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6605A - 배관 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청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6605A
KR20170126605A KR1020160056840A KR20160056840A KR20170126605A KR 20170126605 A KR20170126605 A KR 20170126605A KR 1020160056840 A KR1020160056840 A KR 1020160056840A KR 20160056840 A KR20160056840 A KR 20160056840A KR 20170126605 A KR20170126605 A KR 20170126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mpressed air
case
outlet pipe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호
Original Assignee
송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호 filed Critical 송기호
Priority to KR1020160056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6605A/ko
Publication of KR20170126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6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08B9/0328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by purging the pipe with a gas or a mixture of gas an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08B9/0325Control mechanis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 B08B2209/03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청소 장치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일측이 수도관에 연결되고, 타측이 케이스의 외부에 연결된 세척수 유입관; 일측이 세척수 유입관의 타측에 연결되고,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세척수 유출관; 일측이 컴프레셔에 연결되고, 타측이 케이스의 외부에 연결된 압축공기 유입관; 일측이 압축공기 유입관에 연결되고,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압축공기 유출관; ‘T’자 형상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세척수 유출관의 타측 및 압축공기 유출관의 타측에 연결된 분기관; 일측이 분기관에 연결되고, 세척수 유출관에서 유입된 물과 압축공기 유출관에서 유입된 공기가 혼합되어 고압의 유체를 토출하는 믹싱 유입관; 및 일측이 믹싱 유입관에 연결되고, 케이스의 외부에 연결된 믹싱 유출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 청소 장치{APPARATUS FOR CLEANING PIPE}
본 발명은 배관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관 내를 흐르는 유수가 폐쇄 배관을 지속적으로 순환하는 일반적인 가정의 보일러 난방시스템은, 보일러에 구비된 순환펌프로 펌핑된 난방용수가 온수 분배기를 거쳐 각 실 바닥에 지그재그로 매립된 난방배관을 순환 발열하여 난방이 이뤄진다.
이러한 난방배관은 온수 분배기에 구비된 공기배기장치를 제외하고 완전히 막힌 밀폐 구조로 이뤄지며, 밀폐 구조의 난방배관에 주입된 난방용수는 교체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재사용되면서 형성되는 스케일(Scale)이나 침전물 등에 의해 난방용수의 순환이 잘 이뤄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배관 내부에 흡착된 스케일과 침전물 등은 배관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키거나, 산화물이 달라붙어 배관 부식을 발생시키며, 열효율을 저하시켜 난방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난방 배관들이 연결되는 온수 분배기의 입수구에 수돗물을 직접 주입시키는 방법 또는 워터펌프를 입수구에 연결시켜 물을 주입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수돗물을 입수구에 직접 주입시키거나 워터펌프를 사용하여 입수구에 주입하는 청소방법은 난방 배관을 이동한 물이 출수구를 통해 그대로 배출되기 때문에 난방 배관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없고, 불필요한 물만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1285호(발명의 명칭: 난방배관청소장치)에서는, 하우징바닥면부, 하우징바닥면부와 협조하여 요형을 이루도록 하우징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하우징측면부를 갖는 하우징과; 양단이 하우징측면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세척수통과관과; 하우징의 내부에서 세척수통과관에 연결된 공기공급관과 배출구가 공기공급관에 연결된 공기압축기를 가지고, 공기공급관을 통해 세척수통과관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부와; 공기압축기로부터 단속적으로 압축공기가 배출되도록 공기압축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난방 배관 청소 장치는 공기압축기를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여, 진동에 의해 공기 압축기의 고장 발생율이 현저히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난방 배관 청소 장치는 공급관의 고장으로 인한 수리를 위해 배송할 경우, 공기압축기에 의해 하우징의 크기가 크고, 고중량인 장치를 배송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또한, 배송 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공기 압축기가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 배관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성 및 안정성이 향상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배관 청소 장치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일측이 수도관에 연결되고, 타측이 케이스의 외부에 연결된 세척수 유입관; 일측이 세척수 유입관의 타측에 연결되고,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세척수 유출관; 일측이 컴프레셔에 연결되고, 타측이 케이스의 외부에 연결된 압축공기 유입관; 일측이 압축공기 유입관에 연결되고,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압축공기 유출관; ‘T’자 형상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세척수 유출관의 타측 및 압축공기 유출관의 타측에 연결된 분기관; 일측이 분기관에 연결되고, 세척수 유출관에서 유입된 물과 압축공기 유출관에서 유입된 공기가 혼합되어 고압의 유체를 토출하는 믹싱 유입관; 및 일측이 믹싱 유입관에 연결되고, 케이스의 외부에 연결된 믹싱 유출관을 포함한다.된 배관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케이스 형태로 제작되어 쉽게 휴대할 수 있으며, 관이 주름관으로 형성되고, 케이스의 내부에 우레탄폼이 충진되어 있어 진동에 의해 관 및 관의 체결부위가 파손을 방지할 수 효과가 있다.
