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8688A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8688A
KR20150108688A KR1020140031813A KR20140031813A KR20150108688A KR 20150108688 A KR20150108688 A KR 20150108688A KR 1020140031813 A KR1020140031813 A KR 1020140031813A KR 20140031813 A KR20140031813 A KR 20140031813A KR 20150108688 A KR20150108688 A KR 20150108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dissipation
outdoor unit
heat sink
dissip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9027B1 (ko
Inventor
김각중
정재화
송치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1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027B1/ko
Priority to EP14194056.9A priority patent/EP2921795B1/en
Priority to US14/661,038 priority patent/US9861008B2/en
Priority to CN201510118274.5A priority patent/CN104930603B/zh
Publication of KR20150108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4Cooling of electric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24F1/58Separate protective covers for outdoor units, e.g. solar guards, snow shields or camoufla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18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72Accessories for moving fluid, for expanding fluid, for connecting fluid conduits, for distributing fluid, for removing gas or for preventing leakage, e.g. pumps, tanks or manif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실외기 바디와; 발열소자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고 실외기 바디에 장착되는 전장박스와; 냉매가 통과하고 발열소자와 접촉되는 방열모듈과; 실외기 바디에 장착되고 방열모듈이 고정되어 지지되는 방열모듈 서포터를 포함하여, 전장박스의 분리시 방열모듈의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고 방열모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기{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발열소자가 냉매에 의해 냉각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쾌적한 조건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흡입공기를 처리하여 건물 또는 방에 공급하는 장치로서, 크게 일체형(window type)과 분리형(seperate type 또는 split type)이 있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열교환기을 포함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실외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외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실외공기를 실외열교환기로 송풍하는 실외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압축기나 실외 송풍기 등의 각종 부품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은 전장박스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실외공기를 전장박스 내부를 유입시켜 전장박스 내부를 방열시킬 수 있고, 전장박스 내부의 각종 전기부품은 과열되지 않고 정상 작동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장박스 내부를 공랭식으로 냉각시키는 경우, 실외공기의 온도변화에 따라 효율적인 온도 관리가 용이하지 않다.
KR 10-1324935 B1(2013.11.01)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장박스 열교환기가 전장박스 내에 구비되어 전장박스 내 설치된 전자부품의 서비스시 전장박스 열교환기를 전장박스와 함께 실외기에서 분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실외기 바디와; 발열소자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실외기 바디에 장착되는 전장박스와; 냉매가 통과하고 상기 발열소자와 접촉되는 방열모듈과; 상기 실외기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방열모듈이 고정되어 지지되는 방열모듈 서포터를 포함한다.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장박스를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는 상기 전장박스를 마주보는 면에 상기 방열모듈이 고정되는 방열모듈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는 상기 전장박스의 후방에 위치되게 상기 실외기 바디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모듈은 상기 발열소자와 방열모듈 서포터 사이에 위치되는 방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판은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 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상기 전장박스는 상기 방열판이 관통되게 위치되고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 보다 크기가 작은 방열판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는 상기 방열판 관통공을 가릴 수 있다.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는 상기 발열소자와 이격되고 상기 방열판이 설치되는 방열판 설치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소자와 방열판 설치판은 상기 방열모듈의 두께와 같은 간격을 갖을 수 있다.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는 상기 방열판 설치판에 형성되어 상기 실외기 바디와 체결되는 실외기 바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모듈은 상기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매튜브는 상기 방열판에 접촉되는 방열판 접촉부와, 상기 방열판과 비접촉되는 방열판 비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판 비접촉부는 상기 전장박스와 방열모듈 서포터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판은 상기 방열판 접촉부가 수용되는 냉매튜브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매튜브 수용부는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를 마주볼 수 있다.
상기 방열판 접촉부는 상기 방열판과 방열모듈 서포터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판에는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는 상기 홈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가 서로 마주보게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홈부는 상기 방열판 중 상기 돌출부와 마주보는 면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는 서로 마주보게 이격된 복수개의 탄성 홀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판은 상기 복수개의 탄성 홀더부 사이로 진입되어 상기 복수개의 탄성 홀더부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 바디에 설치되고 실외공기를 유동시키는 실외 송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장박스와 실외 송풍기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실외기 바디와; 발열소자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발열소자 또는 인쇄회로기판과 접촉되고 냉매가 통과하는 방열모듈과; 상기 실외기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방열모듈이 고정되어 지지되는 방열모듈 고정부가 형성된 방열모듈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모듈은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튜브와; 상기 냉매튜브와 접촉되고 상기 발열소자와 방열모듈 서포터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방열모듈 고정부에 고정되는 방열판을 포함한다.
상기 냉매튜브는 상기 방열판에 접촉되는 방열판 접촉부와, 상기 방열판과 비접촉되는 방열판 비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방열판은 상기 방열판 접촉부가 수용되는 냉매튜브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매튜브 수용부는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를 마주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실외기 바디와; 상기 실외기 바디의 상부에 설치된 실외 송풍기와; 발열소자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실외기 바디에 장착되는 전장박스와; 냉매가 통과하고 상기 발열소자 또는 인쇄회로기판과 접촉되는 방열모듈과; 상기 전장박스와 실외 송풍기의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게 상기 실외기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방열모듈이 고정되는 방열모듈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모듈은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튜브와; 상기 냉매튜브와 접촉되고 상기 발열소자와 방열모듈 서포터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에 고정되는 방열판을 포함한다.
