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559B1 -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559B1
KR102036559B1 KR1020190012140A KR20190012140A KR102036559B1 KR 102036559 B1 KR102036559 B1 KR 102036559B1 KR 1020190012140 A KR1020190012140 A KR 1020190012140A KR 20190012140 A KR20190012140 A KR 20190012140A KR 102036559 B1 KR102036559 B1 KR 102036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plate
mold
frame member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용섭
Original Assignee
방용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용섭 filed Critical 방용섭
Priority to KR1020190012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5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06Permanent moulds for shaped cas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01Lateral transport of long work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프레임부재에 일정이격을 갖는 다수의 판형태로 결합되어 몸체를 전후좌우로 유동시키는 판프레임부재와; 상기 판프레임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판프레임부재와의 전후좌우 방향조절작용을 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여 몰드본체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를 해체 및 체결을 실행하는 임팩트부재와; 상기 몰드본체가 컨베이어벨트에 탑재되어 진입할 시 몰드본체의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사이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검출부와; 상기 임팩트부재를 통해 몰드본체에 체결되어 있는 다수의 볼트의 해체 및 체결작업을 설정된 프로그램 절차에 따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판넬부를 포함하는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이송프레임부재의 측면부에 결합되는 X축으로 유동가능한 플레이트와 Y축으로 유동가능한 플레이트가 각기 구비된 판프레임부재에 임팩트부재를 결합설치한후 다수개의 임팩트부재를 각기 개별적으로 구동시켜 개별 임팩트부재의 소켓홀더가 X축과 Y축 방향으로 동시에 유동되어 몰드본체의 볼트를 볼트의 크기에 관계없이 정교하게 수용하여 해체 혹은 체결하므로써, 개별 임팩트부재가 작업공정을 에러없이 수행하므로 그에 따라 볼트의 체결 혹은 해체 고정의 품질을 상당히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Device for automatically tightening and loosening bolts of mold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송프레임부재의 측면부에 결합되는 X축으로 유동가능한 플레이트와 Y축으로 유동가능한 플레이트가 각기 구비된 판프레임부재에 임팩트부재를 결합시키고 이와같이 구성으로 된 다수의 임팩트부재를 각기 개별적으로 구동하므로써, 다수의 볼트를 몰드본체에 체결 혹은 해체시키는 작업공정을 에러없이 수행하는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구조물을 세울 때 지반의 조건이나 구조물의 하중에 따라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반을 보강하는 기초공사를 시행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지반을 보강하기위해 통상적으로 시멘트 관이나 혹은 전신주 또는 PHC 파일(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 등이 널리 사용되는데, 이중 PHC 파일(75)은 PC 파일보다 축방향 하중 지지력이 우수하고, 타격에 강하며, 휨 내력이 크다는 장점을 갖추고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PHC 파일의 제조과정을 체결볼트 자동 체결/해체장치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체결볼트 자동 체결/해체장치(76)로 진입하기 전에 먼저, 몰드본체(70)의 하부몰드(71)내에 주철근인 PC 강봉에 나선철근을 용접하여 완성한 철근롱(72)을 넣은후 그 위에 소정량의 콘크리트를 투입한후 상기 몰드본체(70)의 상부몰드(73)를 하부몰드(71)에 얹어 조립한 후 볼트(74a-n)를 체결하여 일체화시키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후에 원심대에서 상기 몰드본체(70)를 회전시켜 원심력을 이용하여 몰드본체(7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다지고 모양을 형성시켜 양생하므로 PHC 파일(75)을 성형시키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후에 상기 PHC 파일(75)이 들어있는 몰드본체(70)를 체결볼트 자동 체결/해체장치(76)내로 이송레일부(77)를 통해 지나게 하면서 몰드본체(70)의 몸체상에 체결된 다수의 볼트(74a-n)를 해제시켜 PHC 파일(75)을 몰드본체(70)의 형틀에서 빼내는 공정을 실행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후에 상기와 같이 PHC 파일(70)을 몰드본체(70)의 형틀에서 빼내고 다시 상기 제1 내지 3 단계의 공정을 반복하기위해 몰드 체결볼트 자동 체결/해체장치(76)를 통해 볼트(74a-n)를 체결 및 해제하는 공정을 반복시키는 제4 단계를 거쳐 PHC 파일(75)을 최종 완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종래 몰드본체에 체결된 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시키는 장치의 동작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이송레일부(77)가 상부몰드(73)와 하부몰드(71)로 구성되는 몰드본체(70)를 체결볼트 자동 체결/해체장치(76)내로 이송시켜 일정위치까지 진입시키면 상기 체결볼트 자동 체결/해체장치(76)는 상단 고정몸체부(78)에 결합되어 단부에 상기 볼트(74a-n)를 유동가능하게 체결하거나 해체시킬 수 있는 수용부(79)가 장착된 다수개의 임팩트장치부(80A-N)를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세로축 이동부재(81)를 조정하여 상기 임팩트장치부(80A-N)를 상기 몰드본체(70)상에 체결된 볼트(74a-n)의 상부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임팩트장치부(80A-N)가 상기 몰드본체(70)상에 체결된 볼트(74a-n)의 상부에 위치될 경우 다시 상기 임팩트장치부(80A-N)를 수직으로 유동시키는 수직이동부재(82)를 구동하여 상기 임팩트장치부(80A-N)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수직이동부재(82)는 상기 임팩트장치부(80A-N)를 하부방향으로 상기 볼트(74a-n)의 상부에 완전히 접촉할 수 있는 위치까지 유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임팩트장치부(80A-N)는 그 하단부의 수용부(79)가 볼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하강하는 힘과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상기 수용부(79)가 볼트(74a-n)의 몸체를 수용하게된다. 그러면, 상기 볼트(74a-n)의 상단부가 임팩트장치부(80A-N)의 수용부(79)의 내부로 수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볼트 자동 체결/해체장치(76)는 임팩트장치부(80A-N)가 왼쪽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볼트(74a-n)를 상기 몰드본체(70)로부터 해체시켜 상기 몰드본체(70)의 상부몰드(73)가 개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몰드본체(70)의 내부에 성형된 PHC 파일(75)를 빼어낸후 상기 체결볼트 자동 체결/해체장치(76)는 다시 상기와 같은 볼트 체결 및 해체공정을 반복하면서 PHC 파일(75)을 계속 생산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몰드본체의 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시키는 장치는 몰드본체의 볼트를 체결하거나 해체시키기위해 임팩트장치부의 수용부가 볼트의 몸체를 수용할 시 스프링의 신장이나 복원력을 이용하여 수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몰드본체에 결합된 볼트의 몸체를 정교하게 잡아 수용할 수가 없기 때문에 상기 볼트의 체결이나 해체하는 공정에 장애가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그에 따라 몰드본체의 볼트를 체결하고 해체하는 공정의 품질을 상당히 저하시켰으며, 또한 상기 임팩트장치부의 관절 수용부의 상부에 스프링이 설치한후 이를 이용하여 볼트의 몸체를 잡아 수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반복되는 작업으로 인해 수용부의 상단부와 스프링이 파손되는 경우가 잦아 이들 부품들을 교체하기위해 자주 생산공정이 정지하게되므로 그에 따라 몰트본체를 이용한 PHC 파일 등의 생산수율을 상당히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발명된 것으로, 이송프레임부재의 측면부에 결합되는 X축으로 유동가능한 플레이트와 Y축으로 유동가능한 플레이트가 각기 구비된 판프레임부재에 임팩트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임팩트부재의 소켓홀더가 X축과 Y축 방향으로 동시에 유동되어 몰드본체의 볼트를 볼트의 크기에 관계없이 정교하게 수용하여 해체 혹은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송프레임부재의 후측면부에 웨이트 밸런스부재를 설치하여 체인수단을 통해 임팩트부재가 상,하로 유동시 발생하는 충격진동을 보정하므로, 임팩트부재가 하부로 이동할시 낙하중력에 의해 볼트와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안정성을 확보하는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일정 크기의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전,후,좌,우측면부와 내부가 개방되고 몸체의 하단부의 길이방향으로 몰드본체가 탑재된 컨베이어벨트가 위치되며, 몸체의 뼈대를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측면에 설치된 측벽부재에 설치된 이송 레일홈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 레일홈을 따라 몸체가 길이방향으로 유동하는 이송프레임부재와;
상기 이송프레임부재에 일정이격을 갖는 다수의 판형태로 결합되어 몸체를 전후좌우로 유동시키는 판프레임부재와;
상기 판프레임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판프레임부재와의 전후좌우 방향조절작용(X,Y축 방향)을 하면서 상하 방향(혹은 Z축 방향)으로 유동하여 몰드본체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를 해체 및 체결을 실행하는 임팩트부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전단 일측에 설치되고 몰드본체가 컨베이어벨트에 탑재되어 진입할 시 몰드본체의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사이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검출부와;
상기 임팩트부재를 통해 몰드본체에 체결되어 있는 다수의 볼트의 해체 및 체결작업을 설정된 프로그램 절차에 따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판넬부를 포함하는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조립 또는 분리대상의 몰드본체가 베이스 프레임부의 전단 하부로 컨베이어벨트에 탑재되어 진입할 경우 제어판넬부가 센서검출부를 통해 상기 몰드본체의 좌우폭 및 수평을 측정하여 분석한후 각 임팩트부재의 이동궤적을 산출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중에 제어판넬부가 상기 센서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검출신호를 분석한후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이동속도와 임팩트부재의 구동속도가 서로 연동되도록 동기화시키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중에 제어판넬부가 산출된 각 임팩트부재의 이동궤적정보에 따라 각 임팩트부재를 몰드본체에 대해 X,Y 및 Z축 방향으로 조절하여 상기 몰드본체의 볼드에 접근하여 몰드본체의 볼트를 조이거나(혹은 체결) 풀게하는(혹은 해체) 임팩트부재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제3 과정중에 상기 제어판넬부가 상기 센서검출부의 거리감지센서를 통해 검출된 검출신호중 제2 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몰드본체의 높이정보를 분석하여 몰드본체가 자주 사용함에 따라 발생된 마모에 따라 발생되는 센터의 오차를 보정하기위해 그 오차만큼 임팩트부재의 센터높이를 내려 보정해주는 제4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송프레임부재의 측면부에 결합되는 X축으로 유동가능한 플레이트와 Y축으로 유동가능한 플레이트가 각기 구비된 판프레임부재에 임팩트부재를 결합설치한후 다수개의 임팩트부재를 각기 개별적으로 구동시켜 개별 임팩트부재의 소켓홀더가 X축과 Y축 방향으로 동시에 유동되어 몰드본체의 볼트를 볼트의 크기에 관계없이 정교하게 수용하여 해체 혹은 체결하므로써, 개별 임팩트부재가 다수의 볼트를 몰드본체에 체결 혹은 해체시키는 작업공정을 에러없이 수행하므로 그에 따라 볼트의 체결 혹은 해체 고정의 품질을 상당히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이송프레임부재의 후측면부에 웨이트 밸런스부재를 설치하고 그 반대측에 설치된 임팩트부재가 몰드본체의 볼트를 해체 혹은 체결하기위해 상,하로 유동할 시 발생되는 충격진동을 상기 웨이트 벨런스부재가 흡수하여 균형을 유지하도록 보정하므로써, 임팩트부재가 하부로 이동시 낙하중력에 의해 볼트와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임팩트부재의 작업안정성을 상당히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몰드본체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종래 몰드본체의 볼트를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본발명에 따른 장치중 이송프레임부재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5의 a-c는 본발명에 따른 장치중 임팩트부재의 관절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5의 d-e는 도 5의 임팩트부재의 관절작용을 밑면상태에서 설명하는 설명도.
