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694B1 -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컨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694B1
KR102045694B1 KR1020187009601A KR20187009601A KR102045694B1 KR 102045694 B1 KR102045694 B1 KR 102045694B1 KR 1020187009601 A KR1020187009601 A KR 1020187009601A KR 20187009601 A KR20187009601 A KR 20187009601A KR 102045694 B1 KR102045694 B1 KR 102045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valve
cylinder
gas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9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3323A (ko
Inventor
지아 쉬
이영 덩
펭카이 완
유셩 후
셔빙 리앙
Original Assignee
그린 레프리저레이션 이큅먼트 엔지니어링 리서치 센터 오브 주하이 그리 씨오., 엘티디.
주하이 란다 컴프레서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 레프리저레이션 이큅먼트 엔지니어링 리서치 센터 오브 주하이 그리 씨오., 엘티디., 주하이 란다 컴프레서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그린 레프리저레이션 이큅먼트 엔지니어링 리서치 센터 오브 주하이 그리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80053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1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similar working princip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18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varying the volume of the working chamber
    • F04C28/22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varying the volume of the working chamber by changing the eccentricity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28Safety arrangements;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50)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50)는 제1 실린더 그룹(10)과 제2 실린더 그룹(20)을 포함하며, 제1 실린더 그룹(10)은 제1 슬라이딩 슬롯(12) 및 제1 슬라이딩 슬롯(12)과 연통되고 고압 가스가 유입되는 제1 스루홀(12a)을 구비하는 제1 실린더(11); 편심 설치되는 제1 롤러(30)의 외주면과 저촉하고 위치결정홈(15)을 구비하는 제1 슬라이딩 베인(14); 상단부가 제1 스루홀(12a)과 연통되고, 하단부가 고압 가스 또는 저압 가스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어 로크 위치 또는 언로크 위치를 가지게 되는 로킹 수단(16)을 포함하고, 제2 실린더 그룹(20)은 편심 설치되는 제2 롤러(40)의 외주면과 항상 저촉되는 제2 슬라이딩 베인(23)을 포함한다. 상기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50)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컨 시스템은 이중 가변 용량 모드와 단일 가변 용량 모드를 안정하게 전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컨 시스템
본 발명은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가에서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에 대한 요구가 날로 향상됨에 따라, 기존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는 가스 보충에 의한 엔탈피 증가를 통해 저온 난방 능력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여 에어컨의 난방 능력이 요구에 만족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는 고압 실린더와 저압 실린더를 통해 압축을 수행하므로, 부하가 큰 동작 모드(명의 냉방, 명의 난방, 국가 표준 동작 모드, 저온 동작 모드 등)에서는 압력비가 크다. 이중 압축을 이용하면 압력비를 효과적으로 분배하여 고압 실린더와 저압 실린더가 모두 합리적으로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에어컨 시스템의 경부하 동작 모드(예컨대 IPLV 동작 모드, 중간 동작 모드 등)에서는, 가변 용량 수단을 통해 중저압 전환을 하여 단일 실린더에 의한 단일 가변 용량 작동을 구현함으로써 경부하 동작 모드에서 작동할 때 효율이 낮은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나, 중저압 전환은 동작 모드의 영향을 크게 받고, 핀의 오작동으로 인해 전환이 실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존 방안에서 실린더의 슬라이딩 슬롯의 말단부는 격판 가스 가이드 슬롯 및 하부 실린더의 가스 가이드 슬롯을 통해 중간 챔버와 연통되고, 가변 용량 수단에 의해 중저압 전환을 수행한다. 이중 작동 모드에서, 중간 챔버는 중압이고, 핀이 받는 압력차는 중압과 저압의 압력차이다. 동작 모드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중저압 압력차가 스프링력보다 작아 이중 모드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우려가 있을 수 있다.
기존 압축기는 슬라이딩 베인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로킹 수단을 가지고 있다. 그 중 하나의 방법은 전자기를 온오프하여 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인데, 전자석을 장착해야 하고 그 신뢰성이 중요하며 압축기의 전체 구조 및 제어가 복잡하고, 다른 하나의 방법은 핀 말단부의 흡기 압력, 배기 압력을 전환하고 스프링력과 함께 핀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슬라이딩 베인을 로크하거나 또는 슬라이딩 베인을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하는 것인데 스프링이 핀의 헤드부에 설치되어 위치 제한구조를 증가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며, 또한 저배압에서 작동하는 압축기에만 적용되고 슬라이딩 베인의 말단부에 반드시 스프링을 장착해야 하며, 또 하나의 방법은 분리 실린더의 슬라이딩 슬롯의 말단부가 밀봉 구조이고, 슬라이딩 슬롯의 말단부의 압력을 전환함으로써 슬라이딩 베인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인데, 핀은 압력차가 있는 경우에만 슬라이딩 베인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고, 하부 플랜지에 장착되는 핀은 그 장착이 복잡하며, 하부 플랜지의 소음 챔버 내에 장착하여 소음기를 통해 위치 제한하는 방법은 소음기의 경도에 대한 요구가 높다. 또한, 이 특허에서는 슬라이딩 베인의 윤활과 밀봉을 확보하기 위해 유조로부터 고압 오일을 인입하여 고압으로 사용하지만, 오일이 슬라이딩 슬롯에 축적되어 슬라이딩 베인의 작동 과정에서 전력 소비가 증가되는 우려가 동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단일-이중 가변 용량의 전환이 안정적이고 안전한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실린더 그룹과 제2 실린더 그룹을 포함하는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에 있어서, 제1 실린더 그룹은 제1 슬라이딩 슬롯 및 제1 슬라이딩 슬롯과 연통되고 제1 실린더의 반경방향을 따라 제1 실린더의 벽면에 설치되어 고압 가스를 유입하는 제1 스루홀을 구비하는 제1 실린더; 제1 슬라이딩 슬롯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편심 설치되는 제1 롤러의 외주면과 저촉되며, 위치결정홈을 구비하는 제1 슬라이딩 베인; 상단부가 제1 스루홀과 연통되고, 하단부가 고압 가스 또는 저압 가스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어 위치결정홈에 삽입되어 제1 슬라이딩 베인을 제1 롤러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떨어지는 곳에 로크하는 로크 위치 또는 위치결정홈에서 이탈되는 언로크 위치를 가지게 되는 로킹 수단을 포함하며, 제2 실린더 그룹은 제2 슬라이딩 슬롯이 설치되어 있는 제2 실린더; 제2 슬라이딩 슬롯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편심 설치되는 제2 롤러의 외주면과 항상 저촉되는 제2 슬라이딩 베인을 포함하는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를 제공한다.
