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514B1 - 신호 시프팅을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및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신호 시프팅을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및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514B1
KR102040514B1 KR1020190095689A KR20190095689A KR102040514B1 KR 102040514 B1 KR102040514 B1 KR 102040514B1 KR 1020190095689 A KR1020190095689 A KR 1020190095689A KR 20190095689 A KR20190095689 A KR 20190095689A KR 102040514 B1 KR102040514 B1 KR 102040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unit
lane
mode
antenn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현
박용제
Original Assignee
(주)에어포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어포인트 filed Critical (주)에어포인트
Priority to KR1020190095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 시프팅을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차로 하이패스에 설치되는 안테나에서 송신하는 신호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송신하고, 신호의 데이터프레임 송신시간을 지연시켜 송신하여, 차량단말과 안테나 신호 송수신 동기를 맞춤으로써, 다차로 하이패스를 통행하는 차량의 진입차로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신호 시프팅을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호 시프팅을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및 운영방법 {Multi-lane hi-pass System and Method to distinguish the entry lane of the vehicle using signal shifting}
본 발명은 신호 시프팅을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차로 하이패스에 설치되는 안테나에서 송신하는 신호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송신하고, 신호의 데이터프레임 송신시간을 지연시켜 송신하여, 차량단말과 안테나 신호 송수신 동기를 맞춤으로써, 다차로 하이패스를 통행하는 차량의 진입차로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신호 시프팅을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및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하이패스 차선은 요금소를 개선하여 만들었기 때문에 속도위반, 차선 변경 등으로 인한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다차로 하이패스의 경우 그 안정성을 인정받아 적극적인 지지를 받고 있고, 다차로 하이패스가 상용화 되는 경우, 교통사고 발생률은 현저히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다차로 하이패스란 톨게이트 하이패스 차선 경계석을 제거하여 고속으로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는 하이패스를 의미한다.
하지만 종래의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은, 차량단말에서 송신하는 차량단말신호의 빔폭이 넓어,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차로에 설치된 안테나에서만 차량단말신호를 수신할 뿐 아니라 차량이 실제 주행하고 있지 않은 다른 차로에 설치된 안테나에서도 차량단말신호를 수신하게 되어 차량이 진입하는 차로를 정확히 구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차로 하이패스의 경우, 경계석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에 따라 차로의 범위 내에서 정확히 운전하지 않고 차로와 차로 사이를 주행하는 경우 또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하이패스 구간을 진입하는 차량들의 통행요금을 부과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확하게 통행하는 차량들의 진입차로를 구분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다차로 하이패스에 설치되는 안테나에서 송신하는 신호의 영역이 중첩되지 않도록 송신하고, 신호의 데이터프레임 송신시간을 지연시켜 송신하여, 차량단말과 안테나 신호 송수신 동기를 맞춤으로써, 다차로 하이패스를 통행하는 차량의 진입차로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신호 시프팅을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및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호 시프팅을 통해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차로를 가로지르는 겐트리 상에 각각의 차로별로 2열로 배치되어 데이터프레임을 통해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하고, 차량단말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모드; 및 상기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차량단말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모드;중 어느 하나로 교차하며 동작하는 복수의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단말; 및 상기 복수의 안테나부를 제어하는 통합차로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차로제어기는, 동일 차로에서 제1열에 배치된 안테나부를 상기 제1모드로 제어하는 경우, 제2열에 배치된 안테나부는 상기 제2모드로 제어하고, 동일 차로에서 제2열에 배치된 안테나부가 상기 제1모드로 제어하는 경우, 제1열에 배치된 안테나부는 상기 제2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안테나부가 상기 제1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안테나부신호가 중첩될 수 있는 옆 차로의 다른 안테나부는 상기 제1모드가 동시에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신호 시프팅을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합차로제어기는, 각각의 차로별 상기 복수의 안테나부신호의 송신시간을 기설정된 시간간격만큼 순차적으로 지연시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데이터프레임은, 프리앰블, 싱크정보, 연결정보,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1 이상의 메시지데이터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단말은, 우선적으로 수신한 상기 안테나부의 신호의 상기 싱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프레임에 