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142B1 - 효소 및 가압가열 처리를 이용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증가된 율피 추출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효소 및 가압가열 처리를 이용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증가된 율피 추출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142B1
KR101980142B1 KR1020170161257A KR20170161257A KR101980142B1 KR 101980142 B1 KR101980142 B1 KR 101980142B1 KR 1020170161257 A KR1020170161257 A KR 1020170161257A KR 20170161257 A KR20170161257 A KR 20170161257A KR 101980142 B1 KR101980142 B1 KR 101980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zyme
extract
minutes
skin
hea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주헌
구율리
박종묵
김병쌍
임영섭
이다솔
Original Assignee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합천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합천군 filed Critical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61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소 및 가압가열 처리를 통해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는 율피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율피에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 처리하는 1단계의 효소반응 후, 탄나아제 효소 및 가압가열 처리하는 2단계의 효소반응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T30m)이 종래방법으로 추출한 율피 추출물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고, 티로시나아제 및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율피 생리활성 물질의 새로운 추출공정 확립을 통해 기능성 화장료 및 건강기능식품 소재 개발에 더욱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효소 및 가압가열 처리를 이용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증가된 율피 추출물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chestnut inner shell extract with increased skin-whitening and anti-wrinkle using enzyme and autoclave treatment}
본 발명은 효소 및 가압가열 처리를 이용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증가된 율피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자극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해주는 인체 최전방의 방어 장기이며, 미적인 관점에서도 그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데, 그 중에서도 주름완화 및 미백 기능에 대한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주름의 생성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보고되고 있는데, 우선 피부가 과다한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 구성성분인 콜라겐(collagen) 분해가 촉진되어 피부가 탄력을 잃고 주름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피부가 과도한 온도변화 및 습도저하나 바람 등에 의해 지나치게 건조해지면 외부에 대한 방어벽으로서의 피부 기능이 저하되어 주름이 생기기도 한다. 그리고 피부가 활성 산소종이나 자유 라디칼에 노출되면 산화 작용에 의해 과산화 지질이 생성되고 그로 인해 콜라겐 등의 피부 구성 단백질이 변형되어 주름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적 요인과 내부적 요인에 의한 주름 발생을 억제하고자 다양한 화장품 조성물이 연구되고 있다.
한편, 피부에 자외선이 조사되면 피부 중 멜라노사이트(melanocyte)가 활성화되어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TRP-1(tyrosinase-related protein 1) 및 TRP-2(tyrosinase-related protein 2)의 작용에 의해 멜라닌 생성이 촉진된다. 생성된 멜라닌은 피부 중에 침착되어 검버섯 또는 주근깨로 발전하는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성물이 함유된 미백 화장품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자외선은 피지, 세포막 등의 산화를 촉진하여 각종 피부장애를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특히 최근 오존층 파괴에 따른 자외선의 증가로 보다 효과적인 피부 산화 방지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종래 알려진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은 아스코르브산, 인산에스테르염, 하이드로퀴논 유도체, 태반 추출물, 코지산, 엘라그산 등이 있으며, 이들 성분을 배합한 화장품 조성물이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식물에 함유된 폴리페놀 등에 높은 미백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이를 사용하는 화장품 조성물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플라바논류(flavanones) 및 하이드록시플라본류(hydroxyflavones)의 미백 효과에 대해서도 이미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미백 성분은 그 효과가 다소 미비하고 보존시 문제점이 있으며, 미백 효과 이외에 주름 방지 효과 및 노화 방지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특히, 화학성분이 함유된 기능성 화장품의 경우 피부 자극을 유발하여 민감성 피부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는바, 피부에 자극이 적고 친환경적인 천연 식물 유래의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율피(chestnut inner shell)는 참나무과(Fagaceae)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인 밤나무(Castanea crenata Sieb)의 과실인 밤의 속껍질로 밤의 가공공정 중에 대부분 폐기되고 있으나, 피부를 청결하게 하고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거나 피부 수분의 손실을 막아주는 보습작용이 있음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율피 내에는 탄닌산(tannic acid), 갈릭산(gallic acid), 카테킨(catechin)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유해 환경으로부터 신체 내부에 생성된 반응성이 높은 활성산소나 자유라디칼 과산화물에 의해 생체성분이 산화되거나 변성되는 것을 저해하는 천연 항산화제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율피는 L-DOPA 자동산화에 대한 저해작용 및 피부의 과다한 멜라닌 색소 형성에 의한 피부의 색소 침착을 억제하며 오래전부터 피부 미용 재료로 인정받아 왔을 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17-0085872호는 율피 효소 분해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0253843호는 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제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효소 