나아가, 로킹 수단은 상단부가 제1 스루홀과 연통되고 하단부가 고압 가스 또는 저압 가스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는 핀을 포함한다.
나아가, 제1 실린더는 연통되는 흡기구와 메인 흡기구, 핀의 하단부에 저촉되는 엘라스토머를 구비하며, 핀의 하단부는 흡기구와 연통되고, 흡기구는 고압 가스 또는 저압 가스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실린더 그룹은 제1 실린더 아래에 설치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며, 플랜지는 위치결정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의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장착홈이 개설되어 있고, 핀은 장착홈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나아가, 플랜지는 흡기구를 통해 제1 슬라이딩 슬롯과 연통되는 가스 가이드 홀을 구비한다.
나아가, 제1 실린더 그룹은 플랜지의 바닥부에 연결되는 하부 커버판을 더 포함하며, 하부 커버판은 가스 가이드 슬롯을 구비하고, 흡기구는 플랜지의 가스 가이드 홀 및 가스 가이드 슬롯을 통해 핀의 하단부와 연통된다.
나아가, 플랜지의 소음 챔버의 측벽에는 제2 실린더의 흡기구와 연통되는 제3 스루홀이 개설되어 있다.
나아가, 제1 실린더에는 스루홀이 설치되어 있고, 플랜지에는 플랜지의 소음 챔버와 연통되는 연결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스루홀은 플랜지의 소음 챔버와 연통된다.
나아가, 플랜지에는 제4 스루홀과 제5 스루홀이 개설되어 있고, 하부 커버판은 가스 가이드 슬롯을 구비하며, 제4 스루홀은 제5 스루홀 및 제1 실린더 그룹의 하부 커버판의 가스 가이드 슬롯을 통해 핀의 하단부와 연통되고, 제4 스루홀은 고압 가스 또는 저압 가스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실린더는 제2 실린더의 반경방향을 따라 제2 실린더의 벽면에 설치되어 고압 가스를 유입하는 제6 스루홀을 구비하며, 제6 스루홀은 제2 슬라이딩 슬롯과 연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를 포함하는 에어컨 시스템을 제공한다.
나아가, 에어컨 시스템은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와 연통되는 엔탈피 증가 장치, 압력 안정 장치와 분주기 및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 엔탈피 증가 장치, 압력 안정 장치, 분주기 사이의 관로를 온오프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여 로킹 수단의 하단부가 고압 가스 또는 저압 가스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밸브는 엔탈피 증가 장치의 입구와 분주기 입구 사이의 관로와 연통되는 제1 가스 보충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A); 엔탈피 증가 장치의 입구와 분주기 입구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B);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의 출구와 압력 안정 장치의 입구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C); 압력 안정 장치의 입구와 분주기 출구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D); 엔탈피 증가 장치의 출구와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 사이를 연통하는 제2 가스 보충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E)를 포함하며, 제1 가스 보충 관로는 밸브(B)와 엔탈피 증가 장치의 입구 사이의 관로와 연통되고, 압력 안정 장치의 출구는 제1 실린더의 흡기구와 연통되며, 압력 안정 장치의 입구는 밸브(C)와 밸브(D) 사이를 연통하는 관로와 연통되고, 제2 가스 보충 관로는 제2 실린더의 흡기구와 연통되는 제3 가스 보충 관로 및 제1 실린더 그룹의 플랜지의 소음 챔버와 연통되는 제4 가스 보충 관로를 포함하며, 밸브(E)는 제4 가스 보충 관로에 설치된다.
나아가, 밸브는 엔탈피 증가 장치의 입구와 분주기 입구 사이의 관로와 연통되는 제1 가스 보충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A); 엔탈피 증가 장치의 입구와 분주기 입구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B);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의 출구와 압력 안정 장치의 입구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C); 압력 안정 장치의 입구와 분주기 출구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D)를 포함하며, 그 중 제1 가스 보충 관로는 밸브(B)와 엔탈피 증가 장치의 입구 사이의 관로와 연통되고, 압력 안정 장치의 입구는 밸브(C)와 밸브(D) 사이를 연동하는 관로와 연통되며, 제1 실린더의 흡기구는 압력 안정 장치의 출구 또는 분주기 출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나아가, 밸브는 엔탈피 증가 장치의 입구와 분주기 입구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는 3방향 밸브인 밸브(F);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와 분주기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고 압력 안정 장치의 입구와 연통되는 3방향 밸브인 밸브(G); 엔탈피 증가 장치의 출구와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 사이를 연통하는 제2 가스 보충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E)를 포함하며, 그 중 밸브(F)의 출구는 엔탈피 증가 장치의 입구와 연통되고, 밸브(F)의 제1 입구는 분주기 입구와 연통되며, 밸브(F)의 제2 입구는 제1 가스 보충 관로와 연통되고, 밸브(G)의 제1 입구는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의 출구와 연통되며, 밸브(G)의 제2 입구는 분주기 출구와 연통되고, 밸브(G)의 출구는 압력 안정 장치의 입구와 연통되며, 압력 안정 장치의 출구는 제1 실린더의 흡기구와 연통되고, 제2 가스 보충 관로는 제2 실린더의 흡기구와 연통되는 제3 가스 보충 관로 및 제1 실린더의 배기구와 연통되는 제4 가스 보충 관로를 포함하며, 밸브(E)는 제4 가스 보충 관로에 설치된다.
