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773B1 -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 Google Patents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773B1
KR102034773B1 KR1020190001888A KR20190001888A KR102034773B1 KR 102034773 B1 KR102034773 B1 KR 102034773B1 KR 1020190001888 A KR1020190001888 A KR 1020190001888A KR 20190001888 A KR20190001888 A KR 20190001888A KR 102034773 B1 KR102034773 B1 KR 102034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oside
skin
inflammatory
hydrangea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경선
백내환
진유진
백소영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샤인앤샤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샤인앤샤인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1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7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heu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Hydrangea macrophylla)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세포 독성이 없으며, 진세노사이드 Rh1 및 진세노사이드 Rg2 혼합물 또는 수국 추출물 단독에 비해 항염증 활성이 현저히 증가하고, 피부 잔존율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해 항염증 효과를 가진 화장품 또는 염증성 질환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inflammation comprising ginsenoside Rh1 and Rg2 and extract of Hydrangea macrophylla}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Hydrangea macrophylla)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의 가장 외곽에서 화학적, 물리적, 생화학적 자극인 외부환경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장벽 역할을 수행하며 신체에 있어 일차적인 방어 기능을 담당한다. 피부의 외곽에 위치한 표피는 외부로 수분과 전해질의 손실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건조를 막아주며, 자외선(UV), 미세먼지, 물리적 마찰, 미생물 등 외부 환경에 대한 적응과 면역 반응을 통해 신체를 보호하고, 항상성을 유지하여 피부가 정상적인 대사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대사과정 중 유기물로부터 유래된 전자는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전자전달계를 통해 산소로 전달되어 에너지를 생성하고, 전자를 받은 산소는 수소이온과 결합하여 물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일부가 물이 되지 않고 전자만 받아 슈퍼옥사이드(superoxide, 과산화물)가 생성되며 카탈라아제(catalase, 과산화수소분해효소)와 SOD(superoxide dismutase)로 인해 제거된다.
그러나 염증과 관련된 인체 질환이 야기되거나, 자외선, 공해물질, 화학약품,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요인들, 또는 비정상적인 대사 작용으로 인하여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너무 많이 생성되어 항산화 시스템의 기능이 저하되는 상황에서 세포는 슈퍼옥사이드 음이온(superoxide anion radical, O -), 히드록시 라디칼(hydroxyl radical, ·OH),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 하이포아염소산(hypochlorous acid, HOCl) 등의 활성산소종을 과도하게 생성하게 되어 항산화 물질의 고갈로 인해 세포에 유해 작용을 가하게 된다. 그로 인해 지질 과산화, 단백질 산화, 세포간질 성분을 파괴시키는 단백질 분해 효소의 활성화, 진피 내 탄력섬유와 결합섬유인 엘라스틴과 콜라겐의 사슬 절단, 멜라닌 생성반응 촉진, DNA 산화와 같은 구성 성분들의 손상을 야기한다. 이러한 손상의 결과로 고혈압, 협심증, 당뇨병, 암과 같은 성인병과 기미, 주근깨, 주름, 염증,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질환이 발생하게 된다(Bu, H.J., et al., 2016). ROS가 과도하게 발생 될 경우 다양한 염증인자가 발생되며, 피부세포에서 염증인자로 유도된 과도한 염증으로 인해 조직세포에 손상이 발생된다(Halliday, G.M., 2004). 이러한 자극을 지속적으로 받아 생기는 산화적인 스트레스는 피부 노화를 가속화시킨다.
염증과 피부노화를 유도하는 물질 중의 하나인 산화질소(nitric oxide, NO)는 독성을 가진 매우 불안정한 기체이며, 고농도에서는 세포의 기질적 손상을 초래하는 자유라디칼의 하나이다. 산화질소합성효소(nitric oxide synthase, NOS)는 NO를 생성하고, 생성된 NO는 구아닐릴 사이클라아제(guanylyl cyclase)의 활성과 동시에 주위 조직에 세포 독성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NO는 매우 작으면서도 반응성이 있고, 전기적으로 중성이기 때문에 합성된 곳에서 곧바로 확산되어 사방으로 퍼져 혈관 투과성, 부종 등의 염증 반응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염증매개체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염증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uo, P.C., et al., 1995).
