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355B1 -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 - Google Patents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355B1
KR101645355B1 KR1020140084640A KR20140084640A KR101645355B1 KR 101645355 B1 KR101645355 B1 KR 101645355B1 KR 1020140084640 A KR1020140084640 A KR 1020140084640A KR 20140084640 A KR20140084640 A KR 20140084640A KR 101645355 B1 KR101645355 B1 KR 101645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fraction
active ingredi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4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5559A (ko
Inventor
이지영
문보라
김태양
이강태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40084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355B1/ko
Publication of KR20160005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3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5Extraction with lipophilic solvents, e.g. Hexane or petrol ether

Abstract

본 발명은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개선용 피부 외용제로서, 황색 포도상구균(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력을 갖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SKIN EXTERNAL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DERMATITIS CONTAINING EXTRACTS OR FRACTIONS OF ALLIUM HOOKERI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개선용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는 외부환경과 항상 접하고 있는 기관으로서, 수분손실을 막는 보호장벽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표피의 각질층 역시 피부에 가장 외측에 존재하면서 피부 밖으로 수분과 전해질이 소실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건조를 막아 피부가 정상적인 대사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외부의 물리적 손상과 화학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거나 세균, 바이러스 등이 피부로 침입하는 것을 막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피부에 환경적, 유전적인 문제로 인하여 기능이 저하되어 생기는 질환이 아토피 피부염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피부 장벽기능장애와 알르레기원과 미생물과 같은 환경 인자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과 관련된 유일한 질병이다(Incovaria et al., Clin. Exp. Immunol., 153: 27-29, 2003). 멜라닌세포(melanocyte)와 각질세포(keratinocyte)를 포함하는 모든 피부세포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와 활성질소종(reactive nitrogen species, RNS)을 생산한다(Pelle et al., J. Invest. Dermatol., 124: 793-797, 2005;Kornina and Pastore, Front. Biosci. 1: 123-141, 2005). 덧붙여, 피부세포로부터 생성된 ROS는 또한 지질 분자 또는 리폭시게나제(lipoxigenase)와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와 같은 산화환원-민감성 지질대사 효소와 반응함으로써 지질 라디칼(lipid radical), 과산화물(peroxide), 하이드로과산화물(hydroperoxide)와 같은 활성지질종(reactive lipid species) 또는 알데히드를 생산할 수 있다. 만성 염증질환인 아토피성 피부염은 그러한 산화 환원균형을 붕괴시켜서 ROS, RNS의 과잉생산과 지질 과산화물의 높은 수준을 야기하는데, 이는 결국 질병상태를 악화시키고 Th2-편향된 면역반응 쪽으로 치우키게 한다(Briganti and Picardo, J. Eur. Acad. Dermatol., 17: 663-669, 2003; Wu et al., Clin. Exp. Immunol., 135: 194-199, 2004).
피부에 나타나는 염증 반응은 붉어짐, 따끔거림, 화끈거림, 팽윤, 조직의 변화와 같은 5가지 현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해로운 주위 환경, 즉 세균과 같은 외부 물질의 침입과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려는 생리적인 반응이다. 염증과 관계되는 대표적인 피부 트러블의 형태로는 아토피와 여드름 등이 있다. 특히, 아토피에 대해서 설한다면, 아토피는 심한 가려움증이 특징적인데 피부에 자극을 가하면 가려움증이 더욱 심해지고, 자꾸 더 긁다보면 상처가 나게된다. 이로 인해 세균감염(황색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등)이 일어나게 되어 염증이 발생한다. 아토피의 문제 중에 중요한 인자의 하나는 이때 일어나는 2차 감염 및 초항원 독소이다. 아토피 환자의 80~90%는 피부에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과 연쇄상구균(Stereptococcus pyogenes)의 감염이 있는데, 이때 anti- Staphylococcus, IgE가 만들어지며, 이는 T-cell반응을 자극하는 초항원 독소에 의해 유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황색포도상구균의 초항원 독소는 랑게르한스 세포내 항원제시세포를 통하여 T임파구를 선택적으로 자극하여 인터루킨-1과 TNF-alpha를 생산하게 하고, 이들에 의해 자극된 T-cell에서 여러 가지 세포내 사이토카인이라는 독소를 분비하여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 즉, 초항원 독소는 인터루킨-4와 인터루틴-5의 분비를 촉진하여 IFN-gamma의 분비는 저해하고, CLA의 수를 증가시켜 결국 IgE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이러한 IgE에 의하여 호염구에서 히스타민이라는 물질이 분비되어 아토피 피부염이 악화된다.
