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518B1 -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518B1
KR102035518B1 KR1020180032500A KR20180032500A KR102035518B1 KR 102035518 B1 KR102035518 B1 KR 102035518B1 KR 1020180032500 A KR1020180032500 A KR 1020180032500A KR 20180032500 A KR20180032500 A KR 20180032500A KR 102035518 B1 KR102035518 B1 KR 102035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haft
main body
water
horizontal
rea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0712A (ko
Inventor
이강민
김상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비엘
김상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비엘, 김상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비엘
Priority to KR1020180032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518B1/ko
Publication of KR20190110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5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2Dispensing valves entirely mecha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06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in which the closing movement, either retarded or not, starts immediately afte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용 파우셋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우셋 내부 전후방측에서 각각 이중으로 실링이 이루어짐에 따라 불필요한 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중 실링 파우셋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은, 후방측으로부터 물이 유입되고, 하측으로 물이 토출되도록 토수구가 형성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전후 수평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메인바디의 토수 후방측에서 메인바디의 내부 유로를 개폐하는 제1수평샤프트와;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서 상기 제1수평샤프트)의 후방측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수평샤프트의 전후 이동에 따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 후방측에서 유로를 개폐하는 제2수평샤프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DOUBLE SEALING PAUCET FOR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용 파우셋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우셋 내부 전후방측에서 각각 이중으로 실링이 이루어짐에 따라 불필요한 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중 실링 파우셋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필터를 이용하여 원수를 정화하고, 정화된 정수를 냉각 수단으로 냉각하거나, 가열 수단으로 가열하거나 또는 실온 상태에서 바로 토출함으로써 냉수, 온수 및 정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공급한다.
이러한 정수기는 취수레버를 누르는 등의 조작에 의해 냉수, 온수 또는 정수를 사용자에게 선택적으로 공급하는데, 정수기용 파우셋은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9454호와 같이 유입로가 형성된 수평 관체 및 하부에 토수구가 형성된 수직 관체를 포함하며, 수직 관체 내부에 설치된 개폐부를 취수레버로 개폐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취수레버는 토수구의 하부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컵이나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코크 밸브 몸체의 상단부에서 내부에 수직으로 배치된 샤프트와 힌지 결합되어 취수레버의 하부를 후방측으로 눌러 일정 각도 회동시키는 경우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취수레버의 상단에 힌지 결합된 샤프트가 상승하여 수직 샤프트의 하단에 구비된 밀폐구가 토수구로부터 분리 이탈됨에 따라 토수구를 개방시켜 물이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거의 모든 정수기용 파우셋(코크) 장치에 널리 채택된 통상적인 구조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이러한 통상적인 정수기용 파우셋 구조에 따르면, 물의 단속을 위해 수직 샤프트 및 수평 샤프트와 같이 2개의 샤프트를 구비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수직 샤프트와 수평 샤프트를 독립적으로 작동 시켜야 함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수직 샤프트를 수용하기 위한 수직 관체와 수평 샤프트를 수용하기 위한 수평 관체가 구비되어 전체적인 부피가 커지는 문제와, 실링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불필요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945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725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945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2180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정수기용 파우셋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파우셋 전체의 부피를 줄이고, 파우셋 내부 전후방측에서 각각 이중으로 실링이 이루어짐에 따라 불필요한 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용 파우셋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은, 후방측으로부터 물이 유입되고, 하측으로 물이 토출되도록 토수구가 형성된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전후 수평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메인바디의 토수 후방측에서 메인바디의 내부 유로를 개폐하는 제1수평샤프트와;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서 상기 제1수평샤프트)의 후방측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수평샤프트의 전후 이동에 따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 후방측에서 유로를 개폐하는 제2수평샤프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수평샤프트의 유로 개폐와 제2수평샤프트의 유로 개폐가 시간차를 두고 수행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수평샤프트와 제2수평샤프트는 메인바디의 내부 유로를 각각 폐쇄한 상태에서 서로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수평샤프트의 후단부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샤프트의 전단부에는 상기 오목홈에 상응하는 전방돌출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수평샤프트의 후단측 외주면에는 제1실링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수평샤프트의 후단측 외주면에는 제2실링부재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바디의 토수구 후방측 내부 윤곽은 후방측 직경이 더 크게 확장되어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수평샤프트의 제1실링부재가 상기 단차부의 경계에 접촉 또는 분리되어 유로를 개폐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의 후방측 내주면에 삽입 결합되는 밸브시트체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밸브시트체는 중앙에 상기 제2수평샤프트가 관통 삽입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샤프트의 제2실링부재가 상기 밸브시트체의 중공 후단측에 접촉 또는 분리되어 유로를 개폐한다.
