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514B1 - 폐수처리수단이 구비된 동결방지용 차량소독시스템 - Google Patents

폐수처리수단이 구비된 동결방지용 차량소독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514B1
KR101896514B1 KR1020180010530A KR20180010530A KR101896514B1 KR 101896514 B1 KR101896514 B1 KR 101896514B1 KR 1020180010530 A KR1020180010530 A KR 1020180010530A KR 20180010530 A KR20180010530 A KR 20180010530A KR 101896514 B1 KR101896514 B1 KR 101896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stewater
disinfection
vehicle
wastewat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욱
Original Assignee
남기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욱 filed Critical 남기욱
Priority to KR1020180010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77Shelters for decont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Abstract

본 발명은 약품탱크의 사이에 열매체를 가열하는 히터가 구비된 동결방지탱크를 구비하여 혼합소독액이 빙결을 방지하고, 하나의 동결방지탱크로 두 개의 약품탱크를 동시에 관리하며, 소독 후 폐기된 폐수를 정화하여 외부로 방류하는 폐수처리수단을 구비하여 폐수를 수집한 후 정수하는 것으로 수질오염을 미연에 방지하고, 소독부스의 하부에 소독열선부를 매립하여 빙판으로 인한 차량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소독액과 물을 혼합하는 폭기부를 구비하여 혼합소독액의 농도를 균일하게 생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수처리수단이 구비된 동결방지용 차량소독시스템 { Vehicle disinfection system for freeze protection with wastewater treatment device }
본 발명은 폐수처리수단이 구비된 동결방지용 차량소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약품탱크에 충만된 혼합소독액이 빙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 쌍의 약품탱크 사이에 열매체를 가열하는 동결방지탱크가 구비되고, 소독 후 폐기된 폐수가 정화되도록 폐수처리수단이 구비되며, 소독부스의 하면에 난방온수가 순환되는 온수히팅부가 매립되고, 약품탱크에 압축공기를 통하여 유체를 혼합하는 폭기부가 구비된 폐수처리수단이 구비된 동결방지용 차량소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료공장과 육가공공장, 축사 및 가축의 전염병 오염지역을 출입하는 차량에 대하여는 구제역, 조류독감 등의 가축 질병이 타지역으로 전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살균소독이 시행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차량살균 소독장치로서 본 출원인이 출원 등록한 국내등록특허 제10-1065561호가 개시되었고,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소독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개요도이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살균 소독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료공장과 육가공공장, 축사 입구에 설치되며 차량이 통과하는 소독터널(1)의 양측에 소독 약품액을 분무하는 분사수단(2)이 복수 배설되어 이루어지고, 차량 진입을 감지하는 진입감지센서(3) 및 이의 신호를 받는 제어부(9)에 의하여 약품의 분사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분사수단(2)은 분사관(6)이 약품탱크(4)와 연결되는 호스(5)와 연결되고 분사헤드(7)에 복수의 노즐(8)이 다각도로 배열된다.
이렇듯, 종래의 차량살균 소독장치는 차량의 진입을 자동을 파악하여 소독 약품액을 차량으로 분사하는 것으로 관리자가 없어도 편리하게 차량을 소독할 수 있어 전염병의 확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살균 소독장치는 동절기 즉, 소독 약품액이 얼어버리는 날씨에서는 약품탱크(4)에 충만된 약품액이 얼어 분사되지 못하거나 분사관 또는 호스등에서도 빙결되어 차량살균 소독장치를 원활하게 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차량살균 소독장치는 동절기시 첫번째 차량이 소독터널(1)로 진입하여 소독샤워를 마친후 바닥에 남아있는 소독액이 얼어붙어 두번째 차량의 진입시 미끄러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차량살균 소독장치는 차량의 소독후 흘러내린 소독액이 무분별하게 하천으로 흘러들어 환경오염에 주범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약품탱크의 사이에 열매체를 가열하는 히터가 구비된 동결방지탱크를 구비하여 혼합소독액의 빙결을 방지하고, 하나의 동결방지탱크로 두 개의 약품탱크를 동시에 관리하며, 소독 후 폐기된 폐수를 정화하여 외부로 방류하는 폐수처리수단을 구비하여 폐수를 수집한 후 정수하는 것으로 수질오염을 미연에 방지하고, 소독부스의 하부에 소독열선부를 매립하여 빙판으로 인한 차량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소독액과 물을 혼합하는 폭기부를 구비하여 혼합소독액의 농도를 균일하게 생성시킬 수 있는 폐수처리수단이 구비된 동결방지용 차량소독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폐수처리수단이 