또한, 압축공기 유출관에 스윙 체크밸브 및 스프링 체크 밸브가 구비되어, 컴프레셔로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일측면에 컴프레셔에 부착될 수 있도록 부착부재가 위치하여, 휴대성 및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청소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청소 장치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은 배관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청소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청소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청소 장치(10)(이하, '배관 청소 장치(10)'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배관 청소 장치(10)는 세척수 유입관(210)을 통해 유입된 물을 컴프레셔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해 가압시킨 후, 믹싱 유출관(520)을 통해 고압의 유체를 배관으로 흘려보내 배관 내에 흡착된 스케일이나 슬러지 등의 찌꺼기를 씻어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술한 배관이란 보일러 배관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배관 청소 장치(10)는 케이스(100), 세척수 유입관(210), 세척수 유출관(220), 압축공기 유입관(310), 압축공기 유출관(320), 분기관(400), 믹싱 유입관(510), 및 믹싱 유출관(52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세척수 유출관(220), 압축공기 유출관(320), 분기관(400), 및 믹싱 유입관(510)이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는 손잡이(도면부호 미부여)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휴대할 수 있다.
세척수 유입관(210)은 일측이 수도관에 연결되고, 타측이 케이스(100)에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세척수 유입관(210)은 일측에 수도관이 연결되고, 수도관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세척수 유출관(22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세척수 유입관(210)과 수도관은 급수호스를 통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급수호스의 일단이 세척수 유입관(210)에 손쉽게 연결되도록 세척수 유입관(210)의 일측에는 둘레면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착탈식 어탭터가 연결될 수 있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세척수 유출관(220)은 일측이 세척수 유입관(210)의 타측에 연결되고, 케이스(100)의 내부에 위치한다. 또한, 세척수 유출관(220)은 제1 스윙 체크 밸브(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세척수 유출관(220)에는 세척수 유입관(210)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분기관(40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분기관(400)으로부터 공기가 세척수 유입관(21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제1 스윙 체크 밸브(221)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세척수 유출관(220)에 저가의 제1 스윙 체크 밸브(221)를 설치하여,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압축공기 유입관(310)은 일측이 컴프레셔에 연결되고, 타측이 케이스(100)에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압축공기 유입관(310)은 일측에 컴프레셔가 연결되어, 컴프레셔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압축공기 유출관(32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압축공기 유입관(310)은 컴프레셔의 호스에 연결될 수 있으며, 컴프레셔의 호스에 손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압축공기 유입관(310)의 일측에는 둘레면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착탈식 어탭터가 연결될 수 있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압축공기 유입관(310)은 컴프레셔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3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압축공기 유출관(320)에는 압력계(330)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압력계(330)를 통해 컴프레셔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압력조절밸브(312)를 통해 압축공기 유입관(310)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압축공기 유출관(320)을 통해 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압축공기 유출관(320)은 일측이 압축공기 유입관(310)에 연결되고, 케이스(100)의 내부에 위치한다. 또한, 압축공기 유출관(320)은 제2 스윙 체크 밸브(321) 및 스프링 체크 밸브(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압축공기 유출관(320)에는 압축공기 유입관(310)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분기관(40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분기관(400)으로부터 물이 컴프레셔로 유입되지 않도록 제2 스윙 체크 밸브(321) 및 스프링 체크 밸브(322)가 위치할 수 있다.