상기 냉매튜브는 상기 방열판에 접촉되고 상기 방열판과 방열모듈 서포터 사이에 위치되 방열판 접촉부와, 상기 방열판과 비접촉되고 상기 전장박스와 방열모듈 서포터 사이에 위치되는 방열판 비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판은 상기 방열판 접촉부가 수용되는 냉매튜브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매튜브 수용부는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를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전장박스는 상기 방열판이 관통되게 위치되고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 보다 크기가 작은 방열판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는 상기 방열판 관통공을 가릴 수 있다.
본 발명은 방열모듈을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장박스의 분리나 장착시 방열모듈의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고 방열모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발열소자와 방열모듈의 조립 위치를 조정할 필요 없이 전장박스를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방열판이 방열모듈 서포터와 발열소자에 의해 보호될 수 있어 방열판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방열모듈 서포터가 전장박스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방열모듈 서포터가 방열판과 냉매튜브의 사이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방열판을 복수개 탄성 홀더부의 탄성에 의해 정위치로 고정시킬 수 있고, 방열판의 설치 작업이 손쉬운 이점이 있다.
또한, 방열모듈 서포터가 실외 송풍기와 전장박스에 의해 보호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의 전장박스가 방열모듈과 분리되었을 때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의 주요부 횡단면도,
도 5는 도 5에서 전장박스를 분리하였을 때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 일실시예의 방열모듈과 방열모듈 서포터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 일실시예의 주요부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 일실시예의 방열판이 방열모듈 서포터에 지지되고 발열소자와 접촉되었을 때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의 전장박스가 방열모듈과 분리되었을 때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실외기 바디(2)와, 압축기(4)와, 실외열교환기(6)와, 실외 송풍기(8)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액관 및 기관으로 연결될 수 있고, 냉매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구비된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실내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 중 적어도 하나에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를 포함할 수 있고, 팽창기구는 전자팽창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바디(2)는 실외공기가 실외기 바디(2)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흡입구(I)가 형성될 수 있다. 실외기 바디(2)는 실외열교환기(6)와 열교환된 공기가 실외기 바디(2)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토출구(O)가 형성될 수 있다. 실외기 바디(2)는 실외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실외기 바디(2)는 베이스(11)와, 베이스(11)에 설치된 캐비닛 바디(12)(13)(14)와, 캐비닛 바디(12)(13)(14)에 설치된 탑 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바디(2)는 실외기 내부를 개폐하는 실외기 커버(16)(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바디(2)는 프레임(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 바디(12)(13)(14)에는 공기흡입구(I)가 형성될 수 있고, 캐비닛 바디(12)(13)(14)는 실외공기가 실외기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흡입바디가 될 수 있다. 실외기 바디(2)는 공기흡입구(I)가 복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 바디(12)(13)(14)는 복수개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캐비닛 바디(12)(13)(14)는 좌측 실외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좌측 바디(12)와, 리어 실외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리어 바디(13)와, 우측 실외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우측 바디(14)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바디(13)는 좌측 바디(12)와 우측 바디(14)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캐비닛 바디(12)(13)(14)는 열교환기(6)를 마주보는 부분에 공기흡입구(I)가 형성된 흡입그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 바디(12)(13)(14)는 실외 송풍기(8)를 마주보는 부분이 판부로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15)에는 공기토출구(O)가 형성될 수 있고, 탑 커버(15)는 실외공기가 실외기 외부로 토출되기 위해 통과하는 토출바디가 될 수 있다. 탑 커버(15)는 캐비닛(12)(13)(14)의 상부에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 탑 커버(15)는 실외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탑 커버(15)에는 실외 송풍기(8)가 설치될 수 있다.
실외기 커버(16)(17)는 베이스(11)와 캐비닛 바디(12)(13)(14)와 프레임(18) 중 적어도 하나와 체결될 수 있고, 실외기 커버(16)(17)는 실외기의 서비스시 작업자가 분리,장착할 수 있다. 실외기 커버(16)(17)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실외기 커버(16)(17)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실외기 커버(16)(17)는 단수개 또는 복수개가 좌측 바디(12)와, 우측 바디(14)의 사이를 차폐하게 설치될 수 있다. 실외기 커버(16)(17)는 실외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실외기 커버(16)(17)는 적어도 하나가 후술하는 전장박스(40)의 전방을 가리게 배치될 수 있다. 실외기 커버(16)(17)는 적어도 어느 하나(16)가 전장박스(40)의 전방을 가리는 서비스 커버(16)일 수 있다. 작업자는 전장박스(40)의 서비스시 서비스 커버(16)를 분리한 후 전장박스(40)를 실외기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서비스 커버(16)가 분리된 상태에서 좌측 바디(12)와 우측 바디(14) 사이를 통해 실외기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프레임(18)은 실외기 바디(2)를 지지할 수 있고, 실외기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가 장착될 수 있다. 프레임(18)은 실외기에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8)은 실외기에 수평하게 배치된 수평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8)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실외 송풍기(8)의 하부와 실외기 커버(16)(17)의 배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프레임(18)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좌우 프레임(18A)을 포함할 수 있다. 좌우 프레임(18A)은 좌측 바디(12)와 우측 바디(1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좌우 프레임(18A)은 리어 바디(13)와 실외기 커버(16)(17) 사이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18)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전후 프레임(18B)을 포함할 수 있다. 전후 프레임(18B)는 좌우 프레임(18A)에 연결될 수 있다. 전후 프레임(18B)는 복수개의 좌우 프레임을 연결할 수 있다. 