일반적으로 아토피 피부염 환자는 정상인에 비하여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에 의한 피부 감염이 잘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아토피 환자의 90%가 피부에 황색 포도상 구균(Staphylococcus aureus)이 집적되어 번식하고 있으며, 많은 연구 결과들을 통해서 아토피 환자의 상피세포에 황색 포도상 구균의 감염되어 있음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런 아토피 환자에게 상피세포에 포도상 구균의 감염 및 번식하는 기전은 명확하지 않다. 아토피성 질환 부모의 소아에서 아토피성 피부염의 빈도가 높아 유전적인 소인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아토피성 피부염을 가지고 있는 모체로부터 수유기간이 증가할수록 아토피성 피부염의 발생 빈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들 포도상구균에 의한 피부 감염증은 주로 각질층 내의 세라마이드(Ceramides)의 함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발생한다. 아토피는 각질층의 수분유지기능이 떨어짐에 따라 피부가 건조되어 각질이 다량 일어나며, 피부장벽 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자극유발물질이 각질층 내로 침입하여 자극을 유발시켜 정상피부에서는 침입하기 어려운 항원 단백질이 침입하며, 피부 알러지 등이 용이하게 발생하여 심한 소양증을 나타낸다. 따라서, 아토피 환자의 90% 이상이 포도상구균에 감염되어 있으며, 이것은 환자가 가려움을 참지 못하여 긁어서 생기기도 하지만 세균의 외독소가 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자극하여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화학물질을 나오게 하여 아토피를 악화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아토피 피부를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보습제 사용, 타르제제 사용, 바르거나 먹는 스테로이드제제 사용, 자외선 치료, 클린다마이신, 디클록사시린(dicloxacilline)과 같은 항생제, 항소양제, 과망간산칼리(potassium permanganate), 세트리마이드(cetrimide),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로옥시레놀(chloroxylenol), 디브로모프로파미딘(dibromopropamidine), 폴리녹시린(polynoxylin), 포비돈 아이오다인(povidone iodine), 트리클로산 (triclosan) 과 같은 항균제, 면역 관련 치료제, 식품, 향기, 한방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타르제제는 알코올 성분이 있어 냄새가 좋지 않고 건조한 피부를 자극하는 단점이 있고, 스테로이드 제제는 발진, 피부색 변화 고혈압, 백내장 등의 부작용이 심각하며, 자외선 치료는 햇볕의 화상, 가려움증 유발, 색소 침착과 장기간 치료 시에는 피부의 조기 노화와 암의 위험이 높고, 항생제는 주로 내복약으로 용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항균제는 농도 따른 피부 자극이 있으며, 면역조절, 억제제 등은 수두, 대상포진 등의 바이러스에 감염된 얼굴에 사용해서는 안되는 등의 사용상에 어려움이 있어 그 사용에 한계가 있으며, 또한 식품요법, 한방치료, 기타 향기 요법 등은 사용상의 부작용은 없지만 그 효과가 미비한 경우가 많아서 근본적인 치료가 되기 어려워 사용상에 그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제까지 알려지지 않은 여러 천연물들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 백합과식물인 삼채(뿌리부추)를 선정하고 이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과, 항균효과, 항산화 효과와 보습효과,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그 효능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을 함유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과 등을 나타내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삼채(Allium hookeri)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부 외용제는 황색 포도상구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력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부 외용제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과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은 상기 피부 외용제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 ~ 30.0 중량% 함유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삼채 추출물은 (a)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b) 초임계 추출법, (c) 초음파 추출법 및 (d) 발효 추출법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삼채 분획물은 삼채를 추출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노르말 헥산(N-hexane), 염화메틸렌(methylene chlorid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및 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얻어진다.
본 발명은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개선용 피부 외용제로서, 황색 포도상구균(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력을 갖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중 유효 성분으로 사용되는 삼채(삼미채, 쥬밋, 뿌리부추)는 영문표기가 학명으로는 Allium hookeri로 표기되고 있다.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식물로, 시베리아, 유럽, 일본 홋카이도, 히말라야 산맥의 미얀마 등의 고랭지를 원산지로 하는 허브의 한 종류이다. 높이 20~30cm로 작으며, 생김새는 작은 파와 같다. 서양의 부추로 알려져 있으며, 독특한 향으로 인해 서양 음식 조리시에 향신료의 역할로 많이 사용된다.
