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840B1 - 락볼트 장치 - Google Patents

락볼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840B1
KR101990840B1 KR1020170121541A KR20170121541A KR101990840B1 KR 101990840 B1 KR101990840 B1 KR 101990840B1 KR 1020170121541 A KR1020170121541 A KR 1020170121541A KR 20170121541 A KR20170121541 A KR 20170121541A KR 101990840 B1 KR101990840 B1 KR 101990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ydraulic pressure
rock
fram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3135A (ko
Inventor
강태선
Original Assignee
강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선 filed Critical 강태선
Priority to KR1020170121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840B1/ko
Publication of KR20190033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10Riveting machines
    • B21J15/30Particular elements, e.g. supports; Suspension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riveters
    • B21J15/32Devices for inserting or holding rivets in position with or without fee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02Riveting procedures
    • B21J15/022Setting rivets by means of swaged-on locking collars, e.g. lockbo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38Accessories for use in connection with riveting, e.g. pliers for upsetting; Hand tools for riv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락볼팅 장치는 수직프레임, 한 쌍의 결합프레임이 이격되게 설치된 상부프레임,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받침프레임을 갖는 본체와, 상기 한 쌍의 결합프레임의 하부에 각각의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높이방향 소정 위치에 결합되며, 각각의 하부에는 축선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바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의 각각의 하부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이동체가 양측 상부면에 설치되고, 하부면에는 레일부가 축선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일면에 축선방향을 따라 N, S극이 일정 피치로 교대로 착자된 자기눈금이 구비된 제1 자기테이프와, 상기 제1 자기테이프와 대면하도록 스프링 밸런스의 일측에 설치된 제1 자기센서를 가지며, 락볼팅 유닛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될 때 상기 락볼팅 유닛의 X축 이동변위를 측정하는 제1 측정유닛이 설치된 이동프레임과, 상기 레일부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된 슬라이드블록,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하부에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지지봉, 상기 지지봉에 일측이 관통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탄성이동되는 와이어가 권취되어 있는 스프링 밸런스, 상기 지지봉의 축선방향으로 이동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 일측이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고, 단부에 홀더가 결합된 이동바, 상기 홀더에 결합되고 입구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락볼트를 당기기 위한 락볼트 그립이 내부에 설치되고, 작동스위치가 외부에 설치된 락볼트공구를 갖는 락볼팅 유닛과,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고, 제1 유압센서가 구비된 제1 유압공급부, 제2 유압센서가 구비된 제2 유압공급부, 에어센서가 구비된 에어공급부를 갖는 구동력공급부와, 상기 락볼팅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락볼트 장치{Lock Bol0t Fastening System}
본 발명은 피접합물을 락볼팅하여 상호 접합시킬 때 비정상적으로 락볼팅 작업이 이루어지는 상황을 검출하고, 정확한 위치에 락볼트 작업을 할 수 있는 락볼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락볼트는 강판이나 형상(rolled steel)을 겹쳐서 영구적으로 결합시키는 기계 요소를 말하고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성이 있으며 응용 범위가 넓고, 각 부재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전달하는 능력이 커서 교량, 철골 구조물, 철도, 선박, 자동차 등에 사용되고 있다.
락볼트 작업 즉, 락볼팅(Lockboltting)은 피접합물에 형성된 결합공에 락볼트 핀을 삽입하고, 반대편에서 락볼트 칼라(Collar)를 핀에 끼워 공구를 작동하면, 공구가 핀을 당기고 칼라는 공구의 노우스에 눌려 압착되기 시작하여 칼라는 핀의홈에 강력하게 억지끼움이 되어 압착되고 핀은 절단되어 피접합물이 상호 접합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락볼팅은 예를 들어 자동자 조립 라인에서 각종 차체 프레임, 시트 프레임 등과 같은 피접합물의 락볼팅 작업시 작업자가 락볼트 공구를 직접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작업자가 직접 여러 곳에 걸쳐 락볼트 작업을 실시한다.
