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500B1 - 벨트 스트랩 감응형 제어 시스템에 대해 벨트 샤프트의 권취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위치 차단 기능을 갖는 셀프 로킹 벨트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벨트 스트랩 감응형 제어 시스템에 대해 벨트 샤프트의 권취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위치 차단 기능을 갖는 셀프 로킹 벨트 리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500B1
KR102044500B1 KR1020147017622A KR20147017622A KR102044500B1 KR 102044500 B1 KR102044500 B1 KR 102044500B1 KR 1020147017622 A KR1020147017622 A KR 1020147017622A KR 20147017622 A KR20147017622 A KR 20147017622A KR 102044500 B1 KR102044500 B1 KR 102044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pring
inertial member
torsion spring
control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7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3924A (ko
Inventor
폴크마르 하이네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140113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38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belt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샤프트와 벨트 스트랩 감응형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안전 벨트용 셀프 로킹 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며, 벨트 스트랩 감응형 제어 메커니즘은 벨트 샤프트 상에 연결되어 로킹 부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스크(10)를 포함하고, 제어 디스크(10)는 관성 부재(15)를 지지하고, 관성 부재는 트리거링될 때 제어 디스크(10) 상에 작용하는 회전 가속도를 바탕으로 그 일측 차단 암(7)으로, 고정된 치합 섹션 내로 맞물릴 때까지, 반경 방향으로 회동하며, 벨트 샤프트 및/또는 제어 디스크(10)를 위한 장착 지점 상에는, 원주 방향으로 상호 간에 이격되어 배치된 2개의 스프링 다리부(27, 28)를 포함한 토션 스프링(25)이 관성 부재(15) 상의 안착 위치와 제어 디스크(10)의 평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종동자(21) 상의 안착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셀프 로킹 벨트 리트랙터는, 토션 스프링(25)의 두 스프링 다리부(27, 28)가 자체 사이에 종동자(21)를 둘러싸고, 종동자(21)는 제어 디스크(10)가 벨트 권취 방향(화살표 40)뿐 아니라 벨트 인출 방향(화살표 41)으로 회전될 때 토션 스프링(25)의 종동을 위해 스프링 다리부들(27, 28)을 위한 정지면들(22, 23)을 형성하고, 두 스프링 다리부 중 일측 스프링 다리부(27)는 제어 디스크(10)가 벨트 권취 방향(화살표 40)으로 회전될 때 차단 암(17)에 대향하는 관성 부재(15)의 회동 암(19)이 트리거링될 때 이동하는 회동 경로 안쪽으로 돌출되어, 토션 스프링(25)의 상기 차단 위치에서 관성 부재(15)의 회동을 방지하며, 제어 디스크(10)가 벨트 인출 방향(화살표 41)으로 회전될 때에는 토션 스프링(25)의 릴리스 위치로 제어 디스크(10)에 상대적인 토션 스프링(25)의 상대 회전을 바탕으로 관성 부재(15)를 릴리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 스트랩 감응형 제어 시스템에 대해 벨트 샤프트의 권취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위치 차단 기능을 갖는 셀프 로킹 벨트 리트랙터{Self-locking belt retractor with switch-off action on its belt-strap-sensitive control system that is effective in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belt shaft}
본 발명은, 하우징 프레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벨트 스트랩의 권취 방향으로 권취 스프링에 의해 예압된 벨트 샤프트와, 벨트 스트랩 감응형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안전 벨트용 셀프 로킹 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며, 벨트 스트랩 감응형 제어 메커니즘은, 벨트 샤프트에 연결되어, 벨트 샤프트 상에 배치되어 벨트 샤프트와 제어 디스크 사이의 상대 회전 동안 스프링 작용에 대항하여 하우징 치합 섹션 내로 맞물릴 때까지 편향될 수 있는 로킹 부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스크를 포함하고, 제어 디스크는 제어 디스크 상에서 편심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리턴 스프링의 작용에 대항하여 반경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2암형(two-armed) 관성 부재를 지지하고, 관성 부재는 트리거링될 때 제어 디스크 상으로 작용하는 회전 가속도를 바탕으로 그 일측 차단 암으로, 고정된 치합 섹션 내로 맞물릴 때까지, 반경 방향으로 회동되어 그 결과로 제어 디스크의 회전 운동을 정지시켜 그 제어 디스크를 고정하며, 벨트 샤프트 및/또는 제어 디스크를 위한 장착 지점 상에는 원주 방향으로 상호 간에 이격되어 배치된 2개의 스프링 다리부를 포함하는 토션 스프링이 마찰 결합식 지지부에 의해 제어 디스크에 상대적으로 관성 부재 상의 안착 위치와 제어 디스크의 평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종동자(follower) 상의 안착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전술한 특징들을 포함하는 벨트 리트랙터는 유럽 출원 EP 1 860 002 A1에 기술되어 있다. 벨트 스트랩 감응형 제어 메커니즘을 구비한 상기 유형의 벨트 리트랙터의 경우, 예컨대 안전 벨트의 체결 해제 후에, 벨트 스트랩 인입의 종료 시 작용하는 회전 운동의 정지로 인해 벨트 샤프트가 관성으로 인해 권출 방향으로 되튀고 그로 인해 벨트 인출 방향으로 야기되는 벨트 샤프트의 회전을 통해 상대적으로 낮은 회전 가속도로도 벨트 스트랩 감응형 제어 시스템을 활성화하는 정도, 다시 말하면 관성 부재가 고정된 치합 섹션과의 맞물림 위치에서 이탈되는 정도의 회전 속도로, 벨트 샤프트의 권취 스프링이 권취 방향으로 회전한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사항은, 벨트 스트랩 인입이 차량의 갑작스런 제동에 의해 중단될 때에도 발생할 수 있다. 벨트 리트랙터의 상기 거동에 의해서는, 제어 시스템을 잠금 해제하고 이어서 벨트를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벨트 리트랙터가 추가 사용을 위해 우선 먼저 벨트 스트랩 상의 인장력에 의해 잠금 해제되어야만 한다는 점이 야기될 수 있다.