전후 프레임(18B)은 복수개의 좌우 프레임(18A) 사이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4)는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냉방전용 공기조화기일 수 있고 이 경우, 압축기(4)에서 압축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6)와 팽창기구와 실내열교환기(미도시)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압축기(4)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히트 펌프형 공기조화기일 수 있고, 이 경우 압축기(4)에서 압축된 냉매는 냉방운전시 실외열교환기(6)와 팽창기구(미도시)와 실내열교환기(미도시)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압축기(4)로 유입될 수 있고, 난방운전시 실내열교환기와 팽창기구(미도시)와 실외열교환기(6)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압축기(4)로 유입될 수 있다. 압축기(4)는 실외기 바디(2)에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4)는 실외기 바디(2) 중 베이스(11)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4)는 실외기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4)는 실외기 커버(16)(17)를 분리하였을 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압축기(4)는 실외기 커버(16)(17) 중 더 하측에 위치하는 실외기 커버(17)를 분리하였을 때, 좌측 바디(12)와 우측 바디(14)의 사이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압축기(4)는 복수개가 실외기 바디(2)에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4)는 적어도 하나가 운전 주파수 가변에 의해 속도가 가변되는 용량가변 압축기일 수 있고, 인버터 압축기일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6)는 실외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킬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6)는 실외기 바디(2)에 설치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6)는 실외기 바디(2) 중 베이스(11)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6)는 적어도 1회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6)는 캐비닛 바디(12)(13)(1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는 좌측 바디(12)를 마주보는 좌측 열교환부와 우측 바디(14)를 마주보는 우측 열교환부가 리어 바디(13)를 마주보는 리어 열교환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6)는 복수개가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실외열교환기(6)는 좌측 바디(12)를 마주보는 좌측 열교환부와 리어 바디(13)를 마주보는 리어 열교환부가 절곡된 제1열교환기와, 우측 바디(14)를 마주보는 우측 열교환부와 리어 바디(13)를 마주보는 리어 열교환부가 절곡된 제2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외 송풍기(8)는 실외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실외 송풍기(8)는 실외기 바디(2)에 설치될 수 있고, 실외공기를 실외열교환기(6)로 유동시킨 후 실외기의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실외 송풍기(8)는 실외기 바디(2)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실외 송풍기(8)는 실외기 바디(2) 중 탑 커버(15)에 설치될 수 있다. 실외 송풍기(8)는 그 하부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측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실외 송풍기(8)는 실외공기의 토출을 안내하는 쉬라우드(8A)와, 모터(8C)와, 모터(8C)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블로워(8D)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 송풍기(8)는 모터(8C)가 프레임(18)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고, 별도의 모터 마운터(8B)를 통해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모터(8C)는 모터 마운터(8B)에 설치될 수 있고, 모터 마운터(8B)는 쉬라우드(8A)와, 탑 커버(15)와, 프레임(18) 중 적어도 하나와 체결될 수 있다. 쉬라우드(8A)는 탑 커버(15)와 프레임(18) 중 적어도 하나와 체결되어 장착될 수 있다. 실외 송풍기(8)는 실외기 바디(2)에 복수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실외 송풍기(8)는 일부가 탑 커버(15)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토출그릴(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그릴(19)은 실외 송풍기(8) 또는 탑 커버(15)에 설치되어 실외 송풍기(8)를 보호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C)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C)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단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컨트롤러(C)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설치되어 압축기(4)나 실외 송풍기(8) 등의 각종 전기부품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C)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통신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설치된 실내 송풍기(미도시) 등의 각종 전기부품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C)는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부품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장부품을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전장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소자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기소자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발열되는 발열소자(28)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발열소자(28)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30)과; 인쇄회로기판(30)이 설치되고 실외기 바디(2)에 장착되는 전장박스(40)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냉매가 통과하고 발열소자(28)와 인쇄회로기판(30)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되는 방열모듈(50)과; 실외기 바디(2)에 장착되고 방열모듈(50)이 고정되어 지지되는 방열모듈 서포터(60)를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30)은 압축기(4)를 구동하는 전동기의 운전 주파수를 가변시키는 인버터 구동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은 인버터 압축기를 제어하는 인버터 드라이버일 수 있다. 인버터 구동 인쇄회로기판에는 지능형 전력 모듈(Intelligent Power Module, IPM) 등과 같이 발열량이 많은 발열소자(28)가 설치될 수 있다.
발열소자(28)와 인쇄회로기판(30)과 전장박스(40)는 컨트롤러(C)의 전부 또는 일부가 될 수 있고, 발열소자(28)나 인쇄회로기판(30)의 서비스는 발열소자(28)나 인쇄회로기판(30)은 전장박스(C)에서 분리되어 실외기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 가능하고, 전장박스(C)와 함께 실외기 바디(2)에서 분리되어 실외기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장박스(40)는 발열소자(28) 및 인쇄회로기판(30)을 포함하는 각종 전기부품을 보호한다. 전장박스(40)는 일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일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인쇄회로기판(30)이 설치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실외기 커버(16)(17)를 마주보는 면이 개방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후판(42)와, 후판(42)에 형성된 테두리(4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테두리(44)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30)은 테두리(44)의 내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실외기 바디(2)에 장착될 수 있고, 그 서비스시 실외기 바디(2)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좌측 바디(12)와 우측 바디(14)와 서비스 커버(16)(17)와 프레임(18)과 실외 송풍기(8) 중 적어도 하나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적어도 일부가 실외 송풍기(8)의 전방에 위치되게 실외기 바디(2)에 장착될 수 있다.
