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982B1 -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35982B1 KR102035982B1 KR1020190106278A KR20190106278A KR102035982B1 KR 102035982 B1 KR102035982 B1 KR 102035982B1 KR 1020190106278 A KR1020190106278 A KR 1020190106278A KR 20190106278 A KR20190106278 A KR 20190106278A KR 102035982 B1 KR102035982 B1 KR 1020359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gear
- seedling box
- conveyor
- ten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0—Devices for adjusting the seed-box ; Regulation of 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at interva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Roller driving means having endless driving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1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 B65G15/1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comprising two or more co-operating endless surfaces with parallel longitudinal axes, or a multiplicity of parallel elements, e.g. ropes defining an endless surface with two or more endless be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30—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7/30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 B65G57/3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added articles being lifted to substantially stationary grippers or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흙과 씨앗이 파종된 육묘상자를 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받음과 아울러 육묘상자의 이동이 지정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정지되도록 하며, 지정된 위치에서 이동 정지된 육묘상자를 적층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지정된 수량으로 적층된 육묘상자를 인출하는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와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내측에 다수개의 컨베이어롤러가 구비되는 적층컨베이어, 상기 적층컨베이어 하부에 연결 구비되며,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 상기 모터와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전방에 다수개의 버튼이 구비되어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와, 상기 커버에 축설 구비됨과 아울러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텐션기어와, 상기 적층컨베이어 상에 축설 구비됨과 아울러 텐션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내측에는 육묘상자의 이송을 도모하는 합성수지재의 롤러가 구비되는 가속기어와, 상기 적층컨베이어 상에 가속기어 타측에 이격 축설됨과 아울러 가속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내측에는 육묘상자의 이송을 도모하는 합성수지재의 롤러가 구비되는 제1피동기어와, 상기 적층컨베이어 상에 제1피동기어 타측에 이격 축설됨과 아울러 제1피동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내측에는 육묘상자의 이송을 도모하는 합성수지재의 롤러가 구비되는 제2피동기어와, 상기 적층컨베이어 상에 축설됨과 아울러 제1피동기어 및 제2피동기어 사이에 구비되며, 전방 내측에는 타측에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의 지지핀이 형성되는 평판형의 회전판이 구비되고, 회전판의 외주연에는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감지부가 형성되며, 지지핀의 하부에는 사각의 각형으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일측에는 일측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됨과 아울러 끝단이 상향 절곡되어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부를 갖는 걸림핀이 회전판에 힌지 연결되며, 걸림핀 및 회전판에는 걸림핀에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는 텐션구가 구비되고, 회전판의 전방에는 일방향으로만 부하회전됨과 아울러 다른방향으로는 공회전되며 방사상으로 톱니모양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만곡지게 형성되는 경사부 및 경사부 사이에 내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걸림기어가 구비되며, 걸림기어의 전방에는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기어가 구비되고, 후방에는 후방 내측에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봉이 형성되는 제2기어가 구비되며, 내측에는 서로 전후방으로 이격됨과 아울러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승강바가 구비되고, 제1승강바 각각의 하부에는 각각 축결합되는 제1승강롤러가 구비되는 제1승강부와, 상기 제1승강부의 감지부와 이격 구비되어 회전판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제1감지센서와, 상기 제1승강부의 제2기어 타측에는 적층컨베이어 상에 축설됨과 아울러 제2기어와 맞닿아 제2기어와 역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제3기어가 구비됨과 아울러 제3기어의 후방에는 이격되어 제4기어가 구비되는 역회전기어와, 상기 역회전기어의 타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적층컨베이어에 연결 구비되며, 돌출봉과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제2기어에 장력을 공급하는 고정봉과, 상기 적층컨베이어 상에 축설됨과 아울러 후방측에 제4기어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는 제5기어가 구비되며, 내측에는 서로 전후방으로 이격됨과 아울러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제1승강바와 대칭되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승강바가 구비되고, 제2승강바 각각의 하부에는 각각 축결합되는 제2승강롤러가 구비되는 제2승강부와, 상기 적층컨베이어 상에 축설됨과 아울러 제2승강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내측에는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이송되는 육묘상자 타측에 닿도록 형성되는 푸쉬판이 구비되고, 전방에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회동되는 회동판이 구비되며, 회동판의 상부에는 일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 관통된 다수개의 장력조절공이 형성되는 장력조절판이 형성되고, 회동판의 하부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감지판이 형성되며, 장력조절공의 일측에는 타측이 장력조절공에 끼움 고정됨과 아울러 일측이 커버 상에 결합되어 장력조절판에 장력을 제공하는 완충스프링이 구비되는 육묘상자완충수단과, 상기 육묘상자완충수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감지판의 회전을 감지하여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제2감지센서와, 상기 육묘상자완충수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2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되며, 일측에는 연장된 일측이 걸림핀의 하부에 걸림되는 걸림봉이 구비되는 리니어솔레노이드와, 상기 적층컨베이어의 전방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됨과 아울러 양측 단부가 상부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연장형성된 양측에는 각각 걸림봉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슬라이딩공이 관통형성되는 슬라이딩판과, 상기 리니어솔레노이드의 걸림봉 상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슬라이딩판의 내측 일측에 밀착 구비되는 장력조절구고정판과, 상기 리니어솔레노이드의 걸림봉 외주연에 끼움 구비됨과 아울러 장력조절구고정판의 타측에 구비되며, 슬라이딩판의 내측에 구비되어 걸림봉에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조절구와, 상기 적층컨베이어의 상부 양측 및 전후방에 각각 대칭 구비되며, 각각은 하부가 절곡 형성된 평판 한 쌍이 양측 방향으로 이격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하부가 적층컨베이어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거치대가 구비되고, 고정거치대 한 쌍의 내측에는 각각 일측에서 타측으로 축설되는 제1축이 형성되며, 제1축에는 각각의 적층컨베이어의 외측방향으로 만곡 연장되는 걸림판이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걸림판 각각의 상부측에는 적층컨베이어의 내측방향으로 각각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판이 형성되고, 경사판 각각의 단부에는 적층컨베이어의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육묘상자지지판이 형성되며, 제1축 각각의 외측에는 고정거치대에 축설되는 제2축이 형성되며, 제2축의 내측 외주연에는 제2축을 감싸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의 단부가 연장되어 걸림판 및 적층컨베이어의 상부에 지지되어 걸림판에 일정한 장력을 공급하는 승강장력구가 구비되고, 제1축의 상부에는 고정거치대에 축설됨과 아울러 걸림판 및 경사판 사이에 구비되는 제3축이 형성되는 승강구와, 상기 적층컨베이어 상부 타측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후방지지부와, 상기 적층컨베이어의 상부에 이격 구비되며, 내측에는 수용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적층컨베이어의 상부와 연결되는 인출지지대를 갖는 인출케이스와, 상기 인출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며, 회전력을 제공하는 인출모터와, 상기 인출케이스의 내측에 양측으로 축 연결 구비되며, 축 상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인출피동기어가 구비되어 인출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인출피동기어부와, 상기 인출피동기어부의 전방에 한 쌍이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칭 구비되며, 각각은 인출케이스의 내측에 서로 마주하는 반대측이 축 연결 구비되고, 각각에는 인출피동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전달기어가 구비되며, 전달기어가 마주하는 방향에는 각각 제1체인기어가 구비되는 제1전달기어부와, 상기 제1전달기어부와 이격된 전방에 한 쌍이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칭 구비되며, 각각은 인출케이스의 내측에 서로 마주하는 반대측이 축 연결 구비되고, 각각에는 제1체인기어와 대응되는 제2체인기어가 구비되는 제2전달기어부와, 상기 제1체인기어 및 제2체인기어와 연결되어 제1체인기어의 회전력을 제2체인기어에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전달체인과, 상기 전달체인 한 쌍의 사이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내측에는 양측으로 관통된 장공 형상의 베어링공이 형성되는 이송구와, 상기 이송구의 베어링공에 원통형의 축으로 형성되어 삽입 구비되며, 양측은 연장되어 단부가 각각 전달체인에 연결 고정되고, 축 상에는 베어링공에 안착되어 상하로 이송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베어링을 갖는 이송축과, 상기 이송구의 하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되는 이송판과, 상기 이송판의 하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되며, 하부가 하부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된 단부에는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육묘상자의 하부를 지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이송대와, 상기 