도 6a는 본발명에 따른 장치중 임팩트부재와 그 주변 부품들을 분해하여 설명하는 설명도.
도 6b는 본발명에 따른 장치중 임팩트부재의 측면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은 본발명에 따른 장치중 임팩트부재의 소켓홀더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본발명에 따른 장치중 임팩트부재가 몰드본체의 볼트를 체결 혹은 해체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본발명에 따른 장치중 이송프레임부재의 상단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0은 본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시적으로 바라본 개략적인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4는 본발명에 따른 장치중 이송프레임부재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5의 a-c는 본발명에 따른 장치중 임팩트부재의 관절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5의 d-e는 도 5의 임팩트부재의 관절작용을 밑면상태에서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6a는 본발명에 따른 장치중 임팩트부재와 그 주변 부품들을 분해하여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6b는 본발명에 따른 장치중 임팩트부재의 측면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7은 본발명에 따른 장치중 임팩트부재의 소켓홀더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8은 본발명에 따른 장치중 임팩트부재가 몰드본체의 볼트를 체결 혹은 해체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9는 본발명에 따른 장치중 이송프레임부재의 상단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10은 본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시적으로 바라본 개략적인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이다.
삭제
상기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일정 크기의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전,후,좌,우측면부와 내부가 개방되고 몸체의 하단부의 길이방향으로 몰드본체(1)가 탑재된 컨베이어벨트(2)가 위치되며, 몸체의 뼈대를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부(3)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3)의 측면에 설치된 측벽부재(4)에 설치된 이송 레일홈(5)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 레일홈(5)을 따라 몸체가 길이방향으로 유동하는 이송프레임부재(6)와; 상기 이송프레임부재(6)에 일정이격을 갖는 다수의 판형태로 결합되어 몸체를 전후좌우로 유동시키는 판프레임부재(7)와; 상기 판프레임부재(7)의 일측에 결합되어 판프레임부재(7)와의 전후좌우 방향조절작용(x,y축 방향)을 하면서 상하 방향(혹은 z축 방향)으로 유동하여 몰드본체(1)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8a-n)를 해체 및 체결을 실행하는 임팩트부재(9, 9a-n)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3)의 전단 일측에 설치되고 몰드본체(1)가 컨베이어벨트(2)에 탑재되어 진입할 시 몰드본체(1)의 상부플랜지(10)와 하부플랜지(11) 사이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8a-n)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검출부(12)와; 상기 임팩트부재(9, 9a-n)를 통해 몰드본체(1)에 체결되어 있는 다수의 볼트(8a-n)의 해체 및 체결작업을 설정된 프로그램 절차에 따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판넬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프레임부재(6)에는 도 4 내지 도 6a-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판프레임부재(7)에 결합된 임팩트부재(9, 9a-n)를 상하로 유동시키기위해 이송프레임부재(6)의 몸체의 내측 상단고정판(14)과 상기 판프레임부재(7)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스크류봉부재(15)가 설치되고, 상기 상단고정판(14)의 내측 개방홈(도시안됨)을 매개로 상단고정판(14)의 상부측으로 상기 제어판넬부(13)의 기능제어하에 스크류봉부재(15)를 회전시키는 상하구동 모터(16)가 설치되며, 체인(17)과 결합되어 체인(17)을 이송시키도록 상기 이송프레임부재(6)의 몸체의 좌우측에 각각 대칭되게 체인톱니바퀴(18)가 한조씩 설치되고, 상기 임팩트부재(9, 9a-n)가 상,하로 유동할 시의 진동충격 및 중력작용을 완하하기위해 상기 판프레임부재(7)와는 반대편으로 상기 체인(17)의 일측과 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판프레임부재(7)의 일측에 결합되는 웨이트 밸런스부재(19)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프레임부재(6)에는 도3 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이송프레임부재(6)의 몸체를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좌,우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유동하도록 이송프레임부재(6)의 몸체에 고정결합되는 판고정부재(55)가 각각 구비된 X축 이동부재(22)가 설치된다.
그에 더하여 상기 이송프레임부재(6)에는 도 5a-e와, 도 6a-b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크류봉부재(15)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납부(73)에 삽입되어 그 상단이 상하구동 모터(16)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봉부재(15)의 타단에는 상기 상하구동 모터(16)가 구동되어 이송프레임부재(6)의 몸체를 상,하로 유동할 시 스크류봉부재(15)와 연동하도록 스크류봉부재(15)의 몸체를 수납하여 스크류체결되는 스크류결합고리부재(74)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결합고리부재(74)는 상기 이송프레임부재(6)의 후면 일측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상하구동 모터(16)가 회전 구동할 경우 스크류봉부재(15)를 따라 상하 방향(혹은 z축 방향)으로 유동하므로 상기 이송프레임부재(6)를 상,하로 유동시키게 된다. 뿐만아니라 상기 이송프레임부재(6)의 체인(17)과 결합되어 상기 체인(17)이 연동되도록 상기 이송프레임부재(6)의 몸체의 좌우측에 각각 대칭되게 체인톱니바퀴(18)가 한조씩 설치되고, 상기 임팩트부재(9, 9a-n)가 상,하로 유동될 시에 발생되는 진동충격 및 중력작용을 완화하기위해 상기 판프레임부재(7)와는 반대편으로 상기 체인(17)의 일측과 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판프레임부재(7)의 일측에 결합되는 웨이트 밸런스부재(19)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3)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몸체의 양측 중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Y축 레일유동부재(20)가 형성되어 있고, Y축 레일유동부재(20)의 사이에 일정 크기와 너비로 개방된 이송 레일홈(5)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 레일홈(5)의 상부측으로 바형태로 Y축 이송바(21)가 설치되어 있고, 몸체의 적절한 곳에 Y축 가이드홈부재(71)와 슬라이딩 결합된 Y축 레일유동부재(20)와 Y축 이송바(21)에 결합되어 제어판넬부(13)의 기능제어하에 X축 이동부재(22)를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으로 유동시키는 Y축 구동모터수단(23)이 구비된 Y축 이동부재(73)가 설치된다.
더 나아가, 상기 X축 이동부재(22)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몸체의 후면부에 제어판넬부(13)의 기능제어하에 X축 기어수단(도시안됨)에 동력을 제공하는 X축 구동모터수단(2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송프레임부재(6)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된 결합이송바(26)와 결합하여 제어판넬부(13)의 기능제어하에 X축 구동모터수단(24)에 의해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되도록 몸체의 후면에 X축 레일유동부재(27)가 설치되고, 이송프레임부재(6)가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되도록 베이스 프레임부(3)의 이송 레일홈(5)에 Y축 가이드홈부재(71)을 매개로 삽입되어 Y축 이송바(21)와 함께 슬라이딩되는 Y축 유동결합부재(2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판프레임부재(7)에는 도 4, 도 5a-e 및 도 6a-b에 도시된 바와같이 몸체의 일측에 결합부재(28)를 매개로 임팩트부재(9, 9a-n)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대편에 설치된 X축 로드부재(29)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X축 로드부재(29)를 내부로 수용하여 양쪽에서 서로 맞결합되어 슬라이딩되도록 내부 중심이 원통형구멍이 형성된 X축 수용부재(31)가 각각 복수개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30)와;
상기 제1 플레이트(30)의 각 X축 수용부재(31)의 양단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각 X축 수용부재(31)의 내부 구멍을 양쪽에서 삽입되어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으로 슬라이딩 유동할 수 있는 봉형상의 X축 로드부재(29)와, 상기 X축 로드부재(29)가 설치된 위치의 상단 각각에 고정판부재(35)를 매개로 전후유동 실린더(32)의 로드(33)와 결합되어 상기 로드(33)의 몸체를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좌, 우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내부 중심에 원통형상으로 개방구멍이 형성된 Y축 수용부재(34)가 복수개 설치되는 제2 플레이트(36)와;
삭제
상기 제2 플레이트(36)의 Y축 수용부재(34)에 결합되는 전후유동 실린더(32)의 타측이 몸체의 다수위치에 각기 예컨대, 4개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프레임부재(6)의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스크류봉부재(15)의 일측과 결합되고 몸체의 양측에 웨이트 벨런스부재(19)의 체인(17)이 각기 결합되는 제3 플레이트(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플레이트(36)에는 도 4 내지 6a-b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2 플레이트(36)의 상부에 고정설치되고 부품을 삽입고정할 수 있는 삽입구멍(38)이 복수개 형성된 고정편판(39)과, 상기 고정편판(39)의 일측 삽입구멍(38)의 상단에 제2 플레이트(36)의 유동에 의해 제1 플레이트(30)에 결합된 임팩트부재(9, 9a-n)를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으로 일정거리로 유동하도록 동작시키는 X축 실린더(40)가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X축 실린더(40)가 결합된 상기 고정편판(39)의 일측 삽입구멍(38)의 하단부에 상기 X축 실린더(40)의 로드 작용에 의해 공압을 차단하여 임팩트부재(9, 9a-n)가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정지시키기위해 몸체의 내부에 상기 X축 실린더(40)의 로드(41)를 밀착 수용하도록 호퍼형상의 X축 공압홈부재(42)가 설치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36)의 상부에 고정된 상기 고정편판(39)의 또다른 삽입구멍(38)의 상단에 제1 플레이트(30)와 제2 플레이트(36)의 슬라이딩 결합작용에 의해 제1 플레이트(30)에 고정결합된 임팩트부재(9, 9a-n)를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좌,우방향으로 유동하도록 동작시키는 Y축 실린더(43)가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Y축 실린더(43)가 결합된 상기 고정편판(39)의 일측 삽입구멍(38)의 하단부에 상기 Y축 실린더(43)의 로드작용에 의해 공압을 차단하여 임팩트부재(9, 9a-n)가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좌,우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정지시키기위해 몸체의 내부에 상기 Y축 실린더(43)의 로드(44)를 밀착 수용하도록 호퍼형상의 Y축 공압홈부재(45)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X축 이동부재(22)의 일측에는 X축 실린더(40)와 Y축 실린더(43)를 제어판넬부(13)의 기능제어하에 서보제어하는 서보모터(도시안됨)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임팩트부재(9, 9a-n)에는 도 4 내지 도 6a-b에 도시된 바와같이 몸체의 일측에 임팩트부재(9, 9a-n)를 결합부재(28)를 매개로 판프레임부재(7)의 제1 플레이트(30)에 고정결합시키는 고정결합편(46)이 설치되어 있고, 몸체의 상단부에 유압이 인가되는 기계적인 작용을 하는 임팩렌치모듈(47)이 설치되며, 상기 임팩렌치모듈(47)의 하단부에 임팩렌치모듈(47)에 의해 공압이 인가될 경우 정역회전을 실행하는 렌치소켓(48)이 설치되고, 상기 렌치소켓(48)의 하단에 볼트(8a-n)를 수용하여 조이거나 풀도록 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소켓홀더(49)가 설치되며, 상기 렌치소켓(48)의 외표면에 소켓홀더(49)가 상기 볼트(8a-n)를 수용하여 조이거나 풀때 발생되는 진동이나 임팩트부재(9, 9a-n)가 상,하로 유동시 발생하는 충격진동을 흡수하는 스프링(5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임팩트부재(9, 9a-n)의 소켓홀더(49)의 내측은 통상 상기 볼트(8a-n)의 상단 머리부와 유사하게 형성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볼트(8a-n)의 상단 머리부에 각진부분(모서리부분)과 접촉하는 접촉부위(51)를 원형으로 형성하여 볼트(8a-n)의 상단 머리의 모서리부가 마모되거나 혹은 잘 못 삽입되더라도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임팩트부재(9, 9a-n)에는 소켓홀더(49)와 대응되는 높이의 몸체에 광신호를 발사한후 이를 수광하여 제어판넬부(13)로 전송하는 광펄스 검출센서부(5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소켓홀더(49)의 외주면에 상기 광펄스 검출센서부(52)의 광신호를 반사시킬 수 있는 광신호 반사패널(53)이 원형띠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어판넬부(13)는 상기 광펄스 검출센서부(52)와 광신호 반사패널(53)을 통해 임팩트부재(9, 9a-n)의 소켓홀더(49)가 볼트(8a-n)를 체결 혹은 해체할 경우 발생되는 회전수를 체킹하여 볼트(8a-n)가 정상적으로 조여졌는지(혹은 체결되었는지) 아니면 안 풀어졌는지(혹은 해체가 되지 않았는지)를 판단한후 그 결과에 따라 장치를 재조정한다.
