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952B1 - 물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물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952B1
KR101988952B1 KR1020120146021A KR20120146021A KR101988952B1 KR 101988952 B1 KR101988952 B1 KR 101988952B1 KR 1020120146021 A KR1020120146021 A KR 1020120146021A KR 20120146021 A KR20120146021 A KR 20120146021A KR 101988952 B1 KR101988952 B1 KR 101988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flow path
closing
water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6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6713A (ko
Inventor
김철호
최인두
엄주혁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2/01112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100479A1/en
Publication of KR20130076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5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5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dispensing valves actuated by the receptacle to be fil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16K35/0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 F16K35/022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 F16K35/025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to be locked or disconnected by means of a pushing or pulling action the locking mechanism being actuated by a separate actuating element said actuating element being operated manually (e.g. a push-button located in the valve act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평행하게 연결되는 제1유로와 제2유로가 모두 개방되면 물공급원의 물이 제1유로와 제2유로를 유동하여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물배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배출장치는 일측에는 물공급원에 연결되어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220)가 형성된 장치본체(200); 상기 유입구(210)에 연결되게 상기 장치본체(200)의 일측에 형성된 제1유로(230)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제1개폐부(300); 및 상기 제1유로(230)와 평행하게 연결되고 상기 배출구(220)에 연결되게 상기 장치본체(200)의 타측에 형성된 제2유로(240)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제2개폐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유로(230)와 제2유로(240)가 모두 열린 경우에만 물공급원의 물이 상기 배출구(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평행하게 연결되는 제1유로와 제2유로가 모두 개방되면 물공급원의 물이 제1유로와 제2유로를 유동하여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으로 복수 번의 동작에 의해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물배출장치의 제작비용이 저렴하게 될 수 있으며, 물을 외부로 배출시 물이 한번에 배출되거나 한쪽으로 치우쳐서 배출되거나 튀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물배출장치{APPARATUS FOR DISCHARGING WATER}
본 발명은 물을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물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행하게 연결되는 제1유로와 제2유로가 모두 개방되면 물공급원의 물이 제1유로와 제2유로를 유동하여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물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배출장치는 물탱크 등의 물공급원에 연결되어 물공급원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물배출장치가 버튼 또는 레버의 한 번의 동작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면, 갑작스럽게 물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특히, 온수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종래의 물배출장치, 특히 온수가 배출되는 경우에서는 한 번의 동작이 아닌 복수 번의 동작에 의해서 물이 배출되도록 구성되게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물배출장치에서는 이를 구현하고자 물배출장치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물배출장치의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종래의 물배출장치에서는 버튼에 의해서 수평으로 이동하는 개폐부재와 레버의 의해서 수직하게 이동하는 개폐부재의 작동에 의해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수평하게 이동하는 개폐부재의 이동 후에 수직하게 이동하는 개폐부재의 작동에 의해서 물이 외부로 배출될 때, 물이 한번에 배출되거나 한쪽으로 치우쳐서 배출되며 많이 튄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점은 온수를 배출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등의 사고를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물배출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평행하게 연결되는 제1유로와 제2유로가 모두 개방되면 물공급원의 물이 제1유로와 제2유로를 유동하여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간단한 구성으로 복수 번의 동작에 의해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물배출장치의 제작비용이 저렴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물배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평행하게 연결되는 제1유로와 제2유로가 모두 개방되면 물공급원의 물이 제1유로와 제2유로를 유동하여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물배출장치는 일측에는 물공급원에 연결되어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장치본체; 유입구에 연결되게 장치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제1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제1개폐부; 및 제1유로와 평행하게 연결되고 배출구에 연결되게 장치본체의 타측에 형성된 