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484B1 - 진세노사이드 Rh4 강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진세노사이드 Rh4 강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484B1
KR101532484B1 KR1020130108272A KR20130108272A KR101532484B1 KR 101532484 B1 KR101532484 B1 KR 101532484B1 KR 1020130108272 A KR1020130108272 A KR 1020130108272A KR 20130108272 A KR20130108272 A KR 20130108272A KR 101532484 B1 KR101532484 B1 KR 101532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oside
acid
ginseng
column
crude sapon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8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9297A (ko
Inventor
허준혁
최재환
배봉석
임영호
박채규
이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130108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484B1/ko
Publication of KR20150029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h4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진세노사이드 Rh4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의 제조에 있어,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에 산을 처리하고, 컬럼에 흡착한 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종래 알려진 인삼 추출물 제조 방법 또는 인삼에 포함된 특정 진세노사이드 단독만을 제조하는 방법에 비하여, 특정 성분이 강화된 분획물의 제조가 가능하고, 제조 방법이 단순하며, 비교적 낮은 단가로 진행되기 때문에 상업적인 측면에 부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이 우수한 항산화 및 항염 활성을 보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강화물을 관련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세노사이드 Rh4 강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FOR ANTI-INFLAMMATION OR ANTI-OXIDATION CONTAINING GINSENOSIDE RH4-ENRICHED EXTRACTION}
본 발명은 항염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세노사이드 Rh4 강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은 외부에서 들어온 해로운 물질이나 유기체 등과 같은 여러 요인에 의하여 세포나 조직이 손상을 입거나 파괴되었을 때 그 손상을 최소화하고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기 위하여 국소적으로 일어나는 면역반응이다. 상기 염증은 생체를 보호하고 조직 손상으로 생성된 산물들을 제거하는데 유용한 방어 메커니즘이지만, 한편으로는 상기와 같은 방어 메커니즘에 의한 통증, 부종, 발적 또는 발열 등으로 인해 기능장애가 유발되기도 한다. 따라서 염증 반응이 지나치게 일어나는 경우, 이를 억제하기 위한 약제가 필요하다.
이러한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약제의 하나로서 리폭시게나아제(lipoxygenase) 억제 물질이 꾸준히 주목을 받고 있다. 상기 리폭시게나아제는 아라키돈산으로부터 생체내 염증 반응이나 알레르기 반응 등에 관여하는 다양한 화학적인 매개체 역할을 하는 여러 물질들을 생성하기 때문에, 이러한 리폭시게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물질들은 염증을 유발하는 각종 화학 매개체들의 생성을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염증 반응까지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상기와 같은 리폭시게나아제와는 별도로 활성산소 또는 자유라디칼 소거물질(scavenger) 역시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약제로서 꾸준한 주목을 받아왔다. 상기 자유라디칼이나 활성산소는 미토콘드리아, 식세포 또는 세포질 중 크산틴 산화효소(xanthine oxidase)나 글루타티온 환원 효소(glutathion reductase)에 의한 정상적인 대사 과정 또는 자외선, 외부자극에 의한 염증 반응 등 여러 가지 생물학적 반응에 의해 형성된다. 이렇게 반응성이 큰 활성산소와 자유라디칼, 특히 그 중에서도 반응성과 파괴성이 매우 큰 과산화물(superoxide) 음이온 라디칼이 인체 내에 과량으로 축적되면, 염증 반응 이외에도 세포의 노화를 비롯하여 뇌졸중, 심근경색, 당뇨병성 혈관장애, 고지혈증, 당뇨병, 신경퇴행성 질환 등 각종 인체 질환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활성산소 또는 자유라디칼을 제거할 수 있는 소거물질은 이들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미생물 및 식물체로부터 다양한 활성산소(또는 자유라디칼) 소거 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한편, 인삼(Panax Ginseng)은 한의학뿐만 아니라 민간요법으로 널리 알려져 사용되어온 오가피과 인삼속의 한방약제로서, 오랜 기간 약재로 사용되면서 안전성과 효능이 검증된 소재이다. 상기 인삼은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 알킬화제에 의한 염색체 이상 및 미세핵 방어 효과, 배양세포에서 돌연변이 감소 및 세포 변형 감소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어 있다. 인삼에는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한 산성다당체, 페놀류 성분 등이 포함되어 있는데, 인삼에 포함된 진세노사이드 자체만으로도 위와 같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지만, 특정 진세노사이드 성분을 강화시킴으로써 그 효능을 배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목적하는 진세노사이드의 유도 및 강화는 진세노사이드의 물리/화학적 또는 생물적 변환기술을 이용한다. 주로 물리/화학적인 방법과 사포닌의 글루코사이드 분해 효소를 사용하여 인삼 사포닌의 당기를 가수분해시켜 진세노사이드를 변환, 유도하는 생물적 방법들이 대부분이며, 이 방법들은 인삼에 없거나 극미량으로 존재하는 진세노사이드를 유도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 이외에도 특정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유도 및 강화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연구/개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이들 유도 및 강화 공정을 단순화 및 간편화하여 적은 비용으로 항염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진세노사이드 성분을 경제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기술은 보고된 바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6118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상기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h4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에 pH가 1 내지 4인 산을 처리하고, 가열하여 가수분해하는 단계; 상기 가수분해된 물질을 컬럼에 흡착시키는 단계; 상기 컬럼에 흡착된 물질을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물질을 감압농축하여 정제하는 단계에 의하여 제조되는 인삼 강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4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은 진세노사이드 Rh4 단일 화합물보다 우수한 항염 또는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에도 불구하고, 상기 진세노사이드 Rh4 단일 화합물에 비하여 매우 낮은 단가로 수득이 가능한 바, 본 발명에 의한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은 항염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경제적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홍삼 조사포닌,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이하, "실시예 1의 강화물"이라고 함) 및 Rh4 진세노사이드 98% 표준품의 파낙사트리올계 진세노사이드의 함량과 Rh4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PTC; 파낙사트리올계 진세노사이드.