그러나, 락볼트 공구가 수동 작동하여 작업하다보니 소재 자체의 결함으로 인해 락볼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락볼트 소재가 규정된 압력으로 피접합물에 접합되지 않은 경우에도 작업자가 육안으로 락볼팅 상태만을 인식하여 작업을 완료할 경우 락볼팅 상태가 불량한 제품이 양품으로 생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락볼팅은 락볼트 체결공구 그 자체의 중량이 매우 무겁기 때문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작업을 하게 되면 작업자의 팔 및 어깨 부분에 상당한 무리를 주게 되어 작업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락볼팅 품질도 매우 저하되고, 작업인력 및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락볼팅 작업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피접합물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공 중 락볼팅 결합공이 아닌 다른 결합공에 락볼팅이 이루어져 불량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피접합물을 락볼팅하여 상호 접합시킬 때 비정상적으로 락볼팅 작업이 이루어지는 상황을 검출하고, 정확한 위치에 락볼트 작업을 할 수 있는 락볼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락볼팅 장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 하부에 한 쌍의 결합프레임이 이격되게 설치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받침프레임을 갖는 본체; 상기 한 쌍의 결합프레임의 하부에 각각의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높이방향 소정 위치에 결합되며, 각각의 하부에는 축선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의 각각의 하부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이동체가 양측 상부면에 설치되고, 하부면에는 레일부가 축선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일면에 축선방향을 따라 N, S극이 일정 피치로 교대로 착자된 자기눈금이 구비된 제1 자기테이프와, 상기 제1 자기테이프와 대면하도록 스프링 밸런스의 일측에 설치된 제1 자기센서를 가지며, 락볼팅 유닛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될 때 상기 락볼팅 유닛의 X축 이동변위를 측정하는 제1 측정유닛이 설치된 이동프레임; 상기 레일부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된 슬라이드블록과,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하부에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에 일측이 관통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탄성이동되는 와이어가 권취되어 있는 스프링 밸런스와, 상기 지지봉의 축선방향으로 이동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 일측이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고, 단부에 홀더가 결합된 이동바와, 상기 홀더에 결합되고 입구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락볼트를 당기기 위한 락볼트 그립이 내부에 설치되고, 작동스위치가 외부에 설치된 락볼팅공구를 갖는 락볼팅 유닛;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고, 상기 락볼트 그립을 상기 락볼트공구의 후방으로 당기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제1 유압센서가 구비된 제1 유압공급부와, 상기 락볼트 그립을 상기 락볼팅공구의 전방으로 밀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제2 유압센서가 구비된 제2 유압공급부와, 상기 작동스위치에 에어를 공급하며 에어센서가 구비된 에어공급부를 갖는 구동력공급부; 및, 상기 제1 유압센서, 상기 제2 유압센서 및, 상기 에어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전송받아 미리 입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측정값이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락볼팅 유닛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락볼팅 장치는, 피접합물을 락볼팅하여 상호 접합시킬 때 비정상적으로 락볼팅 작업이 이루어지는 상황을 검출하고 정확한 위치에 락볼팅 작업을 할 수 있어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락볼팅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락볼팅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B'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제1 자기테이프와 제2 자기테이프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락볼팅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락볼팅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락볼팅 장치의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락볼팅 장치(100)는 본체(110), 한 쌍의 가이드바(120), 이동프레임(130), 락볼팅 유닛(140), 구동력공급부(150), 제어부(160)로 이루어진다.
본체(110)는 수직프레임(112)과, 수직프레임(112)의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 하부에 한 쌍의 결합프레임(114a)이 이격되게 설치된 상부프레임(114)과, 수직프레임(112)의 하부에 설치된 받침프레임(116)을 갖는다.
받침프레임(116)에는 락볼팅 하고자 하는 피접합물이 안착되는 지그(118)가 설치되고, 지그(118)는 받침프레임(116)의 상부에서 X축, Y축으로 위치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받침프레임(116)에는 후술하는 락볼팅 유닛(140)의 락볼트공구(146)가 작동되게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력공급부(150)가 설치되는 공간부(116a)가 구비된다.
한 쌍의 가이드바(120)는 한 쌍의 결합프레임(114a)의 하부에 각각의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수직프레임(112)의 높이방향 소정 위치에 결합된다. 또한, 한 쌍의 가이드 바(120) 각각의 하부에는 축선방향으로 가이드레일(122)이 구비된다.
이동프레임(130)은 한 쌍의 가이드바(120)의 각각의 하부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2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이동체(132)가 양측 상부면에 설치되고, 하부면에는 레일부(134)가 축선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락볼팅 유닛(140)은 피접합물을 락볼팅하여 상호 접합되게 하는 것으로서, 레일부(134)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된 슬라이드블록(141)과, 슬라이드블록(141)의 하부에 받침프레임(116)의 상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지지봉(142)과, 지지봉(142)에 일측이 관통 삽입되어 슬라이드블록(141)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탄성이동되는 와이어(143a)가 권취되어 있는 스프링 밸런스(143)와, 지지봉(142)에 지지봉(142)의 축선방향으로 이동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 일측이 와이어(143a)에 결합되고, 단부에 홀더(144a)가 결합된 이동바(144)와, 홀더(144a)에 결합되고 입구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락볼트를 당기기 위한 락볼트 그립(146a)이 내부에 설치되고, 작동스위치(146b)가 외부에 설치된 락볼팅공구(146)로 이루진다.
