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095B1 - 시공성 향상을 위한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 - Google Patents

시공성 향상을 위한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095B1
KR102039095B1 KR1020170178504A KR20170178504A KR102039095B1 KR 102039095 B1 KR102039095 B1 KR 102039095B1 KR 1020170178504 A KR1020170178504 A KR 1020170178504A KR 20170178504 A KR20170178504 A KR 20170178504A KR 102039095 B1 KR102039095 B1 KR 102039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lower flanges
joint
adhesive
en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6588A (ko
Inventor
이승창
최석주
임석묵
박종철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주) filed Critical 삼성물산(주)
Priority to KR1020170178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095B1/ko
Publication of KR20190076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8Details of bo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골구조의 접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 대신에 볼트와 접착제의 적절한 조합으로 강접합을 실현한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접합볼트에 의한 볼트접합과 함께 끼움재 및 접착제에 의한 본드접합을 동시에 실현함으로써 무용접으로 강접합부구조를 구현한다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작업을 줄이면서 간편하고 철골구조의 강접합부를 시공할 수 있으며, 이로써 기존 철골구조물을 보강하기 위해 철골보를 추가 설치하는 경우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형 본드접합에 의해 철골부재 상호 간의 접합부에 수지류 등의 접착제가 위치하게 되므로 접착제가 진동 완충작용을 하게 되어 간단하게 진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시공성 향상을 위한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Non-Welding Hybrid Bonded Rigid Connection in Steel Structure}
본 발명은 철골구조의 접합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볼트 대신에 접착제와 끼움재로 구성한 하이브리드형 본드접합과 볼트접합의 적절한 조합으로 강접합부을 실현한 무용접 또는 일부 무볼트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철골구조는 강판재 또는 형강재 등을 공장에서 정해진 형상사이즈로 절단, 가공, 볼트 및 용접접합에 의해 기둥과 보로 제작하여 조립하는 구조이므로 접합부의 안전성이 대단히 중요하고, 접합부의 형태는 설계-시공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철골구조물에 사용되는 접합방법은 기본적으로 기계적인 접합(볼트접합)과 야금적인 접합(용접접합)으로 구분되고, 구조 부재의 응력 전달의 방법에 따라 모멘트접합(강접합)과 전단접합(핀접합)으로 구분되며, 보통 볼트접합은 전단접합이 되고 용접접합은 모멘트접합(강접합)이 된다.
기존 철골구조에 보강목적으로 철골보를 추가 설치할 경우가 있는데 시공성 측면에서 볼트접합이 선호된다. 그러나 기둥과 보의 접합부 또는 큰보와 작은보의 접합부는 힘 또는 응력 전달의 측면에서 모멘트접합이 유리하다. 모멘트접합이 요구되는 접합부는 용접접합 내지 볼트접합으로 처리했으나, 용접접합은 시공성/경제성이 불리하고 현장 품질관리가 어렵고, 볼트접합은 시공성에서는 유리하나 볼트 머리가 철골부재 상부로 돌출되어 후속 공정 작업과의 간섭 등 작업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8-0020915호