또한 상기 웨이트 밸런스부재(19)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체인(17)이 결합될 시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양쪽 상단몸체에 체인(17)이 각각 고정결합되고 그 타단이 이송프레임부재(6)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체인(17)이 삽입되는 체인연결구멍(54)이 각각 형성되는 고정부재(55)와, 상기 체인(17)이 체인연결구멍(54)을 경유하여 삽입될 시 체인(17)을 내부로 수용하여 체인(17)이 원활하게 유동되게 하므로 웨이트 밸런스부재(19)의 몸체가 그에 연동하여 상,하로 유동되도록 상기 체인연결구멍(54)의 하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봉형상의 체인봉부재(56)가 구비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몰드본체(1)는 그 형태가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한 쌍이 결합되었을 경우 내부가 중공의 원기둥 형태를 형성되는 것을 하나의 실시예로 하여 설명할 것이나, 이러한 한 쌍의 몰드본체(1)는 결합될 경우 원주 방향에는 원형의 띠 형태로 수직 플랜지(57)가 형성되고, 길이가 긴 방향으로는 지면과 수평한 상태로 상부에 형성된 상부 플랜지(10)와 하부에 형성된 하부 플랜지(11)가 형성되어 서로 밀착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3)의 전단 양측에는 몰드본체(1)의 볼트(8a-n)의 위치 혹은 높이 및 규격정보들을 센싱하여 제어판넬부(13)로 전송하는 센서검출부(12)가 전단에 돌출 설치되어 있고 제어판넬부(13)의 기능제어를 받아 X축 방향(혹은 컨베이어벨트의 진입을 기준으로 볼 때 좌,우방향)으로 몸체를 유동시키는 수평이동몸체(58)와, 상기 수평이동몸체(58)와 결합되어 수평이동몸체(58)를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좌,우방향으로 유동시키도록 몸체의 후면 상,하 양측에 수평이동바(59)가 복수개 설치되며, 베이스 프레임부(3)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결합봉부재(60)에 고정되는 결합판부재(61)에 고정설치되는 수평지지판부재(62)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지지판부재(62)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이동바(59)의 사이의 중심부에 수평이동몸체(58)가 고정된 수평고정편(63)과 스크류결합되어 수평이동몸체(58)를 유동시키는 스크류봉형상의 수평 스크류봉부재(64)가 설치되며, 상기 수평이동몸체(58)의 또다른 일측에 제어판넬부(13)의 기능제어하에 상기 수평 스크류봉부재(64)를 회전시켜 수평이동몸체(58)를 좌,우측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수평구동모터(65)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센서검출부(12)에는 컨베이어벨트(2)에 실려 진입하는 몰드본체(1)에 예컨대, 포토커플러방식으로 광신호를 송수신하여 볼트(8a-n)의 높이나 위치를 검출하는 제1 검출센서(66), 몰드본체(1)의 높이를 검출하는 제2 검출센서(67) 및 볼트(8a-n)의 규격을 검출하는 제3 검출센서(68)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판넬부(13)는 상기 센서검출부(12)의 제1 내지 제3 검출센서(68)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를 분석하여 볼트(8a-n)의 위치, 높이 및 규격 그에 더하여 몰드본체(1)의 높이 등의 정보를 파악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판넬부(13)는 상기 센서검출부(12)를 통해 검출된 검출신호중 제2 검출센서(67)에 의해 검출된 몰드본체(1)의 높이정보를 분석하여 몰드본체(1)가 자주 사용함에 따라 발생된 마모에 따라 발생되는 센터의 오차를 보정하기위해 그 오차만큼 임팩트부재(9)의 센터높이를 내려 보정해주게된다.
예컨대, 상기 몰드본체(1)는 자주 사용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몸체의 상단부에 마모가 발생되게되는데, 이렇게 몰드본체(1)의 상단부가 마모되면 몰드본체(1)가 V자대(69)에 안치할 경우 상단부 마모 때문에 몰드본체(1)의 센터높이가 V자대(69)의 아래로 내려가게 되므로 그 마모에 따라 임팩트부재(9, 9a-n)의 체결 혹은 해체 오차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판넬부(13)는 상기와 같은 몰드본체(1)의 마모에 따른 오차를 상기 센서검출부(12)를 통해 검출하여 그 오차만큼 임팩트부재(9)의 센터높이를 내려 보정해주게된다.
뿐만아니라, 상기 제어판넬부(13)는 상기 센서검출부(12)를 통해 검출된 검출신호를 분석한후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벨트(2)의 이동속도와 임팩트부재(9, 9a-n)의 구동속도가 서로 연동되도록 동기화시킨다. 여기서, 본발명 장치에는 몰드본체(1)의 세부 이동을 검출할 수 있는 거리감지센서(도시안됨)도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판넬부(13)에는 본발명에 따른 장치를 제어하기위한 프로그램절차가 저장되는 CPU, 저장장치, 키패널, 디스플레이 및 외부통신망과 연결되는 통신장치(도시안됨)가 내장 설치될 수 있고, 더 나아가 PLC(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도 설치될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립 또는 분리대상의 몰드본체가 베이스 프레임부의 전단 하부로 컨베이어벨트에 탑재되어 진입할 경우 제어판넬부가 센서검출부를 통해 상기 몰드본체의 좌우폭 및 수평을 측정하여 분석한후 각 임팩트부재의 이동궤적(임팩트부재의 X,Y 및 Z축으로의 이동궤적과 작동높이정보 포함)을 산출하는 제1 과정(S1)과;
상기 제1 과정(S1)중에 제어판넬부가 상기 센서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검출신호를 분석한후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이동속도와 임팩트부재의 구동속도가 서로 연동되도록 동기화시키는 제2 과정(S2)과;
상기 제2 과정(S2)중에 제어판넬부가 산출된 각 임팩트부재의 이동궤적정보에 따라 각 임팩트부재를 몰드본체에 대해 X,Y 및 Z축 방향으로 조절하여 상기 몰드본체의 볼드에 접근하여 몰드본체의 볼트를 조이거나(혹은 체결) 풀게하는(혹은 해체) 임팩트부재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3 과정(S3)과;
상기 제3 과정(S3)중에 상기 제어판넬부가 상기 센서검출부의 거리감지센서를 통해 검출된 검출신호중 제2 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몰드본체의 높이정보를 분석하여 몰드본체가 자주 사용함에 따라 발생된 마모에 따라 발생되는 센터의 오차를 보정하기위해 그 오차만큼 임팩트부재의 센터높이를 내려 보정해주는 제4 과정(S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조립 또는 분리대상의 몰드본체(1)가 베이스 프레임부(4)의 전단 하부로 컨베이어벨트(2)에 탑재되어 진입할 경우 제어판넬부(13)가 센서검출부(12)를 통해 상기 몰드본체(1)의 좌우폭 및 수평을 측정하여 분석한후 각 임팩트부재(9,9a-n)의 이동궤적(임팩트부재의 X,Y 및 Z축으로의 이동궤적과 작동높이 정보 등을 포함)을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과정중에 제어판넬부(13)는 상기 센서검출부(12)를 통해 검출된 검출신호를 분석한후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벨트(2)의 이동속도와 임팩트부재(9, 9a-n)의 구동속도가 서로 연동되도록 동기화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판넬부(13)는 산출된 각 임팩트부재(9, 9a-n)의 이동궤적정보에 따라 각 임팩트부재(9, 9a-n)를 몰드본체(1)에 대해 X,Y 및 Z축 방향으로 조절하여 상기 몰드본체(1)의 볼트(8a-n)에 접근하여 몰드본체(1)의 볼트(8a-n)를 조이거나(혹은 체결) 풀게하는(혹은 해체) 임팩트부재(9,9a-n)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이때 상기 과정중에 상기 제어판넬부(13)는 상기 센서검출부(12)의 거리감지센서를 통해 검출된 검출신호중 제2 검출센서(67)에 의해 검출된 몰드본체(1)의 높이정보를 분석하여 몰드본체(1)가 자주 사용함에 따라 발생된 마모에 따라 발생되는 센터의 오차를 보정하기위해 그 오차만큼 임팩트부재(9)의 센터높이를 내려 보정해준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볼트 해체 및 체결 장치를 살펴보면, 작업장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부(3)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3)의 사이를 조립 또는 분리 대상 몰드본체(1)가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몰드본체(1)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3)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볼트(8a-n)가 해체되거나 체결되게 된다.