구비된 동결방지용 차량소독시스템은 전염병 지역을 출입하는 차량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을 소독하는 차량소독시스템으로서 차량이 진출입되도록 입구와 출구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소독부스와; 상기 소독부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의 표면에 소독액과 물이 혼합된 혼합소독액을 분사하는 살수장치와; 상기 살수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혼합소독액이 이동되는 배관과; 상기 배관에 연결되며 상기 혼합소독액을 저장하거나 공급하는 박스형상의 동결방지약품공급부와; 상기 동결방지약품공급부에 연결되며 소독후 발생된 폐수를 정화하여 외부로 방류하는 폐수처리수단과; 상기 살수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혼합소독액이 분사되도록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콤프레셔부로 구성되고; 상기 동결방지약품공급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박스형상의 공급본체와, 상기 공급본체의 양측 내부에 상기 혼합소독액이 채워지는 약품탱크와, 상기 약품탱크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혼합소독액의 동결이 방지되도록 내부에 열매체가 충만된 동결방지탱크와, 상기 동결방지탱크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열매체를 가열하는 히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폐수처리수단은 상기 소독부스에서 흘러들어오는 폐수를 수집하는 탱크형상의 폐수수용부와, 상기 공급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폐수수용부의 폐수를 약품처리하여 배출하는 폐수처리부와, 상기 폐수수용부와 폐수처리부를 연결하는 폐수배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폐수처리부는 상기 폐수가 유입되는 수조형상의 폐수처리조와, 유입된 폐수가 화학처리되도록 약품을 공급하는 약품공급부와, 상기 폐수처리조의 일측면에 상기 약품으로 처리된 폐수를 저장하는 수조형상의 폐수배출조와, 상기 폐수처리조와 폐수배출조를 연결하는 이동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품탱크 내지 동결방지탱크의 상부에는 내부에 충만되는 소독액 또는 열매체 중 어느 하나의 수위가 확인되도록 개별적인 높이의 전극봉이 다수개가 결합된 전극봉레벨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독부스의 바닥면에는 상기 동결방지탱크에서 가열된 열매체가 흘러들어 상기 소독부스의 바닥이 난방되도록 상기 동결방지탱크에 연결된 배관형상의 소독열선부가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품탱크의 하부에는 상기 소독액과 물을 혼합하는 폭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폭기부는 상기 에어콤프레셔부와 연결된 배관형상의 폭기배관과, 상기 폭기배관에 연결되어 에어의 압력을 조절하는 에어레귤레이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것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수처리수단이 구비된 동결방지용 차량소독시스템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약품탱크의 사이에 열매체를 가열하는 히터가 구비된 동결방지탱크를 구비함으로써, 약품탱크에 충만되는 혼합소독액이 빙결되어 차량소독시스템에 오작동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둘째, 한 쌍의 약품탱크 사이에 하나의 동결방지탱크가 구비되는 것으로 두 개의 약품탱크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어 제작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셋째, 동결방지약품공급부의 일측면에 소독 후 폐기된 폐수를 정화하여 외부로 방류하는 폐수처리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살수장치를 통하여 분사된 폐수를 수집한 후 정수하여 수질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넷째, 탱크의 내부에 개별적인 높이의 전극봉이 다수개가 결합된 전극봉레벨센서가 구비됨으로써, 내부에 충만되는 유체의 수위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작업자가 상주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시스템을 구동시킬 수 있으며,
다섯째, 소독부스의 바닥면에 동결방지탱크에 연결된 배관형상의 소독열선부가 매립됨으로써, 소독부스의 바닥을 난방하여 빙판으로 인한 차량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여섯째, 약품탱크의 하부에 소독액과 물을 혼합하는 폭기부를 구비함으로써, 약품탱크에 충만된 소독액과 물을 폭기 즉, 압축공기의 유입을 통하여 혼합소독액의 농도를 균일하게 생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소독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소독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개요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소독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공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폐수처리수단을 나타내 보인 공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폐수처리수단이 구비된 동결방지용 차량소독시스템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염병 