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181B1 - 2개의 튜브의 플랜지형 튜브 단부들을 연결하기 위한 나사 결합 장치 - Google Patents

2개의 튜브의 플랜지형 튜브 단부들을 연결하기 위한 나사 결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181B1
KR102033181B1 KR1020130030898A KR20130030898A KR102033181B1 KR 102033181 B1 KR102033181 B1 KR 102033181B1 KR 1020130030898 A KR1020130030898 A KR 1020130030898A KR 20130030898 A KR20130030898 A KR 20130030898A KR 102033181 B1 KR102033181 B1 KR 102033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screw
spacing member
screw nut
receiv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8184A (ko
Inventor
게오르그 바익
세바스찬 애봇
안드레아스 스탄
Original Assignee
테이 오토모티브 (하이델베르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02191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03318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테이 오토모티브 (하이델베르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테이 오토모티브 (하이델베르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108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5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 F16L19/028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the collars or flanges being obtained by deformation of the pipe wall
    • F16L19/0286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the collars or flanges being obtained by deformation of the pipe wall and being formed as a fl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 B60T17/043Brake line couplings, air hoses and stopc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04Joints; Sealings
    • F02M55/005Joints; Sealings for high pressure conduits, e.g. connected to pump outlet or to injector in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16L19/0218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comprising only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5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 F16L19/028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the collars or flanges being obtained by deformation of the pipe wall
    • F16L19/0283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the collars or flanges being obtained by deformation of the pipe wall and having a bell-mouthed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the flanges being held against a shou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2개의 튜브의 플랜지형 튜브 단부들을 연결하기 위한 나사 결합 장치는 플랜지형 튜브 단부들을 가진 2개의 튜브, 나사, 나사 너트 및 간격 유지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나사 너트는 전면 개구를 갖고, 상기 전면 개구에서부터 수용 챔버가 상기 후면 개구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나사 너트의 수용 챔버측 표면은 나사산 섹션을 갖고, 상기 나사산 섹션은 후면 개구의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수용 챔버 내로 연장된다. 후면 개구는 수용 챔버측 접속면을 갖는, 나사 너트의 후면 단부벽에 배치된다. 예비 장착 상태에서 나사 너트에 간격 유지 부재 및, 제 1 플랜지를 가진 제 1 튜브 단부가 수용될 수 있고, 이 경우 내부 나사산의 나사산 프로파일은, 간격 유지 부재가 제 1 플랜지와 내부 나사산 사이에 소실되지 않게 지지 되도록 수용 챔버 내로 연장된다. 나사에는 제 2 플랜지를 가진 제 2 튜브 단부가 지지될 수 있고, 이 경우 나사가 나사 너트 내로 조여짐으로써 장착 상태가 구현될 수 있고, 따라서 장착 상태에서 제 2 플랜지에는 나사에 의해 구동력이 가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제 2 플랜지는 간격 유지 부재의 밀봉면에 대해 가압되고, 간격 유지 부재의 다른 밀봉면은 제 1 플랜지에 대해 가압된다. 장착 상태에서 제 1 플랜지의 후면 지지면은 나사 너트의 접속면에 대해 가압된다.