유럽 출원 EP 1 860 002 A1에 기술된 일반적인 벨트 리트랙터의 경우는, 상기 문제의 해결을 위해, 벨트 샤프트 및/또는 제어 디스크를 위한 장착 지점 상에 마찰 결합 방식으로, 그에 따라 제어 디스크에 상대적으로 배치되는 토션 스프링의 배치가 제안되며, 이 경우 토션 스프링은, 반경을 구비한 중앙 지지 영역과, 이 지지 영역으로부터 측면으로 상호 간에 대향하는 방식으로 이격되어 상호 간에 180도의 각도로 연장 배치된 스프링 다리부들을 포함한 Ω형태를 보유한다. 이 경우, 일측 스프링 다리부는 관성 부재의 일측 단부와 상호 작용하며, 그에 반해 타측 스프링 다리부는 제어 디스크의 평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종동자 상에 안착된다. 토션 스프링의 장착 지점 상에서 벨트 리트랙터의 상이한 기능 상태들을 수반하는, 토션 스프링의 마찰 결합식 회전은 한편으로 토션 스프링의 특징이면서 토션 스프링 상에 작용하는 관성 모멘트에 의해 야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관성 부재의 관성 제어식 운동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야기된다. 이는 바람직하지 못한 방식으로 관성 부재와 토션 스프링의 상호 작용 동안 제어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과제는, 그 기능 시퀀스가 개량되는 방식으로, 일반적인 특징들을 포함하는 셀프 로킹 벨트 리트랙터를 개량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방법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 및 개선예들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의 뒤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내용으로부터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그 기본 사상에서, 토션 스프링의 두 스프링 다리부가 그 자체 사이에 종동자를 둘러싸고 종동자는 제어 디스크가 벨트 권취 방향뿐 아니라 벨트 인출 방향으로 회전될 때 토션 스프링의 종동을 위해 스프링 다리부들을 위한 정지면들(stop face)을 형성하고, 두 스프링 다리부 중 일측 스프링 다리부는 제어 디스크가 벨트 권취 방향으로 회전될 때 차단 암에 대향하는 관성 부재의 회동 암이 트리거링될 때 이동하는 회동 경로 안쪽으로 돌출되어 토션 스프링의 상기 차단 위치에서 관성 부재의 회동을 방지하고, 제어 디스크가 벨트 인출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토션 스프링의 릴리스 위치로 제어 디스크에 상대적인 토션 스프링의 상대 회전을 바탕으로 관성 부재를 릴리스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성 부재 상에 작용하는 관성 모멘트와 무관하게, 제공된 토션 스프링을 이용하여 관성 부재가 회동하지 않도록 방지한다는 기본 원리에 기인한다. 특히 벨트 스트랩 인출 동안 그 회동을 이용한 관성 부재의 반응이 방해받지 않으면서 가능해야만 하기 때문에, 종동자와 관련하여 토션 스프링을 특별하게 형성하고 배치하는 것을 통해, 벨트 스트랩 인출이 시작될 때 벨트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제어 디스크가 우선, 관성 부재의 고정을 위해 제공되는 스프링 다리부가 관성 부재의 회동 경로 외부에 위치할 때까지, 그 마찰 결합식 지지부를 바탕으로 정지해 있는 토션 스프링에 상대적으로 소정의 회전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도모되며, 그럼으로써 관성 부재는 제어 디스크의 상응하는 회전 운동 동안 자유롭게 편향될 수 있다. 토션 스프링의 상기 릴리스 위치에서, 스프링 다리부는 종동자의 할당된 정지면 상에 안착될 수 있고 이 위치에서 제어 디스크가 추가로 회전될 때 종동되며, 그럼으로써 토션 스프링은 제어 디스크 상에서 취한 릴리스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벨트 권취 방향으로 제어 디스크와 함께 벨트 샤프트가 회전될 때, 우선 다시금 그 마찰 결합식 지지부를 바탕으로 정지해 있는 토션 스프링에 상대적인 제어 디스크의 상대 회전이 다시 발생하며, 그럼으로써 관성 부재는 제어 디스크가 회전될 때 그 회동 암으로 외부에서 관련된 스프링 다리부의 단부에 걸쳐 밀려 이동되며, 그럼으로써 스프링 다리부는 권취 운동의 종료 시 관성 부재를 고정하는 자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다시 취해지는 토션 스프링의 차단 위치에서, 종동자는 또 다른 정지면으로 토션 스프링의 타측 스프링 다리부에 부딪치며, 그럼으로써 토션 스프링은 그 차단 위치에서 각각 제어 디스크가 회전될 때 종동되고 그와 동시에 그 차단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관성 부재의 회동 암 상에는 관성 부재의 고정을 위해 제공되는 스프링 다리부를 위한 안착면(rest face)이 형성된다.