지역을 출입하는 차량(C)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C)을 소독하는 차량소독시스템으로서 차량이 진출입되도록 입구와 출구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소독부스(10)와; 상기 소독부스(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C)의 표면에 소독액(W1)과 물(W2)이 혼합된 혼합소독액(W)을 분사하는 살수장치(20)와; 상기 살수장치(20)에 연결되며 상기 혼합소독액(W)이 이동되는 배관(30)과; 상기 배관(30)에 연결되며 상기 혼합소독액(W)을 저장하거나 공급하는 박스형상의 동결방지약품공급부(40)와; 상기 동결방지약품공급부(40)에 연결되며 소독후 발생된 폐수(W3)를 정화하여 외부로 방류하는 폐수처리수단(50)과; 상기 살수장치(20)에 연결되며 상기 혼합소독액(W)이 분사되도록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콤프레셔부(6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동결방지약품공급부(4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박스형상의 공급본체(41)와, 상기 공급본체(41)의 양측 내부에 상기 혼합소독액(W)이 채워지는 약품탱크(42)와, 상기 약품탱크(42)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혼합소독액(W)의 동결이 방지되도록 내부에 열매체(F)가 충만된 동결방지탱크(43)와, 상기 동결방지탱크(43)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열매체(F)를 가열하는 히터(44)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약품탱크(42)의 일면에는 정량의 소독액(W1)을 공급하는 파이프형상의 소독액공급라인(47)이 형성되고, 상기 소독액공급라인(47)의 타단부에는 상기 소독액(W1)이 충만된 소독액탱크(48)가 구비되며, 상기 약품탱크(42)의 일면에는 상기 소독액(W1)과 혼합되어 상기 혼합소독액(W)을 생성시키는 물(W2)이 공급되는 물공급라인(49)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물공급라인(49)은 일반 상수도에 연결되고, 상기 소독액공급라인(47)과 물공급라인(49)에는 내부를 지나는 유체 즉, 소독액(W1) 또는 물(W2)의 이동량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미도시)가 설치되며, 상기 소독액공급라인(47)에는 상기 소독액(W1)을 정량을 펌핑하는 정량펌프(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차량부스(10)의 입구에서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는 진입감지센서(미도시)와, 상기 차량부스(10)의 출구에서 차량의 진출을 감지하는 진출감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으로 차량의 이동을 센싱하여 관리자의 부재시에도 자동을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량소독시스템에는 상기 에어콤프레셔부(60)와 각종 밸브 및 펌프, 상기 진출입감시센서 등 다양한 전기적 작동이 이루어진 곳에 연결되어 차량소독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콘트롤페널로 이루어진 제어부(S)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폐수처리수단(50)은 상기 소독부스(10)에서 흘러들어오는 폐수(W3)를 수집하는 탱크형상의 폐수수용부(51)와, 상기 공급본체(4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폐수수용부(51)의 폐수(W3)를 약품처리하여 배출하는 폐수처리부(52)와, 상기 폐수수용부(51)와 폐수처리부(52)를 연결하는 폐수배관(53)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폐수수용부(51)는 본 발명의 차량소독시스템에 설치된 구역의 땅 바닥에 매설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폐수배관(53) 또는 폐수수용부(51)에는 상기 폐수(W3)를 이동시키는 펌브 및 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폐수처리부(52)는 상기 폐수(W3)가 유입되는 수조형상의 폐수처리조(521)와, 유입된 폐수(W3)가 화학처리되도록 약품(W4)을 공급하는 약품공급부(522)와, 상기 폐수처리조(521)의 일측면에 상기 약품(W4)으로 처리된 폐수(W3)를 저장하는 수조형상의 폐수배출조(523)와, 상기 폐수처리조(521)와 폐수배출조(523)를 연결하는 이동관(524)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폐수처리조(521)에는 상기 폐수(W3)와 약품(W4)이 혼합되도록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폐수배출조(523)에는 상기 약품(W4)처리된 폐수(W3)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펌프(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약품탱크(42) 내지 동결방지탱크(43)의 상부에는 내부에 충만되는 소독액(W1) 또는 열매체(F) 중 어느 하나의 수위가 확인되도록 개별적인 높이의 전극봉이 다수개가 결합된 전극봉레벨센서(45)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전극봉레벨센서(45)는 상기 약품탱크(42) 내지 동결방지탱크(43)외 액상의 수위가 확인되어야 하는 구성품 즉, 폐수처리조(521) 및 폐수배출조(523)에도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독부스(10)의 바닥면에는 상기 동결방지탱크(43)에서 가열된 열매체(F)가 흘러들어 상기 소독부스(10)의 바닥이 난방되도록 상기 동결방지탱크(43)에 연결된 배관형상의 소독열선부(11)가 매립된다.
