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825B1 -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 Google Patents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825B1
KR102039825B1 KR1020180060885A KR20180060885A KR102039825B1 KR 102039825 B1 KR102039825 B1 KR 102039825B1 KR 1020180060885 A KR1020180060885 A KR 1020180060885A KR 20180060885 A KR20180060885 A KR 20180060885A KR 102039825 B1 KR102039825 B1 KR 102039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olymer
functional group
hydrogen bond
layer
polym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이찬재
박금환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60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 C08G61/123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derived from five-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 C08G61/126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derived from five-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with a five-membered ring containing one sulfur atom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4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 H01B1/127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comprising five-membered aromatic rings in the main chain, e.g. polypyrroles, polythiophenes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bstract

온화한 조건에서 경화가 가능하여 내용제성이 우수한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이 제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 제1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및 제1수소결합 관능기와 수소결합 가능한 제2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극성화합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Curable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
본 발명은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화한 조건에서 경화가 가능하여 내용제성이 우수한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는 LED 등 무기물 기반 발광 소자에 비해 낮은 전압으로 구동되고, 박막형 소자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소자이다. 현재 유기발광소자는 정공전달층, 발광층 및 전자전달층을 진공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다층으로 제작하고 있어 그 수명과 발광효율이 높아 스마트폰 및 TV 제작에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진공증착방법은 공정비용을 높이고, 공정 수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용액공정을 이용한 OLED 소자 제작에 관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증착공정이 아닌 용액공정을 이용하는 경우, 용액을 스핀코팅이나 슬롯다이코팅방법 등을 통해 다층으로 코팅하기 때문에 수율높게 OLED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다층 제작시, 하부의 층을 용액공정으로 제작한 후, 그 위에 다음 층을 제작하면 용액코팅시 하부의 층이 용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하부의 층과 상부의 층이 하나로 섞이게 되어 제품불량의 주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OLED소자뿐만 아니라 다른 다층으로 형성되는 소자에도 용액공정을 적용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화한 조건에서 경화가 가능하여 내용제성이 우수한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 제1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및 제1수소결합 관능기와 수소결합 가능한 제2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극성화합물;을 포함한다.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은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일 수 있다.
고분자 화합물은 폴리비닐알코올일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 내지 200,000일 수 있다.
극성화합물은 붕산이온(B(OH)4 -)일 수 있다.
극성화합물은 경화 전 및 경화 후에 극성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소결합은 제1수소결합 관능기의 산소 및 수소, 제2수소결합 관능기의 산소 및 수소, 및 물의 산소 및 수소 간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및 제1수소결합 관능기와 수소결합 가능한 제2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극성화합물을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제1혼합물 및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을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고분자 화합물 및 극성화합물의 중량비율은 고분자 화합물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 및 제1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을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제1혼합물을 이용하여 제1혼합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1혼합물층 상에 제1수소결합 관능기와 수소결합 가능한 제2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극성화합물을 도포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패턴 형성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조기판 상에 제1전극층, 정공주입층, 정공전달층, 발광층, 전자주입층, 전자전달층 및 제2전극층을 순차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전극층, 정공주입층, 정공전달층, 발광층, 전자주입층, 전자전달층 및 제2전극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 제1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및 제1수소결합 관능기와 수소결합 가능한 제2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극성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된 전기전도성층인 것을 특징으로 유기발광소자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이용하여 전기전도성층을 형성하면 경화가 온화한 조건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열에 의한 물질변성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 높은 소자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전기전도성층이 경화되어 형성되므로 전기전도성층을 포함하는 소자 제작시 2이상의 용액공정을 수행하여도 경화된 전기전도성층에 후행 용액공정의 용액이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다층 용액공정이 가능하여 공정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경화 후에도 전도성을 나타내는 붕산이온을 포함하고 있어서 우수한 전도성을 나타내면서도 경화되어 내용제성이 우수한 전기전도성층 형성이 가능하여 고품질의 소자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화형 고분자층의 물에 대한 용해정도를 나타낸 실험결과이다.
도 3a 및 도 3b는 종래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층의 물에 대한 용해정도를 나타낸 실험결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특정 패턴을 갖도록 도시되거나 소정두께를 갖는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설명 또는 구별의 편의를 위한 것이므로 특정패턴 및 소정두께를 갖는다고 하여도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요소에 대한 특징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 제1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및 제1수소결합 관능기와 수소결합 가능한 제2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극성화합물;을 포함한다.
