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450B1 - 조립식 가세트 플레이트를 이용한 건축구조재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세트 플레이트를 이용한 건축구조재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450B1
KR101288450B1 KR1020110077174A KR20110077174A KR101288450B1 KR 101288450 B1 KR101288450 B1 KR 101288450B1 KR 1020110077174 A KR1020110077174 A KR 1020110077174A KR 20110077174 A KR20110077174 A KR 20110077174A KR 101288450 B1 KR101288450 B1 KR 101288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ctural member
plate
coupling
prefabricated
gass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5288A (ko
Inventor
채일수
Original Assignee
채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일수 filed Critical 채일수
Priority to KR1020110077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450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4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2001/389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재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구조재 측부에 구성된 가세트 플레이트(Gusset Plate)를 이용하여 거더나 빔, 타이빔 등과 같은 철구조재를 조립시공하되, 상기 가세트 플레이트를 구조재에 결합하기 위한 수단이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시공현장에서 누구나 쉽게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서, 조립식 건축물 시공이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가세트 플레이트에 결합공이 뚫린 결합편을 구성하고, 상기 가세트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거더나 빔, 타이빔 등과 같은 구조재에 가세트 플레이트가 결합될 수 있는 고정공을 뚫어 구성하고, 상기 고정공에 가세트 플레이트의 결합편에 뚫린 결합공이 일치되게 한 다음 볼트와 너트로 체결고정되게 하고, 상기 가세트 플레이트에 또다른 보조구조재가 조립구성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가세트 플레이트를 이용한 건축구조재 결합장치{JOINTING APPARATUS OF BUILDING CONSTRUCTION MATERIALS BY SELF-ASSEMBLY GUSSET PLATE}
본 발명은 조립식 가세트 플레이트(Gusset Plate)를 이용한 건축구조재 결합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축물을 시공하고자 할 때, 구조재 측부에 구성된 가세트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거더나 빔, 타이빔 등과 같은 철구조재를 조립시공하되, 상기 가세트 플레이트를 구조재에 용접구조가 아닌 조립구조로 결합할 수 있게 하여, 건축물의 시공이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세트 플레이트는 거더나 빔, 타이빔 등과 같은 철구조재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조립, 시공하고자 할 때,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부품으로서 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 가세트 플레이트는 도 9에서와 같이 구조재(1)를 구성하는 웨브(2)와 플랜지(3) 사이에 체결공(4)이 뚫린 판상의 가세트 플레이트(5)를 접합시킨 다음 접합부위를 용접하여 가세트 플레이트(5)가 구조재(1) 측부에 용접되게 하고, 상기 가세트 플레이트(5)를 이용하여 또다른 구조재(1')를 볼트(6)와 너트(7)로 체결고정되게 하는 구조이다.
상기한 구성의 건축구조재의 결합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즉 거더나 빔, 타이빔 등과 같은 구조재(1)를 이용하여 조립식 건축물을 시공하고자 할 때, 시공현장에서 구조재(1)와 구조재(1')를 조립하고자 하는 정확한 치에 가세트 플레이트(5)를 수직으로 용접하여야 한다.
구조재(1)에 가세트 플레이트(5)를 용접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구조재(1)와 구조재(1')를 조립하고자 하는 정확한 위치에 금긋기(용접지점표시)를 하고, 상기 위치에 가세트 플레이트(5)를 반듯하게 접합시킨 다음, 가용접하여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한 상태에서 본용접을 하여 가세트 플레이트(5)가 구조재(1) 측부에 고정설치되게 한 것이다.
따라서 구조재(1) 측부에 가세트 플레이트(5)를 용접하는데 단순작업자가 아닌 고도의 숙련된 작업자(용접공)를 필요로 하게 되므로 날로 심각해지는 숙련된 작업자의 인력수급때문에 건설현장에서는 많은 애로사항을 겪게 될 뿐 아니라, 공기와 비용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시정하고자 구조재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구조재 측부에 구성된 가세트 플레이트(Gusset Plate)를 이용하여 거더나 빔, 타이빔 등과 같은 철구조재를 조립시공하되, 상기 가세트 플레이트를 구조재에 결합하기 위한 수단이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시공현장에서 누구나 쉽게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서, 조립식 건축물 시공이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가세트 플레이트에 결합공이 뚫린 결합편을 구성하고, 상기 가세트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거더나 빔, 타이빔 등과 같은 구조재에 가세트 플레이트가 결합될 수 있는 고정공을 뚫어 구성하고, 상기 고정공에 가세트 플레이트의 결합편에 뚫린 결합공이 일치되게 한 다음 볼트와 너트로 체결고정되게 하고, 상기 가세트 플레이트에 또다른 보조구조재가 조립구성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조재와 구조재를 연결하기 위한 가세트 플레이트에 결합공이 뚫린 결합편을 구성하고, 상기 가세트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거더나 빔, 타이빔 등과 같은 구조재 측부에 가세트 플레이트가 결합될 수 있는 고정공을 뚫어 구성하고, 상기 고정공에 가세트 플레이트의 결합편에 뚫린 결합공이 일치되게 한 다음 볼트와 너트로 체결고정되게 하고, 상기 가세트 플레이트에 또다른 보조구조재가 조립구성될 수 있게 함으로서, 가세트 플레이트를 구조재에 결합하기 위한 수단이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시공현장에서 누구나 쉽게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하여 조립식 건축구조물의 시공이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 장치의 요부사시도
도 2 : 본 발명 장치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3 : 본 발명 장치에서 사용되는 가세트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4 : 본 발명 장치의 측면구성도
도 5 : 본 발명 장치의 정면구성도
도 6 : 본 발명 장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7 : 본 발명 장치 다른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8 : 도 6의 측면구성도
도 9 : 종래 장치의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요지는 조립식 건축물 시공을 위하여, 구조재(10) 측면에 보조구조재(10')를 결합하기 위한 가세트 플레이트(20)를 조립식으로 결합구성되게 함과 동시에, 구조재(10)에도 상기 가세트 플레이트(20)가 조립될 수 있게 생산공장에서 기계가공으로 제작케 한다는 것이다.