스프링 밸런스(143)는 작업자가 무거운 락볼트공구(146)를 손쉽게 파지하여 락볼팅 작업을 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것이다.
구동력공급부(150)는 락볼트공구(146)가 작동되도록 락볼트공구(146)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받침프레임(116)의 내부에 구비된 공간부(116a)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동력공급부(150)는 락볼트공구(146)의 내부에 설치된 락볼트 그립(146a)을 락볼트공구(146)의 후방으로 당기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유압공급부(152)와, 락볼트 그립(146a)을 락볼트공구(146)의 전방으로 밀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기키는 제2 유압공급부(154)와, 락볼트공구(146)에 설치된 작동스위치(146b)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156)를 갖는다.
이때, 제1 유압공급부(152)에는 락볼트 그립(146a)이 제1 유압공급부(152)에서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락볼트공구(146)의 후방으로 당겨질 때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1 유압센서(152a)가 마련되고, 제2 유압공급부(154)에는 락볼트 그립(146a)이 제2 유압공급부(154)에서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락볼트공구(146)의 전방으로 밀릴 때의 압력을 측정하는 제2 유압센서(154a)가 마련되고, 에어공급부(156)에는 락볼트공구(146)에 설치된 작동스위치(146b)가 작동될 때 작동스위치(146b)에 공급되는 에어의 압력을 측정하는 에어센서(156a)가 마련된다.
제어부(160)는 본체(110)에 설치되고, 제1 유압센서(152a), 제2 유압센서(154a) 및, 에어센서(156a)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전송받아 미리 입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측정값이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 락볼팅 작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락볼팅 유닛(14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제어부(160)는 락볼팅 유닛(140)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관리자 또는 현장 작업자가 바로 알 수 있도록 경광 및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광등(미도시) 및 경고음발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동력공급부(150)와 제어부(160)에 의해 작동되는 락볼팅 유닛(140)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작업자가 락볼트공구(146)을 파지한 후 작동스위치(146b)를 누르게 되면 에어공급부(156)를 통해 작동스위치(146b)에 공급되는 에어의 압력이 변화하게 되고, 변화된 압력의 값을 에어센서(156a)가 측정하여 제어부(160)로 전송하면 제어부(160)는 미리 입력된 기준값과 측정값을 비교하여 기준값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제1 유압공급부(152)에 작동신호를 보내 제1 유압공급부(152)가 작동되게 하고,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제1 유압공급부(152)에 작동신호를 보내지 않는다.
제1 유압공급부(152)가 작동을 하게 되면, 락볼트공구(146)의 내부에 설치되어 락볼트 파지하고 있는 락볼트 그립(146a)이 락볼트공구(146)의 후방으로 당겨지면서 피접합물에 대한 실질적인 락볼팅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유압공급부(152)에 마련된 제1 유압센서(152a)는 락볼트를 파지하고 있는 락볼트 그립(146a)이 락볼트공구(146)의 후방으로 당겨지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락볼트의 소정 부분이 파단되는 시점까지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여 제어부(160)로 전송하면 제어부(160)는 미리 입력된 기준값과 측정값을 비교하여 기준값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제2 유압공급부(154)에 작동신호를 보내 제2 유압공급부(154)가 작동되게 하고,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제2 유압공급부(154)에 작동신호를 보내지 않는다.
제2 유압공급부(154)가 작동을 하게 되면, 락볼트공구(146)의 내부에 설치된 락볼트 그립(146a)이 락볼트공구(146)가 전방으로 밀리면서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제2 유압공급부(154)에 마련된 제2 유압센서(154a)는 락볼트 그립(146a)이 락볼트공구(146)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동안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여 제어부(160)로 전송하면 제어부(160)는 미리 입력된 기준값과 측정값을 비교하여 기준값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작동스위치(146b)를 눌렀을 때 제1 유압공급부(152)가 작동되게 하고,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작동스위치(146b)를 눌러도 제1 유압공급부(152)가 작동되지 않게 한다.
