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348B1 - 관로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관로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348B1
KR101525348B1 KR1020140028128A KR20140028128A KR101525348B1 KR 101525348 B1 KR101525348 B1 KR 101525348B1 KR 1020140028128 A KR1020140028128 A KR 1020140028128A KR 20140028128 A KR20140028128 A KR 20140028128A KR 101525348 B1 KR101525348 B1 KR 101525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shing water
solenoid valve
water supply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엽
김평원
Original Assignee
김진엽
김평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엽, 김평원 filed Critical 김진엽
Priority to KR1020140028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08B9/0326Using puls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B08B9/0325Control mechanis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 B08B2209/03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세척수가 압축공기와 함께 유입되면서 가압(加壓)된 상태로 공급되도록 하되, 압축공기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회전되면서 세척하고자 하는 난방배관이나 배수관로 내로 단속적(斷續的)으로 강력하게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난방을 위하여 설치되는 난방배관이나 변기의 배수관로의 내벽면에 부착되어 있는 점액상의 이물질(Slime)이나 물때 또는 녹을 짧은 시간내에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 및 설치가 간단하도록 하여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관로 청소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열고 닫을 수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휴대형의 가방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눕혔을 때 안쪽 바닥면과 접하는 양쪽 측면부의 마주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상의 바닥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양쪽 단부가 마주하는 측면부상의 관통공을 통하여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세척수 공급관과; 상기 세척수 공급관의 일측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의 분기부에는 세척수 유입관이 체크밸브(Check valve)를 매개로 끼워져 결합되고, 타측 분기부에는 공기압축기와 연결되는 압축공기 유입관이 체크밸브를 매개로 끼워져 결합되는 제1삼방(3-way) 연결구와; 상기 세척수 공급관의 타측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의 분기부에는 살균·세척약품이 주입되는 벤츄리노즐(Venturi nozzle)이 끼워져 결합되고, 타측 분기부에는 세척하고자 하는 관로에 연결되는 관로연결관이 끼워져 결합된 제2삼방 연결구와; 상기 세척수 공급관의 중간 부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삼방 연결구를 통과하면서 압축공기에 의하여 가압된 세척수가 단속적(斷續的)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Solenoid valve)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앞쪽에 해당되는 세척수 공급관상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작용에 의하여 단속적으로 공급되는 가압된 세척수가 회전되면서 강하게 분사되도록 하는 회전분사노즐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뒷쪽에 해당되는 세척수 공급관상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3삼방 연결구와; 상기 회전분사노즐의 앞쪽에 해당되는 세척수공급관상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4삼방 연결구와; 상기 제3삼방 연결구와 제4삼방 연결구의 분기부 사이에 끼워져 연결되며, 상기 제4삼방 연결구와 체크밸브를 매개로 결합되고, 개폐밸브에 의하여 개폐상태가 제어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압축공기 및 세척수가 세척수 공급관상의 솔레노이드밸브와 회전분사노즐을 우회하여 관로쪽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및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며,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동작이 일정 시간 간격마다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관로 청소장치{Cleaning device for pipeline}
본 발명은 관로(管路)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수가 압축공기와 함께 유입되면서 가압(加壓)된 상태로 공급되도록 하되, 압축공기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회전되면서 세척하고자 하는 급수 및 난방배관이나 배수관로 내로 단속적(斷續的)으로 강력하게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난방을 위하여 설치되는 난방배관이나 변기의 배수관로의 내벽면에 부착되어 있는 점액상의 이물질(Slime)이나 물때 또는 녹을 짧은 시간내에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 및 설치가 간단하도록 하여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관로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난방시스템은 보일러에 구비된 순환펌프에 의하여 펌핑된 난방용수가 온수분배기를 거쳐 실내공간의 바닥에 지그재그로 매립된 급수 및 난방배관을 통하여 순환되면서 발열하므로써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급수 및 난방시스템에서의 난방배관은 온수분배기에 구비된 공기빼기장치를 제외하고는 완전히 폐쇄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폐쇄된 난방배관에 주입되는 난방용수는 교체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재사용됨에 따라 난방배관의 내벽면에는 점액성의 이물질(Slime)이나 물때(스케일) 또는 녹이 형성되면서 난방용수의 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점액성의 이물질이나 물때 등은 보일러 내부를 순환하는 급수 및 난방용수와 함께 이동함으로써 보일러 고장의 원인이 되는 것은 물론, 장기간 사용시 난방배관의 내부에 부식이 발생하고 산화물이 달라붙어 관로가 손상됨으로써 열효율이 저하되어 난방비용을 증가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급수 및 난방배관을 주기적으로 청소하는 것이 필요한데, 종래의 급수 및 난방배관의 청소방법으로서, 급수 및 난방배관들이 연결되는 온수분배기의 입수구에 수돗물을 직접 주입시키거나 또는 워터펌프를 온수분배기의 입수구에 연결시켜 물을 주입시키는 방법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급수 및 난방배관 청소방법에서는 단순히 통상적인 수압의 세척수가 급수 및 난방배관을 통하여 순환한 후 출수구를 통해 그대로 배출되기 때문에 급수 및 난방배관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없고 물만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04848호(명칭: 보일러의 난방배관 청소장치)가 제안되었다.