본 발명은 용접 또는 볼트접합으로 모멘트접합을 실현했던 종래 철골구조의 접합기술을 개선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용접 또는 볼트 대신에 접착제와 끼움재로 구성한 하이브리드형 본드접합과 볼트접합의 적절한 조합으로 시공성을 향상시킨 무용접 또는 일부 무볼트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를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는 철골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부에서, H형강기둥; H형강보; H형강보의 단부면에 접합된 엔드플레이트(endplate); H형강보의 상·하부플랜지 각각과 H형강기둥의 일측플랜지에 덧대어 설치되는 접합앵글; 엔드플레이트와 H형강기둥의 일측플랜지를 접합하고 접합앵글의 수직부와 H형강기둥의 일측플랜지를 접합하는 접합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H형강보의 상·하부플랜지 각각과 접합앵글 수평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H형강보의 상·하부플랜지 각각과 접합앵글 수평부 사이 및 관통공 내부에 접착제가 충진되는 한편, 관통공에 끼움재가 끼워져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는, 철골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부에서, H형강기둥; H형강보; H형강보의 단부 단면보다 넓은 크기로 마련되어 H형강보의 단부면에 상하부로 돌출되게 접합된 엔드플레이트; H형강보의 상·하부플랜지 사이 위치에서 엔드플레이트와 H형강기둥의 일측플랜지를 접합하는 접합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엔드플레이트의 상·하부 각각과 H형강기둥의 일측플랜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엔드플레이트의 상·하부 각각과 H형강기둥의 일측플랜지 사이 및 관통공 내부에 접착제가 충진되는 한편, 관통공에 끼움재가 끼워져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따른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는, 철골보와 철골보의 접합부에서, H형강 큰보; H형강 큰보의 상·하부플랜지 사이에 끼워져 H형강 큰보의 웨브에 대면하게 설치되는 H형강 작은보; H형강 작은보의 단부면에 접합된 엔드플레이트; 엔드플레이트와 H형강 큰보의 웨브를 접합하는 접합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H형강 작은보의 상·하부플랜지 각각과 H형강 큰보의 상·하부플랜지 각각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H형강 작은보의 상·하부플랜지 각각과 H형강 큰보의 상·하부플랜지 각각의 사이 및 관통공 내부에 접착제가 충진되는 한편, 관통공에 끼움재가 끼워져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따른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는, 철골보와 철골보의 접합부에서, H형강 큰보; H형강 작은보; H형강브라켓의 일단부면에 엔드플레이트가 접합되고 H형강브라켓의 타단부가 상·하부플랜지보다 웨브가 돌출되게 마련된 부재로, H형강 큰보의 상·하부플랜지 사이에 끼워져 엔드플레이트가 H형강 큰보의 웨브에 대면하게 설치되는 한편, H형강브라켓의 타단부 웨브가 H형강 작은보의 웨브와 맞대게 설치되는 거셋박스; 거셋박스의 엔드플레이트와 H형강 큰보의 웨브, 거셋박스의 H형강브라켓의 타단부 웨브와 H형강 작은보의 웨브를 접합하는 접합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거셋박스의 H형강브라켓의 상·하부플랜지 각각과 H형강 큰보의 상·하부플랜지 각각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거셋박스의 H형강브라켓의 상·하부플랜지 각각과 H형강 큰보의 상·하부플랜지 각각 사이 및 관통공 내부에 접착제가 충진되는 한편, 관통공에 끼움재가 끼워져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한다.
