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379B1 - 폐유 수거가 가능한 폐차 작업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유 수거가 가능한 폐차 작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379B1
KR102033379B1 KR1020190048453A KR20190048453A KR102033379B1 KR 102033379 B1 KR102033379 B1 KR 102033379B1 KR 1020190048453 A KR1020190048453 A KR 1020190048453A KR 20190048453 A KR20190048453 A KR 20190048453A KR 102033379 B1 KR102033379 B1 KR 102033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oil
discharge pipe
case
suppor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현
Original Assignee
이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현 filed Critical 이재현
Priority to KR1020190048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3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68Means for facilitating the transport of the receptacle, e.g. wheels, rolls
    • B65F1/1473Receptacles having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1/00Means for collecting, retaining, or draining-off lubricant in or on machin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52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04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각종 폐유를 회수할 수 있도록 구현한 폐유 수거가 가능한 폐차 작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폐차의 폐유수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작업창고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폐유 수거가 가능한 폐차 작업 시스템{SCRAPING CAR SYSTEM THAT CAN COLLECT WASTE OIL}
본 발명은 폐유 수거가 가능한 폐차 작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각종 폐유를 회수할 수 있도록 구현한 폐유 수거가 가능한 폐차 작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엔진오일이나 윤활유 및 브레이크 오일 등 자동차에 사용되는 오일을 자동차에 삽입한 후 일정한 기간이 경과되어 새로운 오일로 교환하여야 하므로 일정기간이 자동차용 오일을 교환한 후 드럼통 등의 큰 통을 수거통으로 하여 교환된 폐유를 보관하고 새로이 자동차에 들어간 오일을 보관하였던 오일보관통은 한곳에 모아두며 일정한 양의 자동차용 폐유가 수거통에 수거되면 흡입펌프를 구비한 회수용 차량이 추가된 자동차용 폐유를 회수하여 재처리 과정을 통해서 재활용하고 오일 보관통은 일반 쓰레기와 같이 버려져 왔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행하여져 왔던 방법 등은 자동차용 폐유와 오일 보관통을 각각 분리 보관하므로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오일 보관통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보기 흉하여 미관상 좋지 않으며 일반 차가 운전자구에 버리거나 지면에 뿌리어 미관 좋지 못할 뿐 아니라 오일 보관통을 일반 쓰레기와 같이 버리므로 다른 재활용품이 오염되어 재활용하기 어려워 폐기시켜야 하므로 환경 공해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5-0005813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7-0003023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각종 폐유를 회수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전동 작업창고를 제공하고, 자동차로부터 폐유를 수거할 수 있도록 설계된 수거통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폐유 수거가 가능한 폐차 작업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폐유 수거 탱크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폐유 수거 탱크의전면에 탄성력을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범퍼를 구비할 수 있도록 구현된 폐유 수거가 가능한 폐차 작업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유 수거가 가능한 폐차 작업 시스템은, 폐차의 폐유수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작업창고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창고에서 작업 중인 폐차의 하부에 배치되며, 폐차로부터 흘러나오는 폐유를 모아 내부 공간에 담아 두는 폐유수거탱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유수거탱크는, 상측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도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폐유를 담아 두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위해 상기 케이스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낙하하는 폐유가 내부 공간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상부 내측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대향하는 반대편 내측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담긴 폐유가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바닥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출구가 상기 케이스의 일측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개구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폐유 배출관; 상기 폐유 배출관의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폐유 배출관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폐유에 포함된 찌꺼기를 필터링하는 폐유 필터; 상기 폐유 배출관에서 출구의 반대편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폐유 배출관으로 유입된 폐유를 상기 폐유 필터 방향으로 압착시켜 주는 폐유압착 실린더; 및 상기 폐유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폐유를 전달받아 내부 공간에 저장해 두는 폐유 보조 탱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유 필터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폐유 배출관의 출구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산에 맞물려 체결되며, 상기 폐유압착 실린더는, 상기 폐유 배출관에서 출구의 반대편 공간에 설치되며, 구비된 피스톤이 직선 왕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피스톤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폐유 배출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폐유 배출관을 따라 상기 