및 가압가열 처리를 이용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증가된 율피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대해 아직까지 개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율피를 대상으로 효소 단계별 및 가압가열 처리방법을 이용하여 율피 추출물들을 제조하였으며,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 항산화 활성,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확인하여 비교해 본 결과,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 처리방법(1단계)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C30m)에 대비하여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 처리(1단계)한 후, 탄나아제 효소 및 가압가열 처리방법(2단계)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T30m)에서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탄닌산, 총 당 함량, 항산화 활성 및 갈릭산 함량이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티로시나아제 및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율피 분말에 물을 첨가하여 기질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기질 용액에 셀루클라스트(celluclast)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율피-셀루클라스트 반응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율피-셀루클라스트 반응물에 가압가열처리하여 1차 추출하는 단계; 4) 상기 단계 3)에서 획득한 1차 율피 추출물에 탄나아제(tannase)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율피-탄나아제 반응물을 제조하는 단계; 5) 상기 단계 4)의 율피-탄나아제 반응물에 가압가열처리하여 2차 추출하는 단계; 및 6) 상기 단계 5)에서 획득한 2차 율피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증가된 율피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증가된 율피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율피에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 처리하는 1단계의 효소반응 후, 탄나아제 효소 및 가압가열 처리하는 2단계의 효소반응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T30m)이 종래방법으로 추출한 율피 추출물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고, 티로시나아제 및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율피 생리활성 물질의 새로운 추출공정 확립을 통해 기능성 화장료 및 건강기능식품 소재 개발에 더욱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효소 단계별 및 가압가열 처리방법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의 DPPH(1,1-diphenyl-2-picryhydrazyl)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은 양성대조군이며, HE는 율피 열수 추출물이며, AE는 가압가열(120분) 처리방법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이며, C30m은 1단계의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30분) 처리방법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이며, T30m은 1단계의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30분) 처리 후 2단계의 탄나아제 효소 및 가압가열(30분) 처리방법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효소 단계별 및 가압가열 처리방법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의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은 양성대조군이며, HE는 율피 열수 추출물이며, AE는 가압가열(120분) 처리방법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이며, C30m은 1단계의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30분) 처리방법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이며, T30m은 1단계의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30분) 처리 후 2단계의 탄나아제 효소 및 가압가열(30분) 처리방법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효소 단계별 및 가압가열 처리방법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의 수퍼옥사이드(superoxide)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카테킨(Catechin)은 양성대조군이며, HE는 율피 열수 추출물이며, AE는 가압가열(120분) 처리방법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이며, C30m은 1단계의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30분) 처리방법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이며, T30m은 1단계의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30분) 처리 후 2단계의 탄나아제 효소 및 가압가열(30분) 처리방법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효소 단계별 및 가압가열 처리방법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의 FRAP(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은 양성대조군이며, HE는 율피 열수 추출물이며, AE는 가압가열(120분) 처리방법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이며, C30m은 1단계의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30분) 처리방법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이며, T30m은 1단계의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30분) 처리 후 2단계의 탄나아제 효소 및 가압가열(30분) 처리방법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효소 단계별 및 가압가열 처리방법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은 양성대조군이며, HE는 율피 열수 추출물이며, AE는 가압가열(120분) 처리방법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이며, C30m은 1단계의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30분) 처리방법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이며, T30m은 1단계의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30분) 처리 후 2단계의 탄나아제 효소 및 가압가열(30분) 처리방법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을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효소 단계별 및 가압가열 처리방법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우르솔산(ursolic acid)은 양성대조군이며, HE는 율피 열수 추출물이며, AE는 가압가열(120분) 처리방법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이며, C30m은 1단계의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30분) 처리방법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이며, T30m은 1단계의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30분) 처리 후 2단계의 탄나아제 효소 및 가압가열(30분) 처리방법으로 제조한 율피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율피 분말에 물을 첨가하여 기질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기질 용액에 셀루클라스트(celluclast)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율피-셀루클라스트 반응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율피-셀루클라스트 반응물에 가압가열처리하여 1차 추출하는 단계;
