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551B1 - 어업용 인양기 - Google Patents

어업용 인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551B1
KR102046551B1 KR1020180050519A KR20180050519A KR102046551B1 KR 102046551 B1 KR102046551 B1 KR 102046551B1 KR 1020180050519 A KR1020180050519 A KR 1020180050519A KR 20180050519 A KR20180050519 A KR 20180050519A KR 102046551 B1 KR102046551 B1 KR 102046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b
gear
weight body
fish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6529A (ko
Inventor
강성우
Original Assignee
(주)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텍 filed Critical (주)뉴텍
Priority to KR1020180050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551B1/ko
Publication of KR20190126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supported by columns, e.g. towers having their lower end mounted for slewing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6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vertical movement of vessel, i.e. by c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3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4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separate from jib
    • B66C23/76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separate from jib and movable to take account of variations of load or of variations of length of ji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07Cranes in which it is essential that the load is moving horizontally during the luffing movement of the arm or jib
    • B66C2700/0314Cranes in which it is essential that the load is moving horizontally during the luffing movement of the arm or jib in combin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counter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브; 상기 지브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다수개의 호이스트; 상기 지브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유닛; 상기 지브의 타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중량체; 상기 중량체의 이동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어업용 인양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어선 또는 운반물의 하중에 따라서 다수개의 호이스트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하역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어선 또는 운반물을 동시에 운반 또는 하역할 수 있으므로 하역시간을 단축하고 태풍과 같은 기상 악화시 신속한 운반 및 인양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어선 또는 운반물의 하중에 따라서 중량체의 위치를 조절하여 원활한 하역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어업용 인양기{Lifting equipment for fishing}
본 발명은 어업용 인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선 또는 운반물의 하중 및 종류에 따라서 다수개의 호이스트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어업용 인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업용 인양기는 부두 또는 해안가에 설치하여 운반물(해산물) 을 운반 및 하역하거나 기상 악화시 어선을 육지로 인양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어선 또는 운반물의 하중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는 호이스트의 개수 및 용량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하역효율을 제한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종래에는 한번에 하나의 어선 또는 운반물을 운반 또는 하역할 수밖에 없으므로 태풍과 같은 기상 악화시 신속한 운반 및 인양이 불가능한 문제를 갖게 되었다.
아울러 종래에는 지브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어선 또는 운반물을 운반 및 하역하는 과정에서 무게중심이 변화하면서 변형이 발생하고 원활하게 어선 또는 운반물을 하역할 수 없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03918호(2005.07.18) 한국등록특허 제10-0681831호(2007.02.06)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8721호(2012.03.06)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0407호(2013.01.16)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556호(2013.02.25) 한국등록특허 제10-1511048호(2015.04.10)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10207호(2017.01.26)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어선 또는 운반물의 하중 및 종류에 따라서 다수개의 호이스트를 사용할 수 있는 어업용 인양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량체의 위치를 조절하여 무게중심을 유지할 수 있는 어업용 인양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어업용 인양기는,
지면에 설치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브; 상기 지브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다수개의 호이스트; 상기 지브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유닛; 상기 지브의 타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중량체; 상기 중량체의 이동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브는 상기 포스트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8 내지 12m를 갖도록 형성하고, 다수개의 상기 호이스트는 2.5 내지 10ton을 운반 및 하역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호이스트는 상기 호이스트는 이동위치 또는 어선 및 운반물의 하중을 측정하여 상기 조절유닛을 작동시켜 상기 중량체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중량체의 일측에 결합하는 제1기어; 상기 지브의 타측에 설치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 설치하여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도록 형성하는 제2기어; 상기 제2기어의 일측에 형성하는 제3기어; 상기 지브의 타측에 결합하여 상기 제3기어와 맞물리도록 형성하는 제4기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지브와 중량체의 사이에 형성하여 상기 중량체를 지정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중량체의 일측에 설치하는 실린더; 상기 지브의 일측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지지구;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 설치하여 상기 지지구와 맞물리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어선 또는 운반물의 하중에 따라서 다수개의 호이스트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하역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어선 또는 운반물을 동시에 운반 또는 하역할 수 있으므로 하역시간을 단축하고 태풍과 같은 기상 악화시 