나아가, 밸브는 엔탈피 증가 장치의 입구와 분주기 입구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는 3방향 밸브인 밸브(F);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와 분주기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고 압력 안정 장치의 입구와 연통되는 3방향 밸브인 밸브(G)를 포함하며, 그 중 밸브(F)의 출구는 엔탈피 증가 장치의 입구와 연통되고, 밸브(F)의 제1 입구는 분주기 입구와 연통되며, 밸브(F)의 제2 입구는 제1 가스 보충 관로와 연통되고, 밸브(G)의 제1 입구는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의 출구와 연통되며, 밸브(G)의 제2 입구는 분주기 출구와 연통되고, 밸브(G)의 출구는 압력 안정 장치의 입구와 연통되며, 제1 실린더의 흡기구는 압력 안정 장치의 출구 또는 분주기 출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따르면, 제1 실린더의 벽면에 제1 스루홀이 개설되어 있고 제1 스루홀을 통해 고압 가스를 유입함으로써, 로킹 수단의 상단부의 가스 압력이 고압이다. 로킹 수단의 하단부는 고압 가스 또는 저압 가스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으므로, 로킹 수단 하단부의 가스 압력이 고압 가스와 저압 가스 사이에서 전환된다. 로킹 수단이 받는 압력차는 고압과 저압의 압력차이고, 고저압 전환을 하여 이중-단일 가변 용량 모드를 안정하게 전환함으로써 기존 기술에서 단일-이중 가변 용량 전환을 수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출원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도면의 간단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도록 제공한 것이며,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의 제1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의 제2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의 제3 실시예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의 이중 가변 용량 작동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의 단일 가변 용량 작동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이중 가변 용량 작동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단일 가변 용량 작동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시스템의 제3 실시예의 이중 가변 용량 작동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시스템의 제3 실시예의 단일 가변 용량 작동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시스템의 제4 실시예의 이중 가변 용량 작동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시스템의 제4 실시예의 단일 가변 용량 작동 구성도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 및 실시예의 특징은 충돌되지 않는 전제하에 상호 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고 실시예에 결부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를 제공한다.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는 제1 실린더 그룹(10)과 제2 실린더 그룹(20)을 포함하며, 제1 실린더 그룹(10)과 제2 실린더 그룹(20)은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그 중, 제1 실린더 그룹(10)은 제1 슬라이딩 슬롯(12)과 제1 스루홀(12a)을 구비하는 제1 실린더(11)를 포함한다. 제1 스루홀(12a)은 제1 슬라이딩 슬롯(12)과 연통되고, 제1 실린더(11)의 반경방향을 따라 제1 실린더(11)의 벽면에 설치되어 고압 가스를 유입한다. 제1 슬라이딩 베인(14)은 제1 슬라이딩 슬롯(1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편심 설치되는 제1 롤러(30)의 외주면과 저촉되며, 위치결정홈(15)을 구비한다. 로킹 수단(16)은 상단부가 제1 스루홀(12a)과 연통되고, 하단부가 고압 가스 또는 저압 가스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어 위치결정홈(15)에 삽입되어 제1 슬라이딩 베인을 제1 롤러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떨어지는 곳에 로크하는 로크 위치 또는 위치결정홈(15)에서 이탈되는 언로크 위치를 가지게 된다. 로킹 수단(16)이 제1 슬라이딩 베인(14)을 로크하면, 제1 실린더(11)가 공회전하고 작동하지 않는다. 로킹 수단(16)이 제1 슬라이딩 베인(14)에서 이탈되면, 제1 슬라이딩 베인(14)이 제1 롤러(30)의 외주면에 저촉하게 되고, 제1 실린더가 작동하게 된다.
제2 실린더 그룹(20)은 제2 실린더(21)와 제2 슬라이딩 베인(23)을 포함한다. 제2 실린더(21)에는 제2 슬라이딩 슬롯(22)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2 슬라이딩 베인(23)은 제2 슬라이딩 슬롯(2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편심 설치되는 제2 롤러(40)의 외주면과 항상 저촉된다. 제2 실린더(21)는 기동 시 및 작동 과정에서 항상 작동 상태에 처해 있다.
제1 실린더(11)의 벽면에 제1 스루홀(12a)이 개설되어 있고 제1 스루홀(12a)을 통해 고압 가스를 유입하므로, 로킹 수단(16) 상단부의 가스 압력이 고압이다. 로킹 수단(16)의 하단부는 고압 가스 또는 저압 가스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으므로, 로킹 수단(16) 하단부의 가스 압력은 고압 가스와 저압 가스 사이에서 전환된다. 로킹 수단(16)이 받는 압력차는 고압과 저압의 압력차이고, 고저압 전환을 하여 이중 가변 용량 모드와 단일 가변 용량 모드를 안정하게 전환함으로써 기존 기술에서 단일-이중 가변 용량 전환을 진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제1 슬라이딩 슬롯(12)은 하우징의 고압과 연통되어 슬라이딩 베인의 말단부에 엘라스토머를 장착할 필요가 없고, 별도의 오일 공급 통로를 설치하지 않아도 슬라이딩 베인이 움직일 때 요구되는 윤활 작용을 만족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슬롯은 오일이 축적되어 전력 소비를 증가하는 우려가 없다. 고압 가스 또는 저압 가스가 로킹 수단(16) 하단부에 유입되어 압력을 전환함으로써, 로킹 수단을 단순화시키고 가공 난이도와 생산 원가를 낮추었다.
나아가, 로킹 수단(16)은 핀(16a)과 엘라스토머(16b)를 포함한다. 핀(16a)의 상단부는 제1 스루홀(12a)과 연통되고, 핀(16a)의 하단부는 고압 가스 또는 저압 가스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다. 제1 실린더(11)는 흡기구(13b)와 메인 흡기구(13a)를 구비하며, 핀(16a)의 하단부는 흡기구(13b)와 연통되고, 흡기구(13b)는 고압 가스 또는 저압 가스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다. 엘라스토머(16b)는 핀(16a)의 하단부에 저촉된다. 엘라스토머(16b)는 핀(16a) 아래에 설치되고 핀(16a)에 대해 위로 향하는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핀의 헤드부는 스프링 위치 제한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린더 그룹(10)은 제1 실린더(11) 아래에 설치되는 플랜지(17)를 더 포함하며, 플랜지(17)는 위치결정홈(15)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의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장착홈(18)이 개설되어 있고, 핀(16a)은 장착홈(18)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7)는 흡기구(13b)를 통해 제1 슬라이딩 슬롯(12)과 연통되는 플랜지 가스 가이드 홀(17a)을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린더 그룹(10)은 플랜지(17)의 바닥부에 연결되는 하부 커버판(19)을 더 포함하며, 하부 커버판(19)은 하부 커버판의 가스 가이드 슬롯(19a)을 구비하고, 흡기구(13b)는 플랜지 가스 가이드 홀(17a) 및 하부 커버판의 가스 가이드 슬롯(19a)을 통해 핀(16a)의 하단부와 연통된다.