방열모듈(50)은 압축기(4)와 실외열교환기(6)와 팽창기구 및 실내열환기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방열모듈(50)은 냉동사이클 회로의 고온부와 저온부 중 저온부에 연결될 수 있고, 냉동사이클 회로의 저온부 냉매는 일부가 방열모듈(50)로 유동되어 방열모듈(50)을 통과할 수 있고, 방열모듈(50)을 통과하면서 발열소자(28)의 열을 흡열할 수 있다. 방열모듈(50)은 적어도 일부가 발열소자(28)와 접촉되어 전도방식으로 발열소자(28)의 열을 흡열할 수 있고, 냉매가 발열소자(28)를 냉각시키는 냉매식 냉각 모듈일 수 있다. 방열모듈(50)은 발열소자(28)와 접촉되는 방열판(52)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모듈(50)은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튜브(54)를 포함할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일단이 냉동 사이클 회로의 저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타단이 냉동 사이클 회로의 저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실외열교환기(6)와 팽창기구 사이의 냉매배관에 연결되거나 팽창기구와 실내열교환기 사이의 냉매배관에 연결될 수 있다.
방열모듈 서포터(60)는 방열모듈(50)이 장착되는 방열모듈 마운터로 기능할 수 있다. 방열모듈 서포터(60)는 발열소자(28)와 방열모듈(50)이 분리될 때 실외기 바디(2)에 고정된 상태에서 방열모듈(50)을 지지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방열모듈 서포터(60)가 설치되지 않으면, 방열모듈(50)이 컨트롤러(C)와 분리되었을 때 쉽게 흔들릴 수 있고, 컨트롤러(C)를 실외기 바디(2)에 장착할 때, 컨트롤러(C)와 방열모듈(50)의 체결위치를 맞추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다.
반면에, 방열모듈 서포터(60)가 실외기 바디(2)에 장착된 상태에서 방열모듈(50)을 지지하면, 방열모듈(50)은 컨트롤러(C)와 분리된 경우에도 방열모듈 서포터(60)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컨트롤러(C)를 실외기 바디(2)에 장착할 때, 방열모듈(50)은 방열모듈 서포터(60)에 그 위치가 고정인 상태이고, 컨트롤러(C)는 위치가 고정인 방열모듈(50)과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다.
방열모듈 서포터(60)는 실외기 바디(2)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장착될 수 있다. 방열모듈 서포터(60)는 탑 커버(15)의 아래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방열모듈 서포터(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8)에 장착될 수 있다. 방열모듈 서포터(60)는 프레임(18)에 안착될 수 있고, 프레임(18)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장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의 주요부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전장박스를 분리하였을 때의 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 일실시예의 방열모듈과 방열모듈 서포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 일실시예의 주요부 종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외기 일실시예의 방열판이 방열모듈 서포터에 지지되고 발열소자와 접촉되었을 때의 횡단면도이다.
발열소자(28)는 전장박스(40)의 후판(42)과 비접촉되게 인쇄회로기판(30)에 설치될 수 있다. 발열소자(28)는 인쇄회로기판(30)에 그 전부 또는 일부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은 발열소자(28) 보다 크기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인쇄호로기판(30)은 전장박스(40)의 후판(42)에 설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과 전장박스(40)의 사이에는 인쇄회로기판(30)을 전장박스(40)의 후판(42)과 이격시키는 스페이서(46)가 배치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방열모듈(50)의 방열판(52)이 관통되는 방열판 관통공(48)이 형성될 수 있다. 방열판 관통공(48)은 방열판(5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방열판 관통공(48)은 방열모듈 서포터(60) 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방열판 관통공(48)은 전장박스(40) 중 방열모듈 서포터(60)를 마주보는 부분에 개구될 수 있다. 방열판 관통공(48)은 전장박스(40)의 후판(42)에 방열판(52) 보다 크게 개구된 개구부일 수 있다.
방열모듈(50)은 방열판(52)과 냉매튜브(54)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판(52)은 발열소자(28)와 방열모듈 서포터(6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방열판(52)과 접촉될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방열판(52)에 접촉되는 방열판 접촉부(55)와, 방열판(52)과 비접촉되는 방열판 비접촉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판(52)은 발열소자(28)와 방열모듈 서포터(60) 사이에 위치되게 방열모듈 서포터(60)에 고정될 수 있다. 방열판(52)은 방열모듈 서포터(60) 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방열판(52)은 방열판 접촉부(55)가 수용되는 냉매튜브 수용부(53)가 형성될 수 있다. 냉매튜브 수용부(53)는 방열모듈 서포터(60)를 마주볼 수 있다. 냉매튜브 수용부(53)는 냉매튜브(54)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방열판(52)은 일면이 발열소자(28)를 마주볼 수 있고, 타면이 방열모듈 서포터(60)를 마주볼 수 있다. 방열판(52)은 방열모듈 서포터(60)를 마주보는 면에 냉매튜브 수용부(53)가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방열판(52)은 전장박스(40)의 장착시, 발열소자(28)와 접촉될 수 있다. 방열판(52)은 발열소자(28)와 접촉됨과 아울러 발열소자(28)와 기구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방열판(52)은 발열소자(28)와 접촉되고, 발열소자(28)와 기구적으로 결합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방열판(52)은 발열소자(28)와 결합될 경우, 스크류나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부재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발열소자(28)에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고, 방열판(52)에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는 발열소자(28)의 체결공을 관통한 후 방열판(52)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반대로 방열판(52)의 체결공을 관통하고 발열소자(28)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발열소자(28)와 방열판(52)이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경우, 방열판(52)이 방열모듈 서포터(60)에 먼저 고정된 후 전장박스(40)가 실외기 바디(2)에 장착될 수 있는데, 전장박스(40)가 실외기 바디(2)에 장착되었을 때, 방열판(52)이 위치 고정인 상태이므로 발열소자(28)의 체결공과 방열판(52)의 체결공을 맞추기 위한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지 않고, 발열소자(28)는 방열판(52)과 간편하게 고정될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일부가 냉매튜브 수용부(53)에 삽입되어 수용되고 냉매튜브 수용부(53)로 삽입된 부분의 주변부가 전장박스(40)와 방열모듈 서포터(6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냉매튜브 수용부(53)에 삽입된 부분이 방열판 접촉부(55)일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냉매튜브 수용부(53)로 삽입된 부분의 주변부가 방열판 비접촉부(56)일 수 있다.