4) 상기 단계 3)에서 획득한 1차 율피 추출물에 탄나아제(tannase)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율피-탄나아제 반응물을 제조하는 단계;
5) 상기 단계 4)의 율피-탄나아제 반응물에 가압가열처리하여 2차 추출하는 단계; 및
6) 상기 단계 5)에서 획득한 2차 율피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증가된 율피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1) 율피 분말 1 중량부에 대하여 10~30 중량부의 물을 첨가하여 기질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기질 용액 대비 1~3 중량%의 셀루클라스트(celluclast)를 투입하고 45~5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율피-셀루클라스트 반응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율피-셀루클라스트 반응물에 10~20psi의 압력 및 115~130℃의 온도 조건에서 20~40분 동안 가압가열처리하여 1차 추출하는 단계;
4) 상기 단계 3)에서 획득한 1차 율피 추출물 대비 1~3 중량%의 탄나아제(tannase)를 투입하고 45~5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율피-탄나아제 반응물을 제조하는 단계;
5) 상기 단계 4)의 율피-탄나아제 반응물에 10~20psi의 압력 및 115~130℃의 온도 조건에서 20~40분 동안 가압가열처리하여 2차 추출하는 단계; 및
6) 상기 단계 5)에서 획득한 2차 율피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1) 율피 분말 1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의 물을 첨가하여 기질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기질 용액 대비 2 중량%의 셀루클라스트(celluclast)를 투입하고 5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율피-셀루클라스트 반응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율피-셀루클라스트 반응물에 15psi의 압력 및 121℃의 온도 조건에서 30분 동안 가압가열처리하여 1차 추출하는 단계;
4) 상기 단계 3)에서 획득한 1차 율피 추출물 대비 2 중량%의 탄나아제(tannase)를 투입하고 5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율피-탄나아제 반응물을 제조하는 단계;
5) 상기 단계 4)의 율피-탄나아제 반응물에 15psi의 압력 및 121℃의 온도 조건에서 30분 동안 가압가열처리하여 2차 추출하는 단계; 및
6) 상기 단계 5)에서 획득한 2차 율피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증가된 율피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셀루클라스트는 트라이코더마 레제이(Trichoderma reesei) 유래의 셀룰라아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증가된 율피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증가된 율피 추출물에서, 상기 율피 추출물은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물, 추출물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물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파우더, 팩트, 립글로즈, 립스틱, 섀도우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활성 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활성 성분으로는 코지산 및 이의 유도체, 알부틴, 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유도체, 하이드로퀴논 및 이의 유도체, 레조르시놀, 사이클로알카논, 메틸렌디옥시페닐 알칸올, 2,7-디니트로인다졸 또는 덩굴귤 추출물, 쌀 추출물, 감초 추출물과 같은 식물 추출물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체,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 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은 그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첨가되는 성분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재료 및 방법
1. 재료
본 발명에 사용한 율피는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밤6차산업화사업단으로부터 제공받았다. 율피는 수분함량이 10%가 되도록 동결 건조하였으며, 분쇄기(RT-04, Hanli Co., Sejong, Korea)로 분쇄하여 표준망체(60 mesh, Chung Gye Sang Cong Sa, Seoul, Korea)를 통과시킨 분말을 -20℃ 이하에 보관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2. 율피 추출물 제조
10g의 분말에 고형분 대비 20배의 증류수를 첨가한 후, 셀루클라스트(Celluclast 1.5L, 700 EGY/g) 효소를 노보자임사(Novozymes Co., Bagsvaerd, Denmark)로부터 구입하여 상기 기질 용액 대비 2% 첨가하여 1N의 HCl 또는 1N의 NaOH로 최적 pH를 조절한 후, 진탕배양기(BS-31, Jeio Tech., Daejeon, Korea)에서 100 rpm, 50℃ 및 3시간 동안 교반하여 효소 반응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효소 반응물을 오토클레이브(HB-506-4, Hanbaek Sci Co.)를 이용하여 121℃(15psi)에서 30분간 추출하였다. 이후에, 탄나아제(tannin acylhydrolase, E.C.3.1.1.20, 500 U/g)를 기꼬만사(kikkoman Co., Tokyo, Japan)로부터 구입하여 상기 추출물 대비 2% 첨가하여 1N의 HCl 또는 1N의 NaOH로 최적 pH를 조절한 후, 진탕배양기에서 100 rpm, 50℃ 및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한 시료는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121℃(15psi)에서 30분간 추출하였다. 최종 획득한 추출물은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여과지(Whatman No.2)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여과된 용액은 감압농축기(Model N-1N, Eyela Co., Tokyo, Japan)로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기(Free Zone 2.5, Labconco Co., Kansas, MO, USA)로 건조하여 -70℃ 이하의 암소에 보관하면서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대조군은 2종으로 10g의 분말에 고형분 대비 20배의 증류수를 첨가한 다음 환류냉각추출기를 통해 100℃에서 4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여 제조한 열수 추출물(HE)과 10g의 분말에 고형분 대비 20배의 증류수를 첨가한 다음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121℃(15psi)에서 120분간 추출하여 제조한 가압가열 추출물(AE)을 사용하였다.