대한 송수신주기를 일치시키는 동기맞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기맞춤을 수행한 차량단말이 송신하는 차량단말신호는, 상기 데이터프레임에 대한 송수신주기가 일치하는 상기 안테나부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데이터프레임은, 프리앰블, 싱크정보, 연결정보, 기타정보,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1 이상의 메시지데이터채널 및 상기 차량단말에서 데이터의 수신여부를 상기 안테나부에서 판별하기 위한 1 이상의 수신확인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데이터채널 및 상기 수신확인채널은 상기 안테나부와 통신하는 상기 차량단말의 수만큼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데이터프레임은, 프리앰블, 싱크정보, 연결정보, 기타정보,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1 이상의 메시지데이터채널 및 상기 차량단말에서 데이터의 수신여부를 상기 안테나부에서 판별하기 위한 1 이상의 수신확인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모드로 동작되는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데이터프레임의 마지막 메시지데이터채널 및 수신확인채널의 전송이 종료된 후에 상기 안테나부신호를 다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합차로제어기는, 상기 안테나부가 제1열에 N개가 배치되고, 제2열에 N개가 배치되는 경우에, 제1열의 제2*I-1차로의 안테나부가 제1모드로 동작한 후에, 제2열의 제2*I차로의 안테나부가 순차적으로 제1모드로 동작하고, I는 자연수로서 1씩 증가하고, 마지막 차로의 제1열 혹은 제2열의 안테나부가 제1모드로 동작한 후에, 제2열의 제2*J-1차로의 안테나부가 제1모드로 동작한 후에, 제1열의 제2*J차로의 안테나부가 순차적으로 제1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J는 자연수로서 1씩 증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의 운용방법으로서, 상기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은, 복수의 차로를 가로지르는 겐트리 상에 각각의 차로별로 2열로 배치되어 데이터프레임을 통해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하고, 차량단말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모드; 및 상기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차량단말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모드;중 어느 하나로 교차하며 동작하는 복수의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단말; 및 상기 1 이상의 안테나부를 제어하는 통합차로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차로제어기는 동일 차로에서 제1열에 배치된 안테나부를 상기 제1모드로 제어하는 경우, 제2열에 배치된 안테나부는 상기 제2모드로 제어하고, 동일 차로에서 제2열에 배치된 안테나부가 상기 제1모드로 제어하는 경우, 제1열에 배치된 안테나부는 상기 제2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안테나부가 상기 제2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안테나부신호가 중첩될 수 있는 옆 차로의 다른 안테나부는 상기 제2모드가 동시에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차로에서 안테나의 송신주기를 교차하여 송신함으로써, 다차로 하이패스를 통행하는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안테나부는 제1모드 및 제2모드를 교차하며 동작되어, 동일 차로의 안테나부가 설치된 이격 거리에 따른 신호의 간섭 및 옆차로와의 중첩구간에서의 신호의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차량단말과 복수의 안테나부가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없게 되는 경우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안테나는 각각의 차로별로 신호송신시간을 지연시켜 송신하고, 이를 수신하는 차량단말에서는 동기맞춤을 수행하여, 송수신하는 신호의 동기가 일치하는 차량단말과 안테나에서만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짐으로써, 다차로 하이패스를 통행하는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단말은 우선적으로 수신한 안테나신호와 무선통신을 함으로써,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차로를 구분하지 않고 차로 사이를 통행하는 경우에도, 가장 먼저 수신한 신호를 송신한 안테나와 통신하여 요금을 정산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이패스 시스템에서 하이패스 안테나와 무선통신을 할 수 있는 차량단말을 보유하지 않은 차량과 차량단말을 보유한 차량이 함께 다차로를 통행하는 경우에도 하이패스 통신을 수행한 차량을 구분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이 설치된 도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종래의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이 설치된 도로의 안테나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차로로 구성된 도로에 설치된 복수의 안테나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부가 송신하는 데이터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부가 송신하는 기설정된 시간간격만큼 지연시킨 복수의 데이터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5개의 차로로 구성된 도로에 설치된 복수의 안테나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10000)이 설치된 도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10000)은 종래의 단차로마다 설치된 하이패스 시스템과 달리 각각의 차로 사이에 경계석이 없기 때문에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속도를 줄이지 않은 상태로 하이패스 구간을 진입하여, 교통 이용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3개의 차로로 구성된 도로에는 도로를 가로지르는 겐트리(10)가 설치되어 있다. 겐트리(10) 상에는 하이패스 통신을 위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복수의 안테나부(1000)가 설치된다. 겐트리(10) 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안테나부(1000)는 각각의 차로별로 2열로 배치된다. 도 1은 각각 1차로, 2차로 및 3차로마다 2열로 안테나부(1000)가 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복수의 안테나부(1000)는 데이터프레임을 통해 안테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테나부(1000)는 IR 혹은 RF 통신 등에 의하여 차량단말(2000)과 통신할 수 있다.