폐유 필터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폐유 배출관에 모여있는 폐유를 상기 폐유 필터 방향으로 밀어 압착시키는 압착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압착 헤드가 상기 구동부 방향으로 가장 근접하게 수축된 경우에 상기 압착 헤드의 전단 상측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폐유 배출관은, 상기 압착 헤드가 삽입되어 왕복 운동이 수행되도록 하는 폐유보충관; 상기 폐유보충관으로부터 상기 압착 가지와 동일한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배출관; 상기 폐유보충관으로부터 상기 압착 가지보다 작은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배출관; 및 상기 폐유보충관으로부터 상기 압착 가지보다 큰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폐유 배출관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폐유보충관으로부터 상기 제1 배출관, 상기 제2 배출관 또는 상기 제3 배출관 중 적어도 하나의 배출관과의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벨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유 필터는, 상기 제1 배출관, 상기 제2 배출관 또는 상기 제3 배출관의 출구의 직경에 대응하여 복수 개 구비되어 각 배출관의 출구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는 충격 흡수부; 및 상기 케이스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충격 흡수부의 전면에 설치되는 범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범퍼를 지지하는 받침 프레임; 상측에 안착된 상기 받침 프레임을 지지하는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 상기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의 각각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네 쌍의 지지 프레임; 및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이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이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지지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기둥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기둥 바디; 상기 기둥 바디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십자홈; 상기 십자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십자홈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십자 탄성부; 상기 기둥 바디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네 개의 수직홈; 및 상기 수직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네 개의 수직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십자 탄성부는, 내부 공간이 빈 "+" 형태로 형성되는 십자 케이스부;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십자 케이스부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는 상부 지지부; 상기 상부 지지부의 각 측면에 배치되는 네 개의 상부 탄성부; 상기 십자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상부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 및 상기 십자홈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십자 케이스부와 대향하는 일 측면과 상기 상부 탄성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상부에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십자홈의 각각의 가지가 만나는 중심 방향으로 상기 십자홈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네 개의 상부 연결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탄성부는, 내부 공간이 빈 상기 수직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직 케이스부;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 케이스부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는 측면 지지부; 상기 측면 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측면 탄성부; 상기 수직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측면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측면 탄성 지지부; 및 상기 수직홈의 상부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 케이스부와 대향하는 하측면과 상기 측면 탄성 지지부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외측면에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직홈의 하측 방향으로 상기 수직홈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측면 연결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자동차로부터 수거한 자동차용 폐유를 용이하게 보관할 뿐만 아니라 빈 오일 보관 통을 함께 보관할 수 있어 편리하며 자가운전자도 수거한 폐유를 용이하게 처리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폐유 보관 탱크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보호함으로써, 폐유 보관 탱크가 충격을 당하는 경우에도 내부 공간에 담긴 폐유가 흘러넘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유 수거가 가능한 폐차 작업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폐유수거탱크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1의 폐유수거탱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폐유 필터의 체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압착 헤드의 폐유 압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4의 폐유 배출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2의 폐유수거탱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탄성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3은 도 11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유 수거가 가능한 폐차 작업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유 수거가 가능한 폐차 작업 시스템(10)은, 작업창고(200) 및 폐유수거탱크(200)를 포함한다.
작업창고(200)는, 폐차(1)의 폐유수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공간을 형성하여 폐차(1)가 내부 공간으로 진입되도록 한다.
즉, 작업창고(200)는, 차량이 노후 또는 사고 등으로 폐차시켜야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폐차장에 설치되는 시설로서, 폐차 전에 차량에 남아 있는 각종 오일류를 차량으로부터 빼내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는 공간에 해당하는 것이다.
