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268B1 -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 - Google Patents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268B1
KR102047268B1 KR1020180112707A KR20180112707A KR102047268B1 KR 102047268 B1 KR102047268 B1 KR 102047268B1 KR 1020180112707 A KR1020180112707 A KR 1020180112707A KR 20180112707 A KR20180112707 A KR 20180112707A KR 102047268 B1 KR102047268 B1 KR 102047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compressor
portable
case
c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0450A (ko
Inventor
다카히로 와타나베
슈조 마스오
Original Assignee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0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0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1/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B41/02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33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encapsu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44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vibration dampin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6Cooling; Heating; Prevention of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6Filtration; Moisture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는, 제1 케이스 부재와 제2 케이스 부재를 어셈블리하여 구성된 가반형 케이스와, 제1 케이스 부재의 내측에 구획된 제1 수용실 및 제2 수용실과, 제1 수용실에 수용되고, 압축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된 압축기와, 제2 수용실에 수용되고,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압축 공기를 조질(調質)하도록 구성된 조질 기기와, 제1 케이스 부재에 장착되어 제1 수용실 및 제2 수용실을 덮는 패널을 구비한다. 가반형 케이스의 내측에는, 패널과 제2 케이스 부재 사이에 구획되는 내부 공간으로서, 제1 수용실과 연통(連通)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Description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PORTABLE COMPRESSED AIR FEEDER}
본 발명은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건축 현장 등에서는, 압축 공기의 압력으로 못이나 나사를 목재 등에 박는 휴대형의 공기압 공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건축 현장에는, 가반형의 공기 압축기가 들여와져서, 가반형의 공기 압축기로부터 공기압 공구에 압축 공기가 공급된다.
이러한 공기 압축기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15-14348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 공보에 개시된 공기 압축기는, 가반형 케이스인 본체 커버를 구비하며, 본체 커버에는 운반용 핸들이 연결되어 있다. 본체 커버에는, 압축 공기를 저장하는 공기 탱크와, 공기를 압축하여 공기 탱크에 공급하는 압축부와, 압축부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가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압축부에 의해 압축되어, 공기 탱크 내에 저장된 고압의 압축 공기는, 공기 탱크에 장착된 감압 밸브에 의해 적정 압력으로 조정되어, 에어 호스를 통해 공기압 공구 등에 공급된다.
실험실, 연구실 또는 옥내 전시장 등에서 공기압 회로를 구축하고, 그 공기압 회로의 압축 공기원으로서 공기 압축기가 사용될 경우가 있다. 상기 공보의 공기 압축기는, 간이형의 공기 압축기이며, 압축 공기의 냉각기 및 기액 분리기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상기 공보의 공기 압축기를, 공기압 회로의 압축 공기원으로서 사용했을 경우, 고온에서 수분이 포함된 압축 공기가 공기압 회로에 공급되어진다. 고온에서 수분이 포함된 압축 공기가 공기압 회로에 공급되면, 공기압 기기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공기압 회로의 압축 공기원으로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래서, 상기 공보와 같은 가반형의 공기 압축기에 있어서, 토출된 압축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 및 압축 공기로부터 수분을 분리하는 필터와 같은 조질(調質) 기기를 증설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조질 기기를 증설하면, 본체 커버 내에는 복수의 기기가 조밀하게 수용되어진다. 그러면, 공기 압축기로부터 발생한 열이 본체 커버 내에 가득 차, 공기 압축기가 온도 상승하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공기 압축기의 진동이 조질 기기를 통해 본체 커버에 전달되고, 진동을 원인으로 한 소음이 발생하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면서, 소음을 억제할 수 있는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는, 제1 케이스 부재와 제2 케이스 부재를 어셈블리하여 구성된 가반형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의 내측에 구획된 제1 수용실 및 제2 수용실과, 상기 제1 수용실에 수용되고, 압축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된 압축기와, 상기 제2 수용실에 수용되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압축 공기를 조질하도록 구성된 조질 기기와,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수용실 및 상기 제2 수용실을 덮는 패널을 구비한다. 상기 가반형 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패널과 상기 제2 케이스 부재 사이에 구획되는 내부 공간으로서, 상기 제1 수용실과 연통(連通)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도 1은 실시형태의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를 덮개 부재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를 케이스 부재측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의 덮개 부재를 연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1의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사시도.
도 5는 공기압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압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압축기 및 격벽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도 1의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9는 도 1의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를 구체화한 일 실시형태를 도 1∼도 9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는, 수지제의 가반형 케이스(12)를 구비한다. 가반형 케이스(12)를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경량이고 내(耐)충격성이 우수한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지로서,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ABS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반형 케이스(12)에는, 압축 공기를 저장하는 탱크(36)와, 공기를 압축하여 탱크(36)에 공급하는 압축기(41)와, 압축기(41)로부터 토출된 압축 공기를 조질하는 복수의 조질 기기가 수용되어 있다.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반형 케이스(12)는, 제1 케이스 부재인 케이스 부재(13)와 제2 케이스 부재인 덮개 부재(23)를 힌지(37)를 통해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13)에는, 상술한 탱크(36), 압축기(41), 및 복수의 조질 기기가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13)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상자이며, 6면 중 1면이 개구해 있다. 케이스 부재(13)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끝단판(端板)(14)과, 끝단판(14)과 각각 직교하는 제1 장벽(15a), 제2 장벽(15b), 제1 단벽(15c) 및 제2 단벽(15d)을 구비한다. 제1 장벽(15a) 및 제2 장벽(15b)은, 끝단판(14)의 2개의 장연(長緣)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1 단벽(15c) 및 제2 단벽(15d)은, 단판(14)의 2개의 단연(短緣)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부재(13)의 내측에는, 끝단판(14), 제1 장벽(15a), 제2 장벽(15b), 제1 단벽(15c) 및 제2 단벽(15d)에 의해 구획된 수용 공간(S1)이 형성된다.
케이스 부재(13)는, 개구연(開口緣)(H1)을 갖는다. 개구연(H1)은, 제1 장벽(15a), 제2 장벽(15b), 제1 단벽(15c) 및 제2 단벽(15d)의 끝단판(14)과 반대측의 끝단연(端緣)인 돌출단을 연결한 연이다. 케이스 부재(13)에 있어서, 개구연(H1)과 끝단판(14)을 최단 거리로 잇는 직선이 연장되는 방향이 깊이 방향이다. 케이스 부재(13)의 깊이, 즉, 개구연(H1)부터 끝단판(14)까지의 최단 거리는 F1이다.