차량에 탑재되어 교통 이용 요금을 결제할 수 있는 차량단말(2000)은, 안테나부(1000)가 송신하는 안테나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단말(2000)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안테나부(1000)는 차량에 탑재된 차량단말(20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이러한 각각의 신호 송수신을 통해 복수의 안테나부(1000)와 차량단말(2000)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합차로제어기(3000)는 도로에 배치되는 복수의 안테나부(1000)를 제어할 수 있고, 복수의 안테나부(1000)로부터 차량단말(2000)과의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수신한 데이터, 예를 들면, 통행료 정산정보, 통행료 미납정보, 차량식별정보 등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3차로로 구성된 도로를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10000)은 차로의 수의 관계없이 복수의 차로로 구성된 도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1000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시프팅을 통해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10000)은, 복수의 차로를 가로지르는 겐트리(10) 상에 각각의 차로별로 2열로 배치되어 데이터프레임을 통해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하고, 차량단말(2000)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모드; 및 상기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차량단말(2000)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모드;중 어느 하나로 교차하며 동작하는 복수의 안테나부(1000); 상기 안테나부(10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단말(2000); 및 상기 복수의 안테나부(1000)를 제어하는 통합차로제어기(3000);를 포함한다.
안테나부(1000)는, 데이터프레임을 통해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하고, 차량단말(2000)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모드 및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차량단말(2000)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모드 중 어느 하나로 교차하며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안테나부(1000)는 차량단말(2000)이 차량단말(2000)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차량단말(2000)로부터 차량단말(2000)신호를 수신하지만, 안테나부신호는 상기 모드의 동작에 따라 송신할 수도 있고 송신하지 않을 수도 있다.
차량단말(2000)은, 복수의 안테나부(1000)로부터 안테나부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안테나부신호에 기초하여 차량단말(2000)이 탑재된 차량 교통 이용 요금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차량단말(2000)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통합차로제어기(3000)는, 안테나부(1000)의 제1모드 및 제2모드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복수의 안테나부(1000)가 송신하는 안테나부신호의 송신주기를 기설정된 시간간격만큼 송신시간을 지연시켜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차량단말(2000)과 통신을 수행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하이패스서버로 전달하여, 하이패스를 통행하는 차량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10000)은, 상기 통합차로제어기(3000)가 복수의 안테나부(1000)를 제어하여, 차량단말(2000)과 통신하는 안테나부신호의 송신주기를 제어함으로써, 다차로 하이패스 구간을 진입하는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차량의 진입차로의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종래의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10000)이 설치된 도로의 안테나부(10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종래의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10000)에서의 복수의 안테나부(1000)의 신호 송신 방식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는 다르게 복수의 안테나부(1000)는 제1모드 및 제2모드 중 어느 하나로 교차하며 동작하지 않고, 설치된 모든 안테나부(1000)가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하고, 차량단말(20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모든 안테나부(1000)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송신되는 안테나부신호는 옆차로의 안테나부(1000)에서 송신하는 안테나부신호와 중첩될 수 있다. 신호가 중첩되는 경우, 차량단말(2000)에서는 정확한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여, 차량단말(2000)과 안테나부(1000)는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통합차로제어기(30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부(10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개의 차로로 구성된 도로에 설치된 복수의 안테나부(10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3개의 차로로 구성된 도로의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10000)에서 복수의 안테나부(1000)가 제1모드 및 제2모드를 교차하며 동작하는 상황을 도시한다. 복수의 안테나부(1000)는 3개의 차로로 구성된 도로를 가로지르는 겐트리(10) 상에 2열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도로상에 배치된 복수의 안테나부(1000)는 통합차로제어기(3000)의 제어를 통해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복수의 안테나부(1000)는 데이터프레임을 통해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하고, 차량단말(2000)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모드 및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차량단말(2000)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모드 중 어느 하나로 교차하며 동작할 수 있다.
통합차로제어기(3000)는, 동일 차로에서 제1열에 배치된 안테나부(1000)를 상기 제1모드로 제어하는 경우, 제2열에 배치된 안테나부(1000)는 상기 제2모드로 제어하고, 동일 차로에서 제2열에 배치된 안테나부(1000)가 상기 제1모드로 제어하는 경우, 제1열에 배치된 안테나부(1000)는 상기 제2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안테나부(1000)가 상기 제2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안테나부신호가 중첩될 수 있는 옆 차로의 다른 안테나부(1000)는 상기 제2모드가 동시에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통합차로제어기(3000)는, 동일 차로에서 제1열에 배치된 안테나부(1000)를 제1모드로 제어하는 경우, 제2열에 배치된 안테나부(1000)는 제2모드로 제어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로의 경우, 제1열에 배치된 안테나부#1은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하고 차량단말(20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모드로 동작되고 있다. 이 때, 1차로의 제2열에 배치된 안테나부#2는 안테나부신호는 송신하지 않고 차량단말(20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모드로 동작된다. 3차로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제1열에 배치된 안테나부#5는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하고 차량단말(20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모드로 동작하고, 제2열에 배치된 안테나부#6은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차량단말(20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모드로 동작된다.
또한, 통합차로제어기(3000)는, 동일 차로에서 제2열에 배치된 안테나부(1000)가 상기 제1모드로 제어하는 경우, 제1열에 배치된 안테나부(1000)는 상기 제2모드로 제어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로의 경우, 제2열에 배치된 안테나부#4는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하고 차량단말(20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모드로 동작되고 있다. 이 때, 2차로의 제1열에 배치된 안테나부#3은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차량단말(20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모드로 동작된다. 이와 같이 상기 통합차로제어기(3000)는 복수의 안테나부(1000)를 제어한다.
