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8679B2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
KR200332022Y1 (ko) 파티션 패널커버의 고정용 부재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사용되는 고정용 부재
JP2824045B2 (ja) 外壁パネル取付構造
JPH11293831A (ja) 構築物躯体壁面へのパネル取付け構造
JP2005054508A (ja) 壁体支持構造
KR0157240B1 (ko) 조립식 패널의 코너 연결부위용 조립 브라켓
JP7068813B2 (ja) 野縁接続金物
JP5457855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付具及び取付構造
KR200441206Y1 (ko) 천정패널 고정용 티이바 결합구조
KR200274393Y1 (ko) 분리식 사무용 칸막이구조
CN212802201U (zh) 一种用于吊顶安装的边角连接件及边角龙骨组件
JP4600927B2 (ja)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のボーダー部構造
KR200268847Y1 (ko) 천정판 연결구
JPH0334416Y2 (ko)
JP4818741B2 (ja) 設備取付用下地及び界壁下地、並びに界壁パネル
KR200319622Y1 (ko) 탄성 협지구를 갖는 파티션 본체지지부재
JPH1193307A (ja) 間仕切り壁ランナーの支持構造
JP2600080Y2 (ja) 間仕切り構造
JP6198496B2 (ja) 天井補強金具ユニット
JP2531665Y2 (ja) 二重床用パネル
JP4412203B2 (ja) コーナー用柱の取付構造
JP2009209537A (ja) 建築部材用固定具
JPH0533670Y2 (ko)
JP4851211B2 (ja) 防音室および連結部材
JP2014173257A (ja) 固定金具及び壁面材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