일반적인 NO의 형성은 박테리아를 죽이거나 종양을 제거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병리적인 원인에 의한 과도한 NO의 형성은 정상세포의 손상을 초래하여 염증을 유발시키며 조직의 손상, 유전자 변이 및 신경 손상 등을 유발한다. 염증이 발생하게 되면 그 후에 일반적으로 과색소형성이 일어나게 되는데, 자외선이나 세균 감염 때 생긴 염증으로 얼굴색이 검게 변하고, 기미와 잡티가 생겨나기도 한다.
따라서 항염증 효과를 갖는 소재의 개발은 피부 노화, 미백과 같은 미용적인 질환의 개선 효과를 비롯한 여러 가지 조직 손상으로 인한 질환을 예방할 수 있어 화장품,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서 활용 가치가 높다.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은 두릅나무과의 식물로 뿌리를 주로 약용부위로 사용하고 있으며, 뿌리의 잔뿌리를 제거하고 말려서 사용하거나 식물 전체를 사용하고 있다. 인삼은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약간 따뜻한(甘苦微溫)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기를 보하고 신체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설사에 쓰이며 폐 기능을 도우며 진액을 생성하고 안신작용 및 신기능을 높여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삼의 약리작용으로는 자양강장작용, 면역증강작용, 중추신경계작용, 심혈관계 작용, 혈당강하작용 등 다양한 활성 등이 알려진 중요한 약재로 전 세계에서 이용되고 있다(Choi J. et al., 2013; Alraek T. et al., 2011).
인삼의 주요 유효성분은 사포닌으로 인삼에만 들어있는 사포닌을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라고 하며, 당이 제거된 비당부 골격에 따라 크게 프로토파낙시디올(protopanaxadiol, PPD), 프로토파낙사트리올(protopanaxatriol, PPT), 오코틸롤형(ocotillol-type) 및 올레아놀릭산(oleanolic acid)으로 구분되며 지금까지 다양한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이 분리되었다.
주요(major) 진세노사이드는 진세노사이드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비활성 상태로 물에 대한 용해성이 높은 반면에 장내 흡수가 잘 되지 않아 생리학적 활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희귀(minor) 진세노사이드는 인삼의 가공 절차 동안 진세노사이드의 가수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2차 진세노사이드로 우수한 생리학적 활성을 지니고 있다. 효과와 양적인 면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희귀 진세노사이드로는 진세노사이드 Rg2, Rg3, Rh1, Rh2가 있다. 이들 2차 진세노사이드는 다수의 신규 활성을 갖는데, 예를 들면 진세노사이드 Rh1, Rh2 및 Rg3는 상당한 항암 활성을 갖고 암세포의 재분화를 유도(암 세포가 건강한 세포로 재분화 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진세노사이드 Rg2는 혈소판 응집 억제, 기억력 감퇴 개선, 주름개선, 미백 효과를 가지며, 진세노사이드 Rh1은 트롬빈에 의해 유도되는 피브리노겐의 피브린으로의 전환에 대해 상당한 저해 효과뿐만 아니라 간 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수국(Hydrangea macrophylla)은 쌍떡잎식물 장미목(Rosales), 수국과(Hydrangeaceae), 수국속(Hydrangea)의 낙엽관목으로, 일본이 원산지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남부지방인 제주도, 거제도, 남해안 등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민간에서는 수국의 꽃을 말려 해열제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외에, 수국은 항말라리아, 항염증, 항산화, 혈압강하, 당뇨 및 당뇨합병증 예방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Kim, D.H., et al., 2017), 수국의 뿌리에는 여러 가지 자가면역 질환의 진행을 억제하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할로푸지논(halofuginone)이 함유되어 있어 의약품으로도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질을 이용해 항염증 효과를 가진 조성물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이 포함된 조성물의 경우에, 진세노사이드 Rh1 및 Rg2 또는 수국 추출물을 각각 단독으로 포함하는 조성물과 대비하여 항염증 활성이 현저히 증가하고, 피부 투과 효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종래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718465호에는 진세노사이드 Rg2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가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향상된 항염증 효과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867308호에는 수국 발효물의 피부 염증 치료 효과가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1 및 진세노사이드 Rg2와의 혼합 및 이에 따른 증진된 항염증 효과는 기재 및 암시되어 있지 않다.
한국등록특허 제1718465호,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 1 균주, 상기 균주를 이용한 인삼 발효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2017. 03. 15.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867308호, 수국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2018. 06. 07. 등록.