그리고, 상기 약품탱크(42)의 하부에는 상기 소독액(W1)과 물(W2)을 혼합하는 폭기부(46)가 구비되고; 상기 폭기부(46)는 상기 에어콤프레셔부(60)와 연결된 배관형상의 폭기배관(461)과, 상기 폭기배관(461)에 연결되어 에어(A)의 압력을 조절하는 에어레귤레이터(462)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폐수처리수단이 구비된 동결방지용 차량소독시스템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폐수처리수단이 구비된 동결방지용 차량소독시스템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염병 오염지역을 출입하는 차량(C)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C)을 소독하는 차량소독시스템이다.
즉, 차량이 진출입되도록 입구와 출구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소독부스(10)에 차량이 진입하면 내부에 구비된 살수장치(20)에서 혼합소독액(W)이 분사되고 그 혼합소독액(W)이 상기 차량의 외부면에 도포되며 차량의 이동 또는 전염병 발생지역에서 오염된 전염병균을 살균하게 된다.
이때, 상기 혼합소독액(W)은 상기 동결방지약품공급부(40)의 약품탱크(42)에서 생성되는데 상기 약품탱크(42)의 일면에 정량의 소독액(W1)을 공급하는 소액공급라인(47)과, 상기 소독액(W1)과 혼합되어 상기 혼합소독액(W)을 생성시키는 물(W2)이 공급되는 물공급라인(49)이 형성됨으로써, 정량의 소독액(W1)과 물(W2)을 정해진 비율로 혼합시키고 이를 배관(30)을 통하여 상기 살수장치(20)로 이동시켜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물공급라인(49)은 일반 상수도에 연결되고, 상기 소독액공급라인(47)과 물공급라인(49)에는 내부를 지나는 유체 즉, 소독액(W1) 또는 물(W2)의 이동량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미도시)가 설치되며, 상기 소독액공급라인(47)에는 상기 소독액(W1)을 정량을 펌핑하는 정량펌프(미도시)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소독액(W1) 또는 물(W2)의 비율을 정량으로 혼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동결방지약품공급부(40)는 상기 약품탱크(42)가 양측에 한 쌍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약품탱크(42)가 혼합소독액(W)을 공급하면 나머지 하나의 약품탱크(42)는 혼합소독액(W)을 생성하는 것으로 끊김없이 혼합소독액(W)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약품탱크(42)의 사이에 상기 혼합소독액(W)의 동결이 방지되도록 내부에 열매체(F)가 충만된 동결방지탱크(43)가 구비되고, 상기 동결방지탱크(43)의 상부에 상기 열매체(F)를 가열하는 히터(44)가 구비됨으로써, 동절기에 상기 약품탱크(42)에 충만되는 혼합소독액(W)이 빙결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약품탱크(42)의 사이에 하나의 동결방지탱크(43)가 구비되는 것으로 두 개의 약품탱크(42)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동결방지약품공급부(40)의 일측면에는 소독 후 폐기된 폐수(W3)를 정화하여 외부로 방류하는 폐수처리수단(5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살수장치(20)를 통하여 분사된 폐수(W3)를 수집한 후 약품을 첨가하여 화학작용으로 정수하여 방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폐수처리수단(50)은 상기 소독부스(10)에서 흘러들어오는 폐수(W3)를 수집하는 탱크형상의 폐수수용부(51)가 구비되어 소독부스(10)에서 사용되고 남은 폐수(W3)를 모을 수 있고, 상기 공급본체(4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폐수수용부(51)의 폐수(W3)를 약품처리하여 배출하는 폐수처리부(5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모아진 폐수(W3)를 유입받아 약품을 통하여 정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폐수처리부(5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폐수(W3)가 유입되는 수조형상의 폐수처리조(521)에 약품(W4)을 공급하는 약품공급부(522)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폐수처리조(521)에 유입된 폐수(W3)를 약품(W4)을 공급한 후 화학처리하여 상기 폐수배출조(523)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폐수배출조(523)에 이동된 화학처리된 폐수(W3)를 외부로 방출하여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약품탱크(42) 내지 동결방지탱크(43)의 상부에는 개별적인 높이의 전극봉이 다수개가 결합된 전극봉레벨센서(45)가 구비됨으로써, 