도 1,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부재(13)는, 파지부(16)를 제2 단벽(15d) 및 제2 장벽(15b)에 구비한다. 제2 단벽(15d)이 제1 단벽(15c)의 위쪽에 배치되어, 끝단판(14), 제1 장벽(15a) 및 제2 장벽(15b)이 수직이 된 상태를,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의 수직 자세라고 한다.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는 이 수직 자세로 사용된다. 즉, 수직 자세는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자세이다. 케이스 부재(13)는, 끝단판(14)의 외부면에, 서로 평행을 이루는 2개의 지지 통부(17)와, U자 형상의 이동용 파지부(18)를 구비한다. 2개의 지지 통부(17)는, 끝단판(14)의 외부면에, 끝단판(14)과 일체가 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2개의 지지 통부(17)의 축선은 끝단판(14)의 장변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동용 파지부(18)는, 2개의 지지 통부(17)에 당김 가능하게 삽입되는 2개의 축부와, 2개의 축부의 한쪽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파지 부분을 갖는다. 이동용 파지부(18)는, 지지 통부(17)에 지지되어 있다. 케이스 부재(13)는, 가반형 케이스(12)를 이동시킬 때에 노면에 접촉하여 전동(轉動)하는 한 쌍의 캐스터(19)를 구비한다. 한 쌍의 캐스터(19)는, 장벽(15a, 15b)의, 끝단판(14) 및 제1 단벽(15c)과 교차하는 부분에 배치된다.
케이스 부재(13)는, 끝단판(14)에 배치된 제1 배기 팬(20a)을 구비함과 함께, 제2 단벽(15d)에 배치된 제2 배기 팬(20b)을 구비한다. 제1 배기 팬(20a) 및 제2 배기 팬(20b)은, 구동시에, 가반형 케이스(12) 내의 공기를 가반형 케이스(12)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케이스 부재(13)는, 제1 장벽(15a)에 배치된 케이스용 흡기 팬(21)을 구비한다. 케이스용 흡기 팬(21)은, 구동시에, 가반형 케이스(12) 외부의 공기를 가반형 케이스(12) 내에 취입하도록 구성된다.
덮개 부재(23)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끝단판(24)과, 끝단판(24)과 각각 직교하는 제1 장벽(25a), 제2 장벽(25b), 제1 단벽(25c) 및 제2 단벽(25d)을 구비한다. 제1 장벽(25a) 및 제2 장벽(25b)은, 끝단판(24)의 2개의 장연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1 단벽(25c) 및 제2 단벽(25d)은, 끝단판(24)의 2개의 단연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 부재(23)의 내측에는, 끝단판(24), 제1 장벽(25a), 제2 장벽(25b), 제1 단벽(25c) 및 제2 단벽(25d)에 의해 구획된 내부 공간인 덮개 내 공간(S2)이 형성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23)는, 개구연(H2)을 갖는다. 개구연(H2)은, 제1 장벽(25a), 제2 장벽(25b), 제1 단벽(25c) 및 제2 단벽(25d)의 끝단판(24)과 반대측의 끝단연인 돌출단을 연결한 연이다. 덮개 부재(23)에 있어서, 개구연(H2)과 끝단판(24)을 최단 거리로 잇는 직선이 연장되는 방향이 깊이 방향이다. 덮개 부재(23)의 깊이, 즉, 개구연(H2)부터 끝단판(24)까지의 최단 거리는 F2이다. 덮개 부재(23)의 깊이(F2)는, 케이스 부재(13)의 깊이(F1)보다 얕다. 케이스 부재(13)의 개구연(H1)과 덮개 부재(23)의 개구연(H2)을 합치면, 가반형 케이스(12) 내에는, 수용 공간(S1)과 덮개 내 공간(S2)으로 구성된 폐구간(S)이 형성된다.
도 4 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는, 케이스 부재(13)의 수용 공간(S1)을 제2 단벽(15d)에 접하는 제1 수용실(25)과, 제1 단벽(15c)에 접하는 제2 수용실(26)의 2개로 구획하는 격벽(27)을 구비한다. 제1 수용실(25)은, 제2 단벽(15d)과, 제1 장벽(15a) 및 제2 장벽(15b)에 있어서의 제2 단벽(15d)에 연결되는 부분과, 끝단판(14)에 있어서의 제2 단벽(15d)에 연결되는 부분과, 격벽(27)으로 구획되어 있다. 제2 수용실(26)은, 제1 단벽(15c)과, 제1 장벽(15a) 및 제2 장벽(15b)에 있어서의 제1 단벽(15c)에 연결되는 부분과, 끝단판(14)에 있어서의 제1 단벽(15c)에 연결되는 부분과, 격벽(27)으로 구획되어 있다.
격벽(27)은, 직사각형 판 형상이다. 격벽(27)은, 제1 장벽(15a)과 제2 장벽(15b)에 가설(架設)되어, 케이스 부재(13) 내를 장변 방향으로 이분하고 있다. 제1 장벽(15a) 및 제2 장벽(15b)의 내면에는, 각각 L자 형상의 브래킷(29)이 고정되어 있다. 격벽(27)의 장변 방향의 양단부는, 2개의 브래킷(29)에 고정되어 있다.
도 8 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는, 케이스 부재(13)의 수용 공간(S1)을 덮는 패널(30)을 구비한다. 패널(30)은 알루미늄제이다. 케이스 부재(13)의 개구연(H1)을 깊이 방향으로 본 정면시(正面視)에 있어서, 패널(30)은 직사각 형상이다. 패널(30)은, 정면시 L자 형상의 제1 패널부(31)와, 제1 패널부(31)보다도 케이스 부재(13)의 깊이 방향으로 후퇴한 위치에 있는 정면시 직사각 형상의 제2 패널부(32)와, 제1 패널부(31)와 제2 패널부(32)를 연결하는 연결부(33)를 갖는다. 제2 패널부(32)는, 제1 단벽(15c)과 제1 장벽(15a)이 형성하는 모서리부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제1 패널부(31)는, 제2 단벽(15d)을 따라 연장되는 정면시 사각 형상의 본체부(31a)와, 본체부(31a)의 일부로부터 케이스 부재(13)의 제1 단벽(15c)을 향하여 돌출한 돌출부(31b)를 갖는다. 개구연(H1)을 깊이 방향으로 본 정면시에 있어서, 돌출부(31b)는 제2 패널부(32)와 나란히 있다. 본체부(31a)는, 수용 공간(S1) 중, 제1 수용실(25) 전체와, 제2 수용실(26)에 있어서의 격벽(27)에 가까운 측의 부분을 덮는다. 돌출부(31b)는, 제2 수용실(26)에 있어서의 제2 장벽(15b)에 가까운 측의 부분을 덮는다.