상기의 특허등록 제10-1304848호의 선행기술은 '압력게이지에 의해 확인된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압력조절장치가 구비된 에어콤프레셔와; 상기 에어콤프레셔에서 발생한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제1관체와, 상기 제1관체 일측에 배관된 체크밸브와, 상기 체크밸브를 통한 압축공기를 기포수 탱크로 유입하는 제2관체와, 상기 제1관체와 상기 체크밸브 사이에 구비된 안전밸브로 이루어지는 에어공급라인과; 수도호스와 연결되는 입수관과, 상기 입수관 일측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수돗물을 단속(斷續)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수돗물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의 일측에 구비된 스프링 체크밸브와, 상기 스프링 체크밸브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기포수 탱크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인입관과, 상기 입수관과 필터 사이에 구비된 압력게이지로 이루어진 물공급라인과; 상기 에어공급라인과 물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된 수돗물과 압축공기가 혼합되며, 발생한 기포수가 배출되도록 상기 기포수 탱크의 하측에 구비된 제1출수관과, 상기 제1출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기포수 탱크에서 생성된 기포수를 난방배관에 공급할 수 있도록 호스가 연결·설치되는 제 2출수관과, 상기 제1, 2출수관 사이에 구비되는 압력게이지와, 상기 제2출수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기포수 탱크로 부터 공급되는 기포수의 배출을 단속하는 제2개폐밸브와, 상기 기포수 탱크의 중간부분에 구비되어 청관제를 보관하는 보관통과, 상기 보관통의 하부 일측에 연결된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기포수 탱크와 연결되는 청관제 유입배관을 갖춘 청관제 투입장치로 이루어져 상기 기포수 탱크에 각각 공급된 압축공기와 수돗물이 배출되며, 난방배관을 청소할 수 있도록 구비된 세정라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그 기술적 구성의 요지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에서는 난방배관의 내부로 가압된 상태의 기포수가 유입되도록 하여 난방배관을 청소하는 것이나, 전체의 구성이 매우 복잡한 것은 물론, 부피가 크기 때문에 휴대 및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세척수가 압축공기와 함께 유입되면서 가압(加壓)된 상태로 공급되도록 하되, 압축공기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회전되면서 세척하고자 하는 난방배관이나 배수관로 내로 단속적(斷續的)으로 강력하게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난방을 위하여 설치되는 급수 및 난방배관이나 변기의 배수관로의 내벽면에 부착되어 있는 점액상의 이물질(Slime)이나 물때 또는 녹을 짧은 시간내에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관로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로 청소시 피그(Pigs)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관로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할 수 있도록 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 및 작업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관로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고 닫을 수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휴대형의 가방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눕혔을 때 안쪽 바닥면과 접하는 양쪽 측면부의 마주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상의 바닥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양쪽 단부가 마주하는 측면부상의 관통공을 통하여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세척수 공급관과; 상기 세척수 공급관의 일측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의 분기부에는 세척수 유입관이 체크밸브(Check valve)를 매개로 끼워져 결합되고, 타측 분기부에는 공기압축기와 연결되는 압축공기 유입관이 체크밸브를 매개로 끼워져 결합되는 제1삼방(3-way) 연결구와; 상기 세척수 공급관의 타측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의 분기부에는 살균·세척약품이 주입되는 벤츄리노즐(Venturi nozzle)이 끼워져 결합되고, 타측 분기부에는 세척하고자 하는 관로에 연결되는 관로연결관이 끼워져 결합된 제2삼방 연결구와; 상기 세척수 공급관의 중간 부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삼방 연결구를 통과하면서 압축공기에 의하여 가압된 세척수가 단속적(斷續的)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Solenoid valve)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앞쪽에 해당되는 세척수 공급관상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작용에 의하여 단속적으로 공급되는 가압된 세척수가 회전되면서 강하게 분사되도록 하는 회전분사노즐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뒷쪽에 해당되는 세척수 공급관상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3삼방 연결구와; 상기 회전분사노즐의 앞쪽에 해당되는 세척수공급관상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4삼방 