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566B1 -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과 크레인을 탑재한 부유체 및 구조물 자세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과 크레인을 탑재한 부유체 및 구조물 자세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566B1
KR101173566B1 KR1020090130271A KR20090130271A KR101173566B1 KR 101173566 B1 KR101173566 B1 KR 101173566B1 KR 1020090130271 A KR1020090130271 A KR 1020090130271A KR 20090130271 A KR20090130271 A KR 20090130271A KR 101173566 B1 KR101173566 B1 KR 101173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posture
control unit
actuators
stabiliz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3102A (ko
Inventor
이정주
김기영
송호석
장창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130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566B1/ko
Publication of KR20110073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2Devices for facilitating retrieval of floating objects, e.g. for recovering crafts from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거더(girder)를 포함하는 크레인과, 크레인이 얹혀지는 크레인 기초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며 크레인의 자세를 제어하는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에 있어서, 크레인 기초부에 크레인이 얹혀지는 방향 및 거더의 연장 방향의 양 방향 모두에 수직한 제 1 방향에 대하여 크레인을 회전시키는 제 1 자세 제어부와, 거더의 연장 방향인 제 2 방향에 대하여 크레인을 회전시키는 제 2 자세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자세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는 크레인 기초부에 크레인이 얹혀지는 방향으로 크레인을 평행이동시킴으로써, 파도로 인한 크레인의 로울링, 피칭 및 히빙 방향의 요동을 감쇄하여 크레인을 이용한 하역 작업이 안정적이면서도 신속히 수행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Figure R1020090130271
바지선,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 자세 제어

Description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과 크레인을 탑재한 부유체 및 구조물 자세 제어 장치{CRANE POSTURE STABILIZER MOUNTED ON THE FLOATING BODY}
본 발명은 크레인의 자세 안정화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 및 이 크레인을 탑재한 부유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상 또는 움직이는 항구인 모바일 하버(Mobile Harbour)에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이송할 때, 여러 가지 외부 요인으로 인하여 흔들리는 크레인을 안정화시켜 컨테이너를 안정하고 신속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크레인의 자세 안정화 장치,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 및 크레인을 탑재한 부유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국가간 물류의 규모가 커지면서 해로를 통한 수출입 물량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해로를 통하여 화물을 운반하는 때에는 선적 및 하역이 편리하도록 컨테이너가 이용되고 있다. 컨테이너는 부두에 설치된 크레인과 같은 설비를 이용하여 선적 및 하역된다. 이 때문에 크레인의 선적 및 하역 속도는 선박의 취급 속도와 부두 전체 화물의 처리 능력을 결정하는 핵심적 요소이다.
제한된 부두 설비를 이용하여 화물을 취급하는 경우, 부족한 부두 설비로 인하여 컨테이너의 하역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방법이 제안되어 왔다.
그 중 하나가, 컨테이너선은 해상에 정박해 두고, 하역용 크레인을 실은 바지선을 컨테이너선에 접근시킨 후 바지선으로 컨테이너를 옮겨 싣고 육지로 돌아오는 방법이다.
다른 방법으로, 하역용 크레인을 실은 부유체와 바지선을 같이 사용하여, 하역용 크레인을 실은 부유체는 해상에 떠서 하역 작업만을 수행하고, 바지선이 부유체에 접근하여 컨테이너를 싣고 돌아오는 방법도 있다.
하지만, 이상의 방법에서와 같이, 해상에서 컨테이너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파도 등으로 인하여 부유체는 요동하게 되며, 이러한 요동은 파도의 높이 및 주기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변화한다. 이러한 부유체의 요동은 크레인이 컨테이너를 신속하게 선적 및 하역하는 작업을 더디게 할 뿐 아니라, 크레인이 흔들려서 안전사고가 일어날 우려도 있다. 이에 따라, 파도로 인한 요동에 대하여 크레인의 요동을 방지하고 안정화시킬 필요가 있다.