또한, 통합차로제어기(3000)는, 상기 안테나부(1000)가 상기 제1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안테나부신호가 중첩될 수 있는 옆 차로의 다른 안테나부(1000)는 상기 제1모드가 동시에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도 3의 설명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부신호의 송신을 교차하여 하지 않고, 모든 안테나부(1000)에서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송신되는 안테나부신호는 옆차로의 안테나부(1000)에서 송신하는 안테나부신호와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안테나부(1000) 중 어느 하나의 안테나부(1000)가 제1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안테나부신호가 중첩될 수 있는 옆 차로의 다른 안테나부(1000)와 제1모드가 동시에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모드가 동작되고 있는 2차로의 제2열에 배치된 안테나부#4의 양 옆 차로의 안테나부#2 및 안테나부#6은 제1모드가 동작되지 않고, 제2모드가 동작되고 있다.
또한, 제1열에 배치된 1차로의 안테나부#1 및 3차로의 안테나부#5는 제1모드가 동작되고 있고, 그 옆 차로인 2차로의 안테나부#3은 제2모드가 동작되고 있음이 도시된다.
바람직하게는, 통합차로제어기는, 상기 안테나부가 제1열에 N개가 배치되고, 제2열에 N개가 배치되는 경우에, 제I차로의 제1열의 안테나부가 제1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제I+2차로의 제1열의 안테나부가 제1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제I차로의 제2열의 안테나부가 제1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제I+2차로의 제2열의 안테나부가 제1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I 및 N은 자연수이다.
통합차로제어기(3000)는 이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부(1000)의 제1모드 및 제2모드의 동작을 제어하여, 동일 차로의 안테나부(1000)가 설치된 이격 거리에 따른 신호의 간섭 및 옆차로와의 중첩구간에서의 신호의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차량단말(2000)과 복수의 안테나부(1000)가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없게 되는 경우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안테나부(1000)는 제1모드 및 제2모드 중 어느 하나로 교차하며 동작하므로, 3차로로 구성된 도로에 설치된 복수의 안테나부(1000)는 도 4의 (a)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할 수도 있다.
한편, 통합차로제어기(3000)는, 각각의 차로별 복수의 안테나부신호의 송신시간을 기설정된 시간간격만큼 순차적으로 지연시켜 송신하도록 복수의 안테나부(10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부(1000)의 신호 송수신 모드를 교차하고, 상기 복수의 안테나부(1000)는 상기 통합차로제어기(3000)의 제어에 따라, 기설정된 시간간격만큼 순차적으로 지연된 지연시간에서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안테나부#1 -> 안테나부#4 -> 안테나부#5 -> 안테나부#2 -> 안테나부#3 -> 안테나부#6 의 순서로 안테나부신호가 송신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부(1000)가 송신하는 데이터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복수의 안테나부(1000)는 데이터프레임을 통해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프레임은, 프리앰블, 싱크정보, 연결정보, 기타정보,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1 이상의 메시지데이터채널 및 상기 차량단말(2000)에서 데이터의 수신여부를 상기 안테나부(1000)에서 판별하기 위한 1 이상의 수신확인채널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프레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프리앰블 및 싱크정보는, 차량단말(2000) 및 안테나부(1000)가 데이터프레임에 대한 송수신주기를 일치시키는 동기맞춤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안테나부(1000)는 프리앰블 및 싱크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프레임을 통해 안테나부(1000)의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차량단말(2000)은 수신한 데이터프레임의 프리앰블 및/또는 싱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프레임에 대한 송수신주기를 일치시키는 동기맞춤을 수행할 수 있다.
연결정보는, 해당 필드가 위치한 순서에 대응되는 메시지데이터채널 및 수신확인채널에 대한 슬롯제어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즉 I번째 연결정보는, 프레임내의 I+ 1번째 슬롯과 관련된 제어정보를 포함한다.(I는 자연수이다.) 예를 들어, 2차로의 안테나부#3의 신호를 수신한 3대의 차량단말(2000)에서 차량단말(2000)신호를 송신하여 안테나부#3와 데이터송수신을 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프레임은 3개의 메시지데이터채널을 통해 각각의 차량단말(2000)에 데이터가 전송되고, 3개의 수신확인채널을 통해 각각의 차량단말(2000)에서의 데이터의 수신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 때의 3개의 메시지데이터채널 및 3개의 수신확인채널에 대한 제어정보는 상기 연결정보에 포함된다. 이와 같이, 상기 메시지데이터채널 및 상기 수신확인채널은 안테나부(1000)와 통신하는 차량단말(2000)의 수만큼 사용된다.