삼채는 단맛, 매운맛, 쓴맛의 세 가지 맛이 나서 삼채(三菜)라고 부르기도 하며, 인삼 맛이 난다고 하여 삼채(蔘菜)라고 부르기도 한다. 삼채의 잎과 뿌리에는 각각 필수 아미노산인 발린(valine), 이소류신(isoleucine), 메티오닌(methionine), 트레오닌(threonine), 라이신(lys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트립토판(tryptophan), 히스티딘(histidine) 등이 함유되어 있고 비타민 A, 비타민 C, 질소, 인산, 철분, 망간, 아연 및 유황의 함유량이 높다. 특히, 삼채의 유황성분은 통상 100 g 당 3.28 ㎎으로서 마늘의 0.5 ㎎보다 6 배 많이 함유되어 있고, 특히 한국산 삼채의 경우 식이유황이 100 g 당 600 ㎎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황냄새 때문에 동물들도 피해간다고 하여 노지 재배시 울타리를 치지 않아도 야생동물의 피해를 받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유황은 식물성 유황, 동물성 유황, 광물성 유황의 세 종류로 분류되는데, 식물성 유황으로는 삼채(Allium hookeri), 해송, 마늘, 파 등에 함유된 식이유황을 들 수 있으며, 식용으로서 가장 안전하여 현재 많이 상용화되어 있으나 황의 순도가 최대 34 %로서 효과와 경제성 면에서 광물성 유황에 비하여 낮은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유황성분의 종류에서도 인삼 류에는 베타 황이 주로 함유되어 있으나 삼채에는 알파, 감마, 베타 델타, 람다, 뮤 황이 함유되어 여러 종류의 유황성분이 복합적으로 함유되어 있다. 삼채는 혈액순환개선과 항암작용에 효과가 있으며, 섬유소가 피를 맑게 하고 배변을 촉진하며, 통증 완화작용, 염증을 삭히는 작용, 각종 피부병 치료, 아토피 질환 및 당뇨 예방, 콜레스테롤의 합성억제 및 혈전분해 효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삼채 추출물은 삼채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 잎, 꽃, 뿌리, 줄기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전초 또는 뿌리로부터 얻은 추출물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전초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삼채를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조추출물을 얻는 단계(단계 1), 상기 조추출물을 분획하는 단계(단계2)로 얻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추출물을 분획하는 단계는 상기 조추출물을 노르말 헥산, 염화메틸렌,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는 단계(단계2)를 포함한다. 조추출물을 얻는 단계(단계1)는 추출용매로 추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삼채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a)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b)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및 고온에 의한 초임계 추출법 또는 (c)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을 이용 하였다. 본 발명에서 삼채 추출물은 다양한 추출용매, 예를 들어,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70%(v/v) 에탄올 또는 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삼채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삼채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및 발효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고온에 의한 초임계추출법에 의한 추출, 초음파를 이용한 추출법에 의한 추출,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하거나 자연 상태나 각종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산물에 의한 추출물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및 추출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이 상온에서 냉침, 가열 여과하여 얻어진 액상물, 추가로 용매를 감압농축 또는 동결 건조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상기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고온에 의한 초임계추출법에 의한 추출법은 초임계 유체 추출법(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초임계 유체는 기체가 고온 고압 조건에서 임계점에 도달하였을 때 갖는 액체 및 기체의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화학적으로 비극성 용매와 유사한 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초임계 유체는 지용성 물질의 추출에 사용되고 있다(J. Chromatogr. A.1998; 479:200-205). 이산화탄소는 초임계 유체기기의 작동으로 압력 및 온도가 임계점까지 이르는 과정을 거치면서 액체 및 기체 성질을 동시에 지닌 초임계 유체가 되고 그 결과 지용성 용질에 대한 용해도가 증가한다.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일정량의 시료를 함유한 추출 용기를 통과하게 되면 시료에 함유된 지용성 물질은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추출되어 나온다. 지용성 물질을 추출한 후 추출 용기에 남아있는 시료에 다시 소량의 공용매가 함유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흘려 통과시키면 순수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만으로는 추출되지 않았던 성분들이 추출되어 나오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임계추출법에 사용되는 초임계 유체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에 추가적으로 공용매를 혼합한 혼합유체를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유효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공용매는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물,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된 시료는 대부분 이산화탄소를 함유하고 있는데 이산화탄소는 실온에서 공기 중으로 휘발되므로 상기 방법으로 얻은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피부 