요동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보면, 해상의 부유체에서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징(surging), 스웨잉(swaying), 히빙(heaving), 로울링(rolling), 피칭(pitching) 및 요잉(yawing)의 요동이 발생할 수 있다. 해상에서 선박끼리 맞대어 놓고 하역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다른 요동에 비하여 로울링과 피칭 및 히빙이 중요하다.
종래에는 크레인의 요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크레인이 설치된 선박 자체의 요동을 방지하는 선박 안정화 장치가 제안되었다. 선박 안정화 장치는 주로 선박의 로울링(rolling)을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이로 안정기(Gyro Stabilizer), 핀 안정기(Fin Stabilizer), 안티 로울링 탱크(Anti Rolling Tank) 등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박 안정화 장치들은 로울링 방향에 대한 요동만을 안정화시킬 수 있을 뿐이며, 피칭 및 히빙 방향의 요동은 안정화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해상에서 선적 및 하역 작업이 이루어짐에 있어서, 로울링은 물론 피칭 및 히빙 방향 요동이 있더라도 크레인이 흔들림 없이 안정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안정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거더(girder)를 포함하는 크레인과, 크레인이 얹혀지는 크레인 기초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며 크레인의 자세를 제어하는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에 있어서, 크레인 기초부에 크레인이 얹혀지는 방향 및 거더의 연장 방향의 양 방향 모두에 수직한 제 1 방향에 대하여 크레인을 회전시키는 제 1 자세 제어부와, 거더의 연장 방향인 제 2 방향에 대하여 크레인을 회전시키는 제 2 자세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자세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는 크레인 기초부에 크레인이 얹혀지는 방향으로 크레인을 평행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에 의하면, 파도로 인한 크레인의 로울링, 피칭 및 히빙 방향의 요동이 모두 감소하여, 크레인을 이용한 하역 작업이 안정적이면서도 신속히 수행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지만,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가 부착된 크레인의 탑재된 부유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크레인 기초부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의 제 1 자세 제어부가 얹혀진 도면이고, 도 5는 크레인 기초부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의 제 1 자세 제어부 및 제 2 자세 제어부가 얹혀진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 위에 크레인이 얹혀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 위에 크레인이 얹혀진 모습을 아래 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정화 장치가 로울링 방향으로 크레인을 회전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정화 장치가 피칭 방향으로 크레인을 회전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정화 장치가 히빙 방향으로 크레인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1)는 부유체(4) 상에 탑재되는 크레인 기초부(3) 상에 설치되며, 그 위에 거더(5)를 포함하는 크레인(2)이 얹혀진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크레인(2)에는 거더(5)를 따라 좌우로 횡진하는 트롤리(미도시)에 스프레더(5)가 매달려 있다. 크레인(2)은 네 귀퉁이에서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1)에 의해 지지된다.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 치(1)는 다수의 액츄에이터(101)에 의해 능동적으로 구동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8개의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액츄에이터는 다수의 회전 관절을 거쳐 크레인(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4에는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1) 중 크레인(2)의 로울링 방향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자세 제어부가 개시되어 있다. 제 1 자세 제어부는 4 개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액츄에이터(101a, 101b, 101c, 101d)와 이러한 액츄에이터(101a, 101b, 101c, 101d)와 직접 혹은 링크(106a, 106b)를 거쳐 회전 가능하게 관절 결합하는 중간빔(108a, 108b)을 포함한다. 