Alraek T. et al.,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for patients with chronic fatigue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BMC Complement Altern Med. 11(87), 1-11, 2011. Bu, H.J., et al., Antioxidation and Anti-inflammation Activity of Isodon inflexus (Thunb.) Kudo Extract and Its Isolated Substance, J. Soc. Cosmet. Sci. Korea., 42(3), 257-268, 2016. Choi J. et al., Ginseng for health care: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 Korean literature. PLoS One. 8(4). e59978. 2013. Halliday, G.M., Inflammation, gene mutation and photoimmunosuppression in response to UVR-induced oxidative damage contribtes to photocarcinogenesis, Mutation Research-Fundamental and Molecular Mechani는 of Mutagenesis, 571(1), 107-120, 2004. Kim, D.H., et al., Effect of the extract of Hydrangea Dulcis Folium on alcohol-induced psychiatric deficits, Journal of Life Science, 27(3), 355-360, 2017. Kuo, P.C., et al., The emerging nultifaceted roles of nitric oxide, Ann. Surg., 221(3), 220-235, 1995.
본 발명의 목적은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Hydrangea macrophylla)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Hydrangea macrophyll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진세노사이드 및 수국 추출물이 1:20~1000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진세노사이드는 진세노사이드 Rh1 및 진세노사이드 Rg2가 0.25~2.5:1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잔존율이 4~6배 증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리젠트,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팩, 마스크팩, 비누, 바디클렌져, 클렌징폼, 샴푸, 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오일, 바디오일 및 바디로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Hydrangea macrophyll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진세노사이드 및 수국 추출물이 1:20~1000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진세노사이드는 진세노사이드 Rh1 및 진세노사이드 Rg2가 0.25~2.5:1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염증성 피부 질환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피부 잔존율이 4~6배 증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Hydrangea macrophyll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있어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란 인삼의 주요 유효성분으로 인삼에만 들어있는 사포닌을 의미하며, 다양한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이 존재한다. 진세노사이드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주요(major) 진세노사이드는 비활성 상태로 물에 대한 용해성이 높은 반면에 장내 흡수가 잘 되지 않아 생리학적 활성이 거의 없다. 반면에, 희귀(minor) 진세노사이드는 인삼의 가공 절차 동안 가수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2차 진세노사이드로 우수한 생리학적 활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주요 진세노사이드는 생체 내(in vivo)에서 효과적으로 생리학적 활성을 나타내기 위해서 당을 구성하는 글루코스, 아라비노스, 람노스, 자일로스 등을 제거하는 탈당화(deglycosylation) 과정을 필요로 한다.
상기 탈당화 과정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산 처리, 효소 처리, 고온·고압 처리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1 및 진세노사이드 Rg2는 산 처리 및 효소 처리를 통해 얻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산 처리는 유기산, 초산 염산, 주석산 등의 약산을 사용하거나 유기산을 생성할 수 있는 오미자, 복분자, 구기자, 산수유, 매실 등의 약재를 넣어 산성조건으로 처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효소는 유산균 효소, 식용 조효소, 재조합 효소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밀라아제(amylase), 펙티나아제(pectin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또는 이들의 혼합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진세노사이드는 진세노사이드 Rh1 및 진세노사이드 Rg2가 0.25이상:1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25~5:1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25~2.5:1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0.25~2.3:1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진세노사이드의 혼합비율이 진세노사이드 Rg2를 기준으로 진세노사이드 Rh1이 0.25배 미만일 경우에는 진세노사이드에 의한 항염증 효과가 미미하거나, 진세노사이드의 피부 투과율이 현저히 증가되어 피부 투과되는 진세노사이드의 양이 유효량 이상이 되어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진세노사이드 Rg2를 기준으로 진세노사이드 Rh1이 5배 초과일 경우에는 진세노사이드의 피부 투과 효율이 낮아져 피부에 잔존하는 진세노사이드가 없거나 매우 적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진세노사이드는 Rh1 및 진세노사이드 Rg2는 가장 많이 알려진 희귀 진세노사이드로, 진세노사이드 Rh1은 간 보호, 항종양, 혈소판 응집 억제, 항알레르기, 항염증 효과 등이 있음이 알려져 있고, 진세노사이드 Rg2는 혈소판 응집 억제, 기억력 감퇴 개선, 피부 항상성 유지, 주름 개선, 항산화 효과 등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상기 인삼은 산삼, 산양삼, 배양근, 수인삼, 화기삼, 전칠삼 및 인삼의 뿌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Rh1 및 