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659B1 -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659B1
KR102348659B1 KR1020210128420A KR20210128420A KR102348659B1 KR 102348659 B1 KR102348659 B1 KR 102348659B1 KR 1020210128420 A KR1020210128420 A KR 1020210128420A KR 20210128420 A KR20210128420 A KR 20210128420A KR 102348659 B1 KR102348659 B1 KR 102348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e
shaped steel
bracket
steel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하
Original Assignee
태영강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영강건(주) filed Critical 태영강건(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06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ross-section having an open profile
    • E04B1/58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ross-section having an open profile of substantially I - or H -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2001/195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nodes and struts
    • E04B2001/1972Welded or glued conn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원형강관 기둥(100-2)과, 상기 원형강관 기둥(100-2)의 일정 높이마다 수직을 이루도록 접합되는 이중H형강 개량보(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시공성이 향상되고 완전용접 구조로 내진구조 성능이 향상되며 경제성이 유리하고 외관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Steel structure in which circular steel pipe columns and beams are joined,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철골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진구조 성능 구조의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골구조물은 형강, 강판, 평판 등을 볼트 및 용접 접합에 의해 기둥과 보로 제작하여 조립하는 구조이므로 접합부의 안정성이 중요하고, 접합부의 형태는 설계와 시공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철골구조물에 사용되는 접합방법에는 대표적으로 볼트접합과 용접접합이 있다. 기존 철골구조에 보강목적으로 보를 추가 설치할 경우가 있는데 시공성 측면에서 볼트접합이 선호된다. 그러나 기둥과 보의 접합부는 힘 또는 응력 전달의 측면에서 모멘트접합이 유리하다.
모멘트접합이 요구되는 접합부는 용접접합 내지 볼트접합으로 처리했으나, 용접접합은 시공성과 경제성이 불리하고 용접열에 의해 모재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현장 품질관리가 어려우며, 볼트접합은 시공성에서는 유리하나 진동, 충격 또는 반복적인 하중을 받으면 접합부에 큰 변형이 생기고 볼트가 풀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기둥에 접합되는 보로 T형강이나 철판을 많이 사용하는데, T형강이나 철판을 보로 사용하면 접합부위에 소성힌지가 발생하여 내진구조 성능이 취약할 수 있으며, T형강의 경우 잘라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로 인해 공사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H형강 2개를 상하로 이음 접합하여 웨브의 폭을 넓힌 이중H형강 보는 고장력볼트를 체결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많아져 시공이 번거롭고 시공공수가 많아져 경제성이 낮으며 많은 수의 고장력볼트로 인해 외관이 미려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1. 등록특허공보 제1642420호(2016.07.19 등록) 2. 등록특허공보 제2229712호(2021.03.12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내진구조 성능을 향상시키며 경제성에 유리하고 미관이 향상되도록 한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은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원형강관 기둥과, 상기 원형강관 기둥의 일정 높이마다 수직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이중H형강 개량보를 포함한다.
상기 이중H형강 개량보는 상기 원형강관 기둥에 연결되는 넓은폭 H형강과 상기 넓은폭 H형강의 단부에 일자 형상으로 연결되게 용접 접합된 좁은폭 H형강을 포함하고, 상기 넓은폭 H형강은 상기 좁은폭 H형강에 비해 웨브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고, 상기 넓은폭 H형강과 상기 좁은폭 H형강은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폭이 동일하다.
상기 넓은폭 H형강과 상기 좁은폭 H형강은 상부 플랜지가 동일평면이 되게 연결 용접되고, 하부 플랜지는 서로 엇갈리게 위치되어 연결 용접되지 않는다.
상기 이중H형강 개량보는 상기 좁은폭 H형강의 하부 플랜지의 단부에서 상기 넓은폭 H형강의 웨브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넓은폭 H형강의 웨브의 양측에 밀착되도록, 상기 좁은폭 H형강의 하부 플랜지의 단부에 용접 접합되는 겹침거더와 상기 넓은폭 H형강의 하부 플랜지의 단부와 상기 좁은폭 H형강의 하부 플랜지의 저면을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일단이 상기 넓은폭 H형강에 용접 접합되고 타단이 상기 좁은폭 H형강의 하부 플랜지의 저면과 접합되는 보강거더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거더는 상기 넓은폭 H형강의 웨브와 밀착되는 삼각형 형상의 보강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넓은폭 H형강의 상부 플랜지와 상기 좁은폭 H형강의 상부 플랜지를 용접 접합하는 제1 용접접합부와 상기 좁은폭 H형강의 하부 플랜지와 상기 겹침거더를 용접 접합하는 제2 용접접합부는 세라믹 뒷댐재를 이용한 용접을 수행하고, 상기 보강거더의 일단과 상기 넓은폭 H형강을 용접 접합하는 제3 용접접합부 및 상기 보강거더의 타단과 상기 좁은폭 H형강의 하부 플랜지를 용접 접합하는 제4 용접접합부는 일반 용접을 수행한다.