외용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공용매는 감압증발기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초음파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를 이용하는 추출방법으로, 초음파가 수용성 용매 속에서 시료에 포함된 불용성인 용매를 파괴시킬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되는 높은 국부온도로 인하여 주위에 위치하는 반응물 입자들의 운동에너지를 크게 하기 때문에 반응에 필요한 충분한 에너지를 얻게 되고, 초음파 에너지의 충격효과로 높은 압력을 유도하여 시료에 함유된 물질과 용매의 혼합 효과를 높여주어 추출효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초음파 추출법에 사용할 수 있는 추출용매는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물,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된 시료는 진공 여과하여 여과액을 회수한 후 감압증발기로 제거하고, 동결 건조하는 통상의 추출물 제조방법을 통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삼채 추출물은 발효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하는 데, 삼채의 발효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삼채를 100~500메쉬 정도로 미세하게 파쇄한 다음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액을 1~50g/L를 첨가하고 효모균주 또는 유산균등의 미생물을 10,000~100,000 cfu/L의 양으로 첨가한다. 배양온도는 30~37℃의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조건으로 배양한다. pH는 5~7로 호기적 또는 통상 혐기(anaerobic)적인 조건으로 약 5내지 10일간 배양한다. 이후 숙성 및 여과를 통해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삼채 분획물은 조추출물을 노르말 헥산(N-hexane), 염화메틸렌(methylene chlorid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및 물로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제조한다.
상기 조 추출물을 물에 재용해 시킨 뒤 물과 동량의 노르말 헥산을 첨가하여 2~5회 분획하고 노르말 헥산층을 분리한 뒤 감압 농축하여 노르말 헥산 분획물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노르말 헥산을 제거한 후 남은 물층에 동량의 염화 메틸렌을 첨가하여 2~5회 분획하고 염화메틸렌을 분리한 뒤 감압 농축하여 염화메틸렌 분획물을 제조한다. 그 다음으로 염화메틸렌을 제거한 후 남은 물층에 동량의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2~5회 분획하고 에틸아세테이틀 제거한 뒤 감압 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제조한다. 남은 물층은 동결건조하여 물 분획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은 피부 외용제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001 ~ 30.0 중량%함유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은 피부 외용제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1 ~ 10 중량%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함량이 0.0001 중량%미만인 경우에는 피부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3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피부 개선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며, 제형상의 안전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도 못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의약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사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경구투여제 혹은 비경구 투여제로 제제화 할 수 있다.
경구투여율을 위한 제제로서는 정제, 환제, 과랍제, 연, 경 캡슐제, 산제, 세립제, 분제, 유탁제, 시럽제, 필렛제 등을 들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는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스르페이, 현탁액, 유제, 좌제 등을 들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상법에 따라서 실시하면 용이하게 제제화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제,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기타 상용화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 삼채 추출물 제조
세절하여 음건한 삼채의 전초를 7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4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50 ℃ 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다.
제조예 2 내지 5 : 삼채 추출물의 분획
Figure 112014063776019-pat00001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극성에 따라 분획하기 위해 유기용매를 이용한 계통적 분획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물에 다시 녹인 뒤 동량의 노르말 헥산(n-hexane)을 첨가하고 헥산층을 분리하여 헥산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상기 헥산 분획물을 제거한 물층에 염화메틸렌(methylene chloride)을 동량 첨가하고 염화메틸렌 층을 분리하여 염화메틸렌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3). 상기 염화메틸렌 분획물을 제거한 물층에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를 동량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분리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4). 상기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제거하고 남은 물층을 동결건조하여 물 분획물을 수득하였다(제조예 5). 상기 분획과정은 상온에서 수행하였으며 각 분획을 3시간 이상 정치하였다. 각 분획물을 얻는 과정은 2회 반복 수행되었으며 물층을 제외한 분획물은 여과 후 감압농축하고 건조시켰다.