진세노사이드 Rg2는 각각 단독으로 분리된 진세노사이드 Rh1 및 Rg2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국은 해열제로 이용되기도 하고, 항말라리아, 항염증, 항산화, 혈압강하, 당뇨 및 당뇨합병증 예방, 미백 등의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상기 수국 추출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하여 수득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국을 물, C1~4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디에틸아세테이트(diethyl acetate),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및 헥산(hex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C1~4의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일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수국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국 추출물은 상기한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원심분리, 여과,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냉장실에 보관하면서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수국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상기 수국 추출물은 상업적으로 제조되어 판매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항염증 조성물은 진세노사이드 및 수국 추출물이 1:20~2000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20~1000 중량비율이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및 수국 추출물의 혼합비율이 진세노사이드 중량을 기준으로 수국 추출물이 20배 미만일 경우에는 진세노사이드 및 수국 추출물의 혼합에 의한 상승적인 항염증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진세노사이드 중량을 기준으로 수국 추출물이 2000배 초과일 경우에는 2000배일 경우와 동일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므로, 생산 비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며, 항염증 조성물의 피부 투과율이 감소 되어 피부에 잔존하는 조성물의 양이 감소하여 항염증 효과가 감소 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항염증 조성물은 진세노사이드 Rh1 단독에 비해 피부 잔존율이 4~6배 증가된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에 존재하는 진세노사이드 Rh1을 기준으로 할 경우, 진세노사이드 Rh1에 진세노사이드 Rg2를 첨가하면 피부 잔존율이 5~6배 정도 증가하고, 상기 진세노사이드 Rh1 및 진세노사이드 Rg2에 수국 추출물을 첨가하면 피부 잔존율이 4배 정도까지 증가한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Rh1 및 진세노사이드 Rg2에 수국 추출물을 첨가한 경우에는 수국 추출물의 피부 잔존으로 인해 진세노사이드 Rh1의 피부 잔존율이 진세노사이드 Rh1와 진세노사이드 Rg2 혼합물에 비해 다소 낮을 수 있으나,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총량의 경우에는 피부 잔존율이 더 증가할 수 있다.
상기 항염증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과 화장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유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또는 염료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30중량%가 함유될 수 있다.
상기 보조제의 양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이며, 예컨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1~5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70중량%이다. 다만, 어떠한 경우라도 보조제 및 그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리젠트,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팩, 마스크팩, 비누, 바디클렌져, 클렌징폼, 샴푸, 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오일, 바디오일 및 바디로션으로 이루어지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매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정해지지 않은 기간 동안에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연령, 피부상태 또는 피부타입에 따라 사용량, 사용횟수 및 기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염증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즈,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형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는 않으나, 연고제, 로션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크림제, 겔제 및 젤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의 제형을 갖는 피부 외용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피부 외용제를 피부에 도포하여 염증 관련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고, 경피 흡수를 증가시키는 제제, 예를 들면 비한정적인 의미로 특히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디메틸포름아마이드, 계면활성제, 알코올, 아세톤,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도포 빈도는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상당히 변할 수 있으며, 도포 빈도는 매달 내지 1일 10회, 바람직하게는 매주 내지 1일 4회, 더 바람직하게는 1주당 3회 내지 1일 3회, 보다 더 바람직하게 는 1일 1회 또는 2회가 제안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0.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피부,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부 투여이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염증성 장질환, 죽상동맥경화, 염증성 콜라겐 혈관 질환, 사구체신염, 염증성 피부 질환, 유육종증, 망막염, 위염, 간염, 장염, 관절염, 편도선염,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 췌장염, 패혈증, 욕창, 퇴행성 만성염증 질환 및 신장염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염증성 피부 질환이다.