3. 추출수율 측정
효소 및 가압가열처리에 따른 율피 추출물의 수율은 동결건조(Free Zone 2.5, Labconco Co.)한 다음 건물 중량을 구하였고 시료 제조에 사용한 원료 건물량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4. 이화학적 특성 측정
총 폴리페놀 함량은 폴린-데니스법(Singleton VL and Rossi JA, 1965, AM J Enol Viticult, 16, 144-158)에 따라 측정하였다. 1mL의 시료와 1N의 폴린 시오칼토 시약 1mL를 혼합한 다음 20%의 Na2CO3 1mL를 첨가하여 실온의 암소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Ultrospec 2100pro, Biochrom Ltd., Cambridge, UK)를 이용하여 7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갈릭산(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으로 표준곡선을 작성하여 계산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지아 등의 방법(Jia Z et al., 1999, Food Chem, 64, 555-559)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1mL의 시료와 5%의 NaNO2 150㎕를 실온에서 6분간 혼합 및 반응시킨 후, 10%의 AlCl3 300㎕와 혼합하여 다시 실온에서 5분간 반응시킨 다음 1N의 NaOH 1mL와 혼합하여 분광광도계(Ultrospec 2100pro, Biochrom Ltd.)를 이용하여 5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루틴(Sigma-Aldrich Co.)으로 표준곡선을 작성하여 계산하였다.
총 탄닌 함량은 두발 및 쉐티의 방법(Duval B 및 Shetty K, 2001, J Food Biochem, 25, 361-377)에 따라 1mL의 시료에 95%(v/v)의 에탄올 1mL 및 증류수 1mL를 차례로 가하여 충분히 혼합한 후 5%의 Na2CO3 용액 1mL와 1N의 폴린-시오칼투 시약(Sigma-Aldrich Co.) 0.5mL를 가한 후 실온에서 60분간 발색시킨 다음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7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탄닌 함량은 탄닌산(Sigma-Aldrich Co.)를 사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총 당 함량은 페놀-황산 방법(Dubois M et al., 1956, J Anal Chem, 28, 350-356)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1mL의 시료와 5%의 페놀 1mL 및 진한 H2SO4 5mL를 혼합하여 20분간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Ultrospec 2100pro, Biochrom Ltd.)를 이용하여 4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5. 항산화 활성 측정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12mg의 DPPH(1,1-diphenyl-2-picryhydrazyl)를 99.9%(v/v)의 에탄올 100mL에 용해하여 DPPH 시약을 제조한 후, 여기에 100mL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517nm에서 흡광도가 약 1.5로 조정 및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Blois MS, 1958, Nature, 181, 1199-1200). 0.5mL의 시료(율피 추출물) 및 5mL의 DPPH 시약을 혼합하여 실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Ultrospec 2100pro, Biochrom Ltd.)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고 계산하였다.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라디칼 소거활성은 7.4mM의 ABTS(Sigma-Aldrich Co.)와 2.45mM의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를 혼합하여 실온의 암소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ABTS+을 형성시킨 후 732nm에서 흡광도가 0.70±0.03이 되도록 PBS(pH 7.4)으로 희석하여 실험하였 다(Re R et al., 1999,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80㎕의 희석된 용액에 20㎕의 시료를 혼합하여 1분간 반응시킨 다음 분광광도계(Ultraspec 2100pro, Biochrom Ltd.)를 이용하여 73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시료(율피 추출물)의 첨가 전과 후의 차이로 계산하였다.
수퍼옥사이드(superoxide) 라디칼 소거활성은 니시기미 등의 방법(Oyaizu M, 1986, Jpn J Nutr, 44, 307-315)에 따라 측정하였다. 500㎕의 시료와 0.1M의 Tris-HCl 완충용액(pH 8.5) 100㎕, 100μM의 PMS(phenazine methosulfate, Sigma-Aldrich Co.) 200㎕를 혼합시킨 후, 500μM의 NBT(nitro blue tetrazolium, Sigma-Aldrich Co.) 200㎕ 및 500μM의 NADH(β-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Sigma-Aldrich Co.) 400㎕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분광광도계(Ultraspec 2100pro, Biochrom Ltd.)를 이용하여 5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활성은 시료(율피 추출물)의 첨가 전과 후의 차이를 계산하였다.