폐유수거탱크(100)는, 작업창고(200)에서 작업 중인 폐차(1)의 하부에 배치되며, 폐차(1)로부터 흘러나오는 폐유(2)를 모아 내부 공간에 담아 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폐유 수거가 가능한 폐차 작업 시스템(10)은, 폐차(1)로부터 수거한 자동차용 폐유(2)를 용이하게 보관할 뿐만 아니라 빈 오일 보관 통을 함께 보관할 수 있어 편리하며 자가운전자도 수거한 폐유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폐유수거탱크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폐유수거탱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차(1)의 하측 공간으로 이동되어 폐차(1)로부터 흘러나오는 폐유(2)를 내부 공간에 수용하는 장치로서, 케이스(110) 및 바퀴(12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상측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도 형성되며, 폐차(1)의 하측 공간으로 이동되어 내부 공간에 폐유(2)를 담아 두며, 이동을 위해 하측 각 모서리 부분에 바퀴(120)가 설치된다.
일 실싱예에서, 케이스(110)는, 낙하하는 폐유(2)가 내부 공간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상부 내측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대향하는 반대편 내측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면(112)을 형성될 수 있다.
바퀴(120)는, 케이스(110)의 이동을 위해 케이스(110)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된다.
도 4는 도 1의 폐유수거탱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유수거탱크(100a)는, 케이스(110), 바퀴(120), 폐유 배출관(130), 폐유 필터(140), 폐유압착 실린더(150) 및 폐유 보조 탱크(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케이스(110) 및 바퀴(120)는, 도 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폐유 배출관(130)은,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에 담긴 폐유(2)가 케이스(110)의 하부면에 형성된 개구부(111)를 통해 케이스(110)의 외부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케이스(110)의 바닥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출구가 케이스(110)의 일측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부(111)의 하측에 형성되며, 출구 부분에는 폐유 필터(140)가 설치되고, 내측 공간에는 폐유압착 실린더(150)가 설치된다.
폐유 필터(140)는, 폐유 배출관(130)의 출구에 설치되어 폐유 배출관(130)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폐유(2)에 포함된 찌꺼기를 필터링시킨다.
즉, 폐유압착 실린더(150)에 의하여 압착되는 폐유(2)가 폐유 필터(140)를 통해 필터링되어 배출되면 폐유 필터(140)에 연결된 배출 호스(170)를 통해 외부에 구비된 폐유 보조 탱크(160)로 전달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폐유 필터(140)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141)을 형성하여 폐유 배출관(130)의 출구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산에 맞물려 체결될 수 있다.
폐유압착 실린더(150)는, 폐유 배출관(130)에서 출구의 반대편 공간에 설치되며, 개구부(111)를 통해 폐유 배출관(130)으로 유입된 폐유(2)를 폐유 필터(140) 방향으로 압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폐유압착 실린더(150)는, 구동부(151) 및 압착 헤드(15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51)는, 폐유 배출관(130)에서 출구의 반대편 공간에 설치되며, 구비된 피스톤이 직선 왕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동시킨다.
압착 헤드(152)는, 피스톤의 전단에 설치되며, 폐유 배출관(13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폐유 배출관(130)을 따라 폐유 필터(140) 방향으로 이동되어 폐유 배출관(130)에 모여있는 폐유(2)를 폐유 필터(140) 방향으로 밀어 압착시킨다.
이때, 개구부(1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 헤드(152)가 구동부(151) 방향으로 가장 근접하게 수축된 경우에 압착 헤드(152)의 전단 상측으로부터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으로 관통 형성됨으로써, 압착 헤드(152)와 폐유 필터(140) 사이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폐유 보조 탱크(160)는, 폐유 필터(140)를 통해 필터링된 폐유(2)를 배출 호스(170)를 경유하여 전달받아 내부 공간에 저장해 둔다.
도 7은 도 4의 폐유 배출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폐유 배출관(130)은, 폐유보충관(131), 제1 배출관(132), 제2 배출관(133) 및 형성되는 제3 배출관(134)을 포함한다.
폐유보충관(131)은, 압착 헤드(152)가 삽입되어 왕복 운동이 수행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말단으로부터 서로 다른 직경을 형성하는 제1 배출관(132), 제2 배출관(133) 및 형성되는 제3 배출관(134)이 분리되어 뻗어나간다.