상기 염증성 피부 질환은 아토피 피부염, 여드름, 접촉성 피부염, 건선, 접촉성 피부염, 습진성 피부염, 광선 피부염, 지루 피부염, 포진성 피부염, 편평태선, 경화태선, 괴저성 농피증, 천포창, 수포성 표피박리증, 전신성 경화증, 피부근염, 다발성 근염, 염증성 근병변, 나병, 세자리 증후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Hydrangea macrophylla)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세포 독성이 없으며, 진세노사이드 Rh1 및 진세노사이드 Rg2 혼합물 또는 수국 추출물 단독에 비해 항염증 활성이 현저히 증가하고, 피부 잔존율도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해 항염증 효과를 가진 화장품 또는 염증성 질환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 (A)는 진세노사이드 Rh1 및 진세노사이드 Rg2 혼합물(Rh1+Rg2)의, (B)는 수국 추출물의, (C)는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염증 관련 인자인 NO 생성 억제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세포 독성 여부를 확인한 결과로, (A)는 진세노사이드 Rh1 및 진세노사이드 Rg2 혼합물(Rh1+Rg2)의, (B)는 수국 추출물의, (C)는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세포 독성 여부를 세포 생존율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 잔존율을 프란츠 확산 셀 시스템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항염증 효과 확인>
산화질소(nitric oxide, NO)는 체내에서 생리학적 및 병리학적으로 중요한 신호분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높은 수준의 NO 생산은 조직 및 신경의 손상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켜 부종을 일으키는 등 과도한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 이에,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대식세포에서의 NO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진세노사이드 Rh1 및 진세노사이드 Rg2 혼합물(Rh1+Rg2), 수국 추출물은 ㈜샤인앤샤인(대한민국)으로부터 제공받다.
10% FBS(fetal bovine serum) 및 1% 항생제가 포함되어 있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사) 배지를 이용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한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한국세포주은행, 대한민국)를 96웰 플레이트에 웰 당 2×104개가 되도록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상기 Rh1+Rg2(10~50㎍/㎖), 수국 추출물(1~10㎎/㎖), Rh1+Rg2(10㎍/㎖ 또는 50㎍/㎖) 및 수국 추출물(1~10㎎/㎖)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각각 처리하고, 기존에 NO 생성 억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Dex) 4㎍/㎖을 양성 대조군으로 처리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염증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LPS(lipopolysaccharide)를 500ng/㎖의 농도가 되도록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 하였다. 배양이 끝나고, 새로운 96웰 플레이트에 상기 배양액 50㎕와 그리스 시약(Giress reagent, N-1-Naphthylethylenediamine, Sigma사) 50㎕를 분주하고 10분간 빛이 차단된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후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아질산염 농도별에 따른 흡광도를 이용하여 표준곡선을 확보하고, 확보한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시료를 처리한 각 세포가 분비한 NO의 농도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듯이, Rh1+Rg2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A)에는 10㎍/㎖ 및 25㎍/㎖까지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NO의 농도가 감소하나 50㎍/㎖을 처리한 경우에는 25㎍/㎖을 처리한 경우와 유사한 NO 농도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국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B)에는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NO의 농도가 감소하였다. 한편, Rh1+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C)에는 Rh1+Rg2 또는 수국 추출물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NO의 농도가 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나, Rh1+Rg2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는 25㎍/㎖ 이상의 농도를 처리하더라도 NO가 더 이상 감소하지 않는 반면에, Rh1+Rg2 50㎍/㎖에 수국 추출물을 혼합한 경우에는 Rh1+Rg2 단독 처리에서 감소하지 않았던 NO의 양이 상승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1,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진세노사이드 Rh1 및 Rg2에 수국 추출물을 혼합함으로써 각각 단독 처리에 비해 증가된 염증 억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세포 독성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진세노사이드 Rh1 및 진세노사이드 Rg2 혼합물(Rh1+Rg2), 수국 추출물의 세포 독성 여부 및 상기 실시예 1의 NO 생성 감소가 세포 사멸에 따른 세포 수 감소로 인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분석실험을 수행하였다.
Raw 264.7 세포를 10% FBS 및 1% 항생제가 포함되어 있는 DMEM 배지를 이용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한 Raw 264.7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웰 당 2×104개가 되도록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상기 Rh1+Rg2, 수국 추출물, Rh1+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각각의 농도별로 처리하여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염증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LPS를 500ng/㎖의 농도가 되도록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나고, MTT 용액을 첨가하고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형성된 포마잔 결정체를 DMSO(Dimethyl sulfoxide)로 녹여 10분간 추가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45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백분율로 환산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보듯이, Rh1+Rg2(A) 및 수국 추출물(B)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는 모든 처리 농도에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Rh1+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C)의 경우에도 세포 독성에 대한 유의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세포 독성이 없으며, 상기 실시예 1의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처리에 따른 NO 생성 감소가 세포의 사멸에 따른 세포 수 감소에 의한 것이 아닌 염증 치료 효과에 따른 NO의 감소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 잔존율 확인>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피부 잔존율을 프란츠 확산 셀 시스템(Franz Diffusion Cell system)을 이용해 확인하였다.