예컨대, 몰드본체(1)가 전단계 과정을 마치고 컨베이어 벨트(2)에 실려 본 발명 장치의 전단부로 진입하게 되면, 제어판넬부(13)의 기능제어를 받는 센서검출부(12)가 몰드본체(1)의 직경이나 수평위치 및 볼트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이동궤적(임팩트부재의 X,Y 및 Z축으로의 이동궤적과 작동높이 정보 등을 포함)을 감지하여 제어판넬부(13)으로 전송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제어 판넬부(13)는 컨베이어 벨트(2)를 세움과 동시에 임팩트부재(9,9a-n)를 개별적으로 구동시켜 몰드본체(1)의 직경에 맞춰 임팩트부재(9)를 X,Y, Z축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X,Y,Z축으로 이동작업이 끝나면, 임팩트부재(9)가 볼트(8a-n)의 위치까지 내려오게 되며, 상기 임팩트부재(9,9a-n)의 소켓홀더(49)가 볼트가 결합되면, 소켓홀더(49)가 회전하여, 볼트의 체결 또는 결합을 일정시간 동안 시행하게 된다. 그리고 일정 시간 후 임팩트부재(9,9a-n)는 자동으로 현 위치에서 올라가면 제어판넬부(13)는 컨베이어벨트(2)를 다시 작동시켜 몰드본체(1)를 Y축 방향으로 이송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면서 임팩트부재(9,9a-n)가 몰드본체(1)에 구비된 볼트(8a-n)를 체결하거나 해체시킨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좀 더 전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3)에는 몸체의 상부에 임팩트부재(9, 9a-n)가 결합된 이송프레임부재(6)가 다수개 설치되어 제어판넬부(13)에 의해 상기 이송프레임부재(6)가 모두 개별적으로 X,Y,Z축으로 유동된다.
즉, 상기 각 이송프레임부재(6)에 구비된 임팩트부재(9, 9a-n)는 개별적으로 동작되어 몰드본체(1)의 상부플랜지(10)와 하부플랜지(11)의 사이에 구비된 볼트(8a-n)를 조이거나(혹은 체결) 풀(혹은 해체)수 있다. 이때, 상기 임팩트부재(9)는 몰드본체(1)의 상부플랜지(10)와 하부플랜지(11) 사이에 구비된 볼트(8a-n)를 조이거나 풀기 위해 상하로 승하강 작동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3)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몰드본체(1)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거리를 이동한 후 복귀하는 운동을 반복한다.
즉, 상기 임팩트부재(9, 9a-n)가 상기 볼트(8a-n)에 기밀한 작용이 가해지도록 제어판넬부(13)의 기능제어하에 이송프레임부재(6)를 통해 몰드본체(1)측으로 수평이동(혹은 X축 방향)이 진행됨과 동시에 이송프레임부재(6)를 통해 상하이동(Z축 방향)을 실행하게 된다. 이로 인해 다양한 종류의 몰드본체(1)에 대해서 탄력적인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검출부(12)의 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임팩트부재(9)에 구비된 소켓홀더(49)의 회전수를 감지하기 위한 광펄스 검출센서부(52)와 이 광펄스 검출센서부(52)에 연동하는 광신호 반사패널(53)은 볼트(8a-n)를 체결 혹은 해체할 경우 발생되는 회전수를 체킹하여 볼트(8a-n)가 정상적으로 조여졌는지(혹은 체결되었는지) 아니면 풀어지지 않았는지(혹은 해체가 되지 않았는지)를 판단한후 그 결과에 따라 장치를 재조정한다. 즉, 상기 광펄스 검출센서부(52)와 이 광펄스 검출센서부(52)에 연동하는 광신호 반사패널(53)은 소켓홀더(49)의 내부에 볼트(8a-n)가 결합된 상태에서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여 소켓홀더(49) 또는 볼트(8a-n)의 망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몰드본체(1)가 이동하여 첫 번째(몰드본체의 이동방향에서 제일 앞쪽에 위치한) 임팩트부재(9a)에 의해 체볼트(8a-n)를 체결할 경우(혹은 해체할 경우) 볼트(8a-n)가 완전하게 체결되지 않더라도(혹은 해체되지 않을 경우) 몰드본체(1)가 이동하여 두 번째 위치한 임팩트부재(9c), 세번째 및 네 번째 임팩트부재(9e, 9g)를 거치며 완전하게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임팩트부재(9a-n)들은 센서검출부(12)의 검출신호들(몰드의 수평위치, 몰드 볼트의 위치 및 높이, 임팩트부재의 X,Y 및 Z축으로의 이동궤적과 작동높이 정보 등을 포함)을 분석한 제어판넬부(13)의 기능제어하에 몰드본체(1)가 진입함에 따라 볼드본체(1)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부플랜지(10)와 하부플랜지(11)에 위치한 볼트(8a-n)를 체결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어판넬부(13)는 센서검출부(12)를 통해 진입하는 몰드본체(1)의 규격을 판단하여 그에 맞게 센서검출부(12)가 결합된 수평이동몸체(58)를 이동시킨다.
즉, 상기 수평이동몸체(58)는 상기 제어판넬부(13)가 수평구동모터(65)를 구동시키게 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지지판부재(62)의 수평이동바(59)의 사이의 중심부에 설치된 수평 스크류봉부재(64)가 수평고정편(63)과 스크류결합되어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결합봉부재(60)의 결합판부재(61)에 고정설치된 수평지지판부재(62)도 몸체의 후면 상,하 양측에 복수개 설치된 수평이동바(59)를 따라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볼때 좌,우 방향으로 유동된다. 그러면, 상기 수평고정편(63)에 고정된 수평이동몸체(58) 역시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볼때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므로 상기 수평이동몸체(58)에 구비된 센서검출부(12)의 센서들 역시 베이스 프레임부(3)의 전단 양측에서 돌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판넬부(13)에서 지정된 위치까지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볼때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몰드본체(1)의 볼트(8a-n)의 위치 혹은 높이 및 규격정보들을 센싱하여 제어판넬부(13)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센서검출부(12)의 제1 검출센서(66)는 컨베이어벨트(2)에 실려 진입하는 몰드본체(1)에 대해 예컨대, 포토커플러방식으로 광신호를 송수신하여 볼트(8a-n)의 높이나 위치를 검출하여 제어판넬부(13)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검출부(12)의 제2 검출센서(67)는 몰드본체(1)의 높이를 검출하여 제어판넬부(13)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판넬부(13)의 제3 검출센서(68)는 볼트(8a-n)의 규격을 검출하여 제어판넬부(13)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판넬부(13)는 상기 센서검출부(12)의 제1 내지 제3 검출센서(68)로부터 수신된 광신호를 분석하여 볼트(8a-n)의 위치, 높이 및 규격 그에 더하여 몰드본체(1)의 높이 등의 정보를 파악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기능을 제어한다. 뿐만아니라, 상기 제어판넬부(13)는 상기 센서검출부(12)를 통해 검출된 검출신호를 분석한후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벨트(2)의 이동속도와 임팩트부재(9, 9a-n)의 구동속도가 서로 연동되도록 동기화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센서검출부(12)의 검출신호들을 분석한 제어판넬부(13)는 그 분석결과에 따라 파악한 볼트(8a-n)의 위치, 높이 및 규격 정보들을 참조하여 X축 구동모터수단(24)와 Y축 구동모터수단(23) 및 상하구동 모터(16)를 구동시켜 X축 방향(혹은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과 같은 방향), Y축 방향(혹은 X축방향에 대해 직각방향) 및 Z축 방향(혹은 상,하 방향)으로 임팩트부재(9, 9a-n)가 결합된 이송프레임부재(6)를 신속히 이송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수납부(71)의 상단에 위치한 상하구동 모터(16)가 제어판넬부(13)에 의해 구동되면, 스크류봉부재(15)가 스크류결합고리부재(72)에 몸체를 수납하여 스크류봉부재(15)와 연동하도록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하구동 모터(16)가 회전 구동할 경우 스크류봉부재(15)를 따라 z축 방향(혹은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게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결합고리부재(72)는 상기 이송프레임부재(6)의 후면 일측에 고정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송프레임부재(6) 역시 z축 방향(혹은 상,하 방향)으로 유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이송프레임부재(6)에 결합되어 있는 임팩트부재(9, 9a-n) 역시 z축 방향(혹은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므로 상기 임팩트부재(9, 9a-n)의 소켓홀더(49)가 제어판넬부(13)가 지정한 위치에 있는 볼트(8a-n)의 위치까지 내려가서 볼트(8a-n)의 상단부를 수용하거나 혹은 그 반대의 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임팩트부재(9, 9a-n)가 z축 방향(혹은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는 과정을 좀 더 살펴보면, 상기 스크류봉부재(15)가 스크류결합고리부재(72)와 연동하여 z축 방향(혹은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는 동안 상기 이송프레임부재(6)의 몸체의 좌우측에 각각 대칭되게 한조씩 설치되어 있는 체인톱니바퀴(18) 역시 체인(17)과 결합되어 연동하게되는데, 이때 상기와 같이 체인(17)이 체인톱니바퀴(18)를 따라 연동할 경우 이송프레임부재(6)를 매개로 판프레임부재(7)의 반대편에 설치된 웨이트 밸런스부재(19)도 그 몸체의 양측에 각각 상기 체인(17)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체인(17)이 체인톱니바퀴(18)를 따라 연동할 경우 웨이트 밸런스부재(19) 역시 연동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체인(17)은 판프레임부재(7)의 양단부에도 역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판프레임부재(7)의 운동력은 웨이트 밸런스부재(19)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웨이트 밸런스부재(19)는 통상의 웨이트(혹은 무게)작용을 하게된다.따라서, 상기와 같은 웨이트 밸런스부재(19)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임팩트부재(9, 9a-n)는 상,하로 유동할 시의 볼트(8a-n)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충격 및 중력작용을 완화하게 되어 상기 임팩트부재(9, 9a-n) 혹은 볼트(8a-n)가 파손되거나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웨이트 밸런스부재(19)가 동작됨과 동시에 상기 임팩트부재(9, 9a-n)가 z축 방향(혹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몰드본체(1)에 결합된 볼트(8a-n)와 체결을 시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몰드본체(1)에 결합된 볼트(8a-n)의 상단부는 여러원인 예컨대, 몰드본체(1)가 V자대(69)에 안치시 틀어져 있어서 볼트(8a-n)의 높이나 위치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혹은 볼트(8a-n)의 상단부의 미세한 마모로 인하여 볼트(8a-n)의 몸체를 임팩트부재(9, 9a-n)의 소켓홀더(49)가 정교하게 잡아 수용할 수가 없기 때문에 상기 볼트의 체결이나 해체하는 공정에 장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그런데, 본 발명 장치는 바로 상기와 같은 문제를 소켓홀더(49)가 볼트(8a-n)의 몸체를 수용함과 동시에 제1 플레이트(30), 제2 플레이트(36) 및 제3 플레이트(37)로 이루어진 판프레임부재(7)가 관절처럼 X축 방향(혹은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과 같은 방향)과 Y축 방향(혹은 컨베이어벨트의 진입을 기준으로 볼 때 좌, 우 방향)으로 동시에 작용하므로 해소하게 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소켓홀더(49)가 볼트(8a-n)의 몸체를 수용할 시 판프레임부재(7)가 관절처럼 X축 방향(혹은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과 같은 방향)과 Y축 방향(혹은 컨베이어벨트의 진입을 기준으로 볼 때 좌,우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므로 소켓홀더(49)가 관절처럼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면서 볼트(8a-n)의 몸체를 수용하므로 해결된다.