첫째, 용접 또는 볼트 대신에 접착제와 끼움재로 구성한 하이브리드형 본드접합으로 강접합부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작업을 줄이면서 후속공정에서 유리한 철골구조의 접합부를 시공할 수 있다. 이로써 기존 철골구조물을 보강하기 위해 철골보를 추가 설치하는 경우에 더욱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둘째, 하이브리드형 본드접합에 의해 철골부재 상호 간의 접합부에 수지류 등의 접착제가 위치하게 되므로 접착제가 진동 완충작용을 하게 되어 간단하게 진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철골기둥과 철골보의 강접합부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의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에서 기둥과 보의 접합부에 대한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에서 기둥과 보의 접합부에 대한 다른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에서 큰보과 작은보의 접합부에 대한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에서 큰보과 작은보의 접합부에 대한 다른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 구조에서 끼움재의 다양한 실시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에서 끼움재의 설치상태에 대한 실시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에서 끼움재의 시공과정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의 개요도이다.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볼트접합과 함께 끼움재(B2) 및 접착제(B3)에 의한 하이브리드형 본드접합을 동시에 실현함으로써 무용접으로 강접합부구조를 구현한다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하이브리드형 본드접합은 접착제에 의한 접착응력으로 인장력에 저항하고, 접착제 및 끼움재의 전단응력으로 전단력에 저항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에서 기둥과 보의 접합부 내지 큰보와 작은보의 접합부를 보여준다. 도 3은 기둥과 보의 접합부를 무용접 강접합부구조로 완성한 일례로서, H형강기둥(10), H형강보(20), 엔드플레이트(21), 접합앵글(30), 접합볼트(B1), 끼움재(B2), 접착제(B3)로 구성된다. 엔드플레이트(21)는 H형강보(20)의 단부면에 미리 (용접)접합됨으로써 H형강기둥의 일측플랜지(11)와 H형강보(20) 단면과의 접합매개가 된다. 접합앵글(30)은 H형강보의 상·하부플랜지(22)에 설치되는 부재로, H형강기둥의 일측플랜지(11)와 H형강보의 상·하부플랜지(22)와의 접합매개가 된다. 엔드플레이트(21)와 H형강기둥의 일측플랜지(11), 그리고 접합앵글의 수직부(31)와 H형강기둥의 일측플랜지(11)는 접합볼트(B1)에 의해 볼트접합된다. 접합앵글의 수평부(32)와 H형강보의 상·하부플랜지(22)는 끼움재(B2) 및 접착제(B3)에 의해 하이브리드형으로 본드접합된다. 접합부에서 접착제(B3)는 진동 완충효과를 발휘하여 철골구조물의 진동 저감을 이끌기도 한다. 엔드플레이트(21)와 H형강기둥의 일측플랜지(11) 사이에는 심플레이트(shim plate, 70) 내지 방진패드를 더 설치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형 본드접합은 H형강보의 상·하부플랜지(22) 각각과 접합앵글의 수평부(32)에 관통공(H)이 형성되게 준비한 상태에서, 관통공(H)에 끼움재(B2)가 끼워지고, 접착제(B3)가 H형강보의 상·하부플랜지(22) 각각과 접합앵글의 수평부(32) 사이에 충진되고 동시에 관통공(H) 내부에 충진됨으로써 실현된다. 접합앵글의 수직부(31)와 H형강기둥의 일측플랜지(11)를 볼트접합할 때에는 H형강보의 상·하부플랜지(22) 각각과 접합앵글의 수평부(32) 사이에 소정의 틈을 형성시키는 위치에서 볼트접합하며, 이로써 그 틈에는 접착제(B3)가 충진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H형강보의 상·하부플랜지(22)와 접합앵글의 수평부(32) 상호 간의 접합표면을 철브러쉬 등으로 거친면 처리하면 본드접합 내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형 본드접합에서 끼움재(B2)는 효과적인 내력발휘를 위해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자재로 봉형, 막대형, 파이프형, 묶음형(bundle type) 등으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끼움재의 다양한 형태에 대해서는 도 7에서 자세히 살펴본다. 끼움재(B2)는 강재, 섬유강화플라스틱, 탄소섬유 또는 탄소나노튜브 등의 소재이면 적당하며, 접착제(B3)는 아크릴, 에폭시, 폴리우레탄, 탄성고무 등의 플라스틱(수지)류이면 적당하며 더욱 효과적인 내력발휘를 위해 탄소나노튜브 입자를 혼입할 수 있다.