토션 스프링의 차단 위치가 관련된 스프링 다리부의 정확한 위치에서뿐만 아니라 그 이외에서도 관성 부재에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관성 부재의 고정을 위해 제공되는 스프링 다리부는 고정된 토션 스프링에 상대적으로 관성 부재를 지지하는 제어 디스크의 상대 회전을 바탕으로 관성 부재가 이동하는 사전 설정된 회전 각도에 걸쳐서 회동 경로 안쪽으로 돌출되고, 관성 부재 상에 형성된 안착면은 원주 방향으로 관성 부재의 고정을 위해 마련된 제어 디스크의 회전 각도에 상응하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출원 대상의 경우, 그 권취 운동의 종료 시 벨트 샤프트의 회전 운동의 갑작스런 정지와, 그에 따라 벨트 샤프트와 제어 디스크의 상호 간의 커플링의 구성의 범위에서 가능하고 관성으로 인해 야기되는, 벨트 샤프트에 상대적인 제어 디스크의 추가 회전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스프링 다리부를 통한 이탈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관성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상응하는 회전 각도는 상기와 같이 구조적으로 결정된 제어 디스크의 추가 회전에만 상응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두 스프링 다리부를 포함한 토션 스프링은, 관성 부재의 상부에, 그리고 제어 디스크의 평면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된 평면에 배치되고, 두 스프링 다리부의 자유 단부들은 제어 디스크의 평면의 방향으로 만곡된 섹션을 각각 포함하며, 만곡된 섹션들은 종동자에 중첩되어 이 종동자의 정지면들과 상호 작용한다. 한편으로, 제어 디스크의 평면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된 평면에 토션 스프링을 배치하는 것을 통해, 제어 디스크에 상대적으로 그 차단 위치와 그 릴리스 위치 사이에서 토션 스프링의 회전은 방해 없이 가능한 점이 보장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두 스프링 다리부의 각각 만곡된 섹션을 통해, 일측에서는 관성 부재 상에, 그리고 타측에서는 종동자의 정지면들 상에서 각각 평평한 안착이 보장된다.
토션 스프링의 차단 기능의 구현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관성 부재의 고정을 위해 제공된 스프링 다리부의 만곡된 섹션이, 관성 부재가 정지 위치에 위치할 때, 관성 부재의 안착면에 대한 이격 간격을 엄수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대안으로서, 관성 부재의 고정을 위해 제공된 스프링 다리부의 만곡된 섹션은, 관성 부재가 정지 위치에 위치할 때, 관성 부재의 안착면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이는, 토션 스프링의 할당된 스프링 다리부가 토션 스프링의 차단 위치에서 관성 부재의 고정을 통해서도 동시에 래틀링 노이즈를 방지한다는 추가 장점과 결부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서, 토션 스프링은 와이어 벤딩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안의 실시예에서, 토션 스프링은 상응하는 박판으로 제조된 스탬핑 및 벤딩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로, 평평하게 형성된 토션 스프링은 와이어 벤딩 부품과 비교하여 강도가 동일한 조건에서 감소된 두께를 보유하고 기본적으로 와이어 벤딩 부품보다 더 정확한 형태로 제조된다.
상기 유형의 실시예의 경우, 관성 부재의 고정을 위해 제공된 스프링 다리부의 만곡된 섹션의 단부는, T자 형태로, 스프링 다리부의 축으로부터 측면으로 이격된 견부들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로, 일측에서 관성 부재 상에서, 그리고 타측에서는 종동자 상에서 그에 상응하게 우수한 안착 및 안내가 실현된다.
이 경우, 스탬핑 및 벤딩 부품으로서 형성된 토션 스프링의 지지 영역은 플라스틱 층을 구비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과 금속으로 구성되는 토션 스프링은 일체형 유형을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선택적으로, 토션 스프링의 지지 영역은 폐쇄된 링으로서도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는 하기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재현되어 있다.