인출케이스 상에 구비됨과 아울러 제1감지센서 및 제2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리니어솔레노이드 및 인출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인출제어부와, 상기 이송대의 후방에 구비되어 적층된 육묘상자를 공급받으며, 회전력을 공급하는 배출모터가 구비되는 배출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 상에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 축설 구비되며, 배출모터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고, 내측에는 각각 이격되어 배출풀리가 구비되며, 배출풀리 상에는 배출벨트가 연결 구비되어 상호 회전력이 동기화 되는 배출축과, 상기 배출컨베이어 내측 양측에 대칭되게 상하로 장공 형상으로 관통 형성됨과 아울러 배출축이 이격된 사이에 형성되는 높이조절공과, 상기 높이조절공이 마주하는 배출컨베이어 상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높이조절공과 결합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높이조절공에 대응되게 관통된 통공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봉고정구와, 상기 지지봉고정구가 마주하는 사이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각각 지지봉고정구의 상부에 연결 구비되며, 상부가 권취된 배출벨트의 내측 상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배출벨트지지봉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종기에서 흙과 씨앗이 파종된 상태로 배출되어 오는 육묘상자를 완충수단을 통해 안정적으로 이동 정지 시킴과 아울러 정지된 육묘상자를 차례로 자동 적층하고, 적재된 육묘상자를 자동 인출시키는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작(水稻作, 벼농사)에 사용되는 수도용 볍씨 등과 같은 논작물과, 양파나 파 등과 같은 밭작물을 경작하기 위해 조성한 이랑에 종자의 파종과 추비를 간편하고 정확히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파종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파종기는 육묘상자를 투입하여 그 육묘상자 내에 흙과 씨앗을 공급하고, 씨앗이 파종된 육묘상자는 파종기로부터 배출되어 발아장소로 이송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배출된 육묘상자를 작업자가 일정한 장소로 옮기기 위해 종래에는 작업자가 육묘상자를 하나씩 옮기거나 또는 다수의 육묘상자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직접 적층하여 옮기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여 왔으나 이러한 작업은 일의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흙과 씨앗이 파종된 육묘상자를 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받아 적층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지정된 수량으로 적층된 육묘상자를 인출하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와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내측에 다수개의 컨베이어롤러가 구비되는 적층컨베이어와, 상기 적층컨베이어 하부에 연결 구비되며,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회전력을 공급하며, 전방에는 축설되는 제1기어가 구비되고, 제1기어의 전방에는 이격되어 제1기어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제2기어가 축상으로 연결 구비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전방에 다수개의 버튼이 구비되어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와, 상기 커버에 축설 구비됨과 아울러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제1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턴션기어가 전방에 구비되는 텐션기어와, 상기 적층컨베이어 상에 축설됨과 아울러 전방에 제1텐션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가속기어가 구비되며, 내측에는 육묘상자의 이송을 도모하는 합성수지재의 롤러가 구비되는 가속기어와, 상기 적층컨베이어 상에 가속기어 타측에 이격 축설됨과 아울러 전방에 서로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제1가속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피동가속기어 및 제2피동가속기어가 구비되며, 내측에는 육묘상자의 이송을 도모하는 합성수지재의 롤러가 구비되는 제1피동기어와, 상기 적층컨베이어 상에 제1피동기어 타측에 이격 축설됨과 아울러 전방에 제2피동가속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3피동가속기어가 구비되며, 내측에는 육묘상자의 이송을 도모하는 합성수지재의 롤러가 구비되는 제2피동기어와, 상기 적층컨베이어 상에 축설됨과 아울러 제1피동기어 및 제2피동기어 사이에 구비되며, 전방 내측에는 타측에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의 지지핀이 형성되는 평판형의 회전판이 구비되고, 지지핀의 하부에는 사각의 각형으로 양측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일측에는 일측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됨과 아울러 끝단이 상향 절곡되어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부를 갖는 걸림핀이 회전판에 힌지 연결되며, 걸림핀 및 회전판에는 걸림핀에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는 텐션구가 구비되고, 회전판의 전방에는 한방향으로만 부하회전됨과 아울러 다른방향으로는 공회전되며 방사상으로 톱니모양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만곡지게 형성되는 경사부 및 경사부 사이에 내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걸림기어가 구비되며, 걸림기어의 전방에는 제2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3기어가 구비되고, 후방에는 후방 내측에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봉이 형성되는 제4기어가 구비되며, 내측에는 서로 전후방으로 이격됨과 아울러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승강바가 구비되고, 제1승강바 각각의 하부에는 각각 축결합되는 제1승강롤러가 구비되는 제1승강부와, 상기 제1승강부의 제4기어 타측에는 적층컨베이어 상에 축설됨과 아울러 제4기어와 맞닿아 제4기어와 역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제5기어가 구비됨과 아울러 제5기어의 후방에는 이격되어 제6기어가 구비되는 역회전기어와, 상기 역회전기어의 타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적층컨베이어에 연결 구비되며, 돌출봉과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제4기어에 장력을 공급하는 고정봉과, 상기 적층컨베이어 상에 축설됨과 아울러 후방측에 제6기어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는 제7기어가 구비되며, 내측에는 서로 전후방으로 이격됨과 아울러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제1승강바와 대칭되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승강바가 구비되고, 제2승강바 각각의 하부에는 각각 축결합되는 제2승강롤러가 구비되는 제2승강부와, 상기 적층컨베이어 상에 축설됨과 아울러 제2승강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내측에는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이송되는 육묘상자의 타측에 닿도록 형성되는 푸쉬판이 구비되고, 전방에는 하부가 회동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측으로 연장되는 회동판이 구비되며, 회동판의 상부에는 연결판의 타측이 힌지 결합됨과 아울러 연결판의 일측이 일측으로 연장되고, 연결판의 일측에는 타측이 연결판에 힌지 연결됨과 아울러 일측으로 연장되어 걸림핀의 하부에 걸림되도록 구비되는 걸림봉이 구비되는 승강작동부와, 상기 적층컨베이어의 전방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됨과 아울러 양측 단부가 상부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연장형성된 양측에는 각각 걸림봉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슬라이딩공이 관통형성되는 슬라이딩판과, 상기 승강작동부의 걸림봉 상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슬라이딩판의 내측 일측에 밀착 구비되는 장력조절구고정판과, 상기 승강작동부의 걸림봉 외주연에 끼움 구비됨과 아울러 장력조절구고정판의 타측에 구비되며, 슬라이딩판의 내측에 구비되어 걸림봉에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조절구와, 상기 적층컨베이어의 상부 양측 및 전후방에 각각 대칭 구비되며, 각각은 하부가 절곡 형성된 평판 한 쌍이 양측 방향으로 이격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하부가 적층컨베이어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거치대가 구비되고, 고정거치대 한 쌍의 내측에는 각각 일측에서 타측으로 축설되는 제1축이 형성되며, 제1축에는 각각의 적층컨베이어의 외측방향으로 만곡 연장되는 걸림판이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걸림판 각각의 상부측에는 적층컨베이어의 내측방향으로 각각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판이 형성되고, 경사판 각각의 단부에는 적층컨베이어의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육묘상자지지판이 형성되며, 제1축 각각의 외측에는 고정거치대에 축설되는 제2축이 형성되며, 제2축의 내측 외주연에는 제2축을 감싸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의 단부가 연장되어 걸림판 및 적층컨베이어의 상부에 지지되어 걸림판에 일정한 장력을 공급하는 승강장력구가 구비되고, 제1축의 상부에는 고정거치대에 축설됨과 아울러 걸림판 및 경사판 사이에 구비되는 제3축이 형성되는 승강구와, 상기 적층컨베이어 상부 타측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후방지지부와, 상기 적층컨베이어의 상부에 이격 구비되며, 내측에는 수용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적층컨베이어의 상부와 연결되는 인출지지대를 갖는 인출케이스와, 상기 인출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며, 회전력을 제공하는 인출모터와, 상기 인출케이스의 내측에 양측으로 축 연결 구비되며, 축 상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인출피동기어가 구비되어 인출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인출피동기어부와, 상기 인출피동기어부의 전방에 한 쌍이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칭 구비되며, 각각은 인출케이스의 내측에 서로 마주하는 반대측이 축 연결 구비되고, 각각에는 인출피동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전달기어가 구비되며, 전달기어가 마주하는 방향에는 각각 제1체인기어가 구비되는 제1전달기어부와, 상기 제1전달기어부와 이격된 전방에 한 쌍이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칭 구비되며, 각각은 인출케이스의 내측에 서로 마주하는 반대측이 축 연결 구비되고, 각각에는 제1체인기어와 대응되는 제2체인기어가 구비되는 제2전달기어부와, 상기 제1체인기어 및 제2체인기어와 연결되어 제1체인기어의 회전력을 제2체인기어에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전달체인과, 상기 전달체인 한 쌍의 사이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내측에는 양측으로 관통된 장공 형상의 베어링공이 형성되는 이송구와, 상기 이송구의 베어링공에 원통형의 축으로 형성되어 삽입 구비되며, 양측은 연장되어 단부가 각각 전달체인에 연결 고정되고, 축 상에는 베어링공에 안착되어 상하로 이송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베어링을 갖는 이송축과, 상기 이송구의 하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되는 이송판과, 상기 이송판의 하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되며, 하부가 하부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된 단부에는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육묘상자의 하부를 지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이송대와, 상기 인출케이스 상에 구비되어 인출모터의 회전력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인출제어부로 이루어지는 기술을 출원하여 등록결정 받은 바 있다.