상기 프란츠 확산 셀 시스템은 도너 챔버(donor chamber)에 약물을 포함하는 제형을 적용하고, 리셉터 챔버(receptor chamber)에는 PBS(phosphate buffered saline)와 같은 생리 식염수 등을 충전시키고, 도너 챔버와 리셉터 챔버 사이에는 투과막, 동물 피부 또는 세포배양 피부 등과 같은 투과층을 고정시켜 준 후, 도너 챔버에서 투과층을 통과하여 투과층에 잔존되어 있는 약물 및 리셉터 챔버로 투과되는 약물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피부 잔존율 및 투과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투과층으로는 ㈜바이오솔루션에서 구입한 세포배양 피부(KeraSkin)를 이용하였다. 도너 챔버에는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h1 및 진세노사이드 Rg2 혼합물(Rh1+Rg2)(HPLC로 분석한 결과 진세노사이드의 Rh1이 70중량%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함) 및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샤인앤샤인에서 판매하는 앱솔루트 크림(Absolute cream)과 혼합하여 처리 시료로 만들어 적용하였다. 이때, 각 처리 시료에는 진세노사이드 Rh1의 함량이 1㎎/g이 되도록 하였고,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에는 수국 추출물을 처리 시료 총 중량을 기준으로 1중량%(10㎎/g)가 포함되도록 하였다. 리셉터 챔버에는 20% PEG 400(polyethylene glycol 400)이 첨가된 PBS를 충전하였고, 상기에서 구입한 세포배양 피부를 도너 챔버와 리셉터 챔버 사이에 고정 시킨 후 프란츠 확산 셀 시스템을 6시간 동안 작동시켰다. 6시간 후에 도너 챔버와 세포배양 피부, 리셉터 챔버의 각 부위에서 샘플을 채취하고, 채취한 각 샘플을 메탄올에 1:1 중량비율로 희석하여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확보하였다. 확보한 상층액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에 적용하여, 각 부위에서의 진세노사이드 Rh1의 양을 분석하여 각 부위별 진세노사이드 Rh1의 분포도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듯이, 진세노사이드 Rh1 단독의 경우(Rh1), 진세노사이드 Rh1 대부분이 도너 챔버에만 검출되고 세포배양 피부에서는 1% 미만이 검출되었다. 반면에 진세노사이드 Rh1 및 진세노사이드 Rg2 혼합물(Rh1+Rg2)와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에는 진세노사이드 Rh1 단독과 대비하여 세포배양 피부에서의 진세노사이드 Rh1의 잔존율이 4배 이상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진세노사이드 Rh1 및 진세노사이드 Rg2 혼합물(Rh1+Rg2)에 비해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의 경우, 세포배양 피부에서의 진세노사이드 Rh1의 잔존율이 조금 낮게 나타났으나, 이는 추가된 수국 추출물의 피부에의 잔존에 따라 상대적으로 진세노사이드 Rh1의 양이 감소한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통해,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이 포함되어 있는 조성물의 경우에 피부에서의 잔존율이 증가함으로써, 이들 조성물에 의한 피부 염증 질환의 치료 효과가 현저히 증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1)

  1. 진세노사이드 Rh1과 진세노사이드 Rg2가 0.25~5:1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진세노사이드 및 수국(Hydrangea macrophylla) 추출물이 1:20~1000 중량비율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Rh1의 피부 잔존율이 4~6배 증가된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는 진세노사이드 Rh1과 진세노사이드 Rg2가 0.25~2.5:1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Rh1의 피부 잔존율이 4~6배 증가된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리젠트, 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팩, 마스크팩, 비누, 바디클렌져, 클렌징폼, 샴푸, 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오일, 바디오일 및 바디로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Rh1의 피부 잔존율이 4~6배 증가된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6. 진세노사이드 Rh1과 진세노사이드 Rg2가 0.25~5:1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진세노사이드 및 수국(Hydrangea macrophylla) 추출물이 1:20~1000 중량비율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Rh1의 피부 잔존율이 4~6배 증가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는 진세노사이드 Rh1과 진세노사이드 Rg2가 0.25~2.5:1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Rh1의 피부 잔존율이 4~6배 증가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염증성 피부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Rh1의 피부 잔존율이 4~6배 증가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삭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Rh1의 피부 잔존율이 4~6배 증가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190001888A 2019-01-07 2019-01-07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034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888A KR102034773B1 (ko) 2019-01-07 2019-01-07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888A KR102034773B1 (ko) 2019-01-07 2019-01-07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773B1 true KR102034773B1 (ko) 2019-10-21

Family