도 4는 기둥과 보의 접합부를 무용접 강접합부구조로 완성한 다른 예로서, H형강기둥(10), H형강보(20), 엔드플레이트(21), 접합볼트(B1), 끼움재(B2), 접착제(B3)로 구성된다. 엔드플레이트(21)는 H형강보의 단부 단면보다 넓은 크기로 마련되어 H형강보(20)의 단부면에 상하부로 돌출되게 미리 (용접)접합되며, H형강기둥의 일측플랜지(11)와 H형강보(20)와의 접합매개가 된다. 엔드플레이트(21)와 H형강기둥의 일측플랜지(11)는 H형강보의 상·하부플랜지(22) 사이 위치에서 접합볼트(B1)에 의해 볼트접합되고, 동시에 H형강보의 상·하부플랜지(22) 위아래 위치에서 끼움재(B2) 및 접착제(B3)에 의해 하이브리드형으로 본드접합된다. 한편 엔드플레이트(21)와 H형강기둥의 일측플랜지(11) 사이에는 방진패드를 더 설치하여 방진효과를 부가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형 본드접합은 엔드플레이트(21)의 상·하부 각각과 H형강기둥의 일측플랜지(11)에 관통공(H)이 형성되게 준비한 상태에서, 관통공(H)에 끼움재(B2)가 끼워지고, 접착제(B3)가 엔드플레이트(21)와 H형강기둥의 일측플랜지(11) 사이에 충진되고 동시에 관통공(H) 내부에 충진됨으로써 실현된다. 하이브리드형 본드접합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엔드플레이트(21)와 H형강기둥의 일측플랜지(11)를 볼트접합할 때 엔드플레이트(21)와 H형강기둥의 일측플랜지(11) 사이에 소정의 틈이 형성되게 하면서 볼트접합하며, 이로써 그 틈에 접착제(B3)가 충진될 수 있게 된다. 엔드플레이트(21)와 H형강기둥의 일측플랜지(11) 사이에는 심플레이트 내지 방진패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엔드플레이트(21)와 H형강기둥의 일측플랜지(11) 상호 간의 접합표면을 거친면으로 처리하면 본드접합 내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도 5는 큰보와 작은보의 접합부를 무용접 강접합부구조로 완성한 일례로서, H형강 큰보(40), H형강 작은보(50), 엔드플레이트(51), 접합볼트(B1), 끼움재(B2), 접착제(B3)로 구성된다. 엔드플레이트(51)는 H형강 작은보(50)의 단부 단면보다 넓은 크기로 마련되어 H형강 작은보(50)의 단부면에 상하부로 돌출되게 미리 (용접)접합되며, H형강 큰보의 웨(41)브와 H형강 작은보(50) 단면과의 접합매개가 된다. H형강 작은보(50)는 H형강 큰보의 상·하부플랜지(42) 사이에 끼워져 H형강 큰보의 웨브(41)에 대면하게 설치되는데, 엔드플레이트(51)와 H형강 큰보의 웨브(41)는 접합볼트(B1)에 의해 볼트접합되고, 동시에 H형강 큰보의 상·하부플랜지(42)와 H형강 작은보의 상·하부플랜지(52)는 끼움재(B2) 및 접착제(B3)에 의해 하이브리드형으로 본드접합된다.
하이브리드형 본드접합은 H형강 큰보의 상·하부플랜지(42)와 H형강 작은보의 상·하부플랜지(52)에 관통공(H)이 형성되게 준비한 상태에서, 관통공(H)에 끼움재(B2)가 끼워지고, 접착제(B3)가 H형강 큰보의 상·하부플랜지(42)와 H형강 작은보의 상·하부플랜지(52) 사이에 충진되고 동시에 관통공(H) 내부에 충진됨으로써 실현된다. 하이브리드형 본드접합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H형강 작은보(50)의 외부 높이가 H형강 큰보(40)의 내부 높이보다 작게 마련하며, 이로써 H형강 작은보(50)를 H형강 큰보의 상·하부플랜지(42) 사이에 끼워 엔드플레이트(51)와 H형강 큰보의 웨브(41)를 볼트접합할 때 H형강 작은보의 상·하부플랜지(52)와 H형강 큰보의 상·하부플랜지(42) 사이에 소정의 틈이 형성되게 하면서 볼트접합할 수 있고 나아가 그 틈에 접착제(B3)가 충진될 수 있게 된다. H형강 작은보의 상·하부플랜지(52)와 H형강 큰보의 상·하부플랜지(42) 상호 간의 접합표면을 거친면으로 처리하면 본드접합 내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도 6은 큰보와 작은보의 접합부를 무용접 강접합부구조로 완성한 다른 예로서, H형강 큰보(40), H형강 작은보(50), 거셋박스(60), 접합볼트(B1), 끼움재(B2), 접착제(B3)로 구성된다. 여기서 거셋박스(60)는 H형강브라켓(64)의 일단부면에 엔드플레이트(61)가 접합되고 H형강브라켓(64)의 타단부가 상·하부플랜지(62)보다 웨브(63)가 돌출되게 마련된 부재인데, H형강 큰보의 상·하부플랜지(42) 사이에 끼워져 엔드플레이트(61)가 H형강 큰보의 웨브(41)에 대면하게 설치되는 한편, H형강브라켓의 타단부 웨브(63)가 H형강 작은보(50)의 웨브와 맞대게 설치된다. 이때 거셋박스의 엔드플레이트(61)와 H형강 큰보의 웨브(41)는 접합볼트(B1)에 의해 볼트접합되고, 동시에 거셋박스의 H형강브라켓의 상·하부플랜지(62)와 H형강 큰보의 상·하부플랜지(42)는 끼움재(B2) 및 접착제(B3)에 의해 하이브리드형으로 본드접합된다. 그리고 거셋박스의 H형강브라켓의 웨브(63)와 H형강 작은보(50)의 웨브는 접합볼트(B1)에 의해 볼트접합된다.