기타정보는, 복수의 안테나부(1000) 및 차량단말(2000)이 데이터송수신을 수행함에 따라 필요한 송수신장치의 식별자, 주파수식별자, 데이터 에러검출을 위한 코드, 및 서비스 코드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데이터채널은 안테나부(1000)가 차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차량단말(2000)과 통신하여 데이터송수신을 수행하는 경우,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차량단말(200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수신확인채널은, 메시지데이터채널을 통해 전송한 데이터의 차량단말(2000)에의 수신여부를 안테나부(1000)에서 판별하기 위해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리앰블, 싱크정보, 연결정보, 및 기타정보는 프레임제어슬롯에 포함되고, 1 이상의 메시지데이터채널 및 1 이상의 수신확인채널은, 메시지데이터슬롯에 포함된다. 1 이상의 메시지데이터 채널 및 1 이상의 수신확인채널은 최대 8개를 초과할 수 없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부(1000)가 송신하는 기설정된 시간간격만큼 지연시킨 복수의 데이터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안테나부(1000)가 실제 송신하는 안테나부신호의 보다 구체적인 데이터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차로제어기(3000)는 안테나부신호의 송신시간을 기설정된 시간간격만큼 순차적으로 지연시켜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도 4 및 도 6을 함께 참조할 때, 3개의 차로로 구성된 도로 상황에서 각각의 복수의 안테나부(10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 프레임을 송신한다. 통합차로제어기(3000)는, 1차로의 안테나부#1가 송신하는 데이터프레임을 T0 시간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동일 차로의 안테나부#2의 수신주기는 안테나부#1의 송수신주기와 상응한다. 이후, 기설정된 시간간격(t)을 두고 2차로의 안테나부#4에서 송신하는 데이터프레임을 T1 시간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2차로의 안테나부#3의 신호 수신주기 또한 안테나부#4의 송수신주기와 상응한다. 이후, 기설정된 시간간격(t)를 다시 두고 3차로의 안테나부#5에서 송신하는 데이터프레임을 T2 시간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3차로의 안테나부#6의 신호 수신주기 또한 안테나부#5의 송수신주기와 상응한다.
즉, 도 4의 (a)와 같은 도로상황에서 복수의 안테나부(1000)가 송신하는 안테나부신호 송신 순서는 안테나부#1 -> 안테나부#4 -> 안테나부#5 의 순서로 송신된다. 기설정된 시간간격(t)만큼 순차적으로 지연시켜 송신한 각각의 안테나부(1000)의 안테나부신호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안테나부신호를 수신한 차량단말(2000)은, 우선적으로 수신한, 즉 가장 먼저 수신한 안테나부(1000)의 신호의 프리앰블(PR) 및/또는 싱크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프레임에 대한 송수신주기를 일치시키는 동기맞춤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싱크정보는 FSW(프레임 동기 신호)이다. 3개의 차로 중 1차로를 주행하는 차량 A가 있다고 가정할 때, 차량 A는 1차로의 안테나부신호를 우선적으로 수신한다. 1차로의 안테나부신호를 수신한 차량 A에 탑재된 차량단말(2000) A는 1차로에 설치된 안테나부(1000)가 송신하는 데이터프레임에 대한 송수신주기를 일치시키는 동기맞춤이 이루어져 1차로에 설치된 안테나부(10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 다른 송신주기를 가지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데이터송수신을 할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동기맞춤을 수행한 차량단말(2000)이 송신하는 차량단말(2000)신호는, 상기 데이터프레임에 대한 송수신주기가 일치하는 상기 안테나부(10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I차로의 제1열의 안테나부가 제1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I차로의 제2열의 안테나부는 제2모드로 동작되고, I차로의 제1열의 안테나부의 송수신주기는 I차로의 제2열의 안테나부의 수신주기와 상응하고, I차로의 제2열의 안테나부가 제1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I차로의 제1열의 안테나부는 제2모드로 동작되고, I차로의 제2열의 안테나부의 송수신주기는 I차로의 제1열의 안테나부의 송신주기와 상응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차량단말(2000)A로 도시된 점선을 차량단말(2000)A의 동기라 할 때, 동기 맞춤이 수행되지 않은 2차로 및 3차로의 안테나부신호는 차량단말(2000)A로 수신될 수 없기 때문에 2차로에 배치된 안테나부(1000) 및 3차로에 배치된 안테나부(1000)와는 통신을 수행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2차로를 주행하는 차량B가 있다고 가정할 때, 차량B는 2차로의 안테나부신호를 우선적으로 수신하게 되고, 2차로의 안테나부신호를 수신한 차량 B에 탑재된 차량단말(2000)B는 2차로에 설치된 안테나부(1000)가 송신하는 데이터프레임에 대한 송수신주기를 일치시키는 동기 맞춤이 이루어져 2차로에 설치된 안테나부(10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다른 송신주기를 가지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데이터송수신을 할 수 없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차량단말(2000)B로 도시된 점선을 차량단말(2000)B의 동기라 할 때, 동기 맞춤이 수행되지 않은 1차로 및 3차로의 안테나부(1000) 신호는 차량 B의 차량단말(2000)B로 수신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차량단말(2000)B는 1차로 및 3차로에 배치된 안테나부(1000)와는 통신을 수행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안테나부(1000)는 각각의 차로별로 신호송신시간을 지연시켜 송신하고, 이를 수신하는 차량단말(2000)에서는 동기맞춤을 수행하여, 송수신하는 신호의 동기가 일치하는 차량단말(2000)과 안테나에서만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짐으로써, 다차로 하이패스를 통행하는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안테나부신호의 송신시간을 기설정된 시간간격만큼 순차적으로 지연시켜 송신하면 3개의 차로로 구성된 도로에서는 도 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부#1 -> 안테나부#4 -> 안테나부#5 -> 안테나부#2 -> 안테나부#3 -> 안테나부#6 의 순서로 안테나부신호가 송신된다. 