압축공기 유출관(320)에는 2개의 체크 밸브, 즉 제2 스윙 체크 밸브(321) 및 스프링 체크 밸브(322)가 구비되어, 컴프레셔로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월등히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스윙 체크 밸브란 밸브가 경첩식으로 부착되어 입구측으로 압력이 출구측보다 높을 때만 밸브가 밀어 올려져 유체가 유동하고, 출구측 압력이 높아지거나 압력이 동일한 경우 밸브 자체의 중량에 의해 자동적으로 닫혀지는 구조의 체크밸브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체크 밸브는 밸브가 스프링식으로 부착되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닫혀지는 구조이므로, 스윙 체크 밸브에 비해 개폐를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가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한편, 배관 청소 장치(10)는 상대적으로 저가인 스윙 체크 밸브(221, 321)를 세척수 유출관(220) 및 압축공기 유출관(320)에 각각 설치하여, 공기 또는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프링 체크 밸브(322)를 압축공기 유출관(320)에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컴프레셔로 물이 역류되는 것을 좀 더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분기관(400)은 ‘T’자 형상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세척수 유출관(220)의 타측 및 압축공기 유출관(320)의 타측에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분기관(400)은 일단과 타단에 각각 세척수 유출관(220)의 타측 및 압축공기 유출관(320)의 타측이 연결되고, 중앙부에 믹싱 유입관(510)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기관(400)의 내부에서 세척수 유출관(220)에서 유입된 물과 압축공기 유출관(320)에서 유입된 공기가 혼합되어, 고압의 유체가 믹싱 유입관(510)으로 유출될 수 있다.
믹싱 유입관(510)은 일측이 분기관(400)에 연결되고, 세척수 유입관(210)에서 유입된 물과 압축공기 유출관(320)에서 유입된 공기가 혼합된 고압의 유체가 유출된다.
믹싱 유출관(520)은 일측이 믹싱 유입관(510)에 연결되고, 케이스(100)의 외부에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믹싱 유출관(520)은 일측이 믹싱 유입관(510)에 연결되어, 믹싱 유입관(510)으로부터 유입된 고압의 유체를 배관으로 공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믹싱 유출관(520)과 배관은 세척호스를 통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세척호스의 일단이 믹싱 유출관(520)에 손쉽게 연결되도록 믹싱 유출관(520)의 타측에는 둘레면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착탈식 어탭터가 연결될 수 있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관 청소 장치(10)는 컴프레셔 및 물과 공기가 혼합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세척수 유출관(220), 압축공기 유출관(320), 및 믹싱 유입관(510)이 파손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 유출관(220), 압축공기 유출관(320), 및 믹싱 유입관(510)은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관 및 관의 체결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우레탐폼(미도시)이 충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동에 의해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한 관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뿐만 아니라, 관의 외주면에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배관 청소 장치(10)는 세척수 유입관(210)과 케이스(100) 사이에 위치한 제1 오링(211), 압축공기 유입관(310)과 케이스(100) 사이에 위치한 제2 오링(311), 및 믹싱 유출관(520)과 케이스(100) 사이에 위치한 제3 오링(5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수 유입관(210), 압축공기 유입관(310), 또는 믹싱 유출관(520)은 케이스(100)를 관통하여, 연결되기 때문에, 세척수 유입관(210), 압축공기 유입관(310), 또는 믹싱 유출관(520)의 진동에 의해 케이스(100)에 형성된 관통홀이 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세척수 유입관(210), 압축공기 유입관(310), 또는 믹싱 유출관(520)이 케이스(100)에 연결되는 부분에 오링(211, 311, 521)을 위치시켜 케이스(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내지 제3 오링(211, 311, 521)은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100)는 컴프레셔에 부착되도록 일측면에 위치하는 부착부재(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부착부재(110)는 벨크로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컴프레셔에는 암 벨크로가 부착되고, 케이스(100)에는 컴프레셔에 부착된 암 벨크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숫 벨크로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배관 청소 장치(10)를 사용할 경우, 케이스(100)를 컴프레셔에 부착하여 휴대성 및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배관 청소 장치
100 : 케이스 110 : 부착부재
210 : 세척수 유입관 211 : 제1 오링
220 : 세척수 유출관 221 : 제1 스윙 체크 밸브
310 : 압축공기 유입관 311 : 제2 오링
312 : 압력조절밸브
320 : 압축공기 유출관 321 : 제2 스윙 체크 밸브
322 : 스프링 체크 밸브
330 : 압력계
400 : 분기관
510 : 믹싱 유입관 520 : 믹싱 유출관
521 : 제3 오링

Claims (8)