한편, 상기 메인바디의 전방측을 커버하고, 전후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후방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수평샤프트를 후방측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전방커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방커버는 메인바디의 전방 개구를 덮되, 상기 제1수평샤프트의 전단부를 가압 이동시키는 전방캡과; 상기 전방캡의 양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며 전후 길이 방향으로 상기 메인바디의 측면에 형성된 회동축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장공 형태의 가이드공이 형성된 가이드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의 측면에 형성된 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취수레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취수레버의 상단에는 취수레버의 누름 작동시 회동되면서 상기 전방커버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캠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편의 후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취수레버의 캠부에 접촉되는 캠접촉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바디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누름 및 누름 해제 동작에 따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방캡과; 상기 전방캡과 제1수평샤프트 사이에 개재되는 토글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파우셋 전체의 부피를 줄이고, 파우셋 내부 전후방측에서 각각 이중으로 실링이 이루어짐에 따라 불필요한 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수평샤프트와 제2수평샤프트가 시간차를 두고 이중으로 개폐되기 때문에 실수에 의한 조작이나 부품의 유격 등에 의한 불필요한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의 분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의 제1수평샤프트와 제2수평샤프트의 사시도,
도 4 는 취수레버에 의해 전방커버가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의 측단면도,
도 6a 및 도 6b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의 순차적인 작동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의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의 분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의 부분 분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 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의 구성 및 작동 관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파우셋은 메인바디(100), 제1수평샤프트(110) 및 제2수평샤프트(120)를 포함한다.
메인바디(100)는 공급된 물을 일시 수용하여 외부로 토출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관체로 구성되어 내부 유로가 형성되며, 후방측에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105a)가 형성되고, 전방측 하부에 유입된 물이 배출되는 토수구(10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105)는 메인바디(10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디(100)의 개구된 후단측에 결합되는 별도의 후방커버(105)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100)의 좌우 양측에는 후술하는 취수레버(15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동축(103)이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메인바디(100)의 전방측은 후술하는 제1수평샤프트(110)가 관통 배치될 수 있도록 개구 형성되고 후술하는 전방커버(130)에 의해 커버된다.
제1수평샤프트(110)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측에 전후 방향으로 수평 배치되고, 후술하는 전방커버(130)에 의해 전후 수평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메인바디(100) 내측 유로를 1차적으로 개폐한다. 또한, 제2수평샤프트(120)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측에서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수평샤프트(120)의 전후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함께 전후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메인바디(100) 내측의 유로를 2차적으로 개폐한다. 여기서,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가 메인바디(100)의 내부 유로를 개폐하는 실링 부위(제1실링부위)와 상기 제2수평샤프트(120)가 메인바디(100)의 내부 유로를 개폐하는 실링 부위(제2실링부위)는 서로 상이하다. 즉,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와 제2수평샤프트(12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부 유로를 각각 개폐한다.