즉, 안테나부#1 -> 안테나부#4 -> 안테나부#5 -> 안테나부#2 -> 안테나부#3 -> 안테나부#6 의 순서로 제1모드가 동작된다. 도 6에는 3개의 데이터프레임이 도시되어 설명 되었지만 제1모드 및 제2모드가 교차되어 동작하는 복수의 안테나부(1000)가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시간은 안테나부#1은 시간 T0에서, 안테나부#4는 T1에서, 안테나부#5는 T2에서, 안테나부#2는 T3에서, 안테나부#3는 T4에서, 안테나부#6는 T5에서 송신된다. T0 내지 T5까지의 각각의 시간간격은 기설정한 시간간격(t)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제1모드로 동작되는 안테나부(1000)와 동일 차로에 배치된 제2모드로 동작되는 다른 안테나부(1000)는, 데이터프레임에 대한 송수신주기를 제1모드로 동작되는 안테나부(1000)와 상응하는 수신주기로 차량단말(2000)에서 송신하는 데이터의 수신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모드로 동작되는 상기 안테나부(1000)는, 상기 데이터프레임의 마지막 메시지데이터채널 및 수신확인채널의 전송이 종료된 후에 상기 안테나부신호를 다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안테나부#1에서 안테나부신호를 지연시간 T0에서 송신한 후, 데이터프레임에 대한 송수신주기에 따른 그 다음 송신을 바로 수행하지 않고, 안테나부#1에서 송신한 데이터프레임의 마지막 메시지데이터채널 및 수신확인채널의 전송이 모두 종료된 후에 다시 안테나부#1의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설정된 시간간격을 4 옥텟 만큼의 데이터프레임의 통신이 수행되는 시간으로 가정할 때(예를 들어, 1 옥텟 = 7.8ms, 4 옥텟 = 31.2ms), 안테나부#1은 T0 시간에서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한 후, 안테나부#1의 송신주기에 따라 다음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아닌, 도 6에 도시된 마지막 메시지데이터채널 및 수신확인채널의 전송이 종료된 후인 300 옥텟 만큼의 데이터프레임의 통신이 수행된 시간 이후, 다시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복수의 안테나부(10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부#1 -> 안테나부#4 -> 안테나부#5 -> 안테나부#2 -> 안테나부#3 -> 안테나부#6 의 순서로 안테나부신호가 송신되므로, 상기 T0 내지 T5의 지연시간은, T0 = 0 옥텟, T1 = 4 옥텟, T2 = 8옥텟, T3 = 12옥텟, T4 = 16옥텟, T5 = 20옥텟에 상응하는 시간일 수 있다. 이후 다시 안테나부#1부터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하는 시간은, 6번째 송신되는 데이터프레임의 전송이 종료된 300옥텟에 상응하는 시간만큼의 이후인 T0 = 320 옥텟, T1 = 324 옥텟, T2 = 328옥텟, T3 = 332옥텟, T4 = 336옥텟, T5 = 340옥텟에 상응하는 시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모드로 동작되는 상기 안테나부(1000)는, 마지막 차로의 제1열 혹은 제2열의 안테나부 중 마지막으로 송신하는 데이터프레임의 마지막 메시지데이터채널 및 수신확인채널의 전송이 종료된 후에 상기 안테나부신호를 다시 송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5개의 차로로 구성된 도로에 설치된 복수의 안테나부(10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10000)은, 차로의 수에 관계없이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5개의 차로로 구성된 도로의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10000)의 동작을 도시한다. 복수의 안테나부(1000)는 5개의 차로로 구성된 도로에서 도로를 가로지르는 겐트리(10) 상에 2열로 배치된다. 도로상에 배치된 복수의 안테나부(10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모드 및 제2모드 중 어느 하나로 교차하며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통합차로제어기(30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 차로에서 제1열에 배치된 안테나부(1000)를 상기 제1모드로 제어하는 경우, 제2열에 배치된 안테나부(1000)는 상기 제2모드로 제어하고, 동일 차로에서 제2열에 배치된 안테나부(1000)가 상기 제1모드로 제어하는 경우, 제1열에 배치된 안테나부(1000)는 상기 제2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안테나부(1000)가 상기 제2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안테나부신호가 중첩될 수 있는 옆 차로의 다른 안테나부(1000)는 상기 제2모드가 동시에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합차로제어기(3000)는, 상기 안테나부(1000)가 제1열에 N개가 배치되고, 제2열에 N개가 배치되는 경우에, 제1열의 제2*I-1차로의 안테나부(1000)가 제1모드로 동작한 후에, 제2열의 제2*I차로의 안테나부(1000)가 순차적으로 제1모드로 동작하고, I는 자연수로서 1씩 증가하고, 마지막 차로의 제1열 혹은 제2열의 안테나부(1000)가 제1모드로 동작한 후에, 제2열의 제2*J-1차로의 안테나부(1000)가 제1모드로 동작한 후에, 제1열의 제2*J차로의 안테나부(1000)가 순차적으로 제1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J는 자연수로서 1씩 증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5차로로 구성된 도로에 설치된 복수의 안테나부(1000)는 도 7의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한다. 