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927B1 - 배관 내의 잔류 유체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내의 잔류 유체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927B1
KR102249927B1 KR1020190058005A KR20190058005A KR102249927B1 KR 102249927 B1 KR102249927 B1 KR 102249927B1 KR 1020190058005 A KR1020190058005 A KR 1020190058005A KR 20190058005 A KR20190058005 A KR 20190058005A KR 102249927 B1 KR102249927 B1 KR 102249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ir
main body
pump
ai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2452A (ko
Inventor
이영모
Original Assignee
이영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모 filed Critical 이영모
Priority to KR1020190058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927B1/ko
Publication of KR20200132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08B9/0328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by purging the pipe with a gas or a mixture of gas an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5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along the pipes by a fluid, e.g. by fluid pressure or by s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배관 내의 잔류 유체 제거장치가 게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식 주택, 카라반, 모터홈, 온수매트 등의 대상물에 탈착 가능한 본체; 본체에 형성되며, 고압, 저압의 에어를 발생하며 토출구가 형성된 에어펌프; 에어펌프의 토출구에 연결되며 배관에 결합되는 에어분사부; 본체에 형성되며, 에어펌프의 온-오프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와,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물,오일,유체류의 공급라인(탱크,수전모터)에 펌프(에어)를 가동시켜 에어로 배관(호스) 라인에 남아있는 잔류수(유)를 에어 압으로 밀어내어 잔류수(유)를 제거할 수 있고, 타이머를 장착하여 원하는 가동시간을 설정하여 펌프의 가동,정지 시간을 세팅 할 수 있어 펌프의 수명을 연장 할수 있으며, 원터치 버튼을 한번 눌러 자동으로 원하는 시간만큼 가동,멈춤 동작을 시킬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관 내의 잔류 유체 제거장치{Residual fluid removal device in piping}
게시되는 내용은 배관 내의 잔류 유체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 내에 잔류하는 물, 오일 등의 유체를 제거함으로써 배관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배관 내의 잔류 유체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식 주택, 카라반, 모터홈, 온수매트 등은 배관이 구비되고, 배관을 이용하여 냉,온수 및 오일 등이 이송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있다.
그러나 물,오일,유체류 탱크(통)에서 배관(호스)을 통해 공급되는 물,오일, 및 기타 유체류의 경우 배관(호스) 라인에 잔류수(유)가 남게 되는데, 이것을 방치 할경우 배관 라인 동파, 배관(호스)막힘, 경화 및 퇴적으로 배관(호스) 라인에 막힘이나 유량감소, 내부 부식,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실용신안출원 20-2003-0028358호
게시되는 내용은 물,오일,유체류의 공급라인(탱크,수전모터)에 펌프(에어)를 가동시켜 에어로 배관(호스) 라인에 남아있는 잔류수(유)를 에어 압으로 밀어내어 잔류수(유)를 제거할 수 있고,
타이머를 장착하여 원하는 가동시간을 설정하여 펌프의 가동,정지 시간을 세팅 할 수 있어 펌프의 수명을 연장 할수 있으며, 이는 배관라인의 길이에 따라 가동,정지 시간을 설정 할수 있다.