연결구와; 상기 제3삼방 연결구와 제4삼방 연결구의 분기부 사이에 끼워져 연결되며, 상기 제4삼방 연결구와 체크밸브를 매개로 결합되고, 개폐밸브에 의하여 개폐상태가 제어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압축공기 및 세척수가 세척수 공급관상의 솔레노이드밸브와 회전분사노즐을 우회하여 관로쪽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및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며,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동작이 일정 시간 간격마다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분사노즐은 내부가 비어 있고, 선단면의 중심에 분사공이 형성되는 한편, 앞부분의 외주면과 뒷부분의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노즐본체와; 앞부분과 뒷부분에 각각 상기 노즐본체의 뒷부분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세척수 공급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중간부분에는 공구파지부가 형성되는 한편, 앞부분과 뒷부분에는 몸체의 안쪽으로 서로 연통되는 세척수 통과공이 형성된 마개부와; 상기 노즐본체의 내부에 끼워지며, 뒷부분에는 상기 마개부상의 세척수 통과공을 통하여 유입되는 세척수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날개부가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세척수의 분사시 노즐본체상의 분사공을 통하여 반복적으로 출몰(出沒)되는 테이퍼부가 형성된 핀틀(Pintle)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에는 전원의 인가여부를 제어하는 전원스위치와;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Timer)와; 상기 타이머에 동작신호를 인가하는 타이머 작동스위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크밸브는 판체크밸브인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급수 및 난방배관이나 변기 배수관 같은 각종 관로의 청소작업시 세척수가 압축공기와 함께 유입되면서 가압(加壓)된 상태로 공급되도록 하되, 압축공기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회전분사노즐을 통하여 강한 압력으로 회전되면서 세척하고자 하는 관로내로 분사되기 때문에 관로의 내벽면에 부착되어 있는 점액성의 이물질(Slime)이나 물때 또는 녹이 짧은 시간내에 매우 효율적으로 제거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휴대형 가방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휴대 및 설치가 간단하여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청소장치의 하우징을 개방한 상태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청소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정소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확대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청소장치를 구성하는 회전분사노즐의 부품 분리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청소장치를 구성하는 회전분사노즐의 부품 분리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청소장치를 구성하는 회전 분사노즐의 결합상태 사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청소장치에 적용되는 판체크밸브의 내부를 보인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청소장치를 이용하여 변기의 배수관을 청소할 때 적용되는 도구의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청소장치(10)에서는 열고 닫을 수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휴대형의 가방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2)이 마련되는데, 상기 하우징(12)는 눕혔을 때 안쪽 바닥면(12a)과 접하는 양쪽 측면부(12b)의 마주하는 위치에 관통공(14)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12)상의 바닥면(12a)에는 세척수 공급관(16)이 놓여지며, 상기 세척수 공급관(16)의 양쪽 단부는 서로 마주하는 측면부(12b)상의 관통공(14)을 통하여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세척수 공급관(16)의 일측 단부에는 제1삼방(3-way) 연결구(18)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제1삼방 연결구(18)의 일측 분기부(18a)에는 세척수 유입관(20)이 체크밸브(Check valve:22)를 매개로 끼워져 결합되고, 타측 분기부(18b)에는 공기압축기(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는 압축공기 유입관(24)이 체크밸브(22)를 매개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세척수 공급관(16)의 타측 단부에는 제2삼방 연결구(26)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제2삼방 연결구(26)의 일측 분기부(26a)에는 세척약품이 주입되는 벤츄리노즐(Venturi nozzle:28)이 끼워져 결합되고, 타측 분기부(26b)에는 세척하고자 하는 관로(P)에 연결되는 관로연결관(30)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세척수 공급관(16)의 중간 부위에는 상기 제1삼방 연결구(18)를 통과하면서 압축공기에 의하여 가압된 세척수가 단속적(斷續的)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Solenoid valve:32)가 설치된다.
