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948B1 -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948B1
KR101200948B1 KR1020120018117A KR20120018117A KR101200948B1 KR 101200948 B1 KR101200948 B1 KR 101200948B1 KR 1020120018117 A KR1020120018117 A KR 1020120018117A KR 20120018117 A KR20120018117 A KR 20120018117A KR 101200948 B1 KR101200948 B1 KR 101200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flow
oil
lift
wate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택
Original Assignee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8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1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는 폐차를 들어올리는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에 설치되어 폐차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로드 셀과, 상기 로드 셀에서 측정된 폐차의 무게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리프트에 들어 올려진 폐차에서 연료를 회수하는 연료 회수부와, 상기 리프트의 주변에 설치되어 폐차에 저장된 액상류 중 연료를 제외한 나버지 액상류를 한번에 회수하는 액상류 회수부와, 상기 액상류 회수부로 회수된 액상류 중 물과 기름을 분리하는 유수 분리기로 구성되어, 엔진오일나 미션 오일 등의 기름과 냉각수나 와셔액 등의 물을 동시에 한꺼번에 폐차에서 분리한 후 유수 분리기를 이용하여 물과 기름을 분리함으로써,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APPARATUS FOR LIQUID COLLECTING OF DISUSED CAR}
본 발명은 폐차에 저장된 연료, 각종 오일류 및 냉매, 냉각액, 브레이크 액 등과 같은 각종 액상류를 폐차에서 분리한 후 연료, 오일류 및 물을 종류별로 회수하는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수명이 다한 폐차는 부품 및 재료를 재활용하기 위해 폐차 해제 작업을 수행한다.
폐차에서 회수되는 액상류는 엔진오일, 미션오일(자동, 수동), 파워스티어링오일, 냉각수, 워셔액, 브레이크 오일, 연료 등이다.
현재, 차량을 폐차시킬 경우 차량 내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액상류를 완전히 회수하지 않은 상태에서 폐차 처리할 경우 액상류에 의해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액상류를 의무적으로 회수해야된다.
종래의 폐차의 폐액류 회수장치는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0004833(2011년 05월 17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폐차를 승강시키는 리프트와, 리프트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폐액류를 회수하는 폐액류 회수관과, 폐액류 회수s관에 연결되어 폐차의 하부에 받쳐지는 깔대기 모양의 회수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폐차의 폐액류 회수장치는 차량을 리프트를 이용하여 소정의 높이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각각의 폐액류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탱크의 저면에 구멍을 뚫어주고 구멍을 통해 흘러나오는 폐액류를 각각 종류별로 별도로 회수하고 있다.
회수부는 폐액류의 종류별로 구비된다. 즉, 연료를 회수하는 연료 회수부, 엔진오일을 회수하는 엔진오일 회수부, 미션오일을 회수하는 미션오일 회수부, 냉매를 회수하는 냉매 회수부, 냉각수를 회수하는 냉각수 회수부 등 복수의 회수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폐액류 회수장치는 각각의 종류별로 별도의 회수부를 필요하게 되어 전체 회수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폐차에서 액상류를 회수하는데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0004833(2011년 05월 17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 오일나 미션 오일 등의 기름과 냉각수 등의 물을 동시에 한꺼번에 폐차에서 분리한 후 유수 분리기를 이용하여 물과 기름을 분리함으로써,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는 폐차를 들어올리는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에 설치되어 폐차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로드 셀과, 상기 로드 셀에서 측정된 폐차의 무게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리프트에 들어 올려진 폐차에서 연료를 회수하는 연료 회수부와, 상기 리프트의 주변에 설치되어 폐차에 저장된 액상류 중 연료를 제외한 나버지 액상류를 한번에 회수하는 액상류 회수부와, 상기 액상류 회수부로 회수된 액상류 중 물과 기름을 분리하는 유수 분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상류 회수부는 리프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폐차에서 낙하되는 액상류가 수집되는 액상류 수집판과, 액상류 수집판의 상면에 배치되어 액상류를 제외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수 분리기는 액상류가 저장되는 액상류 저장탱크와, 액상류 저장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물과 기름이 저장되는 제1챔버와 물이 저장되는 제2챔버로 구획하는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에 설치되어 제1챔버에 저장된 물과 기름 중 물을 분리하여 제2챔버로 유입시키는 물 분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는 액상류 회수부를 이용하여 엔진 오일나 미션 오일 등의 기름과 냉각수 등의 물을 동시에 한꺼번에 폐차에서 분리한 후 유수 분리기를 이용하여 물과 기름을 분리함으로써,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의 차량 리프트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는 폐차(100)를 들어올리는 리프트(10)와, 리프트(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폐차(100)에 저장된 연료를 회수하는 연료 회수부(40)와, 리프트(10)의 하측에 설치되어 폐차(100)의 오일류와 물을 한꺼번에 회수하는 액상류 회수부(20)와, 액상류 회수부(20)로 회수된 액상류를 물과 기름으로 분리하는 유수 분리기(30)를 포함한다.