연결부(33)는, 돌출부(31b)의 2개의 장연부 중, 케이스 부재(13)의 제1 장벽(15a)에 가까운 쪽의 장연부로부터 끝단판(14)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2 패널부(32)는, 정면시에서 서로 평행한 2개의 장연부(32a)를 가짐과 함께, 2개의 장연부(32a)의 제1단끼리 및 제2단끼리를 각각 연결하는, 2개의 단연부(32b)를 갖는다. 제2 패널부(32)의 2개의 장연부(32a) 중, 돌출부(31b)에 가까운 쪽의 장연부(32a)는 연결부(33)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의 장연부(32a)는, 케이스 부재(13)의 제1 장벽(15a)의 내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패널부(32)의 2개의 단연부(32b)는, 모두, 제1 패널부(31)에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즉, 패널(30)은, 본체부(31a)에 있어서의 제2 패널부(32)를 따라 연장되는 연부와, 제2 패널부(32)의 본체부(31a)에 가까운 쪽의 단연부(32b) 사이에 개구부(34)를 갖는다. 개구부(34)는, 수용 공간(S1) 중, 제1 패널부(31)에 의해 덮인 공간과, 제1 패널부(31)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공간을 연통시킨다. 즉, 개구부(34)는, 패널(30)에 의해 구획된 제2 수용실(26)의 내측과 제2 수용실(26)의 외측을 서로 연통시킨다.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는, 제1 패널부(31)에 설치된 패널용 흡기 팬(35)을 구비한다. 패널용 흡기 팬(35)은, 제1 패널부(31) 중, 제1 수용실(25)을 덮는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패널용 흡기 팬(35)이 구동하면, 제1 수용실(25) 내에 공기가 취입된다. 제1 수용실(25) 내에 취입된 공기는, 제1 배기 팬(20a) 및 제2 배기 팬(20b)에 의해 제1 수용실(25)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문에, 패널용 흡기 팬(35)과, 제1 및 제2 배기 팬(20a, 20b)에 의해, 제1 수용실(25) 내에는, 공기가 흐르는 경로(Y)가 형성된다.
케이스 부재(13)의 수용 공간(S1)이 덮개 부재(23)에 의해 덮이고, 가반형 케이스(12)가 된 상태에서는, 패널(30)은, 폐구간(S)을 케이스 부재(13)측의 수용 공간(S1)과, 덮개 부재(23)측의 덮개 내 공간(S2)으로 구획한다. 패널용 흡기 팬(35)은, 덮개 내 공간(S2)에 면(面)해 있다. 패널용 흡기 팬(35)이 구동하면, 덮개 내 공간(S2)의 공기가 제1 수용실(25) 내에 취입된다. 한편,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 부재(23)가 개방되어, 수용 공간(S1)이 덮개 부재(23)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패널용 흡기 팬(35)이 구동했을 때에, 외기(外氣)가 제1 수용실(25) 내에 취입된다.
여기에서, 가반형 케이스(12) 내에 수용되는 기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반형 케이스(12)의 케이스 부재(13) 내에는, 압축기(41)와 탱크(36)와, 복수의 조질 기기가 수용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기(41)의 흡입구(41b)에는, 흡입 배관(46b) 을 통해 흡기 필터(48)가 접속되어 있다. 압축기(41)의 토출구(41a)에 접속된 토출 배관(46a)에는, 조질 기기의 하나인 냉각기(61)의 입구(61a)가 접속되어 있다. 압축기(41)로부터 토출된 압축 공기는, 냉각기(61)에 유입된다.
냉각기(61)는, 유입된 압축 공기를 냉각한다. 냉각기(61)는 공냉식의 냉각기이며, 케이스용 흡기 팬(21)에 의해 가반형 케이스(12) 내에 취입된 공기에 의해 압축 공기를 냉각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기(61)는 나선 형상의 구리관(61c)을 갖고, 구리관(61c)을 압축 공기가 흐르는 동안에, 압축 공기가 냉각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기(61)의 출구(61b)에는, 제1 배관(59b)을 통해, 조질 기기의 하나인 수분 분리 기능 부착 필터(62)의 입구(62a)가 접속되어 있다. 필터(62)에는, 냉각기(61)에 의해 냉각된 압축 공기가 유입된다. 필터(62)는, 원심 분리 구조에 의해, 압축 공기에 발생한 수분을 분리하고, 제거한다. 필터(62)의 출구(62b)에는, 제2 배관(59c)을 통해 체크 밸브(63)의 입구(63a)가 접속되어 있다. 체크 밸브(63)에는, 수분이 제거된 압축 공기가 유입된다. 체크 밸브(63)는, 탱크(36) 내의 압축 공기가 압축기(41)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저지한다.
체크 밸브(63)보다 상류측에 있어서, 제2 배관(59c)으로부터 분기(分岐)된 제3 배관(59d)에는, 블로우용 전자 밸브(64)가 접속되어 있다. 블로우용 전자 밸브(64)는, 압축기(41)의 기동시에, 압축기(41)에 있어서의 압축실 내의 압력을 대기 개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체크 밸브(63)의 출구(63b)에는, 제4 배관(59e)을 통해 탱크(36)의 입구(36a)가 접속되어 있다. 체크 밸브(63)를 통과한 압축 공기는 탱크(36)에 유입된다. 탱크(36)보다 상류측에 있어서, 제4 배관(59e)으로부터 분기된 제5 배관(59f)에는, 릴리프 밸브(65)가 접속되어 있다.