제1 배출관(132)은 폐유보충관(131)으로부터 압착 가지와 동일한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 배출관(133)은 폐유보충관(131)으로부터 압착 가지보다 작은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3 배출관(134)은 폐유보충관(131)으로부터 압착 가지보다 큰 직경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폐유 필터(140)는, 제1 배출관(132), 제2 배출관(133) 또는 제3 배출관(134)의 출구의 직경에 대응하여 복수 개 구비되어 각 배출관의 출구에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폐유압착 실린더(150)에 의하여 발생되는 압착력은 일정한 바, 폐유가 배출되는 배출관의 직경을 달리 구비함으로써 동일한 압착력에도 서로 다른 양의 폐유(2)가 토출되도록 하여 필터링 효과를 다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폐유 배출관(13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폐유보충관(131)으로부터 제1 배출관(132), 제2 배출관(133) 또는 제3 배출관(134) 중 적어도 하나의 배출관과의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벨브(135a, 135b, 135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도 2의 폐유수거탱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유수거탱크(100b)는, 케이스(110), 바퀴(120), 폐유 배출관(130), 폐유 필터(140), 폐유압착 실린더(150), 폐유 보조 탱크(160), 충격 흡수부(500) 및 범퍼(17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케이스(110), 바퀴(120), 폐유 배출관(130), 폐유 필터(140), 폐유압착 실린더(150), 폐유 보조 탱크(160)는, 도 2 또는 도 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충격 흡수부(500)는, 케이스(110)의 전면에 설치되며, 전면에 설치된 범퍼(17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범퍼(170)는, 케이스(110)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충격 흡수부(500)의 전면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폐유수거탱크(100b)는, 케이스(110)의 전면에 설치된 범퍼(170)에 의하여 케이스(110) 자체가 차량이나 작업자와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충격 흡수부(500)를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케이스(110)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켜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에 담긴 폐유가 흘러넘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충격 흡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충격 흡수부(500)는, 받침 프레임(540),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 및 지지 기둥(530)을 포함한다.
받침 프레임(540)은, 하측에 설치된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하여 지지되며, 범퍼(170)를 지지한다.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안착된 받침 프레임(540)을 지지하며, 하측에 연결 설치된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지지 기둥(530)에서 지지된다.
즉, 받침 플레이트(510)는, 상측에 받침 프레임(540)을 안착시키게 되고, 받침 프레임(54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대응하여 탄성력에 의하여 좌우 방향(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상하 방향(즉, 제2 프레임(521b))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지지 프레임(520)에 의하여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다양하게 형성시킴으로써, 단순히 상하 방향의 높이만을 조절하여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존의 탄성체의 한계를 극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에 의한 지지 위치를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지지 프레임(520)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의 각각의 하부에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두 개의 프레임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플레이트(510)를 지지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길이를 조절하여 플레이트(510)에 의한 받침 프레임(540)의 지지 위치를 결정한다.
이때, 제1 프레임(521a) 및 제2 프레임(521b)의 상부는 받침 플레이트(51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제1 프레임(521a)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는 지지 기둥(530)의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즉,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은, 지지 기둥(530)의 상측면 또는 일측면에서 탄성력에 의한 회동 또는 슬라이딩 이동을 통하여 받침 플레이트(5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지지 기둥(530)으로 전달하게 된다.
지지 기둥(530)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제1 프레임(521a)의 하부가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제2 프레임(521b)의 하부가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며, 제1 프레임(521a) 또는 제2 프레임(521b)의 슬라이딩 이동 시 탄성력(즉, 십자 탄성부(533) 또는 수직 탄성부(535))을 통해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킨다.