도 2는 홍삼 조사포닌, 실시예 1의 강화물 및 Rh4 진세노사이드 98% 표준품의 일산화질소(nitric oxide)의 생성량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3은 홍삼 조사포닌, 실시예 1의 강화물 및 Rh4 진세노사이드 98% 표준품의 TNF-a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능을 확인한 도면이다.
도 4는 파낙사디올계 진세노사이드 혼합물 및 다른 진세노사이드들과 실시예 1의 강화물의 항염, 항알러지 효능을 5-리폭시게나제의 활성 억제 정도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PDC; 파낙사디올계 진세노사이드 혼합물; 및 실시예 1; 실시예 1의 강화물.
도 5는 실시예 1의 강화물의 p-38 인산화 억제 효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파낙사디올계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한 다른 진세노사이드들과 실시예 1의 강화물의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소거 정도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PDC; 파낙사디올계 진세노사이드 혼합물; 및 실시예 1; 실시예 1의 강화물.
도 7은 파낙사디올계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한 다른 진세노사이드들과 실시예 1의 강화물의 과산화물 음이온 라디칼 소거능을 NBT(Nitro Blue Tetrazolium) 소거 정도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이용된 용어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일컫는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은 인삼 또는 홍삼 추출물 중에서도 특정 진세노사이드가 다른 진세노사이드 성분에 비하여 특별히 유도 및 강화되어 고함량으로 포함된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일컫는 "추출물"은 원료로부터 종래의 알려진 모든 방법으로 추출된 물질을 의미하며, 이렇게 추출된 추출액, 이로부터 얻을 수 있는 농축액, 상기 농축액의 건조물 및 분말을 모두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h4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h4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진세노사이드 Rh4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을 포함한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은 진세노사이드 Rh4를 포함하고, 특히 다른 진세노사이드 성분에 비하여 상기 진세노사이드 Rh4를 높은 함량으로 포함한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Rh4는 상기 진세노사이드 강화물 내에 포함된 파낙사트리올계 진세노사이드들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9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진세노사이드 강화물 내에 포함된 파낙사트리올계 진세노사이드들의 총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7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진세노사이드 강화물 내에 포함된 파낙사트리올계 진세노사이드들의 총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5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Rh4의 함량이 상기 진세노사이드 강화물 내에 포함된 파낙사트리올계 진세노사이드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의 항염 및 항산화 활성이 진세노사이드 Rh4 단일 화합물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어 항염 및 항산화용 약제로서 이용하기에 부적절해지는 문제가 있고, 상기 진세노사이드 Rh4의 함량이 상기 진세노사이드 강화물 내에 포함된 파낙사트리올계 총 중량에 대하여 9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을 수득하는 비용이 급증하게 되어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은 세포 독성이 없고, 염증 유발에 관여하는 일산화질소 생성과 5-리폭시게나아제 활성을 억제하며, TNF-a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고, p38의 인산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은 부종, 피부염, 알러지, 아토피 등과 같은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은 1) 인삼 또는 인삼 가공물의 추출물에 산(acid)을 처리하고, 가열하여 가수분해하는 단계; 2) 상기 가수분해된 물질을 컬럼에 흡착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컬럼에 흡착된 물질을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Rh4 강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1)은 인삼 또는 인삼 가공물에서부터 조사포닌을 수득하고, 상기 수득된 조사포닌에서 진세노사이드 Rh4 성분을 강화시키는 단계로서, 인삼 또는 인삼 가공물의 추출물에 산을 처리하고 가열하여 가수분해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단계 1)의 인삼은 고려삼(Panax ginseng), 회기삼(P. quiquefolius), 전칠삼(P. notoginseng), 죽절삼(P. japonicus), 삼엽삼(P. trifolium), 히말라야삼(P. pseudoginseng), 베트남삼(P. vietnamensis) 및 미국삼(P. quinquefolium)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상기 인삼은 고려삼이다.