또,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2)의 앞쪽에 해당되는 세척수 공급관(16)상에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2)의 작용에 의하여 단속적으로 공급되는 가압된 세척수가 회전되면서 강하게 분사되도록 하는 회전분사노즐(34)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2)의 뒷쪽에 해당되는 세척수 공급관(16)상에는 별도의 제3삼방 연결구(36)가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회전분사노즐(34)의 앞쪽에 해당되는 세척수 공급관(16)상에는 별도의 제4삼방 연결구(38)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3삼방 연결구(36)와 제4삼방 연결구(38)의 분기부 사이에는 압축공기 및 세척수가 세척수 공급관(16)상의 솔레노이드밸브(32)와 회전분사노즐(34)을 우회하여 세척하고자 하는 관로(P)쪽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별도의 바이패스관(40)이 끼워져 연결되는데, 상기 바이패스관(40)은 상기 제4삼방 연결구(38)와 체크밸브(22)를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바이패스관(40)의 중간에는 압축공기와 세척수의 흐름상태를 제어하는 개폐밸브(42)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제어부(44)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어부(44)는 솔레노이드밸브(32) 및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며,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2)의 개폐동작이 일정 시간 간격마다 이루어지도록 제어하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분사노즐(34)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32)의 작용에 의하여 단속적으로 공급되는 가압된 세척수가 회전되면서 강하게 분사되도록 하는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관형(管形) 노즐본체(46)와, 상기 노즐본체(46)의 뒷부분에 끼워져 결합되는 마개부(48)와, 상기 노즐본체(46)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유입되는 세척수의 압력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세척수가 회전되도록 하는 핀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분사노즐(34)을 구성하는 노즐본체(46)는 내부가 비어 있고, 선단면의 중심에 분사공(46a)이 형성되는 한편, 앞부분의 외주면과 뒷부분의 내주면에는 각각 나사부(46b)(46c)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분사노즐(34)을 구성하는 마개부(48)는 그 앞부분과 뒷부분에 각각 상기 노즐본체(46)의 뒷부분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46c)와 세척수 공급관(16)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48a)(48b)가 형성되고, 중간부분에는 공구파지부(48c)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나사부(48a)(48b)를 벗어난 앞부분과 뒷부분에는 몸체의 안쪽으로 서로 연통되는 세척수 통과공(48d)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분사노즐(34)을 구성하는 핀틀(50)은 뒷부분에 상기 마개부(48)상의 세척수 통과공(48d)을 통하여 유입되는 세척수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날개부(50a)가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세척수의 분사시 노즐본체(46)상의 분사공(46a)을 통하여 반복적으로 출몰(出沒)되는 테이퍼부(50b)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44)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내로 전원의 인가여부를 제어하는 전원스위치(52) 및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2)의 작동 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Timer:54)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타이머(54)에 동작신호를 인가하는 타이머 작동스위치(56)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크밸브(22)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판체크밸브(22a)가 적용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청소장치(10)를 이용하여 관로(예로서, 난방배관:P)를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2)의 일측 측면부(12b)상의 관통공(14)을 통하여 돌출된 세척수 공급관(16)의 끝부분에 제1삼방 연결구(18)를 끼워 결합하고, 타측 측면부(12b)상의 관통공을 통하여 돌출된 세척수공급관(16)의 끝부분에는 제2삼방 연결구(26)를 끼워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삼방 