도 1은, 벨트 권취 방향에 적용되는 토션 스프링의 위치에서, 미도시된 지지판 상에 파지되어 관성 부재와 상호 작용하는 토션 스프링의 할당을 포함하여, 제어 디스크 상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관성 부재를 포함한 제어 디스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벨트 샤프트의 벨트 인출 방향에 적용되는 토션 스프링의 위치에서 도 1의 대상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적용되는 토션 스프링의 위치에서, 스탬핑 및 벤딩 부품으로서 형성된 토션 스프링을 포함한 도 1에 따른 제어 디스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a는, 스탬핑 및 벤딩 부품으로서 형성된 토션 스프링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2에 적용되는 토션 스프링의 위치에서 도 3의 대상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제어 디스크(10)는 샤프트 연장부(1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차량 감응형 제어 시스템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외부 치합 섹션(11)을 포함한다. 제어 디스크(10) 내에는 장공부(13)(long-hole)가 형성되고, 이 장공부 내에는 도 5 내지 도 7에만 도시되어 있고 견망 방향에서 제어 디스크(10)의 하부에서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벨트 샤프트 상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로킹 부재 상에 배치되는 저널(14)이 안내된다. 그 밖에도, 제어 디스크(10) 상에는, 2 개의 암형(armed) 관성 부재(15)가 관성 부재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피벗 베어링(16)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2 개의 암형 관성 부재는 외부 차단 첨단부(18)를 구비한 차단 암(17)과, 회동 암(19)을 포함한다. 관성 부재(15)는, 제어 디스크(10) 상에 장착되어 그에 상응하게 각이 진 파지 암들(20)에 의해 제어 디스크(10) 상에서 파지되며, 그럼으로써 관성 부재(15)는 특히 제어 디스크(10)와 함께 회전될 때 제어 디스크 상에 고정된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은 것처럼, 셀프 로킹 벨트 리트랙터의 조립 중에, 제어 디스크(10)의 컵 모양 리세스가, 그를 향해 위치하는, 벨트 리트랙터의 미도시된 지지판에 의해 덮이며, 지지판 내에는 샤프트 연장부(12)를 위한 상응하는 지지부가 형성된다. 그 밖에도, 지지판은, 상향 돌출되어 제어 디스크(10)의 컵 모양 리세스 내로 삽입되고 내부 치합 섹션을 구비하는 원형 차단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제어 디스크(10) 상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관성 부재(15)가 도면에 그 이상 도시되지 않은 그 편향된 차단 위치에서 지지판의 내부 치합 섹션과 잠금 고정된다. 따라서 제어 디스크(10)는 추가로 회전 운동될 때 정지된다. 이 경우, 그 다음, 벨트 샤프트가 추가 회전될 때, 제어 디스크(10)와 벨트 샤프트의 상대 회전이 발생하며, 그에 따라 장공부(13) 내에서 저널(14)이 변위되며, 이는 다시금 벨트 리트랙터 상에 형성된 차단 치합 섹션 내로 로킹 부재의 회동으로 이어진다. 이와 관련한 셀프 로킹 리트랙터의 기능은 유형을 정의하는 유럽 출원 EP 1 860 002 A1로부터도 제시되지만, 특히 독일 특허 DE 103 24 125 B4 및 DE 29 24 575 A1 또는 DE 39 26 370 A1에도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종래 기술에 속한다.
미도시된 지지판 상에는, Ω 형태로 형성된 토션 스프링(25)이 반경을 구비한 중앙 지지 영역(26)을 포함한 와이어 벤딩 스프링의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럼으로써 토션 스프링(25)은, 제어 디스크(10)의 회전 운동과 무관하게, 지지판 상에서 그 지지부를 중심으로 제어 디스크에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판 상에서 토션 스프링(25)의 지지는, 한편으로 토션 스프링(25)이 제어 디스크(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토션 스프링(25)이 제어 디스크(10)의 회전에 상대적으로 정지해 있고 그에 따라 제어 디스크에 대한 상대 회전을 실행하는 기능 단계도 가능한 정도로, 마찰 결합 방식으로 구현된다. Ω형 토션 스프링(25)은 원주 방향으로 상호 간에 이격된 2개의 스프링 암(27, 28)을 포함하며, 이들 스프링 암의 기능은 하기에서 기술된다.
토션 스프링(25)이 벨트 리트랙터의 기능 상태 중에 제공되는 제어 디스크(10)와의 회전 운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어 디스크(10) 상에는, 종동자(21)가 토션 스프링(25)의 두 스프링 다리부(27 및 28)를 위한 정지면들(22)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두 스프링 다리부(27 및 28) 사이에 배치된 종동자(21)가 배치되며, 그럼으로써 제어 디스크(10)의 각각의 회전 방향에서 종동자(21)의 정지부가 토션 스프링(25)의 할당된 스프링 다리부와 상호 작용하고 그에 따라 토션 스프링(25)은 제어 디스크(10)의 각각의 회전 방향으로 종동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종동자(21)는 제어 디스크(10)의 원주 방향으로 토션 스프링(25)의 스프링 암들(27 및 28) 사이에서 연장되는 장방형 종동자 블록으로서 형성되며, 외부 정지면(22)은 종동자 블록의 외부 종측면 상에서 작용하며, 그에 반해 내부 정지면(23)은 정지면(22)에 대해 대향하여 위치하는, 장방형 종동자 블록의 종측면을 갖는 짧은 측면의 모서리에 의해 형성된다. 그 밖에도, 로킹 부재의 저널이면서 제어 디스크(10)의 평면 위로 돌출된 상기 저널(14)의 보다 나은 안내를 위해서, 장공부(13)는, 저널(14)을 함께 이송하는 상향 돌출된 가장자리부(24)에 의해 에워싸인다.