여기서, 상기 소켓홀더(49)의 X축 방향과 Y축 방향의 동시 관절작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와 같은 관절작용은 먼저 상기 제어판넬부(13)가 서보모터(도시안됨)를 통해 X축 이동부재(22)의 일측에 설치된 X축 실린더(40)와 Y축 실린더(43)를 서보제어하게된다. 이때 상기 제어판넬부(13)는 소켓홀더(49)가 몰드본체(1)의 볼트(8a-n)에 접근하여 볼트(8a-n)의 몸체를 수용하려고 시도할시에 상기 호퍼형상의 X축 공압홈부재(42)내에서 X축 실린더(40)의 로드(41)를 회수시켜 그 공간에 공압이 들어가도록 하고, 만찬가지로 Y축 공압홈부재(45)내에서 Y축 실린더(43)의 로드(44)를 회수시켜 그 공간에 공압이 들어가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X축 공압홈부재(42)내에 공압이 들어가면 상기 X축 공압홈부재(42)와 연결되어 있는 제1 플레이트(30)와 제2 플레이트(36)는 힘의 원리에 의해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상호 유동을 할수 있게고, 동시에 상기 Y축 공압홈부재(45)내에 공압이 들어가면 상기 Y축 공압홈부재(45)와 연결되어 있는 제2 플레이트(36)와 제3 플레이트(37)도 힘의 원리에 의해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볼때 좌,우방향으로 유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플레이트(30)에 결합되어 있는 임팩트부재(9,9a-n)의 소켓홀더(49)는 상기 제1 플레이트(30)와 제2 플레이트(36)에 의한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과 같은 방향 그리고 제2 플레이트(36)와 제3 플레이트(37)에 의한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볼때 좌,우방향으로 동시에 유동되기 때문에 몰드본체(1)에 결합된 볼트(8a-n)의 몸체가 여러원인 예컨대, 몰드본체(1)가 V자대(69)에 안치시 틀어져 있어서 볼트(8a-n)의 높이나 위치가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혹은 볼트(8a-n)의 상단부의 미세한 마모가 발생된다하더라도 임팩트부재(9, 9a-n)의 소켓홀더(49)가 X축 방향 혹은 Y축 방향의 관절처럼 작동하게 되어 볼트(8a-n)의 몸체를 정교하게 잡아 수용하므로 정확히 볼트(8a-n)를 체결하거나 해체시키게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어판넬부(13)는 소켓홀더(49)가 관절작용을 하는 것을 현상태에서 정지시키기를 원할 경우 즉, 상기 소켓홀더(49)가 볼트(8a-n)의 몸체를 정교하게 잡아 수용한 상태가 되어 X축 방향 혹은 Y축 방향의 관절처럼 작동하는 것을 멈추게 할 경우에는 상기 호퍼형상의 X축 공압홈부재(42)내에서 X축 실린더(40)의 로드(41)를 밀어넣어 공간이 없도록 밀착시키므로 그 공간없어 공압이 들어가도록 하고, 만찬가지로 Y축 공압홈부재(45)내에서 Y축 실린더(43)의 로드(44)를 밀어넣어 공간이 없도록 밀착시키므로 그 공간없어 공압이 들어가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X축 공압홈부재(42)에 결합되어 있는 제1 플레이트(30)의 유동이 정지되기 때문에 제1 플레이트(30)와 제2 플레이트(36)에 의한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으로의 유동도 현상태에서 정지하게되고 그리고 상기 Y축 공압홈부재(45)내에 결합되어 있는 제2 플레이트(36)의 유동 또한 정지되기 때문에 제2 플레이트(36)와 제3 플레이트(37)에 의한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볼때 좌,우방향으로의 유동도 현상태에서 정지하게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소켓홀더(49)는 볼트(8a-n)의 몸체를 정교하게 잡아 수용하게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소켓홀더(49)가 X축 방향 혹은 Y축 방향의 관절처럼 작동하는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소켓홀더(49)가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으로 작동할 경우 제2 플레이트(36)의 X축 로드부재(29)가 제1 플레이트(30)의 X축 수용부재(31)내에 삽입되어 X축방향(혹은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수용되어 슬라이딩 유동하게되는 반면, 상기 소켓홀더(49)가 X축 방향으로 작동을 정지할 시에는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X축 실린더(40)를 통해 정지시키면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소켓홀더(49)가 Y축 방향으로 작동할 경우 제3 플레이트(36)의 전후유동 실린더(32)가 제2 플레이트(36)의 Y축 수용부재(34)에 고정판부재(35)를 매개로 결합되어 Y축 방향(혹은 컨베이어벨트를 기준으로 볼 때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반면, 상기 소켓홀더(49)가 Y축 방향으로 작동을 정지할 시에는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Y축 실린더(43)를 통해 정지시키면 된다.
여기서, 상기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임팩트부재(9,9a-n)를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동시에 유동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임팩트부재(9,9a-n)는 제어판넬부(13)의 기능제어에 의해 어느 한방으로 예컨대, X축 방향이든지 아니면 Y축 방향이든지 아니면 Z축 방향이든지 어느 한방향으로만 동작시킬 수도 있다. 뿐만아니라 본 발명의 임팩트부재(9, 9a-n)들은 제어판넬부(13)의 기능제어에 의해 모두 동시에 구동할 수도 있고 또는 각각 독립적이면서도 개별적으로 동작시킬수도 있다.
삭제
더나아가, 상기 임팩트부재(9, 9a-n)의 소켓홀더(49)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볼트(8a-n)의 상단 머리부에 각진부분(모서리부분)과 접촉하는 접촉부위(51)를 원형으로 형성하므로써, 볼트(8a-n)의 상단 머리의 모서리부가 마모되거나 혹은 잘 못 삽입되더라도 소켓홀더(49)가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정에서 임팩트부재(9, 9a-n)를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임팩트부재(9, 9a-n)가 구비된 이송프레임부재(6)의 전체를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으로 이송시킬경우에는 먼저 제어판넬부(13)가 Y축 구동모터수단(23)을 구동하여 X축 이동부재(22)의 Y축 유동결합부재(25)가 Y축 이송바(21)와 결합하여 슬라이딩되게 한다. 그러면, 상기 고정부재(55)에 설치된 Y축 가이드홈부재(71)가 상기 복수의 Y축 레일유동부재(20)와 결합되어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그러므로, 상기 Y축 레일유동부재(20)에 X축 이동부재(22)를 매개로 결합되어 있는 이송프레임부재(6)의 전체몸체도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되므로 상기 이송프레임부재(6)에 결합되어 있는 임팩트부재(9)가 개별적으로 볼트본체(1)에 길이방향으로 접근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과정에서 상기 임팩트부재(9, 9a-n)가 구비된 이송프레임부재(6)의 전체를 컨베이어벨트의 진입을 기준으로 볼 때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킬경우에는 먼저 제어판넬부(13)가 X축 구동모터수단(24)을 구동하여 X축 이동부재(22)의 X축 레일유동부재(27)가 결합이송바(26)와 결합하여 슬라이딩되게 한다. 그러면, 상기 X축 레일유동부재(27)에 X축 이동부재(22)를 매개로 결합되어 있는 이송프레임부재(6)의 전체몸체도 컨베이어벨트의 진입을 기준으로 볼 때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되므로 상기 이송프레임부재(6)에 결합되어 있는 임팩트부재(9)가 개별적으로 볼트본체(1)에 컨베이어벨트의 진입을 기준으로 볼 때 좌,우방향으로 접근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특히, 상기 제어판넬부(13)는 상기 센서검출부(12)를 통해 검출된 검출신호중 제2 검출센서(67)에 의해 검출된 몰드본체(1)의 높이정보를 분석하여 몰드본체(1)가 자주 사용함에 따라 발생된 마모에 따라 발생되는 센터의 오차를 보정하기위해 그 오차만큼 임팩트부재(9)의 센터높이를 내려 보정해주게된다.
예컨대, 상기 몰드본체(1)는 자주 사용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몸체의 상단부에 마모가 발생되게되는데, 이렇게 몰드본체(1)의 상단부가 마모되면 몰드본체(1)가 V자대(69)에 안치할 경우 상단부 마모 때문에 몰드본체(1)의 센터높이가 V자대(69)의 아래로 내려가게 되므로 그 마모에 따라 임팩트부재(9, 9a-n)의 체결 혹은 해체 오차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판넬부(13)는 상기와 같은 몰드본체(1)의 마모에 따른 오차를 상기 센서검출부(12)를 통해 검출하여 그 오차만큼 임팩트부재(9)의 센터높이를 내려 보정해주게된다.
여기서, 상기 본원 발명의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의 동작을 종래기술과 대비하여 다시한번 쉽게 설명드리면 다음과 같다.
본원 발명과 종래기술의 문제점 즉, 첫째 볼트를 해제 혹은 체결하는 임팩트부재가 결합된 이송부재들이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없고 오직 동시에 한방향으로만 움직이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진입하는 몰드의 규격이 틀릴 경우 볼트의 해제 및 체결과정에서 에러가 빈전하게 발생되어 생산성이 매우 떨어졌으며, 둘째 상기 임팩트부재가 하단으로 유동하여 볼트를 체결 혹은 해제할경우 하단몸체 결합된 스프링에 의해 그 충격을 흡수하여 볼트를 잡는 구조이기 때문에 볼트의 규격이 정확하지 않거나 혹은 시스템의 이송오류에 의해 틀어질 경우 볼트를 제대로 잡지 못해 다시 이송과정을 수행하여 볼트를 잡아야하므로 볼트의 체결 및 해제작업이 빈번하게 중단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는데, 본원발명은 바로 이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위해 발명된다.