각각의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지지 프레임(520)는, 서로 대칭 구조로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구동되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은 일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일 지지 프레임(520)에 관하여 기술한 내용은 다른 받침 플레이트(510) 또는 다른 지지 프레임(52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충격 흡수부(500)는, 상하 대칭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는 바, 도 10의 경우에는 지지 기둥(530)의 상부에만 각각의 구성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510) 및 네 쌍의 지지 프레임(520)과 관련된 구성은 지지 기둥(530)의 하부에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충격 흡수부(500)는, 자동차나 작업자와 폐유수거탱크(100b)가 충돌하는 경우에 있어 그 충돌 각도와 상관 없이 충격을 다방향으로 흡수함으로써 폐유수거탱크(100b)의 내부 공간에 담긴 폐유(2)가 충격에 넘치거나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지지 기둥(530)은, 기둥 바디(531), 십자홈(532), 십자 탄성부(533), 네 개의 수직홈(534)(도 10 참조) 및 네 개의 수직 탄성부(535) (도 14 참조)를 포함한다.
기둥 바디(531)는,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 십자홈(532)이 형성되며, 각 측면에 수직홈(534)이 형성된다.
십자홈(532)은, 기둥 바디(531)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십자 탄성부(533)가 삽입 설치된다.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홈(5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1 프레임(521a)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수직홈(534)은, 기둥 바디(531)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수직 탄성부(535)가 삽입 설치된다.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홈(534)에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2 프레임(521b)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흡수시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도 13은 도 11의 십자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십자 탄성부(533)는, 십자 케이스부(5331),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 및 네 개의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포함한다.
십자 케이스부(5331)는, 내부 공간이 빈 "+" 형태로 형성되어 십자홈(532)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 공간에 후술하는 상부 지지부(5332), 네 개의 상부 탄성부(5333),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5334)가 설치된다.
이때, 십자 케이스부(5331)의 각 가지의 길이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십자 케이스부(5331)의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부 연결 링크부(5335)가 배치되고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공간을 형상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상부 지지부(533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십자 케이스부(5331)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고, 각 4면의 외측에 상부 탄성부(5333)가 배치되도록 하고 상부 탄성부(5333)를 지지하게 된다.
상부 탄성부(5333)는, 상부 지지부(5332)의 각 측면에 배치되어 상부 탄성 지지부(533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상부 탄성 지지부(533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상부 탄성 지지부(5334)는, 십자 케이스부(5331)의 내부 공간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부 탄성부(533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부 연결 링크부(533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상부 연결 링크부(5335)를 지지한다.
상부 연결 링크부(5335)는, 십자홈(532)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십자 케이스부(5331)와 대향하는 일 측면과 상부 탄성 지지부(5334)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3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상부에 제1 프레임(521a)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플레이트(510)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따라 십자홈(532)의 각각의 가지가 만나는 중심 방향으로 십자홈(532)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14는 도 12의 수직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수직 탄성부(535)는, 수직 케이스부(5341),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측면 충격 흡수부(5344) 및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포함한다.
수직 케이스부(5341)는, 내부 공간이 빈 수직홈(534)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의 하측으로부터 측면 지지부(5342), 측면 탄성부(5343) 및 측면 충격 흡수부(5344)가 순서대로 설치된다.
측면 지지부(5342)는,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수직 케이스부(5341)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측에 측면 탄성부(5343)가 배치되어 측면 탄성부(5343)를 지지한다.
측면 탄성부(5343)는, 측면 지지부(534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측에 배치된 측면 충격 흡수부(5344)를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측면 충격 흡수부(534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흡수하게 된다.
측면 충격 흡수부(5344)는, 수직 케이스부(5341)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측면 탄성부(5343)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측면 연결 링크부(5345) 사이에 설치된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측면 연결 링크부(5345)를 지지한다.