상기 DPPH, ABTS 및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활성은 하기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및 카테킨(catechin)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라디칼 소거 활성(%) =
Figure 112017118922511-pat00001
S = 시료첨가군의 흡광도(517nm)
C = 무첨가군의 흡광도(517nm)
FRAP(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활성은 벤지 및 스트레인의 방법(Benzie IF and Strain JJ, 1996, Anal Biochem, 230, 70-76)에 따라 측정하였다. FRAP 용액은 25mL의 아세테이트 버퍼(300mM, pH 3.6), 40mM의 HCl에 용해한 10 mM의 TPTZ(2,4,6-tris(2-pyridyl)-s-triazine, Sigma-Aldrich Co.) 2.5mL 및 20mM의 FeCl3(ferric chloride) 2.5mL를 혼합하여 제조한 후, 37℃에서 10분간 가온하였다. 30㎕의 시료와 제조된 FRAP 용액 900㎕ 및 증류수 90㎕를 넣은 후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Ultraspec 2100pro, Biochrom Ltd.)를 이용하여 5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FRAP 활성은 FeSO4·7H2O(Sigma-Aldrich Co.)로 표준곡선을 작성하여 계산하였다.
6. 갈릭산 ( Gallic acid) 함량 측정
갈릭산 함량 측정은 HPLC(Waters, Milford, MA,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각의 시료를 희석하고 시린지 필터(0.45μm)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HPLC에 10㎕씩 주입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HPLC 분석 조건은 하기 표 1에 개시한 바와 같으며, 표준물질 갈린산(Sigma-Aldrich Co.)으로 농도별 표준곡선을 이용하였다.
Figure 112017118922511-pat00002
7. 티로시나아제( Tyrosinase ) 저해활성 측정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 측정은 야기 등의 방법(Yagi A et al., 1986, Planta Medica, 3981, 517-519)에 따라 측정하였다. 반응군은 0.175M의 인산나트륨 버퍼(pH 6.8) 0.5mL에 10mM의 L-DOPA를 녹인 기질액 0.2mL와 시료용액 0.1mL의 혼합액에 0.2mL의 머쉬룸 티로시나아제(110 U/mL)를 첨가하여 25℃에서 2분간 반응시켜 반응액 중에 생성된 도파 크롬(DOPA chrome)을 475nm에서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 =
Figure 112017118922511-pat00003

8. 엘라스타아제( Elastase ) 저해활성 측정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 측정은 제임스 등의 방법(James AEK et al., 1996, Biochemistry, 35, 9090-9096)에 따라 시료를 0.2M의 Tris-HCl 버퍼(pH 8.0)로 희석배수에 따라 희석하고(10∼1,000㎍/mL), 20㎕의 희석된 시료에 200㎕의 버퍼를 가한 다음, 0.8mM의 N-succinyl-(Ala)3-ρ-nitroanilide 20㎕를 가하였다. 이를 25℃에서 10분간 배양한 다음, 1.0㎍/mL의 PPE(porcine pancreatic elastase)를 20 ㎕씩 첨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은 다시 25℃에서 20분간 배양한 후, 냉침으로 반응을 정지시키고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시료 대신 증류수를 첨가하여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 =
Figure 112017118922511-pat00004
A: 시료 대신 증류수를 넣고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한 후의 흡광도
B: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한 후 시료의 흡광도
C: 효소 대신 증류수를 첨가하여 반응한 후 시료의 흡광도
D: 시료와 효소 대신 각각 증류수를 첨가해 반응한 후의 흡광도
9. 통계처리
모든 실험결과는 IBM SPSS Statistics(19.0, IBM Corp., Armonk, NY, USA)를 이용한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고 각 측정 평균값의 유의성(p<0.05)은 던컨의 다중검증(Duncan's multiple range test)을 실시하여 검정하였다.