탱크(36)의 출구(36b)에는, 제6 배관(59g)을 통해 조질 기기의 하나인 필터 부착 감압 밸브(66)의 입구(66a)가 접속됨과 함께, 필터 부착 감압 밸브(66)의 출구(66b)는, 도시하지 않은 공기압 회로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탱크(36)에 저장된 압축 공기는, 필터 부착 감압 밸브(66)에 의해 감압되어 공기압 회로에 공급된다. 또한, 탱크(36)에는, 잔압 배출 밸브(67)가 접속되어, 잔압 배출 밸브(67)에 의해 탱크(36) 내의 잔압 배출이 행해진다. 또한, 제6 배관(59g)에는, 압력 센서(72)가 접속되어, 탱크(36)의 압력을 검출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반형 케이스(12)의 제1 수용실(25)에는, 압축기(41)가 수용되어 있다. 도 6 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기(41)는, 하우징을 형성하는 원통부(42)를 구비한다. 원통부(42)의 축선이 연장되는 방향을 장변 방향으로 한다. 원통부(42)는, 장변 방향의 양측에 컴프레서 하우징(42a)을 구비함과 함께, 한 쌍의 컴프레서 하우징(42a)에 끼워진 모터 하우징(42b)을 구비한다. 각 컴프레서 하우징(42a)에는 도시하지 않은 압축부가 수용되고, 모터 하우징(42b)에는, 압축부를 구동시키는 모터(44)(도 5 참조)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압축부에 있어서의 공기의 압축 형태는, 피스톤식, 베인식, 스크류식 등 어느 형태여도 된다.
압축기(41)는, 각 컴프레서 하우징(42a)의 상부에 일체화된 배관 지지부(45)를 구비한다. 각 배관 지지부(45)는, 직사각형 블로우 형상이며, 각 배관 지지부(45)에는, 압축기(41)의 토출구(41a)에 접속된 토출 배관(46a), 및 압축기(41)의 흡입구(41b)에 접속된 흡입 배관(46b)이 지지되어 있다.
압축기(41)는, 각 컴프레서 하우징(42a)의 하부에 한 쌍의 장착 각부(脚部)(47)를 구비한다. 각 장착 각부(47)는, 방진(防振) 부재인 방진 고무(49)를 통해 격벽(27)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격벽(27)은, 압축기(41)의 장착 각부(47)가 장착되는 장착판으로서 기능한다. 방진 고무(49)는, 장착 각부(47)와 격벽(27) 사이에 개장(介裝)되어 있다. 각 방진 고무(49)는, 탄성 변형 가능하며, 압축기(41)에 발생한 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이 격벽(27)에 전파되는 것을 억제한다.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는, 격벽(27)의 장변 방향의 양단 부근에 각각 고정된 2개의 제1 지지 부재(50)를 구비한다. 각 제1 지지 부재(50)는, 격벽(27)의 단변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제1 장착편(50a)과, 제1 장착편(50a)의 장변 방향 양단으로부터 입설(立設)된 직사각형 판 형상의 2개의 제2 장착편(50b)을 구비한다. 제1 장착편(50a)의 장변 방향의 길이는, 압축기(41)의 단변 방향의 길이보다 약간 길다. 한 쌍의 제2 장착편(50b)은, 격벽(27)의 단변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돌출한다.
또한,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는, 각 제1 지지 부재(50)의 한 쌍의 제2 장착편(50b)에 장착된 제2 지지 부재(51)를 구비한다. 각 제2 지지 부재(51)는, 격벽(27)의 단변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제1 장착편(51a)과, 제1 장착편(51a)의 장변 방향 양단으로부터 각각 제1 지지 부재(50)를 향하여 연장되는 2개의 직사각형 판 형상의 제2 장착편(51b)을 구비한다. 제2 지지 부재(51)에 있어서의 제1 장착편(51a)의 장변 방향의 치수는, 압축기(41)의 단변 방향의 길이보다 약간 길고, 제1 지지 부재(50)의 한 쌍의 제2 장착편(50b)의 내면간의 치수와 같거나 또는 약간 길다.
제2 지지 부재(51)의 2개의 제2 장착편(51b)은, 각각 제1 지지 부재(50)의 제2 장착편(50b)의 내면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지지 부재(50)와 제2 지지 부재(51)는 일체로 어셈블리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지지 부재(51)는, 각각의 제1 장착편(51a)이 압축기(41)에 있어서의 장변 방향 양단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1 지지 부재(50)에 어셈블리되어 있다.
도 7과 같이, 압축기(41) 아래에 격벽(27)이 겹치는 상태에서 압축기(41)를 본 평면시(平面視)에 있어서, 각 제1 지지 부재(50)의 제2 장착편(50b)은, 각 컴프레서 하우징(42a)을 단변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배설(配設)되어 있다. 또한, 제2 지지 부재(51)의 제1 장착편(51a)은, 각 컴프레서 하우징(42a)의 장변 방향의 외측에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압축기(41)는, 단변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2개의 제2 장착편(50b)에 의해 끼워지고, 장변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제1 장착편(51a)에 의해 끼워져 있다. 상세하게는, 압축기(41) 아래에 격벽(27)이 겹치도록 본 평면시에 있어서, 압축기(41)를 사방(전후 좌우)으로부터 둘러싸는 위치에, 제1 지지 부재(50)의 제2 장착편(50b)과 제2 지지 부재(51)의 제1 장착편(51a)이 배치되어 있다.
각 제1 지지 부재(50)의 각 제2 장착편(50b)에는, 스토퍼인 스토퍼 볼트(53)가 고정되어 있다. 스토퍼 볼트(53)는, 제2 장착편(50b)의 내면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압축기(41)의 단변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배관 지지부(45)의 측면과의 사이에 극간을 갖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 볼트(53)는, 배관 지지부(45)에 대향한 부위에 맞닿음부(53a)를 구비한다. 맞닿음부(53a)는 고무제 또는 수지제이다.
각 제2 지지 부재(51)의 제1 장착편(51a)에 있어서의 장변 방향 중앙부에는,스토퍼인 스토퍼 볼트(53)가 고정되어 있다. 스토퍼 볼트(53)는, 제1 장착편(51a)의 내면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압축기(41)의 장변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컴프레서 하우징(42a)의 측면과의 사이에 극간을 갖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 볼트(53)는, 컴프레서 하우징(42a)에 대향한 부위에 맞닿음부(53a)를 구비한다. 맞닿음부(53a)는 고무제 또는 수지제이다.