나아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7)의 소음 챔버 측벽에는 제3 스루홀(17d)이 개설되어 있고, 제3 스루홀(17d)은 제2 실린더(21)의 흡기구와 연통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린더(11)에는 스루홀(11a)이 더 설치되어 있고, 플랜지(17)에는 소음 챔버와 연통되는 연결홀(17e)이 설치되어 있으며, 스루홀(11a)은 플랜지(17)의 소음 챔버와 연통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7)에는 제4 스루홀(17b)과 제5 스루홀(17c)이 개설되어 있고, 하부 커버판(19)은 가스 하부 커버판의 가이드 슬롯(19a)을 구비하며, 제4 스루홀(17b)은 제5 스루홀(17c) 및 하부 커버판의 가스 가이드 슬롯(19a)을 통해 핀(16a)의 하단부와 연통되고, 제4 스루홀(17b)은 고압 가스 또는 저압 가스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다.
나아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린더(21)는 제6 스루홀(24)을 구비하며, 제6 스루홀(24)은 제2 실린더(21)의 반경방향을 따라 제2 실린더(21)의 벽면에 설치되어 고압 가스를 유입하고, 제6 스루홀(24)은 제2 슬라이딩 슬롯(22)과 연통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50)를 포함하는 에어컨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50)는 상기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와 동일하다.
도 6 내지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 시스템은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50)와 연통되는 엔탈피 증가 장치(60), 압력 안정 장치(70)와 분주기(80) 및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50), 엔탈피 증가 장치(60), 압력 안정 장치(70)와 분주기(80) 사이의 관로를 온오프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여 로킹 수단(16)의 하단부가 고압 가스 또는 저압 가스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1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딩 슬롯(12)의 말단부는 제1 스루홀(12a)을 통해 하우징 내부의 고압과 연통된다. 흡기구(13b)는 제1 실린더(11)의 흡기구(13a)와 연통되고, 플랜지 가스 가이드 홀(17a) 및 하부 커버판의 가스 가이드 슬롯(19a)을 통해 엘라스토머(16b)가 충전되어 있는 핀(16a)의 하단부와 연통된다. 이중 작동 모드에서, 핀(16a)의 상단부는 하우징의 고압이고, 핀(16a)의 하단부는 제1 실린더(11), 즉 하부 실린더의 흡기 압력이며, 핀(16a)이 받는 압력차는 고압과 저압의 압력차이고, 핀(16a)이 해제되면 제1 슬라이딩 베인(14)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는 플랜지(17)의 소음 챔버 측벽에 제3 스루홀(17d)이 개설되고, 제1 실린더(11)의 배출가스, 즉 1차 실린더의 배출가스는 제3 스루홀(17d)을 거쳐 외부의 엔탈피 증가 장치(60)와 연통되며, 엔탈피 증가 가스와 혼합된 후 제2 실린더(21)의 흡기구를 통해 제2 실린더(21)의 흡기 챔버로 들어가 2차 압축을 수행한다.
단일 가변 용량 작동 모드에서, 제1 실린더(11)의 흡기구(13b)의 압력은 버랙터에 의해 고압으로 전환되는데, 즉 핀(16a)의 헤드부인 상단부와 핀(16a)의 말단부인 하단부가 모두 고압이고, 핀(16a)이 스프링력의 작용하에 위로 움직여 제1 실린더(11)의 제1 슬라이딩 베인(14)을 로크하며, 제1 실린더(11), 즉 하부 실린더가 분리된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1 실린더(11)의 제1 슬라이딩 슬롯(12)의 말단부는 제1 스루홀(12a)을 통해 하우징 내부의 고압과 연통된다. 플랜지(17)에 제4 스루홀(17b)과 제5 스루홀(17c)을 더 설치하며, 그 중 제4 스루홀(17b)은 직접 외부의 완충 챔버와 연결되고, 제5 스루홀(17c)을 통해 하부 커버판의 가스 가이드 슬롯(19a)과 연결되며, 핀(16a)의 하단부와 연통된다. 이중 작동 모드에서, 핀(16a)의 헤드부인 상단부는 하우징의 고압이고, 핀(16a)의 말단부인 하단부는 흡기 압력이며, 핀(16a)이 받은 압력차는 고압과 저압의 압력차이고, 핀이 해제되면 제1 슬라이딩 베인(14)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1차 실린더의 배출가스, 즉 제1 실린더(11)의 배출가스는 1차 배출가스 통로를 거쳐 제2 실린더(21)의 흡기구를 통해 상부 실린더의 흡기 챔버, 즉 제1 실린더(11)의 흡기 챔버로 들어가 2차 압축을 수행한다.
단일 가변 용량 작동 모드에서, 플랜지(17)의 제4 스루홀(17b)의 압력은 버랙터에 의해 고압으로 전환되는데, 즉 핀의 헤드부와 말단부가 모두 고압이고, 핀이 스프링력의 작용하에 위로 움직여 하부 실린더의 슬라이딩 베인을 로크하며, 하부 실린더가 분리된다.
여기서,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는 엔탈피 증가 장치(60)의 입구와 분주기(80) 입구 사이의 관로와 연통되는 제1 가스 보충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A); 엔탈피 증가 장치(60)의 입구와 분주기(80) 입구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B);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50)의 출구와 압력 안정 장치(70)의 입구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C); 압력 안정 장치(70)의 입구와 분주기(80)의 출구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D); 엔탈피 증가 장치(60)의 출구와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50) 사이를 연통하는 제2 가스 보충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E)를 포함하며, 제1 가스 보충 관로는 밸브(B)와 엔탈피 증가 장치(60)의 입구 사이의 관로와 연통되고, 압력 안정 장치(70)의 출구는 제1 실린더(11)의 흡기구(13b)와 연통되며, 압력 안정 장치(70)의 입구는 밸브(C)와 밸브(D) 사이를 연통하는 관로와 연통되고, 제2 가스 보충 관로는 제2 실린더(21)의 흡기구와 연통되는 제3 가스 보충 관로 및 제1 실린더(11)의 배기구와 연통되는 제4 가스 보충 관로를 포함하며, 밸브(E)는 제4 가스 보충 관로에 설치된다.