상기 넓은폭 H형강은 상기 원형강관 기둥에 수직을 이루도록 용접 접합되는 브라켓 H형강에 웨브가 고정수단으로 연결되고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가 보강수단으로 연결되며, 상기 넓은폭 H형강과 상기 브라켓 H형강은 웨브와 플랜지의 폭이 동일한 동일 규격의 H형강이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브라켓 H형강의 웨브와 상기 넓은폭 H형강의 웨브를 맞댄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 H형강의 일측 웨브와 상기 넓은폭 H형강의 일측 웨브를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제1 고정판재와, 상기 브라켓 H형강의 타측 웨브와 상기 넓은폭 H형강의 타측 웨브를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제2 고정판재와, 상기 제1 고정판재, 상기 브라켓 H형강 및 상기 제2 고정판재를 관통하고 상기 제1 고정판재, 상기 넓은폭 H형강, 상기 제2 고정판재를 관통하는 다수 개의 고장력볼트와, 상기 제1 고정판재, 상기 브라켓 H형강 및 상기 제2 고정판재를 관통한 고장력볼트의 단부와 상기 제1 고정판재, 상기 넓은폭 H형강, 상기 제2 고정판재를 관통한 고장력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수단은 상기 브라켓 H형강의 플랜지와 상기 넓은폭 H형강의 플랜지를 맞댄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 H형강의 일측 플랜지와 상기 넓은폭 H형강의 일측 플랜지를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제1 보강판재와, 상기 브라켓 H형강의 타측 플랜지와 상기 넓은폭 H형강의 타측 플랜지를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제2 보강판재와, 상기 제1 보강판재, 상기 브라켓 H형강 및 상기 제2 보강판재를 관통하고 상기 제1 보강판재, 상기 넓은폭 H형강, 상기 제2 보강판재를 관통하는 다수 개의 고장력볼트와, 상기 제1 보강판재, 상기 브라켓 H형강 및 상기 제2 보강판재를 관통한 고장력볼트의 단부와 상기 제1 보강판재, 상기 넓은폭 H형강, 상기 제2 보강판재를 관통한 고장력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한다.
상기 원형강관 기둥과 상기 브라켓 H형강이 접합되는 부위에는, 상기 원형강관 기둥에 접합되는 상기 브라켓 H형강의 상측에서 상기 원형강관 기둥과 상기 브라켓 H형강의 상부 플랜지에 접합되는 상부 보강재와, 상기 원형강관 기둥에 접합되는 상기 브라켓 H형강의 하측에서 상기 원형강관 기둥과 상기 브라켓 H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접합되는 하부 보강재를 포함한다.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은 상기 넓은폭 H형강, 좁은폭 H형강, 브라켓 H형강에 결합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흡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수부는, 상기 상부 플랜지와 결합되는 상부 흡수부와, 상기 하부 플랜지와 결합되는 하부 흡수부와, 상기 상부 흡수부와 하부 흡수부를 양방향으로 수직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흡수부 및 하부 흡수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의 수직 중심을 지지하는 수직중심지지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의 수평 중심을 지지하는 수평중심지지부와, 상기 케이스부에 상기 수직중심지지부와 수평중심지지부를 탄성 결합시키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수직중심지지부와 수평중심지지부에 전달하는 탄성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중심지지부는, 상기 탄성전달부로부터 전달된 진동을 흡수하고, 상기 수평중심지지부에 관통되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수평중심지지부는, 상기 탄성전달부로부터 전달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탄성전달부는, 상기 케이스와 수직중심지지부를 결합시키는 제1탄성결합부와, 상기 케이스와 수평중심지지부를 결합시키는 제2탄성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결합부는, 상기 수평중심지지부의 내부에 관통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부 흡수부 및 하부 흡수부에서 미흡수된 진동을 분산시키는 분산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형강관 기둥에 이중H형강 개량보를 용접 접합하는 방식으로 철골구조물을 시공하므로, 볼트 체결이 최소화되어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H형강 개량보가 응력 집중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고, 이중H형강 개량보를 구성하는 넓은폭 H형강과 좁은폭 H형강의 용접 접합시 세라믹 뒷댐재를 적용하여 용접물의 누설을 방지하므로 용접성능이 향상되고 완전용접이 가능하여 내진구조 성능이 향상되고 경제성에서 유리하며 외관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형강관 기둥이 적용되므로 거미줄과 먼지 등의 오염이 방지되고, 원형강관 기둥에 충돌방지표지 등의 부착이 가능하며, 각형강관의 빈 공간에 전기 배선 등을 배치하여 전기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중H형강 개량보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의 용접접합부를 보인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의 용접접합부에서 세라믹맞댐재를 제거한 모습을 보인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의 고정수단과 보강수단을 보인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의 흡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중H형강 개량보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10-2)(이하, 철골구조물)은 원형강관 기둥(100-2)과 이중H형강 개량보(200)를 포함한다.
철골구조물(10-2)은 원형강관 기둥(100-2)과 이중H형강 개량보(200)가 접합된 구조이며, 원형강관 기둥(100-2)이 적용된 철골구조물(10-2)은 콘크리트구조물에 비해 시공이 용이하고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경제적이다.
또한, 원형강관 기둥(100-2)은 H형강 기둥을 사용하는 경우와 달리 거미줄과 먼지 등의 오염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원형강관 기둥(100-2)는 충돌방지표시 등의 부착이 가능하고, 원형강관 기둥(100-2)의 빈 공간에 전기 배선 등을 배치하여 전기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원형강관 기둥(100-2)의 빈 공간에 전기 배선 등을 배치하면 전선을 걸기위한 별도의 행거 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층간고가 얇아지는 이점이 있다.