그리고, 압축기(41)는, 방진 고무(49)를 통해 격벽(27)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수용실(25)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 볼트(53)의 맞닿음부(53a)는, 압축기(41)의 사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압축기(41)의 단변 방향 양쪽 외측에는 스토퍼 볼트(53)가 2개소에 배치되고, 압축기(41)의 장변 방향 양쪽 외측에는 스토퍼 볼트(53)가 1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스토퍼 볼트(53)는, 지지 부재(50, 51)로부터 압축기(41)를 향하여 맞닿음부(53a)가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가 기울면, 압축기(41)와 스토퍼 볼트(53) 사이에 존재하는 극간만큼 압축기(41)가 기울지만, 압축기(41)는 기울어진 곳에 있는 스토퍼 볼트(53)의 맞닿음부(53a)에 맞닿는다. 그러면, 압축기(41)는, 맞닿음부(53a)에 의해 지지되어, 그 이상의 압축기(41)의 기울기가 규제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부재(13)의 제2 수용실(26)에는, 복수의 기기, 상세하게는, 탱크(36), 냉각기(61), 필터(62), 체크 밸브(63)(도 4에는 도시 생략), 블로우용 전자 밸브(64)(도 4에는 도시 생략), 릴리프 밸브(65)(도 4에는 도시 생략), 필터 부착 감압 밸브(66), 및 잔압 배출 밸브(67)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기기 중, 탱크(36)는, 제2 수용실(26) 중, 제1 패널부(31)의 돌출부(31b)에 의해 덮인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냉각기(61)는, 제2 수용실(26) 중, 격벽(27)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됨과 함께, 제1 패널부(31)의 본체부(31a)에 의해 덮인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냉각기(61)는, 케이스 부재(13)의 제1 장벽(15a)에 마련된 케이스용 흡기 팬(21)에 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62) 및 필터 부착 감압 밸브(66)는, 제2 패널부(32)에 설치되고, 체크 밸브(63), 블로우용 전자 밸브(64), 및 릴리프 밸브(65)는, 제2 수용실(26) 중 제2 패널부(32)에 의해 덮인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제6 배관(59b∼59g)은, 제2 수용실(26) 중 패널(30)에 의해 덮인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패널(30)에는,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의 전원 스위치(70)와, 압축기(41)의 기동 스위치(71)와, 압력 센서(72)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는, 모터(44)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수용 공간(S1)에 수용되어 있다.
전원 스위치(70)가 조작에 의해 온(On)이 되면,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가 구동되고, 제1 배기 팬(20a), 제2 배기 팬(20b), 케이스용 흡기 팬(21), 및 패널용 흡기 팬(35)이 구동된다. 기동 스위치(71)가 조작에 의해 온이 되면, 제어부가 블로우용 전자 밸브(64)를 구동시킨다. 그 후, 모터(44)가 구동되고, 압축기(41)가 구동된다.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압축기(41)는 미리 설정된 압력이 될 때까지 공기의 압축을 행하여 정지한다. 또한, 미리 설정된 압력까지 내려가면, 제어부는 다시 압축기(41)를 구동시켜, 공기의 압축을 행하게 한다. 압력 센서(72)에 의해, 압축 공기의 압력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의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에 있어서, 케이스 부재(13)의 수용 공간(S1)을 덮개 부재(23)로 폐쇄하면 폐구간(S)이 형성된다. 패널(30)은, 폐구간(S)을 수용 공간(S1)과 덮개 내 공간(S2)을 격리한다. 가반형 케이스(12) 내에 있어서, 수용 공간(S1)과 덮개 내 공간(S2)은, 케이스 부재(13) 내의 개구부(34)에 의해 연통해 있다.
다음으로,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의 작용을 기재한다.
상기 구성의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는, 파지부(16)를 파지함으로써 운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이동용 파지부(18)를 파지하여 당기면, 캐스터(19)가 전동하므로,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를 당기면서 반송할 수 있다. 그리고,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는, 공기압 회로가 설치된 장소까지 반송되면, 공기압 회로에 접속하여 사용된다.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를 기동할 경우에는, 덮개 부재(23)를 열어 케이스 부재(13)를 개방시켜, 패널(30)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전원 스위치(70) 및 기동 스위치(71)를 조작하여 온하면, 압축기(41), 제1 배기 팬(20a), 제2 배기 팬(20b), 케이스용 흡기 팬(21), 및 패널용 흡기 팬(35)이 구동한다. 그 후, 덮개 부재(23)를 닫아, 가반형 케이스(12)로 한다.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가 구동되면, 우선, 블로우용 전자 밸브(64)에 의해, 압축기(41)에 있어서의 압축실 내의 압력이 대기 개방된다. 그 후, 흡기 필터(48)를 통해 압축기(41)에 흡입된 공기는, 압축실에서 압축된다. 압축 공기는 냉각기(61)에 유입된다. 냉각기(61)에 유입된 압축 공기는, 구리관(61c)을 흐르는 동안에 냉각된다.
냉각기(61)에서 냉각된 압축 공기는, 수분 분리 기능 부착 필터(62)에 유입된다. 필터(62)에 유입된 압축 공기로부터는, 냉각에 의해 압축 공기에 발생한 수분이 분리되고, 제거된다. 필터(62)를 통과한 압축 공기는, 체크 밸브(63)를 통과하여 탱크(36)에 유입된다. 탱크(36)에 유입된 압축 공기는, 일시적으로 탱크(36) 내에 저장된다. 탱크(36)에 저장된 압축 공기는, 필터 부착 감압 밸브(66)에 의해 감압되어 공기압 회로에 공급된다.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를 정지시킬 경우에는, 덮개 부재(23)를 열어 케이스 부재(13)를 개방시켜, 패널(30)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전원 스위치(70) 및 기동 스위치(71)를 조작하여 오프(Off)로 한다. 그러면, 압축기(41), 제1 배기 팬(20a), 제2 배기 팬(20b), 케이스용 흡기 팬(21), 및 패널용 흡기 팬(35)이 정지한다. 정지 후, 잔압 배출 밸브(67)를 조작함으로써 탱크(36) 내의 잔압 배출이 행해진다.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가 구동하면, 압축기(41)로부터 고온의 압축 공기가 토출됨과 함께, 도 8 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용 흡기 팬(21)에 의해, 가반형 케이스(12) 외부의 공기가 가반형 케이스(12) 내의 제2 수용실(26)에 취입된다. 취입된 공기는, 냉각기(61)의 구리관(61c)에 분사된다. 압축부의 압축 동작에 의해, 압축기(41)의 온도가 상승해 가지만, 구리관(61c)에 공기가 분사됨으로써, 구리관(61c)을 통과하는 압축 공기가 냉각된다.