측면 연결 링크부(5345)는, 수직홈(534)의 상부 말단에 배치되고, 수직 케이스부(5341)와 대향하는 하측면과 측면 충격 흡수부(5344)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5346)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외측면에 제2 프레임(521b)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수직홈(534)의 하측 방향으로 수직홈(534)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유 수거가 가능한 폐차 작업 시스템은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될 경우 균열이 발생된 곳에 충전하여 보수하기 위한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물이라 함은, 폐유수거탱크(100)가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 모두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존재하던 건축 구조물을 보수하기 위한 조성물에 있어서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모두 향상된 조성물 중 만족할 만한 효과를 발휘하는 조성물이 존재하지 않는 다는 것을 발견하여, 예의 노력한 끝에 본 발명과 같이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 모두 만족할 만한 효과를 발휘하는 조성물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는 CAS 번호(CAS number)가 30445-28-4인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는 다양한 화합물을 탐색하던 중 조성물이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내수성 및 내균열성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10 내지 50 중량부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방수성 및 내수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EVA 바인더는 바람직하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이며, CAS 번호는 24937-78-8 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는 CAS 번호 111-76-2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진(rosin)은 송진을 증류하여 얻는 천연 수지를 의미하며, 상업적으로 판매하고 있는 로진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로진이라도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텍사놀(TEXANOL)은 CAS 번호 25265-77-4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은 CAS 번호 57-55-6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구성으로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시키는 경우 특히 내수성의 효과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EVA 바인더 0.01 내지 10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로진 0.01 내지 5 중량부, 텍사놀 0.01 내지 5 중량부 및 프로필렌글리콜 0.01 내지 3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수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보수용 조성물에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 그리고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방수성 및 내수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을 15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6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17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은 상기 조성물에 0.1 내지 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이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조성물이 뛰어난 방수성 및 내수성 효과를 갖는다면, 본 조성물은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틸셀로솔브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은 CAS 번호가 107-21-1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는 CAS 번호가 1317-65-3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는 CAS 번호가 13463-67-7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0.01 내지 5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칼슘 카보네이트 20 내지 50 중량부, 티타늄디옥사이드 0.01 내지 5 중량부 및 물 0.0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내균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을 탐색하던 중 천연 추출물에서 그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균열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보수용 조성물에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 그리고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내균열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flax)는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아마과의 한해살이풀로서 씨는 납작하고 긴 타원 모양이며 노란빛을 띤 갈색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지만, 예시적으로 스크래퍼(scraper)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 추출물은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예를 들어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종래 아마씨의 용도로서 다양한 용도가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포함시켜 내균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확인한 바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 없으며, 연구도 미미한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을 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기본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분산제, 소포제, 항균제, 방부제, 동결 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1) 건축 구조물의 표면의 열화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S2) 상기 열화부가 제거된 상기 건축 구조물의 표면 상부에 상기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는 단계에 의하여 구조물의 균열 보수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준비
하기 실시예 및 평가예를 위한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사용된 주요 원료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아크릴바인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 CAS NO 30445-28-4
2) EVA 바인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CAS NO 24937-78-8
3)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 CAS NO 111-76-2
4) 텍사놀(TEXANOL): CAS NO 25265-77-4
5)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CAS NO 57-55-6
6)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CAS NO 107-21-1
7)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CAS NO 1317-65-3
8)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CAS NO 13463-67-7
9)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124-68-5
10)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27646-80-6
11) 아마씨 점액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수득하였다.