우선, 복수의 안테나부(1000)는 제1열에 5대가 배치되고, 제2열에 5대가 배치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열의 1차로의 안테나부#1가 제1모드로 동작한 후에, 제2열의 2차로의 안테나부#4가 순차적으로 제1모드로 동작하고, 이 후, 제1열의 3차로의 안테나부#5가 제1모드로 동작하고, 제2열의 4차로의 안테나부#8가 제1모드로 동작하고, 마지막 차로인 5차로의 제1열의 안테나부#9가 제1모드로 동작한다. 이 후,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열의 1차로의 안테나부#2가 제1모드로 동작하고, 제1열의 2차로의 안테나부#3가 제1모드로 동작하고, 제2열의 3차로의 안테나부#6가 제1모드로 동작하고, 제1열의 4차로의 안테나부#7가 제1모드로 동작하고, 마지막 차로인 5차로의 제2열의 안테나부#10가 제1모드로 동작한다. 이는 3개의 차로로 이루어진 도로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10000)은 차로의 수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더라도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여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신호 시프팅을 통해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차로를 가로지르는 겐트리 상에 각각의 차로별로 2열로 배치되어 데이터프레임을 통해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하고, 차량단말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모드; 및 상기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차량단말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모드;중 어느 하나로 교차하며 동작하는 복수의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단말; 및
    상기 복수의 안테나부를 제어하는 통합차로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차로제어기는,
    동일 차로에서 제1열에 배치된 안테나부를 상기 제1모드로 제어하는 경우, 제2열에 배치된 안테나부는 상기 제2모드로 제어하고,
    동일 차로에서 제2열에 배치된 안테나부가 상기 제1모드로 제어하는 경우,
    제1열에 배치된 안테나부는 상기 제2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안테나부가 상기 제1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안테나부신호가 중첩될 수 있는 옆 차로의 다른 안테나부는 상기 제1모드가 동시에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신호 시프팅을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차로제어기는,
    각각의 차로별 상기 복수의 안테나부신호의 송신시간을 기설정된 시간간격만큼 순차적으로 지연시켜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신호 시프팅을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프레임은,
    프리앰블, 싱크정보, 연결정보,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1 이상의 메시지데이터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단말은,
    우선적으로 수신한 상기 안테나부의 신호의 상기 싱크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프레임에 대한 송수신주기를 일치시키는 동기맞춤을 수행하는, 신호 시프팅을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동기맞춤을 수행한 차량단말이 송신하는 차량단말신호는,
    상기 데이터프레임에 대한 송수신주기가 일치하는 상기 안테나부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신호 시프팅을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프레임은,
    프리앰블, 싱크정보, 연결정보, 기타정보,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1 이상의 메시지데이터채널 및 상기 차량단말에서 데이터의 수신여부를 상기 안테나부에서 판별하기 위한 1 이상의 수신확인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데이터채널 및 상기 수신확인채널은 상기 안테나부와 통신하는 상기 차량단말의 수만큼 사용되는, 신호 시프팅을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프레임은,
    프리앰블, 싱크정보, 연결정보, 기타정보,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1 이상의 메시지데이터채널 및 상기 차량단말에서 데이터의 수신여부를 상기 안테나부에서 판별하기 위한 1 이상의 수신확인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모드로 동작되는 상기 안테나부는,
    상기 데이터프레임의 마지막 메시지데이터채널 및 수신확인채널의 전송이 종료된 후에 상기 안테나부신호를 다시 송신하는, 신호 시프팅을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차로제어기는,
    상기 안테나부가 제1열에 N개가 배치되고, 제2열에 N개가 배치되는 경우에,
    제1열의 제2*I-1차로의 안테나부가 제1모드로 동작한 후에, 제2열의 제2*I차로의 안테나부가 순차적으로 제1모드로 동작하고, I는 자연수로서 1씩 증가하고, 마지막 차로의 제1열 혹은 제2열의 안테나부가 제1모드로 동작한 후에,
    제2열의 제2*J-1차로의 안테나부가 제1모드로 동작한 후에, 제1열의 제2*J차로의 안테나부가 순차적으로 제1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J는 자연수로서 1씩 증가하는, 신호 시프팅을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8.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의 운용방법으로서,
    상기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은,