하지만, 상기에 제안한 선행기술은 파종기에서 흙과 씨앗이 파종된 상태로 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되는 육묘상자가 푸쉬판에 강한 힘으로 부딪혀 정지됨으로 인해 육묘상자 내측에 파종된 흙과 씨앗이 푸쉬판 방향으로 쏠림으로 씨앗이 육묘상자의 내측에서 균일한 간격으로 발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파종기에서 흙과 씨앗이 파종된 상태로 이송되어 오는 육묘상자가 지정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정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자동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자가 원하는 수량으로 적재된 육묘상자들을 자동으로 인출해줄 수 있도록 하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흙과 씨앗이 파종된 육묘상자를 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받음과 아울러 육묘상자의 이동이 지정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정지되도록 하며, 지정된 위치에서 이동 정지된 육묘상자를 적층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지정된 수량으로 적층된 육묘상자를 인출하는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와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내측에 다수개의 컨베이어롤러가 구비되는 적층컨베이어, 상기 적층컨베이어 하부에 연결 구비되며,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 상기 모터와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전방에 다수개의 버튼이 구비되어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와, 상기 커버에 축설 구비됨과 아울러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텐션기어와, 상기 적층컨베이어 상에 축설 구비됨과 아울러 텐션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내측에는 육묘상자의 이송을 도모하는 합성수지재의 롤러가 구비되는 가속기어와, 상기 적층컨베이어 상에 가속기어 타측에 이격 축설됨과 아울러 가속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내측에는 육묘상자의 이송을 도모하는 합성수지재의 롤러가 구비되는 제1피동기어와, 상기 적층컨베이어 상에 제1피동기어 타측에 이격 축설됨과 아울러 제1피동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내측에는 육묘상자의 이송을 도모하는 합성수지재의 롤러가 구비되는 제2피동기어와, 상기 적층컨베이어 상에 축설됨과 아울러 제1피동기어 및 제2피동기어 사이에 구비되며, 전방 내측에는 타측에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의 지지핀이 형성되는 평판형의 회전판이 구비되고, 회전판의 외주연에는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감지부가 형성되며, 지지핀의 하부에는 사각의 각형으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일측에는 일측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됨과 아울러 끝단이 상향 절곡되어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부를 갖는 걸림핀이 회전판에 힌지 연결되며, 걸림핀 및 회전판에는 걸림핀에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는 텐션구가 구비되고, 회전판의 전방에는 일방향으로만 부하회전됨과 아울러 다른방향으로는 공회전되며 방사상으로 톱니모양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만곡지게 형성되는 경사부 및 경사부 사이에 내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걸림기어가 구비되며, 걸림기어의 전방에는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기어가 구비되고, 후방에는 후방 내측에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봉이 형성되는 제2기어가 구비되며, 내측에는 서로 전후방으로 이격됨과 아울러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승강바가 구비되고, 제1승강바 각각의 하부에는 각각 축결합되는 제1승강롤러가 구비되는 제1승강부와, 상기 제1승강부의 감지부와 이격 구비되어 회전판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제1감지센서와, 상기 제1승강부의 제2기어 타측에는 적층컨베이어 상에 축설됨과 아울러 제2기어와 맞닿아 제2기어와 역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제3기어가 구비됨과 아울러 제3기어의 후방에는 이격되어 제4기어가 구비되는 역회전기어와, 상기 역회전기어의 타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적층컨베이어에 연결 구비되며, 돌출봉과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제2기어에 장력을 공급하는 고정봉과, 상기 적층컨베이어 상에 축설됨과 아울러 후방측에 제4기어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는 제5기어가 구비되며, 내측에는 서로 전후방으로 이격됨과 아울러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제1승강바와 대칭되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승강바가 구비되고, 제2승강바 각각의 하부에는 각각 축결합되는 제2승강롤러가 구비되는 제2승강부와, 상기 적층컨베이어 상에 축설됨과 아울러 제2승강부의 타측에 구비되며, 내측에는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이송되는 육묘상자 타측에 닿도록 형성되는 푸쉬판이 구비되고, 전방에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회동되는 회동판이 구비되며, 회동판의 상부에는 일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 관통된 다수개의 장력조절공이 형성되는 장력조절판이 형성되고, 회동판의 하부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감지판이 형성되며, 장력조절공의 일측에는 타측이 장력조절공에 끼움 고정됨과 아울러 일측이 커버 상에 결합되어 장력조절판에 장력을 제공하는 완충스프링이 구비되는 육묘상자완충수단과, 상기 육묘상자완충수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감지판의 회전을 감지하여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제2감지센서와, 상기 육묘상자완충수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2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되며, 일측에는 연장된 일측이 걸림핀의 하부에 걸림되는 걸림봉이 구비되는 리니어솔레노이드와, 상기 적층컨베이어의 전방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됨과 아울러 양측 단부가 상부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연장형성된 양측에는 각각 걸림봉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슬라이딩공이 관통형성되는 슬라이딩판과, 상기 리니어솔레노이드의 걸림봉 상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슬라이딩판의 내측 일측에 밀착 구비되는 장력조절구고정판과, 상기 리니어솔레노이드의 걸림봉 외주연에 끼움 구비됨과 아울러 장력조절구고정판의 타측에 구비되며, 슬라이딩판의 내측에 구비되어 걸림봉에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조절구와, 상기 적층컨베이어의 상부 양측 및 전후방에 각각 대칭 구비되며, 각각은 하부가 절곡 형성된 평판 한 쌍이 양측 방향으로 이격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하부가 적층컨베이어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거치대가 구비되고, 고정거치대 한 쌍의 내측에는 각각 일측에서 타측으로 축설되는 제1축이 형성되며, 제1축에는 각각의 적층컨베이어의 외측방향으로 만곡 연장되는 걸림판이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걸림판 각각의 상부측에는 적층컨베이어의 내측방향으로 각각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판이 형성되고, 경사판 각각의 단부에는 적층컨베이어의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육묘상자지지판이 형성되며, 제1축 각각의 외측에는 고정거치대에 축설되는 제2축이 형성되며, 제2축의 내측 외주연에는 제2축을 감싸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의 단부가 연장되어 걸림판 및 적층컨베이어의 상부에 지지되어 걸림판에 일정한 장력을 공급하는 승강장력구가 구비되고, 제1축의 상부에는 고정거치대에 축설됨과 아울러 걸림판 및 경사판 사이에 구비되는 제3축이 형성되는 승강구와, 상기 적층컨베이어 상부 타측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후방지지부와, 상기 적층컨베이어의 상부에 이격 구비되며, 내측에는 수용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적층컨베이어의 상부와 연결되는 인출지지대를 갖는 인출케이스와, 상기 인출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며, 회전력을 제공하는 인출모터와, 상기 인출케이스의 내측에 양측으로 축 연결 구비되며, 축 상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인출피동기어가 구비되어 인출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인출피동기어부와, 상기 인출피동기어부의 전방에 한 쌍이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칭 구비되며, 각각은 인출케이스의 내측에 서로 마주하는 반대측이 축 연결 구비되고, 각각에는 인출피동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전달기어가 구비되며, 전달기어가 마주하는 방향에는 각각 제1체인기어가 구비되는 제1전달기어부와, 상기 제1전달기어부와 이격된 전방에 한 쌍이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칭 구비되며, 각각은 인출케이스의 내측에 서로 마주하는 반대측이 축 연결 구비되고, 각각에는 제1체인기어와 대응되는 제2체인기어가 구비되는 제2전달기어부와, 상기 제1체인기어 및 제2체인기어와 연결되어 제1체인기어의 회전력을 제2체인기어에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전달체인과, 상기 전달체인 한 쌍의 사이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내측에는 양측으로 관통된 장공 형상의 베어링공이 형성되는 이송구와, 상기 이송구의 베어링공에 원통형의 축으로 형성되어 삽입 구비되며, 양측은 연장되어 단부가 각각 전달체인에 연결 고정되고, 축 상에는 베어링공에 안착되어 상하로 이송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베어링을 갖는 이송축과, 상기 이송구의 하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되는 이송판과, 상기 이송판의 하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되며, 하부가 하부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된 단부에는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육묘상자의 하부를 지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이송대와, 상기 인출케이스 상에 구비됨과 아울러 제1감지센서 및 제2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리니어솔레노이드 및 인출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인출제어부와, 상기 이송대의 후방에 구비되어 적층된 육묘상자를 공급받으며, 회전력을 공급하는 배출모터가 구비되는 배출컨베이어와, 상기 배출컨베이어 상에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 축설 구비되며, 배출모터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고, 내측에는 각각 이격되어 배출풀리가 구비되며, 배출풀리 상에는 배출벨트가 연결 구비되어 상호 회전력이 동기화 되는 배출축과, 상기 배출컨베이어 내측 양측에 대칭되게 상하로 장공 형상으로 관통 형성됨과 아울러 배출축이 이격된 사이에 형성되는 높이조절공과, 상기 높이조절공이 마주하는 배출컨베이어 상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높이조절공과 결합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높이조절공에 대응되게 관통된 통공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봉고정구와, 상기 지지봉고정구가 마주하는 사이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각각 지지봉고정구의 상부에 연결 구비되며, 상부가 권취된 배출벨트의 내측 상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배출벨트지지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는 파종기에서 흙과 씨앗이 파종되어 이송되어 오는 육묘상자를 육묘상자완충수단을 통해 육묘상자의 이동 속도를 안정적으로 줄임과 아울러 정지 시킬 수 있어 육묘상자 내측에 파종된 흙 및 씨앗의 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원하는 수량으로 육묘상자를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재된 육묘상자들을 자동으로 배출 할 수 있는 이점 또한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를 배면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의 일부분 개략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를 배면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의 일부분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2)는 흙과 씨앗이 파종된 육묘상자(4)를 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받음과 아울러 육묘상자의 이동이 지정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정지되도록 하며, 지정된 위치에서 이동 정지된 육묘상자를 적층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지정된 수량으로 적층된 육묘상자(4)를 인출하는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2)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와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내측에 다수개의 컨베이어롤러가 구비되는 적층컨베이어(10)와, 상기 적층컨베이어(10) 하부에 연결 구비되며,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커버(12)와, 상기 커버(12)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14)와, 상기 모터(14)와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전방에 다수개의 버튼(16)이 구비되어 모터(14)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18)와, 상기 커버(12)에 축설 구비됨과 아울러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모터(1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텐션기어(20)와, 상기 적층컨베이어(10) 상에 축설 구비됨과 아울러 텐션기어(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내측에는 육묘상자(4)의 이송을 도모하는 합성수지재의 롤러가 구비되는 가속기어(24)와, 상기 적층컨베이어(10) 상에 가속기어(24) 타측에 이격 축설됨과 아울러 가속기어(2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내측에는 육묘상자(4)의 이송을 도모하는 합성수지재의 롤러가 구비되는 제1피동기어(26)와, 상기 적층컨베이어(10) 상에 제1피동기어(26) 타측에 이격 축설됨과 아울러 제1피동기어(26)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내측에는 육묘상자(4)의 이송을 도모하는 합성수지재의 롤러가 구비되는 제2피동기어(28)와, 상기 적층컨베이어(10) 상에 축설됨과 아울러 제1피동기어(26) 및 제2피동기어(28) 사이에 구비되며, 전방 내측에는 타측에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의 지지핀(30)이 