또한 상기 단계 1)의 인삼 가공물은 상기 인삼을 다양한 형태로 가공한 것들로서, 수삼, 미삼, 백삼, 태극삼, 흑삼, 호정화 인삼, 효소처리 인삼, 발효 인삼, 홍삼 및 발효 홍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상기 인삼 가공물은 홍삼 또는 발효 홍삼이다. 상기 홍삼은 증기 또는 태양 건조, 바람직하게는 증기를 통하여 인삼을 가열하여 제조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단계 1)의 추출물은 상기 인삼 또는 인삼 가공물 또는 이의 건조물로부터 추출하여 얻거나, 시판되는 추출물 자체를 직접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물의 원료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 1)의 추출물을 원료로부터 추출하여 수득하는 경우, 상기 추출물은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통상적인 추출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이나 환류추출법을 이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과정은 수회 반복할 수 있으며, 이후에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득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을 얻고, 상기 농축액을 동결건조시킨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추출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알코올, 헥산(n-헥산), 에테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및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고, 상기 유기용매는 C1 내지 C4의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유기용매는 에탄올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단계 1)의 산은 pH가 1 내지 4일 수 있고, 상기 산은 pH가 2 내지 3.8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산은 pH가 2.5 내지 3.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산의 pH가 1 보다 낮으면 인삼 또는 인삼 가공물의 추출물 내에서 진세노사이드가 지나치게 가수분해되어 유효성분이 손실되거나 진세노사이드 Rh4가 아닌 다른 부산물이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산의 pH가 4보다 높으면 상기 추출물 내의 진세노사이드가 제대로 가수분해되지 않거나, 가수분해하는데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pH가 1 내지 4인 산으로서, 말산, 타르타르산, 젖산, 시트르산, 숙신산 또는 초산 등이 이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젖산, 시트르산 또는 초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초산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단계 1)의 산은 농도가 1 내지 15%(v/v)일 수 있고, 상기 산은 농도가 3 내지 13%(v/v)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산은 농도가 6 내지 10%(v/v)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산의 농도가 1%(v/v) 보다 낮으면 인삼 또는 인삼 가공물의 추출물 내에서 진세노사이드가 제대로 가수분해되지 않거나 가수분해하는데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산의 농도가 15%(v/v)보다 높으면 상기 추출물 내에서 진세노사이드가 지나치게 가수분해되어 유효성분이 손실되거나 진세노사이드 Rh4가 아닌 다른 부산물이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단계 1)의 가열은 8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05℃의 온도에서 4 내지 12시간,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9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열 온도가 120℃ 보다 높은 경우 진세노사이드 Rh4 함량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되지 않으며 높은 온도를 유지하는데 따른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가열 온도가 80℃ 보다 낮은 경우 Rh4가 충분히 생성되지 않아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의 항염 및 항산화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가열 시간이 12시간 보다 길어지면 진세노사이드 Rh4 함량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되지 않으며 가열반응을 지속시키는데 따른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가열 시간이 4시간 보다 짧으면 진세노사이드 Rh4가 충분히 생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단계 2) 및 단계 3)은 상기 단계 1)에서 강화된 진세노사이드 Rh4 성분이 포함된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을 분리하는 단계로서, 상기 단계 1)에서 가수분해된 물질을 컬럼에 흡착시킨 다음, 상기 컬럼에 흡착된 물질을 유기용매로 추출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단계 2)의 컬럼은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을 분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컬럼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계 2)의 컬럼에서는 실리카 겔, 활성 알루미나, 합성 고분자, 규산마그네슘, 활성탄, 셀룰로오스, 이온 교환 수지 등의 충진제가 이용될 수 있고, 방향족계 합성수지가 충진제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Diaion HP-20 합성 흡착제가 충진제로 이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컬럼을 이용한 분리는 원하는 순도의 분획물이 정제될 때까지 1회 내지 수회에 걸쳐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농축, 재결정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단계 3)의 유기용매는 알코올, 헥산(n-헥산), 에테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및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고, 상기 유기용매는 C1 내지 C4의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진세노사이드 Rh4 강화 방법은 4) 상기 단계 3)의 추출된 물질을 감압농축하여 정제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계 4)의 감압농축은 종래 알려진 정제방법이 모두 이용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정제 방법으로는 유기 용매를 이용한 분획농축, 감압농축, 동결건조 및 원심분리 등의 방법이 있으나,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을 얻기 위해서는 감압농축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건조 및 세절된 6년근 홍삼을 실온에서 30ℓ의 70% 에탄올로 1차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추출액을 10ℓ 물 포화 부탄올로 2차 추출하여 홍삼 추출물을 수득한 다음, 상기 홍삼 추출물에 pH가 3.0 내외인 8%(v/v)의 초산을 처리하여 100℃에서 8시간 동안 가열하여 가수분해하고, 상기 가수분해된 물질을 Diaion HP-20 컬럼에 흡착시키고, 상기 흡착된 물질을 메탄올로 추출한 다음 감압농축하여 정제된 진세노이드 강화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은 약 21% 정도의 파낙사트리올계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며 이중 Rh4가 12%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 참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험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수득된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의 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상기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은 농도에 상관없이 사람 섬유아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이 없는 안전한 물질로 확인되었고(표 3 참조), 상기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은 일반적인 홍삼 추출물에 비하여, 더 높은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도 2 및 표 4 참조), TNF-a(tumor necrosis factor-a)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였다(도 3 및 표 5 참조). 