원터치 버튼을 한번 눌러 자동으로 원하는 시간만큼 가동,멈춤 동작을 시킬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을 갖는 배관 내의 잔류 유체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이동식 주택, 카라반, 모터홈, 온수매트 등에 탈착 가능한 본체; 본체에 형성되며, 고압(저압)의 에어를 발생하며 토출구가 형성된 에어펌프; 에어펌프의 토출구에 연결되며 배관에 결합되는 에어분사부; 본체에 형성되며, 에어펌프의 온-오프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와,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관 내의 잔류 유체 제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볼트를 결합하여 고정 설치가 가능하도록 외주연에 다수의 방진구가 형성되거나 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휴대용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분사부는 커플링부가 형성되고, 커플링부는 에어분사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 개구부에 배관의 단부가 밀착 결합되는 관체; 관체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기밀성을 제공하는 오링; 관체의 외주면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클램프;를 포함하고, 배관의 단부에 기밀 상태가 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이머는 에어펌프의 가동, 정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식 주택, 카라반, 모터홈, 온수매트 등에 장착하여 고정식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서는 분리하여 휴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며, 물,오일,유체류의 공급라인(탱크,수전모터)에 펌프(에어)를 가동시켜 에어로 배관(호스) 라인에 남아있는 잔류수(유)를 에어 압으로 밀어내어 잔류수(유)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이머를 장착하여 원하는 가동시간을 설정하여 펌프의 가동,정지 시간을 세팅 할 수 있어 펌프의 수명을 연장 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터치 버튼을 한번 눌러 자동으로 원하는 시간만큼 가동, 멈춤 동작을 시킬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의 잔류 유체 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의 잔류 유체 제거장치에서 '커플링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의 잔류 유체 제거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의 잔류 유체 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의 잔류 유체 제거장치에서 '커플링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의 잔류 유체 제거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의 잔류 유체 제거장치(A)는, 이동식 주택, 카라반, 모터홈 및 온수매트 중 하나(800)에 장착하여 사용될 수 있고, 또는 분리하여 휴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잔류 유체 제거장치(A)는 본체(100); 본체(100)에 형성되며, 고압, 저압의 에어를 발생하며 토출구(210)가 형성된 에어펌프(200); 에어펌프(200)의 토출구(210)에 연결되며 배관(810)에 결합되는 에어분사부(220); 본체(100)에 형성되며, 에어펌프(200)의 온-오프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320)와,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340)를 구비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이동식 주택, 카라반, 모터홈 및 온수매트 중 하나(800)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탈착 가능함이란 볼트 체결로 장착하거나 또는 클립형 끼움구를 적용하여 대상물과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체(100)는 서류가방 크기 정도로 된 지지대(120)를 포함하고, 지지대(120)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방진구(140)가 형성된다.
또는 지지대(120)에는 휴대가 간편하도록 손잡이 또는 멜빵끈이 구비됨으로써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잔류 유체 제거장치(A)는 이동식 주택, 카라반, 모터홈에 상시 거치하여 구비될 수 있어 야외에서 언제든지 사용 가능하게 된다.
물론 실시예에 따른 잔류 유체 제거장치(A)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에어컴프레셔를 사용하여 배관 내의 잔류 유체를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에어분사부(220)는 이동식 주택, 카라반, 모터홈 및 온수매트 중 하나(800)의 배관(810)에 연결 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커플링부(400)가 구비된다.
일 예에 따르면, 커플링부(400)는, 에어분사부(2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 개구부에 배관(810)의 단부가 밀착 결합되는 관체(420); 관체(420)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기밀성을 제공하는 오링(430); 관체(420)의 외주면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클램프(440);를 포함하고, 배관(810)의 단부에 기밀 상태가 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관체(420)의 내경은 배관(810)의 단부 외경에 꼭맞도록 형성된다. 또는 배관(810)의 외경이 여러 종류가 있을 것을 감안하여 관체(420)에 부착되어 관경별로 다양한 어댑터(어댑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어댑터의 일측은 관체(420)에 결합되고, 타측은 배관(810)에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배관(810)에는 체크밸브(86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체크밸브(860)는 에어분사부(220)에서 토출된 에어가 배관(810)으로 전진할 수 있도록 일 방향으로만 개방되어 에어의 이동을 허용하되 반대방향으로의 에어 이동은 차단하여 역류를 방지토록 한다.