형성되는 평판형의 회전판(32)이 구비되고, 회전판(32)의 외주연에는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감지부(34)가 형성되며, 지지핀(30)의 하부에는 사각의 각형으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일측에는 일측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됨과 아울러 끝단이 상향 절곡되어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부(36)를 갖는 걸림핀(38)이 회전판(32)에 힌지 연결되며, 걸림핀(38) 및 회전판(32)에는 걸림핀(38)에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는 텐션구(40)가 구비되고, 회전판(32)의 전방에는 일방향으로만 부하회전됨과 아울러 다른방향으로는 공회전되며 방사상으로 톱니모양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만곡지게 형성되는 경사부(42) 및 경사부(42) 사이에 내입되는 걸림홈(44)이 형성되는 걸림기어(46)가 구비되며, 걸림기어(46)의 전방에는 모터(1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기어(48)가 구비되고, 후방에는 후방 내측에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봉(50)이 형성되는 제2기어(52)가 구비되며, 내측에는 서로 전후방으로 이격됨과 아울러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승강바(54)가 구비되고, 제1승강바(54) 각각의 하부에는 각각 축결합되는 제1승강롤러(56)가 구비되는 제1승강부(58)와, 상기 제1승강부(58)의 감지부(34)와 이격 구비되어 회전판(32)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제1감지센서(60)와, 상기 제1승강부(58)의 제2기어(52) 타측에는 적층컨베이어(10) 상에 축설됨과 아울러 제2기어(52)와 맞닿아 제2기어(52)와 역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제3기어(62)가 구비됨과 아울러 제3기어(62)의 후방에는 이격되어 제4기어(64)가 구비되는 역회전기어(66)와, 상기 역회전기어(66)의 타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적층컨베이어(10)에 연결 구비되며, 돌출봉(50)과 스프링(68)으로 연결되어 제2기어(52)에 장력을 공급하는 고정봉(70)과, 상기 적층컨베이어(10) 상에 축설됨과 아울러 후방측에 제4기어(64)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는 제5기어(72)가 구비되며, 내측에는 서로 전후방으로 이격됨과 아울러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제1승강바(54)와 대칭되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승강바(74)가 구비되고, 제2승강바(74) 각각의 하부에는 각각 축결합되는 제2승강롤러(76)가 구비되는 제2승강부(78)와, 상기 적층컨베이어(10) 상에 축설됨과 아울러 제2승강부(78)의 타측에 구비되며, 내측에는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이송되는 육묘상자(4)의 타측에 닿도록 형성되는 푸쉬판(80)이 구비되고, 전방에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회동되는 회동판(82)이 구비되며, 회동판(82)의 상부에는 일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 관통된 다수개의 장력조절공(84)이 형성되는 장력조절판(86)이 형성되고, 회동판(82)의 하부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감지판(87)이 형성되며, 장력조절공(84)의 일측에는 타측이 장력조절공(84)에 끼움 고정됨과 아울러 일측이 커버(14) 상에 결합되어 장력조절판(86)에 장력을 제공하는 완충스프링(88)이 구비되는 육묘상자완충수단(90)과, 상기 육묘상자완충수단(90)의 일측에 구비되어 감지판(87)의 회전을 감지하여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제2감지센서(92)와, 상기 육묘상자완충수단(9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2감지센서(92)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되며, 일측에는 연장된 일측이 걸림핀(38)의 하부에 걸림되는 걸림봉(94)이 구비되는 리니어솔레노이드(96)와, 상기 적층컨베이어(10)의 전방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됨과 아울러 양측 단부가 상부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연장형성된 양측에는 각각 걸림봉(94)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슬라이딩공(98)이 관통형성되는 슬라이딩판(100)과, 상기 리니어솔레노이드(96)의 걸림봉(94) 상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슬라이딩판(100)의 내측 일측에 밀착 구비되는 장력조절구고정판(102)과, 상기 리니어솔레노이드(96)의 걸림봉(94) 외주연에 끼움 구비됨과 아울러 장력조절구고정판(102)의 타측에 구비되며, 슬라이딩판(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걸림봉(94)에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조절구(104)와, 상기 적층컨베이어(10)의 상부 양측 및 전후방에 각각 대칭 구비되며, 각각은 하부가 절곡 형성된 평판 한 쌍이 양측 방향으로 이격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하부가 적층컨베이어(10)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거치대(107)가 구비되고, 고정거치대(107) 한 쌍의 내측에는 각각 일측에서 타측으로 축설되는 제1축(108)이 형성되며, 제1축(108)에는 각각의 적층컨베이어(10)의 외측방향으로 만곡 연장되는 걸림판(109)이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걸림판(109) 각각의 상부측에는 적층컨베이어(10)의 내측방향으로 각각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판(110)이 형성되고, 경사판(110) 각각의 단부에는 적층컨베이어(10)의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육묘상자지지판(111)이 형성되며, 제1축(108) 각각의 외측에는 고정거치대(107)에 축설되는 제2축(112)이 형성되며, 제2축(112)의 내측 외주연에는 제2축(112)을 감싸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의 단부가 연장되어 걸림판(109) 및 적층컨베이어(10)의 상부에 지지되어 걸림판(109)에 일정한 장력을 공급하는 승강장력구(113)가 구비되고, 제1축(108)의 상부에는 고정거치대(107)에 축설됨과 아울러 걸림판(109) 및 경사판(110) 사이에 구비되는 제3축(114)이 형성되는 승강구(122)와, 상기 적층컨베이어(10) 상부 타측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후방지지부(124)와, 상기 적층컨베이어(10)의 상부에 이격 구비되며, 내측에는 수용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적층컨베이어(10)의 상부와 연결되는 인출지지대(126)를 갖는 인출케이스(128)와, 상기 인출케이스(128)의 내측에 구비되며, 회전력을 제공하는 인출모터(130)와, 상기 인출케이스(128)의 내측에 양측으로 축 연결 구비되며, 축 상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인출피동기어(132)가 구비되어 인출모터(13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인출피동기어부(134)와, 상기 인출피동기어부(134)의 전방에 한 쌍이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칭 구비되며, 각각은 인출케이스(128)의 내측에 서로 마주하는 반대측이 축 연결 구비되고, 각각에는 인출피동기어(13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전달기어(136)가 구비되며, 전달기어(136)가 마주하는 방향에는 각각 제1체인기어(138)가 구비되는 제1전달기어부(140)와, 상기 제1전달기어부(140)와 이격된 전방에 한 쌍이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칭 구비되며, 각각은 인출케이스(128)의 내측에 서로 마주하는 반대측이 축 연결 구비되고, 각각에는 제1체인기어(138)와 대응되는 제2체인기어(142)가 구비되는 제2전달기어부(144)와, 상기 제1체인기어(138) 및 제2체인기어(142)와 연결되어 제1체인기어(138)의 회전력을 제2체인기어(142)에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전달체인(146)과, 상기 전달체인(146) 한 쌍의 사이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내측에는 양측으로 관통된 장공 형상의 베어링공(148)이 형성되는 이송구(150)와, 상기 이송구(150)의 베어링공(148)에 원통형의 축으로 형성되어 삽입 구비되며, 양측은 연장되어 단부가 각각 전달체인(146)에 연결 고정되고, 축 상에는 베어링공(148)에 안착되어 상하로 이송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베어링(152)을 갖는 이송축(154)과, 상기 이송구(150)의 하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되는 이송판(156)과, 상기 이송판(156)의 하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되며, 하부가 하부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된 단부에는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육묘상자(4)의 하부를 지지하는 걸림부(158)가 형성되는 이송대(160)와, 상기 인출케이스(128) 상에 구비됨과 아울러 제1감지센서(60) 및 제2감지센서(92)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리니어솔레노이드(96) 및 인출모터(13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인출제어부(162)와, 상기 이송대(160)의 후방에 구비되어 적층된 육묘상자(4)를 공급받으며, 회전력을 공급하는 배출모터(164)가 구비되는 배출컨베이어(166)와, 상기 배출컨베이어(166) 상에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 축설 구비되며, 배출모터(164)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고, 내측에는 각각 이격되어 배출풀리(168)가 구비되며, 배출풀리(168) 상에는 배출벨트(170)가 연결 구비되어 상호 회전력이 동기화 되는 배출축(172)과, 상기 배출컨베이어(166) 내측 양측에 대칭되게 상하로 장공 형상으로 관통 형성됨과 아울러 배출축(172)이 이격된 사이에 형성되는 높이조절공(174)과, 상기 높이조절공(174)이 마주하는 배출컨베이어(166) 상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높이조절공(174)과 결합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높이조절공(174)에 대응되게 관통된 통공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봉고정구(176)와, 상기 지지봉고정구(176)가 마주하는 사이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각각 지지봉고정구(176)의 상부에 연결 구비되며, 상부가 권취된 배출벨트(170)의 내측 상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배출벨트지지봉(178)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흙과 씨앗이 파종된 육묘상자(4)를 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받는다.
상기 컨베이어와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내측에 다수개의 컨베이어롤러를 갖는 적층컨베이어(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적층컨베이어(10) 하부에 연결 구비되며,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커버(12)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12)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1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모터(14)에는 전방에 다수개의 버튼(16)이 구비되어 모터(14)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18)가 연결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8)의 버튼(16)을 조작하여 육묘상자(4)가 적층되는 속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커버(12)에 축설 구비됨과 아울러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모터(1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텐션기어(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텐션기어(20)는 후술되는 가속기어(24) 및 제1피동기어(26)를 연결하는 체인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적층컨베이어(10) 상에 축설 구비됨과 아울러 텐션기어(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내측에는 육묘상자(4)의 이송을 도모하는 합성수지재의 롤러가 구비되는 가속기어(2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적층컨베이어(10) 상에 가속기어(24) 타측에 이격 축설됨과 아울러 가속기어(2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내측에는 육묘상자(4)의 이송을 도모하는 합성수지재의 롤러가 구비되는 제1피동기어(2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적층컨베이어(10) 상에 제1피동기어(26) 타측에 이격 축설됨과 아울러 제1피동기어(26)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내측에는 육묘상자(4)의 이송을 도모하는 합성수지재의 롤러가 구비되는 제2피동기어(28)가 구비된다.
상기 적층컨베이어(10) 상에 축설됨과 아울러 제1피동기어(26) 및 제2피동기어(28) 사이에 구비되며, 전방 내측에는 타측에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의 지지핀(30)이 형성되는 평판형의 회전판(32)이 구비되고, 회전판(32)의 외주연에는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감지부(34)가 형성되며, 지지핀(30)의 하부에는 사각의 각형으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일측에는 일측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됨과 아울러 끝단이 상향 절곡되어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부(36)를 갖는 걸림핀(38)이 회전판(32)에 힌지 연결되며, 걸림핀(38) 및 회전판(32)에는 걸림핀(38)에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는 텐션구(40)가 구비되고, 회전판(32)의 전방에는 일방향으로만 부하회전됨과 아울러 다른방향으로는 공회전되며 방사상으로 톱니모양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만곡지게 형성되는 경사부(42) 및 경사부(42) 사이에 내입되는 걸림홈(44)이 형성되는 걸림기어(46)가 구비되며, 걸림기어(46)의 전방에는 모터(1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기어(48)가 구비되고, 후방에는 후방 내측에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봉(50)이 형성되는 제2기어(52)가 구비되며, 내측에는 서로 전후방으로 이격됨과 아울러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승강바(54)가 구비되고, 제1승강바(54) 각각의 하부에는 각각 축결합되는 제1승강롤러(56)가 구비되는 제1승강부(5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승강부(58)는 모터(14)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이며, 걸림기어(46)는 회전판(32)과 동기화되어 작동되는 것임과 아울러 걸림기어(46) 및 회전판(32)은 걸림부(36)가 걸림홈(44)에 내입되어 고정될 시에는 서로 동기화되어 회전되는 것이고, 걸림부(36)가 걸림홈(44)에서 해제될 시에는 비동기화되어 회전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상기 걸림부(36)가 걸림홈(44)에 내입되어 고정될 시에는 제1승강바(54) 및 제1승강롤러(56)가 한 바퀴 회전되는 것이며, 한 바퀴를 회전한 후에는 다시 걸림부(36)가 걸림홈(44)에서 해제됨으로써 회전이 정지되는 것이다.