한편,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B'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제1 자기테이프와 제2 자기테이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이동프레임(130)에는 일면에 이동프레임(130)의 축선방향을 따라 N, S극이 일정피치로 교대로 착자된 자기눈금(172a)이 구비된 제1 자기테이프(172)와, 제1 자기테이프(172)와 대면하도록 스프링 밸런스(143)의 일측에 설치된 브라켓(B)의 단부에 마련된 제1 자기센서(174)를 갖는 제1 측정유닛(170)이 설치된다. 제1 측정유닛(170)은 락볼팅 유닛(140)이 레일부(134)를 따라 이동될 대 락볼팅 유닛(140)의 X축 이동변위를 측정한다.
한 쌍의 가이드바(120) 중 어느 하나에는 일면에 가이드바(120)의 축선방향을 따라 N, S극이 일정 피치로 교대로 착자된 자기눈금(182a)이 구비된 제2 자기테이프(182)와, 제2 자기테이프(182)와 대면하도록 이동프레임(130)의 상부면에 설치된 브라켓(B)의 단부에 마련된 제2 자기센서(184)를 갖는 제2 측정유닛(180)이 설치된다. 제2 측정유닛(180)은 이동프레임(130)이 가이드 레일(122)을 따라 이동될 때 락볼팅 유닛(140)의 Y축 이동변위를 측정한다.
여기서, 제1 자기테이프(172) 및 제2 자기테이프(182)에 일정 피치로 N, S극이 교대로 착자된 자기눈금의 피치는 0.1mm가 된다. 이때, 1mm의 피치 간격이 의미하는 것은 N극이 0.05mm, S극이 0.05mm인 것을 말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기테이프(172)와 제2 자기테이프(182)의 각각의 일측 끝단에는 원점눈금(172b, 182b)이 형성된다. 이 원점눈금(172b, 182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락볼팅 장치의 유지 및 보수 등으로 인해 장치의 전원이 꺼져 락볼팅 유닛(140)의 위치 좌표값이 초기화가 되더라도 전원을 켠 후 제1 자기센서(174) 및 제2 자기센서(184)를 원점눈금(172b, 182b)으로 이동시켜 락볼팅 유닛(140)의 원점을 신속하게 재세팅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원점눈금(172b, 182b)은 일정 피치로 N, S극이 교대로 착자된 자기눈금(172a, 182a) 보다 더 길게 형성된 N, S극이 착자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측정유닛(170) 및 제2 측정유닛(180)에서 측정된 락볼팅 유닛(140)의 X축, Y축 이동변위가 제어부(160)로 전송되면, 제어부(160)는 전송받은 측정값을 미리 입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준값을 벗어난 경우에 락볼팅이 작업될 위치가 아닌 곳에 작업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락볼팅 유닛(14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본체
120; 한 쌍의 가이드바
130; 이동프레임
140; 락볼팅 유닛
150; 구동력공급부
160; 제어부
170; 제1 측정유닛
180; 제2 측정유닛

Claims (4)

  1.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 하부에 한 쌍의 결합프레임이 이격되게 설치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받침프레임을 갖는 본체;
    상기 한 쌍의 결합프레임의 하부에 각각의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높이방향 소정 위치에 결합되며, 각각의 하부에는 축선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의 각각의 하부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이동체가 양측 상부면에 설치되고, 하부면에는 레일부가 축선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일면에 축선방향을 따라 N, S극이 일정 피치로 교대로 착자된 자기눈금이 구비된 제1 자기테이프와, 상기 제1 자기테이프와 대면하도록 스프링 밸런스의 일측에 설치된 제1 자기센서를 가지며, 락볼팅 유닛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될 때 상기 락볼팅 유닛의 X축 이동변위를 측정하는 제1 측정유닛이 설치된 이동프레임;
    상기 레일부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된 슬라이드블록과,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하부에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에 일측이 관통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탄성이동되는 와이어가 권취되어 있는 스프링 밸런스와, 상기 지지봉의 축선방향으로 이동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부 일측이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고, 단부에 홀더가 결합된 이동바와, 상기 홀더에 결합되고 입구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락볼트를 당기기 위한 락볼트 그립이 내부에 설치되고, 작동스위치가 외부에 설치된 락볼트공구를 갖는 락볼팅 유닛;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고, 상기 락볼트 그립을 상기 락볼트공구의 후방으로 당기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제1 유압센서가 구비된 제1 유압공급부와, 상기 락볼트 그립을 상기 락볼트공구의 전방으로 밀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제2 유압센서가 구비된 제2 유압공급부와, 상기 작동스위치에 에어를 공급하며 에어센서가 구비된 에어공급부를 갖는 구동력공급부; 및,