하이브리드형 본드접합은 거셋박스의 H형강브라켓의 상·하부플랜지(62)와 H형강 큰보의 상·하부플랜지(42)에 관통공(H)이 형성되게 준비한 상태에서, 관통공(H)에 끼움재(B2)가 끼워지고, 접착제(B3)가 거셋박스의 H형강브라켓의 상·하부플랜지(62)와 H형강 큰보의 상·하부플랜지(42) 사이에 충진되고 동시에 관통공(H) 내부에 충진됨으로써 실현된다. 하이브리드형 본드접합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거셋박스(60)의 외부 높이가 H형강 큰보(40)의 내부 높이보다 작게 마련하며, 이로써 거셋박스(60)를 H형강 큰보의 상·하부플랜지(42) 사이에 끼워 엔드플레이트(61)와 H형강 큰보의 웨브(41)를 볼트접합할 때 H형강브라켓의 상·하부플랜지(62)와 H형강 큰보의 상·하부플랜지(42) 사이에 소정의 틈이 형성되게 하면서 볼트접합할 수 있으며, 나아가 그 틈에 접착제(B3)가 충진될 수 있게 된다. H형강브라켓의 상·하부플랜지(62)와 H형강 큰보의 상·하부플랜지(42) 상호 간의 접합표면을 거친면으로 처리하면 본드접합 내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에서 끼움재(B2)의 다양한 실시예이다. 끼움재(B2)는 관통공(H) 내부에의 삽입과 접착제(B3) 주입이 용이한 형상이 바람직하며, 가령 원, 사각, 파이프, 스타, 묶음(bundle) 등의 단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도 7(a)). 파이프형 끼움재(B2)는 타공구멍(H1)이 형성되도록 준비할 수 있는데(도 7(b)), 타공구멍(H1)은 접착제(B3)가 파이프형 끼움재(B2)의 내·외부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일체성 강화에 기여한다. 도 7(b)(c)는 묶음형(bundle) 끼움재(B2)를 예시한다.
도 8은 발명에 따른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에서 끼움재(B2)의 설치상태에 대한 실시예이다. 또한 끼움재(B2)는 관통공(H) 내부에서 수직으로 끼워질 수 있는 것은 물론 뜯김하중에의 효과적인 저항을 위해 경사 배치되게 끼워질 수도 있다. 더욱이 끼움재(B2)는 경사 배치에서 평면상 이웃하는 끼움재(B2)끼리 서로 크로스되게 경사 배치되게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에서 끼움재의 시공과정을 나타낸다. 보는 바와 같이 관통공(H) 하부에 테이핑 처리한 후에 끼움재(B2)를 끼우고 접착제(B3)를 주입하면서 시공한다. 테이핑은 접착제(B3) 주입 과정에서 접착제의 누출 우려가 있는 곳에 처리한다. 관통공(H)을 통해 접착제(B3)를 주입하면 접착제(B3)는 관통공(H) 내부는 물론 접합표면 틈에도 자연스럽게 충진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며,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H형강기둥
20: H형강보
30: 접합앵글
40: H형강 큰보
50: H형강 작은보
60: 거셋박스
21, 51, 61: 엔드플레이트
70: 심플레이트
B1: 접합볼트
B2: 끼움재
B3: 접착제

Claims (7)

  1. 철골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부에서,
    H형강기둥(10);
    H형강보(20);
    상기 H형강보의 단부면에 접합된 엔드플레이트(21);
    상기 H형강보의 상·하부플랜지(22) 각각과 상기 H형강기둥의 일측플랜지(11)에 덧대어 설치되는 접합앵글(30);
    상기 엔드플레이트(21)와 H형강기둥의 일측플랜지(11)를 접합하고, 상기 접합앵글의 수직부(31)와 H형강기둥의 일측플랜지(11)를 접합하는 접합볼트(B1);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H형강보의 상·하부플랜지(22) 각각과 상기 접합앵글 수평부(32)에 관통공(H)이 형성되고, 상기 H형강보의 상·하부플랜지(22) 각각과 상기 접합앵글 수평부(32) 사이 및 상기 관통공(H) 내부에 접착제(B3)가 충진되는 한편, 상기 관통공(H)에 끼움재(B2)가 끼워져 상기 접착제(B3)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 향상을 위한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
  2. 철골기둥과 철골보의 접합부에서,
    H형강기둥(10);
    H형강보(20);
    상기 H형강보(20)의 단부 단면보다 넓은 크기로 마련되어 상기 H형강보(20)의 단부면에 상하부로 돌출되게 접합된 엔드플레이트(21);