Description

2개의 튜브의 플랜지형 튜브 단부들을 연결하기 위한 나사 결합 장치{SCREW JOINT APPARATUS FOR CONNECTING FLANGE-LIKE PIPE ENDS OF TWO PIPES}
본 발명은 2개의 튜브의 플랜지형 튜브 단부들을 연결하기 위한 나사 결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방식의 나사 결합 장치는 이론적으로 및 실질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튜브 단부는 E-플랜지를 갖고, 다른 튜브 단부는 F-플랜지를 갖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2개의 튜브 단부들 사이의 유체 밀봉식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E-플랜지는 F-플랜지에 대해 가압된다. 실질적으로 공지된 나사 결합 장치의 단점은, 2개의 플랜지들이 너무 심하게 서로 가압됨으로써 플랜지들이 손상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연결부의 유체 밀봉이 더 이상 보장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플랜지들 사이에 간격 유지 부재 또는 중간 링을 배치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간격 부재는 나사 결합 장치의 확실한 장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하우징 에 고정되어야 하고, 이로써 장착 전에 간격 유지 부재가 빠져나가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이는 나사 결합 장치의 제조 비용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추가 제조 단계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확실하게 장착되고 안전하게 제조되는 전술한 방식의 나사 결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랜지형 튜브 단부들을 가진 2개의 튜브, 나사, 나사 너트 및 간격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2개의 튜브의 플랜지형 튜브 단부들을 연결하기 위한 나사 결합 장치를 제안하고, 이 경우 나사 너트는 전면 개구를 갖고, 상기 전면 개구에서부터 바람직하게 실린더형 수용 챔버가 나사 너트의 후면 개구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나사 너트의 수용 챔버측 표면은 나사산 섹션을 갖고, 상기 나사산 섹션은 내부 나사산으로서 형성되고, 전면 개구에서부터 후면 개구의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수용 챔버 내에 연장되고, 이 경우 상기 후면 개구는 후면 단부벽에 배치되고, 나사 너트의 상기 후면 단부벽은 수용 챔버측 접속면을 갖고, 예비 장착 상태에서 나사 너트에 간격 유지 부재 및, 제 1 플랜지를 가진 제 1 튜브 단부가 수용될 수 있고, 내부 나사산의 나사산 프로파일은, 예비 장착 상태에서 간격 부재가 제 1 플랜지와 내부 나사산 사이의 수용 챔버에서 소실되지 않게 사전 설정된 유격을 가지면서 지지되도록 수용 챔버 내로 연장되고, 이 경우 나사에 제 2 플랜지를 가진 제 2 튜브 단부가 지지될 수 있고, 나사 너트 내로 나사가 조여짐으로써 장착 상태가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장착 상태에서 제 2 플랜지에 나사에 의해 압착력이 가해질 수 있으므로, 제 2 플랜지는 간격 유지 부재의 밀봉면에 대해 가압되고, 간격 유지 부재의 다른 밀봉면은 장착 상태에서 제 1 플랜지의 후면 지지면이 나사 너트의 접속면에 대해 가압되도록 제 1 플랜지에 대해 가압된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예비 장착 상태란, 나사가 나사 너트 내로 조여지지 않았거나 부분적으로만 조여진 상태이다. 예비 장착 상태에서는 나사에 의해 특히 바람직하게 제 2 플랜지에 압착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장착 상태(연결 상태)란 압착력에 의해 제 2 플랜지가 유체 밀봉 방식으로 간격 유지 부재로 가압되고 간격 유지 부재는 유체 밀봉 방식으로 제 1 플랜지로 가압되는 상태이다. 장착 상태에서 유체, 예컨대 브레이크액은 제 1 튜브로부터 제 2 튜브로, 또는 제 2 튜브로부터 제 1 튜브로 유동할 수 있다. 나사 결합 장치는 예컨대 브레이크 시스템 또는 브레이크 라인 및/또는 연료 라인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전면 개구는 나사 너트 내의 삽입구이고, 상기 개구를 통해 바람직하게 나사가 제 2 튜브와 함께 수용 챔버 내로 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조여질 수 있다. 수용 챔버는 바람직하게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된다. 후면 개구를 통해 바람직하게 제 1 튜브가 수용 챔버 내로 돌출하고, 이 경우 제 1 튜브의 플랜지는 수용 챔버 내에 배치된다. 즉, 제 1 튜브 단부는 후면 개구를 통해 나사 너트의 수용 챔버 내로 돌출한다. 제 1 튜브 및/또는 제 2 튜브는 각각 브레이크 라인 또는 연료 라인이다. 나사는 바람직하게 제 2 튜브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채널을 포함한다. 제 2 튜브 단부를 둘러싸는 나사의 단부면은 본 발명과 관련해서 가압면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가압면에 의해 나사는 장착 상태의 구현시 및 장착 상태에서 제 2 플랜지에 압착력을 가한다. 장착 상태에서 나사는 바람직하게 가압면과 비형상 끼워 맞춤 결합 방식으로 제 2 플랜지에 접촉한다. 바람직하게 나사의 외부 나사산은 나사 너트의 내부 나사산에 대해 상보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간격 유지 부재는 제 1 밀봉면과 제 2 밀봉면을 갖고, 이 경우 제 1 밀봉면은 제 1 튜브 단부의 플랜지에 대해 상보적으로 형성되고, 제 2 밀봉면은 제 2 튜브 단부의 플랜지에 대해 상보적으로 형성된다. 간격 유지 부재는 특히 예비 장착 상태에서 나사산 섹션과 접속면 사이 또는 나사산 섹션과 제 1 튜브 단부의 플랜지 사이의 수용 챔버 내에 소실되지 않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간격 유지 부재는, 수용 챔버의 축방향으로 또는 길이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 챔버 내에서 지지된다. 수용 챔버의 축방향 또는 길이방향이란 전면 개구로부터 후면 개구로 수용 챔버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 간격 유지 부재는 방사방향으로 유격 없이 수용 챔버에 안내된다. 본 발명과 관련해서 방사방향이란 축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설정된다.