제2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제2개폐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유로와 제2유로가 모두 열린 경우에만 물공급원의 물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개폐부는 유입구에 일측이 이동가능하게 탄성지지되며 타측에는 제1유로에 형성된 제1개폐돌기에 접촉되는 제1접촉개폐부가 형성된 제1개폐부재; 제1유로와 제2유로를 연결하도록 장치본체에 형성된 연결유로에 일측이 승강가능하게 탄성지지되며 타측은 상승시 제1개폐부재를 밀거나 제2개폐부에 포함되는 제2개폐부재의 일측이 걸리도록 구성된 승강부재; 및 승강부재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레버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에는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연결부재가 연결되며, 제1개폐부재의 일측은 제1개폐부재의 일측과 연결부재에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부재에 의해서 연결부재에 이동가능하게 탄성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개폐부재의 타측에는 승강부재의 타측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일부가 삽입되어 승강부재의 상승시 관통구멍에 형성된 가압돌기에 의해서 밀리는 밀림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돌기는 일측이 경사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유로의 개방된 일측에는 제1캡부재가 구비되고, 승강부재의 일측은 승강부재의 일측과 제1캡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제3탄성부재에 의해서 제1캡부재에 승강가능하게 탄성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유로에는 연결유로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밀봉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밀봉부재의 일측은 제1캡부재에 의해서 연결유로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승강부재의 타측에 연결되어 승강부재의 승강과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개폐부는 일측에는 제2유로에 형성된 제2개폐돌기에 접촉하는 제2접촉개폐부가 형성되며 타측은 제2개폐돌기에 이동가능하게 탄성지지되는 제2개폐부재; 및 제2개폐부재를 밀도록 제2유로의 타측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버튼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개폐부재의 일측에는 제1개폐부에 포함되는 승강부재의 타측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형성되는 걸림구멍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개폐부재의 타측에는 버튼부재에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유로의 개방된 타측 단부에는 버튼부재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캡부재가 구비되고, 제2개폐부재의 타측은 제2개폐부재의 타측과 제2개폐돌기 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부재에 의해서 이동가능하게 탄성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로에는 제2유로의 개방된 타측을 통해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밀봉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밀봉부재의 일측은 제2캡부재에 의해서 제2유로의 타측 단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버튼부재에 삽입되어 버튼부재의 이동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평행하게 연결되는 제1유로와 제2유로가 모두 개방되면 물공급원의 물이 제1유로와 제2유로를 유동하여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복수 번의 동작에 의해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배출장치의 제작비용이 저렴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번의 동작에 의해서 물을 외부로 배출시 물이 한번에 배출되거나 한쪽으로 치우쳐서 배출되거나 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레버부재만이 작동되어 제1유로만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버튼부재만이 작동되어 제2유로만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레버부재와 버튼부재가 모두 작동되어 제1유로와 제2유로가 모두 개방됨으로써 물공급원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물의 연속배출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물배출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평행하게 연결되는 제1유로와 제2유로가 모두 개방되면 물공급원의 물이 제1유로와 제2유로를 유동하여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기초로 한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100)는 장치본체(200), 제1개폐부(300) 및, 제2개폐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장치본체(200)의 일측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입구(2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구(210)는 물이 저장된 물탱크(도시되지 않음) 등의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유입구(210)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일측이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연결부재(C)가 연결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C)는, 예컨대 나사결합에 의해서 유입구(2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나사결합 이외에도 끼워맞춤 등의 다른 구성으로도 유입구(210)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연결부재(C)가 유입구(210)에 연결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에 의해서도 유입구(2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C)에는 물공급원에 연결된 연결관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의 물이 유입구(210)에 유입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타측에는 배출구(2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구(220)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구(210)에 유입된 물공급원의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구(22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이 아래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장치본체(20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장치본체(200)에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유로(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유로(23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입구(210)에 연결되게 장치본체(2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구(210)에 유입된 물은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로(230)에 유입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유로(230)에는 제1개폐돌기(231)가 형성될 수 있다. 