상기 제1승강부(58)의 감지부(34)와 이격 구비되어 회전판(32)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제1감지센서(6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감지센서(60)는 근접센서 또는 리미트스위치 등을 사용하는 것이며, 제1감지센서(60)는 회전판(32)에 형성되는 감지부(34)의 근접을 감지하여 신호를 제어부(18) 및 후술되는 인출제어부(162)로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감지센서(60)로 인해 제1승강부(58)가 작동될 동안에는 후술되는 인출모터(130)의 작동이 정지되는 것이며, 이로 인해 인출모터(130)의 오작동으로 인한 본 발명의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2)의 손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 제1승강부(58)의 제2기어(52) 타측에는 적층컨베이어(10) 상에 축설됨과 아울러 제2기어(52)와 맞닿아 제2기어(52)와 역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제3기어(62)가 구비됨과 아울러 제3기어(62)의 후방에는 이격되어 제4기어(64)가 구비되는 역회전기어(6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역회전기어(66)는 후술되는 제2승강바(74)가 제1승강바(54)와 대칭되게 회전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제2승강바(74) 및 제1승강바(54)가 대칭되게 회전됨으로써 육묘상자(4)가 안정적으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역회전기어(66)의 타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적층컨베이어(10)에 연결 구비되며, 돌출봉(50)과 스프링(68)으로 연결되어 제2기어(52)에 장력을 공급하는 고정봉(70)이 구비된다.
상기 적층컨베이어(10) 상에 축설됨과 아울러 후방측에 제4기어(64)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는 제5기어(72)가 구비되며, 내측에는 서로 전후방으로 이격됨과 아울러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제1승강바(54)와 대칭되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승강바(74)가 구비되고, 제2승강바(74) 각각의 하부에는 각각 축결합되는 제2승강롤러(76)가 구비되는 제2승강부(78)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승강롤러(56) 및 제2승강롤러(76) 각각의 사이에는 원통형으로 길게 형성되는 보조롤러(232)가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한 것이며, 보조롤러(232)는 다양한 하부 형태를 갖는 육묘상자(4)의 하부에 닿는 면적을 넓게 형성함으로써 육묘상자(4)를 더욱 안정적으로 적재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적층컨베이어(10) 상에 축설됨과 아울러 제2승강부(78)의 타측에 구비되며, 내측에는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이송되는 육묘상자(4)의 타측에 닿도록 형성되는 푸쉬판(80)이 구비되고, 전방에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회동되는 회동판(82)이 구비되며, 회동판(82)의 상부에는 일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 관통된 다수개의 장력조절공(84)이 형성되는 장력조절판(86)이 형성되고, 회동판(82)의 하부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감지판(87)이 형성되며, 장력조절공(84)의 일측에는 타측이 장력조절공(84)에 끼움 고정됨과 아울러 일측이 커버(14) 상에 결합되어 장력조절판(86)에 장력을 제공하는 완충스프링(88)이 구비되는 육묘상자완충수단(9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육묘상자완충수단(90)은 육묘상자(4)의 진입 속도를 서서히 늦춰 지정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일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장력조절판(86)에 형성된 장력조절공(84)으로 인해 완충스프링(88)의 타측을 알맞은 위치의 장력조절공(84)에 결합함으로써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육묘상자(4)의 진입 속도를 서서히 늦춰 지정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는 것다.
상기 육묘상자완충수단(90)의 일측에 구비되어 감지판(87)의 회전을 감지하여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제2감지센서(9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감지센서(92)는 육묘상자(4)가 정해진 위치에 안착된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18) 및 후술되는 인출제어부(162)로 신호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며, 이로 인해 제어부(18) 및 인출제어부(162)는 신호를 전송하여 리니어솔레노이드(96)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육묘상자완충수단(9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2감지센서(92)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되며, 일측에는 연장된 일측이 걸림핀(38)의 하부에 걸림되는 걸림봉(94)이 구비되는 리니어솔레노이드(9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리니어솔레노이드(96)는 제어부(18) 및 인출제어부(162)의 신호를 전송받아 작동되는 것이며, 제어부(18) 및 인출제어부(162)의 신호에 따라 걸림봉(94)을 타측으로 이동시키면 전술된 걸림부(36)가 걸림홈(44)에 내입 고정되게 하며, 육묘상자(4)가 상승된 뒤에는 후술되는 장력조절구(104)에 의해 걸림봉(94)이 일측으로 이동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상기 적층컨베이어(10)의 전방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됨과 아울러 양측 단부가 상부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연장형성된 양측에는 각각 걸림봉(94)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슬라이딩공(98)이 관통형성되는 슬라이딩판(1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판(100)은 걸림봉(94)이 안정적으로 왕복운동하도록 도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리니어솔레노이드(96)의 걸림봉(94) 상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슬라이딩판(100)의 내측 일측에 밀착 구비되는 장력조절구고정판(102)이 구비된다.
상기 리니어솔레노이드(96)의 걸림봉(94) 외주연에 끼움 구비됨과 아울러 장력조절구고정판(102)의 타측에 구비되며, 슬라이딩판(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걸림봉(94)에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조절구(104)가 구비된다.
상기 적층컨베이어(10)의 상부 양측 및 전후방에 각각 대칭 구비되며, 각각은 하부가 절곡 형성된 평판 한 쌍이 양측 방향으로 이격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하부가 적층컨베이어(10)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거치대(107)가 구비되고, 고정거치대(107) 한 쌍의 내측에는 각각 일측에서 타측으로 축설되는 제1축(108)이 형성되며, 제1축(108)에는 각각의 적층컨베이어(10)의 외측방향으로 만곡 연장되는 걸림판(109)이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걸림판(109) 각각의 상부측에는 적층컨베이어(10)의 내측방향으로 각각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판(110)이 형성되고, 경사판(110) 각각의 단부에는 적층컨베이어(10)의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육묘상자지지판(111)이 형성되며, 제1축(108) 각각의 외측에는 고정거치대(107)에 축설되는 제2축(112)이 형성되며, 제2축(112)의 내측 외주연에는 제2축(112)을 감싸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의 단부가 연장되어 걸림판(109) 및 적층컨베이어(10)의 상부에 지지되어 걸림판(109)에 일정한 장력을 공급하는 승강장력구(113)가 구비되고, 제1축(108)의 상부에는 고정거치대(107)에 축설됨과 아울러 걸림판(109) 및 경사판(110) 사이에 구비되는 제3축(114)이 형성되는 승강구(12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승강구(122)는 육묘상자(4)의 전후방에 한 쌍씩 총 4개가 구비되어 동작 되는 것이며, 승강하는 육묘상자(4)는 경사판(110)의 경사부를 따라 올라가면서 경사판(110)을 육묘상자(4)의 전후방으로 밀게 되고, 경사판(110)을 지난 육묘상자(4)는 승강장력구(113)의 장력에 의해 원위치되는 육묘상자지지판(111)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적층컨베이어(10) 상부 타측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후방지지부(12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후방지지부(124)는 진입되는 육묘상자(4)의 타측을 지지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육묘상자완충수단(90)에 의해 진입속도가 현저히 느려진 육묘상자(4)의 타측을 지지하여 육묘상자(4)가 정해진 위치에 안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적층컨베이어(10)의 상부에 이격 구비되며, 내측에는 수용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적층컨베이어(10)의 상부와 연결되는 인출지지대(126)를 갖는 인출케이스(128)가 구비된다.
상기 인출케이스(128)의 내측에 구비되며, 회전력을 제공하는 인출모터(130)가 구비된다.
상기 인출케이스(128)의 내측에 양측으로 축 연결 구비되며, 축 상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인출피동기어(132)가 구비되어 인출모터(13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인출피동기어부(13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인출피동기어부(134)의 전방에 한 쌍이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칭 구비되며, 각각은 인출케이스(128)의 내측에 서로 마주하는 반대측이 축 연결 구비되고, 각각에는 인출피동기어(13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전달기어(136)가 구비되며, 전달기어(136)가 마주하는 방향에는 각각 제1체인기어(138)가 구비되는 제1전달기어부(14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전달기어부(140)와 이격된 전방에 한 쌍이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칭 구비되며, 각각은 인출케이스(128)의 내측에 서로 마주하는 반대측이 축 연결 구비되고, 각각에는 제1체인기어(138)와 대응되는 제2체인기어(142)가 구비되는 제2전달기어부(14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체인기어(138) 및 제2체인기어(142)와 연결되어 제1체인기어(138)의 회전력을 제2체인기어(142)에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전달체인(146)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전달체인(146)으로 인해 제1체인기어(138)와 제2체인기어(142)의 회전력이 동기화되는 것이다.
상기 전달체인(146) 한 쌍의 사이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내측에는 양측으로 관통된 장공 형상의 베어링공(148)이 형성되는 이송구(15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송구(150)의 베어링공(148)에 원통형의 축으로 형성되어 삽입 구비되며, 양측은 연장되어 단부가 각각 전달체인(146)에 연결 고정되고, 축 상에는 베어링공(148)에 안착되어 상하로 이송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베어링(152)을 갖는 이송축(15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송축(154)은 전달체인(146)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및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며, 이송축(154)의 이동에 의해 이송구(150)가 전후방으로 왕복운동됨과 아울러 베어링공(148) 및 이송베어링(152)에 의해 이송구(150)가 전후방으로 왕복운동하더라도 이송구(150)의 높이에는 변화가 발생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구(150)의 상부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원점센서돌기(180) 및 정지센서돌기(181)가 형성되며, 원점센서돌기(180) 및 정지센서돌기(181) 한 쌍의 상부에는 한 쌍이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하부가 인출케이스(128)에 고정되고, 원점센서돌기(180) 및 정지센서돌기(181)와 각각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접촉된 신호를 후술되는 인출제어부(162)로 전송하는 원점센서(182) 및 정지센서(18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원점센서(182)는 본 발명을 작동할 시에 원점센서돌기(180)가 원점센서(182)의 하부 정해진 위치에 항상 오도록 인출모터(130)을 작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초기 작동시에 원점센서(182)의 하부 정해진 위치에 원점센서돌기(180)가 위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원점센서돌기(180)의 위치를 수정하기 위해서 인출모터(130)가 작동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지센서(184)는 정지센서돌기(181)가 정지센서(184)를 벗어난 후 왕복해서 돌아와 정지하는 것을 체크하는 센서인 것이다.