실시예에 따라, 나사산 섹션은 수용 챔버의 축방향 길이의 일부에 걸쳐서만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나사산 섹션에 나사산이 없는, 바람직하게 원형 실린더 형태의 섹션이 연결되고, 상기 나사산이 없는 섹션은 접속면까지 연장된다. 나사산 섹션의 축방향 길이는 바람직하게 나사산이 없는 섹션의 축방향 길이보다 크다. 나사산 섹션의 축방향 길이 대 나사산이 없는 섹션의 축방향 길이의 비는 바람직하게 1.2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8, 특히 바람직하게는 1.6 또는 대략 1.6이다. 간격 유지 부재는 예비 장착 상태에서 특히 바람직하게 나사산이 없는 섹션에 배치된다.
나사산 섹션은, 장착 상태를 구현하기 위해 나사가 나사 너트 내로 조여질 수 있는 것보다 더 수용 챔버 내로 연장되는 것이 추천된다. 이로써, 나사 너트 내로 조임시 나사는 나사의 수용 채널에 배치된 플랜지형 튜브 단부와 함께 처음에는 간격 유지 부재에 대해 접촉하지 않고 나사 너트 내로 조여질 수 있는 것이 보장되고, 이 경우 튜브 단부의 플랜지는 처음에는 간격 유지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다. 즉, 나사의 조임은 간격 유지 부재에 대한 제 2 튜브 단부의 플랜지의 접촉으로 야기되는 대응 압력 없이 가능하다.
간격 유지 부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외피면에 의해 제한된 간격 유지 부재의 외경은 바람직하게 내부 나사산의 나사산 프로파일의 내경보다 크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간격 유지 부재는 외부 나사산을 갖고, 상기 나사산은 나사 너트의 나사산 섹션의 내부 나사산에 대해 상보적으로 형성된다. 예비 장착 상태를 구현하기 위해 먼저 제 1 튜브는, 제 1 플랜지가 특히 바람직하게 나사산이 없는 섹션에 배치되도록 수용 챔버 내에 배치되는 것이 추천된다. 바람직하게 간격 유지 부재는 나사 너트의 수용 챔버의 나사산이 없는 섹션에 삽입될 수 있고, 이로써 간격 유지 부재는 먼저 나사 너트의 나사산 섹션 내로 조여지고, 이 경우 간격 유지 부재의 외부 나사산의 프로파일링은 나사 너트의 내부 나사산의 프로파일링에 결합한다. 간격 유지 부재는 바람직하게 나사 너트의 나사산 섹션에 의해 나사 결합되므로, 간격 유지 부재는 수용 챔버의 나사산이 없는 섹션 내로 삽입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간격 유지 부재는 방사방향 업세팅(upsetting) 변형부를 갖고, 상기 업세팅 변형부는 방사방향으로 간격 유지 부재의 외피면 위로 돌출한다. 방사방향 업세팅 변형부의 외경은 바람직하게 나사산 섹션의 내부 나사산의 내경보다 크고 및/또는 외피면에 의해 정해진 간격 유지 부재의 외경보다 크다. 바람직하게 업세팅 변형부의 외측면은 실린더형 재킷 형태로 형성되고, 수용 챔버의 내측 표면을 향한다.