원형강관 기둥(100-2)은 하면에 접합된 평판(50)을 이용하여 바닥면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원형강관 기둥(100-2)의 하면에 원형강관 기둥(100-2)을 바닥면에 고정볼트(55)로 고정하기 위한 평판(50)이 결합되며, 고정볼트(55)는 평판(50)의 네모서리에 체결되어 원형강관 기둥(100-2)을 바닥면에 고정한다. 원형강관 기둥(100-2)을 사용하면, 평판(50)의 크기가 H형강 기둥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조금 더 커지나, 바닥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원형강관 기둥(100-2)은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원형강관 기둥(100-2)은 자재 수급이 쉽고 시공성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이중H형강 개량보(200)는 원형강관 기둥의 일정 높이마다 수직을 이루도록 접합된다. 실시예에서 이중H형강 개량보(200)는 원형강관 기둥(100-2)의 일정 높이에 2개가 연결되며, 2개의 원형강관 기둥(100-2)은 높이 차를 두고 원형강관 기둥(100-2)의 외면에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 연결된다. 또한, 원형강관 기둥(100-2)에는 일정 높이마다 수직으로 이루도록 일반 H형강 보(300)가 접합된다. 이중H형강 개량보(200)와 일반 H형강 보(300)는 서로 직각을 이룬다.
이중H형강 개량보(200)는 넓은폭 H형강(210)과 좁은폭 H형강(220)을 일자 형상으로 용접 연결한 구조이다. 이러한 이중H형강 개량보(200)는 원형강관 기둥(100-2)과 연결되는 부분에 넓은폭 H형강(210)을 연결하여 응력이 집중되는 곳의 강성을 높인다.
넓은폭 H형강(210)은 원형강관 기둥(100-2)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넓은폭 H형강(210)은 후술할 브라켓 H형강(260)을 매개로 원형강관 기둥(100-2)에 연결된다. 좁은폭 H형강(220)은 넓은폭 H형강(210)의 단부에 일자 형상으로 연결되게 용접 접합된다. 넓은폭 H형강(210)은 좁은폭 H형강(220)에 비해 웨브(211)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고, 넓은폭 H형강(210)과 좁은폭 H형강(220)은 상호 연결이 용이하도록 상부 플랜지(212,222)와 하부 플랜지(213,223)의 폭이 동일하다.
실시예에서, 좁은폭 H형강(220)은 일반 H형강을 의미하고, 넓은폭 H형강(210)은 일반 H형강에 비해 웨브(211)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개량된 형상의 H형강을 의미한다. 실시예에서 넓은폭 H형강(210)은 원형강관 기둥(100-2)과 이중H형강 개량보(200)를 연결하는 부분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브라켓 H형강(260)과 동일한 규격의 H형강을 적용한 것을 일 예로 한다. 브라켓 H형강(260)은 원형강관 기둥(100-2)에 용접 접합된다.
넓은폭 H형강(210)과 좁은폭 H형강(220)은 상부 플랜지(212,222)가 동일평면이 되게 연결 용접되고, 하부 플랜지(213,223)는 서로 단차지게(엇갈리게) 위치되고 연결 용접되지 않는다.
*34이중H형강 개량보(200)는 응력이 집중되는 곳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겹침거더(230)와 보강거더(240)를 더 포함한다.
겹침거더(230)는 좁은폭 H형강(220)의 하부 플랜지(223)의 단부에 용접 접합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좁은폭 H형강(220)과 넓은폭 H형강(210)의 웨브(221,211) 연결 부분의 강성을 높인다.
겹침거더(230)는 좁은폭 H형강(220)의 하부 플랜지(223)의 단부에서 넓은폭 H형강(210)의 웨브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되며, 넓은폭 H형강(210)의 웨브(211)의 양측에 밀착되도록, 좁은폭 H형강(220)의 하부 플랜지(223)의 단부에 용접 접합된다. 이러한 겹침거더(230)는 웨브(211,221)의 폭이 서로 다른 넓은폭 H형강(210)과 좁은폭 H형강(220)의 접합 연결 부분을 전후에서 일정 면적 밀착되게 감싸 강도를 좁은폭 H형강(220)과 넓은폭 H형강(210)의 연결 부분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보강거더(240)는 넓은폭 H형강(210)의 하부 플랜지(213)의 단부와 좁은폭 H형강(220)의 하부 플랜지(223)의 저면을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일단이 넓은폭 H형강(210)에 용접 접합되고 타단이 좁은폭 H형강(220)의 하부 플랜지(223)의 저면과 접합된다. 보강거더(240)는 넓은폭 H형강(210)의 웨브(211)와 밀착되는 삼각형 형상의 보강판부(241)를 더 포함한다. 보강판부(241)는 좁은폭 H형강의 하부플랜지와 넓은폭 H형강(210)의 웨브(211)의 사이 단차진 빈 공간을 채워 경사부분의 강도를 보강한다.
보강거더(240)와 보강판부(241)는 응력이 집중되는 곳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강거더(240)와 보강판부(241)는 넓은폭 H형강(210)과 좁은폭 H형강(220)의 하부 플랜지(213,223)에서 단차지게 연결된 부분을 경사지게 용접 연결하여 응력 집중을 방지하고 강성을 높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의 용접접합부를 보인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의 용접접합부에서 세라믹맞댐재를 제거한 모습을 보인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넓은폭 H형강(210)과 좁은폭 H형강(220)은 4곳을 용접 접합하여 일자 형상으로 연결하며, 용접을 수행한 4곳은 제1 용접접합부(251), 제2 용접접합부(252), 제3 용접접합부(253) 및 제4 용접접합부(254)를 포함한다.