또한, 제2 수용실(26)에 취입된 공기는, 개구부(34)를 통과하여 패널(30)에 의해 덮이지 않은 공간으로 흘러 나온다. 그 후, 공기는, 덮개 부재(23)의 덮개 내 공간(S2)에 유입된다. 그러면, 패널(30)의 패널용 흡기 팬(35)에 의해, 공기가 제1 수용실(25)에 취입된다. 그리고, 제1 수용실(25)에 취입된 공기에 의해, 압축기(41)가 냉각된다. 제1 수용실(25)에 취입된 공기는, 경로(Y)를 흘러 제1 배기 팬(20a) 및 제2 배기 팬(20b)에 의해, 가반형 케이스(12)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모터(44)의 구동 및 압축부의 구동에 의해, 압축기(41)가 진동한다. 압축기(41)의 진동은 방진 고무(49)에 흡수된다. 또한, 덮개 부재(23)의 덮개 내 공간(S2)에 의해, 압축기(41)의 진동이 덮개 부재(23)로 전파되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가반형 케이스(12)의 내측에 있어서, 압축기(41)가 수용된 제1 수용실(25)은, 케이스 부재(13) 내에 구획된 공간이며, 게다가 패널(30)에 의해 덮인 공간이다. 이러한 제1 수용실(25)이어도, 덮개 부재(23)의 덮개 내 공간(S2)과 연통시켜, 제1 수용실(25)을 환기하고, 유통하는 공기로 압축기(41)를 냉각하도록 했다. 따라서, 압축기(41)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덮개 내 공간(S2)에 의해, 공기층을 구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덮개 부재(23)가 평판 형상이며, 가반형 케이스(12) 내에 덮개 내 공간(S2)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면, 덮개 부재(23)로 전파되는 진동을 억제하여,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2) 패널(30)에 있어서, 덮개 내 공간(S2)에 면하는 위치에 패널용 흡기 팬(35)을 설치함과 함께, 케이스 부재(13)에 제1 배기 팬(20a) 및 제2 배기 팬(20b)을 마련했다. 그리고, 패널용 흡기 팬(35)에 의해, 덮개 내 공간(S2)의 공기를 제1 수용실(25)에 취입하고, 제1 배기 팬(20a) 및 제2 배기 팬(20b)에 의한 배기에 의해, 제1 수용실(25)을 강제적으로 환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축기(41)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3) 제1 배기 팬(20a) 및 제2 배기 팬(20b)은, 케이스 부재(13) 중, 제1 수용실(25)을 구획하는 부위에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패널용 흡기 팬(35)과, 제1 배기 팬(20a) 및 제2 배기 팬(20b)에 의해, 제1 수용실(25) 내에서 공기가 유통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제1 수용실(25)의 환기 효율을 높여, 압축기(41)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4) 케이스용 흡기 팬(21)은, 케이스 부재(13) 중 냉각기(61)에 면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케이스용 흡기 팬(21)에 의해 가반형 케이스(12) 내에 취입된 공기를 냉각기(61)에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기(61)를 흐르는 압축 공기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5) 제2 수용실(26)에 취입된 공기는, 개구부(34)를 통해 패널(30)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공간으로 유출되고, 덮개 내 공간(S2)으로 유입된다. 또한, 공기는, 패널용 흡기 팬(35)에 의해 제1 수용실(25)에 취입된 후, 제1 및 제2 배기 팬(20a, 20b)에 의해 제1 수용실(25)로부터 가반형 케이스(12) 외부로 배기된다. 따라서, 케이스용 흡기 팬(21), 개구부(34), 패널용 흡기 팬(35), 제1 및 제2 배기 팬(20a, 20b)에 의해, 가반형 케이스(12) 내의 전체를 환기할 수 있다.
(6) 패널(30)은 알루미늄제이며, 알루미늄은 방열성이 높은 재질이다. 이 때문에, 압축기(41)에서 발생한 열을 패널(30)에 의해 덮개 내 공간(S2)으로 방열하기 쉬워, 제1 수용실(25)에 열이 가득 차기 어려워진다.
(7) 방진 고무(49)에 의해, 압축기(41)의 진동이 격벽(27)으로 전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방진 고무(49)를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 제1 및 제2 지지 부재(50, 51)와 스토퍼 볼트(53)에 의해, 가반형 케이스(12)가 경사졌을 때, 압축기(41)를 지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가 어떠한 자세를 취해도, 압축기(41)를 지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방진 고무(49)가 크게 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의 반송 자세의 제한을 없앨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차의 트렁크나, 공공 교통 기관에서의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의 반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혼자서의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의 반송도 가능해지고, 반송 범위가 넓어진다.
(8) 압축기(41)가 장착된 격벽(27)에 의해, 케이스 부재(13)를 제1 수용실(25)과 제2 수용실(26)로 구획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압축기(41)를 케이스 부재(13)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판과, 케이스 부재(13)를 구획하는 부재를 별개로 할 경우와 비교하면,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의 부품점수를 줄여,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9) 가반형 케이스(12)는 수지제이기 때문에,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를 경량화함과 함께,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의 내충격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10) 압축기(41)를 수용한 제1 수용실(25)은, 수직 자세에 있어서 제2 수용실(26)보다도 상측에 있다. 그 때문에, 제1 수용실(25)에 냉각기(61) 등의 조질 기기가 수용되고, 제2 수용실(26)에 압축기(41)가 수용되었을 경우와 같이, 압축기(41)에서 발생한 열이 상승하여 냉각기(61)가 가열되지 않는다.
(11)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는, 압축기(41)뿐만 아니라, 압축 공기를 냉각하는 냉각기(61)나, 압축 공기의 냉각에 의해 발생한 수분을 제거하는 필터(62)와 같은 조질 기기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에 의해, 조질된 압축 공기를 공기압 회로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는, 소음을 억제한 구조이기 때문에, 실험실, 연구실, 옥내 전시장과 같은 비교적 조용한 장소에서의 사용이 가능해져,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의 사용 범위가 넓어진다.