연결구(18)의 일측 분기부(18a)에는 세척수 유입관(20)을 체크밸브(22)를 매개로 결합하고, 타측 분기부(18b)에는 압축공기 유입관(24)을 체크밸브(22)를 매개로 결합한 후 상기 세척수 유입관(20)에는 외부의 세척수 공급호스가 연결되도록 하고, 압축공기 유입관에는 외부의 공기압축기로부터 인출되는 압축공기 공급호스가 연결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삼방 연결구(26)상의 일측 분기부(26a)에는 살균·세척약품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벤츄리노즐(28)을 끼워 결합하고, 타측 분기부(26b)에는 관로연결관(30)을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관로연결관(30)에 세척하고자 하는 관로(P)를 끼워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하우징(12)에 설치되는 제어부(44)가 외부 전원과 접속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세척수 공급관(16)상에 설치된 바이패스관(40)의 개폐밸브(42)를 "닫힘" 상태로 위치시키고, 상기 제어부(44)에 연결된 전원스위치(52)를 "ON" 상태로 조작한 다음 상기 타이머(54)에 솔레노이드밸브(32)의 작동시간을 설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44)와 연결된 타이머 작동스위치(56)를 "ON"시키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2)가 타이머(54)에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개폐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세척수 유입관(20)을 통하여 유입된 후 압축공기 유입관(24)을 통하여 유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의 세척수가 솔레노이드밸브(32)의 반복적인 개폐동작에 의하여 단속적(斷續的)으로 회전분사노즐(34)쪽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회전분사노즐(34)쪽으로 단속적으로 공급되는 가압된 세척수는 상기 회전분사노즐(34)을 구성하는 노즐본체(46)의 뒷부분에 끼워져 결합된 마개부(48)상의 세척수 통과공(48d)를 통하여 노즐본체(46)의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노즐본체(46)의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는 핀틀(50)의 뒷부분에 형성된 날개부(50a)에 부딪혀 핀틀(50)이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핀틀(50)의 회전동작에 의하여 세척수 또한 노즐본체(46)의 내부에서 회전됨과 동시에 노즐본체(46)의 선단면에 형성된 분사공(46a)을 통하여 강력한 압력으로 분사된다.
이와 같이 회전분사노즐(34)을 통하여 강력한 압력으로 분사되는 세척수는 세척하고자 하는 관로(P)의 내벽면을 반복적으로 강하게 타격하게 됨에 따라 관로(P)의 내벽면에 부착된 점액성의 이물질이나 물때 또는 녹이 세척되는 것이다.
또, 상기의 관로 청소과정에서 피그(Pigs)를 사용하면, 피그가 관로(P)의 내부를 순환하면서 관로의 내벽면에 부착된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때문에 관로 청소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관로(P)에 대한 청소작업을 일정 시간 동안 수행한 다음, 상기 바이패스관(40)상의 개폐밸브(42)를 개방시키면, 압축공기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의 많은 양의 세척수가 바이패스관(40)을 통하여 관로(P)로 유입되어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세척작업이 일단락되면서 제거된 관로(P)내의 점액성 이물질이나 물때 또는 녹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한 솔레노이드밸브(32)에 의한 세척수의 단속적인 공급 및 회전분사노즐(34)에 의한 가압분사를 이용한 관로(P)의 청소작업과, 바이패스관(40)을 통하여 다량의 세척수를 공급함에 따른 관로(P)내 이물질의 배출작업은 관로(P)내의 상태가 원하는 정도로 깨끗해질 때 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관로의 청소작업은 난방배관에 국한되지 않는데, 예로서, 급수배관이나 화장실의 변기 배수관을 청소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기용 배수관 청소도구(속칭 뚫어뻥:58)의 손잡이(58a)의 내측에 관로가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2삼방 연결구(26)의 타측 분기부(26b)에 끼워져 결합된 관로연결관(30)에 끼워 결합하고, 회전분사노즐로(34)로부터 분사되는 강력한 압력의 세척수를 주입하면, 변기용 배수관을 막고 있는 이물질이 손쉽게 제거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솔레노이드밸브(32)를 통하여 세척수를 단속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회전분사노즐(34)을 통하여 세척수가 강한 압력으로 회전분사되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상기 벤츄리노즐(28)을 통하여 살균·세척약품이나 청관제를 주입하면, 관로(P)내 이물질이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게 된다.