실시예 1. 효소 및 가압가열 처리에 따른 율피 추출물의 추출수율,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탄닌 및 총 당 함량 변화 확인
율피의 생리활성물질 추출 증대를 위해, 효소종류(셀루클라스트, 비스코자임 및 헤미셀룰라아제) 및 가압처리 시간(30분, 60분 및 120분)에 따라 제조한 율피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을 확인한 결과, 하기 표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셀루클라스트(celluclast) 효소를 투입하고 가압가열처리를 30분 동안 수행하여 제조한 율피 추출물(C30m)에서 총 폴리페놀 및 총 탄닌산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추출 수율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율피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 물질의 추출이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1단계의 효소(셀루클라스트) 및 가압가열처리 시간(30분) 조건으로 설정하여 하기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후에, 효소 단계별 및 가압가열 처리에 따른 율피 추출물의 추출수율,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탄닌 및 총 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대조군인 열수 추출물(HE) 및 가압가열 추출물(AE)보다 효소 및 가압가열 처리한 추출물들(C30m 및 T30m)에서 추출수율,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탄닌 및 총 당 함량이 높았으며, 효소 단계별 및 가압가열 처리한 추출물들(C30m 및 T30m)을 비교해 보면, 추출수율은 1단계의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 처리하여 제조한 율피 추출물(C30m)에서 높았고, 총 폴리페놀(30.38g/100g), 총 플라보노이드(18.08g/100g), 총 탄닌(27.30g/100g) 및 총 당 함량(56.25g/100g)은 1단계의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 처리 후, 2단계의 탄나아제 효소 및 가압가열 처리하여 제조한 율피 추출물(T30m)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열수 추출시 열에 의한 유용성분 파괴, 단백질 변이, 가용성분 위주의 추출, 장시간 추출 및 낮은 추출효율 등의 단점과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추출의 압력 증가, 단시간 추출, 세포벽 또는 단백질의 변성 및 파괴에 영향을 주어 세포 내의 용매 출입이 용이해져 생리활성물질의 추출효율이 증진되는 장점으로 인해 열수 추출보다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한 생리활성물질 추출이 더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효소 단계별 분해를 통해 율피 내 생리활성 물질이 보다 많이 용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효소 종류 및 가압가열처리 시간에 따른 율피 추출물의 추출수율,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탄닌 및 총 당 함량 변화
시료 수율
(건물 중량, %)
총 폴리페놀
(갈릭산, g/100 g)
총 플라보노이드
(루틴, g/100)
총 탄닌산
(탄닌산, g/100g)
총 당
(포도당, g/100g)
C30m 29.80±0.14a2) 22.69±0.26a 12.13±0.31a 21.66±0.45a 37.60±0.16g
C60m 19.90±0.11d 18.54±0.34c 11.62±0.20a 17.66±0.17d 47.31±0.49e
C120m 12.42±0.03f 17.54±0.11d 10.49±0.32b 17.05±0.24e 54.89±1.99c
V30m 27.08±0.29b 21.64±0.33b 12.01±0.33a 20.82±054b 43.07±0.32f
V60m 19.60±0.34d 21.20±0.29b 11.70±0.29a 20.08±0.21c 51.76±0.73d
V120m 14.30±0.27e 16.64±0.16d 11.00±0.37b 15.79±0.33f 56.22±0.79c
H30m 28.92±0.31ab 21.32±0.41b 11.82±0.18a 20.16±0.38c 50.97±0.75d
H60m 25.41±0.33c 15.83±0.18e 9.82±0.17c 15.16±0.14g 58.96±0.68b
H120m 15.44±0.46e 15.53±0.27e 9.63±0.16c 14.54±029h 61.07±1.08a
C30m: 율피 + 셀루클라스트 효소 + 가압가열 30분 처리
C60m: 율피 + 셀루클라스트 효소 + 가압가열 60분 처리
C120m: 율피 + 셀루클라스트 효소 + 가압가열 120분 처리
V30m: 율피 + 비스코자임 효소 + 가압가열 30분 처리
V60m: 율피 + 비스코자임 효소 + 가압가열 60분 처리
V120m: 율피 + 비스코자임 효소 + 가압가열 120분 처리
H30m: 율피 + 헤미셀룰라아제 효소 + 가압가열 30분 처리
H60m: 율피 + 헤미셀룰라아제 효소 + 가압가열 60분 처리
H120m: 율피 + 헤미셀룰라아제 효소 + 가압가열 120분 처리
효소 단계별 및 가압가열처리에 따른 율피 추출물의 추출수율,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탄닌 및 총 당 함량 변화
시료 수율
(건물 중량, %)
총 폴리페놀
(갈릭산, g/100 g)
총 플라보노이드
(루틴, g/100)
총 탄닌산
(탄닌산, g/100g)
총 당
(포도당, g/100g)
HE 14.30±0.09d2) 15.48±0.08d 10.82±0.43b 15.82±0.45c 38.53±0.19d
AE 19.50±0.11c 18.52±0.31c 11.94±0.19c 17.03±0.38d 40.42±1.37b
C30m 29.80±0.14a 22.69±0.26b 12.13±0.31b 21.66±0.45b 37.60±0.16c
T30m 21.55±0.20b 30.38±0.25a 18.08±0.54a 27.30±0.44a 56.25±1.10a
HE: 율피 + 열수 추출
AE: 율피 + 가압가열 120분 처리
C30m: 율피 + 셀루클라스트 효소 + 가압가열 30분 처리
T30m: 율피 + 셀루클라스트 효소 + 가압가열 30분 처리 + 탄나아제 효소 + 가압가열 30분 처리
실시예 2. 효소 단계별 및 가압가열 처리에 따른 율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증가