한편,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의 제1실링부위에서의 개폐 작용과 제2수평샤프트(120)의 제2실링부위에서의 개폐 작용은 시간차를 두고 수행된다.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는 전방커버(130)에 의해 전후 이동되고, 상기 제2수평샤프트(120)는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에 의해 전후 이동되는 바,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와 제2수평샤프트(120) 사이에 소정의 유격(G)이 존재하여, 전방커버(130)가 후방측으로 이동시 제1수평샤프트(110)가 먼저 후방측으로 이동된 후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제2수평샤프트(120)가 후방측으로 이동되어 메인바디(100)의 내부 유로가 제1실링부위와 제2실링부위에서 시간차를 두고 개방된다. 또한, 전방커버(130)가 후방측으로 이동되었다가 전방측으로 다시 복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수평샤프트(120)의 제2실링부위에서 먼저 유로 폐쇄가 이루어지고, 그후 시간차를 두고 제1수평샤프트(110)의 제1실링부위에서 유로 폐쇄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수평샤프트(110)와 제2수평샤프트(120)가 시간차를 두고 이중으로 개폐되기 때문에 실수에 의한 조작이나 부품의 유격 등에 의한 불필요한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이중 개폐(이중 실링)를 위한 구체적인 구조와 작동 관계는 추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에는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와 제2수평샤프트(120)의 구성과 상대적인 배치 관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는 대체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봉 형상 부재로 구성되고, 후단측 외주면에 제1실링부재(112)가 구비된다. 상기 제1실링부재(112)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재질의 오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와 일체로 형성된 볼록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의 후단부에는 오목홈(114)이 형성된다. 상기 오목홈(114)은 후술하는 제2수평샤프트(120)의 전방돌출부(12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함몰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의 후단부 둘레에는 메인바디(100)의 내부 유로 내경에 상응하는 직경을 갖는 가이드디스크(116)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디스크(116)는 메인바디(100) 내부에서 제1수평샤프트(110)가 전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 유동 없이 안정적을 안내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가이드디스크(116)에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유통공(116a)을 구비하여 메인바디(100)의 후방측으로 부터 유입된 물이 전방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수평샤프트(120)는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봉 형상 부재로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 보다는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수평샤프트(120)의 후단측 외주면에는 제2실링부재(122)가 구비된다. 상기 제2실링부재(122) 역시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구성된 오링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2수평샤프트(120)에 일체로 형성된 볼록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샤프트의 전단부에는 전방돌출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전방돌출부(124)는 제1수평샤프트(110)의 후단부에 형성된 오목홈(114)의 깊이에 상응하는 길이와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수평샤프트(120)의 전단측에는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의 가이드샤프트와 대향하는 접촉판(126)이 형성된다. 상기 접촉판(126)은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가 후방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가이드디스크(116)와 접촉됨에 따라 제2수평샤프트(120)가 후방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1수평샤프트(110)의 오목홈(114)과 제2수평샤프트(120)의 전방돌출부(124)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와 제2수평샤프트(120)가 서로 시간차를 두고 메인바디(100)의 유로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와 제2수평샤프트(120)는 유로가 모두 개폐된 상태를 기준으로 서로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 상태에 있고, 제1수평샤프트(110)가 후방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먼저 제1실링부위에서 유로가 개방되고 뒤이어 제1수평샤프트(110)가 제2수평샤프트(120)를 후방측으로 밀어 제2수평샤프트(120)에 의해 제2실링부위에서 유로가 개방된다. 그런데, 제1수평샤프트(110)가 후방측으로 이동하는 초기에는 제2수평샤프트(120)의 전방돌출부(124)가 제1수평샤프트(110)의 오목홈(114)에 삽입되는바, 이렇게 전방돌출부(124)가 오목홈(114)에 삽입되는 동안에는 제1수평샤프트(110)와 제2수평샤프트(120)가 서로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제2수평샤프트(120)에 의하 유로 개방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는다. 제1수평샤프트(110)가 계속 후방측으로 이동시 전방돌출부(124)가 오목홈(114)의 최대 깊이 만큼 삽입되면 비로소 제1수평샤프트(110)와 제2수평샤프트(120)가 서로 접촉된다. 이에 따라, 제2수평샤프트(120)가 후방측으로 밀려 제2실링부위에서 유로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유로 폐쇄의 경우에는 반대로 제2수평샤프트(120)에 의한 제2실링부위에서의 유로 폐쇄가 먼저 수행되고, 그 후 시간차를 두고 제1수평샤프트(110)에 의한 제1실링부위에서의 유로 폐쇄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의 제1실링부재(112)와 제2수평사프트의 제2실링부재(122)에 의해 유로가 개폐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부 윤곽 형상은 상기 제1실링부위와 제2실링부위에서 단차지게 형성된다. 도 5 에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우셋의 결합 단면도가 도시되고, 여기에 상기 제1실링부위(A)와 제2실링부위(B)가 표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링부위(A)는 토수구(102)의 후방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1실링부위(A)의 형성을 위해 상기 메인바디(100)의 직경이 토수구(102)의 후방측에서 더 크게 확장되어 단차부가 형성된다. 즉, 유로의 직경이 넓어진다.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의 제1실링부재(112)가 상기 단차부의 경계에 접촉 또는 분리되어 유로를 개폐한다. 상기 제1실링부재(112)가 단차부의 경계와 기밀하게 접할 수 있도록,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의 경계에 후방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테이퍼지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실링부위(B)는 상기 제1실링부위(A)의 후방측에 위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부 후방측에도 단차부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100)의 후방측 단차부는 메인바디(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부품의 조립 편의성을 위하여 별도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부 후방측에는 제2실링부위(B)의 형성을 위한 밸브시트체(140)가 삽입 결합된다.