바람직하게 방사방향 업세팅 변형부는 간격 유지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중앙으로 또는 대략 중앙으로 외피면으로부터 돌출한다. 간격 유지 부재의 길이방향이란 제 1 밀봉면으로부터 제 2 밀봉면으로 간격 유지 부재의 범위이고, 간격 유지 부재의 길이방향은 바람직하게 원형 실린더형 수용 챔버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정렬된다. 방사방향 업세팅 변형부가 간격 유지 부재의 길이의 3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또는 간격 유지 부재의 길이의 대략 50%에 걸쳐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간격 유지 부재의 길이란, 간격 유지 부재가 수용 챔버 내에 배치된 경우에, 수용 챔버의 길이방향으로 또는 축방향으로 간격 유지 부재의 범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방사방향 업세팅 변형부는 업세팅 변형부의 재킷측 베이스에서부터 수용 챔버의 내측 표면을 향해 테이퍼링된다. 이로 인해, 간격 유지 부재가 특히 수용 챔버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시 비틀림으로써, 간격 유지 부재와 제 1 플랜지 및/또는 제 2 플랜지 사이의 유체 밀봉 방식의 연결이 저지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바람직하게, 제 1 튜브 단부의 제 1 플랜지는 F-플랜지로서 형성되고 및/또는 제 2 튜브 단부의 제 2 플랜지는 F-플랜지로서 형성된다. 간격 유지 부재는 바람직하게 2개의 밀봉면을 갖고, 이 경우 하나의 밀봉면(제 2 밀봉면)은 장착 상태에서 제 2 플랜지에 접촉하고, 다른 밀봉면(제 1 밀봉면)은 장착 상태에서 제 1 플랜지에 접촉한다. 제 1 밀봉면 및/또는 제 2 밀봉면은 각각 제 1 밀봉면에 할당된 제 1 플랜지 및/또는 제 2 밀봉면에 할당된 제 2 플랜지에 대해 상보적으로 형성된다. 기본적으로, 하나의 플랜지는 F-플랜지로 형성되고, 하나의 플랜지는 E-플랜지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 따라 2개의 플랜지들은 E-플랜지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나사 결합 장치가 간단한 장착 가능성과 높은 작동 안정성을 갖는 것에 기초한다. 비장착 상태에서도 간격 유지 부재는 확실하게 수용 챔버 내에서 지지되고, 예컨대 운송시 간격 부재가 의도치 않게 소실되는 것이 배제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나사 결합 장치의 장착 상태에서 나사가 나사 너트 내로 삽입되는 것보다 더 나사 너트의 수용 챔버 내로 연장된 나사산 섹션만이 수용 챔버 내에 배치됨으로써 매우 간단하게 나사 너트 내에서 간격 유지 부재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나사 결합 장치에 의해, 나사 너트 내로 나사가 조여질 때, 플랜지가 아래로 꺾이는 것이 저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이러한 꺾임은 플랜지의 소성 변형이고, 이로 인해 2개의 튜브 단부들 사이의 확실한 유체 밀봉 방식의 연결이 보장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당한 장점들을 갖는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만을 도시하는 도면을 참고로 설명된다.
도 1은 예비 장착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나사 결합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장착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나사 결합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에 나사 결합 장치(1)가 도시되고, 상기 장치는 나사(2)와 나사 너트(3)를 포함한다. 나사 너트(3)는 전면 개구 또는 삽입구(4) 및 후면 개구(5)를 갖는다. 후면 개구(5)를 통해 제 1 튜브(6)가 나사 너트(3)의 수용 챔버(7) 내로 안내된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튜브(6)의 제 1 튜브 단부(8)는 F-플랜지(9)로서 형성된다.
삽입구(4)로부터 나사산 섹션(10)이 후면 개구(5)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 경우 나사 너트의 수용 챔버측 내부 표면(11)의 나사산 섹션(10) 영역은 내부 나사산(12)을 갖는다. 나사산 섹션(10)에 후면 개구(5)의 방향으로 나사산이 없는 섹션(13)이 연결되고, 이 경우 실시예에서 나사산 섹션(10)의 축방향 길이 대 나사산이 없는 섹션(13)의 축방향 길이의 비는 1.6이다. 길이란, 실시예에 따라 실린더형으로 형성된 수용 챔버(7)의 길이방향 축(14)을 향한 나사산 섹션(10) 또는 나사산이 없는 섹션(13)의 범위이다. 나사 너트(3)는 내부 나사산(12)에 대해 상보적인 외부 나사산(15)을 갖고, 상기 외부 나사산(15)에 의해 나사(2)가 나사 너트(3) 내로 조여질 수 있다. 나사 너트(3)는 실시예에 따라 수용 채널(16)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을 통해 제 2 튜브(18)의 제 2 튜브 단부(17)가 나사 너트(3)의 수용 챔버(7) 내로 안내된다. 제 2 튜브(18)의 제 2 튜브 단부(17)는 실시예에 따라 F-플랜지로 형성된다.