액츄에이터(101a, 101b, 101c, 101d)는 하단이 크레인 기초부(3)에 의해 지지되며, 액츄에이터(101b, 101d)의 상단(102b, 102d)은 각각 중간빔(108a, 108b)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액츄에이터(101a, 101c)의 상단(102a, 102c)은 각각 중간빔(108a, 108b)에 링크(106a, 106b)를 거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각각 쌍을 이루는 액츄에이터(101a, 101b)(101c, 101d)가 동일 길이 만큼 신장되거나 신축되면 중간빔(108a)(108b)는 단순히 평행 이동 운동을 하지만, 각 쌍의 액츄에이터(101a, 101b)(101c, 101d)의 신장 혹은 수축 길이가 상이할 경우에는 중간빔(108a)(108b)은 평행 이동 운동과 더불어 회전 운동도 하게 된다. 링크(106a)(106b)는 중간빔(108a)(108b)이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는 자유도를 주기 위해서 삽입되는 것이다. 이리하여, 제 1 자세 제어부는 부유체의 로울링 방향 회전에 대응하여 크레인에 반대 방향 회전 운동을 줌으로써, 크레인의 로울링 방향 요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중간빔(108a, 108b)에는 각각 한 쌍의 가이드면이 형성된다. 가이드면은 후술하는 제 2 자세 제어부의 피가이드 링크(204a, 204b, 204c, 204d)를 안내한다. 가이드면(110)은 액츄에이터가 신축하는 방향으로는 피가이드 링크(204a, 204b, 204c, 204d)가 미끄러지도록 형성되므로 제 1 자세 제어부의 상하 방향 운동은 제 2 자세 제어부에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나, 중간빔(108a, 108b)이 회전하면 중간빔(108a, 108b)의 가이드면(110)에 의해 안내되는 제 2 자세 제어부의 피가이드 링크(204a, 204b, 204c, 204d)도 따라서 동일한 각도 만큼 회전하기 때문에, 제 1 자세 제어부의 로울링 방향 회전 운동은 제 2 자세 제어부 나아가 크레인(2)에게 까지 전달된다.
도 5에는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1) 중 크레인(2)의 피칭 방향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제 2 자세 제어부가 더해진 상태가 개시되어 있다. 제 2 자세 제어부는 4 개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액츄에이터(201a, 201b, 201c, 201d)와, 이러한 액츄에이터(201a, 201b, 201c, 201d)에 그 일단이 링크(202a, 202b, 202c, 202d)를 거쳐 연결되며 제 1 자세 제어부의 중간빔(108a, 108b)의 가이드면(110)에 의해 안내되는 피가이드 링크(204a, 204b, 204c, 204d)를 포함한다.
피가이드 링크(204a, 204b, 204c, 204d)는 제 1 자세 제어부의 가이드면(110)에 면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러지면서 안내되기 때문에, 중간빔(108a, 108b)이 로울링 방향으로 회전하면, 피가이드 링크(204a, 204b, 204c, 204d)도 로울링 방향으로 회전한다.
피가이드 링크(204a, 204b, 204c, 204d)와 액츄에이터(201a, 201b, 201c, 201d) 사이에는 피가이드 링크(204a, 204b, 204c, 204d)가 로울링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링크(203a, 203b, 203c, 203d)가 삽입된다.
피가이드 링크(204b, 204d)의 상단은 각각 크레인(2)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피가이드 링크(204a, 204c)의 상단은 각각 크레인(2)에 링크(205a, 205b)를 거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각각 쌍을 이루는 액츄에이터(201a, 201b)(201c, 201d)가 동일 길이 만큼 신장되거나 수축되면 크레인(2)은 단순히 평행 이동 운동을 하지만, 각 쌍의 액츄에이터(201a, 201b)(201c, 201d)의 신장 혹은 수축 길이가 상이할 경우에는 크레인(2)은 평행 이동 운동과 더불어 피칭 방향으로 회전 운동도 하게 된다. 링크(205a)(205b)는 크레인(2)이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는 자유도를 주기 위해서 삽입되는 것이다. 이리하여, 제 2 자세 제어부는 부유체의 피칭 방향 회전에 대응하여 크레인에 반대 방향 회전 운동을 줌으로써, 크레인의 피칭 방향 요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1) 및 크레인(2)의 결합 구조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시한 사시도로써, 도 6은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1) 및 이 위에 장착된 크레인(2)을 뱃머리측 상방에서 본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7는 배의 측면 하방에서 본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8a 및 8b는 크레인 안정화 장치(1) 및 크레인(2)을 부유체(4)의 뱃머리에서 본 모습으로써, 크레인(2)이 로울링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제 1 자세 제어부의 전방에 위치한 액츄에이터(101b, 101d)가 신장하고 후방에 위 치한 액츄에이터(101a, 101c)가 수축함으로써, 크레인(2)은 도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반대로, 제 1 자세 제어부의 전방에 위치한 액츄에이터(101b, 101d)가 수축하고 후방에 위치한 액츄에이터(101a, 101c)가 신장함으로써, 크레인(2)은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8a 및 8b에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회전은 부유체에 있어서는 로울링 방향에 해당한다.