도 2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시트체(140)는 중앙에 상기 제2수평샤프트(120)가 관통 삽입되도록 중공이 형성된 관체 내지는 원형 블록체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부 후방측 내주면에 끼움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시트체(140)의 중공의 직경은 상기 제2수평샤프트(120)의 제2실링부재(122)가 위치된 부분의 직경 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시트체(140)의 외주면에는 메인바디(100)의 내주면과의 간극을 통하여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별도의 오링이 끼워진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시트체(140)의 중공의 직경과 상기 밸브시트체(140)의 후방측 메인바디(100)의 내주면 직경의 차이로 인하여 단차부가 형성된다. 즉, 상기 밸브체의 중공 후단측에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샤프트(120)의 제2실링부재(122)가 상기 중공 후단측의 단차부에 접촉되거나 분리됨에 의해 유로를 개폐한다. 상기 밸브시트체(140)의 중공 후단측과 제2실링부재(122)의 기밀한 접촉을 위해 상기 밸브의 중공부 후단 내주면에는 후방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테이퍼지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와 제2수평샤프트(120)는 후방측으로 이동되어 유로를 개방한 후 다시 본래 위치로 복귀되어 유로를 폐쇄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이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와 제2수평샤프트(120)를 복귀시키기 위해 제1탄성부재(118)와 제2탄성부재(128)가 각각 구비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탄성부재(118)는 전단이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의 가이드디스크(116)에 지지되고 후단은 상기 밸브시트체(140)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2탄성부재(128)는 전단이 상기 제2수평샤프트(120)의 접촉판(126)에 지지되고 후단은 상기 밸브시트체(140)에 지지된다.
한편, 상기 메인바디(100)의 전방측에는 전방커버(130)가 결합된다. 상기 전방커버(130)는 메인바디(100)의 전방 개구를 덮고 상기 메인바디(100)의 전방 개구를 통과한 제1수평샤프트(110)의 전단부를 가압하기 위한 전방캡(132)과, 상기 전방캡(132)의 양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며 전후 길이 방향으로 상기 메인바디(100)의 측면에 형성된 회동축(103)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장공 형태의 가이드공(134a)이 형성된 가이드편(134)과, 상기 가이드편(134)의 후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취수레버(150)의 캠부(156)에 접촉되는 캠접촉부(136)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캡(132)은 상기 메인바디(100)의 전방개구를 덮도록 메인바디(100)의 전방 개구 직경 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메인바디(100)의 전방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도록 전방은 막히고 후방측이 오목하게 함몰되어 개방된 캡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방캡(132)도 후방측으로 이동후 다시 본래 위치로 복귀되는 바, 이러한 복귀 동작을 위해 제3탄성부재(138)가 추가로 구비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탄성부재(138)는 전단이 상기 전방캡(132)의 전방측 내벽에 지지되고 후단은 상기 메인바디(100)의 전단부에 지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캡(132)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을 위한 유격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메인바디(100)의 전단 두께 부분에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환형의 요홈(104)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04)에 제3탄성부재(138)의 후단이 삽입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전방커버(130)가 메인바디(100)의 전방 개구를 덮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후방측으로 이동되었다가 누름 동작을 해제하면 제3탄성부재(138)에 의해 본래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상기 메인바디(100)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회동축(103)이 상기 가이드편(134)의 가이드공(134a)에 삽입된 결합되어, 전방커버(130)의 이동시 회동축(103)이 상기 가이드공(134a)을 따라 안내되어 전방캡(132)의 안정적인 이동이 보장된다.