ID=68460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888A KR102034773B1 (ko) 2019-01-07 2019-01-07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7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175A (ko) 2019-12-30 2021-07-08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수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CN117323270A (zh) * 2023-11-29 2024-01-02 江西康一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抗炎症多功效的人参组合物及其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465B1 (ko) 2016-01-08 2017-03-21 강희철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 1 균주, 상기 균주를 이용한 인삼 발효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03664A (ko) * 2016-06-30 2018-01-10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국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465B1 (ko) 2016-01-08 2017-03-21 강희철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 1 균주, 상기 균주를 이용한 인삼 발효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03664A (ko) * 2016-06-30 2018-01-10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국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7308B1 (ko) 2016-06-30 2018-07-18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국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lraek T. et al.,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for patients with chronic fatigue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BMC Complement Altern Med. 11(87), 1-11, 2011.
Bu, H.J., et al., Antioxidation and Anti-inflammation Activity of Isodon inflexus (Thunb.) Kudo Extract and Its Isolated Substance, J. Soc. Cosmet. Sci. Korea., 42(3), 257-268, 2016.
Choi J. et al., Ginseng for health care: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 Korean literature. PLoS One. 8(4). e59978. 2013.
Halliday, G.M., Inflammation, gene mutation and photoimmunosuppression in response to UVR-induced oxidative damage contribtes to photocarcinogenesis, Mutation Research-Fundamental and Molecular Mechani는 of Mutagenesis, 571(1), 107-120, 2004.
Kim, D.H., et al., Effect of the extract of Hydrangea Dulcis Folium on alcohol-induced psychiatric deficits, Journal of Life Science, 27(3), 355-360, 2017.
Kuo, P.C., et al., The emerging nultifaceted roles of nitric oxide, Ann. Surg., 221(3), 220-235, 1995.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175A (ko) 2019-12-30 2021-07-08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수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102308618B1 (ko) 2019-12-30 2021-10-01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산수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CN117323270A (zh) * 2023-11-29 2024-01-02 江西康一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抗炎症多功效的人参组合物及其应用
CN117323270B (zh) * 2023-11-29 2024-03-19 江西康一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抗炎症多功效的人参组合物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837B1 (ko)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1859834B1 (en) Anti-inflammatory agent
US20230075384A1 (en) Composition containing plant extracts
KR10190291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에 의한 인간 피부세포 손상 개선용 조성물
KR101936294B1 (ko) 애기수영 또는 산수국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50118293A (ko) 천연한방약재 감초, 당귀, 고삼 혼합추출물로 항산화, 항염증억제, 주름억제, 미백 효과를 갖는 다기능 화장료 조성물
KR102034773B1 (ko)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228257B1 (ko)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02565B1 (ko)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223021B1 (ko) 고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7239A (ko) 기능성 펩타이드, 아미노산, 캘러스 추출물 및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조성물
KR101980142B1 (ko) 효소 및 가압가열 처리를 이용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증가된 율피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2053994B1 (ko) 흰점박이꽃무지유충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28202A (ko) 밀몽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백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140089305A (ko) 참가시나무 추출물를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239415B1 (ko) 발효 삼칠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150057331A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4136207B2 (ja) 化粧料、医薬部外品、医薬品、食品
KR102159607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또는 항염증 조성물
KR101532484B1 (ko) 진세노사이드 Rh4 강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4779B1 (ko)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4585B1 (ko) 피부 노화 개선 복합 화장료 조성물
KR102543123B1 (ko) 알로에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534239B1 (ko) 글루타치온, 마키베리 추출물 및 상백피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02491B1 (ko)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