도1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1개폐돌기(231)에는 후술할 제1개폐부(300)에 포함되는 제1개폐부재(310)에 형성된 제1접촉개폐부(311)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유로(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히게 된다. 그리고, 도3과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로(230)의 제1개폐돌기(231)로부터 제1개폐부재(310)의 제1접촉개폐부(311)가 이격되면, 제1유로(230)는 개방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유로(230)에 유입된 물이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로(240)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제1개폐돌기(231)는 예컨대 환형일 수 있다. 그러나, 제1개폐돌기(23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개폐부재(310)의 제1접촉개폐부(311)가 접촉되거나 이격되어 제1유로(230)를 개폐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에는 제2유로(2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유로(24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술한 제1유로(230)와 평행하게 연결되고 배출구(220)에 연결되게 장치본체(20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3과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로(230)가 개방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유로(230)에 유입된 물은 제2유로(240)로 유동하여 제2유로(240)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로(240)가 개방되면, 제2유로(240)에 유입된 물은 배출구(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장치본체(200)에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유로(230)와 제2유로(240)를 연결하도록 연결유로(25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3과 도5 및 도6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유로(230)가 개방되면, 제1유로(230)에 유입된 물이 연결유로(250)를 통해 제2유로(240)에 유입될 수 있다.
제1개폐부(300)는 전술한 장치본체(200)에 형성된 제1유로(230)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개폐부(300)는 제1개폐부재(310)와 승강부재(320) 및 레버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개폐부재(310)의 일측은 전술한 장치본체(200)의 유입구(210)에 이동가능하게 탄성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개폐부재(310)의 일측과 연결부재(C) 사이에는 제1탄성부재(34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개폐부재(310)의 일측은 제1탄성부재(340)에 의해서 연결부재(C)에 이동가능하게 탄성지지될 수 있다.
제1개폐부재(310)의 타측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술한 제1유로(230)에 형성된 제1개폐돌기(231)에 접촉되는 제1접촉개폐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전술하고 도1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폐부재(310)의 제1접촉개폐부(311)가 제1유로(230)의 제1개폐돌기(231)에 접촉되면, 제1유로(230)는 닫힌다. 그리고, 도3과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폐부재(310)의 제1접촉개폐부(311)가 제1유로(230)의 제1개폐돌기(231)로부터 이격되면, 제1유로(230)는 개방된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에서 제1유로(230)에 유입된 물이 제2유로(240)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개폐부재(310)의 타측에는 밀림부(31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밀림부(312)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후술할 승강부재(320)의 타측에 형성된 관통구멍(321)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개폐부재(310)의 밀림부(312)는 도3과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320)의 상승시 승강부재(320)의 관통구멍(321)에 형성된 가압돌기(321a)에 의해서 연결부재(C) 쪽으로 밀릴 수 있다.
가압돌기(321a)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일측이 경사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부재(320)의 상승시 가압돌기(321a)에 의해서 제1개폐부재(310)의 밀림부(312)가 용이하게 밀릴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1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폐부재(310)에 제1탄성부재(340)의 탄성력이 작용되면, 제1개폐부재(310)의 제1접촉개폐부(311)는 제1유로(230)의 제1개폐돌기(231)에 접촉된다. 그러므로, 제1유로(230)는 닫히게 된다.
그리고, 도3과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320)가 상승되면, 승강부재(320)의 가압돌기(321a)에 의해서 제1개폐부재(310)의 밀림부(312)가 연결부재(C) 쪽으로 밀릴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개폐부재(310)가 제1탄성부재(340)의 탄성력을 이기고, 장치본체(200)의 제1유로(230)에서 연결부재(C)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개폐부재(310)의 제1접촉개폐부(311)가 제1유로(210)의 제1개폐돌기(231)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로(230)가 개방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부재(320)의 일측은 장치본체(200)에 형성된 전술한 연결유로(250)에 승강가능하게 탄성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유로(250)의 개방된 일측에는 제1캡부재(35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재(320)의 일측과 제1캡부재(350) 사이에는 제3탄성부재(3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부재(320)의 일측이 제3탄성부재(360)에 의해서 제1캡부재(350)에 승강가능하게 탄성지지될 수 있다.