상기 전방커버(130)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전방캡(132) 부분을 누르거나 누름 해제하는 방식으로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도 있으나, 일반 정수기용 파우셋과 같이 취수레버(150)에 의해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 에 이러한 취수레버(150)의 상세 구성이 도시된다. 취수레버(150)는 사용자가 컵이나 손을 이용하여 눌러 회동시킴에 따라 메인바디(100)의 토수구(102)를 통하여 물이 배출되도록 작동을 개시하는 레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상기 메인바디(100)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회동축(10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취수레버(150)의 하부에는 컵의 외주면이 닿을 수 있도록 넓은 면을 형성하는 누름면(152)이 형성되고, 상기 누름면(152)의 좌우 양측에는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측면연장부(15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연장부(154)의 상단에는 캠부(156)가 형성된다.
상기 캠부(156)는 취수레버(150)의 누름 작동시 회동되면서 상기 전방커버(130)의 가이드편(134) 후단측에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캠접촉부(136)를 후방측으로 가압 이동시키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 측면연장부(154)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블럭 형태로 구성된다. 즉, 상기 캠부(156)는 취수레버(150)를 후방측으로 밀어 소정 각도 회동시키는 경우에 하단 모서리 부분이 전방커버(130)의 캠접촉부(136)를 후방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상기 모서리 부분은 전방커버(130)를 후방측으로 비교적 멀리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각지게 형성될 수도 있고, 원활한 회전을 위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 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가 단면도로 도시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의 작동 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최초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의 제1실링부재(112)는 메인바디(100)의 제1실링부위(A)를 폐쇄한 상태에 있고, 제2수평샤프트(120)의 제2실링부재(122)는 제2실링부위(B), 보다 구체적으로는 밸브시트체(140)의 중공 후단측을 폐쇄한 상태에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와 제2수평샤프트(120)는 서로 완전히 접촉되지 않고 소정 간격(G) 이격된 상태에 있다. 현 상태에서,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레버(150)를 누르거나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상기 전방커버(130)의 전방캡(132) 부분을 누르면, 전방캡(132)이 후방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수평샤프트(110)를 후방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제1수평샤프트(110)가 후방측으로 이동하여 제1실링부재(112)가 제1실링부위의 단차부로 부터 이격되어 유로가 개방된다. 여기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와 제2수평샤프트(120)가 서로 소정 간격(G)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제2수평샤프트(120)는 움직이지 않고 유로를 폐쇄한 상태에 있다. 현 상태에서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가 후방측으로 더욱 이동되면,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평샤프트(110)가 제2수평샤프트(120)와 접촉되면서 제2수평샤프트(120)를 후방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제2수평샤프트(120)가 후방측으로 이동되어 제2실링부위(B)의 유로가 개방된다. 유로의 폐쇄는 이와 역순으로 수행된다. 취수레버(150) 또는 전방커버(130)의 누름을 해제하면, 제3탄성부재(138)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캡(132)이 전방측으로 복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캡(132)에 의한 제1수평샤프트(110)의 후방측으로의 가압이 해제되고 제1탄성부재(118)의 복원력에 의해 제1수평샤프트(110)가 전방측으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제2샤프트도 제2탄성부재(128)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측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제1수평샤프트(110)의 이동 거리가 제2수평샤프트(120)의 이동 거리 보다 더 길기 때문에 상기 제2수평샤프트(120)의 제2실링부재(122)에 의해 제2실링부위(B)의 폐쇄가 먼저 수행된다. 그 다음, 상기 전방커버(130)가 전방측으로 완전히 복귀되면, 제1수평샤프트(110)도 본래 위치로 완전히 복귀되어 제1실링부재(112)에 의해 제1실링부위(A)가 폐쇄된다.