즉 강판으로 가세트 플레이트(20)를 구성하되, 본체(21) 외측에 체결공(22)이 뚫린 체결편(23)을 구성하고, 내측 및 상하부에는 결합공(24)이 뚫린 수직결합편(25)과 수평결합편(26)이 본체(21)로부터 직각으로 절곡구성되게 한다.
가세트 플레이트(20)가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구조재(10)에는 가세트 플레이트(20)를 조립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수단은 구조재(10)를 구성하는 웨브(11) 및 플랜지(12)에 고정공(14)을 뚫어 구성하되 고정공(14)의 위치는 가세트 플레이트(20)의 수직 및 수평결합편(25)(26)에 뚫린 결합공(24)과 나란히 일치할 수 있게 뚫는다.
따라서 조립식 건축물 시공현장에서 고정공(14)이 뚫린 구조재(10) 측부에 가세트 플레이트(20)를 끼우게 되면, 수직결합편(25)은 웨브(11)와 접하게 되고, 수평결합편(26)은 플랜지(12) 내측면과 나란히 접하면서 결합공(24)과 고정공(14)이 서로 일치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고정볼트(15)로 결합공(24)과 고정공(14)을 관통하게 끼운 다음 고정너트(16)로 체결고정되게 함으로서 구조재(10) 측부에 가세트 플레이트(20)가 결합되게 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가세트 플레이트(20)의 본체(21) 외측에 구성된 체결편(23)에 체결공(12') 보조구조재(10')를 위치시켜 체결공(12')(22)이 일치되게 한 다음 체결볼트(18)와 체결너트(19)로 결합되게 함으로서 조립식 가세트 플레이트(20)를 이용한 구조재(10)와 보조구조재(10')의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조립식 가세트 플레이트(20)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21) 상하부에 구성되는 수평결합편(26) 일측에만 구성되게 한 다음, 구조재(10)의 측부에 조립식으로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식 가세트 플레이트(20)를 이용한 건축구조재(10) 결합장치는 생산공장에서 구조재(10) 및 가세트 플레이트(20)를 설계조건에 맞게 제작한 다음 건축물 조립현장에서 구조재(10)와 가세트 플레이트(20)를 고정볼트(15)와 고정너트(16)로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간단히 체결고정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과 신속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건축물 시공현장에서, 구조재 측부에 가세트 플레이트를 용접하고자 하는 위치를 표시하고, 표시된 지점에 가세트 플레이트를 가용접한 다음 본용접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게 될 뿐 아니라, 용접작업이 숙련된 고도의 작업성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조립식 가세트 플레이트(20)를 이용한구조재(10) 결합장치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가세트 플레이트(20)를 구조재(10) 측부에 결합함에 있어서, 생산공장에서 건축설계도면에 맞게 제작되어 있고, 시공현장에서는 조립만 하면 되므로 설계된 조건에 맞게 정확한 시공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세트 플레이트(20)와 구조재(10)를 조립함에 있어서, 가세트 플레이트(20)의 본체(21)에 직각으로 절곡구성된 수직결합편(25) 및 수평결합편(26)이, 구조재(10)의 웨브(11) 및 플랜지(12)와 접하게 한 다음 고정볼트(15)와 고정너트(16)로 체결고정되므로 용접한 가세트 플레이트보다 견고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10)--구조재 (10')--보조구조재
(11)--웨브 (12)--플랜지
(14)--고정공 (15)--고정볼트
(16)--고정너트 (18)--체결볼트
(19)--체결너트 (20)--가세트 플레이트
(21)--본체 (22)--체결공
(23)--체결편 (24)--결합공
(25)--수직결합편 (26)--수평결합편

Claims (2)