타이머(340)는 에어펌프(200)의 가동, 정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타이머(340)는 다이얼 타입이거나 또는 원터치버튼 타입이고, 원터치버튼 타입인 경우 1회 누를때마다 설정된 시간이 증가 또는 감소되는 패턴을 반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에 의한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식 주택, 카라반, 모터홈 및 온수매트 중 하나(800)의 배관(810) 중 일단부를 본 발명의 커플링부(400)에 연결시키고, 배관(810)의 타단부(813)는 개방하여 드레인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후 스위치(320)를 온 작동시키고 에어펌프(200)를 온 작동시키면 고압(또는 저압)의 에어가 배관(810) 내에 유입되어 내부에 잔류하는 물이나 기름 등의 유체를 밀어내어 배출시키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타이머(340)를 온 작동시켜 원하는 시간을 설정하여 에어펌프(200)의 가동 및 정지가 작동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에어펌프(20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본체 120 : 지지대
140 : 방진구 200 : 에어펌프
220 : 에어분사부 400 : 커플링부
420 : 관체 430 : 오링
440 : 클램프 810 : 배관
800 : 이동식 주택, 카라반, 모터홈 및 온수매트 중 하나

Claims (4)

  1. 이동식 주택, 카라반, 모터홈 및 온수매트 중 하나의 배관에 탈착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고압 또는 저압의 에어를 발생하며 토출구가 형성된 에어펌프;
    상기 에어펌프의 토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배관에 결합되는 에어분사부;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에어펌프의 온-오프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와,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구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휴대가 가능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형성된 방진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서류가방 크기를 가지되, 휴대가 간편하도록 멜빵끈이 구비되며,
    상기 에어분사부는 상기 배관에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커플링부;가 포함되고,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에어분사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 개구부에 상기 배관의 단부가 밀착 결합되는 관체;
    상기 관체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기밀성을 제공하는 오링;
    상기 관체의 외주면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에는 상기 배관 내의 유체 또는 에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가 결합되며,
    상기 타이머는 원터치로 에어펌프의 가동, 정지 시간을 설정하되, 1회 터치시마다 설정된 시간만큼 증가 또는 감소되는 패턴을 반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내의 잔류 유체 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58005A 2019-05-17 2019-05-17 배관 내의 잔류 유체 제거장치 KR102249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005A KR102249927B1 (ko) 2019-05-17 2019-05-17 배관 내의 잔류 유체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005A KR102249927B1 (ko) 2019-05-17 2019-05-17 배관 내의 잔류 유체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452A KR20200132452A (ko) 2020-11-25
KR102249927B1 true KR102249927B1 (ko) 2021-05-10

Family

ID=73645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005A KR102249927B1 (ko) 2019-05-17 2019-05-17 배관 내의 잔류 유체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9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9846A (ja) * 2013-12-13 2017-04-06 マックール, ウィリアム ビー.MCCOOL, William B. パイプから流体を除去するツール
JP2019070353A (ja) * 2017-10-10 2019-05-09 Ckd株式会社 可搬型圧縮空気供給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9846A (ja) * 2013-12-13 2017-04-06 マックール, ウィリアム ビー.MCCOOL, William B. パイプから流体を除去するツール
JP2019070353A (ja) * 2017-10-10 2019-05-09 Ckd株式会社 可搬型圧縮空気供給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452A (ko)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30371A1 (en) Multi-outlet utility pump
CN209781946U (zh) 一种涨压式管的连接结构
JP2011005419A (ja) Y型ストレーナ及び圧力タンク
US10330238B2 (en) Pipeline pig launcher
KR102249927B1 (ko) 배관 내의 잔류 유체 제거장치
US200802774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fresh cooking oil
US69415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ring plugged pipes
US20120159700A1 (en) Drain clearing apparatus
US8857736B1 (en) Washing system and method
US3095001A (en) Flushing device
KR20170126605A (ko) 배관 청소 장치
US20190218765A1 (en) Pipeline dredger
US20110219526A1 (en) Plunger
US2461656A (en) Flushing device
US20210041138A1 (en) Drain line cleaning nozzle
US10850312B2 (en) Drain line cleaning device and kit
JP2016504535A (ja) 流体管路装置
CN209974292U (zh) 流体分配器
RU2187717C2 (ru) Струйный насос
KR200281561Y1 (ko) 스팀을 이용한 하수관용 개로장치
US4252150A (en) Pneumatic faucet attachment
CN217763067U (zh) 便于水管自流的引流装置
US11738377B2 (en) Hand-held drain cleaner with cartridge housing
US10648161B2 (en) Device for thawing frozen pipes
US8292263B1 (en) Manhole pipe shu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