또는, 도 8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는 엔탈피 증가 장치(60)의 입구와 분주기(80) 입구 사이의 관로와 연통되는 제1 가스 보충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A); 엔탈피 증가 장치(60)의 입구와 분주기(80) 입구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B);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50)의 출구와 압력 안정 장치(70)의 입구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C); 압력 안정 장치(70)의 입구와 분주기(80)의 출구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D)를 포함하며, 그 중 제1 가스 보충 관로는 밸브(B)와 엔탈피 증가 장치(60)의 입구 사이의 관로와 연통되고, 압력 안정 장치(70)의 입구는 밸브(C)와 밸브(D) 사이를 연통하는 관로와 연통되며, 제1 실린더(11)의 흡기구(13b)는 압력 안정 장치(70)의 출구 또는 분주기(80)의 출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가변 용량 작동 모드에서는 밸브(A), 밸브(D)와 밸브(E)가 열리고, 밸브(B)와 밸브(C)가 닫힌다. 제1 슬라이딩 슬롯(12)의 말단부는 개방 구조로서 하우징의 고압과 연통되고, 제1 슬라이딩 베인(14)을 로크하는 핀(16a)의 하단부는 직접 1차 실린더, 즉 제1 실린더(11)의 흡기구(13b)와 연통된다. 제1 실린더(11)의 흡기구(13b)는 밸브(D)가 열림으로써 흡기 압력과 연통되고, 핀(16a)은 고저압 압력차의 작용하에 아래로 움직이게 되어 제1 슬라이딩 베인(14)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제1 실린더(11)에 의해 압축되어 형성한 중압 배출가스는 밸브(E)가 열림으로써 엔탈피 증가 장치(60)에서 밸브(A)를 거친 중압 보충 가스와 혼합된 후 제2 실린더(21)의 흡기구로 들어가고, 제2 실린더(21)에 의해 중압 가스를 압축하여 형성한 고압 배출가스는 압축기의 하우징 내부의 배기관으로 들어가 에어컨 시스템에 배출됨으로써 이중 가변 용량 작동 모드가 구현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가변 용량 작동 모드에서는 밸브(A), 밸브(D)와 밸브(E)가 닫히고, 밸브(B)와 밸브(C)가 열린다. 제1 슬라이딩 슬롯(12)의 말단부는 개방 구조로서 하우징의 고압과 연통되고, 제1 슬라이딩 베인(14)을 로크하는 핀(16a)의 하단부는 제1 실린더(11)의 흡기구(13b)와 연통되며, 제1 실린더(11)의 흡기구(13b)는 밸브(C)가 열림으로써 고압 가스와 연통되고, 핀(16a)은 엘라스토머(16b), 즉 스프링력의 작용하에 위로 움직여 제1 슬라이딩 베인(14)을 로킹하며 제1 실린더(11)가 분리된다. 저압 가스는 밸브(B)를 거쳐 제2 실린더(21)의 흡기구로 들어가고,제2 실린더(21)에 의해 저압 가스를 압축하여 형성한 고압 배출가스는 압축기의 하우징 내부의 배기관으로 들어가 에어컨 시스템에 배출됨으로써 단일 가변 용량 작동 모드가 구현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가변 용량 작동 모드에서는 밸브(A)와 밸브(D)가 열리고, 밸브(B)와 밸브(C)가 닫힌다. 제1 슬라이딩 슬롯(12)의 말단부는 개방 구조로서 하우징의 고압과 연통되며, 제1 슬라이딩 베인(14)을 로크하는 핀(16a)의 하단부는 1차 실린더, 즉 제1 실린더(11)의 흡기구(13b)와 연통하지 않고 밸브(D)가 열림으로써 흡기 압력과 연통된다. 핀(16a)은 고저압 압력차의 작용하에 아래로 움직여 제1 슬라이딩 베인(14)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제1 실린더(11)의 흡기구(13b)는 직접 분주기(80)와 연통되고, 1차 실린더, 즉 제1 실린더(11)에 의해 압축되어 형성한 중압 배출가스는 펌프 격판을 통해 엔탈피 증가 장치(60)에서 밸브(A)를 거친 중압 보충 가스와 혼합된 후 제2 실린더(21)의 흡기구로 들어가며, 제2 실린더(21)에 의해 중압 가스를 압축하여 형성한 고압 배출가스는 압축기의 하우징 내부의 배기관으로 들어가 에어컨 시스템에 배출됨으로써 이중 가변 용량 작동 모드가 구현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가변 용량 작동 모드에서는 밸브(A)와 밸브(D)가 닫히고, 밸브(B)와 밸브(C)가 열린다. 제1 슬라이딩 슬롯(12)의 말단부는 개방 구조로서 하우징의 고압과 연통되며, 제1 슬라이딩 베인(14)을 로크하는 핀(16a)의 하단부는 제1 실린더(11)의 흡기구(13b)와 연통하지 않고 밸브(C)가 열림으로써 고압 가스와 연통되며, 핀(16a)은 스프링력의 작용하에 위로 움직여 제1 슬라이딩 베인(14)을 로킹하고, 제1 실린더(11)가 분리된다. 제1 실린더(11)의 흡기구(13b)는 분주기(80)와 연통되고, 제1 실린더(11)의 저압 가스와 밸브(B)를 거친 저압 가스는 고압 실린더의 흡기구로 들어가며, 제2 실린더(21)에 의해 저압 가스를 압축하여 형성한 고압 배출가스는 압축기의 하우징 내부의 배기관으로 들어가 에어컨 시스템에 배출됨으로써 단일 가변 용량 작동 모드가 구현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장착이 편리하도록 각각 3방향 밸브 또는 4방향 밸브로 밸브(A)와 밸브(B), 밸브(C)와 밸브(D)를 대체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밸브는 엔탈피 증가 장치(60)의 입구와 분주기(80) 입구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는 3방향 밸브인 밸브(F);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50)와 분주기(80)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고 압력 안정 장치(70)의 입구와 연통되는 3방향 밸브인 밸브(G); 엔탈피 증가 장치(60)의 출구와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50) 사이를 연통하는 제2 가스 보충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E)를 포함하며, 밸브(F)의 출구는 엔탈피 증가 장치(60)의 입구와 연통되고, 밸브(F)의 제1 입구는 분주기(80) 입구와 연통되며, 밸브(F)의 제2 입구는 제1 가스 보충 관로와 연통되고, 밸브(G)의 제1 입구는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50)의 출구와 연통되며, 밸브(G)의 제2 입구는 분주기(80)의 출구와 연통되고, 밸브(G)의 출구는 압력 안정 장치(70)의 입구와 연통되며, 압력 안정 장치(70)의 출구는 제1 실린더(11)의 흡기구(13b)와 연통되고, 제2 가스 보충 관로는 제2 실린더(21)의 흡기구와 연통되는 제3 가스 보충 관로 및 제1 실린더(11)의 배기구와 연통되는 제4 가스 보충 관로를 포함하며, 밸브(E)는 제4 가스 보충 관로에 설치된다.