신속한 운반 및 인양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어선 또는 운반물의 하중에 따라서 중량체의 위치를 조절하여 원활한 하역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어업용 인양기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조절유닛 및 고정유닛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조절유닛 및 고정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 어업용 인양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어업용 인양기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조절유닛 및 고정유닛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조절유닛 및 고정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어업용 인양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는 포스트(110); 상기 포스트(1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브(120); 상기 지브(120)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다수개의 호이스트(130,131); 상기 지브(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유닛(140); 상기 지브(120)의 타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중량체(150); 상기 호이스트(130,131)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상기 중량체(150)의 이동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유닛(16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포스트(110)와 지브(120)의 사이에 지지부재(121);를 더 포함하여 어선 또는 운반물의 인양 또는 하역하는 과정에서 흔들림을 방지하고 상기 지브(120)가 하부로 쳐지지 않도록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브(120)의 길이방향으로 양측 및 중간에 상기 호이스트(130,131)의 양측에 형성하는 센서(130a,131a)와 접촉할 경우 정지시키기 위한 감지구(122);를 형성하고, 상기 감지구(122)의 일측에는 상기 호이스트(130,131)와 맞닿아 정지시키기 위한 스톱퍼(12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톱퍼(123)는 우레탄 또는 고무재질로 제작하여 상기 호이스트(130,131)와 맞닿을 경우 소음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브(120)는 상기 호이스트(130,131)가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어선 또는 운반물을 하역할 수 있도록 상기 포스트(110)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8 내지 12m를 갖도록 형성하고, 타측은 상기 중량체(15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한다.
또한, 다수개의 상기 호이스트(130,131)는 2.5 내지 10ton의 어선 또는 운반물의 하중을 지지 및 하역할 수 있는 성능을 갖도록 형성하여 하역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호이스트(130,131)는 어선 또는 운반물의 하중을 측정할 수 있는 로드셀 등과 같은 측정센서 또는 이동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GPS 등과 같은 위치센서를 포함하여 어선 및 운반물의 하중 또는 이동위치에 따라서 상기 조절유닛(160)을 작동시켜 상기 중량체(15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무게중심을 유지하여 어선 또는 운반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유닛(140)은 상기 지브(12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기어 및 모터를 조합하여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포스트(110)의 상부에 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지브(120)의 상부에 상기 기어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모터를 마련하여 모터의 작동으로 상기 지브(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량체(150)는 어선 또는 운반물을 운반 및 하역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기 지브(120)의 일측으로 무게가 집중될 경우 발생하는 변형 및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지브(120)의 타측에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무게중심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량체(150)의 양측에는 상기 지브(1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15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유닛(160)은 상기 중량체(150)의 이동위치를 조절하여 무게중심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조절유닛(16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량체(150)의 일측에 결합하는 제1기어(161); 상기 지브(120)의 타측에 설치하는 실린더(162); 상기 실린더(162)의 로드에 설치하여 상기 제1기어(161)와 맞물리도록 형성하는 제2기어(163); 상기 제2기어(163)의 일측에 형성하는 제3기어(164); 상기 지브(120)의 타측에 결합하여 상기 제3기어(164)와 맞물리도록 형성하는 제4기어(165);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1기어(161)는 상기 중량체(150)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2기어(163)는 회전방향에 따라서 맞물린 상태의 상기 제1기어(161)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제3기어(164)는 상기 제2기어(163)의 규격(지름)보다 더 작게 형성하여 상기 실린더(162)의 전진 작동으로 상기 제3기어(164)가 전진하면서 회전할 경우 상대적으로 규격이 큰 상기 제2기어(163)의 회전반경이 증가하면서 상기 제1기어(161)를 전진시키는 행정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기어(165)는 상기 지브(120)의 타측에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결합하여 상기 제3기어(164)와 맞물린 상태로 상기 실린더(162)의 전진 작동으로 상기 제2기어(163) 및 제3기어(164)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162)의 전진 작동으로 상기 제2기어(163) 및 제3기어(164)가 회전하고, 상기 제2기어(163)와 맞물려 있는 상기 제1기어(161) 및 중량체(15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브(120)의 타측에 수평방향으로 장공(166);을 형성하여 상기 제1기어(161)가 장공(166)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전후 이동하는 과정에서 간섭 및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브(120)와 중량체(150)의 사이에 형성하여 이동하는 상기 중량체(150)를 지정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유닛(170)은 상기 중량체(150)의 일측에 설치하는 실린더(171); 상기 지브(120)의 일측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지지구(172); 상기 실린더(171)의 로드에 설치하여 상기 지지구(172)와 맞물리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구(173);로 구성한다.
특히 상기 실린더(171)는 전후 작동으로 상기 고정구(173)를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지지구(172)와 맞물리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상기 중량체(150)를 지정위치에 고정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지지구(172)는 상기 중량체(150)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다수개를 형성한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 본 발명 어업용 인양기
110: 포스트
120: 지브 121: 지지부재
122: 감지구 123: 스톱퍼
130,131: 호이스트
130a,131a: 센서
140: 구동유닛 150: 중량체
160: 조절유닛 161: 제1기어
162: 실린더 163: 제2기어
164: 제3기어 165: 제4기어
170: 고정유닛 171: 실린더
172: 지지구 173: 고정구