냉매튜브(54)의 방열판 접촉부(55)는 방열판(52)과 방열모듈 서포터(6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방열판 접촉부(55)는 둘레방향으로 앞부분과 윗부분과 아랫부분이 방열판(52)에 의해 보호될 수 있고, 둘레방향으로 뒷부분이 방열모듈 서포터(6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냉매튜브(54)의 방열판 비접촉부(56)는 전장박스(40)와 방열모듈 서포터(6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방열판 비접촉부(56)는 전장박스(40) 및 방열모듈 서포터(6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전장박스(40)와 방열모듈 서포터(60) 사이의 틈을 통과해 연장될 수 있고, 전장박스(40)와 방열모듈 서포터(60) 사이 이외에 위치되는 연장부(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57)는 적어도 1회 절곡될 수 있고, 냉동사이클 회로의 저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발열소자(28)와 방열모듈 서포터(60) 사이에 위치되는 방열판 접촉부(55)와, 전장박스(40)와 방열모듈 서포터(60) 사이에 위치되는 방열판 비접촉부(56)와, 전장박스(40)와 방열모듈 서포터(60) 사이 이외에 위치되는 연장부(57)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모듈(50)은 하나의 냉매튜브(54)가 복수개의 방열판(52)과 접촉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의 방열판(52)은 냉매튜브(54)의 서로 다른 부분과 접촉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방열판(52)은 냉매튜브(54)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방열판(52)은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방열판(52)는 높이가 동일할 수 있고, 폭이 상이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방열판(52)은 냉매튜브(54)의 일측에 접촉되는 제1방열판과, 제1방열판과 이격되고 냉매튜브(54)의 타측에 접촉되는 제2방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방열판은 제1방열판 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방열모듈 서포터(60)는 적어도 일부가 전장박스(40)를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방열모듈 서포터(60)는 전장박스(40)의 후방에 위치되게 실외기 바디(2)에 설치될 수 있다. 방열모듈 서포터(60)는 적어도 일부가 전장박스(40)와 실외 송풍기(8)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방열모듈 서포터(60)는 방열판 관통공(48)을 가릴 수 있다. 방열모듈 서포터(60)가 없을 경우, 방열판 관통공(48)과 방열판(42) 사이의 틈은 노출될 수 있는데, 방열모듈 서포터(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판 관통공(48)과 방열판(42) 사이의 틈을 가릴 수 있고, 먼지 등의 이물질이 방열판 관통공(48)과 방열판(42) 사이의 틈을 통해 전장박스(40) 내부로 침투되는 것은 최소화될 수 있다.
방열모듈 서포터(60)는 방열판(52)이 설치되는 방열판 설치판(62)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판 설치판(62)은 발열소자(28)와 이격될 수 있다. 방열판 설치판(62)과 발열소자(28)는 방열모듈(50)의 두께와 같은 간격(T)을 갖을 수 있다. 방열모듈 서포터(60)는 방열판 설치판(62)에 형성되어 실외기 바디(2)와 체결되는 실외기 바디 체결부(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열모듈 서포터(60)는 전장박스(40)를 마주보는 면에 방열모듈(50)이 고정되는 방열모듈 고정부(66)(67)(68)(69)가 형성될 수 있다. 방열모듈(50)은 방열판(52)이 방열모듈 고정부(66)(67)(68)(69)에 지지될 수 있다. 방열모듈 고정부(66)(67)(68)(69)는 방열판 설치판(62)에 형성될 수 잇다. 방열모듈 고정부(66)(67)(68)(69)은 방열판 설치판(6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방열모듈 고정부(66)(67)(68)(69)는 전장박스(4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방열모듈(50)은 방열판(52)과 냉매튜브(54)가 결합된 상태에서 방열판(52)이 방열모듈 고정부(66)(67)(68)(69)에 장착될 수 있다. 방열판(52)는 방열판 설치판(62)의 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방열모듈 고정부(66)(67)(68)(69)로 삽입되어 방열모듈 고정부(66)(67)(68)(69)에 고정될 수 있고, 방열모듈 고정부(66)(67)(68)(69)에 지지될 수 있다.
방열모듈 고정부(66)(67)(68)(69)는 후술하는 돌출부(66)(67)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모듈 고정부(66)(67)(68)(69)는 후술하는 복수개의 탄성 홀더부(68)(69)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판(52)에는 홈부(58)(59)가 형성되고, 방열모듈 서포터(60)는 홈부(58)(59)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돌출부(66)(67)를 포함할 수 있다.