제1 용접접합부(251)는 넓은폭 H형강(210)의 상부 플랜지(212)와 좁은폭 H형강(220)의 상부 플랜지(222)를 용접 접합한 부분이고, 제2 용접접합부(252)는 좁은폭 H형강(220)의 하부 플랜지(213)와 겹침거더(230)를 용접 접합한 부분이며, 제3 용접접합부(253)는 보강거더(240)의 일단과 넓은폭 H형강(210)을 용접 접합한 부분이고, 제4 용접접합부(254)는 보강거더(240)의 타단과 좁은폭 H형강(220)의 하부 플랜지(223)를 용접 접합한 부분이다.
제1 용접접합부(251)와 제2 용접접합부(252)는 세라믹 뒷댐재(255)를 이용한 용접을 수행하여 완전용접이 가능하게 한다. 넓은폭 H형강(210)의 상부 플랜지(212)와 좁은폭 H형강(220)의 상부 플랜지(222)의 단부를 맞댐용접할 때 그 하면에 세라믹 뒷댐재(255)를 부착하고 용접을 수행하면 세라믹 뒷댐재(255)의 판폭에 대해서는 충분히 용접되어 완전용접이 가능하다. 완전용접은 용접 이음부의 강성을 확보하여 내진 성능을 높인다.
또한, 좁은폭 H형강(220)의 하부 플랜지(223)와 겹침거더(230)의 단부를 맞댐용접할 때 그 하면에 세라믹 뒷댐재(255)를 부착하고 용접을 수행하면 용접물의 누설(흘러내림)이 방지되고 세라믹 뒷댐재(255)의 판폭에 대해서는 충분히 용접되므로 완전용접이 가능하다. 따라서 일자 형상으로 맞댐용접이 수행되는 부분에서는 두 하면을 포함하도록 세라믹 뒷댐재(255)를 부착하여 용접을 수행함으로써 완전용접이 가능하도록 한다.
보강거더(240)의 일단과 넓은폭 H형강(210)을 용접 접합하는 제3 용접접합부(253) 및 보강거더(240)의 타단과 좁은폭 H형강(220)의 하부 플랜지(223)를 용접 접합하는 제4 용접접합부(254)는 일반 용접을 수행한다. 제3 용접접합부(253)와 제4 용접접합부(254)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맞대어지는 구조이므로 용접물의 누설이 방지되므로 세라믹 뒷댐재(255)를 이용하지 않아도 용접품질이 우수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용접접합부(251)와 제2 용접접합부(252)는 용접 접합 후 세라믹 뒷댐재(255)를 제거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의 고정수단과 보강수단을 보인 부분 확대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넓은폭 H형강(210)은 원형강관 기둥(100-2)에 수직을 이루도록 용접 접합되는 브라켓 H형강(260)에 웨브(211)가 고정수단(270)으로 연결되고 상부 플랜지(212)와 하부 플랜지(213)가 보강수단(280)으로 연결된다.
넓은폭 H형강(210)과 브라켓 H형강(260)은 웨브(211,261)와 플랜지(212,213,262,263)의 폭이 동일한 규격의 H형강이다.
고정수단(270)은 제1 고정판재(271), 제2 고정판재(272), 고장력볼트(273) 및 고정너트(274)를 포함한다. 고정수단(270)은 브라켓 H형강(260)의 웨브(261)와 넓은폭 H형강(210)의 웨브(211)를 맞댄 상태를 고정한다.
고정수단(270)은 브라켓 H형강(260)의 웨브(261)와 넓은폭 H형강(210)의 웨브(211)를 맞댄 상태에서, 제1 고정판재(271)가 브라켓 H형강(260)의 일측 웨브(261)와 넓은폭 H형강(210)의 일측 웨브(211)를 포함하도록 배치되고, 제2 고정판재(272)가 브라켓 H형강(260)의 타측 웨브(261)와 넓은폭 H형강(210)의 타측 웨브(211)를 포함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고장력볼트(273)는 제1 고정판재(271), 브라켓 H형강(260) 및 제2 고정판재(272)를 관통하고 제1 고정판재(271), 넓은폭 H형강(210), 제2 고정판재(272)를 관통하는 다수 개로 된다. 고정너트(274)는 제1 고정판재(271), 브라켓 H형강(260) 및 제2 고정판재(272)를 관통한 고장력볼트(273)의 단부와 제1 고정판재(271), 넓은폭 H형강(210), 제2 고정판재(272)를 관통한 고장력볼트(273)의 단부에 체결된다.
보강수단(280)은 제1 보강판재(281), 제2 보강판재(282), 고장력볼트(283) 및 고정너트(284)를 포함한다. 보강수단(280)은 브라켓 H형강(260)의 플랜지(262,263)와 넓은폭 H형강(210)의 플랜지(212,213)를 맞댄 상태를 고정한다.