(12)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는, 압축기(41)를 수용한 제1 수용실(25)에 열이 가득 차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압축기(41)를 냉각하여 압축기(41)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압축기(41)의 연속 운전이 가능해짐과 함께, 압축기(41)가 구비하는 베어링 등의 슬라이딩 부품의 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3)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는, 가반형이기 때문에, 가능한 한, 소형화, 경량화되는 것이 반송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가반형 케이스(12)를 소형화 할수록, 압축기(41)에서 발생한 열이 가반형 케이스(12) 내에 가득 차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압축기(41)가 온도 상승하여 연속 운전이 곤란해지기 쉽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 부재(13)를 격벽(27)에 의해 구획하고, 그 하나의 제1 수용실(25)에 압축기(41)를 수용하면서도, 제1 수용실(25)에 덮개 부재(23)의 덮개 내 공간(S2)을 연통시킴으로써, 제1 수용실(25)에 열이 가득 차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특히, 패널용 흡기 팬(35)과, 제1 및 제2 배기 팬(20a, 20b)을 병용함으로써, 제1 수용실(25)을 강제적으로 환기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열 대책을 강구함으로써,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패널용 흡기 팬(35)과, 제1 및 제2 배기 팬(20a, 20b)은, 제1 수용실(25) 내에 공기의 경로(Y)를 만드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제1 및 제2 배기 팬(20a, 20b)이, 케이스 부재(13)의 제1 단벽(15c)과 같이 제1 수용실(25)을 구획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경우와 비교하면, 경로(Y)를 만들기 쉽다. 그 결과, 패널용 흡기 팬(35), 제1 배기 팬(20a), 및 제2 배기 팬(20b)을 소형화 할 수 있어, 가반형 케이스(12)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가 수직 자세인 제1 수용실(25) 및 제2 수용실(26)에 있어서, 압축기(41)를 수용한 제1 수용실(25)을, 조질 기기나 탱크(36)를 수용한 제2 수용실(26)의 하측에 배치해도 된다.
○ 가반형 케이스(12)의 케이스 부재(13) 및 덮개 부재(23)를 경량인 금속제, 예를 들면, 알루미늄제로 해도 된다.
○ 압축기(41)를 격벽(27)에 장착하지 않고, 케이스 부재(13)의 제2 단벽(15d)의 내면에 장착해도 된다. 또는, 압축기(41)가 장착되며, 또한 케이스 부재(13)에 고정된 장착판을, 격벽(27)과는 별도로 마련해도 된다.
○ 제1 및 제2 지지 부재(50, 51)와 압축기(41) 사이에, 스토퍼인 스토퍼 볼트(53)를 개재(介在)시켰지만, 스토퍼는 스토퍼 볼트 이외여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지지 부재(50, 51)와 압축기(41) 사이에, 판자 형상의 고무를 개재시켜도 된다.
○ 패널(30)은, 방열성이 높은 금속이면, 알루미늄 이외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 패널(30)은, 수지제여도 된다.
○ 케이스용 흡기 팬(21)은, 가반형 케이스(12) 내에 공기를 취입할 수 있으면, 냉각기(61)에 면하는 위치와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 냉각기(61)는, 수냉식이어도 된다.
○ 제1 배기 팬(20a) 및 제2 배기 팬(20b)의 적어도 하나는, 케이스 부재(13)에 있어서, 제1 수용실(25)을 구획하지 않은 위치, 예를 들면, 제2 수용실(26)을 구획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 패널(30)의 패널용 흡기 팬(35)은 없어도 된다. 또한, 제1 배기 팬(20a) 및 제2 배기 팬(20b)은 없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압축기(41)를 수용한 제1 수용실(25)을 덮개 내 공간(S2)과 연통시킴으로써, 제1 수용실(25)에 공기가 가득 차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덮개 부재(23)가 평판 형상이며, 덮개 내 공간(S2)을 갖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면, 가반형 케이스(12)의 방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 제1 케이스 부재는, 예를 들면, 1면에 개구하는 사각 상자체를 2개 나란히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사각 상자체의 일측벽과, 제2 사각 상자체의 일측벽을 접합해도 된다. 그렇게 하면, 접합된 2개의 벽이 격벽이 되고, 제1 사각 상자체 내에 제1 수용실(25)을 형성함과 함께 제2 사각 상자체 내에 제2 수용실(26)을 형성할 수 있다.
○ 케이스 부재(13)의 제1 단벽(15c)과 제2 단벽(15d)에 격벽(27)을 가설하여, 수용 공간(S1)을 케이스 부재(13)의 단변 방향으로 구획해도 된다.
○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11)는, 덮개 부재(23)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사용해도 된다.
○ 가반형 케이스(12)에 있어서, 케이스 부재(13)의 깊이(F1)와 덮개 부재(23)의 깊이(F2)를 다르게 하여, 깊이가 깊은 케이스 부재(13)를 제1 케이스 부재로 하고, 깊이가 얕은 덮개 부재(23)를 제2 케이스 부재로 했다. 그러나, 제1 케이스 부재와 제2 케이스 부재의 깊이를 같게 하여, 어느 한쪽에 압축기(41), 탱크(36) 및 조질 기기를 수용하고, 다른 쪽을 덮개 부재로 해도 된다. 또는, 제1 케이스 부재의 깊이를 제2 케이스 부재의 깊이보다 얕게 하고, 깊이가 얕은 제1 케이스 부재에 압축기(41), 탱크(36) 및 조질 기기를 수용하고, 깊이가 깊은 제2 케이스 부재를 덮개 부재로 해도 된다.
○ 가반형 케이스(12)는, 직방체 형상이 아니라, 입방체 형상이어도 된다.
○ 격벽(27)은, 브래킷(29)에 의해 케이스 부재(13)에 고정되어 있었지만, 브래킷(29)을 이용하지 않고, 격벽(27)을 케이스 부재(13)에 직접 고정해도 된다.
○ 압축기(41)를 평면시에서 사방으로부터 스토퍼 볼트(53)로 지지할 수 있으면, 압축기(41)의 장변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면 각각을 1개소로 지지해도 된다.
○ 제1 배기 팬(20a) 및 제2 배기 팬(20b) 중, 어느 한쪽을 없애도 된다.
○ 제1 수용실(25)에 공기를 취입하는 흡기 팬을 늘려도 되고, 제1 수용실(25)로부터 배기하는 배기 팬을 늘려도 된다.