한편, 상기 원점센서(182) 및 정지센서(184)는 근접센서, 리미트센서, 무접점센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송구(150)의 하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되는 이송판(156)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인출케이스(128)의 하부에는 서로 이격됨과 아울러 마주하는 반대측이 개방된 각형의 파이프 형상을 갖는 슬라이딩가이드(186)가 구비되며, 슬라이딩가이드(186) 각각에는 내입되는 다수개의 슬라이딩베어링(188)이 구비되고, 슬라이딩베어링(188)은 각각 외측에 평판형으로 구비되는 슬라이딩판(190)에 축 상으로 연결되며, 슬라이딩판(190)의 하부는 이송판(156)의 상부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가이드(186), 슬라이딩베어링(188) 및 슬라이딩판(190)은 이송판(156)이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전후방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판(156)의 상부 전방에는 양측으로 이격된 한 쌍의 푸시판(192)이 구비되며, 각각의 푸시판(192)의 전방에는 양측으로 대칭 구비되고, 푸시판(192)의 이동에 의해 전방으로 밀림됨과 아울러 푸시판(192)과 인접한 단부에 푸시베어링(194)을 갖는 푸쉬대(196)가 구비되며, 푸시대(196) 각각에는 푸시베어링(194)의 반대측에 축 연결됨과 아울러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대(198)가 구비되고, 연장대(198)에는 연장대(198)와 축 연결되는 상부링크대(200)가 구비되며, 상부링크대(200) 각각의 하부에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후방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후방이 인출케이스(128)의 하부에 고정되는 링크고정판(202)이 구비되고, 링크고정판(202)의 하부에는 각각 이격되어 하부링크대(204)가 구비되며, 상부링크대(200), 링크고정판(202) 및 하부링크대(204)는 원통형의 링크축(206)에 의해 회동되도록 축 연결되며, 하부링크대(204)에는 내측에 상하로 관통된 장공 형상의 걸림공(208)을 갖는 걸림판(210)이 축 연결되고, 걸림판(210)의 하부에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적층컨베이어(10)의 상부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에는 원통형으로 돌출되어 걸림공(208)에 관통되는 걸림돌기(212)를 갖는 걸림고정판(214)이 구비되며, 승강구(122)와 인접한 걸림고정판(214)측에는 상부로 판형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전방측 단부가 절곡되어 승강구(122)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승강구지지판(216)이 구비되고, 승강구지지판(216) 및 승강구(122) 사이에는 장력을 제공하는 승강구지지판스프링(218)의 양측이 각각 연결 구비된다.
이때, 상기 푸시판(192)이 푸시대(196)를 전방으로 밀어줄 시에는 푸시대(196)와 연결된 승강구지지판(216)이 승강구(122)의 후방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승강구(122)의 움직임에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푸시판(192)이 푸시대(196)를 밀지 않고 후방으로 이동될 시에는 승강구지지판(216)이 승강구지지판스프링(218)의 장력에 의해 승강구(122)의 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승강구(122)의 움직임이 정지됨과 아울러 이송대(160)에 의해 이동되는 육묘상자(4)의 무게로 인해 승강구(122)의 육묘상자지지판(114)이 후방으로 젖혀지는 것이 방지되어 육묘상자(4)가 원활히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판(156)의 하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되며, 하부가 하부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된 단부에는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육묘상자(4)의 하부를 지지하는 걸림부(158)가 형성되는 이송대(160)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대(160)는 양측으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구비되어도 무방한 것이다.
한편, 상기 이송대(160)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원위치로 복귀되는 시간은 한 개의 육묘상자(4)가 적층되는 시간에 비해 짧게 형성됨으로써, 육묘상자(4)의 적층과 인출 간에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인출케이스(128) 상에 구비됨과 아울러 제1감지센서(60) 및 제2감지센서(92)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리니어솔레노이드(96) 및 인출모터(13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인출제어부(16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인출제어부(178)는 제1감지센서(60), 제2감지센서(92), 원점센서(182), 정지센서(184) 및 후술되는 수량확인센서(222)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모터(14), 리니어솔레노이드(96) 및 인출모터(130)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인출제어부(162)의 전방에는 인출모터(130), 원점센서(182) 및 정지센서(184)를 ON/OFF 하는 다수개의 버튼(228)이 형성되며, 버튼(228)의 상부에는 파종된 육묘상자(4)의 수량을 나타내는 파종모판수량표시부(230)가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인출지지대(126) 상에는 내측에 높이조절공(222)을 갖는 높이조절판(224)이 구비되며, 높이조절판(224) 상에는 높이조절공(222)에 결합되어 육묘상자(4)의 적재수량을 감지하여 제어부(18) 및 인출제어부(162)로 전송하는 수량확인센서(22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량확인센서(226)는 높이조절공(222) 상에서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육묘상자(4)가 적재되는 수량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송대(160)의 후방에 구비되어 적층된 육묘상자(4)를 공급받으며, 회전력을 공급하는 배출모터(164)가 구비되는 배출컨베이어(166)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컨베이어(166) 상에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 축설 구비되며, 배출모터(164)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고, 내측에는 각각 이격되어 배출풀리(168)가 구비되며, 배출풀리(168) 상에는 배출벨트(170)가 연결 구비되어 상호 회전력이 동기화 되는 배출축(172)이 구비된다.
상기 배출컨베이어(166) 내측 양측에 대칭되게 상하로 장공 형상으로 관통 형성됨과 아울러 배출축(172)이 이격된 사이에 높이조절공(17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공(174)이 마주하는 배출컨베이어(166) 상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높이조절공(174)과 결합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높이조절공(174)에 대응되게 관통된 통공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봉고정구(17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봉고정구(176)는 한 쌍이 각각 대칭 구비되는 것이며, 높이조절공(174) 상에서 상하로 용이하게 이동가능한 것이다.
상기 지지봉고정구(176)가 마주하는 사이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각각 지지봉고정구(176)의 상부에 연결 구비되며, 상부가 권취된 배출벨트(170)의 내측 상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배출벨트지지봉(178)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출벨트지지봉(178)은 배출벨트(17)의 상부로 적층된 육묘상자(4)가 공급될 시에 배출벨트(17)가 적층 공급된 육묘상자(4)의 무게로 인해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적층 공급된 육묘상자(4)의 안정적인 이송을 도모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2)는 파종기에서 흙과 씨앗이 파종되어 이송되어 오는 육묘상자(4)를 육묘상자완충수단(90)을 통해 육묘상자(4)의 이동 속도를 안정적으로 줄임과 아울러 정지 시킬 수 있어 육묘상자(4) 내측에 파종된 흙 및 씨앗의 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원하는 수량으로 육묘상자(4)를 적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재된 육묘상자(4)들을 자동으로 배출 할 수 있는 이점 또한 있는 것이다.
10 : 적층컨베이어 12 : 커버
14 : 모터 16 : 버튼
18 : 제어부 20 : 텐션기어
24 : 가속기어 26 : 제1피동기어
28 : 제2피동기어 30 : 지지핀
32 : 회전판 34 : 감지부
36 : 걸림부 38 : 걸림핀
40 : 텐션구 42 : 경사부
44 : 걸림홈 46 : 걸림기어
48 : 제1기어 50 : 돌출봉
52 : 제2기어 54 : 제1승강바
56 : 제1승강롤러 58 : 제1승강부
60 : 제1감지센서 62 : 제3기어
64 : 제4기어 66 : 역회전기어
68 : 스프링 70 : 고정봉
72 : 제5기어 74 : 제2승강바
76 : 제2승강롤러 78 : 제2승강부
80 : 푸쉬판 82 : 회동판
84 : 장력조절공 86 : 징력조절판
87 : 감지판 88 : 완충스프링
90 : 육묘상자완충수단 92 : 제2감지센서
94 : 걸림봉 96 : 리니어솔레노이드
98 : 슬라이딩공 100 : 슬라이딩판
102 : 장력조절구고정판 104 : 장력조절구
107 : 고정거치대 108 : 제1축
110 : 걸림판 112 : 경사판
114 : 육묘상자지지판 116 : 제2축
118 : 승강장력구 120 : 제3축
122 : 승강구 124 : 후방지지부
126 : 인출지지대 128 : 인출케이스
130 : 인출모터 132 : 인출피동기어
134 : 인출피동기어부 136 : 전달기어
138 : 제1체인기어 140 : 제1전달기어부
142 : 제2체인기어 144 : 제2전달기어부
146 : 전달체인 148 : 베어링공
150 : 이송구 152 : 이송베어링
154 : 이송축 156 : 이송판
158 : 걸림부 160 : 이송대
162 : 인출제어부 164 : 배출모터
166 : 배출컨베이어 168 : 배출풀리
170 : 배출벨트 172 : 배출축
174 : 높이조절공 176 : 지지봉고정구
178 : 배출벨트지지봉 180 : 원점센서돌기
182 : 정지센서돌기 184 : 정지센서
186 : 슬라이딩가이드 188 : 슬라이딩베어링
190 : 슬라이딩판 192 : 푸시판
194 : 푸시베어링 196 : 푸시대
198 : 연장대 200 : 상부링크대
202 : 링크고정판 204 : 하부링크대
206 : 링크축 208 : 걸림공
210 : 걸림판 212 : 걸림돌기
214 : 걸림고정판 216 : 승강구지지판
218 : 승강구지지판스프링 220 : 높이조절공
224 : 높이조절판 226 : 수량확인센서
228 : 버튼 230 : 파종모판수량표시부
232 : 보조롤러
14 : 모터 16 : 버튼
18 : 제어부 20 : 텐션기어
24 : 가속기어 26 : 제1피동기어
28 : 제2피동기어 30 : 지지핀
32 : 회전판 34 : 감지부
36 : 걸림부 38 : 걸림핀
40 : 텐션구 42 : 경사부
44 : 걸림홈 46 : 걸림기어
48 : 제1기어 50 : 돌출봉
52 : 제2기어 54 : 제1승강바
56 : 제1승강롤러 58 : 제1승강부
60 : 제1감지센서 62 : 제3기어
64 : 제4기어 66 : 역회전기어
68 : 스프링 70 : 고정봉
72 : 제5기어 74 : 제2승강바
76 : 제2승강롤러 78 : 제2승강부
80 : 푸쉬판 82 : 회동판
84 : 장력조절공 86 : 징력조절판
87 : 감지판 88 : 완충스프링
90 : 육묘상자완충수단 92 : 제2감지센서
94 : 걸림봉 96 : 리니어솔레노이드
98 : 슬라이딩공 100 : 슬라이딩판
102 : 장력조절구고정판 104 : 장력조절구
107 : 고정거치대 108 : 제1축
110 : 걸림판 112 : 경사판
114 : 육묘상자지지판 116 : 제2축
118 : 승강장력구 120 : 제3축
122 : 승강구 124 : 후방지지부
126 : 인출지지대 128 : 인출케이스