실험예 1: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 자외선 조사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효과
실험예 1는 제조예 1,2,3,4,5을 통하여 수득한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의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람의 표피 조직에서 분리한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24-웰 시험 플레이트에 5X104 개씩 넣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각 웰을 PBS로 1회 세척하고 각 웰에 500 ㎕의 PBS를 넣었다. 이 섬유아세포에 자외선B(UVB) 램프 (Model: F15TB, UV B 15W, Sankyo Dennki사 Japan)을 이용하여 자외선 10mj/cm2를 조사한 후 PBS를 덜어내고 세포 배양 배지 (DMEM에 FBS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 350 ㎕를 첨가하였다. 이에 평가하고자 하는 삼채 뿌리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처리한 후 5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상층액을 150 ㎕을 취하여 IL-1 α을 정량함으로서 삼채 뿌리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과를 판단하였다. IL-1 α의 양은 효소 면역 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을 이용하여 정량화하였으며, 염증성 사이토 카인 (IL-1 α)의 발현 억제율(%)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 하였다.
[수학식 1]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율(%) = [1-{(St- Bo)/ (Bt-Bo)}]x100
Bo : 자외선 조사하지 않고 시료 처리하지 않은 웰의 IL-1 α 생성량
Bt : 자외선 조사하고 시료 처리하지 않은 웰의 IL-1 α 생성량
St : 자외선 조사하고 시료 처리한 웰의 IL-1 α 생성량
시료명 처리농도(ppm) 염증성 사이토 카인 발현 억제율 (%)
제조예1 100 30.74 ± 1.56
제조예2 100 35.18 ± 2.11
제조예3 100 87.84 ± 1.89
제조예4 100 76.21 ± 0.86
제조예5 100 51.84 ± 1.18
인도메타신 100 61.23 ± 0.87
표 1에 따르면, 삼채 추출물의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과 제조예 2 내지 5에 의해 제조된 분획물은 자외선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 α의 생성을 100ppm 농도에서 각각 30.74%, 38.18%, 87.84%, 76.21%, 51.84%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은 동일 농도에서 염증성사이토카인 발현 억제물질인 인도메타신 보다도 우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율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은 자외선 조사에 의한 염증 발생을 낮은 농도에서도 효과적으로 방어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효과
상기의 제조예들로 추출된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KCTC 1916, KCTC 1928, EML 5757779)을 대상으로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법으로 가시화 실험을 수행하였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50% 에탄올에 100mg/ml 농도로 녹인 후 50㎍씩 페이퍼 디스크 (Whatman NO.1, 8mm diameter)에 점적한 후, 건조시켰다. 이후 상기 균주가 0.1ml 도말된 한천 플레이트 위에 올려놓고 24시간 동안 완전히 건조하였다. 이후, 저해 구역(inhibitory zone)의 크기를 측정하여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 에 나타내었다.
구분 저해 구역의 크기(mm)
제조예1 제조예2 제조예3 제조예4 제조예5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10 16 15 9 N.D
N.D (검출되지 않음)
표 2와 같이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Staphylococcus aureus KCTC 1916, KCTC 1928, EML 5757779)을 대상으로 페이퍼 디스크 (paper disc)법으로 항균실험을 확인한 결과, 제조예 1 내지 4에서 항균효과를 보였다.
제형예 1: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을 포함하는 화장료는 제조예 1 내지 5의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을 각각 포함하는 화장료(제형예 1 내지 5)를 제조하였으며,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및 1,3-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제형예 1), 추출물이나 보습제를 모두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제형예 2)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성분 제형예1 제형예2 제형예3 제형예4 제형예5 비교
제형예1
비교
제형예2
A 제조예1 2.0 - - - - - -
제조예2 - 2.0 - - - - -
제조예3 - - 2.0 - - - -
제조예4 - - - 2.0 - - -
제조예5 - - - - 2.0 - -
세라마이드 - - - - - - -
글리세린 - - - - - 5 -
1,3-부틸렌글리콜 - - - - - 5 -
EDTA-2Na 0.02 0.02 0.02 0.02 0.02 0.02 0.02
정제수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 100 to 100
B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 2.0 2.0 2.0 2.0 2.0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1.5 1.5 1.5 1.5 1.5 1.5
마이크로크리스탈린 0.7 0.7 0.7 0.7 0.7 0.7 0.7
스쿠알란 5.0 5.0 5.0 5.0 5.0 5.0 5.0
유동파라핀 3.0 3.0 3.0 3.0 3.0 3.0 3.0
트리옥타노인 5.0 5.0 5.0 5.0 5.0 5.0 5.0
폴리솔베이트 1.2 1.2 1.2 1.2 1.2 1.2 1.2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0.5 0.5 0.5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2 0.2 0.2 0.2 0.2 0.2 0.2
사이클로메치콘 3.0 3.0 3.0 3.0 3.0 3.0 3.0
BHT 0.05 0.05 0.05 0.05 0.05 0.05 0.05
C 향,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험예 3: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 보습효과
상기 제형예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임상 보습효과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하여 피부가 건조하다고 느끼는 건강한 남녀 105명을 무작위로 15명씩 7개 그룹(A, B, C, D, E, F, G)으로 나눈 후, A, B, C, D, E 그룹에는 하기의 제형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F 그룹에는 각각 삼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대신에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및 1,3-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제형(비교제형예 1)을, G 그룹에는 별도의 보습제를 포함하지 않는 제형(비교제형예 2)을 각각 1일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하게 하였다. 보습효과는 실사용 시험 시작 후 매 2주간, 그리고 종료 후의 개선 효과를 Corneomater CM820 (Corage +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사용 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제형예 1 30.15 43.48 50.19