    상기 H형강보의 상·하부플랜지(22) 사이 위치에서 상기 엔드플레이트(21)와 H형강기둥의 일측플랜지(11)를 접합하는 접합볼트(B1);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엔드플레이트(21)의 상·하부 각각과 상기 H형강기둥의 일측플랜지(11)에 관통공(H)이 형성되고, 상기 엔드플레이트(21)의 상·하부 각각과 상기 H형강기둥의 일측플랜지(11) 사이 및 상기 관통공(H) 내부에 접착제(B3)가 충진되는 한편, 상기 관통공(H)에 끼움재(B2)가 끼워져 상기 접착제(B3)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 향상을 위한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
  3. 철골보와 철골보의 접합부에서,
    H형강 큰보(40);
    상기 H형강 큰보의 상·하부플랜지(42) 사이에 끼워져 H형강 큰보의 웨브(41)에 대면하게 설치되는 H형강 작은보(50);
    상기 H형강 작은보(50)의 단부면에 접합된 엔드플레이트(51);
    상기 엔드플레이트(51)와 H형강 큰보의 웨브(41)를 접합하는 접합볼트(B1);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H형강 작은보의 상·하부플랜지(52) 각각과 상기 H형강 큰보의 상·하부플랜지(42) 각각에 관통공(H)이 형성되고, 상기 H형강 작은보의 상·하부플랜지(52) 각각과 H형강 큰보의 상·하부플랜지(42) 각각의 사이 및 상기 관통공(H) 내부에 접착제(B3)가 충진되는 한편, 상기 관통공(H)에 끼움재(B2)가 끼워져 상기 접착제(B3)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 향상을 위한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
  4. 철골보와 철골보의 접합부에서,
    H형강 큰보(40);
    H형강 작은보(50);
    H형강브라켓(64)의 일단부면에 엔드플레이트(61)가 접합되고 H형강브라켓(64)의 타단부가 상·하부플랜지(62)보다 웨브(63)가 돌출되게 마련된 부재로, 상기 H형강 큰보의 상·하부플랜지(42) 사이에 끼워져 엔드플레이트(61)가 H형강 큰보의 웨브(41)에 대면하게 설치되는 한편, H형강브라켓의 타단부 웨브(63)가 상기 H형강 작은보(50)의 웨브와 맞대게 설치되는 거셋박스(60);
    상기 거셋박스의 엔드플레이트(61)와 H형강 큰보의 웨브(41), 거셋박스의 H형강브라켓의 타단부 웨브(63)와 H형강 작은보(50)의 웨브를 접합하는 접합볼트(B1);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거셋박스의 H형강브라켓의 상·하부플랜지(62) 각각과 상기 H형강 큰보의 상·하부플랜지(42) 각각에 관통공(H)이 형성되고, 상기 거셋박스의 H형강브라켓의 상·하부플랜지(62) 각각과 H형강 큰보의 상·하부플랜지(42) 각각 사이 및 상기 관통공(H) 내부에 접착제(B3)가 충진되는 한편, 상기 관통공(H)에 끼움재(B2)가 끼워져 상기 접착제(B3)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 향상을 위한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끼움재(B2)는, 관통공(H) 내부에서 경사 배치되게 끼워지는 한편 경사 배치에서 평면상 이웃하는 끼움재(B2)끼리 서로 크로스되게 경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 향상을 위한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
  6. 제5항에서,
    상기 끼움재(B2)는, 강재, 섬유강화플라스틱재, 탄소섬유 또는 탄소나노튜브 보강소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에 의해 사각, 파이프, 스타, 묶음(bundle) 중 어느 하나 단면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접착제(B3)는, 탄소나노튜브 입자가 혼입된 수지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 향상을 위한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엔드플레이트(21, 51, 61) 외측표면에 심플레이트(shim plate)가 더 설치되어 엔드플레이트(21, 51, 61)와 함께 접합볼트(B1)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 향상을 위한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