또는, 밸브는 엔탈피 증가 장치(60)의 입구와 분주기(80) 입구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는 3방향 밸브인 밸브(F);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50)와 분주기(80)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고 압력 안정 장치(70)의 입구와 연통되는 3방향 밸브인 밸브(G)를 포함하며, 그 중 밸브(F)의 출구는 엔탈피 증가 장치(60)의 입구와 연통되고, 밸브(F)의 제1 입구는 분주기(80)의 입구와 연통되며, 밸브(F)의 제2 입구는 제1 가스 보충 관로와 연통되고, 밸브(G)의 제1 입구는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50)의 출구와 연통되며, 밸브(G)의 제2 입구는 분주기(80)의 출구와 연통되고, 밸브(G)의 출구는 압력 안정 장치(70)의 입구와 연통되며, 제1 실린더(11)의 흡기구(13b)는 압력 안정 장치(70)의 출구 또는 분주기(80)의 출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중 엔탈피 증가 압축 기술을 통해 저온 난방 능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가변 용량 전환 수단을 통해 고저압을 전환하여 이중-단일 가변 용량 모드를 안정적으로 전환함으로써, 경부하 동작 모드에서의 에어컨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키다. 이 기술방안은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가 경부하 동작 모드에서 작동할 때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의 경부하 동작 모드에서의 효율 결함을 보완하여 안정적으로 단일 가변 용량 모드로 전환하지 못하고 분리 실린더의 슬라이딩 슬롯에 오일이 축적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 슬롯(12)과 제2 슬라이딩 슬롯(22)은 모두 개방 구조로서 하우징의 고압과 연통되고, 신뢰성이 더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제1 실린더(11)의 벽면에 제1 스루홀(12a)이 개설되어 있고, 제1 스루홀(12a)을 통해 고압 가스를 유입함으로써, 로킹 수단(16)의 상단부의 가스 압력이 고압이다. 로킹 수단(16)의 하단부는 고압 가스 또는 저압 가스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으므로, 로킹 수단(16)의 하단부의 가스 압력이 고압 가스와 저압 가스 사이에서 전환하게 되고, 가스 압력차가 있는 경우 이중 작동하게 되고, 가스 압력차가 없는 경우 핀이 슬라이딩 베인을 로킹하여 단일 가변 용량 작동이 구현된다. 로킹 수단(16)이 받는 압력차는 고압과 저압의 압력차이고, 고저압 전환을 하여 이중 가변 용량 모드와 단일 가변 용량 모드를 안정하게 전환함으로써 기존 기술에서 단일-이중 가변 용량 전환을 수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였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에서 각종 변경과 변화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정신과 원칙 내에서 실시한 모든 수정, 등가의 치환,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6)

  1.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50)를 포함하고,
    상기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50)와 연통되는 엔탈피 증가 장치(60), 압력 안정 장치(70)와 분주기(80) 및 상기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50), 엔탈피 증가 장치(60), 압력 안정 장치(70)와 분주기(80) 사이의 관로를 온오프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여 로킹 수단(16)의 하단부가 고압 가스 또는 저압 가스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50)는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실린더 그룹(10)과 제2 실린더 그룹(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린더 그룹(10)은,
    제1 슬라이딩 슬롯(12) 및 제1 슬라이딩 슬롯(12)과 연통되고 제1 실린더(11)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실린더(11)의 벽면에 설치되어 고압 가스를 유입하는 제1 스루홀(12a)을 구비하는 제1 실린더(11);
    상기 제1 슬라이딩 슬롯(1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편심 설치되는 제1 롤러(30)의 외주면과 저촉되며, 위치결정홈(15)을 구비하는 제1 슬라이딩 베인(14);
    상단부가 상기 제1 스루홀(12a)과 연통되고, 하단부가 고압 가스 또는 저압 가스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어 상기 위치결정홈(15)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 베인을 상기 제1 롤러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떨어지는 곳에 로킹하는 로크 위치 또는 상기 위치결정홈(15)에서 이탈되는 언로크 위치를 가지게 되는 상기 로킹 수단(16)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실린더 그룹(20)은
    제2 슬라이딩 슬롯(22)이 설치되어 있는 제2 실린더(21);
    상기 제2 슬라이딩 슬롯(2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편심 설치되는 제2 롤러(40)의 외주면과 항상 저촉되는 제2 슬라이딩 베인(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수단(16)은 상단부가 상기 제1 스루홀(12a)과 연통되고, 하단부가 고압 가스 또는 저압 가스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는 핀(16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린더(11)는,
    연통되는 흡기구(13b)와 메인 흡기구(13a);
    상기 핀(16a)의 하단부에 저촉되는 엘라스토머(16b)를 포함하며,
    상기 핀(16a)의 하단부는 상기 흡기구(13b)와 연통되고, 상기 흡기구(13b)는 고압 가스 또는 저압 가스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린더 그룹(10)은 상기 제1 실린더(11) 아래에 설치되는 플랜지(17)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17)는 상기 위치결정홈(15)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의 축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장착홈(18)이 개설되어 있고, 상기 핀(16a)은 상기 장착홈(18)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7)는 상기 흡기구(13b)를 통해 상기 제1 슬라이딩 슬롯(12)과 연통되는 플랜지 가스 가이드 홀(17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린더 그룹은 상기 플랜지(17)의 바닥부에 연결되는 하부 커버판(19)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커버판(19)은 하부 커버판의 가스 가이드 슬롯(19a)을 구비하고, 상기 흡기구(13b)는 상기 플랜지 가스 가이드 홀(17a) 및 상기 하부 커버판의 가스 가이드 슬롯(19a)을 통해 상기 핀(16a)의 하단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7)의 소음 챔버의 측벽에 제3 스루홀(17d)이 개설되고, 상기 제3 스루홀(17d)은 상기 제2 실린더(21)의 흡기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린더(11)에는 스루홀(11a)이 더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17)에는 