12 : 하우징(Housing) 14 : 관통공
16 : 세척수 공급관 18 : 제1삼방(3-way) 연결구
20 : 세척수 유입관 22 : 체크밸브(Check valve)
24 : 압축공기 유입관 26 : 제2삼방 연결구
28 : 벤츄리노즐(Venturi nozzle)
30 : 관로연결관 32 : 솔레노이드밸브
34 : 회전분사노즐 36 : 제3삼방 연결구
38 : 제4삼방 연결구 40 : 바이패스관
42 : 개폐밸브 44 : 제어부
46 : 노즐본체 48 : 마개부
46a : 분사공 46b,46c,48a,48b : 나사부
48c : 공구파지부 48d : 세척수 통과공
50 : 핀틀(Pintle) 50a : 날개부
50b : 테이퍼부 52 : 전원스위치
54 : 타이머(Timer) 56 : 타이머 작동스위치
P : 관로.

Claims (4)

  1. 열고 닫을 수 있고, 내부가 비어 있는 휴대형의 가방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눕혔을 때 안쪽 바닥면(12a)과 접하는 양쪽 측면부(12b)의 마주하는 위치에 관통공(14)이 형성된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상의 바닥면(12a)에 놓여진 상태에서 양쪽 단부가 마주하는 측면부(12b)상의 관통공(14)을 통하여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세척수 공급관(16)과; 상기 세척수 공급관(16)의 일측 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의 분기부(18a)에는 세척수 유입관(20)이 체크밸브(Check valve:22)를 매개로 끼워져 결합되고, 타측 분기부(18b)에는 공기압축기와 연결되는 압축공기 유입관(24)이 체크밸브(22)를 매개로 끼워져 결합되는 제1삼방(3-way) 연결구(18)와; 상기 세척수 공급관(16)의 타측 단부에 원터치 접속구에 의하여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의 분기부(26a)에는 살균·세척약품이 주입되는 벤츄리노즐(Venturi nozzle:28)이 끼워져 결합되고, 타측 분기부(26b)에는 세척하고자 하는 관로(P)에 연결되는 관로연결관(30)이 끼워져 결합된 제2삼방 연결구(26)와; 상기 세척수 공급관(16)의 중간 부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삼방 연결구(18)를 통과하면서 압축공기에 의하여 가압된 세척수가 단속적(斷續的)으로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Solenoid valve:32)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2)의 앞쪽에 해당되는 세척수 공급관(16)상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2)의 작용에 의하여 단속적으로 공급되는 가압된 세척수가 회전되면서 강하게 분사되도록 하는 회전분사노즐(34)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2)의 뒷쪽에 해당되는 세척수 공급관(16)상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3삼방 연결구(36)와; 상기 회전분사노즐(34)의 앞쪽에 해당되는 세척수 공급관(16)상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4삼방 연결구(38)와; 상기 제3삼방 연결구(36)와 제4삼방 연결구(38)의 분기부 사이에 끼워져 연결되며, 상기 제4삼방 연결구(38)와는 체크밸브(22)를 매개로 결합되고, 개폐밸브(42)에 의하여 개폐상태가 제어되도록 설치되어 압축공기 및 세척수가 세척수 공급관(16)상의 솔레노이드밸브(32)와 회전분사노즐(34)을 우회하여 관로(P)쪽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바이패스관(40)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2) 및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며,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2)의 개폐동작이 일정 시간 간격마다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4)를 포함하는 관로 청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분사노즐(34)은 내부가 비어 있고, 선단면의 중심에 분사공(46a)이 형성되는 한편, 앞부분의 외주면과 뒷부분의 내주면에는 나사부(46b)(46c)가 형성된 노즐본체(46)와;
    앞부분과 뒷부분에 각각 상기 노즐본체(46)의 뒷부분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46c)와 세척수 공급관(16)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48a)(48b)가 형성되고, 중간부분에는 공구파지부(48c)가 형성되는 한편, 앞부분과 뒷부분에는 몸체의 안쪽으로 서로 연통되는 세척수 통과공(48d)이 형성된 마개부(48)와;