도 1은 수용 챔버(7) 내에 간격 유지 부재(20)가 배치된 것을 도시한다. 실시예에 따라, 간격 유지 부재(20)는 실린더형 재킷 형태의 외피면(21)을 갖고, 상기 외피면 위에 외부 나사산(22)이 배치된다. 수용 챔버(7)의 나사산이 없는 섹션(13)에 간격 유지 부재(20)를 배치하기 위해, 간격 유지 부재(20)는 먼저 나사 너트(3) 내로 조여지고, 이 경우 외부 나사산(22)은 나사 너트(3)의 내부 나사산(12)과 맞물린다. 간격 유지 부재(20)는, 간격 유지 부재(20)의 외부 나사산(22)이 나사 너트(3)의 내부 나사산(12)과 더 이상 맞물리지 않을 때까지 나사 너트(3)의 수용 챔버(7) 내로 회전된다. 간격 유지 부재(20)는 유격을 가지고 또는 이동 가능하게 수용 챔버의 나사산이 없는 섹션(13)에 수용된다. 또한, 도 1에는 내부 나사산(12)의 내경(I)이 간격 유지 부재(20)의 외부 나사산(22)의 프로파일링의 외경(A)보다 작도록 내부 나사산(12)의 프로파일링(23)이 형성되는 것이 도시된다. 수용 챔버(7)의 나사산이 없는 섹션(13)에 배치된 간격 유지 부재(20)는 외부 나사산(22)의 직경 및 내부 나사산(12)의 내경의 조절에 의해 수용 챔버(7)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간격 유지 부재(20)는 제 1 튜브(6)의 플랜지(9)에 대해 상보적으로 형성된 밀봉면(제 1 밀봉면;24)을 갖는다. 간격 유지 부재(20)의 밀봉면(제 2 밀봉면;25)은 제 2 튜브(18)의 플랜지(19)에 대해 상보적으로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예비 장착 상태에서, 간격 유지 부재(20)는 외부 나사산(22)과 내부 나사산(12)의 형성부로 인해 수용 챔버(7) 내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1 튜브(6)와 제 2 튜브(18) 사이의 유체 밀봉 방식의 연결은 도 1에 따른 예비 장착상태에서는 구현되지 않는다.
도 2에는 나사 결합 장치(1)의 장착 상태가 도시된다. 제 1 플랜지(9)는 간격 유지 부재(20)의 제 1 밀봉면(24)에 유체 밀봉 방식으로 접촉한다. 간격 유지 부재의 제 2 밀봉면(25)은 제 2 튜브(18)의 제 2 플랜지(19)에 유체 밀봉 방식으로 접촉한다. 나사(2)가 나사 너트(3) 내로 조여짐으로써, 간격 유지 부재(20)에 대한 플랜지(9, 19)의 유체 밀봉 방식의 접촉이 이루어진다. 나사(2)의 단부측 가압면(26)은 플랜지(19)의 후면 지지면에 압착력을 가하므로, 플랜지(19)는 간격 유지 부재(20)에 대해 가압되고, 간격 유지 부재(20)는 플랜지(9)에 대해 가압된다. 플랜지(9)는 도 2에 따라 후면 지지면(28)에 의해 나사 너트(3)의 수용 챔버측 접속면(29)에 접촉한다. 또한, 접속면(29)에 나사 너트(3)의 후면 개구(5)가 배치되고, 나사 너트(3)의 후면 단부벽(30)에 배치된 상기 후면 개구(5)를 통해 제 1 튜브(6)가 수용 챔버(7) 내로 안내된다.