전도성 고분자는 전도성을 나타내는 고분자로서, 고분자에 전자수용체나 전자공여체가 도핑된 형태이다. 고분자이면서 전도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고분자의 특징인 제조가 용이하고 가공이 용이한 점을 유지하면서도 전도성을 나타내므로, 유연기판적용이 가능하여 유연소자에 사용되고 있다.
전도성 고분자는 예를 들면, PEDOT(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PVK(폴리(9-비닐카바졸)), PTPD(폴리(N,N'-비스(4-부틸페닐)-N,N'-비스(페닐)-벤지딘)), PANI(폴리아닐린), P3HT(폴리(3-헥실티오펜))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은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일 수 있다. PEDOT는 고분자산이 도핑된 형태로 종종 사용되는데, 고분자 산으로는 폴리스티렌 술포네이트가 사용될 수 있어서, PEDOT:PSS(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형태로 사용될 있다.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은 고분자 형태이므로 무기물 증착공정이 아닌 용액으로 이용한 코팅공정으로 박막층 형성이 가능하다. 그러나, 2 이상의 박막층을 형성하는 경우, 용액공정을 이용하면 하부층 상에 형성되는 상부층의 용액공정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으면서 경화가 가능하여 용액공정과 같이 후속공정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의 경화를 위하여 다양한 경화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옥세테인, 에폭시, 스티렌, 또는 아크릴레이트 관능기 등을 이용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옥세테인과 아크릴레이트 관능기의 경우 UV 조사가 필요한 광경화 관능기이므로 UV 조사에 따라 유기물 변성 우려가 있고, 에폭시와 스티렌의 경우에는 열경화 관능기이므로 경화를 위해 100℃ 이상의 높은 온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열에 의한 유기물 변성이 문제될 수 있다.
따라서, 전도성 고분자의 경화를 위하여는 온화한 온도에서 경화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고, 경화를 위한 첨가물에 의해서 전도성이 저하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에는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 이외에 제1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및 제1수소결합 관능기와 수소결합가능한 제2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극성화합물을 추가하여 수소결합에 의한 경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수소결합에 의한 경화반응은 광경화나 열경화와 달리 온화한 조건, 즉 70℃ 이하에서도 경화가 가능하므로 유기물이나 전도성 고분자의 특성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경화될 수 있다.
제1수소결합 관능기 및 제2수소결합 관능기는 수소결합이 가능한 관능기일 수 있다. 수소결합이 가능한 관능기는 히드록시기(OH)일 수 있다. 제1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은 제2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극성화합물과 수소결합하게 되어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의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면서, 극성화합물이 존재하므로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의 전도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1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은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폴리비닐알코올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 내지 200,000일 수 있다.
제1수소결합 관능기와 수소결합 가능한 제2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극성화합물은 극성을 나타내면서도 제2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고, 극성에 의해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의 전도성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극성화합물은 붕산이온(B(OH)4 -)일 수 있다.
붕산이온은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의 수소결합으로 인한 경화 후에도 극성을 나타낼 수 있어서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의 전도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붕산이온은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에 붕사(borax) 형태로 첨가될 수 있는데, 붕사는 사붕산나트륨 10수화염(Na2B4O7·10H2O)이다.
붕산이온이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에 붕사 형태로 첨가되는 경우와 같이 본 발명의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물의 히드록시기도 수소결합에 참여할 수 있으므로 물에 의한 경화가 더욱 진행가능하다. 즉,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이 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 수소결합은 제1수소결합 관능기의 산소 및 수소, 제2수소결합 관능기의 산소 및 수소, 및 물의 산소 및 수소 간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제1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및 제1수소결합 관능기와 수소결합 가능한 제2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극성화합물을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제1혼합물 및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을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될 수 있다. 고분자 화합물 및 극성화합물의 중량비율은 고분자 화합물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일 수 있다.