또한, 염증에 관련된 인자인 리폭시게나제의 활성을 억제하고(도 4 및 표 6 참조), 염증 매개 물질의 합성의 조절에 관여하는 p-38의 인산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5 참조). 또한 Rg3, Rh1, Rh2 등과 같은 다른 진세노사이드들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활성산소 생성 억제 효과(도 6, 도 7, 표 7 및 표 8 참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진세노사이드 Rh4 단일 화합물은 그 정제 방법이 매우 엄격하고 그 제조 비용 또한 고가이어서, 이를 화장료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의 유효성분으로 활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반하여,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은 상기 진세노사이드 Rh4 단일 화합물을 정제해 내는 방법에 비하여, 간단한 방법과 1/3000 내지 1/5000밖에 되지 않는 저렴한 소요 비용으로 수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화된 진세노사이드 Rh4가 다른 파낙사트리올계 진세노사이드들과 시너지 작용을 일으킴으로써 종래 진세노사이드 Rh4 단일 화합물보다 우수한 항염 또는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바,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이 적용될 수 있는 화장품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제형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화장수(스킨), 영양 화장수(로션),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진세노사이드 강화물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의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또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유연화장수일 경우,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알콜류 및 폴리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등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에센스, 로션, 크림 등의 유화 제형일 경우, 진세노사이드 강화물 이외에 스쿠알렌, 미네랄오일, 카프릴릭/카프릴트리글리세라이드, 디메치콘과 같은 오일류 및 스테아릴알콜, 밀납 등의 왁스 성분을 함유하고,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 다가알콜, 점증제, 보습제, 향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에센스, 스킨, 미스트 등의 가용화제형일 경우, 진세노사이드 강화물 외에 피이지-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과 같은 가용화 성분과 점증제, 보습제, 향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오일 및 왁스류는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오일 및 왁스 등 그 사용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특히 동물성 오일, 식물성 오일, 광물성 오일, 실리콘유 또는 합성유 그리고 이러한 오일에서 유래된 고급지방산의 에스터화를 통해 얻은 왁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맛사지 크림일 경우, 유동파라핀, 바셀린,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등의 오일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팩은 폴리비닐알콜을 함유하는 필오프(peel off) 팩 또는 일반유화형 화장료에 카올린, 탈크,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의 안료가 함유된 워시오프(wash off) 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을 함유하는 항염용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제형에 배합되는 보통의 성분,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필요한 만큼 적용하여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진세노사이드 강화물 제조 및 정제
6년근 홍삼 1㎏을 건조하여 세절한 후 실온에서 70% 에탄올 30ℓ를 사용하여 3일 동안 냉침을 5회 반복한 후 필터링을 통해 잔사를 제거하고 10ℓ 물 포화 부탄올로 추출 후 농축시켜 조사포닌을 얻었다.
조사포닌 100g을 8%의 초산으로 녹인 후 환류냉각기에 장치하고 100℃로 8시간 정도 가열하여 산 가수분해시킨 후 Diaion HP-20 컬럼(2.8×22cm, wet volume 80㎖)에 흡착시켰다(Mitsubishi Chemical Industry, Yokohama, Japan). 흡착된 컬럼을 증류수로 충분히 세척한 다음 메탄올 99.8%(Sigma, USA)로 추출하여 감압농축을 통해 분획을 얻었고, 상기 얻어진 분획을 정제하여 23.35g의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을 얻었다.
< 실시예 2> 조사포닌 및 처리 조건 변경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분석
< 실시예 2-1> 홍삼 조사포닌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진세노사이드 강화물 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분석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을 제조하였을 때,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변화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조사포닌(모아캠, 서울, 한국) 및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이하, "실시예 1의 강화물" 이라고 함) 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각각 HPLC를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순도가 98%인 Rh4 표준품(천연물화학, 대전, 한국)을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그 결과, 시중에 판매되는 조사포닌의 경우 Rh4는 검출되지 않았고, 미량의 PTC가 존재하는데 비해, 조사포닌을 실시예 1과 같이 산 처리 및 컬럼 정제를 통해서 PTC를 강화시키면 약 21% 정도의 PTC가 생성되며 이중 Rh4가 12%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조군인 Rh4 표준품의 순도가 98%인 것으로 측정된 것으로 보아, 위의 Rh4 함량 측정 결과가 정확한 것임을 알 수 있다(도 1).
< 실시예 2-2> 가수분해 시간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의 함량 분석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하고, 가수 분해 시간만을 변경하여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을 제조하여, 상기 실시예 <2-1>와 같은 방법으로 이들 강화물 내의 PTC 및 진세노사이드 Rh4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가수분해시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6시간 7시간 8시간
Rh4(mg/g) 12.25 15.06 17.14 21.59 25.86 28.64 34.09 36.23
PTC(mg/g) 50.93 53.27 54.21 60.68 64.91 67.27 74.87 76.37
Rh4의 함량 비율(%) 24.05 28.27 31.62 35.58 39.84 42.57 45.53 47.44
그 결과, 상기 표 2와 같이, 가수분해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PTC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PTC를 구성하는 다양한 진세노사이드들 중에서 진세노사이드 Rh4가 차지하는 함량의 비율도 증가하였다(표 1). 또한 4시간 동안 가수분해를 진행시켰을 때 실시예 1의 강화물 내 PTC 총 중량에 대한 진세노사이드 Rh4의 함량이 35 중량% 이상이 됨을 확인하였다(표 1).
< 실시예 2-3> 컬럼 정제 횟수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의 함량 분석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하고, 컬럼 정제 횟수만 변경하여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을 제조하고, 이들 강화물 내의 PTC 및 Rh4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컬럼정제 1회 컬럼정제 2회 컬럼정제 3회
Rh4 (mg/g) 85.3 120.36 130.27
PTC (mg/g) 163.2 214.76 227.62
상기 표 3과 같이, 컬럼으로 2회 정제하였을 때, 1회 정제하였을 때에 비하여, 실시예 1의 강화물은 파낙사디올계 진세노사이드 보다 Rg6, Rk3, F4 및 Rh4와 같은 PTC가 강화되었고, 특히 이 중에서도 Rh4의 함량은 120.36mg/g으로, PTC 총량인 214.76mg/g에 대해 5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2).