상기 플랜지(17)의 소음 챔버와 연통되는 연결홀(17e)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루홀(11a)은 상기 플랜지(17)의 소음 챔버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7)에는 제4 스루홀(17b)과 제5 스루홀(17c)이 개설되어 있고, 상기 제1 실린더 그룹(10)의 하부 커버판(19)은 하부 커버판의 가스 가이드 슬롯(19a)을 구비하며, 상기 제4 스루홀(17b)은 상기 제5 스루홀(17c) 및 상기 하부 커버판의 가스 가이드 슬롯(19a)을 통해 상기 핀(16a)의 하단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4 스루홀(17b)은 고압 가스 또는 저압 가스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린더(21)는 상기 제2 실린더(21)의 반경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실린더(21)의 벽면에 설치되어 고압 가스를 유입하는 제6 스루홀(24)을 구비하고, 상기 제6 스루홀(24)은 상기 제2 슬라이딩 슬롯(22)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엔탈피 증가 장치(60)의 입구와 상기 분주기(80)의 입구 사이의 관로와 연통되는 제1 가스 보충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A);
    상기 엔탈피 증가 장치(60)의 입구와 상기 분주기(80)의 입구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B);
    상기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50)의 출구와 압력 안정 장치(70)의 입구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C);
    상기 압력 안정 장치(70)의 입구와 상기 분주기(80)의 출구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D);
    상기 엔탈피 증가 장치(60)의 출구와 상기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50) 사이를 연통하는 제2 가스 보충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E)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스 보충 관로는 상기 밸브(B)와 상기 엔탈피 증가 장치(60)의 입구 사이의 관로와 연통되고, 상기 압력 안정 장치(70)의 출구는 상기 제1 실린더(11)의 흡기구(13b)와 연통되며, 상기 압력 안정 장치(70)의 입구는 상기 밸브(C)와 상기 밸브(D) 사이를 연통하는 관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2 가스 보충 관로는 상기 제2 실린더(21)의 흡기구와 연통되는 제3 가스 보충 관로 및 상기 제1 실린더 그룹(10)의 플랜지(17)의 소음 챔버와 연통되는 제4 가스 보충 관로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E)는 상기 제4 가스 보충 관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엔탈피 증가 장치(60)의 입구와 상기 분주기(80)의 입구 사이의 관로와 연통되는 제1 가스 보충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A);
    상기 엔탈피 증가 장치(60)의 입구와 상기 분주기(80)의 입구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B);
    상기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50)의 출구와 압력 안정 장치(70)의 입구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C);
    상기 압력 안정 장치(70)의 입구와 상기 분주기(80)의 출구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D)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스 보충 관로는 상기 밸브(B)와 상기 엔탈피 증가 장치(60)의 입구 사이의 관로와 연통되고, 압력 안정 장치(70)의 입구는 상기 밸브(C)와 상기 밸브(D) 사이를 연통하는 관로와 연통되며, 상기 제1 실린더(11)의 흡기구(13b)는 상기 압력 안정 장치(70)의 출구 또는 상기 분주기(80)의 출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엔탈피 증가 장치(60)의 입구와 상기 분주기(80)의 입구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는 3방향 밸브인 밸브(F);
    상기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50)와 상기 분주기(80)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고 상기 압력 안정 장치(70)의 입구와 연통되는 3방향 밸브인 밸브(G);
    상기 엔탈피 증가 장치(60)의 출구와 상기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50) 사이를 연통하는 제2 가스 보충 관로에 설치되는 밸브(E)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F)의 출구는 상기 엔탈피 증가 장치(60)의 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밸브(F)의 제1 입구는 상기 분주기(80)의 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밸브(F)의 제2 입구는 제1 가스 보충 관로와 연통되고, 상기 밸브(G)의 제1 입구는 상기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50)의 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밸브(G)의 제2 입구는 상기 분주기(80)의 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밸브(G)의 출구는 상기 압력 안정 장치(70)의 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압력 안정 장치(70)의 출구는 상기 제1 실린더(11)의 흡기구(13b)와 연통되고, 상기 제2 가스 보충 관로는 상기 제2 실린더(21)의 흡기구와 연통되는 제3 가스 보충 관로 및 상기 제1 실린더(11)의 배기구와 연통되는 제4 가스 보충 관로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E)는 상기 제4 가스 보충 관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엔탈피 증가 장치(60)의 입구와 상기 분주기(80)의 입구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는 3방향 밸브인 밸브(F);
    상기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50)와 상기 분주기(80) 사이의 관로에 설치되고, 상기 압력 안정 장치(70)의 입구와 연통되는 3방향 밸브인 밸브(G)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F)의 출구는 상기 엔탈피 증가 장치(60)의 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밸브(F)의 제1 입구는 상기 분주기(80)의 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밸브(F)의 제2 입구는 제1 가스 보충 관로와 연통되고, 상기 밸브(G)의 제1 입구는 상기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50)의 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밸브(G)의 제2 입구는 상기 분주기(80)의 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밸브(G)의 출구는 상기 압력 안정 장치(70)의 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제1 실린더(11)의 흡기구(13b)는 상기 압력 안정 장치(70)의 출구 또는 상기 분주기(80)의 출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시스템.