종동자(21), 상향 돌출된 가장자리부(24) 및 제어 디스크(10)의 평면 상에 배치된 관성 부재(15)가 제어 디스크(10)에 상대적으로 제공되어 상세하게 기능과 관련하여 여전히 기술할 토션 스프링(25)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토션 스프링(25)은, 이 토션 스프링(25)의 두 스프링 다리부(27, 28)가 제어 디스크(10)의 평면에 대한 이격 간격을 엄수하는 방식으로, 지지판 상에 배치되고, 두 스프링 다리부(27 및 28)의 자유 단부들은 제어 디스크(10)의 평면의 방향으로 만곡된 섹션(29)을 각각 포함하며, 스프링 암들(27 및 28)의 만곡된 섹션들(29)은 각각 종동자(21) 및 관성 부재(15)의 평면 안쪽으로 잠겨서 전술한 부품들과 상호 작용한다.
도 1과 도 2의 비교로부터 제시되는 것처럼, 도 1과 도 2에 따르는 도해에서 토션 스프링(25)의 우측 스프링 다리부(27)는 관성 부재(15)의 회동 암(19)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회동 암(19)은 스프링 다리부(27) 또는 이 스프링 다리부의 만곡된 섹션(29)으로 향해 있는 그 내면 상에 스프링 다리부(27)의 만곡된 섹션(29)을 위한 안착면(35)을 포함하며, 도 1에 도시된 위치에서 토션 스프링(25)은, 제어 디스크(10)가 벨트 권취 방향(화살표 40)으로 회전될 때, 회동 암(19)의 안착면(35) 상에 안착하고 그에 따라 외부 방향으로 향하는 차단 암(17)의 회동을 방지한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스프링 다리부(27)는, 만곡된 섹션(29)이 안착면(35) 상에 안착되는 정도까지, 관성 부재(15)의 회동 암(19)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에 따라, 관성 부재(15)는 제어 디스크(10)의 회전 운동 동안 그 정지 위치에서 고정되며, 그럼으로써 관성 부재(15)는 래틀링이 방지된다. 권취 방향(화살표 40)으로 제어 디스크(10)와 함께 벨트 샤프트가 그에 상응하게 회전 운동될 때, 토션 스프링(25)은 도 1에서 알 수 있는 위치에 그대로 머무르는데, 그 이유는 토션 스프링이, 만곡된 섹션(29) 쪽에 종동자(21)의 내부 안착면(23)을 안착하는 것을 통해, 그 단부 상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토션 스프링(25)의 스프링 다리부(28)의 정지 다리부(30)를 포함하여, 종동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권취 운동의 종료 시, DE 103 24 125 B4에 따르는 종래 기술에서 기술적 배경으로서 기술되어 있는, 벨트 샤프트의 회전 운동의 갑작스런 정지가 발생한다면, 지지판과의 그 맞물림 위치에서 관성으로 인한 관성 부재(15)의 이탈은 관성 부재(15)의 안착면(35) 쪽에 토션 스프링(25)의 스프링 다리부(27)의 안착을 통해 배제된다.
이제, 벨트 스트랩이 벨트 리트랙터의 벨트 샤프트 상에 완전하게 권취된 경우, 도 1에 재현되어 있는 제어 디스크(10) 및 토션 스프링(25)의 배치 상태에서 출발하여, 벨트 스트랩 인출로 인해 벨트 샤프트는 제어 디스크(10)와 함께 인출 방향(화살표 41)으로 회전되고, 벨트 인출 방향으로 벨트 샤프트의 회전 동안 벨트 스트랩 감응형 제어 시스템의 기능은 보장되며, 관성 부재(15)가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어야 하는 점에 한해, 토션 스프링(25)은 지지판 상에서의 그 마찰 결합식 지지부를 바탕으로 제어 디스크(10)의 회전에 상대적으로 계속 그대로 유지되며, 그럼으로써 우선, 관성 부재(15)의 회동 암(19)의 안착면(35)이 토션 스프링(25)의 스프링 다리부(27)로부터 구속 해제되어 토션 스프링(25)에 상대적인 제어 디스크(10)의 상대 회전 경로의 말단에서 스프링 다리부(27)의 만곡된 섹션(29)이 종동자 블록의 외부 안착면(22) 상에 안착될 때까지, 토션 스프링(25)에 상대적인 제어 디스크(10)의 상대 회전이 수행되며, 그럼으로써 이제 관성 부재(15)의 회동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스프링 위치에서 토션 스프링(25)은 제어 디스크(10)가 벨트 인출 방향(화살표 41)으로 추가 회전 운동될 때 종동된다.