효소 단계별 및 가압처리에 따른 율피 추출물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한 결과, 도 1 및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모든 시료에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본 발명의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 30분 처리(1단계) 후, 탄나아제 효소 및 가압가열 30분 처리(2단계)하여 제조한 율피 추출물(T30m)이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 30분 처리(1단계)하여 제조한 율피 추출물(C30m)보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1000㎍/mL의 T30m 추출물의 경우, 양성대조군인 아스코르브산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과 유사하거나 ABTS 라디칼 소거활성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소 단계별 및 가압처리에 따른 율피 추출물의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활성 및 FRAP 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 3 및 4에 개시한 바와 같이 모든 시료에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본 발명의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 30분 처리(1단계) 후, 탄나아제 효소 및 가압가열 30분 처리(2단계)하여 제조한 율피 추출물(T30m)이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 30분 처리(1단계)하여 제조한 율피 추출물(C30m)보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1000㎍/mL의 T30m 추출물의 경우, 양성대조군인 카테킨의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활성과 아스코르브산의 FRAP 활성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효소 단계별 및 가압가열 처리에 따른 율피 추출물의 갈릭산 (Gallic acid) 함량 증가
갈릭산(Gallic acid)은 세 개의 -OH(hydroxyl)기와 하나의 -COOH(carboxylic acid)기가 붙어있는 링 구조를 가진다. 펩티드는 아미노산이 여러 개가 펩티드 결합(peptide bond)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아미노산 폴리머로 아미노산의 아미노기와 카르복실기의 축합반응에 의해 합성된다. 펩티드는 아미노산 서열이 가지는 배열 및 구조에 따라 생체 내 혹인 피부에서 생리활성을 가지게 되어 생물학적 제제로서의 산업적 응용 가능성이 높다. 현재는 재조합 과정을 통해 합성된 펩티드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피부 미용 분야에서 적용되는 펩티드는 시그널 펩티드로 콜라겐 합성을 증대하거나 분해하는 역할을 하여 주로 항주름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소 단계별 및 가압가열 처리에 따른 율피 추출물의 갈릭산 함량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4에 개시한 바와 같이 율피 열수 추출물(HE) 및 율피 가압가열 추출물(AE)에서 갈릭산 함량이 각각 1.21g/100g 및 1.30g/100g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본 발명의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 30분 처리(1단계) 후, 탄나아제 효소 및 가압가열 30분 처리(2단계)하여 제조한 율피 추출물(T30m, 2.60g/100g)이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 30분 처리(1단계)하여 제조한 율피 추출물(C30m, 1.82g/100g)보다 갈릭산 함량이 더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효소 단계별 및 가압가열처리에 따른 율피 추출물의 갈릭산 함량 증가
시료 갈릭산(g/100g)
HE 1.21±0.01d2)
AE 1.30±0.03c
C30m 1.82±0.02b
T30m 2.60±0.03a
HE: 율피 + 열수 추출
AE: 율피 + 가압가열 120분 처리
C30m: 율피 + 셀루클라스트 효소 + 가압가열 30분 처리
T30m: 율피 + 셀루클라스트 효소 + 가압가열 30분 처리 + 탄나아제 효소 + 가압가열 30분 처리
실시예 4. 효소 단계별 및 가압가열 처리에 따른 율피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저해활성 증가
티로시나아제는 멜라닌 합성의 초기단계인 1-티로신에서 3,4-DOPA(dihydroxyphenylalanine)를 거쳐 L-도파퀴논으로의 전환에 관여하는 최종적으로 멜라닌 색소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이다. 본 발명의 효소 단계별 및 가압가열 처리에 따른 율피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 5에 개시한 바와 같이 모든 추출물에서 농도의존적으로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본 발명의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 30분 처리(1단계) 후, 탄나아제 효소 및 가압가열 30분 처리(2단계)하여 제조한 율피 추출물(T30m)이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 30분 처리(1단계)하여 제조한 율피 추출물(C30m)보다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효소 단계별 및 가압가열 처리에 따른 율피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Elastase) 저해활성 증가
엘라스타아제는 단백질인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효소로 다른 중요한 기질 단백질인 콜라겐을 분해할 수 있는 비특이적 가수분해 효소로, 본 발명의 효소 단계별 및 가압가열 처리에 따른 율피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 6에 개시한 바와 같이 모든 추출물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본 발명의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 30분 처리(1단계) 후, 탄나아제 효소 및 가압가열 30분 처리(2단계)하여 제조한 율피 추출물(T30m)이 셀루클라스트 효소 및 가압가열 30분 처리(1단계)하여 제조한 율피 추출물(C30m)보다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8)

1) 율피 분말 1 중량부에 대하여 10~30 중량부의 물을 첨가하여 기질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기질 용액 대비 1~3 중량%의 셀루클라스트(celluclast)를 투입하고 45~5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율피-셀루클라스트 반응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율피-셀루클라스트 반응물에 10~20psi의 압력 및 115~130℃의 온도 조건에서 20~40분 동안 가압가열처리하여 1차 추출하는 단계;
4) 상기 단계 3)에서 획득한 1차 율피 추출물 대비 1~3 중량%의 탄나아제(tannase)를 투입하고 45~5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율피-탄나아제 반응물을 제조하는 단계;
5) 상기 단계 4)의 율피-탄나아제 반응물에 10~20psi의 압력 및 115~130℃의 온도 조건에서 20~40분 동안 가압가열처리하여 2차 추출하는 단계; 및
6) 상기 단계 5)에서 획득한 2차 율피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증가된 율피 추출물의 제조 방법.
삭제
삭제
삭제
제1항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증가된 율피 추출물.