Claims (6)

  1. 지면에 설치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브; 상기 지브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다수개의 호이스트; 상기 지브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유닛; 상기 지브의 타측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중량체; 상기 중량체의 이동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지브는 상기 포스트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8 내지 12m를 갖도록 형성하고, 다수개의 상기 호이스트는 2.5 내지 10ton을 운반 및 하역할 수 있도록 형성하며, 상기 호이스트는 이동위치 또는 어선 및 운반물의 하중을 측정하여 상기 조절유닛을 작동시켜 상기 중량체의 위치를 조절하며,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중량체의 일측에 결합하는 제1기어; 상기 지브의 타측에 설치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 설치하여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도록 형성하는 제2기어; 상기 제2기어의 일측에 상기 제2기어의 피치원 지름 보다 더 작게 형성하는 제3기어; 상기 지브의 타측에 결합하여 상기 제3기어와 맞물리도록 형성하는 제4기어;로 구성하고, 상기 지브와 중량체의 사이에 형성하여 상기 중량체를 지정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중량체의 일측에 설치하는 실린더; 상기 지브의 일측에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지지구;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 설치하여 상기 지지구와 맞물리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구;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업용 인양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50519A 2018-05-02 2018-05-02 어업용 인양기 KR102046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519A KR102046551B1 (ko) 2018-05-02 2018-05-02 어업용 인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519A KR102046551B1 (ko) 2018-05-02 2018-05-02 어업용 인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529A KR20190126529A (ko) 2019-11-12
KR102046551B1 true KR102046551B1 (ko) 2019-11-19

Family

ID=68577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519A KR102046551B1 (ko) 2018-05-02 2018-05-02 어업용 인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551B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6950B2 (ja) * 1995-06-27 1998-09-10 住友建機株式会社 カウンタウエイトの脱着装置
KR100503918B1 (ko) 2004-01-20 2005-08-17 (주) 뉴텍 고정식 어선 인양기
KR100681831B1 (ko) 2005-09-23 2007-02-12 (주)해안기계산업 크레인 겸용 데빗시스템
KR20090127518A (ko) * 2008-06-09 2009-12-14 흥화중건설기계(주) 타워크레인
KR200458721Y1 (ko) 2009-06-03 2012-03-06 (주)하나 지브크레인
KR101189897B1 (ko) * 2010-08-27 2012-10-10 이정상 선박 인양용 크레인
KR20130000407U (ko) 2011-07-08 2013-01-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지브 크레인
KR101511048B1 (ko) 2013-10-07 2015-04-10 (주)하나 지브 크레인
KR101741157B1 (ko) 2015-07-16 2017-05-31 주식회사 반도호이스트 장거리 운반형 지브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529A (ko) 201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039B1 (ko) 크레인용 스프레더와 이를 구비한 크레인, 크레인을 탑재한 선박 및 크레인용 스프레더의 자동 랜딩 방법
WO2018014641A1 (zh) 一种具有升降平台的自动导引运输车
KR20130078868A (ko) 요트 인양장치
EP1289873B1 (en) Container gripping device having contact elements for braking
KR100761037B1 (ko) 적재중량에 따라서 제동력이 조절되는 레일 트랜스포터
JP6665376B2 (ja) 揚陸用の船舶及び揚陸用の船舶を使用した荷役方法
KR102046551B1 (ko) 어업용 인양기
KR101511048B1 (ko) 지브 크레인
KR101305297B1 (ko) 선박 하역 지시를 위한 캐빈 리프트
KR101282772B1 (ko) 선박의 선형을 고려한 능동형 롤링 펜더
KR101166718B1 (ko) 개선된 레그 구조를 가지는 안정화된 컨테이너 크레인
KR20130115633A (ko) 무게중심 변경을 위한 래싱 브리지
KR101741157B1 (ko) 장거리 운반형 지브크레인
KR101751538B1 (ko) 요트 상하가 항만 하역장비
JP5844534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
JP7317601B2 (ja) グラブバケット式アンローダ
JP4851870B2 (ja) 上限位置停止機構
KR100650047B1 (ko) 크레인의 양방향 움직임 방지 장치 및 크레인
JP7480085B2 (ja) 船舶用アンローダー
KR100650050B1 (ko) 크레인의 다방향 움직임 방지 장치 및 크레인
US20160159447A1 (en) Watercraft positioning system
JP2022146612A (ja) 船舶用アンローダー
KR101644492B1 (ko) 부유식 구조물
JP2536054B2 (ja) 岸壁位置検出装置
KR101173566B1 (ko)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과 크레인을 탑재한 부유체 및 구조물 자세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