홈부(58)(59)는 복수개가 방열판(52)의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홈부(58)(59)는 방열판(52) 중 돌출부(66)(67)와 마주보는 면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홈부(58)(59)는 방열판(52)의 상면에 형성된 상면 홈부(58)와, 방열판(52)의 하면에 형성된 하면 홈부(59)를 포함할 수 있다. 홈부(58)(59)는 방열판(5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홈부(58)(59)는 방열판(52)에 함몰 형성될 수 있고,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66)(67)는 복수개가 서로 마주보게 이격될 수 있다. 돌출부(66)(67)는 방열판 설치판(6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방열판 설치판(62)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66)(67)은 방열판 설치판(62)에서 수평하게 돌출된 수평 절곡부와, 수평 돌출부에서 방열판(62)를 향해 절곡된 수직 절곡부를 포함하는 절곡부일 수 있다. 돌출부(66)(67)는 복수개의 홈부(58)(59) 중 어느 하나에 일부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제1돌출부(66)와, 복수개의 홈부(58)(59) 중 다른 하나에 일부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제2돌출부(6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돌출부(66)는 상면 홈부(58)에 하부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상부 돌출부일 수 있고, 제2돌출부(67)는 하면 홈부(59)에 상부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하부 돌출부일 수 있다.
방열모듈 서포터(60)는 서로 마주보게 이격된 복수개의 탄성 홀더부(68)(69)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판(52)은 복수개의 탄성 홀더부(68)(69) 사이로 진입되어 복수개의 탄성 홀더부(68)(69)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복수개의 탄성 홀더부(68)(69)는 한 쌍의 탄성 홀더부를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탄성 홀더부는 방열판(52)의 일측단과 접촉되는 제1탄성 홀더부(68)와, 방열판(52)의 타측단과 접촉되는 제2탄성 홀더부(6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탄성 홀더부(68)는 방열판(52)의 좌측단과 접촉될 수 있고, 제2탄성 홀더부(69)는 방열판(52)의 우측단과 접촉될 수 있다. 한 쌍의 탄성 홀더부는 방열판(52)의 장착 전 그 사이의 최단 거리가 방열판(52)의 길이 방향 폭(L) 보다 짧을 수 있고, 방열판(62)의 장착시 한 쌍의 탄성 홀더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방열판(52)을 지지할 수 있다.
실외기 바디 체결부(64)는 실외기 바디(2)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65)로 체결될 수 있다.
실외기 바디 체결부(64)는 방열판 설치판(62)에 형성되어 실외기 바디(2)에 안착되는 안착부(71)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71)는 실외기 바디(2)의 프레임(18)에 올려져 안착될 수 있다. 안착부(71)는 방열판 설치판(62)의 하부에 수평하게 절곡될 수 있고, 수평 프레임(18A)와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71)는 수평 프레임(18A)에 안착될 수 있다. 실외기 바디 체결부(64)는 체결부재(65)가 체결되는 체결공(72)이 형성된 체결편(73)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편(73)은 실외기 바디(2)의 프레임(18)에 마주보게 위치될 수 있고, 체결부재(65)는 체결편(73)의 체결공(72)를 관통하여 프레임(18)에 체결될 수 있다. 체결편(73)은 안착부(71)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편(73)은 안착부(71)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체결편(73)은 방열모듈 서포터(60)를 수평 프레임(18A)에 안착시켰을 때, 수평 프레임(18A)을 마주보게 위치될 수 있고, 체결부재(65)는 체결편(73)의 전방에서 체결편(73)의 체결공(82)과 수평 프레임(18A)의 체결공(미도시)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하, 방열모듈(50)과 전장박스(40)를 조립하는 일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방열모듈 서포터(60)를 실외기 바디(2)에 장착할 수 있고, 방열모듈(50)의 방열판(52)을 방열모듈 서포터(60)의 전방에서 방열모듈 서포터(60)로 위치 이동시키면서 방열판(52)을 복수개의 탄성 홀더부(68)(69) 사이로 진입시킬 수 있다. 방열판(52)은 복수개의 탄성 홀더부(68)(69)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복수개의 탄성 홀더부(68)(69)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복수개의 탄성 홀더부(68)(69)는 그 사이에 위치되는 방열판(52)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열판(52)의 진입시 방열모듈 서포터(60)의 돌출부(66)(67)는 일부가 방열판(52)의 홈부(58)(59)로 삽입될 수 있고, 방열판(52)은 복수개의 돌출부(66)(67)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방열판(52)은 방열모듈 서포터(60)의 방향으로 밀어넣는 간단한 동작으로 방열모듈 서포터(60)에 고정될 수 있고, 방열판(52) 및 냉매튜브(54)는 방열판(52)이 방열모듈 서포터(60)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그 흔들림이 최소화되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작업자는 방열모듈(50)을 방열모듈 서포터(60)에 장착한 상태에서 전장박스(40)를 실외기 바디(2)에 장착할 수 있고, 이때, 발열소자(28)는 방열모듈 서포터(60)에 위치 고정되게 지지되는 방열판(52)과 접촉될 수 있다. 전장박스(40)의 장착시, 방열판(52)은 그 위치가 고정인 상태에서 방열판(52)과 밀착될 수 있고, 발열소자(28)와의 접촉상태가 유지할 수 있으며, 발열소자(28)의 열을 흡열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하, 전장박스(40)를 서비스하는 일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전장박스(40)를 서비스하기 위해 전장박스(40)를 실외기 바디(2)에서 분리할 수 있는데, 전장박스(40)를 실외기 바디(2)에서 분리할 때, 발열소자(28)가 방열판(52)과 비접촉될 수 있고, 방열판(52)은 냉매튜브(54)와 함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남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작업자는 서비스된 기존의 전장박스(40)를 다시 실외기 바디(2)에 장착하거나 새로운 전장박스(40)를 실외기 바디(2)에 장착할 수 있다. 작업자가 전장박스(40)를 실외기 바디(2)에 장착할 때, 방열판(52)은 위치가 고정이면서 그 흔들림이 최소화된 상태이므로, 전장박스(40)의 발열소자(28)와 쉽게 접촉될 수 있고, 작업자는 발열소자(28)와 방열판(52)의 위치를 맞추는 작업을 별도로 시행하지 않거나 최소화하면서 전장박스(40)를 손쉽게 실외기 바디(2)에 장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방열모듈(50)이 인쇄회로기판(30')과 접촉될 수 있고, 발열소자(28')의 열이 인쇄회로기판(30')을 통해 방열모듈(50')로 전달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30')과 발열소자(28')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열소자(28')는 인쇄회로기판(30')의 일면에 전장박스(40)의 전방을 가리는 실외기 커버(16)를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은 일면이 전장박스(40)의 전방을 가리는 실외기 커버(16)를 마주볼 수 있고, 타면이 방열모듈(50)과 접촉될 수 있다.