< 실험예 1> 실시예 1의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의 세포독성 측정
상기 실시예 1의 강화물의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해, MTT 환원법(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 zolium bromide reduction method)을 수행하였다. 사람 섬유아세포(ATCC 2076)를 소혈청 10%를 함유한 IMDM(Iscove's modified Dulbeco's medium; Gibco, USA)을 사용하여 1 × 105 세포수의 밀도로 24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1일 후 새로운 배지(IMDM, 소혈청 0%)로 갈아주면서 실시예 1의 강화물을 0, 0.5, 1.0, 2.5, 5.0㎍/㎖의 농도로 처리한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때, 상기 강화물을 처리하지 않은 시료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그런 다음,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MTT(2.5㎎/㎖)를 IMDM 배지에 10배 희석시켜 그 희석액을 1㎖ 첨가하여 37℃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배지를 버리고 DMSO 0.5㎖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10분 동안 녹인 다음, 완전히 녹인 후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3회 반복 시험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강화물이 모든 처리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됨으로써, 실시예 1의 강화물이 세포 독성이 없는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하였다(표 3).
시료 농도(㎎/㎖) 세포생존도(%)
대조군 0 100.0±0.00


실시예 1의 강화물
0.5 102.1±0.36
1.0 101.7±0.72
2.5 100.1±0.43
5.0 101.2±0.51
< 실험예 2> 실시예 1의 강화물의 항염 효과 확인
< 실험예 2-1> 실시예 1의 강화물의 일산화질소( nitric oxide )의 생성 억제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강화물의 항염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염증 반응의 주요 지표로 활용되는 일산화질소의 생성 억제 효능을 시중에서 판매되는 홍삼 조사포닌(모아캠)과 비교하였다. 또한 순도가 98%인 Rh4 표준품(천연물화학)을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대식세포에서 유래된 RAW 264.7 세포주를 소 혈청 10%를 함유하는 DMEM을 사용하여 1 × 106 세포수의 밀도로 48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1일 후 새로운 배지에 대장균에서 유래된 지질당(Lipopolysaccharide; Sigmaaldrich, USA) 1㎍/㎖과 홍삼 조사포닌, Rh4 표준품 또는 실시예 1의 강화물을 각각 1ppm 또는 10pp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37℃에서 1일 동안 배양한 후, 배양된 배지 100㎕를 96-웰 프레이트로 옮겨놓았고, Griess reagents Ⅰ과 Ⅱ(Intron biotech, Korea)를 각각 50㎕씩 처리하여 상온에 10분 정도 반응시킨 후,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일산화질소의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무처리군 LPS 처리 조사포닌 Rh4 표준품(98%) 실시예 1의 강화물
처리 농도 - 1㎍/㎖ 10ppm 1ppm 10ppm 1ppm 10ppm 1ppm
NO 생성량(μM) 8.3 1371.7 781.7 1198.3 951.7 978.3 288.3 881.7
NO 생성 억제율(%) - - 43.0 12.6 30.6 28.7 79.0 35.7
그 결과, Rh4 표준품의 경우 일산화질소의 생성량을 농도에 따라 28.7~30.6% 억제시키는 반면, 실시예 1의 강화물은 동일 농도에서 35.7%~79.0% 일산화질소의 생성량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4 및 도 2).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실시예 1의 방법을 통해 진세노사이드 Rh4가 강화되고, 강화된 진세노사이드 Rh4와 다른 파낙사트리올계 진세노사이드들이 시너지 작용을 일으킴으로써 실시예 1의 강화물이 Rh4 단독 성분보다 더 우수한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2-2> 실시예 1의 강화물의 TNF -a 생성 억제 확인
실시예 1의 강화물의 항염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TNF-a의 발현량을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RAW 264.7 세포에 실시예 1의 강화물을 처리하고, 처리된 세포의 세포배양액에서 TNF-a의 발현량을 ELISA 키트를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에 5×105 세포/㎖로 RAW264.7 세포를 분주하고 16시간 동안 세포를 안정시킨 후, 조사포닌, Rh4 표준품 및 실시예 1의 강화물을 각각 1ppm, 10ppm 처리하고,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0.5㎍/㎖의 농도로 LPS를 처리하고, 20시간 동안 37℃ 및 5% CO2의 조건의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ELISA 키트(Pierce Endogen, USA)를 이용하여 상기 배양된 세포의 세포배양액에서 사이토카인을 측정하였다.
무처리군 LPS
처리
조사포닌 Rh4 표준품
(98%)
실시예 1의 강화물
처리 농도 - 0.5㎍/㎖ 10ppm 1ppm 10ppm 1ppm 10ppm 1ppm
TNF-a생성량(pg/㎖) 0.00 86.60 89.43 86.75 39.58 84.66 26.75 48.24
TNF-a생성 억제율(%) - - - 0 54.3 2.3 69.12 44.3
그 결과, 조사포닌은 TNF-a 생성 억제 효과가 거의 없었으며, 실시예 1의 강화물이 Rh4 98% 표준품보다 1ppm, 10ppm 농도 모두에서 효과적으로 TNF-a의 발현량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5 및 도 3).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실시예 1의 방법을 통해 진세노사이드 Rh4가 강화되고, 강화된 진세노사이드 Rh4가 다른 파낙사트리올계 진세노사이드들과 시너지 작용을 일으킴으로써 실시예 1의 강화물이 Rh4 단독 성분보다 더 우수한 TNF-a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2-3> 실시예 1의 강화물의 5- 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 확인
리폭시게나아제는 염증 반응에 관련된 화학적 매개체들을 생성하므로, 리폭시게나아제의 활성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염증 억제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기의 방법을 이용하여, 파낙사디올계 진세노사이드 혼합물, 개별 진세노사이드 Rg3(S), Rh2(R), Rh2(20s), Rh1(S) 및 실시예 1의 강화물의 5-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저해 정도를 비교 확인하였다.