벨트 인출 운동의 종료 시 벨트 샤프트의 회전 운동이 벨트 권취 방향(화살표 40)으로 전환된다면, 다시, 그 마찰 결합식 지지부를 바탕으로 다시 정지해 있는 토션 스프링(25)에 상대적으로 제어 디스크(10)의 상대 회전이 이루어지며, 그럼으로써 관성 부재(15)의 안착면(35)은 다시 외부에서 스프링 다리부(27)의 만곡된 섹션(29)에 걸쳐 밀려 이동되고 이 위치에서 토션 스프링(25)은 토션 스프링(25)의 스프링 다리부(28) 상에서 종동자(21)의 내부 안착면(23)이 정지하는 것을 통해 종동된다.
도 3, 도 3a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토션 스프링(25)이 스탬핑 및 벤딩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점에서만 도 1과 도 2에 상세하게 기술된 실시예와 구별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부품은 와이어 벤딩 부품과 비교하여 감소된 재료 두께를 보유하고 그 밖의 점에서 강도는 동일하다. 그 이상 도시되지 않은 것처럼, 토션 스프링(25)의 지지 영역(26)은 플라스틱 층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 밖에 폐쇄된 링으로서도 지지 영역(26)을 형성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25)이 스탬핑 및 벤딩 부품으로서 형성될 경우, 스프링 다리부들(27 및 28)이 평평한 형태를 보유하는 점에 한해, 그 결과로, 할당된 부품들 상에서 스프링 다리부들의 단부의 더 나은 안착이 제공된다. 특히 관성 부재(15)의 고정을 위해 제공되는 스프링 다리부(27)의 만곡된 섹션(28)의 단부는, T자 형태로, 스프링 다리부(27)의 축으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된 견부들(36)을 구비하여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견부들은 관성 부재(15)의 안착면(35) 또는 종동자(21)의 외부 안착면(22) 상에 평면으로 안착된다. 종동자(21)와 상호 작용하는 스프링 다리부(28)가 자체의 만곡된 섹션(29) 상에 마찬가지로 평평한 형태를 보유하는 점에 한해서, 이제 스프링 다리부(28)는, 스프링 다리부(28)의 만곡된 섹션(29)이 이제 내부 안착면(23)으로서의 종동자 블록(21)의 내부 종측면 쪽에 안착되도록, 블록 유형의 종동자(21) 쪽으로 정렬된다.
전술한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요약서 및 도면에서 공개된 본 출원의 대상의 특징들은 개별적으로뿐 아니라 상호 간에 임의로 조합되어서도 그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의 실현을 위한 핵심을 형성할 수 있다.

Claims (10)

  1. 하우징 프레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벨트 스트랩의 권취 방향으로 권취 스프링에 의해 예압된 벨트 샤프트와, 벨트 스트랩 감응형 제어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안전 벨트용 셀프 로킹 벨트 리트랙터이며, 상기 벨트 스트랩 감응형 제어 메커니즘은, 상기 벨트 샤프트 상에 연결되어, 상기 벨트 샤프트 상에 배치되어 벨트 샤프트와 제어 디스크(10) 사이의 상대 회전 동안 하우징 치합 섹션 내로 맞물릴 때까지 스프링 작용에 대항하여 편향될 수 있는 로킹 부재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스크(1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디스크(10)는, 이 제어 디스크(10) 상에 편심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리턴 스프링의 작용에 대항하여 반경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2암형 관성 부재(15)를 지지하고, 이 관성 부재는 트리거링될 때 상기 제어 디스크(10) 상에 작용하는 회전 가속도를 바탕으로 그 일측 차단 암(17)으로, 고정된 치합 섹션 내로 맞물릴 때까지, 반경 방향으로 회동되어 그 결과로 상기 제어 디스크(10)의 회전 운동을 정지시켜 상기 제어 디스크를 고정하며, 상기 벨트 샤프트 및/또는 상기 제어 디스크(10)를 위한 장착 지점 상에는 원주 방향으로 상호 간에 이격되어 배치된 2개의 스프링 다리부(27, 28)를 포함한 토션 스프링(25)이, 마찰 결합식 지지부에 의해, 상기 제어 디스크(10)에 상대적으로 상기 관성 부재(15) 상의 안착 위치와 상기 제어 디스크(10)의 평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된 종동자(21) 상의 안착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기 셀프 로킹 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25)의 두 스프링 다리부(27, 28)는 자체 사이에 상기 종동자(21)를 둘러싸고, 상기 종동자(21)는 상기 제어 디스크(10)가 벨트 권취 방향(화살표 40)뿐 아니라 벨트 인출 방향(화살표 41)으로 회전될 때 상기 토션 스프링(25)의 종동을 위해 상기 스프링 다리부들(27, 28)을 위한 정지면들(22, 23)을 형성하고, 상기 두 스프링 다리부 중 일측 스프링 다리부(27)는, 상기 제어 디스크(10)가 벨트 권취 방향(화살표 40)으로 회전될 때, 상기 차단 암(17)에 대향하는 관성 부재(15)의 회동 암(19)이 트리거링될 때 이동하는 회동 경로 안쪽으로 돌출되어 토션 스프링(25)의 상기 차단 위치에서 상기 관성 부재(15)의 회동을 방지하며, 상기 제어 디스크(10)가 벨트 인출 방향(화살표 41)으로 회전될 때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25)의 릴리스 위치로 제어 디스크(10)에 상대적인 상기 토션 스프링(25)의 상대 회전을 바탕으로 상기 관성 부재(15)를 릴리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로킹 벨트 리트랙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부재(15)의 회동 암(19) 상에는 상기 관성 부재(15)의 고정을 위해 제공되는 상기 스프링 다리부(27)를 위한 안착면(3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로킹 벨트 리트랙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부재(15)의 고정을 위해 제공되는 상기 스프링 다리부(27)는, 고정된 토션 스프링(25)에 상대적으로 상기 관성 부재(15)를 지지하는 상기 제어 디스크(10)의 상대 회전을 바탕으로 상기 관성 부재(15)가 이동하는 사전 설정된 회전 각도에 걸쳐서 회동 경로 안쪽으로 돌출되며, 상기 관성 부재(15) 상에 형성된 상기 안착면(35)은, 원주 방향에서 상기 관성 부재(15)의 고정을 위해 마련된 상기 제어 디스크(10)의 회전 각도에 상응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로킹 벨트 리트랙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두 스프링 다리부(27, 28)를 포함하는 상기 토션 스프링(25)은, 상기 관성 부재(15)의 상부에, 그리고 상기 제어 디스크(10)의 평면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는 