Claims (10)

  1. 제1 케이스 부재와 제2 케이스 부재를 어셈블리하여 구성된 가반형(可搬型)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의 내측에 구획된 제1 수용실 및 제2 수용실과,
    상기 제1 수용실에 수용되고, 압축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된 압축기와,
    상기 제2 수용실에 수용되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압축 공기를 조질(調質)하도록 구성된 조질 기기와,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수용실 및 상기 제2 수용실을 덮는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가반형 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패널과 상기 제2 케이스 부재 사이에 구획되는 내부 공간으로서, 상기 제1 수용실과 연통(連通)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수용실을 덮는 부위에 마련된 패널용 흡기 팬과,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에 마련된 배기 팬을 구비하는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팬은,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실을 구획하는 부위에 마련되어 있는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실을 구획하는 부위에 마련된 케이스용 흡기 팬과,
    상기 패널에 의해 구획된 상기 제2 수용실의 내측과 상기 제2 수용실의 외측을 서로 연통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질 기기는, 상기 압축 공기를 냉각하도록 구성된 냉각기이며,
    상기 케이스용 흡기 팬은, 상기 냉각기에 면(面)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에 설치되어 있는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금속제인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장착 각부(脚部)가 장착됨과 함께, 상기 제1 수용실의 내측에서 상기 제1 케이스 부재에 고정된 장착판과,
    상기 장착판과 상기 장착 각부 사이에 개장(介裝)된 방진(防振) 부재와,
    상기 압축기에 상기 장착판을 겹쳐 본 평면시(平面視)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를 둘러싸는 사방(四方)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장착판에 고정된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압축기 사이에 개재(介在)되며, 또한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상기 압축기를 향하여 돌출하도록 배치된 스토퍼를 구비하는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판은, 상기 제1 케이스 부재를 상기 제1 수용실과 상기 제2 수용실로 구획하는 격벽인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반형 케이스는 수지제인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자세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실은, 상기 제2 수용실보다 상측에 있는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
KR1020180112707A 2017-10-10 2018-09-20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 KR102047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96945A JP6748048B2 (ja) 2017-10-10 2017-10-10 可搬型圧縮空気供給機
JPJP-P-2017-196945 2017-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0450A KR20190040450A (ko) 2019-04-18
KR102047268B1 true KR102047268B1 (ko) 2019-11-21

Family

ID=6610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707A KR102047268B1 (ko) 2017-10-10 2018-09-20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48048B2 (ko)
KR (1) KR102047268B1 (ko)
CN (1) CN109653986B (ko)
TW (1) TWI67762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23885A1 (en) * 2021-01-05 2022-07-06 Streetec GmbH A modular pressure vess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965B1 (ko) * 2019-04-19 2020-06-09 (주)한엑스 서로 다른 냉각 공간을 제공해주는 상용차량용 냉장고
KR102249927B1 (ko) * 2019-05-17 2021-05-10 이영모 배관 내의 잔류 유체 제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8982B2 (ja) 1997-06-18 2001-08-13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熱間押出用ガラスパッド
JP2015143481A (ja) 2014-01-31 2015-08-06 日立工機株式会社 空気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9166A (en) * 1979-10-22 1983-06-21 Harvey-Westbury Corp. Self-contained portable air compressor
JPS6226581U (ko) * 1985-07-31 1987-02-18
JP2000073955A (ja) * 1998-09-03 2000-03-07 Hitachi Koki Co Ltd 携帯用圧縮機
AUPQ324899A0 (en) * 1999-10-05 1999-10-28 Mi-Ok Pty Ltd Portable air-powered tools
US20040047745A1 (en) * 2002-09-06 2004-03-11 Burkholder Robert F. Air compressor assembly having enclosed unpainted air tank
US6773132B2 (en) * 2002-12-31 2004-08-10 James Gilligan Emergency kit having an air compressor in combination with an impact wrench and a tire jack for changing a tire
US20050031458A1 (en) * 2003-08-07 2005-02-10 Brashears Richard K. Portable air compressor
US20070134104A1 (en) * 2005-12-12 2007-06-14 Sullair Corporation Modular portable compressor
US20070212236A1 (en) * 2006-03-08 2007-09-13 Robert Lew Turan Portable air/gas compressor
JP5260426B2 (ja) * 2009-07-15 2013-08-14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パッケージ形圧縮機
JP5609736B2 (ja) * 2011-03-28 2014-10-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CN203335350U (zh) * 2013-06-28 2013-12-11 曾晖 便携式铝合金气泵
CN203420853U (zh) * 2013-06-30 2014-02-05 常州市常翔机械有限公司 双层压缩机箱体
TWI575159B (zh) * 2014-05-26 2017-03-21 周文三 可攜式打氣機設備組
TWI593883B (zh) * 2015-01-15 2017-08-01 周文三 可對馬達散熱之打氣機設備組構造
TWI589776B (zh) * 2015-03-11 2017-07-01 周文三 打氣機設備組結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8982B2 (ja) 1997-06-18 2001-08-13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熱間押出用ガラスパッド
JP2015143481A (ja) 2014-01-31 2015-08-06 日立工機株式会社 空気圧縮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23885A1 (en) * 2021-01-05 2022-07-06 Streetec GmbH A modular pressure vess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48048B2 (ja) 2020-08-26
KR20190040450A (ko) 2019-04-18
JP2019070353A (ja) 2019-05-09
TW201923229A (zh) 2019-06-16
CN109653986B (zh) 2020-05-19
CN109653986A (zh) 2019-04-19
TWI677627B (zh) 201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7268B1 (ko) 가반형 압축 공기 공급기
JP5597571B2 (ja) パッケージ収納型エンジン作業機
US8717761B2 (en) High-voltage apparatus and vehicle
US20060144637A1 (en) Sound-attenuating enclosure with integral cooling ducts
JP5186955B2 (ja) 蓄電装置
JP5097486B2 (ja) 空気調和機
KR20150108688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5097487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CN113464438B (zh) 电动压缩机
JPH07167061A (ja) 駆動モータとケーシングとを有するポンプ
KR100837143B1 (ko) 패키지형 압축기
JP2004003705A (ja) コンテナ用冷凍装置
JP5210777B2 (ja) パッケージ型圧縮機
JP2009174490A (ja) コンプレッサ用筐体
TW201518171A (zh) 船舶上糧食庫用冷凍裝置的安裝器具及船舶上糧食庫用冷凍裝置的安裝方法
KR100453274B1 (ko) 환기장치의 제작방법 및 환기장치
JPH01313694A (ja) パッケージ形スクリュー圧縮機
JP5779463B2 (ja) パッケージ型圧縮機
JP2010144962A (ja) 空気調和装置における支持構造
JP2012190876A (ja) 制御盤
JP4493230B2 (ja) 冷却貯蔵庫
JP2011099578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04251147A (ja) パッケージ型圧縮機
JP7057609B1 (ja) パッケージ型回転ポンプユニット
JP5253847B2 (ja) 貯蔵庫における機械室の冷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