방열모듈(50)은 인쇄회로기판(30')의 타면 일부와 면접촉될 수 있다. 방열모듈(50)은 방열판(52)의 일면이 인쇄회로기판(30')의 타면에 면접촉될 수 있다. 일예로, 발열소자(28')가 인쇄회로기판(30')의 전면에 설치될 경우, 방열모듈(50)은 인쇄회로기판(30')의 후면과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방열모듈(50)이 인쇄회로기판(30')과 직접 면접촉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방열모듈(50)과 인쇄회로기판(30') 사이에 위치하는 별도의 전열부재(미도시)가 방열모듈(50)과 인쇄회로기판(30') 각각과 면접촉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2: 실외기 바디 4: 압축기
6: 실외열교환기 8: 실외 송풍기
28: 발열소자 30: 인쇄회로기판
40: 전장박스 50: 방열모듈
52: 방열판 54: 냉매튜브
55: 방열판 접촉부 56: 방열판 비접촉부
60: 방열모듈 서포터 62: 방열모듈 설치판
64: 실외기 바디 체결부

Claims (22)

  1. 실외기 바디와;
    발열소자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실외기 바디에 장착되는 전장박스와;
    상기 발열소자와 접촉되고 냉매가 통과하는 방열모듈과;
    상기 실외기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방열모듈이 고정되어 지지되는 방열모듈 서포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장박스를 마주보게 설치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는 상기 전장박스를 마주보는 면에 상기 방열모듈이 고정되는 방열모듈 고정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는 상기 전장박스의 후방에 위치되게 상기 실외기 바디에 설치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모듈은 상기 발열소자와 방열모듈 서포터 사이에 위치되는 방열판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 보다 크기가 작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박스는 상기 방열판이 관통되게 위치되고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 보다 크기가 작은 방열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는 상기 방열판 관통공을 가리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는 상기 발열소자와 이격되고 상기 방열판이 설치되는 방열판 설치판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소자와 방열판 설치판은 상기 방열모듈의 두께와 같은 간격을 갖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는 상기 방열판 설치판에 형성되어 상기 실외기 바디와 체결되는 실외기 바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모듈은 상기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매튜브는
    상기 방열판에 접촉되는 방열판 접촉부와,
    상기 방열판과 비접촉되는 방열판 비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열판 비접촉부는 상기 전장박스와 방열모듈 서포터 사이에 위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상기 방열판 접촉부가 수용되는 냉매튜브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냉매튜브 수용부는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를 마주보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튜브는 상기 방열판 접촉부가 상기 방열판과 방열모듈 서포터 사이에 위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에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는 상기 홈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가 서로 마주보게 이격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방열판 중 상기 돌출부와 마주보는 면 각각에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는 서로 마주보게 이격된 복수개의 탄성 홀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판은 상기 복수개의 탄성 홀더부 사이로 진입되어 상기 복수개의 탄성 홀더부에 탄성 지지되는 공기조화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바디에 설치되고 실외공기를 유동시키는 실외 송풍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전장박스와 실외 송풍기 사이에 위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7. 실외기 바디와;
    발열소자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발열소자 또는 인쇄회로기판과 접촉되고 냉매가 통과하는 방열모듈과;
    상기 실외기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방열모듈이 고정되어 지지되는 방열모듈 고정부가 형성된 방열모듈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모듈은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튜브와;
    상기 냉매튜브와 접촉되고 상기 발열소자와 방열모듈 서포터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방열모듈 고정부에 고정되는 방열판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튜브는
    상기 방열판에 접촉되는 방열판 접촉부와,
    상기 방열판과 비접촉되는 방열판 비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판은 상기 방열판 접촉부가 수용되는 냉매튜브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냉매튜브 수용부는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를 마주보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9. 실외기 바디와;
    상기 실외기 바디의 상부에 설치된 실외 송풍기와;
    발열소자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실외기 바디에 장착되는 전장박스와;
    냉매가 통과하고 상기 발열소자 또는 인쇄회로기판과 접촉되는 방열모듈과;
    상기 전장박스와 실외 송풍기의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게 상기 실외기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방열모듈이 고정되는 방열모듈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모듈은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튜브와;
    상기 냉매튜브와 접촉되고 상기 발열소자와 방열모듈 서포터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에 고정되는 방열판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튜브는
    상기 방열판에 접촉되고 상기 방열판과 방열모듈 서포터 사이에 위치되 방열판 접촉부와,
    상기 방열판과 비접촉되고 상기 전장박스와 방열모듈 서포터 사이에 위치되는 방열판 비접촉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상기 방열판 접촉부가 수용되는 냉매튜브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냉매튜브 수용부는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를 마주보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박스는 상기 방열판이 관통되게 위치되고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 보다 크기가 작은 방열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방열모듈 서포터는 상기 방열판 관통공을 가리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0140031813A 2014-03-18 2014-03-18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589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813A KR101589027B1 (ko) 2014-03-18 2014-03-18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EP14194056.9A EP2921795B1 (en) 2014-03-18 2014-11-20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14/661,038 US9861008B2 (en) 2014-03-18 2015-03-18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201510118274.5A CN104930603B (zh) 2014-03-18 2015-03-18 空调的室外单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813A KR101589027B1 (ko) 2014-03-18 2014-03-18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688A true KR20150108688A (ko) 2015-09-30
KR101589027B1 KR101589027B1 (ko) 2016-01-27

Family

ID=52016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813A KR101589027B1 (ko) 2014-03-18 2014-03-18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61008B2 (ko)