KR1020170178504A 2017-12-22 2017-12-22 시공성 향상을 위한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 KR102039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504A KR102039095B1 (ko) 2017-12-22 2017-12-22 시공성 향상을 위한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504A KR102039095B1 (ko) 2017-12-22 2017-12-22 시공성 향상을 위한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588A KR20190076588A (ko) 2019-07-02
KR102039095B1 true KR102039095B1 (ko) 2019-11-26

Family

ID=67258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504A KR102039095B1 (ko) 2017-12-22 2017-12-22 시공성 향상을 위한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09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1651A (ja) 2008-06-20 2010-01-07 Katsuhiro Osawa 大梁小梁の接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9821A (ja) * 1997-02-03 1998-08-18 Haitatsuchi Futaba:Kk 家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129685B2 (ja) * 1997-06-09 2001-01-31 株式会社アルテス 柱・梁の接合部構造
KR20080020915A (ko) 2006-09-02 2008-03-06 유승룡 시공이 간편한 철골 기둥과 철골 보의 강절 볼트 접합방식
KR101288450B1 (ko) * 2011-08-03 2013-07-26 채일수 조립식 가세트 플레이트를 이용한 건축구조재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1651A (ja) 2008-06-20 2010-01-07 Katsuhiro Osawa 大梁小梁の接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588A (ko)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4665A (ko) 철골보 접합구조
KR102229712B1 (ko) H형강 기둥과 이중h형강 보가 접합된 내진성능구조의 철골과 그 시공방법
KR102012883B1 (ko)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JP4741386B2 (ja) 木質構造材の接合工法および接合構造
JP5129543B2 (ja) 既設架構補強方法
KR102217178B1 (ko) 보강강판 및 관통볼트를 사용한 충전형 합성 보-기둥의 무용접 접합 구조체
JP4719119B2 (ja) 既設建築構造物の耐震改修工法
JP4072687B2 (ja) 建築構造物の耐震補強構造
KR102147762B1 (ko) 일체형 철골이음체를 이용한 무용접 철골보 접합부 및 그 시공방법
KR102201377B1 (ko) 각형강관 기둥과 이중h형강 보가 접합된 내진성능구조의 철골과 그 시공방법
KR102039095B1 (ko) 시공성 향상을 위한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
JP3978642B2 (ja) 杭と桁の結合構造体
KR102348650B1 (ko) H형강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6593006A (zh) 一种采用钢架结构抗连续倒塌加固方法
JP2010276080A (ja) エネルギー吸収部材及び該エネルギー吸収部材を設置した構造物
KR102348659B1 (ko)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004854B1 (ko) 앵커플레이트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1299574B1 (ko) 사각 패널존을 이용한 모멘트 접합구조
KR102169828B1 (ko) 변위관리형 기둥 접합부
JPH11324399A (ja) せん断降伏型鋼材ダンパー
JP2006291463A (ja) 鋼製橋脚と鋼製桁との剛結合構造
KR102348662B1 (ko) 강관-콘크리트 합성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10066225A (ko) 기둥과 보의 접합부 코어
KR102348654B1 (ko) 각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174782B1 (ko)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보 접합부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