    복수의 차로를 가로지르는 겐트리 상에 각각의 차로별로 2열로 배치되어 데이터프레임을 통해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하고, 차량단말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모드; 및 상기 안테나부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차량단말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모드;중 어느 하나로 교차하며 동작하는 복수의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단말; 및
    상기 1 이상의 안테나부를 제어하는 통합차로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차로제어기는 동일 차로에서 제1열에 배치된 안테나부를 상기 제1모드로 제어하는 경우, 제2열에 배치된 안테나부는 상기 제2모드로 제어하고,
    동일 차로에서 제2열에 배치된 안테나부가 상기 제1모드로 제어하는 경우, 제1열에 배치된 안테나부는 상기 제2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안테나부가 상기 제2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안테나부신호가 중첩될 수 있는 옆 차로의 다른 안테나부는 상기 제2모드가 동시에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190095689A 2019-08-06 2019-08-06 신호 시프팅을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2040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689A KR102040514B1 (ko) 2019-08-06 2019-08-06 신호 시프팅을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및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689A KR102040514B1 (ko) 2019-08-06 2019-08-06 신호 시프팅을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및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514B1 true KR102040514B1 (ko) 2019-11-05

Family

ID=68576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689A KR102040514B1 (ko) 2019-08-06 2019-08-06 신호 시프팅을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및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5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836A (ko) 2020-02-11 2021-08-19 한국도로공사 차량 검지기를 이용한 차종 구분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0251A (ko) * 2012-06-14 2013-12-24 에스트래픽 (주) 전자 요금 징수용 무선통신장치
KR20150021420A (ko) * 2013-08-20 2015-03-02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에서의 주행차로 결정방법
KR101544746B1 (ko) * 2014-04-30 2015-08-19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다 차로에서의 자동 요금 지불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0251A (ko) * 2012-06-14 2013-12-24 에스트래픽 (주) 전자 요금 징수용 무선통신장치
KR20150021420A (ko) * 2013-08-20 2015-03-02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에서의 주행차로 결정방법
KR101544746B1 (ko) * 2014-04-30 2015-08-19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다 차로에서의 자동 요금 지불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836A (ko) 2020-02-11 2021-08-19 한국도로공사 차량 검지기를 이용한 차종 구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8149B2 (en) Ground device for train control system
JP2000322696A (ja) 隊列走行制御装置
CN104021595A (zh) 一种基于dsrc协议的etc路侧单元及并发交易方法
CN110435719B (zh) 一种基于位置报告和轨道占用的列车位置处理方法
CN110807918B (zh) 一种基于流量感知协调控制的有轨电车优先通行方法
JP3514228B2 (ja) 狭域無線連続通信方法とシステム
KR102040514B1 (ko) 신호 시프팅을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차로를 구분하는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 및 운영방법
JP4618378B2 (ja) 車載受信装置
US20140320316A1 (en) Traffic light system and method
JP6748733B2 (ja) 通信制御装置、料金収受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072121A1 (en) Radio Beacon and Method for Selectively Communicating in Accordance with 5.8 and 5.9 GHz DSRC Standards
CN111080819A (zh) Rsu与obu的匹配方法及系统、存储介质、电子装置
CN105741366A (zh) 一种防跟车干扰交易方法、路侧单元及交易系统
CN107579801A (zh) Etc系统、存储器、路侧单元及其交易处理方法
US1199003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s
CN104463993B (zh) 一种解决etc邻道干扰的方法
JPH10278799A (ja) 自動列車制御装置
KR100771070B1 (ko) 교통 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30606B1 (ko) 자동통행료징수 방법 및 장치
CN104517443B (zh) 具有同步功能的车辆通行检测装置及系统
JP2006005825A (ja) 路側無線装置及び通信方法
JP3051646B2 (ja) 無線料金収受システム
JP2010135982A (ja) 無線機およびその通信方法
SU73296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иема и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JP3633360B2 (ja) 周波数選定機能を備えた車載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