도 9a 및 9b는 크레인 안정화 장치(1) 및 크레인(2)을 부유체(4)의 측면에서 본 모습으로써, 크레인 안정화 장치(1)에 의해 크레인(2)이 피칭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제 2 자세 제어부의 좌측에 위치한 액츄에이터(101c, 101d)가 신장하고 우측에 위치한 액츄에이터(101a, 101b)가 수축함으로써, 크레인(2)은 도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반대로, 제 2 자세 제어부의 좌측에 위치한 액츄에이터(101c, 101d)가 수축하고 우측에 위치한 액츄에이터(101a, 101b)가 신장함으로써, 크레인(2)은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9a 및 9b에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회전은 부유체에 있어서는 피칭 방향에 해당한다.
도 10a 및 10b는 크레인 안정화 장치(1)에 의해 크레인(2)이 히빙 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모든 액츄에이터가 동일한 속도로 수직 상승할 경우 크레인(2)은 크레인 기초(3)에 대하여 히빙 방향으로 수직 상승한다. 반대로, 모든 액츄에이터가 동일한 속도로 수직 하강할 경우 크레인(2)은 크레인 기초(3)에 대하여 히빙 방향으로 수직 하강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안정화 장치는 부유체에 대하여 크레인을 로울링, 피칭 및 히빙 방향으로 상대 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유체가 파도에 의해 로울링, 피칭 및 히빙 방향으로 요동할 경우에도 크레인의 자세를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자세 제어부와 제 2 자세 제어부가 모두 크레인 기초부 위에 놓여졌지만, 제 2 자세 제어부를 제 1 자세 제어부 위에 위치시키는 구성을 취하더라도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자세 제어부 및 제 2 자세 제어부가 각각 4개의 액츄에이터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와 동일한 작동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액츄에이터의 수는 적절히 채택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구조물의 자세를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자세를 안정화하는 본 발명의 장치를 크레인에 적용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러한 기술사상에 기초한 자세 제어 장치는 임의 구조물에 대하여 자세를 제어하는 장치로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안정화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도 1은 선박 분야에서 사용되는 방향에 관한 용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가 부착된 크레인의 탑재된 부유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크레인 기초부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의 제 1 자세 제어부가 얹혀진 상태도이다.
도 5는 크레인 기초부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의 제 1 자세 제어부 및 제 2 자세 제어부가 얹혀진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 위에 크레인이 얹혀진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 위에 크레인이 얹혀진 모습을 아래 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정화 장치가 로울링 방향에 대하여 크레인을 회전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정화 장치가 피칭 방향에 대하여 크레인을 회전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정화 장치가 히빙 방향으로 크레인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 2: 크레인
3: 크레인 기초부 4: 부유체
6: 스프레더 101a, b, c, d: 액츄에이터
106a,b: 링크 108a,b: 중간빔
110: 가이드면 201a, b, c, d: 액츄에이터
203a,b,c,d: 링크 204a,b,c,d: 피가이드 링크
205a,b: 링크

Claims (14)

  1. 거더(girder)를 포함하는 크레인과, 상기 크레인이 얹혀지는 크레인 기초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크레인의 자세를 제어하는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기초부에 상기 크레인이 얹혀지는 방향 및 상기 거더의 연장 방향의 양 방향 모두에 수직한 제 1 방향에 대하여 상기 크레인을 회전시키는 제 1 자세 제어부와,
    상기 거더의 연장 방향인 제 2 방향에 대하여 상기 크레인을 회전시키는 제 2 자세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자세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크레인 기초부에 상기 크레인이 얹혀지는 방향으로 상기 크레인을 평행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세 제어부는,
    상기 크레인 기초부에 상기 크레인이 얹혀지는 방향으로 신축하는 두 쌍의 액츄에이터와,
    각 쌍의 상기 액츄에이터를 연결하는 두 개의 중간빔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빔은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빔의 일측은 상기 각 쌍의 상기 액츄에이터 중 어느 하나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중간빔의 타측은 상기 각 쌍의 상기 액츄에이터 중 다른 하나에 링크를 거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기초부에 상기 크레인이 얹혀지는 방향으로 신축하는 두 쌍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은 상기 제 2 방향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어느 한 쌍의 상기 액츄에이터에는 직접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한 쌍의 상기 액츄에이터에는 링크를 거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빔에는 한 쌍의 가이드 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자세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 면을 따라 미끄러져 이동하는 피가이드 링크와,
    상기 피가이드 링크에 링크를 거쳐 연결되는 추가의 두 쌍의 추가의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자세 제어부는 상기 제 1 자세 제어부 위에 얹혀져서 상기 제 1 자세 제어부의 이동 및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자세 제어부도 이동 및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
  8. 삭제
  9. 크레인 기초부와,
    크레인과,
    상기 크레인 기초부와 상기 크레인 사이에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를 구비하는
    화물 이송 장치.