고분자 화합물이 PVA이고, 극성화합물이 붕산이온인 경우, 먼저 PVA와 붕사를 혼합하고, PEDOT를 추가하면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패턴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PEDOT에 PVA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혼합물로 박막층을 형성한다. 박막층에 원하는 패턴형태로 붕사를 도포하면 붕사가 도포된 영역이 패턴영역이 되어 패턴영역에는 수소결합으로 인하여 경화된 전도성 고분자 패턴이 형성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신뢰성 있는 형태로 경화된 전도성 고분자 패턴을 용이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기판(110) 상에 제1전극층(120), 정공주입층(130), 정공전달층(140), 발광층(150), 전자주입층(160), 전자전달층(170) 및 제2전극층(180)을 순차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100)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전극층(120), 정공주입층(130), 정공전달층(140), 발광층(150), 전자주입층(160), 전자전달층(170) 및 제2전극층(180)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 제1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및 제1수소결합 관능기와 수소결합 가능한 제2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극성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된 전기전도성층인 것을 특징으로 유기발광소자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기발광소자가 제1전극층, 정공주입층, 정공전달층, 발광층, 전자주입층, 전자전달층 및 제2전극층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유기발광소자는 제1전극층, 발광층, 제2전극층을 반드시 포함하고, 정공주입층, 정공전달층, 전자주입층 및 전자전달층은 필요에 따라 포함여부가 선택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100)는 제1전극층(120), 정공주입층(130), 정공전달층(140), 발광층(150), 전자주입층(160), 전자전달층(170) 및 제2전극층(180)을 포함하여 전압인가에 따라 발광층(150)에서 광이 발생하는 소자이다. 유기발광소자(100)는 무기물 기반의 LED와 달리 유기물 기반인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데, 용액공정을 이용하는 경우 2층이상 적층시 상부층의 용액이 하부층을 용해하여 두 층이 뒤섞이거나 하부층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용액공정은 제조할 층의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용액을 이용하여 층을 성형하는 공정으로서, 예를 들면 스핀 코팅, 그라비어 코팅, 커튼 코팅, 딥 코팅, 슬롯-다이 코팅, 분무-코팅, 및 연속 노즐 코팅과 같은 코팅기술 및 잉크젯 인쇄, 그라비어 인쇄, 및 스크린 인쇄와 같은 인쇄기술 등이 있다.
이러한 용액공정은 용액상태로 코팅 또는 인쇄를 하는 공정으로 증착공정에 비하여 고가의 장치가 필요없고 수율이 높으며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공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용액공정으로 다층의 소자를 제조하면 소자가격이 낮아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경화형의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여 경화에 의해 2이상의 용액공정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도성층은 OLED소자 이외에도 중합체성 광방사다이오드(PLED), 유기집적회로(O-IC), 유기전계효과트랜지스터(OFET), 유기박막 트랜지스터(OTFT), 유기태양전지(O-SC) 또는 유기레이저다이오드(O-laser)에 유기전도성층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기발광소자 제작시 본 발명에 따른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포함하는 온화한 온도에서 경화되는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사용하면, 경화가 40내지 70℃에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전도성 고분자나 다른 유기물질에 광조사 또는 높은 온도의 열에 의한 변성을 방지할 수 있어 고품질 소자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방법은 적어도 2이상의 용액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전도성층을 형성하는 경우, 용액공정에서 전도성 고분자를 용해 또는 분산시키는 용매를 사용하여 먼저 전도성 고분자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다시 다른 전도성 고분자를 용해 또는 분산시키는 용매를 사용하여 두번째 전도성 고분자층을 형성하는 경우, 두번째 용액공정의 용매에 의해 첫번째 전도성 고분자층의 전도성 고분자가 용해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소자 제조가 불가능하거나 첫번째 및 두번째 전도성 고분자층 모두에 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제조방법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데, 유기발광소자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서 2이상의 용액공정이 포함된다면 순차적으로 제1용액공정 및 제2용액공정이라 할 수있다. 이때, 제1용액공정에 의해 상온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이 경화되어 제1전기전도성층이 형성되고, 그 위에 제2용액공정이 수행되어 제2전기전도성층이 형성된다면, 제2용액이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를 용해시킬 수 있는 경우에도 형성된 제1전기전도성층은 경화되었기 때문에 용해시킬 수 없기 때문에 2이상의 용액공정을 수행하여도 우수한 품질의 유기발광소자 제조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2이상의 용액공정이 수행되어 다층구조의 소자가 제조되는 경우, 2이상의 용액공정에서 용매는 서로 오르소고날한 용매(orthogonal solvent)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르소고날한 용매는 상부층에 사용하는 용매로서 하부층을 용해시키지 않는 용매를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전도성층이 온화한 조건에서 경화가능하므로 경화된 전기전도성층은 용매에 용해되지 않을 정도의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용액공정에 사용되는 용매는 반드시 오르소고날한 용매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용매의 선택폭이 넓어져 공정용이성이 확보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서는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합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기전도성층을 제조하였다.