  15. 삭제
  16. 삭제
KR1020187009601A 2015-10-15 2016-10-14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컨 시스템 KR1020456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677523.4 2015-10-15
CN201510677523.4A CN106567831B (zh) 2015-10-15 2015-10-15 双级变容压缩机及具有其的空调系统
PCT/CN2016/102185 WO2017063588A1 (zh) 2015-10-15 2016-10-14 双级变容压缩机及具有其的空调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323A KR20180053323A (ko) 2018-05-21
KR102045694B1 true KR102045694B1 (ko) 2019-11-15

Family

ID=58508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9601A KR102045694B1 (ko) 2015-10-15 2016-10-14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컨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22397B2 (ko)
KR (1) KR102045694B1 (ko)
CN (1) CN106567831B (ko)
WO (1) WO20170635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76979A (zh) * 2017-08-10 2017-12-15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压缩机、空调器及压缩机的装配方法
CN108087278B (zh) * 2017-12-06 2023-11-03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压缩机及空调器
CN108386360A (zh) * 2018-05-10 2018-08-10 天津商业大学 双缸带中间补气的滚动转子压缩机
CN108645066A (zh) * 2018-06-28 2018-10-12 珠海凌达压缩机有限公司 一种压缩机及制冷循环系统
CN108980046B (zh) * 2018-08-06 2024-05-28 珠海凌达压缩机有限公司 一种泵体组件及压缩机
CN109236651B (zh) * 2018-10-11 2020-03-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变容压缩机及其空调系统
CN109162924A (zh) * 2018-10-19 2019-01-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双缸变容压缩机及空调
CN109098972A (zh) * 2018-11-07 2018-12-28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转子压缩机及空调器
CN112112803A (zh) * 2019-06-21 2020-12-22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压缩机及具有其的制冷系统
CN111486609B (zh) * 2020-04-02 2021-10-08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空调系统和控制方法
CN112963351B (zh) * 2021-02-26 2023-01-24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压缩机变容结构及压缩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4975A (ja) * 1998-08-07 2000-02-22 Daikin Ind Ltd 2段圧縮機
CN103486032A (zh) * 2012-06-14 2014-01-01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双级变容量压缩机及空调器
CN204100662U (zh) * 2014-07-30 2015-01-14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制冷循环装置
CN104632581A (zh) * 2014-11-28 2015-05-20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双缸两级压缩机和空调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0070A (ja) * 1998-02-10 1999-08-24 Sanyo Electric Co Ltd 圧縮機
KR20050116676A (ko) * 2004-06-08 2005-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WO2006090977A1 (en) * 2005-02-23 2006-08-31 Lg Electronics Inc. Capacity varying type rotary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system having the same
JP4609496B2 (ja) * 2008-01-18 2011-01-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回転式流体機械
JP2010156498A (ja) * 2008-12-26 2010-07-15 Daikin Ind Ltd 冷凍装置
CN202483880U (zh) * 2012-01-17 2012-10-10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两级压缩式旋转压缩机
CN202579193U (zh) * 2012-05-22 2012-12-05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双级变容量压缩机
CN202707495U (zh) * 2012-06-14 2013-01-30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双级变容量压缩机及空调器
CN104074763B (zh) * 2013-03-26 2018-01-05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双级增焓转子压缩机及具有其的空调器、热泵热水器
JP2014240634A (ja) * 2013-06-12 2014-12-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ロータリ式流体機械
CN104712558B (zh) * 2013-12-12 2017-11-21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旋转压缩机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103867441B (zh) * 2014-03-19 2017-01-11 安徽美芝精密制造有限公司 双级压缩机
CN205064274U (zh) * 2015-10-15 2016-03-02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双级变容压缩机及具有其的空调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4975A (ja) * 1998-08-07 2000-02-22 Daikin Ind Ltd 2段圧縮機
CN103486032A (zh) * 2012-06-14 2014-01-01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双级变容量压缩机及空调器
CN204100662U (zh) * 2014-07-30 2015-01-14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制冷循环装置
CN104632581A (zh) * 2014-11-28 2015-05-20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双缸两级压缩机和空调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67831B (zh) 2019-01-29
JP6622397B2 (ja) 2019-12-18
CN106567831A (zh) 2017-04-19
WO2017063588A1 (zh) 2017-04-20
JP2018531342A (ja) 2018-10-25
KR20180053323A (ko) 201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694B1 (ko) 이중 가변 용량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컨 시스템
JP6581313B2 (ja) 圧縮機及びそれを備えた冷凍システム
KR101986965B1 (ko) 압축기와 열교환 시스템
JP2018531342A6 (ja) 二段可変容量圧縮機、及びそれを備えたエアコンシステム
CN202579193U (zh) 双级变容量压缩机
CN110762017B (zh) 进气结构、排气结构、压缩机、控制方法及空调器
WO2017101537A1 (zh) 变容气缸的滑片控制结构、变容气缸及变容压缩机
CN104454544B (zh) 双缸旋转式压缩机及具有其的制冷装置
CN110578689A (zh) 压缩机及具有其的空调系统
CN203248363U (zh) 双模压缩泵体及使用该压缩泵体的双缸压缩机
US10465683B2 (en) Compressor,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compressor
CN205064274U (zh) 双级变容压缩机及具有其的空调系统
EP3244065B1 (en) Variable displacement type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device having same
CN111379705B (zh) 压缩机、压缩机的运行控制方法和制冷设备
WO2024066312A1 (zh) 泵体组件、压缩机组件和空调系统
CN109058107B (zh) 一种密封型旋转压缩机及其控制方法
CN111075721B (zh) 泵体组件及变容压缩机
CN204003467U (zh) 空调系统
CN107806415B (zh) 压缩机组件和具有其的制冷装置
CN208966587U (zh) 泵体组件、变容压缩机、空气调节系统
CN112112803A (zh) 压缩机及具有其的制冷系统
WO2024002348A1 (zh) 定涡旋组件和涡旋压缩机
CN210889321U (zh) 压缩机及具有其的空调系统
CN108869287B (zh) 变容压缩机构、压缩机及空调器
WO2024002351A1 (zh) 压缩机构、涡旋压缩机及用于涡旋压缩机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