130 : 인출모터 132 : 인출피동기어
134 : 인출피동기어부 136 : 전달기어
138 : 제1체인기어 140 : 제1전달기어부
142 : 제2체인기어 144 : 제2전달기어부
146 : 전달체인 148 : 베어링공
150 : 이송구 152 : 이송베어링
154 : 이송축 156 : 이송판
158 : 걸림부 160 : 이송대
162 : 인출제어부 164 : 배출모터
166 : 배출컨베이어 168 : 배출풀리
170 : 배출벨트 172 : 배출축
174 : 높이조절공 176 : 지지봉고정구
178 : 배출벨트지지봉 180 : 원점센서돌기
182 : 정지센서돌기 184 : 정지센서
186 : 슬라이딩가이드 188 : 슬라이딩베어링
190 : 슬라이딩판 192 : 푸시판
194 : 푸시베어링 196 : 푸시대
198 : 연장대 200 : 상부링크대
202 : 링크고정판 204 : 하부링크대
206 : 링크축 208 : 걸림공
210 : 걸림판 212 : 걸림돌기
214 : 걸림고정판 216 : 승강구지지판
218 : 승강구지지판스프링 220 : 높이조절공
224 : 높이조절판 226 : 수량확인센서
228 : 버튼 230 : 파종모판수량표시부
232 : 보조롤러
Claims (5)
- 흙과 씨앗이 파종된 육묘상자(4)를 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받음과 아울러 육묘상자의 이동이 지정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정지되도록 하며, 지정된 위치에서 이동 정지된 육묘상자를 적층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지정된 수량으로 적층된 육묘상자(4)를 인출하는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2)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와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내측에 다수개의 컨베이어롤러가 구비되는 적층컨베이어(10);
상기 적층컨베이어(10) 하부에 연결 구비되며,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는 커버(12);
상기 커버(12)의 내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14);
상기 모터(14)와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전방에 다수개의 버튼(16)이 구비되어 모터(14)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18);
상기 커버(12)에 축설 구비됨과 아울러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모터(1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텐션기어(20);
상기 적층컨베이어(10) 상에 축설 구비됨과 아울러 텐션기어(2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내측에는 육묘상자(4)의 이송을 도모하는 합성수지재의 롤러가 구비되는 가속기어(24);
상기 적층컨베이어(10) 상에 가속기어(24) 타측에 이격 축설됨과 아울러 가속기어(2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내측에는 육묘상자(4)의 이송을 도모하는 합성수지재의 롤러가 구비되는 제1피동기어(26);
상기 적층컨베이어(10) 상에 제1피동기어(26) 타측에 이격 축설됨과 아울러 제1피동기어(26)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내측에는 육묘상자(4)의 이송을 도모하는 합성수지재의 롤러가 구비되는 제2피동기어(28);
상기 적층컨베이어(10) 상에 축설됨과 아울러 제1피동기어(26) 및 제2피동기어(28) 사이에 구비되며, 전방 내측에는 타측에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의 지지핀(30)이 형성되는 평판형의 회전판(32)이 구비되고, 회전판(32)의 외주연에는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감지부(34)가 형성되며, 지지핀(30)의 하부에는 사각의 각형으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일측에는 일측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됨과 아울러 끝단이 상향 절곡되어 걸림되도록 하는 걸림부(36)를 갖는 걸림핀(38)이 회전판(32)에 힌지 연결되며, 걸림핀(38) 및 회전판(32)에는 걸림핀(38)에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는 텐션구(40)가 구비되고, 회전판(32)의 전방에는 일방향으로만 부하회전됨과 아울러 다른방향으로는 공회전되며 방사상으로 톱니모양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만곡지게 형성되는 경사부(42) 및 경사부(42) 사이에 내입되는 걸림홈(44)이 형성되는 걸림기어(46)가 구비되며, 걸림기어(46)의 전방에는 모터(1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기어(48)가 구비되고, 후방에는 후방 내측에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봉(50)이 형성되는 제2기어(52)가 구비되며, 내측에는 서로 전후방으로 이격됨과 아울러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승강바(54)가 구비되고, 제1승강바(54) 각각의 하부에는 각각 축결합되는 제1승강롤러(56)가 구비되는 제1승강부(58);
상기 제1승강부(58)의 감지부(34)와 이격 구비되어 회전판(32)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제1감지센서(60);
상기 제1승강부(58)의 제2기어(52) 타측에는 적층컨베이어(10) 상에 축설됨과 아울러 제2기어(52)와 맞닿아 제2기어(52)와 역회전되도록 구비되는 제3기어(62)가 구비됨과 아울러 제3기어(62)의 후방에는 이격되어 제4기어(64)가 구비되는 역회전기어(66);
상기 역회전기어(66)의 타측에 구비됨과 아울러 적층컨베이어(10)에 연결 구비되며, 돌출봉(50)과 스프링(68)으로 연결되어 제2기어(52)에 장력을 공급하는 고정봉(70);
상기 적층컨베이어(10) 상에 축설됨과 아울러 후방측에 제4기어(64)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는 제5기어(72)가 구비되며, 내측에는 서로 전후방으로 이격됨과 아울러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제1승강바(54)와 대칭되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승강바(74)가 구비되고, 제2승강바(74) 각각의 하부에는 각각 축결합되는 제2승강롤러(76)가 구비되는 제2승강부(78);
상기 적층컨베이어(10) 상에 축설됨과 아울러 제2승강부(78)의 타측에 구비되며, 내측에는 일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과 아울러 이송되는 육묘상자(4)의 타측에 닿도록 형성되는 푸쉬판(80)이 구비되고, 전방에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회동되는 회동판(82)이 구비되며, 회동판(82)의 상부에는 일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 관통된 다수개의 장력조절공(84)이 형성되는 장력조절판(86)이 형성되고, 회동판(82)의 하부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감지판(87)이 형성되며, 장력조절공(84)의 일측에는 타측이 장력조절공(84)에 끼움 고정됨과 아울러 일측이 커버(14) 상에 결합되어 장력조절판(86)에 장력을 제공하는 완충스프링(88)이 구비되는 육묘상자완충수단(90);
상기 육묘상자완충수단(90)의 일측에 구비되어 감지판(87)의 회전을 감지하여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제2감지센서(92);
상기 육묘상자완충수단(9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2감지센서(92)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되며, 일측에는 연장된 일측이 걸림핀(38)의 하부에 걸림되는 걸림봉(94)이 구비되는 리니어솔레노이드(96);
상기 적층컨베이어(10)의 전방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됨과 아울러 양측 단부가 상부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연장형성된 양측에는 각각 걸림봉(94)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슬라이딩공(98)이 관통형성되는 슬라이딩판(100);
상기 리니어솔레노이드(96)의 걸림봉(94) 상에 연결 구비됨과 아울러 슬라이딩판(100)의 내측 일측에 밀착 구비되는 장력조절구고정판(102);
상기 리니어솔레노이드(96)의 걸림봉(94) 외주연에 끼움 구비됨과 아울러 장력조절구고정판(102)의 타측에 구비되며, 슬라이딩판(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걸림봉(94)에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조절구(104);
상기 적층컨베이어(10)의 상부 양측 및 전후방에 각각 대칭 구비되며, 각각은 하부가 절곡 형성된 평판 한 쌍이 양측 방향으로 이격 대칭 구비됨과 아울러 하부가 적층컨베이어(10)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거치대(107)가 구비되고, 고정거치대(107) 한 쌍의 내측에는 각각 일측에서 타측으로 축설되는 제1축(108)이 형성되며, 제1축(108)에는 각각의 적층컨베이어(10)의 외측방향으로 만곡 연장되는 걸림판(109)이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걸림판(109) 각각의 상부측에는 적층컨베이어(10)의 내측방향으로 각각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판(110)이 형성되고, 경사판(110) 각각의 단부에는 적층컨베이어(10)의 외측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육묘상자지지판(111)이 형성되며, 제1축(108) 각각의 외측에는 고정거치대(107)에 축설되는 제2축(112)이 형성되며, 제2축(112)의 내측 외주연에는 제2축(112)을 감싸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의 단부가 연장되어 걸림판(109) 및 적층컨베이어(10)의 상부에 지지되어 걸림판(109)에 일정한 장력을 공급하는 승강장력구(113)가 구비되고, 제1축(108)의 상부에는 고정거치대(107)에 축설됨과 아울러 걸림판(109) 및 경사판(110) 사이에 구비되는 제3축(114)이 형성되는 승강구(122);
상기 적층컨베이어(10) 상부 타측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후방지지부(124);
상기 적층컨베이어(10)의 상부에 이격 구비되며, 내측에는 수용 가능한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적층컨베이어(10)의 상부와 연결되는 인출지지대(126)를 갖는 인출케이스(128);
상기 인출케이스(128)의 내측에 구비되며, 회전력을 제공하는 인출모터(130);
상기 인출케이스(128)의 내측에 양측으로 축 연결 구비되며, 축 상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인출피동기어(132)가 구비되어 인출모터(13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인출피동기어부(134);
상기 인출피동기어부(134)의 전방에 한 쌍이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칭 구비되며, 각각은 인출케이스(128)의 내측에 서로 마주하는 반대측이 축 연결 구비되고, 각각에는 인출피동기어(13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전달기어(136)가 구비되며, 전달기어(136)가 마주하는 방향에는 각각 제1체인기어(138)가 구비되는 제1전달기어부(140);
상기 제1전달기어부(140)와 이격된 전방에 한 쌍이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칭 구비되며, 각각은 인출케이스(128)의 내측에 서로 마주하는 반대측이 축 연결 구비되고, 각각에는 제1체인기어(138)와 대응되는 제2체인기어(142)가 구비되는 제2전달기어부(144);
상기 제1체인기어(138) 및 제2체인기어(142)와 연결되어 제1체인기어(138)의 회전력을 제2체인기어(142)에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전달체인(146);
상기 전달체인(146) 한 쌍의 사이에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며, 내측에는 양측으로 관통된 장공 형상의 베어링공(148)이 형성되는 이송구(150);
상기 이송구(150)의 베어링공(148)에 원통형의 축으로 형성되어 삽입 구비되며, 양측은 연장되어 단부가 각각 전달체인(146)에 연결 고정되고, 축 상에는 베어링공(148)에 안착되어 상하로 이송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베어링(152)을 갖는 이송축(154);