즉, 상기 본원발명의 종래기술은 다수개의 임팩트장치부(80A-N)를 세로축 이동부재(81)를 조정하여 Y축 방향(혹은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볼때 좌,우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임팩트장치부(80A-N)를 X축 방향(혹은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고 또한 개별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불가능한데 반해, 본원발명의 시스템의 개별적으로 Y축 이동부재(73)를 구동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X축 이동부재(22)을 구동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며, 동시에 스크류봉부재(15)와 웨이트 밸런스부재(19)을 구동하여 상,하방향(혹은 Z축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임팩트부재(9, 9a-n)가 방향의 제한 없이 필요한 위치로 이동하여 볼트를 체결 및 해제시킬 수 있는 종래기술과는 방향전환과 볼트수용위치로의 이동측면에서 상당히 우수한 효과가 있고 차별성이 있다.
둘째, 상기 종래기술의 두 번째 문제점이 임팩트장치부의 관절 수용부의 상부에 스프링을 설치한후 이를 이용하여 볼트의 몸체를 잡아 수용하는 방식 즉, 스프링의 신장이나 복원력을 이용하여 수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몰드본체에 결합된 볼트의 몸체를 정교하게 잡아 수용할 수가 없어서 볼트의 체결이나 해체하는 공정에 장애가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또한, 반복되는 작업으로 인해 수용부의 상단부와 스프링이 파손되는 경우가 잦다는 것이다.
그래서,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임백트부재(9a-n)의 볼트 홀딩작업을 스프링방식으로 수행하지 않고, 이송프레임부재(6)의 판프레임부재(7)의 제1 ~ 3 플레이트(30,36, 37)의 관절작용과, X축 실린더(40)와 Y축 실린더(43)의 공압작용에 의해 임팩트부재(9, 9a-n)가 볼트(8a-n)의 상단부를 수용하므로써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즉, 상기 본원발명은 임팩트부재(9, 9a-n)가 Z축방향 혹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볼트(8a-n)의 상단부를 수용할시 볼트(8a-n)의 상단부에서 X축방향 혹은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도 5a와 5d-e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 플레이트(30)와 제2 플레이트(36)의 관절작용 및 X축 실린더(40)의 공압작용으로 상쇄시킴과 동시에 상기 볼트(8a-n)의 상단부에서 발생되는 Y축방향 혹은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볼때 좌,우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도 5a와 도5b-c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2 플레이트(36)와 제3 플레이트(37)의 관절작용 및 Y축 실린더(43)의 공압작용으로 상쇄시킴으로써, 종래기술에 적용된 스프링 구조를 사용하지 않고도 임팩트부재(9, 9a-n)의 소켓홀더(49)가 X축, Y축 및 Z축으로 동시에 작용하면서 볼트(8a-n)의 상단부를 용이하게 수용하게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시말해서, 상기 임팩트부재(9, 9a-n)의 소켓홀더(49)가 볼트(8a-n)의 상단부를 수용할시 볼트(8a-n)의 상단부에서 발생되는 X축방향(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으로 작용하는 힘만을 먼저 설명하면, 도 5a와 도5d-e 그리고 도 6a-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임팩트부재(9, 9a-n)와 일부부재를 매개로 결합되어 함께 연동하는 제1 플레이트(30)의 X축 수용부재(31)내로 제2 플레이트(36)의 X축 로드부재(29)가 삽입되어 있다가 X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유동을 시작하여 상기 X축 방향(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으로의 힘이 사라질때까지 유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 플레이트(30)와 제2 플레이트(36)와 연동하는 상기 제1 플레이트(30)와 제2 플레이트(36)의 하부에 위치한 임팩트부재(9, 9a-n)가 X축방향으로 유동하면서 볼트(8a-n)의 상단부를 수용하게 된다. 즉, 상기 X축 유동과정에서 제2 플레이트(36)의 X축 로드부재(29)가 상기 볼트(8a-n)의 상단부에서 발생된 X축(컨베이터벨트의 진입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제1 플레이트(30)의 X축 수용부재(31)내로 유동함으로써, X축 방향으로의 힘을 상쇄시킨다 (도 5d의 “K”상태에서 도 5e의 “L”상태로 유동 참조). 따라서, 상기 제1 플레이트(30)의 X축 수용부재(31)내로 도 5a와 도5d-e 그리고 도 6a-b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2 플레이트(36)의 X축 로드부재(29)가 X축으로 유동함에 따라 임팩트부재(9, 9a-n)에 작용하는 X축 방향으로의 힘이 사라지면서 상기 임팩트부재(9, 9a-n)의 소켓홀더(49)가 볼트(8a-n)의 상단부를 용이하게 수용하게된다.
이 과정에서, 제어판넬부(13)는 상기와 같이 제2 플레이트(36)의 X축 로드부재(29)가 제1 플레이트(30)의 X축 수용부재(31)내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서보모터(도시안됨)를 통해 호퍼형상의 X축 공압홈부재(42)내에서 X축 실린더(40)의 로드(41)를 회수시켜 그 공간에 공압이 들어가도록 서보제어하므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임팩트부재(9, 9a-n)의 소켓홀더(49)가 볼트(8a-n)의 상단부를 수용할 경우 볼트(8a-n)의 상단부에서 X축방향으로만 힘이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Y축으로도 동시에 힘이 작용합니다. 따라서, 상기 X축 힘의 작용 설명과 마찬가지로 상기 Y축(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볼때 좌,우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해서도 설명드리면, 먼저, 도 5a와 도5b-c 그리고 도 6a-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임팩트부재(9, 9a-n)와 일부부재를 매개로 결합되어 함께 연동하는 제2 플레이트(36)의 Y축 수용부재(34)내에 제3 플레이트(37)에 구비된 전후유동 실린더(32)의 로드(33)가 삽입되어 있다가 Y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유동을 시작하여 상기 Y축 방향으로의 힘이 사라질때까지 유동하게 되는데, 이때 제2 플레이트(36)와 제3 플레이트(37)와 연동하는 상기 제2 플레이트(36)와 제3 플레이트(37)의 하부에 위치한 임팩트부재(9, 9a-n)가 Y축방향(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볼때 좌,우방향)으로 유동하면서 볼트(8a-n)의 상단부를 수용하게 된다. 즉, 상기 Y축 유동과정에서 제3 플레이트(37)의 전후유동 실린더(32)의 로드(33)가 상기 볼트(8a-n)의 상단부에서 발생된 Y축(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볼때 좌,우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제2 플레이트(36)의 Y축 수용부재(34)내로 유동함에 따라 임팩트부재(9, 9a-n)에 작용하는 Y축 방향으로의 힘이 사라지면서 상기 임팩트부재(9, 9a-n)의 소켓홀더(49)가 볼트(8a-n)의 상단부를 용이하게 수용하게된다(도 5b의 “H”상태에서 도 5c의 “J”상태로 유동 참조). 이 과정에서, 상기 제어판넬부(13)는 상기와 같이 제3 플레이트(37)의 전후유동 실린더(32)의 로드(33)가 제2 플레이트(36)의 Y축 수용부재(34)내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서보모터(도시안됨)를 통해 호퍼형상의 Y축 공압홈부재(45)내에서 Y축 실린더(43)의 로드(44)를 회수시켜 그 공간에 공압이 들어가도록 서보제어하므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임팩트부재(9, 9a-n)가 상기와 같은 제1 ~ 3 플레이트(30,36, 37)의 X축과 Y축 관절작용에 의해 볼트(8a-n)의 상단부를 완전히 수용하여 움직임이 없을 경우 상기 제어판넬부(13)는 X축 공압홈부재(42)와 Y축 공압홈부재(45)를 반대로 작용시켜 공압을 차단하므로 상기 제1 ~ 3 플레이트(30,36, 37)의 X축과 Y축 방향으로의 유동을 완전히 차단시키므로써, 상기 임팩트부재(9, 9a-n)의 소켓홀더(49)가 유동이 없는 상태하에서 볼트(8a-n)의 상단부를 용이하게 수용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송프레임부재(6)의 판프레임부재(7)의 제1 ~ 3 플레이트(30,36, 37)의 관절작용을 X축과 Y축으로 나누어설명하였으나 실세 작용에서는 모두 동시에 작용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과정중에 임팩트부재(9, 9a-n)가 볼트(8a-n)를 수용하기위해 Z축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판프레임부재(7)에 구비된 웨이트 밸런스부재(19)도 동작되어 임팩트부재(9, 9a-n)가 z축 방향(혹은 상,하 방향)으로 유동할 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게된다. 즉, 상기 임팩트부재(9, 9a-n)가 z축 방향(혹은 상,하 방향)의 유동이 필요할 경우 상하구동 모터(16)에 의해 이송프레임부재(6)의 수납부(73)에 삽입되어 상기 이송프레임부재(6)를 상,하로 유동시키는 스크류봉부재(15)가 스크류결합고리부재(72)와 연동하여 z축 방향(혹은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와 같이 스크류봉부재(15)가 유동하는 동안 상기 이송프레임부재(6)의 몸체의 좌우측에 각각 대칭되게 한조씩 설치되어 있는 체인톱니바퀴(18) 역시 체인(17)과 결합되어 연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체인(17)이 체인톱니바퀴(18)를 따라 연동할 경우 이송프레임부재(6)를 매개로 판프레임부재(7)의 반대편에 설치된 웨이트 밸런스부재(19)도 그 몸체의 양측에 각각 상기 체인(17)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체인(17)이 체인톱니바퀴(18)를 따라 연동할 경우 웨이트 밸런스부재(19) 역시 연동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체인(17)은 판프레임부재(7)의 양단부에도 역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판프레임부재(7)의 운동력은 웨이트 밸런스부재(19)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웨이트 밸런스부재(19)는 통상의 웨이트(혹은 무게)작용을 하여 이송프레임부(6)의 임팩트부재(9, 9a-n)가 z축 방향(혹은 상,하 방향)의 유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완화시키게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웨이트 밸런스부재(19)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임팩트부재(9, 9a-n)는 상,하로 유동할 시의 볼트(8a-n)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충격 및 중력작용을 완화하게 되어 상기 임팩트부재(9, 9a-n) 혹은 볼트(8a-n)가 파손되거나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삭제
1 : 몰드본체 2 : 컨베이어벨트
3 : 베이스 프레임부 4 : 측벽부재
5 : 이송 레일홈 6 : 이송프레임부재
7 : 판프레임부재 8a-n: 볼트
9,9a-n: 임팩트부재 10: 상부 플랜지
11: 하부플랜지 12: 센서검출부
13: 제어판넬부 14: 상단고정판
15: 스크류봉부재 16: 상하구동 모터
17: 체인 18: 체인톱니바퀴
19: 웨이트 밸런스부재 20: Y축 레일유동부재
21: Y축 이송바 22: X축 이동부재
23: Y축 구동모터수단 24: X축 구동모터수단
25: Y축 유동결합부재 26: 결합이송바
27: X축 레일유동부재 28: 결합부재
29: X축 로드부재 30: 제1 플레이트
31: X축 수용부재 32: 전후유동 실린더
33: 로드 34: Y축 수용부재
35: 고정판부재 36: 제2 플레이트
37: 제3 플레이트 38: 삽입구멍
39: 고정편판 40: X축 실린더
41: 로드 42: X축 공압홈부재
43: Y축 실린더 44: 로드
45: Y축 공압홈부재 46: 고정결합편
47: 임팩렌치모듈 48: 렌치소켓
49: 소켓홀더 50: 스프링
51: 접촉부위 52: 광펄스 검출센서부
53: 광신호 반사패널 54: 체인연결구멍
55: 고정부재 56: 체인봉부재
57: 수직 플랜지 58: 수평이동몸체
59: 수평이동바 60: 결합봉부재
61: 결합판부재 62: 수평지지판부재
63: 수평고정편 64: 수평 스크류봉부재
65: 수평구동모터 66: 제1 검출센서
67: 제2 검출센서 68: 제3 검출센서
69: V자대 70: X축 기어가이드수단