제5항의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5항의 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70161257A 2017-11-29 2017-11-29 효소 및 가압가열 처리를 이용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증가된 율피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980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257A KR101980142B1 (ko) 2017-11-29 2017-11-29 효소 및 가압가열 처리를 이용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증가된 율피 추출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257A KR101980142B1 (ko) 2017-11-29 2017-11-29 효소 및 가압가열 처리를 이용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증가된 율피 추출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0142B1 true KR101980142B1 (ko) 2019-05-20

Family

ID=66678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257A KR101980142B1 (ko) 2017-11-29 2017-11-29 효소 및 가압가열 처리를 이용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증가된 율피 추출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1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328A (ko) * 2020-06-19 2021-12-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된 율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5011587A (zh) * 2022-07-03 2022-09-06 北京建筑大学 降解土壤中复合多环芳烃的固载型粗酶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1407A (ko) * 2010-07-30 2012-03-09 주식회사 비티씨 녹차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항노화용 조성물
KR20170085872A (ko) * 2016-01-15 2017-07-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율피 효소 분해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1407A (ko) * 2010-07-30 2012-03-09 주식회사 비티씨 녹차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피부미백, 항노화용 조성물
KR20170085872A (ko) * 2016-01-15 2017-07-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율피 효소 분해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Life Science., vol.21, No.5, p.734-738*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328A (ko) * 2020-06-19 2021-12-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된 율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37581B1 (ko) 2020-06-19 2024-02-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된 율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5011587A (zh) * 2022-07-03 2022-09-06 北京建筑大学 降解土壤中复合多环芳烃的固载型粗酶及其制备方法
CN115011587B (zh) * 2022-07-03 2023-04-25 北京建筑大学 降解土壤中复合多环芳烃的固载型粗酶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837B1 (ko)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08687A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6294B1 (ko) 애기수영 또는 산수국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980142B1 (ko) 효소 및 가압가열 처리를 이용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증가된 율피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453258B1 (ko) 발효홍삼, 동과자 및 아피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용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223021B1 (ko) 고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00105B1 (ko) 낭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077708B1 (ko)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백복령 발효 추출물, 율무 발효 추출물 및 초석잠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53994B1 (ko) 흰점박이꽃무지유충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3976B1 (ko) 고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370528B1 (ko) 레드비트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블루라이트 차단 및 미백용 가지는 조성물
KR102471009B1 (ko) 왕자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28774A (ko) 꽃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995384B1 (ko) 명월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101904216B1 (ko)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761142B1 (ko) 애기수영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459512B1 (ko) 싸이클로덱스트린글루카노트란스퍼라제를 이용한 능이, 국화, 목련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89463B1 (ko) 마이크로파 처리된 황칠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449136B1 (ko) 흰민들레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2356144B1 (ko)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KR102401490B1 (ko)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개선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15649B1 (ko) 층층갈고리둥굴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39089B1 (ko) 백지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102198871B1 (ko) 효소처리를 통해 얻은 병풍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31269B1 (ko) 초두구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