보강수단(280)은 브라켓 H형강(260)의 플랜지(262,263)와 넓은폭 H형강(210)의 플랜지(212,213)를 맞댄 상태에서, 제1 보강판재(281)는 브라켓 H형강(260)의 일측 플랜지(262,263)와 넓은폭 H형강(210)의 일측 플랜지(212,213)를 포함하도록 배치되고, 제2 보강판재(282)는 브라켓 H형강(260)의 타측 플랜지(262,263)와 넓은폭 H형강(210)의 타측 플랜지(212,213)를 포함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고장력볼트(283)는 제1 보강판재(281), 브라켓 H형강(260) 및 제2 보강판재(282)를 관통하고 제1 보강판재(281), 넓은폭 H형강(210), 제2 보강판재(282)를 관통하는 다수 개로 된다. 고정너트(284)는 제1 보강판재(281), 브라켓 H형강(260) 및 제2 보강판재(282)를 관통한 고장력볼트(283)의 단부와 제1 보강판재(281), 넓은폭 H형강(210), 제2 보강판재(282)를 관통한 고장력볼트(283)의 단부에 체결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10-2a)은 상부 보강재(411)와 하부 보강재(413)를 더 포함한다.
상부 보강재(411), 하부 보강재(413)는 원형강관 기둥(100-2)에서 브라켓 H형강(260)이 접합되는 부위에 구비된다. 상부 보강재(411)는 원형강관 기둥(100-2)에 접합되는 브라켓 H형강(260)의 상측에서 원형강관 기둥(100-2)과 브라켓 H형강(260)의 상부 플랜지(262)에 용접 접합된다. 중간 보강재(412)는 원형강관 기둥(100-2)에 접합되는 브라켓 H형강(260)의 하측에서 원형강관 기둥(100-2)과 브라켓 H형강(260)의 하부 플랜지(263)에 용접 접합된다.
상부 보강재(411), 하부 보강재(413)는 원형강관 기둥(100-2)과 브라켓 H형강(260)의 접합 부위의 응력 집중을 완화하여 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부 보강재(411)와 하부 보강재(413)는 원형강관 기둥(100-2)과 브라켓 H형강(260)의 접합 부위의 구조성능을 더욱 향상시켜 원형강관 기둥(100-2)이 이중H형강 개량보(200)를 지지하는 구조성능도 더욱 향상시킨다.
상술한 이중H형강 개량보(200)를 적용하여 원형강관 기둥(100-2)과 연결한 철골구조물(10-2)은 이중H형강 개량보(200)가 응력 집중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고, 볼트 체결이 최소화되도록 용접 접합을 적용하되, 용접 접합이 세라믹 뒷댐재를 적용하여 용접물의 누설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므로 용접성능이 향상되어 완전용접이 가능하여 내진구조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만약, 이중H형강 개량보(200) 대신 H형강 2개를 상하로 이음 접합하여 웨브의 폭을 넓힌 종래의 이중H형강 보를 적용하면 고장력볼트를 체결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많아져 시공이 번거롭고 시공공수가 많아져 경제성이 낮으며 많은 수의 고장력볼트로 인해 외관이 미려하지 않다.
또한, 이중H형강 개량보(200) 대신 T형강이나 철판을 사용하면 기둥과 보의 접합부위에 소성힌지가 발생하고 T형강을 잘라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공사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보에 T형강이나 철판을 사용하지 않고 이중H형강 개량보(200)를 사용하면 H형강을 반으로 자를 필요가 없고 필요에 따라 짧고 얇은 H형강을 사용하여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공사 시간이 단축되고 비용이 절감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10-2b)은 보강리브(440)를 더 포함한다.
보강리브(440)는 좁은폭 H형강(220)에서 상부 플랜지(222)와 하부 플랜지(223)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더욱이, 보강리브(440)는 좁은폭 H형강(220)에서 보강거더(240)와 연결되는 위치에서 상부 플랜지(222)와 하부 플랜지(223)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보강리브(440)는 넓은폭 H형강(210)과 좁은폭 H형강(220)의 접합부위의 구조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며 좁은폭 H형강(220) 자체의 구조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는 브라켓 H형강(260)의 길이(a)에 비해 넓은폭 H형강(210)의 길이(b)가 상대적으로 길다. 넓은폭 H형강(210)의 길이(b)가 브라켓 H형강(260)의 길이(a)의 2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의 시공방법은 넓은폭 H형강(210)의 상부 플랜지(212)와 좁은폭 H형강(220)의 상부 플랜지(222)를 용접 접합하여 제1 용접접합부(251)를 형성하는 단계와, 좁은폭 H형강(220)의 하부 플랜지(223)와 겹침거더(230)를 용접 접합하여 제2 용접접합부(252)를 형성하는 단계와, 보강거더(240)의 일단과 넓은폭 H형강(210)을 용접 접합하여 제3 용접접합부(253)를 형성하는 단계와, 보강거더(240)의 타단과 좁은폭 H형강(220)의 하부 플랜지(223)를 용접 접합하여 제4 용접접합부(254)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용접접합부(251)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2 용접접합부(252)를 형성하는 단계는 용접물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라믹 뒷댐재(255)를 이용한 용접을 수행하고, 제3 용접접합부(253)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4 용접접합부(254)를 형성하는 단계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용접되는 구조이고 이로 인해 용접물 누설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일반 용접을 수행한다.