내부에 충만되는 소독액(W1) 또는 열매체(F) 중 어느 하나의 수위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작업자가 상주하지 않아도 시스템을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독부스(10)의 바닥면에는 상기 동결방지탱크(43)에 연결된 배관형상의 소독열선부(11)가 매립됨으로써, 상기 동결방지탱크(43)에서 가열된 열매체(F)가 흘러들어 상기 소독부스(10)의 바닥이 난방되어 진입하는 차량이 미끄러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약품탱크(42)의 하부에는 상기 소독액(W1)과 물(W2)을 혼합하는 폭기부(46)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약품탱크(42)에 유입되는 소독액(W1)과 물(W2)을 상기 폭기부(46)를 통하여 혼합하여 상기 혼합소독액(W)의 농도를 균일하게 생성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C : 차량 W : 혼합소독액
W1 : 소독액 W2 : 물
W3 : 폐수 W4 : 약품
F : 열매체 10 : 소독부스
11 : 소독열선부 20 : 살수장치
30 : 배관 40 : 동결방지약품공급부
41 : 공급본체 42 : 약품탱크
43 : 동결방지탱크 44 : 히터
45 : 전극봉레벨센서 46 : 폭기부
461 : 폭기배관 462 : 에어레귤레이터
47 : 소독액공급라인 48 : 소독액탱크
49 : 물공급라인 50 : 폐수처리수단
51 : 폐수수용부 52 : 폐수처리부
521 : 폐수처리조 522 : 약품공급부
523 : 폐수배출조 524 : 이동관
53 : 폐수배관 60 : 에어콤프레셔부

Claims (6)

  1. 전염병 지역을 출입하는 차량(C)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C)을 소독하는 차량소독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이 진출입되도록 입구와 출구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소독부스(10)와;
    상기 소독부스(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차량(C)의 표면에 소독액(W1)과 물(W2)이 혼합된 혼합소독액(W)을 분사하는 살수장치(20)와;
    상기 살수장치(20)에 연결되며 상기 혼합소독액(W)이 이동되는 배관(30)과;
    상기 배관(30)에 연결되며 상기 혼합소독액(W)을 저장하거나 공급하는 박스형상의 동결방지약품공급부(40)와;
    상기 동결방지약품공급부(40)에 연결되며 소독후 발생된 폐수(W3)를 정화하여 외부로 방류하는 폐수처리수단(50)과;
    상기 살수장치(20)에 연결되며 상기 혼합소독액(W)이 분사되도록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콤프레셔부(60)로 구성되고;
    상기 동결방지약품공급부(4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박스형상의 공급본체(41)와, 상기 공급본체(41)의 양측 내부에 상기 혼합소독액(W)이 채워지는 약품탱크(42)와, 상기 약품탱크(42)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혼합소독액(W)의 동결이 방지되도록 내부에 열매체(F)가 충만된 동결방지탱크(43)와, 상기 동결방지탱크(43)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열매체(F)를 가열하는 히터(44)로 이루어지고;
    상기 폐수처리수단(50)은 상기 소독부스(10)에서 흘러들어오는 폐수(W3)를 수집하는 탱크형상의 폐수수용부(51)와, 상기 공급본체(41)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폐수수용부(51)의 폐수(W3)를 약품처리하여 배출하는 폐수처리부(52)와, 상기 폐수수용부(51)와 폐수처리부(52)를 연결하는 폐수배관(5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폐수처리부(52)는 상기 폐수(W3)가 유입되는 수조형상의 폐수처리조(521)와, 유입된 폐수(W3)가 화학처리되도록 약품(W4)을 공급하는 약품공급부(522)와, 상기 폐수처리조(521)의 일측면에 상기 약품(W4)으로 처리된 폐수(W3)를 저장하는 수조형상의 폐수배출조(523)와, 상기 폐수처리조(521)와 폐수배출조(523)를 연결하는 이동관(52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약품탱크(42) 내지 동결방지탱크(43)의 상부에는 내부에 충만되는 소독액(W1) 또는 열매체(F) 중 어느 하나의 수위가 확인되도록 개별적인 높이의 전극봉이 다수개가 결합된 전극봉레벨센서(45)가 구비되고;
    상기 소독부스(10)의 바닥면에는 상기 동결방지탱크(43)에서 가열된 열매체(F)가 흘러들어 상기 소독부스(10)의 바닥이 난방되도록 상기 동결방지탱크(43)에 연결된 배관형상의 소독열선부(11)가 매립되며;
    상기 약품탱크(42)의 하부에는 상기 소독액(W1)과 물(W2)을 혼합하는 폭기부(46)가 구비되고;