    상기 노즐본체(46)의 내부에 끼워지며, 뒷부분에는 상기 마개부(48)상의 세척수 통과공(48d)을 통하여 유입되는 세척수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날개부(50a)가 형성되고, 선단부에는 세척수의 분사시 노즐본체(46)상의 분사공(46a)을 통하여 반복적으로 출몰(出沒)되는 테이퍼부(50b)가 형성된 핀틀(Pintle: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청소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028128A 2014-03-11 2014-03-11 관로 청소장치 KR101525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128A KR101525348B1 (ko) 2014-03-11 2014-03-11 관로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128A KR101525348B1 (ko) 2014-03-11 2014-03-11 관로 청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5348B1 true KR101525348B1 (ko) 2015-06-04

Family

ID=53499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128A KR101525348B1 (ko) 2014-03-11 2014-03-11 관로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3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07769A (zh) * 2019-06-25 2022-02-01 维他宝石有限公司 用于饮用吸管的清洁装置
KR102597243B1 (ko) 2022-05-17 2023-11-03 나성건설산업 주식회사 관로 세척장치와 그 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705B1 (ko) * 1994-06-29 2002-02-19 박종석 급수관등의내부세정장치
KR200331889Y1 (ko) * 2003-07-22 2003-11-01 (주)아세테크 배관세정장치
JP2006015285A (ja) * 2004-07-02 2006-01-19 Ebara Kiko Kk 水道管洗浄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40001285U (ko) * 2012-08-24 2014-03-05 (주)노바스아이엔씨 난방배관청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705B1 (ko) * 1994-06-29 2002-02-19 박종석 급수관등의내부세정장치
KR200331889Y1 (ko) * 2003-07-22 2003-11-01 (주)아세테크 배관세정장치
JP2006015285A (ja) * 2004-07-02 2006-01-19 Ebara Kiko Kk 水道管洗浄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40001285U (ko) * 2012-08-24 2014-03-05 (주)노바스아이엔씨 난방배관청소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07769A (zh) * 2019-06-25 2022-02-01 维他宝石有限公司 用于饮用吸管的清洁装置
CN114007769B (zh) * 2019-06-25 2024-01-12 维他宝石有限公司 用于饮用吸管的清洁装置
US11883861B2 (en) 2019-06-25 2024-01-30 Vitajuwel Gmbh Cleaning device for a drinking straw
KR102597243B1 (ko) 2022-05-17 2023-11-03 나성건설산업 주식회사 관로 세척장치와 그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652801U (zh) 集消毒杀菌为一体的喷淋式注液双重清洗试管烘干装置
CN108442462A (zh) 一种具备自动清洗功能的储水箱
CN205849846U (zh) 一种软式内镜清洗消毒装置
KR101525348B1 (ko) 관로 청소장치
CN109440916B (zh) 一种污水管管口清淤装置
KR20120094586A (ko) 충격파에 의한 배관세척장치
JP2009254781A (ja) マルチ噴射ノズル付き内視鏡洗浄機
CN206661861U (zh) 一种用于清洗储水水箱的设备
KR101304848B1 (ko) 보일러의 난방배관 청소장치
JP2008540095A5 (ko)
KR101593205B1 (ko) 유리창 청소장치
KR20190129225A (ko) 수도 보일러 배관용 일체형 세척기
KR20170049303A (ko) 질소를 이용한 배관 세척 장치
US5996600A (en) Chemical jug rinser
JP2004313933A (ja) 霧洗浄器
JPH1161902A (ja) 水槽内洗浄装置
KR20170126605A (ko) 배관 청소 장치
JP2017013038A (ja) 空撃およびナノバブルによる洗浄装置
KR20180102274A (ko) 수도 보일러 배관용 일체형 세척기
KR101592880B1 (ko) 열교환기 화학세정 장치 및 그 방법
JP2015191972A5 (ko)
CN205170593U (zh) 一种水处理器
KR100841554B1 (ko) 샤워기
CN208632306U (zh) 一种废水循环利用的环保装置
KR101896514B1 (ko) 폐수처리수단이 구비된 동결방지용 차량소독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