  1. 강판으로 된 본체(21) 내측에 결합공(24)이 뚫린 수직결합편(25)으로 구성된 조립식 가세트 플레이트(20)를, 웨브(11)와 플랜지(12)로 된 구조재(10) 측부에 끼워 수직결합편(25)의 결합공(24)이, 구조재(10)의 웨브(11)에 뚫린 고정공(14)과 일치되게 한 다음 고정볼트(15)와 고정너트(16)로 체결고정되게 하고, 상기 조립식 가세트 플레이트(20)에 보조구조재(10')를 결합할 수 있게 한 조립식 가세트 플레이트를 이용한 건축구조재 결합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조립식 가세트 플레이트(20)를 구성하는 본체(21) 상하부에 수평결합편(26)을 직각으로 절곡하되, 상기 수평결합편(26)에 결합공(24)을 구성하고, 상기 수평결합편(26)과 접촉하는 구조재(10)의 상하플랜지(12)에 고정공(10)을 뚫어 수평결합편(26)의 결합공(24)과 일치되게 하고, 상기 결합공(24)과 고정공(14)에 고정볼트(15)를 끼운 다음 고정너트(16)로 체결고정되게 함으로서 구조재(10)와 조립식 가세트 플레이트(20)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상기 조립식 가세트 플레이트(20)에 보조구조재(10')가 결합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세트 플레이트를 이용한 건축구조재 결합장치.
  2. 삭제
KR1020110077174A 2011-08-03 2011-08-03 조립식 가세트 플레이트를 이용한 건축구조재 결합장치 Active KR101288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174A KR101288450B1 (ko) 2011-08-03 2011-08-03 조립식 가세트 플레이트를 이용한 건축구조재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7174A KR101288450B1 (ko) 2011-08-03 2011-08-03 조립식 가세트 플레이트를 이용한 건축구조재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288A KR20130015288A (ko) 2013-02-14
KR101288450B1 true KR101288450B1 (ko) 2013-07-26

Family

ID=47895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174A Active KR101288450B1 (ko) 2011-08-03 2011-08-03 조립식 가세트 플레이트를 이용한 건축구조재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4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095B1 (ko) * 2017-12-22 2019-11-26 삼성물산(주) 시공성 향상을 위한 무용접 하이브리드 철골 강접합부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0273A (ja) * 2005-01-21 2006-08-03 Daiwa House Ind Co Ltd 鋼製の大梁と小梁の接合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0273A (ja) * 2005-01-21 2006-08-03 Daiwa House Ind Co Ltd 鋼製の大梁と小梁の接合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288A (ko)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706B1 (ko) 철골보 접합부
KR101509100B1 (ko) 시공성이 우수한 에이치빔 어댑터
JP4112564B2 (ja) 柱と梁の結合構造
KR20130139029A (ko) H 형강을 이용한 건축 모듈러 기둥 접합구조
KR101462843B1 (ko) 철골기둥과 철골보, 철골기둥과 철골기둥·철골보의 접합구조
JP6067403B2 (ja) 柱梁接合部と柱梁接合部における鉄骨梁の接合方法
JP6818510B2 (ja) 柱梁接合構造
KR101288450B1 (ko) 조립식 가세트 플레이트를 이용한 건축구조재 결합장치
JP6612552B2 (ja) 耐火柱及びこれを備えた耐力壁
JP2016216905A (ja) 柱梁架構
JP2006348740A (ja) 長尺材の組立て方法とその方法に使用する組立て用治具
JP6802675B2 (ja) 柱梁接合方法、及び仕口部材
JP4675632B2 (ja) 鋼製の大梁と小梁の接合構造及びその形成方法
JP2017172139A (ja) 耐震構造及び耐震補強方法
JP6893799B2 (ja) 切梁火打接続構造および切梁火打接続ピース
JP5294094B2 (ja) 溝形鋼を用いた鋼製土台
JP2006291531A (ja) 柱・梁接合部構造
JP7032051B2 (ja) 床構造施工方法および床構造再利用方法
JP2008031644A (ja) 鉄骨造建物の床架構および同床架構の建築構法
JP4584088B2 (ja) 鉄骨建造物の既設鉄骨部材の補強方法及び補強構造
JP6564606B2 (ja) 木・鋼重ね梁構造
JP6336773B2 (ja) 山留めh形鋼杭の接合構造および建込み方法
JP7377155B2 (ja) I型ジョイスト部材連結具、i型ジョイスト部材連結具を用いたi型ジョイスト部材の連結方法およびi型ジョイスト部材連結具を用いた木造建物
JP2015096685A (ja) 免震装置接合構造
JP7537660B2 (ja) 梁連結フランジ部材装着アルミ二ウム合金製柱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7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