평면에 배치되고, 상기 두 스프링 다리부(27, 28)의 자유 단부들은 상기 제어 디스크(10)의 평면의 방향으로 만곡된 섹션(29)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만곡된 섹션들(29)은 상기 종동자(21)에 중첩되어 이 종동자의 안착면들(22, 23)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로킹 벨트 리트랙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부재(15)의 고정을 위해 제공되는 상기 스프링 다리부(27)의 만곡된 섹션(29)은 관성 부재(15)가 정지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관성 부재(15)의 안착면(35)에 대한 이격 간격을 엄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로킹 벨트 리트랙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부재(15)의 고정을 위해 제공되는 상기 스프링 다리부(27)의 만곡된 섹션(29)은 관성 부재(15)가 정지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관성 부재(15)의 안착면(35) 상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로킹 벨트 리트랙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25)은 와이어 벤딩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로킹 벨트 리트랙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25)은 스탬핑 및 벤딩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로킹 벨트 리트랙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부재(15)의 고정을 위해 제공되는 상기 스프링 다리부(27)의 만곡된 섹션(29)의 단부는, T자 형태로, 상기 스프링 다리부(27)의 축으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된 견부들(36)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로킹 벨트 리트랙터.
  10. 제8항에 있어서, 스탬핑 및 벤딩 부품으로서 형성되는 상기 토션 스프링(25)의 지지 영역(26)은 플라스틱 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로킹 벨트 리트랙터.
KR1020147017622A 2011-12-27 2012-12-18 벨트 스트랩 감응형 제어 시스템에 대해 벨트 샤프트의 권취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위치 차단 기능을 갖는 셀프 로킹 벨트 리트랙터 KR102044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57066 2011-12-27
DE102011057066.7 2011-12-27
PCT/EP2012/075958 WO2013098124A2 (de) 2011-12-27 2012-12-18 Selbstsperrender gurtaufroller mit einer in aufwickelrichtung der gurtwelle wirksamen abschaltung seines gurtbandsensitiven steuer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924A KR20140113924A (ko) 2014-09-25
KR102044500B1 true KR102044500B1 (ko) 2019-11-13

Family

ID=47504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7622A KR102044500B1 (ko) 2011-12-27 2012-12-18 벨트 스트랩 감응형 제어 시스템에 대해 벨트 샤프트의 권취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위치 차단 기능을 갖는 셀프 로킹 벨트 리트랙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725068B2 (ko)
EP (2) EP2797778B1 (ko)
JP (2) JP6033885B2 (ko)
KR (1) KR102044500B1 (ko)
CN (1) CN104024062B (ko)
WO (2) WO201309811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500B1 (ko) * 2011-12-27 2019-11-13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벨트 스트랩 감응형 제어 시스템에 대해 벨트 샤프트의 권취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위치 차단 기능을 갖는 셀프 로킹 벨트 리트랙터
DE102015112370B4 (de) 2015-07-29 2017-03-02 Autoliv Development Ab Sicherheitsgurtaufroller mit geräuschmindernder Steuerscheibe
US9751495B2 (en) * 2015-08-21 2017-09-05 Carleton Life Support Systems, Inc. Reel lock having multiple tooth dog
JP6438425B2 (ja) * 2016-03-28 2018-12-12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CN112622810B (zh) * 2020-12-22 2022-04-22 宁波均胜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降噪卷收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4284A (ja) 2006-06-20 2008-02-07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315A1 (de) 1970-04-25 1971-11-25 Autoflug Gmbh Selbstsperrende Aufwickelvorrichtung fuer den Anschnallgurt eines Sicherheits-Anschnallgeschirres in Personenbefoerderungsmitteln
GB1382489A (en) * 1971-05-06 1975-02-05 Foehl Arthur Safety belt reel
US3883089A (en) * 1973-10-29 1975-05-13 American Safety Equip Safety belt device
DE2924575A1 (de) 1979-06-19 1981-02-19 Autoflug Gmbh Automatischer gurtblockierer fuer sicherheitsgurte
DE3118437A1 (de) * 1981-05-09 1982-12-02 Autoflug Gmbh, 2084 Rellingen Selbstsperrender gurtaufroller fuer sicherheits-anschnallgurte von personenbefoerderungsmitteln
JPH0716530Y2 (ja) * 1985-11-25 1995-04-1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H0339327Y2 (ko) * 1985-12-27 1991-08-19