[PEDOT:PSS/PVA-borax 조성물]
플라스크에 PVA를 넣고 수용액으로 녹여 최종 4wt% 농도의 PVA 수용액을 준비한다. 또 다른 플라스크에 붕사와 수용액을 넣고 고체를 완전히 녹여 최종 4wt% 농도의 붕사수용액을 준비한다.
플라스크에 PEDOT:PSS 수용액(4g)과 준비한 PVA 수용액(0.5g)을 혼합한다. 두 용액이 완전히 혼합된 후, 준비한 붕사수용액(0.02g)을 넣고 혼합하여 PEDOT:PSS/PVA-borax 용액을 제조한다.
[디바이스 제작]
제조된 PEDOT:PSS/PVA-borax 용액을 ITO가 코팅된 유리기판에 스핀코팅하여 두께 60nm의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층을 형성한다. 여기에 NPD를 100nm 두께로 진공증착하고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디바이스를 제작하였다.
[내용제성 테스트]
PEDOT:PSS/PVA-borax 용액을 유리기판에 스핀코팅하여 두께 60㎛의 경화형 전도성 폴리머층을 제작한다. 비교예로 PEDOT:PSS 용액을 유리기판에 스핀코팅하여 두께 60㎛의 경화형 전도성 폴리머층을 제작한다. 두 샘플을 물에 담그고 30분 후 물에 녹는 정도를 관찰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화형 고분자층의 물에 대한 용해정도를 나타낸 실험결과이고, 도 3a 및 도 3b는 비교예의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층의 물에 대한 용해정도를 나타낸 실험결과이다.
도 2a 및 도 2b에서 본 발명에 따라 경화된 고분자 박막층은 물에 대하여 용해되지 않았으나, 도 3a 및 도 3b에서는 전도성 고분자만을 포함하는 박막층이므로 물에 용해되어 박막층이 손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유기발광소자
110: 제조기판
120: 제1전극층
130: 정공주입층
140: 정공전달층
150: 발광층
160: 전자주입층
170: 전자전달층
180: 제2전극층

Claims (12)

  1.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
    제1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및
    제1수소결합 관능기와 수소결합 가능한 제2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극성화합물;을 포함하여, 제1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및 제2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극성화합물의 수소결합에 의해 경화되는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로서,
    극성화합물은 경화 전 및 경화 후에 극성을 나타내어 경화된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의 전도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은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고분자 화합물은 폴리비닐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 내지 2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극성화합물은 붕산이온(B(OH)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수소결합은 제1수소결합 관능기의 산소 및 수소, 제2수소결합 관능기의 산소 및 수소, 및 물의 산소 및 수소 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9. 제1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및 제1수소결합 관능기와 수소결합 가능한 제2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극성화합물을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제1혼합물 및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을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제조방법으로서,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제1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및 제2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극성화합물의 수소결합에 의해 경화되고, 극성화합물은 경화 전 및 경화 후에 극성을 나타내어 경화된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의 전도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고분자 화합물 및 극성화합물의 중량비율은 고분자 화합물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제조방법.
  11.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 및 제1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을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제1혼합물을 이용하여 제1혼합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1혼합물층 상에 제1수소결합 관능기와 수소결합 가능한 제2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극성화합물을 도포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패턴 형성방법으로서,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는 제1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및 제2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극성화합물의 수소결합에 의해 경화되고, 극성화합물은 경화 전 및 경화 후에 극성을 나타내어 경화된 전도성 고분자의 전도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패턴 형성방법.