제형예 2 29.15 44.15 51.12
제형예 3 28.98 45.19 53.89
제형예 4 30.81 37.18 54.19
제형예 5 31.11 43.15 49.45
비교제형예 1 30.3 42.1 50.9
비교제형예 2 28.5 29.4 28.9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 다른 보습제를 함유한 비교제형예 1과 비교하여도, 본 발명의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을 함유한 제형예 1 내지 5의 보습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6)

  1. 삼채(Allium hookeri)를 추출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노르말 헥산(N-hexane) 및 염화메틸렌(methylene chloride)으로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삼채의 염화메틸렌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는 황색 포도상구균에 대하여 항균력을 갖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과를 갖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삼채의 염화메틸렌 분획물은 상기 피부 외용제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 ~ 30.0 중량% 함유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084640A 2014-07-07 2014-07-07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 KR101645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640A KR101645355B1 (ko) 2014-07-07 2014-07-07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4640A KR101645355B1 (ko) 2014-07-07 2014-07-07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559A KR20160005559A (ko) 2016-01-15
KR101645355B1 true KR101645355B1 (ko) 2016-08-04

Family

ID=55173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4640A KR101645355B1 (ko) 2014-07-07 2014-07-07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3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1326B2 (en) 2016-09-30 2022-05-17 Amicogen Pharma Inc.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skin diseases or severe pruritus comprising the aqueous solubilized ursodeoxycholic acid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sia University. Department of Health and Nutrition Biotechnology. "Study on the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on of Chinese leek"(2009.11.16.)*
Kor. J. Aesthet. Cosmetol. 12(2):163-168(2014.04.)*
대한본초학회지. 27(6):56-61(2012.11.)*
중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삼채 추출물의 항균 활성과 항산화 활성" (2014.0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1326B2 (en) 2016-09-30 2022-05-17 Amicogen Pharma Inc.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skin diseases or severe pruritus comprising the aqueous solubilized ursodeoxycholic ac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559A (ko) 2016-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557B1 (ko) 백합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86225B1 (ko)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6407B1 (ko) 갈색거저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367423B1 (ko)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88074A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02222B1 (ko) 아토피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식물성 혼합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34794B1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08669B1 (ko) 오크라, 다시마, 참마, 모로헤이야, 연근, 폴리글루탐산을 이용하여 구성된 네바네바컴플랙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78850B1 (ko) 고순도 멜리틴, 진세노사이드 Rb1 및 Rg3, 및 생열귀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13659B1 (ko)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645355B1 (ko) 삼채 추출물 또는 삼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
KR101821712B1 (ko) 삼칠근 추출물, 비누풀잎 추출물, 검정콩 잎 추출물, 녹두 잎 추출물 및 호랑이콩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Th2-매개 면역 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77052B1 (ko) 선복화 단백다당체 또는 선복화 올리고당/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32084B1 (ko) 오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89875B1 (ko) 베트남 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89305A (ko) 참가시나무 추출물를 활성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060427B1 (ko) 초음파 추출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연산호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1601A (ko) 모로헤이야, 은행잎 및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조성물
KR20170025542A (ko) 도깨비바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40659A (ko) 고염 미생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60114304A (ko) 해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
KR102496423B1 (ko) 들기름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
EP2879647B1 (en) Skin care
KR102122475B1 (ko) 강황 잎,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00881A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