이와 같이, 메인바디(100) 내부의 유로는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와 제2수평샤프트(120)의 시간차를 두고 이중으로 개폐되므로, 실수로 취수레버(150) 또는 전방커버(130)가 살짝 눌려지는 경우 제1수평샤프트(110)에 의한 유로 개방은 이루어지더라도 제2수평샤프트(120)에 의해 유로가 폐쇄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불필요하게 물이 토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10 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 구조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메인바디(100), 전방커버(130), 제1수평샤프트(110), 제2수평샤프트(120), 밸브시트체(140) 및 후방커버(105)와 같은 구성을 공통으로 포함하되, 여기에 추가적으로 토글수단(toggle means;160)이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토글수단(160)은 보통 똑딱이식 볼펜에 채용되어 버튼을 한번 누르면 볼펜심이 나온 상태로 미복귀하고, 다시 한번 누르면 볼펜심이 원위치로 복귀되어 들어가도록 하게 하는 것으로, 미복귀 버튼이라 칭하기도 한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와 전방커버(130)의 전방캡(132) 사이에 상기 토글수단(160)을 배치함으로써, 전방캡(132) 부분을 한번 누르면 제1수평샤프트(110)가 후방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복귀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되어 유로가 개방되고, 다시 한번 전방캡(132)을 누르는 경우 다시 제1수평샤프트(110)가 전방측으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글수단(160)은 구동기어편(162)과 걸림기어편(164)을 포함하는데, 상기 구동기어편(162)의 전방측은 전방캡(132)에 결합되고 내측 중공에는 후방측으로부터 걸림기어편(164)이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기어편(164)은 구동기어편(162)의 전후 수평 이동에 따라 회전과 동시에 전후방측으로 일정 거리 슬라이딩 이동된다. 또한, 공지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기어편(162)의 전방측 연단부에는 경사면이 있어서 구동기어편(162)이 걸림기어편(164)을 후방측으로 밀면, 걸림기어편(164)은 후방측으로 약간 이동하면서 설정된 각도로 회전한다. 또한, 걸림기어편(164)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마다 걸림부가 반복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기어편(164)은 후방측에서 제1수평샤프트(110)와 결합되고,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의 후방측에는 제2수평샤프트(120)가 배치된다. 상기 토글수단(160)에 의해 된다. 이러한 구동기어편(162)과 걸림기어편(164)을 포함하는 토글수단(160)은 볼펜 등에 흔하게 사용되는 구조로서 이미 공지된 구성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전방캡(132)를 누르면 토글수단(16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와 제2수평샤프트(120)가 후방측으로 이동된 상태로 고정되고, 전방캡(132)을 다시 한번 누르면 제1수평샤프트(110)와 제2수평샤프트(120)가 전방측으로 복귀된다.
기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우셋의 다른 구성들은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설계 변경 가능하다. 예컨대, 도 8 내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커버(130)의 전방캡(132)과 가이드편(134)이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2수평샤프트(120)의 전방측에 메인바디(100) 전방개구를 통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고, 제1탄성부재(118)가 제1수평샤프트(110)와 제2수평샤프트(120) 사이에 배치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파우셋의 작동을 위해 취수레버(150)를 누르거나 사용자가 전방캡(132)을 직접 누르는 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2실시예에 따른 파우셋의 작동은 상기 토글수단(160)에 의해 제1수평샤프트(110)와 제2수평샤프트(120)가 후방측으로 이동후 일시적으로 고정되었다가 다시 복귀되도록 작동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작동한다. 즉,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와 제2수평샤프트(120)가 메인바디(100)의 내부 유로를 이중으로 실링함과 아울러 서로 시간차를 두고 개폐됨에 따라 불필요한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 메인바디 102 : 토수구
105 : 후방커버 105a : 입수구
103 : 회동축 104 : 요홈
110 : 제1수평샤프트 112 : 제1실링부재
114 : 오목홈 116 : 가이드디스크
116a : 유통공 118 : 제1탄성부재
120 : 제2수평샤프트 122 : 제2실링부재
124 : 전방돌출부 126 : 접촉판
128 : 제2탄성부재 130 : 전방커버
132 : 전방캡 134 : 가이드편
134a : 가이드공 136 : 캠접촉부
138 : 제3탄성부재 140 : 밸브시트체
150 : 취수레버 152 : 누름면
154 : 측면연장부 156 : 캠부
160 : 토글수단 162 : 구동기어편
164 : 걸림기어편

Claims (12)

  1. 후방측에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105a)가 형성되고, 하측으로 물이 토출되도록 토수구(102)가 형성되며, 상기 토수구(102)의 후방측에서 직경이 더 크게 확장되어 단차지게 형성된 제1실링부위(A)를 포함하는 메인바디(100)와;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측 전방측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전후 수평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메인바디(100)의 토수구(102) 후방측에서 상기 제1실링부위(A)를 개폐하는 제1수평샤프트(110)와;
    상기 메인바디(100)의 전방측을 커버하고, 전후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후방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를 후방측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전방커버(130)와;