    상기 폭기부(46)는 상기 에어콤프레셔부(60)와 연결된 배관형상의 폭기배관(461)과, 상기 폭기배관(461)에 연결되어 에어(A)의 압력을 조절하는 에어레귤레이터(46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수단이 구비된 동결방지용 차량소독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10530A 2018-01-29 2018-01-29 폐수처리수단이 구비된 동결방지용 차량소독시스템 KR101896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530A KR101896514B1 (ko) 2018-01-29 2018-01-29 폐수처리수단이 구비된 동결방지용 차량소독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530A KR101896514B1 (ko) 2018-01-29 2018-01-29 폐수처리수단이 구비된 동결방지용 차량소독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514B1 true KR101896514B1 (ko) 2018-09-07

Family

ID=63594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530A KR101896514B1 (ko) 2018-01-29 2018-01-29 폐수처리수단이 구비된 동결방지용 차량소독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5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00315A (zh) * 2021-03-30 2021-06-04 周鹏 一种轨道交通售检票队列隔离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538Y1 (ko) * 2004-12-30 2005-03-18 여옥규 약품투입용 교반장치
KR200412937Y1 (ko) * 2006-01-20 2006-04-05 이원섭 차량용 방역 방제 장치
KR101062822B1 (ko) * 2009-05-13 2011-09-07 박인수 세차기 폐수 자동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65561B1 (ko) * 2011-02-11 2011-09-19 남기욱 차량소독 결빙방지시스템
JP3178514U (ja) * 2012-06-29 2012-09-20 タナ鐵工株式会社 車両の消毒装置
KR101202696B1 (ko) * 2011-05-26 2012-11-28 박인대 무인 차량 방역 및 소독, 방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538Y1 (ko) * 2004-12-30 2005-03-18 여옥규 약품투입용 교반장치
KR200412937Y1 (ko) * 2006-01-20 2006-04-05 이원섭 차량용 방역 방제 장치
KR101062822B1 (ko) * 2009-05-13 2011-09-07 박인수 세차기 폐수 자동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65561B1 (ko) * 2011-02-11 2011-09-19 남기욱 차량소독 결빙방지시스템
KR101202696B1 (ko) * 2011-05-26 2012-11-28 박인대 무인 차량 방역 및 소독, 방제장치
JP3178514U (ja) * 2012-06-29 2012-09-20 タナ鐵工株式会社 車両の消毒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00315A (zh) * 2021-03-30 2021-06-04 周鹏 一种轨道交通售检票队列隔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4800B2 (ja) 車両消毒装置
US20190009285A1 (en) An Agricultural Sprayer and Associated Method
KR101951285B1 (ko) 거점식 차량 살균 소독 시설
KR101400142B1 (ko) 축사용 소독장치
KR101202696B1 (ko) 무인 차량 방역 및 소독, 방제장치
JP2012050734A (ja) 車両消毒装置
KR101896514B1 (ko) 폐수처리수단이 구비된 동결방지용 차량소독시스템
JP4847409B2 (ja) 畜舎消毒システム
KR200464232Y1 (ko) 다목적 방역 장치
JP5791292B2 (ja) 車両消毒装置
CN1253254C (zh) 冲洗、干燥和消毒工业设备的装置和方法
KR102196357B1 (ko) 축사용 차량의 소독장치
KR200471542Y1 (ko) 오존수를 이용한 배관 청소장치
JP5791694B2 (ja) 車両消毒装置
KR101065561B1 (ko) 차량소독 결빙방지시스템
KR200454922Y1 (ko) 차량 소독장치
KR20160023190A (ko) 차량용 살균,소독 장치
JP2019123296A (ja) タイヤ消毒装置及びタイヤ消毒方法
KR102053639B1 (ko) Ict 융복합 스마트 축사관리 제어방법
KR101105721B1 (ko) 산불진화 및 방역차량의 동파방지장치
KR101976418B1 (ko) 트레일러 장착용 모듈식 스케일 및 유해화학물질 제거 장치
CN216331958U (zh) 畜禽场进场车辆两段式模块化自动洗消装置
KR101165191B1 (ko) 소독액 무화 분사장치의 분사구
KR20160028241A (ko) 목욕탕용 순환배관 슬러지 제거방법
CN105084625B (zh) 用于液体消毒的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