제1 용접접합부(251)와 제2 용접접합부(252)의 형성 후에는 세라믹 뒷댐재(255)를 제거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중H형강 개량보가 넓은폭 H형강과 좁은폭 H형강이 용접 접합되어 응력 집중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고, 이중H형강 개량보를 구성하는 넓은폭 H형강과 좁은폭 H형강의 용접 접합시 세라믹 뒷댐재를 적용하여 용접물의 누설을 방지하므로 용접성능이 향상되고 완전용접이 가능하여 내진구조 성능이 향상되고 경제성에서 유리하며 외관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은 주차장을 형성하는 철골구조물 또는 건축물의 철골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의 흡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은 흡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수부(500)는 넓은폭 H형강(210), 좁은폭 H형강(220), 브라켓 H형강(260)에 결합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흡수부(500)는 상부 흡수부(510)와, 하부 흡수부(520)와, 연결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흡수부(510)는 넓은폭 H형강(210), 좁은폭 H형강(220), 브라켓 H형강(260)의 상부 플렌지(212, 262)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흡수부(520)는 넓은폭 H형강(210), 좁은폭 H형강(220), 브라켓 H형강(260)의 하부 플렌지(213, 263)와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530)는 상부플렌지(212, 262)와 하부 플렌지(213, 263)를 수직 연결할 수 있다.
상부 흡수부(510) 및 하부 흡수부(520)는,
케이스(511, 521)와, 수직중심지지부(512, 522)와, 수평중심지지부(513, 523)와 탄성전달부(514, 5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511, 521)는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511, 521)는 넓은폭 H형강(210), 좁은폭 H형강(220), 브라켓 H형강(260)의 상부 플랜지(212, 262)와 하부 플랜지(213, 263)에 각각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511, 521)는 뚜껑이 형성되어 열고 닫을 수 있다.
수직중심지지부(512, 522)는 케이스(511, 521) 내부에 장착되어, 케이스(511, 521)의 수직 중심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수직중심지지부(512, 522)는 원형으로 형성된 봉일 수 있다. 또한 수직중심지지부(512, 522)는 고무일 수 있고, 또는 둘레를 따라 고무 재질로 감싸질 수 있다.
수평중심지지부(513, 523)는 케이스(511, 521) 내부에 장착되어 케이스(511, 521)의 수평 중심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수평중심지지부(513, 523)는 고무일 수 있고, 또는 라텍스일 수 있다.
탄성전달부(514, 524)는 케이스(511, 521)에 수직중심지지부(512, 522)와 수평중심지지부(513, 523)를 탄성 결합시키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수직중심지지부(512, 522)와 수평중심지지부(513, 523)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탄성전달부(514, 524)는 제1탄성결합부(514a, 524a)와, 제2탄성결합부(514b, 52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탄성결합부(514a, 524a)는 케이스(511, 521)와 수직중심지지부(512, 522)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2탄성결합부(514b, 524b)는 케이스(511, 521)와 수평중심지지부(513, 523)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제2탄성결합부(514b, 524b)는 수평중심지지부(513, 523) 내부에 삽입되고, 이때 수평중심지지부 내부에는 제2탄성결합부(514b, 524b)가 수평중심지지부(513, 523)로부터 구속되지 않도록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중심지지부(512, 522)는 탄성전달로부터 전달된 진동을 흡수하고, 수평중심지지부(513, 523)에 관통되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수평중심지지부(513, 523)는 탄성전달로부터 전달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연결부(530)는 상부 흡수부(510) 및 하부 흡수부(520)에서 미흡수된 진동을 외부로 분산시킬 수 있는 분산홀(53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2: 원형강관 기둥과 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
100-2: 원형강관 기둥 200: 이중H형강 개량보
210: 넓은폭 H형강 211: 웨브
212: 상부 플랜지 213: 하부 플랜지
220: 좁은폭 H형강 221: 웨브
222: 상부 플랜지 223: 하부 플랜지
230: 겹침거더 240: 보강거더
241: 보강판부 251: 제1 용접접합부
252: 제2 용접접합부 253: 제3 용접접합부
254: 제4 용접접합부 255: 세라믹 뒷댐재
260: 브라켓 H형강 261: 웨브
262: 상부 플랜지 263: 하부 플랜지
270: 고정수단 271: 제1 고정판재
272: 제2 고정판재 273: 고장력볼트
274: 고정너트 280: 보강수단
281: 제1 보강판재 282: 제2 보강판재
283: 고장력볼트 284: 고정너트
300: 일반 H형강 보 411: 상부 보강재
413: 하부 보강재
500 : 흡수부 510 : 상부 흡수부
511 : 케이스 512 : 수직중심지지부
513 : 수평중심지지부 514 : 탄성전달부
514a : 제1탄성결합부 514b : 제2탄성결합부
520 : 하부 흡수부 521 : 케이스
522 : 수직중심지지부 523 : 수평중심지지부
524 : 탄성전달부 524a : 제1탄성결합부
524b : 제2탄성결합부 530 : 연결부
531 : 분산홀 50: 평판
55: 고정볼트

Claims (3)

  1.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원형강관 기둥; 및
    상기 원형강관 기둥의 일정 높이마다 수직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이중H형강 개량보;