차량에 저장된 액상류는 연료, 엔진 오일, 미션 오일, 브레이크액, 냉각수, 냉매 및 와셔액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액상류 중 연료를 제외하면 크게 엔진 오일, 미션 오일, 브레이크액 등을 포함하는 기름과, 냉매, 냉각수, 와셔액 등의 물로 구분된다.
액상류를 차량에서 회수할 때 종류별로 각각 회수할 경우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연료는 별도로 회수하고, 연료를 제외한 나머지 액상류는 차량에서 한꺼번에 분리시킨 후 액상 분리기를 이용해서 물과 기름이 분리되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시스템의 구성을 단순화하고자 한다.
리프트(10)는 바닥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프레임(12)과, 폐차(100)의 차체 하면에 접촉되어 폐차(100)를 들어올리는 리프트 받침대(14)와, 베이스 프레임(12)과 리프트 받침대(14) 사이에 설치되어 리프트 받침대(14)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부(16)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리프트(10)는 위에서 설명한 리프트의 구조 이외에, 차량을 들어올릴 수 있는 어떠한 구조의 리프트도 적용이 가능하다.
리프트(10)에는 폐차(100)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 셀(50,54)이 설치되고, 리프트(10)의 일측에는 로드 셀(50,54)에서 측정된 폐차 무게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2)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로드 셀(50,54)은 리프트 받침대(14)에 설치되는 로드 셀(50)과, 베이스 프레임(12)의 일측에 설치되는 로드 셀(54)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리프트(10)는 폐차가 놓여지면 어느 위치에서도 무게의 측정이 가능하다.
폐차(100)의 차체가 리프트(10)로 들어면 로드 셀(54)이 폐차의 무게를 측정하여 디스플레이부(52)에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폐차(100)가 리프트 받침대(14)에 올려지면 리프트 받침대(14)에 설치된 로드 셀(50)이 폐차(52)의 무게를 측정하여 디스플레이부(52)에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연료 회수부(40)는 폐연료가 회수되는 연료회수탱크(42)와, 연료회수탱크(42)와 회수관(44)으로 연결되고 폐차(100)의 연료통에 구멍을 뚫어 연료를 회수하는 회수 호퍼(46)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회수 호퍼(46)에는 폐차(100)의 연료통에 구멍을 뚫는 천공기(48)가 설치되고 연료회수탱크(42)의 일측에는 천공기(48)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41)가 설치된다.
액상류 회수부(20)는 리프트(10)의 주변에 설치되어 리프트(10)에 의해 폐차(100)가 올려진 상태에서, 폐차(100)에 저장된 기름과 물이 한꺼번에 낙하하면 기름과 물을 한 곳으로 모아주는 액상류 수집판(22)와, 액상류 수집판(22)의 상면에 덮어져서 오일류나 물 이외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크린(24)을 포함한다.
액상류 수집판(22)로 수집되는 액상류는 엔진 오일, 미션 오일, 브레이크액, 부동액, 냉매 및 와셔액 등 연료를 제외한 폐차에 저장된 모든 액체를 말한다.
액상류 수집판(22)는 폐차(100)에서 낙하하는 액상류를 모두 모을 수 있는 크기를 갖고 리프트(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중앙으로 갈수록 깊어지는 경사면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액상류 수집판(22)에 모아진 액상류를 유수 분리기(30)로 배출시키는 배출구(26)가 형성된다.