다른 진세노사이드들 및 실시예 1의 강화물의 5-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억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200mM 농도의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Sigma, USA) HCl를 이용하여 pH를 8.6으로 맞춘 완충 용액과 기질 역할을 하는 리놀레산(Sigma, USA)을 에탄올에 300μM로 녹인 기질 용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완충 용액 3㎖과 기질 용액 100㎕를 잘 섞어준 후 평가하고자 하는 파낙사디올계 진세노사이드 혼합물(앰보연구소, 대전, 한국), 개별 진세노사이드 시료 Rg3(S)(앰보연구소), Rh2(R)(앰보연구소), Rh2(20s)(앰보연구소) 및 Rh1(S)(앰보연구소), 실시예 1의 강화물 및 NDGA(nordihydro-guaiaretic acid)(대조군)을 각각 100㎕씩 잘 혼합하였다. 이후, 100,000 유닛/㎖의 대두 리폭시게나아제(Sigma, USA) 60㎕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20 분 동안 효소 반응시켰다. 효소 반응이 종료된 후 UV/Vis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234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실험군의 5-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는 5-리폭시게나아제의 활성도가 억제되는 비율로 표 6에 나타낸다.
(㎎/㎖) Rg3(S) 파낙사디올계진세노사이드 혼합물 Rh2(R) Rh2(20s) Rh1(S) 실시예 1의 강화물 NDGA
0.25 14.8 25.0 21.9 6.0 9.2 55.2
50.2
0.5 19.2 38.2 32.0 9.8 15.0 75.3
1 24.3 39.3 39.3 18.4 24.8 78.0
그 결과, 실시예 1의 강화물이 개별 파낙사디올계 진세노사이드(Rg3(S), Rh2(R), Rh2(20s)), 파낙사디올계 진세노사이드 혼합물 및 진세노사이드 Rh1(S)보다 높은 5-리폭시게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처리된 농도 1, 0.5, 0.25mg/㎖에서 5-리폭시게나아제의 활성도가 각각 55.2%, 75.3%, 78.0% 저해되었고, 특히 실시예 1의 강화물의 경우 사용된 모든 농도에서 양성 대조군인 NDGA 보다 높은 5-리폭시게나아제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표 6 및 도 4).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실시예 1의 방법을 통해 진세노사이드 Rh4가 강화됨으로써 실시예 1의 강화물이 파낙사디올계 진세노사이드 개별 또는 이의 혼합물, 및 조사포닌에서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파낙사트리올계 진세노사이드인 Rh1(S)보다 우수한 항염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2-4> 실시예 1의 강화물의 항염 효과의 원리 확인
p-38은 염증 매개 물질의 합성의 조절에 관여하므로, 실시예 1의 강화물을 처리하여 p-38의 인산화 활성도를 확인함으로써, 항염 효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강화물을 각각 50ppm, 100ppm의 농도로 처리한 후에 p-38의 인산화 활성도를 웨스턴 블랏을 통해 확인하였다. 배양한 세포를 PBS로 세척한 후 5×SDS 시약완충제에 녹이고, 10분간 끓인 뒤 10% SDS-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겔 전기영동을 시행하였다. 단백질 정량을 통해 동량의 단백질을 함유하는 시료를 겔에 용해시켜 시행한 후 니트로셀룰로오스(nitrocellulose) 반응막(0.45μm, BioRad lab., Hercules, Calif, USA)에 이동시켰다. 반응 중 지시약(탈지분유를 PBST(0.05% Tween 20이 함유된 PBS)에 5%로 용해시킨 액으로 상온에서 1시간 처리하고 PBST로 10분간 4회 반복 세척한 후 일차항체(1:1,000 항-p-38, 항-phospho-p-38(Cell signaling Tech., Beverly, MA, USA))를 넣고 4℃에서 하룻밤 동안 처리하였다. 세척 후 반응막을 퍼옥시다아제(peroxidase)가 결합된 이차항체로 상온에서 1시간 처리하고 PBST로 8회 세척 후 강화된 생화학 발광법(chemiluminescence: ECL, Amersham, Arlington Heights, USA)을 통해 시각화하고 Kodak XAR5 필름으로 현상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강화물 처리시 50ppm, 100ppm 농도에서 모두 p38의 인산화가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도 5),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실시예 1의 강화물은 그 내에 강화된 진세노사이드 Rh4에 의해 p38의 인산화를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항염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도 5).
< 실험예 3> 실시예 1의 강화물의 항산화 효과 확인
자유라디칼은 염증 반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강화물을 비롯한 다른 진세노사이드들이 자유라디칼과 과산화물(superoxide) 음이온 라디칼의 제거 효능이 있는지 각각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와 NBT(Nitro Blue Tetrazolium) 소거를 통해 비교 확인하였다.