상기 이송구(150)의 하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되는 이송판(156);
상기 이송판(156)의 하부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연결 구비되며, 하부가 하부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연장된 단부에는 후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육묘상자(4)의 하부를 지지하는 걸림부(158)가 형성되는 이송대(160);
상기 인출케이스(128) 상에 구비됨과 아울러 제1감지센서(60) 및 제2감지센서(92)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리니어솔레노이드(96) 및 인출모터(13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인출제어부(162);
상기 이송대(160)의 후방에 구비되어 적층된 육묘상자(4)를 공급받으며, 회전력을 공급하는 배출모터(164)가 구비되는 배출컨베이어(166);
상기 배출컨베이어(166) 상에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 축설 구비되며, 배출모터(164)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고, 내측에는 각각 이격되어 배출풀리(168)가 구비되며, 배출풀리(168) 상에는 배출벨트(170)가 연결 구비되어 상호 회전력이 동기화 되는 배출축(172);
상기 배출컨베이어(166) 내측 양측에 대칭되게 상하로 장공 형상으로 관통 형성됨과 아울러 배출축(172)이 이격된 사이에 형성되는 높이조절공(174);
상기 높이조절공(174)이 마주하는 배출컨베이어(166) 상에 판형으로 형성되어 높이조절공(174)과 결합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높이조절공(174)에 대응되게 관통된 통공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지봉고정구(176);
상기 지지봉고정구(176)가 마주하는 사이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각각 지지봉고정구(176)의 상부에 연결 구비되며, 상부가 권취된 배출벨트(170)의 내측 상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배출벨트지지봉(17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구(150)의 상부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원점센서돌기(180) 및 정지센서돌기(181)가 형성되며, 원점센서돌기(180) 및 정지센서돌기(181) 한 쌍의 상부에는 한 쌍이 이격 구비됨과 아울러 하부가 인출케이스(128)에 고정되고, 원점센서돌기(180) 및 정지센서돌기(181)와 각각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접촉된 신호를 인출제어부(162)로 전송하는 원점센서(182) 및 정지센서(184)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케이스(128)의 하부에는 서로 이격됨과 아울러 마주하는 반대측이 개방된 각형의 파이프 형상을 갖는 슬라이딩가이드(186)가 구비되며, 슬라이딩가이드(186) 각각에는 내입되는 다수개의 슬라이딩베어링(188)이 구비되고, 슬라이딩베어링(188)은 각각 외측에 평판형으로 구비되는 슬라이딩판(190)에 축 상으로 연결되며, 슬라이딩판(190)의 하부는 이송판(156)의 상부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판(156)의 상부 전방에는 양측으로 이격된 한 쌍의 푸시판(192)이 구비되며, 각각의 푸시판(192)의 전방에는 양측으로 대칭 구비되고, 푸시판(192)의 이동에 의해 전방으로 밀림됨과 아울러 푸시판(192)과 인접한 단부에 푸시베어링(194)을 갖는 푸시대(196)가 구비되며, 푸시대(196) 각각에는 푸시베어링(194)의 반대측에 축 연결됨과 아울러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대(198)가 구비되고, 연장대(198)에는 연장대(198)와 축 연결되는 상부링크대(200)가 구비되며, 상부링크대(200) 각각의 하부에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후방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후방이 인출케이스(128)의 하부에 고정되는 링크고정판(202)이 구비되고, 링크고정판(202)의 하부에는 각각 이격되어 하부링크대(204)가 구비되며, 상부링크대(200), 링크고정판(202) 및 하부링크대(204)는 원통형의 링크축(206)에 의해 회동되도록 축 연결되며, 하부링크대(204)에는 내측에 상하로 관통된 장공 형상의 걸림공(208)을 갖는 걸림판(210)이 축 연결되고, 걸림판(210)의 하부에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적층컨베이어(10)의 상부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에는 원통형으로 돌출되어 걸림공(208)에 관통되는 걸림돌기(212)를 갖는 걸림고정판(214)이 구비되며, 승강구(122)와 인접한 걸림고정판(214)측에는 상부로 판형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전방측 단부가 절곡되어 승강구(122)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승강구지지판(216)이 구비되고, 승강구지지판(216) 및 승강구(122) 사이에는 장력을 제공하는 승강구지지판스프링(218)의 양측이 각각 연결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고정구(176) 및 배출벨트지지봉(178)은 다수개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6278A KR102035982B1 (ko) | 2019-08-29 | 2019-08-29 |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6278A KR102035982B1 (ko) | 2019-08-29 | 2019-08-29 |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35982B1 true KR102035982B1 (ko) | 2019-10-24 |
Family
ID=68423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6278A KR102035982B1 (ko) | 2019-08-29 | 2019-08-29 |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35982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817351A (zh) * | 2019-12-18 | 2020-02-21 | 昀智科技(北京)有限责任公司 | 一种智能化多功能传送系统的上下料模组及设计方法 |
CN114148734A (zh) * | 2021-11-10 | 2022-03-08 | 重庆宜居门业有限公司 | 一种门体网格板卡合用辅助控制结构 |
WO2022094797A1 (zh) * | 2020-11-04 | 2022-05-12 | 唐山圣因海洋科技有限公司 | 一种物资自动分类码放仓储设备 |
CN114620471A (zh) * | 2022-03-11 | 2022-06-14 | 浙江陆记鸿昌环保装备有限公司 | 一种可任选码垛尺寸的分砖装置 |
CN115400857A (zh) * | 2021-05-28 | 2022-11-29 | 湖州新开元碎石有限公司 | 一种用于机制砂石粉含量控制的调节装置 |
CN117296611A (zh) * | 2023-11-29 | 2023-12-29 | 河北博超温室设备有限公司 | 一种具有自循环育苗功能的智能苗床输送装置 |
CN118458109A (zh) * | 2024-07-11 | 2024-08-09 | 龙门实验室 | 基于自主导航的无人驾驶农机精准作业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78861A (ja) * | 1992-03-31 | 1993-10-26 | Suzuki Motor Corp | 凝集パターン判定用プレート移送装置 |
KR101738835B1 (ko) * | 2017-01-11 | 2017-05-22 | 정지현 |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
KR101904696B1 (ko) * | 2018-05-24 | 2018-10-04 | 구진섭 |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
KR101928247B1 (ko) | 2018-08-27 | 2018-12-11 | 구기현 |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
-
2019
- 2019-08-29 KR KR1020190106278A patent/KR10203598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78861A (ja) * | 1992-03-31 | 1993-10-26 | Suzuki Motor Corp | 凝集パターン判定用プレート移送装置 |
KR101738835B1 (ko) * | 2017-01-11 | 2017-05-22 | 정지현 |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
KR101904696B1 (ko) * | 2018-05-24 | 2018-10-04 | 구진섭 |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
KR101928247B1 (ko) | 2018-08-27 | 2018-12-11 | 구기현 |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817351A (zh) * | 2019-12-18 | 2020-02-21 | 昀智科技(北京)有限责任公司 | 一种智能化多功能传送系统的上下料模组及设计方法 |
WO2022094797A1 (zh) * | 2020-11-04 | 2022-05-12 | 唐山圣因海洋科技有限公司 | 一种物资自动分类码放仓储设备 |
CN115400857A (zh) * | 2021-05-28 | 2022-11-29 | 湖州新开元碎石有限公司 | 一种用于机制砂石粉含量控制的调节装置 |
CN114148734A (zh) * | 2021-11-10 | 2022-03-08 | 重庆宜居门业有限公司 | 一种门体网格板卡合用辅助控制结构 |
CN114620471A (zh) * | 2022-03-11 | 2022-06-14 | 浙江陆记鸿昌环保装备有限公司 | 一种可任选码垛尺寸的分砖装置 |
CN117296611A (zh) * | 2023-11-29 | 2023-12-29 | 河北博超温室设备有限公司 | 一种具有自循环育苗功能的智能苗床输送装置 |
CN117296611B (zh) * | 2023-11-29 | 2024-02-23 | 河北博超温室设备有限公司 | 一种具有自循环育苗功能的智能苗床输送装置 |
CN118458109A (zh) * | 2024-07-11 | 2024-08-09 | 龙门实验室 | 基于自主导航的无人驾驶农机精准作业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35982B1 (ko) | 육묘상자 완충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 |
KR101738835B1 (ko) |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 |
KR101928247B1 (ko) |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 |
KR101740876B1 (ko) | 육묘상자 적층장치 | |
KR102033283B1 (ko) | 육묘상자용 파렛트 적재장치 | |
KR101039193B1 (ko) | 육묘 상자 이송장치 | |
KR101868578B1 (ko) | 육묘 파종기용 배출모판 적층장치 | |
KR101904696B1 (ko) |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 | |
CN110027900A (zh) | 生产流水线及送料装置 | |
KR200472722Y1 (ko) | 육묘상자 적층 및 적출기 | |
KR101935990B1 (ko) | 철판 적재타워 | |
KR101936280B1 (ko) | 육묘상자 인출장치 | |
KR20210072390A (ko) | 육묘상자 공급장치 | |
KR20160137923A (ko) | 육묘상자 적재장치 | |
JP6682468B2 (ja) | 育苗箱積載及び引出装置 | |
CN110027899A (zh) | 生产流水线、送料装置及接驳机构 | |
JP2020171222A (ja) | 育苗容器積み上げ取出方法および育苗容器積み上げ取出装置 | |
KR20140108401A (ko) | 목재 적재 장치 | |
KR101970445B1 (ko) | 육묘상자 진입방지 수단을 갖는 육묘상자 적층장치 | |
KR102035981B1 (ko) | 육묘상자 이송 컨베이어용 육묘상자 감지 및 감속장치 | |
KR20170004920A (ko) | 육묘상자 및 이의 투입장치 | |
JP6550248B2 (ja) | 育苗箱自動供給装置 | |
JP2019135191A (ja) | 果菜自動箱詰め排出方法、果菜収容箱自動積み重ね排出方法、果菜自動箱詰め排出装置、果菜収容箱自動積み重ね排出装置 | |
CN220054607U (zh) | 穴盘自动搬运装置 | |
KR102088208B1 (ko) | 육묘상자 랩핑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