유수 분리기(30)는 액상류 수집판(22)의 하측에 설치되고 폐차(100)에서 분리된 액상류가 저장되는 액상류 저장탱크(32)와, 액상류 저장탱크(32)를 기름과 물이 혼합된 액상류가 저장되는 제1챔버(60)와 물이 저장되는 제2챔버(62)로 구획하는 구획판(36)과, 배출구(26)에 연결되고 배출구(36)를 통해 배출되는 액상류를 제1챔버(60)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배관(34)과, 구획판(36)에 설치되어 제1챔버(60)에 저장된 물과 기름이 혼합된 액상류 중에서 물을 분리하여 제2챔버(62)로 유입시키는 물 분리장치(38)를 포함한다.
제1챔버(60)에는 기름이 외부로 배출되는 기름 배출구(64)가 형성되고, 제2챔버(62)에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물 배출구(66)가 형성된다.
물 분리장치(38)는 물과 기름이 혼합된 액상류가 저장된 제1챔버(60)에서 물만 분리하여 제2챔버(62)로 유입시키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유수 분리기가 적용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먼저, 폐차(100)를 리프트 받침대(14)에 올려놓는다. 이때, 로드 셀(50,54)에서 폐차(100)의 무게를 측정하여 디스플레이부(52)에 폐차(100)의 무게를 표시한다.
그런 후 리프트(10)가 작동되면 리프트 받침대(14)가 상승되면서 폐차(100)를 들어올린다. 그런 후, 폐차(100)의 연료 탱크에 구멍을 뚫어 연료 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연료 회수탱크(42)로 회수한다.
연료 회수탱크(42)로의 연료 회수가 완료되면 로드 셀(50,54)이 폐차(100)의 무게를 측정하고, 디스플레이부(52)에 표시한다. 그러면 작업자가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최초 폐차(100) 무게에서 연료가 회수된 폐차(100)의 무게를 빼면 연료의 무게를 측정하고, 연료의 무게가 디스플레이부(52)에 표시되거나 작업자가 수동으로 연료 무게를 표시한다.
그리고, 폐차(100)에 엔진 및 미션에 구멍을 뚫어 엔진 오일 및 미션 오일 등의 기름을 액상류 수집판(22)으로 낙하시키고, 폐차(100)에서 기름 분리가 완료되면 폐차(100)의 무게를 측정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그러면, 작업자가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연료가 분리된 폐차(100)에서 기름이 분리된 폐차의 무게를 빼서 기름의 무게를 측정하고, 기름의 무게를 디스플레이부(52)에 표시하거나 작업자가 수동으로 표시한다.
폐차(100)에서 분리된 기름은 액상류 수집판(22)으로 낙하하여 수집되고, 액상류 수집판(22)에 모아진 기름은 유수 분리기(30)의 제1챔버(60)로 유입된다.
그리고, 폐차(100)에서 브레이크액, 부동액, 냉매 및 와셔액 등의 물을 폐차에서 분리하여 액상류 수집판(22)으로 낙하시킨다. 폐차(100)에서 물 분리가 완료되면 폐차(100)의 무게를 측정하고 디스플레이부(52)에 표시한다. 그러면, 작업자가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기름이 분리된 폐차(100)에서 물이 분리된 폐차(100)의 무게를 빼서 물의 무게를 표시한다.
폐차(100)에서 분리된 물은 액상류 수집판(22)로 낙하하여 수집되고, 액상류 수집판(22)에 모아진 물은 유수 분리기(30)의 제1챔버(60)로 유입된다.