  1. 배관 청소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일측이 수도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케이스에 연결된 세척수 유입관;
    일측이 상기 세척수 유입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세척수 유출관;
    일측이 컴프레셔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케이스에 연결된 압축공기 유입관;
    일측이 상기 압축공기 유입관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압축공기 유출관;
    'T'자 형상의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세척수 유출관의 타측 및 상기 압축공기 유출관의 타측에 연결된 분기관;
    일측이 상기 분기관에 연결되고, 상기 세척수 유출관에서 유입된 물과 상기 압축공기 유출관에서 유입된 공기가 혼합된 고압의 유체가 유출되는 믹싱 유입관; 및
    일측이 상기 믹싱 유입관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에 연결된 믹싱 유출관을 포함하는 배관 청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유출관에 연결되는 압력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배관 청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유입관은
    상기 컴프레셔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인 배관 청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유출관, 압축공기 유출관, 및 믹싱 유입관은 주름관으로 형성되는 것인 배관 청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유출관은 제1 스윙 체크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공기 유출관은 제2 스윙 체크 밸브 및 스프링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것인 배관 청소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유입관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 위치한 제1 오링;
    상기 압축공기 유입관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 위치한 제2 오링; 및
    상기 믹싱 유출관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 위치한 제3 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인 배관 청소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우레탄폼이 충진된 것인 배관 청소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컴프레셔에 부착되도록, 일측면에 위치하는 부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배관 청소 장치.

KR1020160056840A 2016-05-10 2016-05-10 배관 청소 장치 KR20170126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840A KR20170126605A (ko) 2016-05-10 2016-05-10 배관 청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840A KR20170126605A (ko) 2016-05-10 2016-05-10 배관 청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605A true KR20170126605A (ko) 2017-11-20

Family

ID=60809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840A KR20170126605A (ko) 2016-05-10 2016-05-10 배관 청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660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0394A (zh) * 2020-11-25 2021-03-30 哈尔滨汽轮机厂有限责任公司 一种重型燃气轮机燃烧室喷嘴清洗方法
KR102550426B1 (ko) 2022-12-27 2023-07-03 주식회사 서로서로 버블형 세척수를 이용한 수도배관 세정장치
KR102574388B1 (ko) 2023-03-14 2023-09-04 주식회사 삼영 배관 세척용 세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0394A (zh) * 2020-11-25 2021-03-30 哈尔滨汽轮机厂有限责任公司 一种重型燃气轮机燃烧室喷嘴清洗方法
KR102550426B1 (ko) 2022-12-27 2023-07-03 주식회사 서로서로 버블형 세척수를 이용한 수도배관 세정장치
KR102574388B1 (ko) 2023-03-14 2023-09-04 주식회사 삼영 배관 세척용 세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3898B1 (en) End-of-line water filter
KR20170126605A (ko) 배관 청소 장치
CN103925830A (zh) 空调热交换器自动清洗系统
KR101304848B1 (ko) 보일러의 난방배관 청소장치
JP2013139888A (ja) 貯湯式給湯機
CN105312272A (zh) 一种hcl合成炉视镜自动清洗装置
CN108661602B (zh) 热源井清洗系统及方法
KR101440879B1 (ko) 이동식 상수도관 세정 장치
KR200331889Y1 (ko) 배관세정장치
CN205496134U (zh) 清洗设备
KR100865415B1 (ko) 급수제어가 가능한 수도관 분기용 급수장치
CN208952465U (zh) 一种用于地源热泵的水力模块
CN109675856B (zh) 一种拖拉机液压系统清洗装置
JP2001164606A (ja) 給水装置の配管装置
CN209974292U (zh) 流体分配器
KR101525348B1 (ko) 관로 청소장치
CN203309185U (zh) 防堵易拆洗混水阀门
CN217108233U (zh) 一种高压节流阀
JP3178134U (ja) 電気温水器洗浄システム
KR200418526Y1 (ko) 수도미터기용 역지변용 앵글밸브의 설치구조
JP2016525976A5 (ko)
KR20200024615A (ko) 휴대용 난방배관 세척장치
WO2023123855A1 (zh) 分水结构、水箱结构以及清洁设备
CN217043676U (zh) 一种医疗清洗机
RU174131U1 (ru) Циркуляционная проточная установка очистки систем водяного отопления от отложений на внутренней поверхно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