12) 아마씨 점액 추출물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약 0.2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1 중량부의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06 중량부의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5 중량부의 아마씨 점액 및 아마씨 점액 추출물의 혼합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평가예 1
건축 토목 구조물의 열화부를 제거한 다음, 이 표면상부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각각 도장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균열 보수막의 접착강도, 내균열 안정성 및 미끄럼저항성 및 균열 보수제 조성물의 저장안정성을 KS규격, KSL 1593상의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또한, 방수성의 경우 균열 보수막 형성 후 내부로 수분이 흡수되는 정도를 5점 척도법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하기 표 1에서 제품 X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B사의 건축 구조물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제품을 나타내며, 이를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과 비교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표 1]
Figure 112019042786573-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제품 X와 비교하여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저장 안정성 및 미끄럼 저항성에 있어서도 문제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실시예 1, 2는 방수성 및 내수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3, 4는 내균열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폐유 수거가 가능한 폐차 작업 시스템
100: 폐유수거탱크
110: 케이스
120: 바퀴
130: 폐유 배출관
140: 폐유 필터
150: 폐유압착 실린더
160: 폐유 보조 탱크
170: 범퍼
200: 작업창고
500: 충격 흡수부

Claims (2)

  1. 폐차의 폐유수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작업창고를 포함하되,
    상기 작업창고에서 작업 중인 폐차의 하부에 배치되며, 폐차로부터 흘러나오는 폐유를 모아 내부 공간에 담아 두는 폐유수거탱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유수거탱크는, 상측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박스 형태도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폐유를 담아 두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위해 상기 케이스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낙하하는 폐유가 내부 공간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상부 내측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대향하는 반대편 내측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담긴 폐유가 상기 케이스의 하부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바닥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출구가 상기 케이스의 일측 벽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개구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폐유 배출관; 상기 폐유 배출관의 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폐유 배출관의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폐유에 포함된 찌꺼기를 필터링하는 폐유 필터; 상기 폐유 배출관에서 출구의 반대편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폐유 배출관으로 유입된 폐유를 상기 폐유 필터 방향으로 압착시켜 주는 폐유압착 실린더; 및 상기 폐유 필터를 통해 필터링된 폐유를 전달받아 내부 공간에 저장해 두는 폐유 보조 탱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유 필터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폐유 배출관의 출구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나사산에 맞물려 체결되며,
    상기 폐유압착 실린더는, 상기 폐유 배출관에서 출구의 반대편 공간에 설치되며, 구비된 피스톤이 직선 왕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피스톤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폐유 배출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폐유 배출관을 따라 상기 폐유 필터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폐유 배출관에 모여있는 폐유를 상기 폐유 필터 방향으로 밀어 압착시키는 압착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압착 헤드가 상기 구동부 방향으로 가장 근접하게 수축된 경우에 상기 압착 헤드의 전단 상측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폐유 배출관은, 상기 압착 헤드가 삽입되어 왕복 운동이 수행되도록 하는 폐유보충관; 상기 폐유보충관으로부터 압착 가지와 동일한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배출관; 상기 폐유보충관으로부터 상기 압착 가지보다 작은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배출관; 및 상기 폐유보충관으로부터 상기 압착 가지보다 큰 직경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폐유 배출관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폐유보충관으로부터 상기 제1 배출관, 상기 제2 배출관 또는 상기 제3 배출관 중 적어도 하나의 배출관과의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벨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폐유 필터는, 상기 제1 배출관, 상기 제2 배출관 또는 상기 제3 배출관의 출구의 직경에 대응하여 복수 개 구비되어 각 배출관의 출구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는 충격 흡수부; 및 상기 케이스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충격 흡수부의 전면에 설치되는 범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범퍼를 지지하는 받침 프레임; 상측에 안착된 상기 받침 프레임을 지지하는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 상기 네 개의 받침 플레이트의 각각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네 쌍의 지지 프레임; 및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이 상측면에 회동 및 수평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이 일 측면에 회동 및 수직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지지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기둥은, 사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기둥 바디; 상기 기둥 바디의 상부에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십자홈; 상기 십자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십자홈에 삽입되며, 네 개의 가지의 말단 상부에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십자 탄성부; 상기 기둥 바디의 각 면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네 개의 수직홈; 및 상기 수직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부 외측에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네 개의 수직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십자 탄성부는, 내부 공간이 빈 "+" 형태로 형성되는 십자 케이스부;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십자 케이스부의 중심 부분에 배치되는 상부 지지부; 상기 상부 지지부의 각 측면에 배치되는 네 개의 상부 탄성부; 상기 십자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상부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네 개의 상부 탄성 지지부; 및 상기 십자홈의 각 가지의 말단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십자 케이스부와 대향하는 일 측면과 상기 상부 탄성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상부에 상기 제1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십자홈의 각각의 가지가 만나는 중심 방향으로 상기 십자홈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네 개의 상부 연결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탄성부는, 내부 공간이 빈 상기 수직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직 케이스부; 정육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 케이스부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는 측면 지지부; 상기 측면 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측면 탄성부; 상기 수직 케이스부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측면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는 측면 탄성 지지부; 및 상기 수직홈의 상부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 케이스부와 대향하는 하측면과 상기 측면 탄성 지지부의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에 의하여 기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되고, 외측면에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직홈의 하측 방향으로 상기 수직홈의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측면 연결 링크부를 포함하는, 폐유 수거가 가능한 폐차 작업 시스템.