또한, 연결유로(250)에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밀봉부재(3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연결유로(25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밀봉부재(370)의 일측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캡부재(350)에 의해서 연결유로(250)의 일측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밀봉부재(370)의 타측은 승강부재(320)의 타측에 연결되어 승강부재(320)의 승강과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승강부재(320)의 타측은 도3과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시 제1개폐부재(310)를 밀거나 후술할 제2개폐부(400)에 포함되는 제2개폐부재(410)의 일측이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승강부재(320)의 타측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구멍(3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구멍(321)에는 승강부재(320)의 상승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개폐부재(310)의 밀림부(312)를 미는 가압돌기(32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하고 도3과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320)의 상승시 관통구멍(321)에 형성된 가압돌기(321a)가 제1개폐부재(310)의 밀림부(312)를 밀 수 있다.
그리고, 관통구멍(321)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걸림구멍(32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구멍(321b)에는 후술할 제2개폐부(400)에 포함되는 제2개폐부재(41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412)가 걸릴 수 있다.
즉, 승강부재(320)가 상승된 상태에서, 제2개폐부(400)에 포함되는 버튼부재(420)가 사용자에 의해서 눌려져서 제2개폐부재(410)가 장치본체(200)의 제2유로(240)에서 연결유로(250) 쪽으로 이동되면, 제2개폐부재(41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돌기(412)가 걸림구멍(321b)에 걸릴 수 있다. 또한, 버튼부재(420)가 눌려져서 제2개폐부재(410)가 제2유로(240)에서 연결유로(250) 쪽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승강부재(320)가 상승되어도 제2개폐부재(410)의 걸림돌기(412)가 걸림구멍(321b)에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320)의 상승에 따른 제1개폐부재(310)의 이동으로 제1유로(230)가 개방됨과 함께, 제2개폐부재(410)의 이동으로 제2유로(240)가 개방되거나, 제2개폐부재(410)의 이동으로 제2유로(240)가 개방됨과 함께, 승강부재(320)의 상승에 따른 제1개폐부재(310)의 이동으로 제1유로(230)가 개방될 수 있다. 즉, 제1유로(230)와 제2유로(240)가 모두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유입구(210)에 유입된 물공급원의 물이 제1유로(230)와 연결유로(250) 및 제2유로(240)를 유동하여 배출구(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평행하게 연결되는 제1유로(230)와 제2유로(240)가 모두 개방되면, 물공급원의 물이 제1유로(230)와 제2유로(240)를 유동하여 배출구(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복수 번의 동작에 의해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물배출장치의 제작비용이 저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제1개폐부재(310)와 제2개폐부재(410)가 모두 수평하게 이동되어 평행하게 연결되는 제1유로(230)와 제2유로(240)가 모두 개방되기 때문에, 물이 어느 정도 수평하고 안정되게 유동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을 외부로 배출시 물이 한번에 배출되거나 한쪽으로 치우쳐서 배출되거나 또는 튀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320)의 상승에 따라 제1개폐부재(310)만 이동하거나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개폐부재(410)만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2개폐부재(410)의 걸림돌기(412)가 승강부재(320)의 관통구멍(321)에 형성된 걸림구멍(321b)에 걸리지 않게 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로(230) 또는 제2유로(240)만 개방된다.
그러므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의 물이 연결유로(250)와 제2유로(240)로는 유동하지만 제2유로(240)가 개방되지 않아서 배출구(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되거나,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로(230)가 개방되지 아니하여 물공급원의 물이 연결유로(250)로 유동하지 못하게 되어 배출구(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레버부재(33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부재(32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레버부재(330)의 회전에 의해서,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승강부재(320)가 승강될 수 있다.