    상기 제1 유압센서, 상기 제2 유압센서 및, 상기 에어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전송받아 미리 입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측정값이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락볼팅 유닛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볼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 중 어느 하나에는 일면에 상기 가이드바의 축선방향을 따라 N, S극이 일정 피치로 교대로 착자된 자기눈금이 구비된 제2 자기테이프와, 상기 제2 자기 테이프와 대면하도록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부면에 설치된 제2 자기센서를 가지며, 상기 이동프레임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될 때 상기 락볼팅 유닛의 Y축 이동변위를 측정하는 제2 측정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볼팅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테이프 및 상기 제2 자기테이프 각각의 일측 끝단에는 N, S극이 착자된 원점눈금이 형성되고, 상기 원점눈금은 상기 자기눈금 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볼팅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유압센서, 상기 제2 유압센서 및, 상기 에어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전송받아 미리 입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측정값이 기준값을 벗어나는 경우 경광 또는 경보음 중 어느 하나가 발생되게 하는 경보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측정유닛 및 상기 제2 측정유닛에서 측정된 변위를 전송받아 상기 락볼팅 유닛의 이동변위를 미리 입력된 기준값과 상호 비교하여 불일치시 상기 락볼팅 유닛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볼팅 장치
KR1020170121541A 2017-09-21 2017-09-21 락볼트 장치 KR101990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541A KR101990840B1 (ko) 2017-09-21 2017-09-21 락볼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541A KR101990840B1 (ko) 2017-09-21 2017-09-21 락볼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135A KR20190033135A (ko) 2019-03-29
KR101990840B1 true KR101990840B1 (ko) 2019-06-19

Family

ID=65899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541A KR101990840B1 (ko) 2017-09-21 2017-09-21 락볼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8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9039A1 (ko) * 2022-08-31 2024-03-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체결 누락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리벳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벳팅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5223A (zh) * 2019-09-11 2020-01-17 东野精机(昆山)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动力电池的盖板组装后的铆接流程
KR102485111B1 (ko) * 2020-03-02 2023-01-06 강동철 접합 공구를 사용하여 생산되는 제품의 접합 품질을 감시하기 위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35909A (ja) * 2012-09-13 2015-12-17 アブデル ユーケー リミテッド ロックボルト
KR101613296B1 (ko) * 2015-10-19 2016-04-18 김대일 나사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35909A (ja) * 2012-09-13 2015-12-17 アブデル ユーケー リミテッド ロックボルト
KR101613296B1 (ko) * 2015-10-19 2016-04-18 김대일 나사체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9039A1 (ko) * 2022-08-31 2024-03-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체결 누락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리벳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벳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135A (ko)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840B1 (ko) 락볼트 장치
US10768071B2 (en) Testing machine for accurately controlling looseness of transverse load
CN104422375A (zh) 一种用于检测活塞与连杆之间配合间隙的检测装置
CN113695741B (zh) 自动激光焊接装置
CN106141655B (zh) 工件压装装置
CN111307428B (zh) 拖车钩检测辅具
CN111098106B (zh) 一种剪式千斤顶自动升降装置
KR20160057763A (ko) 스폿 용접장치
CN217393642U (zh) 生产线夹具系统
CN104215434A (zh) 一种检测拉链缺牙小咪的检测装置
CN204621697U (zh) 一种快速查找型材原点的比较探测器
KR102176563B1 (ko)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CN113695848A (zh) 一种电机引脚剪切及齿轮压装装置及方法
KR102335354B1 (ko) 휠 허브 판별장치 및 방법
CN112427938A (zh) 矿山设备用先导阀的多功能锁付装置
CN102442524B (zh) 钢筋桁架输送装置
CN207057919U (zh) 一种自动焊装置
CN216576023U (zh) 一种移动式钢轨闪光焊机打滑在线监测装置
CN210500789U (zh) 预应力管桩自动张拉设备
JP2005127904A (ja) パーキングロック機構のパーキングポール作動力計測装置
KR102314095B1 (ko)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CN116749356B (zh) 一款悬吊式打孔装螺丝系统
CN114986115B (zh) 具有人手力度感知能力的六轴重载装配机械手及控制方法
CN216937839U (zh) 一种带直边异径管件的卷板成型设备
CN209903549U (zh) 一种用于管桩模自动张拉的三维移动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