  12. 제조기판 상에 제1전극층, 정공주입층, 정공전달층, 발광층, 전자주입층, 전자전달층 및 제2전극층을 순차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전극층, 정공주입층, 정공전달층, 발광층, 전자주입층, 전자전달층 및 제2전극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전도성 고분자 화합물, 제1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및 제1수소결합 관능기와 수소결합 가능한 제2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극성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된 전기전도성층인 것을 특징으로 유기발광소자 제조방법으로서,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은 제1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 및 제2수소결합 관능기를 포함하는 극성화합물의 수소결합에 의해 경화되고, 극성화합물은 경화 전 및 경화 후에 극성을 나타내어 경화된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의 전도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패턴 형성방법.
KR1020180060885A 2018-05-29 2018-05-29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KR102039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885A KR102039825B1 (ko) 2018-05-29 2018-05-29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885A KR102039825B1 (ko) 2018-05-29 2018-05-29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825B1 true KR102039825B1 (ko) 2019-11-01

Family

ID=68535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885A KR102039825B1 (ko) 2018-05-29 2018-05-29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82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4576A (ja) * 2002-08-19 2004-03-11 Oji Paper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の製造方法
KR20060120378A (ko) * 2005-05-19 2006-11-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채용한 유기 광전 소자
JP2010518568A (ja) * 2007-02-09 2010-05-27 コミツサリア タ レネルジー アトミーク 電気化学システムの電極用バインダー、該バインダーを含む電極、及び該電極を含む電気化学システム
KR20130078607A (ko) * 2011-12-30 2013-07-10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JP2014111683A (ja) * 2012-12-05 2014-06-19 Tomoyuki Wada 断熱遮熱性塗材
KR20170139225A (ko) * 2016-06-09 2017-12-1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4576A (ja) * 2002-08-19 2004-03-11 Oji Paper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の製造方法
KR20060120378A (ko) * 2005-05-19 2006-11-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채용한 유기 광전 소자
JP2010518568A (ja) * 2007-02-09 2010-05-27 コミツサリア タ レネルジー アトミーク 電気化学システムの電極用バインダー、該バインダーを含む電極、及び該電極を含む電気化学システム
KR20130078607A (ko) * 2011-12-30 2013-07-10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JP2014111683A (ja) * 2012-12-05 2014-06-19 Tomoyuki Wada 断熱遮熱性塗材
KR20170139225A (ko) * 2016-06-09 2017-12-1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eng et al. All-solution processed polymer light-emitting diode displays
CN107706318B (zh) 电子传输层喷墨打印墨水及其制备方法
KR102034366B1 (ko) 유기 박막 적층체 및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KR101366655B1 (ko) 유기 전자 장치들의 처리 및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중성화된 애노드 버퍼층들
US20120153285A1 (en) Solution processable passivation layers for organic electronic devices
DE112009002490T5 (de) Organische Elektrolumineszierende Vorrichtung
CN109256475B (zh) 一种基于紫外热退火工艺的钙钛矿发光二极管及制备方法
CN105161635A (zh) 一种具有自组装电子传输层的qled器件及其制备方法
Xie et al. High‐Performance Inkjet‐Printed Blue QLED Enabled by Crosslinked and Intertwined Hole Transport Layer
CN1828974A (zh) 构图导电聚合物层的方法、有机发光装置及其制造方法
KR20090064863A (ko) 스프레이 코팅을 이용한 유기태양전지 제조방법
KR101942266B1 (ko) 전기 분무법을 이용한 유기 다층 박막의 제조방법
Yi et al. Molecular design of diazo compound for carbene-mediated cross-linking of hole-transport polymer in QLED with reduced energy barrier and improved charge balance
Ren et al. Ink jet technology for large area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nd organic photovoltaic applications
KR102039825B1 (ko) 경화형 전도성 고분자 조성물
CN112259702A (zh) 量子点墨水溶液体系、量子点发光器件及其制作方法
CN112266656B (zh) 一种用于喷墨打印的可原位交联空穴传输材料墨水配方及其在电致发光器件中的应用
CN112968137B (zh) 一种钙钛矿发光二极管及其制备方法
KR101562558B1 (ko) 유기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40140A (ko) 계면 조절 첨가제가 도핑된 저분자 발광층에 기반한 자체계량 용액 공정 유기발광소자
JP2019530200A (ja) 発光電気化学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1129710A1 (zh) 量子点发光二极管的制备方法
CN109192885B (zh) 有机功能层的制备方法、显示基板的制备方法
KR20120002353A (ko) 롤인쇄법을 이용한 유기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CN111048674A (zh) 发光器件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