EP (1) EP2921795B1 (ko)
KR (1) KR101589027B1 (ko)
CN (1) CN1049306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373B1 (ko) * 2013-07-05 2020-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9357670B2 (en) * 2014-02-18 2016-05-3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Efficient heat transfer from conduction-cooled circuit cards
KR102433388B1 (ko) * 2015-10-22 2022-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이에 적용되는 냉각 유닛 및 냉각 유닛의 제조 방법
JP2017141988A (ja) * 2016-02-08 2017-08-17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JP6725871B2 (ja) * 2016-02-29 2020-07-2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DE112016006713T5 (de) * 2016-04-07 2018-12-2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Klimatisierungsvorrichtung
CN106642407A (zh) * 2016-06-17 2017-05-10 上海嘉熙科技有限公司 基于热超导散热板的电控器及空调室外机
CN106051956A (zh) * 2016-06-17 2016-10-26 上海嘉熙科技有限公司 基于热超导散热板的电控器及空调室外机
KR102596983B1 (ko) * 2016-09-09 2023-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106765674A (zh) * 2017-01-19 2017-05-31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电控散热结构及空调设备
CN107314448A (zh) * 2017-08-15 2017-11-03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安装盒以及空调器
US11226119B2 (en) 2017-09-21 2022-01-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exchanger unit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JP6645487B2 (ja) * 2017-10-30 2020-02-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ト回路板
JP7102803B2 (ja) * 2018-03-14 2022-07-20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6699685B2 (ja) * 2018-03-30 2020-05-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CN110212783A (zh) * 2019-05-28 2019-09-06 深圳市麦格米特驱动技术有限公司 一种逆变器组件及轨道空调
CN110736154B (zh) * 2019-09-30 2022-03-2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外机
WO2023029124A1 (zh) * 2021-08-31 2023-03-0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电控盒以及空调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7481A1 (ja) * 2009-02-02 2010-08-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EP2306101A1 (en) * 2008-06-12 2011-04-06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er
JP2013194959A (ja) * 2012-03-16 2013-09-30 Daikin Industries Ltd 冷凍装置
WO2013161323A1 (ja) * 2012-04-27 2013-10-3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KR101324935B1 (ko) 2011-10-11 201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3267U (ko) 1996-10-31 1998-07-25 배순훈 텔레비젼의 발열 전자부품과 방열판의 결합장치
KR19980027321U (ko) 1996-11-15 1998-08-05 배순훈 텔레비젼(tv)용 방열판과 발열 전자부품의 결합구조
JP2006266547A (ja) * 2005-03-23 2006-10-05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KR20090052668A (ko) * 2007-11-21 2009-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09299974A (ja) * 2008-06-12 2009-12-24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KR101418512B1 (ko) 2008-06-12 2014-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4488093B2 (ja) * 2008-07-24 2010-06-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5505055B2 (ja) * 2010-04-14 2014-05-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KR20120135771A (ko) * 2011-06-07 2012-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및 그 제어방법
US8693200B2 (en) * 2012-02-07 2014-04-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cooling module
CN103423816B (zh) * 2012-05-16 2016-08-3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室外机的电器盒及具有该电器盒的空调室外机
CN203100012U (zh) * 2013-01-04 2013-07-31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电控盒组件和具有该电控盒组件的空调室外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06101A1 (en) * 2008-06-12 2011-04-06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er
WO2010087481A1 (ja) * 2009-02-02 2010-08-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1324935B1 (ko) 2011-10-11 201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13194959A (ja) * 2012-03-16 2013-09-30 Daikin Industries Ltd 冷凍装置
WO2013161323A1 (ja) * 2012-04-27 2013-10-3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71949A1 (en) 2015-09-24
CN104930603A (zh) 2015-09-23
KR101589027B1 (ko) 2016-01-27
EP2921795A1 (en) 2015-09-23
US9861008B2 (en) 2018-01-02
CN104930603B (zh) 2018-07-03
EP2921795B1 (en) 202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9027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20090137197A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P2040008A2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90004118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JP2012233614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587399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101633780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770708B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JP6452829B2 (ja) 室外機
KR101539391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2009030884A (ja) 室外ユニット
KR20070066393A (ko) 천장덕트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하우징
JPH10197004A (ja) 空気調和機
JP2014240713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20070069772A (ko) 공기조화기
KR101590374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WO2017149766A1 (ja) 電装品モジュール及び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090002735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20050062044A (ko) 공기조화기
KR100845183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워코드 고정구조
KR0128913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2022041570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0128927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전장박스
KR100596258B1 (ko) 공기조화기
KR20040052324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