< 실험예 3-1> DPPH 소거를 통한 항산화 효과 확인
DPPH 라디칼 포착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Yasushi 등의 문헌("Stopped-flow and spectrophotometric study on radical scavenging by tea catechins and model compound", Chem Pharm Bull 47: 1369-1374(1999))을 변형하여 실험하였다. 2.0×10-4 M 농도가 되도록 에탄올에 용해한 DPPH 1.5㎖, 시료 0.15㎖ 및 증류수 1.35㎖를 첨가하여 30분 동안 25℃에서 반응시킨 후,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시료의 경우 각각 1, 0.5, 0.25, 0.125, 0.05mg/㎖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DPPH 라디칼 포착능(%)은 100-[(시료를 첨가한 반응군의 흡광도/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100] 식으로부터 구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항산화제로 알려진 비타민C를 사용하였다.
(㎎/㎖) Rg3(S) 파낙사디올계진세노사이드 혼합물 Rh2(R) Rh2(20s) Rh1(S) 실시예 1의 강화물 비타민C
0.05 5.1 5.0 3.9 1.8 2.0 2.5

50

0.125 4.4 5.7 4.4 2.9 0.0 4.2
0.25 2.7 8.9 4.3 3.3 0.0 8.4
0.5 4.3 17.4 4.2 3.4 0.0 17.2
1 4.0 21.1 5.1 2.2 0.0 37.9
그 결과, 파낙사디올계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한 다른 진세노사이드들 보다, 실시예 1의 강화물이 더 높은 DPPH 라디칼 제거 효과를 나타냈으며, 실시예 1의 강화물이 1mg/㎖의 농도로 처리될 때, 양성 대조군인 비타민C의 DPPH 라디칼 제거 효과에 가장 근접한 DPPH 라디칼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7 및 도 6).
< 실험예 3-2> NBT 소거를 통한 항산화 효과 확인
과산화물 음이온 라디칼 포착 효능을 SOD 활성 검출 키트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시료 0.05㎖(각 시료의 농도:1, 0.5, 0.25, 0.125, 0.05mg/㎖), 발색액(0.4mM 크산틴, 0.1M 인산나트륨 버퍼 내에 0.24mM NBT, pH 8.0) 0.5㎖, 효소액(0.1M 인산나트륨 버퍼 내에 0.048 unit/㎖ 크산틴 산화 효소, pH 8.0) 0.5㎖를 첨가하고 잘 혼합하여 37℃에서 20분 동안 반응시킨 후, 반응정지액(70mM sodium dodecyl sulfate) 1㎖를 첨가하여 효소 반응을 정지시킨 다음 5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과산화물 음이온 라디칼 포착능(%)은 100-[(시료를 첨가한 반응군의 흡광도/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흡광도)×100] 식으로부터 구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화장품에서 널리 사용되는 BHA(Butyl hydroxyanisole)를 사용하였다.
(㎎/㎖) Rg3(S) 파낙사디올계진세노사이드 혼합물 Rh2(R) Rh2(20s) Rh1(S) 실시예 1의 강화물 BHA
0.05 7.0 20.7 9.5 5.0 0.0 24.6

50

0.125 7.1 21.8 11.4 5.0 2.9 30.4
0.25 7.9 29.9 17.6 5.1 5.4 48.1
0.5 7.9 34.6 25.2 6.8 8.7 55.0
1 11.8 40.0 30.3 10.4 14.8 69.7
그 결과, 파낙사디올계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한 다른 진세노사이드들 보다, 실시예 1의 강화물이 더 높은 과산화물 제거 효과를 나타냈으며, 실시예 1의 강화물이 0.25mg/㎖의 농도로 처리될 때, 양성 대조군인 비타민C의 DPPH 라디칼 제거 효과에 가장 근접한 DPPH 라디칼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0.5mg/㎖, 1mg/㎖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양성 대조군인 BHA를 처리한 경우보다 더 높은과산화물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8 및 도 7).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1-1> 에센스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강화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9에 기재된 함량(중량부)에 따라 에센스를 각각 제조하였다.