즉, 도1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레버부재(330)가 회전되면, 승강부재(320)는 이를 탄성지지하는 제3탄성부재(360)의 탄성력에 의해서 하강된 상태에 있게 된다.
또한, 도3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레버부재(330)가 회전되면, 승강부재(320)는 제3탄성부재(360)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승된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레버부재(330)가 회전되면, 레버부재(330)에 의해서 승강부재(320)는 상승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개폐부재(410)가 이동되어 제2개폐부재(410)의 걸림돌기(412)가 승강부재(320)의 관통구멍(321)에 형성된 걸림구멍(321b)에 걸리면, 제2개폐부재(410) 또한 이동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에 의해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의 연속배출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물의 연속배출은 제2개폐부재(410)가 먼저 이동된 후 레버부재(330)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회전되어도 이루어질 수 있다.
제2개폐부(400)는 장치본체(200)에 형성된 제2유로(240)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개폐부(400)는 제2개폐부재(410)와 버튼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개폐부재(410)의 일측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유로(240)에 형성된 제2개폐돌기(241)에 접촉하는 제2접촉개폐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1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개폐부재(410)의 제2접촉개폐부(411)가 제2유로(240)의 제2개폐돌기(241)에 접촉되면, 제2유로(240)는 닫히게 된다. 그리고,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개폐부재(410)의 제2접촉개폐부(411)가 제2유로(240)의 제2개폐돌기(241)로부터 이격되면, 제2유로(240)는 개방된다.
이에 따라, 도4의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로(230)가 닫혀서 장치본체(200)의 유입구(210)에 유입된 물공급원의 물이 연결유로(250)를 통해 제2유로(240)로 유동되지 못하지만,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로(230)가 개방된 경우에는 장치본체(200)의 유입구(210)에 유입된 물공급원의 물이 제1유로(230)와 연결유로(250)를 통해 제2유로(240)로 유입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로(240)에 유입된 물은 제2유로(240)를 유동하여 배출구(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개폐부재(410)의 타측은 제2유로(240)의 제2개폐돌기(241)에 이동가능하게 탄성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유로(240)의 개방된 타측 단부에는 제2캡부재(43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개폐부재(410)의 타측과 제2개폐돌기(241) 사이에는 제2탄성부재(44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개폐부재(410)의 타측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탄성부재(440)에 의해서 제2개폐돌기(241)에 이동가능하게 탄성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1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버튼부재(420)에 의해서 제2개폐부재(410)가 이동되지 않으면, 제2개폐부재(410)는 제2탄성부재(440)의 탄성에 의해서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 즉 제2개폐부재(410)의 제2접촉개폐부(411)가 제2유로(240)의 제2개폐돌기(241)에 접촉되도록 위치된다. 이에 따라, 제2유로(240)는 닫히게 된다.
그리고,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재(420)에 의해서 제2개폐부재(410)가 제2탄성부재(440)의 탄성력을 이기고 이동되면, 제2접촉개폐부(411)가 제2유로(240)의 제2개폐돌기(241)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제2유로(240)는 개방되게 된다.