71: 수납부 72: 스크류결합고리부재
73: Y축 이동부재 74: 스크류수납부

Claims (21)

  1. 일정 크기의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전,후,좌,우측면부와 내부가 개방되고 몸체의 하단부의 길이방향으로 몰드본체가 탑재된 컨베이어벨트가 위치되며, 몸체의 뼈대를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측면에 설치된 측벽부재에 설치된 이송 레일홈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 레일홈을 따라 몸체가 길이방향으로 유동하는 이송프레임부재와;
    상기 이송프레임부재에 일정이격을 갖는 다수의 판형태로 결합되어 몸체를 전후좌우로 유동시키는 판프레임부재와;
    상기 판프레임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판프레임부재와의 전후좌우 방향조절작용(X,Y축 방향)을 하면서 상하 방향(혹은 Z축 방향)으로 유동하여 몰드본체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를 해체 및 체결을 실행하는 임팩트부재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전단 일측에 설치되고 몰드본체가 컨베이어벨트에 탑재되어 진입할 시 몰드본체의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사이에 체결되어 있는 볼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검출부와;
    상기 임팩트부재를 통해 몰드본체에 체결되어 있는 다수의 볼트의 해체 및 체결작업을 설정된 프로그램 절차에 따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판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송프레임부재에는 상기 판프레임부재에 결합된 임팩트부재를 상하로 유동시키기위해 이송프레임부재의 몸체의 내측 상단고정판과 상기 판프레임부재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스크류봉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상단고정판의 내측 개방홈을 매개로 상단고정판의 상부측으로 상기 제어판넬부의 기능제어하에 스크류봉부재를 회전시키는 상하구동 모터가 설치되며, 체인과 결합되어 체인을 이송시키도록 상기 이송프레임부재의 몸체의 좌우측에 각각 대칭되게 체인톱니바퀴가 한조씩 설치되고, 상기 임팩트부재가 상,하로 유동할 시의 진동충격 및 중력작용을 완화하기위해 상기 판프레임부재와는 반대편으로 상기 체인의 일측과 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판프레임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웨이트 밸런스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봉부재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스크류결합고리부재에 삽입되어 그 상단이 상하구동 모터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봉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상하구동 모터가 구동되어 이송프레임부재의 몸체를 상,하로 유동할 시 스크류봉부재와 연동하도록 스크류봉부재의 몸체를 수납하여 스크류체결되는 스크류결합고리부재와 스크류수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송프레임부재의 체인과 결합되어 상기 체인이 연동되도록 상기 이송프레임부재의 몸체의 좌우측에 각각 대칭되게 체인톱니바퀴가 한조씩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크류결합고리부재는 상기 이송프레임부재의 후면 일측에 고정결합되어 상하구동 모터가 회전 구동할 경우 스크류봉부재를 따라 상하 방향(혹은 z축 방향)으로 유동하므로 상기 이송프레임부재를 상,하로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프레임부재에는 이송프레임부재의 몸체를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좌,우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유동하도록 이송프레임부재의 몸체에 고정결합되는 판고정부재를 각각 구비한 X축 이동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프레임부재에는 임팩트부재가 상,하로 유동될 시에 발생되는 진동충격 및 중력작용을 완화하기위해 판프레임부재와는 반대편으로 체인의 일측과 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판프레임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웨이트 밸런스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는 몸체의 양측 중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Y축 레일유동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Y축 레일유동부재의 사이에 일정 크기와 너비로 개방된 이송 레일홈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 레일홈의 상부측으로 바형태로 Y축 이송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에는 몸체의 일측에 Y축 가이드홈부재와 슬라이딩 결합된 Y축 레일유동부재와 Y축 이송바에 결합되어 제어판넬부의 기능제어하에 X축 이동부재를 Y축 방향(혹은 컨베이어벨트의 진입을 기준으로 볼 때 좌,우방향)으로 유동시키는 Y축 구동모터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X축 이동부재에는 몸체의 후면부에 제어판넬부의 기능제어하에 X축 기어수단에 동력을 제공하는 X축 구동모터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송프레임부재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된 결합이송바와 결합하여 제어판넬부의 기능제어하에 X축 구동모터수단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되도록 몸체의 후면에 X축 레일유동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X축 이동부재에는 이송프레임부재가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되도록 베이스 프레임부의 이송 레일홈에 Y축 가이드홈부재를 매개로 삽입되어 Y축 이송바와 함께 슬라이딩되는 Y축 유동결합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프레임부재에는 몸체의 일측에 결합부재를 매개로 임팩트부재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대편에 설치된 X축 로드부재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X축 로드부재를 내부로 수용하여 양쪽에서 서로 맞결합되어 슬라이딩되도록 내부 중심이 원통형구멍이 형성된 X축 수용부재가 각각 복수개 형성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대응되는 위치의 상단 각각에 전후유동 실린더의 로드가 고정판부재를 매개로 결합되어 몸체를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좌, 우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내부 중심에 원통형상으로 개방구멍이 형성된 Y축 수용부재가 복수개 설치되는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Y축 수용부재에 결합되는 전후유동 실린더의 타측이 몸체의 다수위치에 각기 설치되고 상기 이송프레임부재의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스크류봉부재의 일측과 결합되고 몸체의 양측에 웨이트 밸런스부재의 체인이 각기 결합되는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에는 제1 플레이트에 구비된 각 X축 수용부재의 양단부의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각 X축 수용부재의 내부 구멍을 양쪽에서 삽입되어 X축 방향(혹은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으로 수용되어 슬라이딩 유동할 수 있는 봉형상의 X축 로드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에는 제2 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설치되고 부품을 삽입고정할 수 있는 삽입구멍이 복수개 형성된 고정편판과, 상기 고정편판의 일측 삽입구멍의 상단에 제2 플레이트의 유동에 의해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된 임팩트부재를 X축 방향(혹은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으로 일정거리로 유동하도록 동작시키는 X축 실린더가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X축 실린더가 결합된 상기 고정편판의 일측 삽입구멍의 하단부에 상기 X축 실린더의 로드 작용에 의해 공압을 차단하여 임팩트부재가 X축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정지시키기위해 몸체의 내부에 상기 X축 실린더의 로드를 밀착 수용하도록 호퍼형상의 X축 공압홈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된 상기 고정편판의 또다른 삽입구멍의 상단에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결합작용에 의해 제1 플레이트에 고정결합된 임팩트부재를 Y축 방향(혹은 컨베이어벨트의 진입을 기준으로 볼 때 좌,우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동작시키는 Y축 실린더가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Y축 실린더가 결합된 상기 고정편판의 일측 삽입구멍의 하단부에 상기 Y축 실린더의 로드작용에 의해 공압을 차단하여 임팩트부재가 Y축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정지시키기위해 몸체의 내부에 상기 Y축 실린더의 로드를 밀착 수용하도록 호퍼형상의 Y축 공압홈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부재에는 몸체의 일측에 임팩트부재를 결합부재를 매개로 판프레임부재의 제1 플레이트에 고정결합시키는 고정결합편이 설치되어 있고, 몸체의 상단부에 유압이 인가되는 기계적인 작용을 하는 임팩렌치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임팩렌치모듈의 하단부에 임팩렌치모듈에 의해 공압이 인가될 경우 정역회전을 실행하는 렌치소켓이 설치되고, 상기 렌치소켓의 하단에 볼트를 수용하여 조이거나 풀도록 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소켓홀더가 설치되며, 상기 렌치소켓의 외표면에 소켓홀더가 상기 볼트를 수용하여 조이거나 풀때 발생되는 진동이나 임팩트부재가 상,하로 유동시 발생하는 충격진동을 흡수하는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부재의 소켓홀더의 내측은 볼트의 상단 머리부에 각진부분(모서리부분)과 접촉하는 접촉부위를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임팩트부재에는 소켓홀더와 대응되는 높이의 몸체에 광신호를 발사한후 이를 수광하여 제어판넬부로 전송하는 광펄스 검출센서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소켓홀더의 외주면에 상기 광펄스 검출센서부의 광신호를 반사시킬 수 있는 광신호 반사패널이 원형띠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밸런스부재는 양쪽 상단몸체에 체인이 각각 고정결합되고 그 타단이 이송프레임부재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체인이 삽입되는 체인연결구멍이 각각 형성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체인이 체인연결구멍을 경유하여 삽입될 시 체인을 내부로 수용하여 체인이 원활하게 유동되게 하므로 웨이트 밸런스부재의 몸체가 그에 연동하여 상,하로 유동되도록 상기 체인연결구멍의 하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봉형상의 체인봉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전단 양측에는 몰드본체의 볼트의 위치 혹은 높이 및 규격정보들을 센싱하여 제어판넬부로 전송하는 센서검출부가 전단에 돌출 설치되어 있고 제어판넬부의 기능제어를 받아 X축 방향(혹은 컨베이어벨트의 진입방향)으로 몸체를 유동시키는 수평이동몸체와, 상기 수평이동몸체와 결합되어 수평이동몸체를 X축 방향으로 유동시키도록 몸체의 후면 상,하 양측에 수평이동바가 복수개 설치되며, 베이스 프레임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결합봉부재에 고정되는 결합판부재에 고정설치되는 수평지지판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판부재에는 수평이동바의 사이의 중심부에 수평이동몸체가 고정된 수평고정편과 스크류결합되어 수평이동몸체를 유동시키는 스크류봉형상의 수평 스크류봉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수평이동몸체의 또다른 일측에 제어판넬부의 기능제어하에 상기 수평 스크류봉부재를 회전시켜 수평이동몸체를 상기 X축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수평구동모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검출부에는 컨베이어벨트에 실려 진입하는 몰드본체에 대해 광신호를 송수신하여 볼트의 높이나 위치를 검출하는 제1 검출센서와, 몰드본체의 높이를 검출하는 제2 검출센서 및 볼트의 규격을 검출하는 제3 검출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21. 