JPH0415558Y2 (ko) * 1986-04-01 1992-04-08
GB2221605B (en) 1988-08-08 1992-10-07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belt reel arrangement
JP2563100Y2 (ja) * 1992-08-05 1998-02-18 日本精工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GB2294384B (en) * 1994-10-26 1998-01-14 Autoliv Dev A safety belt retractor
JPH10167007A (ja) * 1996-12-16 1998-06-23 Takata Kk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H11257392A (ja) * 1998-03-16 1999-09-21 Takata Kk スパイラルスプリングおよびこのスパイラルスプリング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DE20217632U1 (de) * 2002-11-14 2003-03-27 Trw Repa Gmbh Gurtaufroller
DE10324195B4 (de) * 2003-05-28 2008-12-11 Autoliv Development Ab Sicherheitsgurtaufroller mit einer drehwinkeldefinierten Abschaltung des gurtbandsensitiven Steuersystems
US20050224623A1 (en) * 2003-08-26 2005-10-13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Webbing retractor
CN101077705B (zh) * 2006-05-25 2012-09-05 奥托立夫开发公司 安全带上防止锁定织带的装置
JP2008100639A (ja) * 2006-10-20 2008-05-01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835936B1 (ko) * 2007-05-16 2008-06-09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록킹 부재 결합 구조
WO2009049754A1 (de) * 2007-10-10 2009-04-23 Autoliv Development Ab Selbstsperrender gurtaufroller
KR100901415B1 (ko) * 2008-01-28 2009-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벨트 리트랙터의 로킹유닛
JP5189383B2 (ja) * 2008-02-29 2013-04-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528975B2 (ja) * 2009-11-27 2014-06-2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102044500B1 (ko) * 2011-12-27 2019-11-13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벨트 스트랩 감응형 제어 시스템에 대해 벨트 샤프트의 권취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위치 차단 기능을 갖는 셀프 로킹 벨트 리트랙터
JP5781035B2 (ja) * 2012-08-10 2015-09-1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6045933B2 (ja) * 2013-02-12 2016-12-14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4284A (ja) 2006-06-20 2008-02-07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03482A (ja) 2015-02-02
EP2797778B1 (de) 2015-12-09
WO2013098124A2 (de) 2013-07-04
US9738249B2 (en) 2017-08-22
US20140353416A1 (en) 2014-12-04
EP2797779B1 (de) 2015-12-09
US9725068B2 (en) 2017-08-08
US20150001328A1 (en) 2015-01-01
CN104024062A (zh) 2014-09-03
WO2013098118A2 (de) 2013-07-04
JP5976129B2 (ja) 2016-08-23
EP2797778A2 (de) 2014-11-05
EP2797779A2 (de) 2014-11-05
WO2013098118A3 (de) 2013-10-10
KR20140113924A (ko) 2014-09-25
JP2015503484A (ja) 2015-02-02
WO2013098124A3 (de) 2013-10-10
JP6033885B2 (ja) 2016-11-30
CN104024062B (zh) 201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500B1 (ko) 벨트 스트랩 감응형 제어 시스템에 대해 벨트 샤프트의 권취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위치 차단 기능을 갖는 셀프 로킹 벨트 리트랙터
JP5504356B2 (ja) 車両座席用のリクライナシステム
EP1860002B1 (en) Seatbelt webbing lock preventing apparatus
JP5545910B2 (ja) セルフロック式のベルト・リトラクタ
JP2001180438A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のリトラクタ
RU2566803C2 (ru) Ст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концевой стопорной защелкой для механизма втягивания ремня безопасности
JP2577822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2018108820A (ja) ベルトリトラクター用のロック機構
JP2004090672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CN109476277B (zh) 用于车辆安全带的安全带卷收器
US7770836B2 (en) Locking unit for seat belt retractor
US6902129B2 (en) Seat belt device
CN109562735B (zh) 自锁式安全带卷收器
US20190210556A1 (en) Belt retractor
US4834313A (en) Emergency locking retractor
JP7184288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US20050127228A1 (en) Belt retractor for a vehicle safety belt
CN205273399U (zh) 一种卷带装置及汽车
JP2008265748A (ja) ベルトリトラクター
JP2913790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H037244Y2 (ko)
US5535959A (en) Tension reducing retractor with reduced velocity ratchet
JPH0459453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H0333568Y2 (ko)
JPS61235252A (ja) 円筒本体を有する安全ベルト巻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