제2유로(240)에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밀봉부재(4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2유로(240)의 개방된 타측을 통해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2밀봉부재(450)의 일측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캡부재(430)에 의해서 제2유로(240)의 타측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밀봉부재(450)의 타측은 버튼부재(420)에 삽입되어 버튼부재(420)의 이동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개폐부재(410)의 일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개폐부(300)의 승강부재(320)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구멍(321b)에 걸리는 걸림돌기(4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개폐부재(410)의 타측에는 버튼부재(420)에 삽입되는 삽입부(41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재(420)가 사용자에 의해서 눌리면, 제2개폐부재(410)가 연결유로(250)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버튼부재(42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유로(240)의 타측 단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버튼부재(420)는 제2유로(24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제2캡부재(43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부재(420)에 의해서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개폐부재(410)를 밀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버튼부재(420)를 밀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개폐부재(410)가 제2탄성부재(440)의 탄성력을 이기고 연결유로(250) 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배출장치(100)를 사용하면, 평행하게 연결되는 제1유로와 제2유로가 모두 개방되면 물공급원의 물이 제1유로와 제2유로를 유동하여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으로 복수 번의 동작에 의해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고, 물배출장치의 제작비용이 저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복수 번의 동작에 의해서 물을 외부로 배출시 물이 한번에 배출되거나 한쪽으로 치우쳐서 배출되거나 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물배출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물배출장치 200 : 장치본체
210 : 유입구 220 : 배출구
230 : 제1유로 231 : 제1개폐돌기
240 : 제2유로 241 : 제2개폐돌기
250 : 연결유로 300 : 제1개폐부
310 : 제1개폐부재 311 : 제1접촉개폐부
312 : 밀림부 320 : 승강부재
321 : 관통구멍 321a : 가압돌기
321b : 걸림구멍 330 : 레버부재
340 : 제1탄성부재 350 : 제1캡부재
360 : 제3탄성부재 370 : 제1밀봉부재
400 : 제2개폐부 410 : 제2개폐부재
411 : 제2접촉개폐부 412 : 걸림돌기
413 : 삽입부 420 : 버튼부재
430 : 제2캡부재 440 : 제2탄성부재
450 : 제2밀봉부재 C : 연결부재

Claims (14)

  1. 일측에는 물공급원에 연결되어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220)가 형성된 장치본체(200);
    상기 유입구(210)에 연결되게 상기 장치본체(200)의 일측에 형성된 제1유로(230)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제1개폐부(300); 및
    상기 제1유로(230)와 평행하게 연결되고 상기 배출구(220)에 연결되게 상기 장치본체(200)의 타측에 형성된 제2유로(240)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제2개폐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유로(230)와 제2유로(240)가 모두 열린 경우에만 물공급원의 물이 상기 배출구(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제1개폐부(300)는 상기 유입구(210)에 일측이 이동가능하게 탄성지지되며 타측에는 상기 제1유로(230)에 형성된 제1개폐돌기(231)에 접촉되는 제1접촉개폐부(311)가 형성된 제1개폐부재(310), 상기 제1유로(230)와 제2유로(240)를 연결하도록 상기 장치본체(200)에 형성된 연결유로(250)에 일측이 승강가능하게 탄성지지되며 타측은 상승시 상기 제1개폐부재(310)를 밀거나 상기 제2개폐부(400)에 포함되는 제2개폐부재(410)의 일측이 걸리도록 구성된 승강부재(320) 및, 상기 승강부재(32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320)를 승강시키는 레버부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210)에는 물공급원에 연결관에 의해서 연결되는 연결부재(C)가 연결되며,
    상기 제1개폐부재(310)의 일측은 상기 제1개폐부재(310)의 일측과 연결부재(C)에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부재(340)에 의해서 상기 연결부재(C)에 이동가능하게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재(310)의 타측에는 상기 승강부재(320)의 타측에 형성된 관통구멍(321)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재(320)의 상승시 상기 관통구멍(321)에 형성된 가압돌기(321a)에 의해서 밀리는 밀림부(31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321a)는 일측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250)의 개방된 일측에는 제1캡부재(350)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부재(320)의 일측은 상기 승강부재(320)의 일측과 제1캡부재(350) 사이에 구비되는 제3탄성부재(360)에 의해서 상기 제1캡부재(350)에 승강가능하게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250)에는 상기 연결유로(250)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밀봉부재(3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봉부재(370)의 일측은 상기 제1캡부재(350)에 의해서 상기 연결유로(250)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승강부재(32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재(320)의 승강과 함께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9. 일측에는 물공급원에 연결되어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220)가 형성된 장치본체(200);