  10. 제 9 항의 화물 이송 장치를 탑재한 부유체.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90130271A 2009-12-23 2009-12-23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과 크레인을 탑재한 부유체 및 구조물 자세 제어 장치 KR101173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271A KR101173566B1 (ko) 2009-12-23 2009-12-23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과 크레인을 탑재한 부유체 및 구조물 자세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271A KR101173566B1 (ko) 2009-12-23 2009-12-23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과 크레인을 탑재한 부유체 및 구조물 자세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102A KR20110073102A (ko) 2011-06-29
KR101173566B1 true KR101173566B1 (ko) 2012-08-13

Family

ID=44403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271A KR101173566B1 (ko) 2009-12-23 2009-12-23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과 크레인을 탑재한 부유체 및 구조물 자세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5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00392A1 (de) * 2017-01-11 2018-07-12 Thyssenkrupp Ag Wasserfahrzeug mit einem Bordkr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102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604B1 (ko) 해양수송 시스템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동 항구 및 이를 이용하는 화물 이송 방법
KR101198829B1 (ko) 선박의 계류 시스템, 이를 이용한 부유체, 이동항구 및 안벽
KR101235329B1 (ko) 횡요방지 탱크를 이용한 선박의 안정화 장치
KR101112156B1 (ko)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KR101245573B1 (ko) 모바일 하버 리프팅 시스템을 위한 댐핑 조인트 장치
KR101217527B1 (ko) 평형 유지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KR20100097583A (ko) 컨테이너선 간의 환적 시스템
KR101141593B1 (ko) 듀얼 붐 구조, 듀얼 붐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KR101141599B1 (ko) 크레인 및 이를 탑재한 선박
KR101173566B1 (ko) 크레인 자세 안정화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크레인과 크레인을 탑재한 부유체 및 구조물 자세 제어 장치
KR101112131B1 (ko) 듀얼 데크 선박
KR101089283B1 (ko)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 항구
KR101255683B1 (ko) 부유식 크레인
KR20100031833A (ko) 이동항구
KR101079654B1 (ko) 듀얼 가이드 크레인, 이를 장착한 선박 및 컨테이너 착지 방법
KR20110029919A (ko) 듀얼 붐 구조, 듀얼 붐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KR101135210B1 (ko) 플랫폼의 위치 유지를 위해 진동절연을 이용하는 이동 항구
KR100750223B1 (ko) 이동식 부유안벽
KR20110016740A (ko) 변형 가능 부유체
KR101266555B1 (ko) 와이어 조절에 의한 스프레더 자세 제어 크레인 및 스프레더 제어 방법
KR101112127B1 (ko) 안티모션 파운데이션
KR20120060380A (ko) 독립 구동 카운터 웨이트를 구비하는 크레인
KR101166716B1 (ko) 스마트 하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화물 하역 방법
KR101112126B1 (ko) 롤링 차단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부유체
KR101166714B1 (ko) 스마트 하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화물 하역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