제1챔버(60)에 저장된 물과 기름이 혼합된 액상류는 물 분리장치(38)의 작동에 의해 물만 분리되어 제2챔버(62)로 유입된다. 제1챔버(60)에 저장된 기름은 기름 배출구(6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제2챔버(62)에 저장된 물은 물 배출구(6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는 폐차에서 물과 기름을 한꺼번에 분리하여 액상류 수집판로 수집한 후 유수 분리기에서 물과 기름을 분리함으로써, 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작업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회수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리프트 12: 베이스 프레임
14: 리프트 받침대 16: 승강장치
20: 액상류 회수부 22: 액상류 수집판
24: 스크린 30: 유수 분리기
32: 액상류 회수탱크 34: 가이드 배관
36: 구획판 38: 물 분리장치
40: 연료 회수부 42: 연료회수탱크
44: 회수관 46: 회수호퍼
50,54: 로드 셀 52: 디스플레이부
60: 제1챔버 62: 제2챔버
64: 기름 배출구 66: 물 배출구

Claims (4)

  1. 폐차(100)를 들어올리는 리프트(10);
    상기 리프트(10)에 설치되어 폐차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로드 셀(50);
    상기 로드 셀(50,54)에서 측정된 폐차의 무게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52);
    상기 리프트(10)에 들어 올려진 폐차에서 연료를 회수하는 연료 회수부(40);
    상기 폐차에 저장된 액상류 중 연료를 제외한 나머지 액상류를 한번에 회수하도록, 상기 리프트의 하측에 상기 폐차에서 낙하하는 모든 액상류를 수집할 수 있는 크기를 갖고 리프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액상류 수집판(22)과, 액상류 수집판의 상면에 배치되어 액상류를 제외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크린(24)을 갖는 액상류 회수부(20); 및
    상기 액상류 수집판(22)의 하측에 설치되어 액상류 회수부(20)로 회수된 액상류 중 물과 기름을 분리하는 유수 분리기(30)를 포함하는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류 수집판(22)은 중앙부분이 하측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액상류가 배출되는 배출구(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 분리기(30)는 액상류가 저장되는 액상류 저장탱크(32)와, 액상류 저장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물과 기름이 저장되는 제1챔버(60)와 물이 저장되는 제2챔버(62)로 구획하는 구획판(36)과, 상기 구획판(36)에 설치되어 제1챔버(60)에 저장된 물과 기름 중 물을 분리하여 제2챔버(62)로 유입시키는 물 분리장치(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
KR1020120018117A 2012-02-22 2012-02-22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 KR101200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117A KR101200948B1 (ko) 2012-02-22 2012-02-22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117A KR101200948B1 (ko) 2012-02-22 2012-02-22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0948B1 true KR101200948B1 (ko) 2012-11-21

Family

ID=47564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117A KR101200948B1 (ko) 2012-02-22 2012-02-22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9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379B1 (ko) * 2019-04-25 2019-11-08 이재현 폐유 수거가 가능한 폐차 작업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9623A (ja) * 2004-03-26 2005-10-13 Setsugo Shimizu 油水分離排水処理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9623A (ja) * 2004-03-26 2005-10-13 Setsugo Shimizu 油水分離排水処理方法および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379B1 (ko) * 2019-04-25 2019-11-08 이재현 폐유 수거가 가능한 폐차 작업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083B1 (ko) 폐자동차의 액상류 회수 장치
CN109572869B (zh) 一种用于报废汽车一站式回收拆解系统及拆解工艺
KR101200948B1 (ko) 폐차의 액상류 회수장치
CN203650108U (zh) 一种自卸式集屑车
CN108295513A (zh) 弱旋流稠油消泡分离器
CN201506334U (zh) 废油收集装置
CN202574454U (zh) 退役乘用车环保预处理一体机
CN105905023B (zh) 移动式车辆养护站以及移动式车辆养护方法
DE4110419C1 (en) Mobile disposal unit for old cars - has container with lid carrying top supports for old car with freely suspended wheels
CN109253384A (zh) 汽车机油回收装置
CN205076334U (zh) 一种压缩式垃圾车的污水收集装置及垃圾车
CN211689792U (zh) 一种高速公路施工质量检测装置
CN211033831U (zh) 一种汽车废弃物收集柜
CN101526382B (zh) 燃油发动机的油耗计量仪
CN207191008U (zh) 排污装置及移动车辆维修服务站
CN205930456U (zh) 一种移动汽车维修养护车
KR100610447B1 (ko) 폐자동차의 액상류 회수 시스템
CN219428866U (zh) 一种液体暂存装置及液体暂存系统
CN204870689U (zh) 钻孔桩渣土运输车浆液回收装置
US6640844B1 (en) Fluid draining system and method
CN215796000U (zh) 移动式多功能排沉装置
CN216336586U (zh) 一种汽车维修用刹车油输送装置
CN107444354A (zh) 排污装置及移动车辆维修服务站
CN217101349U (zh) 一种液体回收装置
CN212631889U (zh) 矿山机械维修废油回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