    를 포함하고,
    상기 이중H형강 개량보는
    상기 원형강관 기둥에 연결되는 넓은폭 H형강; 및
    상기 넓은폭 H형강의 단부에 일자 형상으로 연결되게 용접 접합된 좁은폭 H형강;
    을 포함하고,
    상기 넓은폭 H형강은 상기 좁은폭 H형강에 비해 웨브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고, 상기 넓은폭 H형강과 상기 좁은폭 H형강은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폭이 동일하며,
    상기 넓은폭 H형강과 상기 좁은폭 H형강은 상부 플랜지가 동일평면이 되게 연결 용접되고, 하부 플랜지는 서로 엇갈리게 위치되어 연결 용접되지 않으며,
    상기 이중H형강 개량보는
    상기 좁은폭 H형강의 하부 플랜지의 단부에서 상기 넓은폭 H형강의 웨브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넓은폭 H형강의 웨브의 양측에 밀착되도록, 상기 좁은폭 H형강의 하부 플랜지의 단부에 용접 접합되는 겹침거더; 및
    상기 넓은폭 H형강의 하부 플랜지의 단부와 상기 좁은폭 H형강의 하부 플랜지의 저면을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일단이 상기 넓은폭 H형강에 용접 접합되고 타단이 상기 좁은폭 H형강의 하부 플랜지의 저면과 접합되는 보강거더;
    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거더는 상기 넓은폭 H형강의 웨브와 밀착되는 삼각형 형상의 보강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넓은폭 H형강의 상부 플랜지와 상기 좁은폭 H형강의 상부 플랜지를 용접 접합하는 제1 용접접합부와 상기 좁은폭 H형강의 하부 플랜지와 상기 겹침거더를 용접 접합하는 제2 용접접합부는 세라믹 뒷댐재를 이용한 용접을 수행하고,
    상기 보강거더의 일단과 상기 넓은폭 H형강을 용접 접합하는 제3 용접접합부 및 상기 보강거더의 타단과 상기 좁은폭 H형강의 하부 플랜지를 용접 접합하는 제4 용접접합부는 일반 용접을 수행하며,
    상기 넓은폭 H형강은 상기 원형강관 기둥에 수직을 이루도록 용접 접합되는 브라켓 H형강에 웨브가 고정수단으로 연결되고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가 보강수단으로 연결되며,
    상기 넓은폭 H형강과 상기 브라켓 H형강은 웨브와 플랜지의 폭이 동일한 동일 규격의 H형강이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브라켓 H형강의 웨브와 상기 넓은폭 H형강의 웨브를 맞댄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 H형강의 일측 웨브와 상기 넓은폭 H형강의 일측 웨브를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제1 고정판재;
    상기 브라켓 H형강의 타측 웨브와 상기 넓은폭 H형강의 타측 웨브를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제2 고정판재;
    상기 제1 고정판재, 상기 브라켓 H형강 및 상기 제2 고정판재를 관통하고 상기 제1 고정판재, 상기 넓은폭 H형강, 상기 제2 고정판재를 관통하는 다수 개의 고장력볼트; 및
    상기 제1 고정판재, 상기 브라켓 H형강 및 상기 제2 고정판재를 관통한 고장력볼트의 단부와 상기 제1 고정판재, 상기 넓은폭 H형강, 상기 제2 고정판재를 관통한 고장력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
    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수단은
    상기 브라켓 H형강의 플랜지와 상기 넓은폭 H형강의 플랜지를 맞댄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 H형강의 일측 플랜지와 상기 넓은폭 H형강의 일측 플랜지를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제1 보강판재;
    상기 브라켓 H형강의 타측 플랜지와 상기 넓은폭 H형강의 타측 플랜지를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제2 보강판재;
    상기 제1 보강판재, 상기 브라켓 H형강 및 상기 제2 보강판재를 관통하고 상기 제1 보강판재, 상기 넓은폭 H형강, 상기 제2 보강판재를 관통하는 다수 개의 고장력볼트; 및
    상기 제1 보강판재, 상기 브라켓 H형강 및 상기 제2 보강판재를 관통한 고장력볼트의 단부와 상기 제1 보강판재, 상기 넓은폭 H형강, 상기 제2 보강판재를 관통한 고장력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너트;
    를 포함하고,
    상기 원형강관 기둥과 상기 브라켓 H형강이 접합되는 부위에는,
    상기 원형강관 기둥에 접합되는 상기 브라켓 H형강의 상측에서 상기 원형강관 기둥과 상기 브라켓 H형강의 상부 플랜지에 접합되는 상부 보강재와,
    상기 원형강관 기둥에 접합되는 상기 브라켓 H형강의 하측에서 상기 원형강관 기둥과 상기 브라켓 H형강의 하부 플랜지에 접합되는 하부 보강재를 포함하며,
    상기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은,
    상기 넓은폭 H형강, 좁은폭 H형강, 브라켓 H형강에 결합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흡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부는,
    상기 상부 플랜지와 결합되는 상부 흡수부와,
    상기 하부 플랜지와 결합되는 하부 흡수부와,
    상기 상부 흡수부와 하부 흡수부를 양방향으로 수직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흡수부 및 하부 흡수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의 수직 중심을 지지하는 수직중심지지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의 수평 중심을 지지하는 수평중심지지부와,
    상기 케이스부에 상기 수직중심지지부와 수평중심지지부를 탄성 결합시키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수직중심지지부와 수평중심지지부에 전달하는 탄성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중심지지부는,
    상기 탄성전달부로부터 전달된 진동을 흡수하고, 상기 수평중심지지부에 관통되어 삽입되고,
    상기 수평중심지지부는,
    상기 탄성전달부로부터 전달된 진동을 흡수하고,
    상기 탄성전달부는,
    상기 케이스와 수직중심지지부를 결합시키는 제1탄성결합부와,
    상기 케이스와 수평중심지지부를 결합시키는 제2탄성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결합부는,