    상기 유입구(210)에 연결되게 상기 장치본체(200)의 일측에 형성된 제1유로(230)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제1개폐부(300); 및
    상기 제1유로(230)와 평행하게 연결되고 상기 배출구(220)에 연결되게 상기 장치본체(200)의 타측에 형성된 제2유로(240)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제2개폐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유로(230)와 제2유로(240)가 모두 열린 경우에만 물공급원의 물이 상기 배출구(2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제2개폐부(400)는 일측에는 상기 제2유로(240)에 형성된 제2개폐돌기(241)에 접촉하는 제2접촉개폐부(411)가 형성되며 타측은 상기 제2개폐돌기(241)에 이동가능하게 탄성지지되는 제2개폐부재(410)와, 상기 제2개폐부재(410)를 밀도록 상기 제2유로(240)의 타측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버튼부재(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부재(410)의 일측에는 상기 제1개폐부(300)에 포함되는 승강부재(320)의 타측에 형성된 관통구멍(321)에 형성되는 걸림구멍(321b)에 걸리는 걸림돌기(4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부재(410)의 타측에는 상기 버튼부재(420)에 삽입되는 삽입부(4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240)의 개방된 타측 단부에는 상기 버튼부재(42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캡부재(430)가 구비되고,
    상기 제2개폐부재(410)의 타측은 상기 제2개폐부재(410)의 타측과 상기 제2개폐돌기(241) 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부재(440)에 의해서 이동가능하게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240)에는 상기 제2유로(240)의 개방된 타측을 통해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밀봉부재(4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밀봉부재(450)의 일측은 상기 제2캡부재(430)에 의해서 상기 제2유로(240)의 타측 단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버튼부재(420)에 삽입되어 상기 버튼부재(420)의 이동과 함께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배출장치.
KR1020120146021A 2011-12-28 2012-12-14 물배출장치 KR101988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11124 WO2013100479A1 (en) 2011-12-28 2012-12-20 Water discharg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44658 2011-12-28
KR1020110144658 2011-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713A KR20130076713A (ko) 2013-07-08
KR101988952B1 true KR101988952B1 (ko) 2019-06-12

Family

ID=48990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6021A KR101988952B1 (ko) 2011-12-28 2012-12-14 물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9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518B1 (ko) * 2018-03-21 2019-11-08 주식회사 엔비엘 정수기용 이중 실링 파우셋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150A (ko) * 2009-03-25 2010-10-0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온수 취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713A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1970B2 (en) Cooking appliance
CN111084545A (zh) 一种烹饪器具
JP2012513086A (ja) 安全コンセント
JP2005349132A (ja) スチーム式美容器
KR101246679B1 (ko) 압력조리기구
KR101988952B1 (ko) 물배출장치
KR20180069345A (ko) 연료도어 팝업장치
KR101653582B1 (ko) 온수용 안전꼭지
CN105902114B (zh) 杯盖及其水杯
KR101091367B1 (ko)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
KR101828430B1 (ko) 냉온수기용 온수안전 코크
CN105932471B (zh) 一种插座安装盒卡接结构
KR101692527B1 (ko) 코크 안전장치
KR101686052B1 (ko) 온수용 안전꼭지
KR20100107640A (ko) 온수 취출 장치
KR20090076882A (ko) 누름 개폐식 밸브
KR101227584B1 (ko) 콘센트 장치
KR20100107150A (ko) 온수 취출 장치
KR20090003551U (ko) 냉온수기용 안전코크
US9371639B1 (en) Toilet flush valve with bowl overflow prevention
KR20160121849A (ko) 립스틱 케이스
KR101809609B1 (ko) 노레버 타입 정수기용 코크
KR20100095845A (ko) 온수 취출 장치
KR102283707B1 (ko) 역류 방지 기능을 구비한 탄산수 공급용 밸브 어셈블리
KR102010651B1 (ko) 정수기용 코크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