또한, 도 2에는 장착 상태에서 나사(2)가 나사 너트(3) 내로 조여질 수 있는 것보다 더 나사산 섹션(10)의 내부 나사산(12)이 삽입구(4)로부터 길이방향 축(14)을 따라 수용 챔버(7) 내로 연장되는 것이 도시된다. 실시예에서 나사산 섹션(10)의 길이 대 길이방향 축(14)을 향한, 나사산이 없는 섹션(13)의 길이의 비는 1.6이다.
1 나사 결합 장치
2 나사
3 나사 너트
4 전면 개구
5 후면 개구
6 제 1 튜브
7 수용 챔버
8 제 1 튜브 단부
10 나사산 섹션
12 내부 나사산
13 나사산이 없는 섹션
14 길이방향 축
15 외부 나사산
17 제 2 튜브 단부
18 제 2 튜브

Claims (11)

  1. 플랜지형 튜브 단부들(8, 17)을 가진 2개의 튜브(6, 18), 나사(2), 나사 너트(3) 및 간격 유지 부재(20)를 포함하는, 2개의 튜브(6, 18)의 플랜지형 튜브 단부들(8, 17)을 연결하기 위한 나사 결합 장치로서,
    상기 나사 너트(3)는 전면 개구(4)를 갖고, 상기 전면 개구(4)에서부터 실린더형 수용 챔버(7)가 상기 나사 너트(3)의 후면 개구(5)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 경우 상기 나사 너트(3)의 수용 챔버측 내부 표면(11)은 나사산 섹션(10)을 갖고, 상기 나사산 섹션(10)은 내부 나사산(12)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전면 개구(4)에서부터 상기 후면 개구(5)의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수용 챔버 내로 연장되고, 이 경우 상기 후면 개구(5)는 상기 나사 너트(3)의 후면 단부벽(30)에 배치되고, 상기 후면 단부벽(30)은 수용 챔버측 접속면(29)을 갖고, 이 경우 예비 장착 상태에서 상기 나사 너트(3)에 상기 간격 유지 부재(20) 및, 제 1 플랜지(9)를 갖는 제 1 튜브 단부(8)가 수용될 수 있고,
    상기 나사산 섹션(10)은 상기 수용 챔버(7)의 축방향 길이의 일부에 걸쳐서만 연장되고, 상기 나사산 섹션(10)에 나사산이 없는 섹션(13)이 연결되고, 상기 나사산이 없는 섹션은 상기 접속면(29)까지 연장되며,
    예비 장착 상태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간격 유지 부재(20)는 상기 나사 너트(3)의 상기 나사산 섹션(10)에 의해 나사 결합될 수 있어, 상기 간격 유지 부재(20)는 수용 챔버의 상기 나사산이 없는 섹션(13)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내부 나사산(12)의 나사산 프로파일은, 예비 장착 상태에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20)가 상기 제 1 플랜지(9)와 상기 내부 나사산(12) 사이의 상기 수용 챔버(7) 내에서 소실되지 않고 사전 설정된 유격을 가지면서 지지되도록 상기 수용 챔버(7) 내로 연장되고, 상기 나사(2)에 제 2 플랜지(19)를 갖는 제 2 튜브 단부(17)가 지지될 수 있고, 상기 나사(2)가 상기 나사 너트(3) 내로 조여짐으로써 장착 상태가 구현될 수 있고, 장착 상태에서 상기 제 2 플랜지(19)에는 상기 나사(2)에 의해 구동력이 가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제 2 플랜지(19)는 상기 간격 유지 부재(20)의 밀봉면(제 2 밀봉면;25)에 대해 가압되고, 상기 간격 유지 부재(20)의 다른 밀봉면(제 1 밀봉면;24)은 상기 제 1 플랜지(9)의 후면 지지면(28)이 장착 상태에서 상기 나사 너트(3)의 상기 접속면(29)에 대해 가압되도록, 상기 제 1 플랜지(9)에 대해 가압되는 나사 결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20)는, 상기 수용 챔버(7)의 축방항 또는 길이방향(14)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 챔버(7) 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결합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 섹션(10)은, 장착 상태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나사(2)가 상기 나사 너트(3) 내로 조여질 수 있는 것보다 더 상기 수용 챔버(7) 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결합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결합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20)는 외부 나사산(22)을 갖고, 상기 외부 나사산은 상기 나사 너트(3)의 상기 내부 나사산(12)에 대해 상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결합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20)는 방사방향 업세팅 변형부를 갖고, 상기 업세팅 변형부는 방사방향으로 상기 간격 유지 부재(20)의 외피면(21) 위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결합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방향 업세팅 변형부는 상기 간격 유지 부재(2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외피면(21)으로부터 중앙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결합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방향 업세팅 변형부는 상기 업세팅 변형부의 외피면측 베이스로부터 상기 수용 챔버(7)측 내부 표면(11)을 향해 테이퍼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결합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튜브 단부(8)의 상기 제 1 플랜지(9)는 F-플랜지로서 형성되거나 상기 제 2 튜브 단부(17)의 상기 제 2 플랜지(19)는 F-플랜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결합 장치.