    상기 수평중심지지부의 내부에 관통삽입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부 흡수부 및 하부 흡수부에서 미흡수된 진동을 분산시키는 분산홀을 포함하는,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
  2. 삭제
  3. 삭제
KR1020210128420A 2021-06-11 2021-09-29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348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76058 2021-06-11
KR1020210076058 2021-06-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659B1 true KR102348659B1 (ko) 2022-01-07

Family

ID=79355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420A KR102348659B1 (ko) 2021-06-11 2021-09-29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6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53561A (zh) * 2022-03-24 2022-07-15 同圆设计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转换节点、转换体系及使用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604B1 (ko) * 2010-04-02 2010-11-25 우종열 높이가 상이한 철골보의 접합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접합된 철골보
KR101217793B1 (ko) * 2012-04-26 2013-01-02 이도윤 철골보의 보강구조
KR20140098524A (ko) * 2013-01-31 2014-08-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 구조물 및 그 결합방법
KR101548608B1 (ko) * 2014-04-07 2015-08-31 주식회사 하이브릭스이앤씨 접합 플레이트를 갖는 철골보 및, 철골보와 기둥의 연결 구조
KR101642420B1 (ko) 2016-03-09 2016-07-26 제이비비젼중공업주식회사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
KR101829592B1 (ko) * 2017-11-29 2018-02-19 정진우 다기능 지진동 저감장치
KR102229712B1 (ko) 2020-09-04 2021-03-18 태영강건(주) H형강 기둥과 이중h형강 보가 접합된 내진성능구조의 철골과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604B1 (ko) * 2010-04-02 2010-11-25 우종열 높이가 상이한 철골보의 접합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접합된 철골보
KR101217793B1 (ko) * 2012-04-26 2013-01-02 이도윤 철골보의 보강구조
KR20140098524A (ko) * 2013-01-31 2014-08-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H형강 기둥과 수평보의 결합 구조물 및 그 결합방법
KR101548608B1 (ko) * 2014-04-07 2015-08-31 주식회사 하이브릭스이앤씨 접합 플레이트를 갖는 철골보 및, 철골보와 기둥의 연결 구조
KR101642420B1 (ko) 2016-03-09 2016-07-26 제이비비젼중공업주식회사 단부 보강형 철골구조물
KR101829592B1 (ko) * 2017-11-29 2018-02-19 정진우 다기능 지진동 저감장치
KR102229712B1 (ko) 2020-09-04 2021-03-18 태영강건(주) H형강 기둥과 이중h형강 보가 접합된 내진성능구조의 철골과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53561A (zh) * 2022-03-24 2022-07-15 同圆设计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转换节点、转换体系及使用方法
CN114753561B (zh) * 2022-03-24 2024-04-26 同圆设计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转换节点、转换体系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45365B2 (ja) 柱梁接合部
KR101548608B1 (ko) 접합 플레이트를 갖는 철골보 및, 철골보와 기둥의 연결 구조
JPH09209450A (ja) 柱・梁接合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鉄骨架構
KR102229712B1 (ko) H형강 기둥과 이중h형강 보가 접합된 내진성능구조의 철골과 그 시공방법
KR20100046685A (ko) H형강 보와 각형 강관 기둥의 접합부 연결구조
KR102348659B1 (ko) 원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348650B1 (ko) H형강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108335B1 (ko) 내진성능 접합부를 가지는 복합철골보구조
KR20200089793A (ko) 보강강판 및 관통볼트를 사용한 충전형 합성 보-기둥의 무용접 접합 구조체
KR102348654B1 (ko) 각형강관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348662B1 (ko) 강관-콘크리트 합성 기둥과 개량보가 접합된 철골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814903B1 (ko) 힌지형 가새 구조물을 이용한 개구부 보강구조 및 이를 이용한 개구부 보강방법
KR101299574B1 (ko) 사각 패널존을 이용한 모멘트 접합구조
JPH10331436A (ja) 既存構築物における柱梁の耐震補強構造
JP4710134B2 (ja) 鋼管柱の柱梁接合構造
JP3444797B2 (ja) 鋼管柱と鉄骨梁との接合方法
JPH10331437A (ja) 既存柱梁の耐震補強構造
JPH08151648A (ja) 鉄骨構造の柱梁の仕口構造
JPH10219700A (ja) 柱脚部と鋼製地中梁の接合構造
KR102474490B1 (ko) 기둥-보 보강접합부를 갖는 철골구조
KR102373167B1 (ko) 조립보의 접합구조 및, 조립보의 접합구조의 시공방법
JP7256698B2 (ja) 段差梁の接合構造
KR102298130B1 (ko) 철골보 단부 보강 시스템
JP3755119B2 (ja) 制震架構
KR200294215Y1 (ko) 리브와 도그본 및 부분용접을 이용한 철골용보-기둥접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