조성 함량(중량부)
실시예 1의 강화물 3
트리에탄올아민 0.2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2
글리세린 4
부틸렌글라이콜 2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2
밀납 0.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
스쿠알렌 4
정제수 적량
<1-2> 유연화장수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강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연화장수는 하기 표 10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실시예 1의 강화물 1.00
1,3-부틸렌글리콜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알란토인 0.1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시트릭애씨드 0.01
소듐시트레이트 0.02
글리세레스-26 1.00
알부틴 2.00
PEG-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00
에탄올 30.00
보존제 미량
착색제 미량
착향제 미량
정제수 잔량
<1-3> 영양 크림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강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영양크림은 하기 표 11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실시예 1의 강화물 1.0
1,3-부틸렌 글리콜 7.0
글리세린 1.0
D-판테놀 0.1
식물 추출물 3.2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3
PEG-40 스테아레이트 1.2
스테아릭애씨드 2.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5
세테아릴알코올 3.0
미네랄오일 4.0
스쿠알렌 3.8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8
식물성 오일 1.8
디메치콘 0.4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미량
알란토인 미량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미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보존제 적량
착향제 적량
정제수 잔량
<1-4> 로션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강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로션을 하기 표 12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중량부)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6
스테아린산 1.4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8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2.6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탈 0.6
스쿠알렌 4.8
마카다이아오일 2
호호바오일 2
초산토코페롤 0.4
메틸폴리실록산 0.2
에틸파라벤 0.1
초산토코페롤 0.4
메틸폴리실록산 0.2
에틸파라벤 0.1
프로필파라벤 0.1
1,3-부틸렌글리콜 4
메틸파라벤 0.1
산탄검 0.1
글리세린 4
d-판데놀 0.15
알란토인 0.1
실시예 1의 강화물 1.0
카르보머(2% aq. Sol) 4
트리에탄올아민 0.15
에탄올 3
pt 41891 0.1
p-H20 48.3

Claims (9)

  1. 실온에서 홍삼의 알코올 추출물을 물 포화 부탄올로 다시 추출하여 조사포닌을 얻는 단계;
    상기 조사포닌에 pH가 1 내지 4인 산을 처리하고, 가열하여 가수분해하는 단계;
    상기 가수분해된 물질을 컬럼에 흡착시키는 단계;
    상기 컬럼에 흡착된 물질을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물질을 감압농축하여 정제하는 단계에 의하여 제조되는 진세노사이드 Rh4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Rh4는 상기 진세노사이드 강화물 내에 포함된 파낙사트리올계 진세노사이드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9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은 초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용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초산은 6%(v/v) 내지 10%(v/v) 초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용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은 80℃ 내지 120℃의 온도에서 4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용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부종, 피부염, 알러지 및 아토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용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맛사지크림, 영양세럼, 에센스 및 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인 항염용 화장료 조성물.
  9. 실온에서 홍삼의 알코올 추출물을 물 포화 부탄올로 다시 추출하여 조사포닌을 얻는 단계;
    상기 조사포닌에 pH가 1 내지 4인 산을 처리하고, 가열하여 가수분해하는 단계;
    상기 가수분해된 물질을 컬럼에 흡착시키는 단계;
    상기 컬럼에 흡착된 물질을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물질을 감압농축하여 정제하는 단계에 의하여 제조되는 진세노사이드 Rh4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강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108272A 2013-09-10 2013-09-10 진세노사이드 Rh4 강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32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272A KR101532484B1 (ko) 2013-09-10 2013-09-10 진세노사이드 Rh4 강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272A KR101532484B1 (ko) 2013-09-10 2013-09-10 진세노사이드 Rh4 강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297A KR20150029297A (ko) 2015-03-18
KR101532484B1 true KR101532484B1 (ko) 2015-06-29

Family

ID=53023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272A KR101532484B1 (ko) 2013-09-10 2013-09-10 진세노사이드 Rh4 강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4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286B1 (ko) * 2015-09-14 2017-11-13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7208B1 (ko) * 2021-06-10 2023-06-26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인삼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면역 강화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275A (ko) * 1996-07-26 1998-04-30 박명규 신규 사포닌 성분 및 그 분리방법
JP2009508877A (ja) * 2005-09-19 2009-03-05 ハーバルサイエンス シンガポール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パナックス種を含む組成物及び方法
KR20110052940A (ko) * 2009-11-13 2011-05-19 씨제이제일제당 (주) 인삼으로부터 진세노사이드 Rg3가 강화된 추출물 분획을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275A (ko) * 1996-07-26 1998-04-30 박명규 신규 사포닌 성분 및 그 분리방법
JP2009508877A (ja) * 2005-09-19 2009-03-05 ハーバルサイエンス シンガポール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パナックス種を含む組成物及び方法
KR20110052940A (ko) * 2009-11-13 2011-05-19 씨제이제일제당 (주) 인삼으로부터 진세노사이드 Rg3가 강화된 추출물 분획을 제조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l. Pharm. Bull., Vol. 34, No. 6, pp. 898-900 (201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286B1 (ko) * 2015-09-14 2017-11-13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297A (ko)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111B1 (ko) 진세노사이드 Rh4 강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또는 항산화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26407B1 (ko) 갈색거저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503123B1 (ko)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JP2021502953A (ja) ツボクサ不定根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皮膚美白及びシワ改善用化粧料組成物
KR101973639B1 (ko) 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50050310A (ko) 청호, 님잎,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EP2200574B1 (en) Novel use of panduratin derivatives or extract of kaempferia pandurata comprising the same
EP2520304B1 (en) Ceramide production enhancer and moisturizing agent
KR102239784B1 (ko) 엉겅퀴 및 모링가의 온천수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34773B1 (ko) 진세노사이드 Rh1, 진세노사이드 Rg2 및 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532484B1 (ko) 진세노사이드 Rh4 강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6401B1 (ko) 인삼열매 추출물의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304146B1 (ko) 황기를 발효시킨 황기 발효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EP3925603A1 (en) Composition for allergy prevention, atopic dermatitis alleviation or skin regeneration,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undecane or undecanal
KR102160868B1 (ko) 노네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 아토피 피부염 개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KR102128168B1 (ko) 표고버섯 추출물 및 고로쇠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012366B1 (ko) 아슈와간다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959551B1 (ko) 애플민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저색소증 개선 및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조성물
KR20220082192A (ko) 오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21666B1 (ko) 선복화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607593B1 (ko) 피부 외관 개선용 조성물
KR101645355B1 (ko)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
JP2005179291A (ja) β−エンドルフィン産生促進剤
EP3510991A1 (en) Skin anti-aging composition containing dehydrogenated abietic acid and compound k
KR101469810B1 (ko)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