  2. 삭제
KR1020190048453A 2019-04-25 2019-04-25 폐유 수거가 가능한 폐차 작업 시스템 KR102033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453A KR102033379B1 (ko) 2019-04-25 2019-04-25 폐유 수거가 가능한 폐차 작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453A KR102033379B1 (ko) 2019-04-25 2019-04-25 폐유 수거가 가능한 폐차 작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379B1 true KR102033379B1 (ko) 2019-11-08

Family

ID=68542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453A KR102033379B1 (ko) 2019-04-25 2019-04-25 폐유 수거가 가능한 폐차 작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37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813U (ko) 1993-08-19 1995-03-20 연속주조기 인발 롤러의 냉각 장치
KR970003023U (ko) 1995-06-29 1997-01-24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서의 녹화 표시 장치
JP2002096733A (ja) * 2000-09-26 2002-04-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膳車
KR20070059542A (ko) * 2005-12-07 2007-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폐차 해체시스템 및 방법
KR101200948B1 (ko) * 2012-02-22 2012-11-21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
KR101691110B1 (ko) * 2015-07-09 2017-01-0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813U (ko) 1993-08-19 1995-03-20 연속주조기 인발 롤러의 냉각 장치
KR970003023U (ko) 1995-06-29 1997-01-24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서의 녹화 표시 장치
JP2002096733A (ja) * 2000-09-26 2002-04-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膳車
KR20070059542A (ko) * 2005-12-07 2007-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폐차 해체시스템 및 방법
KR101200948B1 (ko) * 2012-02-22 2012-11-21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
KR101691110B1 (ko) * 2015-07-09 2017-01-0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80274B1 (en) Chemical binder for coating payload in open top hopper cars, trucks, piles and similar storage/shipping containers
DE20209120U1 (de) Federungs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KR102033379B1 (ko) 폐유 수거가 가능한 폐차 작업 시스템
KR101996803B1 (ko) 건물 신축 공사용 철근 절곡을 위한 밴딩 방법 및 장치
KR102018686B1 (ko) 플라스틱 분진을 이용한 펠릿 제조 장치
KR101989191B1 (ko) 그릇 도색 장치
KR102001474B1 (ko) 자동차 부품 보관 창고
KR102003032B1 (ko) 철거 작업용 비계
CN210278913U (zh) 一种壁画墙面泥土修复辅助装置
KR102010291B1 (ko) 바니쉬 함침 장치
KR102016316B1 (ko) 다기능 절단 장치
CN208935245U (zh) 一种摩托车多级前减震装置
KR102031242B1 (ko) 제단장치
KR102018319B1 (ko) 가압 장치
DE3800873A1 (de) Verfahren zum binden von schadstoffen und absorptionsmaterial fuer schadstoffe
KR102104575B1 (ko) 다목적 자재 보관 창고
KR101988659B1 (ko) 에어캡시트 권취장치
CN219050572U (zh) 一种丙烯酸聚合物乳液加工回收装置
CN111229515A (zh) 一种具备降噪的水性漆混合装置
EP1017603A1 (de) Wertstoff-sammelbehältersystem
CN206202141U (zh) 一种车载简便伸缩式垃圾箱
KR102029409B1 (ko) 폐기물 이송 차량
CN220199914U (zh) 一种塑胶制品用橡胶散装盒
DE4008693A1 (de) Polymere oeladsorptionsmittel
CN219463700U (zh) 一种湿式电除尘器用安装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