조립 또는 분리대상의 몰드본체가 베이스 프레임부의 전단 하부로 컨베이어벨트에 탑재되어 진입할 경우 제어판넬부가 센서검출부를 통해 상기 몰드본체의 좌우폭 및 수평을 측정하여 분석한후 각 임팩트부재의 이동궤적을 산출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중에 제어판넬부가 상기 센서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검출신호를 분석한후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이동속도와 임팩트부재의 구동속도가 서로 연동되도록 동기화시키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중에 제어판넬부가 산출된 각 임팩트부재의 이동궤적정보에 따라 이송프레임부재를 구동하여 각 임팩트부재를 몰드본체에 대해 X,Y 및 Z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므로 상기 몰드본체의 볼드에 접근하여 몰드본체의 볼트를 조이거나(혹은 체결) 풀게하는(혹은 해체) 임팩트부재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제3 과정중에 상기 제어판넬부가 상기 센서검출부의 거리감지센서를 통해 검출된 검출신호중 제2 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몰드본체의 높이정보를 분석하여 몰드본체가 자주 사용함에 따라 발생된 마모에 따라 발생되는 센터의 오차를 보정하기위해 그 오차만큼 임팩트부재의 센터높이를 내려 보정해주는 제4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송프레임부재에는 판프레임부재에 결합된 상기 임팩트부재를 상하로 유동시키기위해 이송프레임부재의 몸체의 내측 상단고정판과 상기 판프레임부재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스크류봉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상단고정판의 내측 개방홈을 매개로 상단고정판의 상부측으로 상기 제어판넬부의 기능제어하에 스크류봉부재를 회전시키는 상하구동 모터가 설치되며, 체인과 결합되어 체인을 이송시키도록 상기 이송프레임부재의 몸체의 좌우측에 각각 대칭되게 체인톱니바퀴가 한조씩 설치되고, 상기 임팩트부재가 상,하로 유동할 시의 진동충격 및 중력작용을 완화하기위해 상기 판프레임부재와는 반대편으로 상기 체인의 일측과 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판프레임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웨이트 밸런스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봉부재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스크류결합고리부재에 삽입되어 그 상단이 상하구동 모터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봉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상하구동 모터가 구동되어 이송프레임부재의 몸체를 상,하로 유동할 시 스크류봉부재와 연동하도록 스크류봉부재의 몸체를 수납하여 스크류체결되는 스크류결합고리부재와 스크류수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송프레임부재의 체인과 결합되어 상기 체인이 연동되도록 상기 이송프레임부재의 몸체의 좌우측에 각각 대칭되게 체인톱니바퀴가 한조씩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크류결합고리부재는 상기 이송프레임부재의 후면 일측에 고정결합되어 상하구동 모터가 회전 구동할 경우 스크류봉부재를 따라 상하 방향(혹은 z축 방향)으로 유동하므로 상기 이송프레임부재를 상,하로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의 체결볼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90012140A 2019-01-30 2019-01-30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36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140A KR102036559B1 (ko) 2019-01-30 2019-01-30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140A KR102036559B1 (ko) 2019-01-30 2019-01-30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6559B1 true KR102036559B1 (ko) 2019-10-25

Family

ID=68420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140A KR102036559B1 (ko) 2019-01-30 2019-01-30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559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7143A (zh) * 2019-11-20 2020-02-07 东莞理工学院 一种应用于航天连接器的螺铨自动拧紧装置及运作方法
CN113102980A (zh) * 2021-03-19 2021-07-13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柴油机主轴承螺栓的全自动拧紧装置
CN113602801A (zh) * 2021-08-17 2021-11-05 福建中瑞达自动化机械有限公司 一种管桩钢模生产用螺钉钩取装置
KR102382594B1 (ko) * 2021-09-10 2022-04-08 주식회사 대륭 에프.에이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펌프다운 자동화장치
CN114535987A (zh) * 2021-12-28 2022-05-27 海斯坦普汽车组件(昆山)有限公司 一种基于高度检测的保险杠螺栓装配装置及装配方法
CN115056010A (zh) * 2022-07-04 2022-09-16 青岛科技大学 一种自动化控制上料装置
KR102502738B1 (ko) 2022-10-20 2023-02-23 주식회사 오토콘시스템 콘크리트 파일 몰드의 조립 해체 자동화 시스템
KR102527789B1 (ko) 2022-10-20 2023-05-04 주식회사 오토콘시스템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 몰드의 조립 해체 방법
CN116399272A (zh) * 2023-04-17 2023-07-07 江苏捷尔力科技有限公司 一种检测精度高的螺纹孔位置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620577B1 (ko) * 2022-12-05 2024-01-02 이영화 성형몰드 작업용 다중공구 장치
CN117961502A (zh) * 2024-03-28 2024-05-03 江苏牛劲石化机械有限公司 一种千斤顶装配夹持装置
CN118143638A (zh) * 2024-05-09 2024-06-07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太湖县供电公司 10kV不停电作业电力金具螺栓安装装置
KR102674760B1 (ko) * 2024-03-18 2024-06-12 이무용 너트런너의 자동 조심장치를 이용한 무한궤도 트랙 조립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364U (ko) * 1979-06-19 1981-01-10
JPS63727U (ko) * 1986-06-18 1988-01-06
JPH10128629A (ja) * 1996-10-30 1998-05-19 Shinko Techno Kk 型枠のボルト検出装置およびボルト締緩装置
KR100502681B1 (ko) * 2004-07-30 2005-07-20 방용수 형틀의 볼트 체결 및 풀림장치와 볼트 체결 및 풀림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364U (ko) * 1979-06-19 1981-01-10
JPS63727U (ko) * 1986-06-18 1988-01-06
JPH10128629A (ja) * 1996-10-30 1998-05-19 Shinko Techno Kk 型枠のボルト検出装置およびボルト締緩装置
KR100502681B1 (ko) * 2004-07-30 2005-07-20 방용수 형틀의 볼트 체결 및 풀림장치와 볼트 체결 및 풀림방법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7143A (zh) * 2019-11-20 2020-02-07 东莞理工学院 一种应用于航天连接器的螺铨自动拧紧装置及运作方法
CN113102980A (zh) * 2021-03-19 2021-07-13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柴油机主轴承螺栓的全自动拧紧装置
CN113602801B (zh) * 2021-08-17 2023-03-10 福建中瑞达自动化机械有限公司 一种管桩钢模生产用螺钉钩取装置
CN113602801A (zh) * 2021-08-17 2021-11-05 福建中瑞达自动化机械有限公司 一种管桩钢模生产用螺钉钩取装置
KR102382594B1 (ko) * 2021-09-10 2022-04-08 주식회사 대륭 에프.에이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용 펌프다운 자동화장치
CN114535987B (zh) * 2021-12-28 2024-03-12 海斯坦普汽车组件(昆山)有限公司 一种基于高度检测的保险杠螺栓装配装置及装配方法
CN114535987A (zh) * 2021-12-28 2022-05-27 海斯坦普汽车组件(昆山)有限公司 一种基于高度检测的保险杠螺栓装配装置及装配方法
CN115056010A (zh) * 2022-07-04 2022-09-16 青岛科技大学 一种自动化控制上料装置
KR102502738B1 (ko) 2022-10-20 2023-02-23 주식회사 오토콘시스템 콘크리트 파일 몰드의 조립 해체 자동화 시스템
KR102527789B1 (ko) 2022-10-20 2023-05-04 주식회사 오토콘시스템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콘크리트 파일 몰드의 조립 해체 방법
KR102620577B1 (ko) * 2022-12-05 2024-01-02 이영화 성형몰드 작업용 다중공구 장치
CN116399272A (zh) * 2023-04-17 2023-07-07 江苏捷尔力科技有限公司 一种检测精度高的螺纹孔位置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CN116399272B (zh) * 2023-04-17 2023-11-14 江苏捷尔力科技有限公司 一种检测精度高的螺纹孔位置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674760B1 (ko) * 2024-03-18 2024-06-12 이무용 너트런너의 자동 조심장치를 이용한 무한궤도 트랙 조립 시스템
CN117961502A (zh) * 2024-03-28 2024-05-03 江苏牛劲石化机械有限公司 一种千斤顶装配夹持装置
CN117961502B (zh) * 2024-03-28 2024-06-07 江苏牛劲石化机械有限公司 一种千斤顶装配夹持装置
CN118143638A (zh) * 2024-05-09 2024-06-07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太湖县供电公司 10kV不停电作业电力金具螺栓安装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6559B1 (ko) 몰드의 체결볼트를 자동으로 체결 및 해체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9826562B (zh) 凿岩台车
RU263633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нипулирования штангами буровой установки
KR101867920B1 (ko) Phc파일 몰드 체결볼트 자동 체결 및 해체 장치
KR102236707B1 (ko) Phc파일 몰드의 오일 자동 분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209710B (zh) 在钻机上分离钻柱的方法
DE10313463B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einer Arbeitsoperation an einem bewegten Werkstück durch einen synchron mitbewegten Industrieroboter
CN105834744A (zh) 一种螺杆和螺母的自动装配装置
US20210402531A1 (en) Automated screw driving machine
CN101312802B (zh) 内部加工切削工具的运送装置
DE202011000150U1 (de) Wechselkupplung
KR101078272B1 (ko) 산업용 소재 이송장치의 그립퍼 교체장치
CN107414472B (zh) 一种三面锁附的自动锁螺钉机
JP4653045B2 (ja) ナット自動供給装置
KR101990840B1 (ko) 락볼트 장치
CA3170362A1 (en) Rivet block including integrated rivet feed bores
CN115415190B (zh) 一种螺丝自动对位检测机构
US8240041B2 (en) Turbine pin removal
CN201301322Y (zh) 用于将燃料喷枪插入竖炉的风口弯头中并从中取出的装置
KR101792614B1 (ko) 비전시스템을 이용한 파일몰드용 인팩장치
CN106429257A (zh) 一种成品开关自动化下线装置
CN112813213A (zh) 高炉直吹管螺栓锁紧与拆卸设备
KR102593386B1 (ko) 사출성형기용 도어장치
CN219912431U (zh) 一种便于安装的激光发射器
CN109378236A (zh) 一种具有报警功能的插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