    상기 메인바디(100)의 후방측 내주면에 결합되고 중앙에는 수평하게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 후단측에 형성된 제2실링부위(B)를 포함하는 밸브시트체(140)와;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측에서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의 후방측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되, 후방 단부가 상기 밸브시트체(140)의 중공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의 전후 이동에 따라 전후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부 후방측에서 상기 밸브시트체(140)의 제2실링부위(B)를 개폐하는 제2수평샤프트(120)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의 후단부에는 오목홈(114)이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샤프트(120)의 전단부에는 상기 오목홈(114)에 상응하는 전방돌출부(1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의 후단측 외주면에는 상기 제1실링부위(A)를 폐쇄하기 위한 제1실링부재(112)가 구비되고, 상기 제2수평샤프트(120)의 후단측 외주면에는 상기 제2실링부위(B)를 폐쇄하기 위한 제2실링부재(12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커버(130)는 메인바디(100)의 전방 개구를 덮되, 상기 제1수평샤프트(110)의 전단부를 가압 이동시키는 전방캡(132)과;
    상기 전방캡(132)의 양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며 전후 길이 방향으로 상기 메인바디(100)의 측면에 형성된 회동축(103)이 삽입되어 안내되는 장공 형태의 가이드공이 형성된 가이드편(1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100)의 측면에 형성된 회동축(10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취수레버(1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취수레버(150)의 상단에는 취수레버(150)의 누름 작동시 회동되면서 상기 전방커버(130)를 후방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캠부(15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편(134)의 후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취수레버(150)의 캠부(156)에 접촉되는 캠접촉부(13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커버(130)와 제1수평샤프트(110) 사이에 개재되는 토글수단(1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
KR1020180032500A 2018-03-21 2018-03-21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 KR102035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500A KR102035518B1 (ko) 2018-03-21 2018-03-21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500A KR102035518B1 (ko) 2018-03-21 2018-03-21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712A KR20190110712A (ko) 2019-10-01
KR102035518B1 true KR102035518B1 (ko) 2019-11-08

Family

ID=68207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500A KR102035518B1 (ko) 2018-03-21 2018-03-21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51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030Y1 (ko) 1999-10-26 2000-04-15 제인공업주식회사 냉,온 정수기용 급수레버 안전장치
KR101988952B1 (ko) * 2011-12-28 2019-06-12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물배출장치
KR101399454B1 (ko) 2012-09-04 2014-05-28 주식회사 비.엘.아이 정수기용 안전 코크
KR101597258B1 (ko) 2015-03-27 2016-02-24 (주)워피온 정수기용 코크 밸브 및 밸브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712A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258B1 (ko) 정수기용 코크 밸브 및 밸브 조립체
KR102086968B1 (ko) 샤워 헤드
FR3046652A1 (fr) Unite de melange, robinet mitigeur associ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robinet mitigeur
KR102035518B1 (ko)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
JP5826960B1 (ja) 左右クリック型段操作手段を有する水道バルブカートリッジ
JP2014020551A (ja) 水栓金具用の節湯型カートリッジ
JP6661433B2 (ja) 流路切換弁
JP2019515213A (ja) 温水用安全水栓
JPH09178008A (ja) 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に於ける安全装置
JPS584862U (ja) 水量調節可能なノツク式水栓
JP3786742B2 (ja) シングルレバー水栓
JP2779793B2 (ja) シングルレバーにおけるクリック機構
KR200470170Y1 (ko) 좌우 클릭형 단 조작수단을 갖는 수도밸브 카트리지
JP3122808B2 (ja) 水栓におけるディスク弁体のシール構造
KR20110061747A (ko) 콕밸브
JP2009191985A (ja) ガス栓用過流出防止弁装置
JPS6346773Y2 (ko)
JP6580443B2 (ja) 水栓の開閉弁
JPH07280113A (ja) シングルレバークリック機構
KR102013626B1 (ko) 유로 전환 기능을 구비하는 정수기용 파우셋
JP2964301B2 (ja) シングルレバー式水栓のヘッドケースの取付構造
JP2014020550A (ja) 水栓金具用の節湯型カートリッジ
JPH049507Y2 (ko)
CN212226048U (zh) 阀门开关组件、阀门操控手柄及冲牙器
JP2023170808A (ja) 水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