  10. 삭제
  11. 삭제
KR1020130030898A 2012-03-23 2013-03-22 2개의 튜브의 플랜지형 튜브 단부들을 연결하기 위한 나사 결합 장치 KR102033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2101058U DE202012101058U1 (de) 2012-03-23 2012-03-23 Schraubverbindungsvorrichtung zur Verbindung gebördelter Rohrenden zweier Rohre
DE202012101058.5 2012-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184A KR20130108184A (ko) 2013-10-02
KR102033181B1 true KR102033181B1 (ko) 2019-11-08

Family

ID=46021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898A KR102033181B1 (ko) 2012-03-23 2013-03-22 2개의 튜브의 플랜지형 튜브 단부들을 연결하기 위한 나사 결합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784390B2 (ko)
EP (1) EP2642172B1 (ko)
JP (1) JP6250292B2 (ko)
KR (1) KR102033181B1 (ko)
CN (1) CN103322344B (ko)
DE (1) DE202012101058U1 (ko)
ES (1) ES2587904T3 (ko)
PL (1) PL264217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54571A (ja) * 2013-09-11 2015-03-2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液圧ユニット及びポートアダプタ
DE202014101748U1 (de) * 2014-04-14 2014-04-22 Ti Automotive (Heidelberg) Gmbh Schraubverbindungsvorrichtung zur Verbindung zweier Rohre
WO2016137408A1 (en) 2015-02-23 2016-09-01 Orhan Tosun Connection device for flared pipe and method for same
CN109424803A (zh) * 2017-08-31 2019-03-05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管路接头组件及热泵系统
US10995720B1 (en) * 2020-07-29 2021-05-04 Delphi Technologies Ip Limited Fuel system having a connection between a fuel injector and a fuel distribution condui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272B1 (ko) * 2003-10-27 2011-12-14 테이 오토모티브 (하이델베르크) 게엠베하 두 관의 플레어형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나사 연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816A (en) 1890-07-08 lomasney
US3172934A (en) * 1965-03-09 Bonded coupling liner fabrication and installation process
US595437A (en) * 1897-12-14 Edwin t
US2189566A (en) 1937-12-30 1940-02-06 Patex Sa Coupling for tubes and pipes
US2189556A (en) 1938-09-27 1940-02-06 James L Younghusband Pipe cleaner
US3489435A (en) * 1968-02-07 1970-01-13 Caterpillar Tractor Co Fuel line fitting
US4133565A (en) 1977-07-25 1979-01-09 Shutt George V Fitting employing flexible plastic tubing with rolled back end
DE3701555C1 (de) 1987-01-21 1988-07-07 Mannesmann Ag Rohrverbindung fuer duennwandige,kleinkalibrige Metallrohre
CN2041757U (zh) * 1988-12-06 1989-07-26 沈阳工程机械厂 高压管接头
US5129689A (en) * 1990-12-10 1992-07-14 Intevep, S.A. Threaded tubular connection with outer threaded ring
JPH07248079A (ja) 1994-03-11 1995-09-26 Usui Internatl Ind Co Ltd 細径金属配管相互の接続装置およびその接続方法
DE9409236U1 (de) 1994-06-08 1994-09-15 Cohnen Beteiligungs Gmbh & Co Rohrverschraubung
JP4236727B2 (ja) * 1998-03-23 2009-03-11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金属配管相互の接続継手
US6357801B1 (en) 1998-12-28 2002-03-19 Usui Kokosai Sangyo Kaisha Limited Flared connection structure of pipe end portion
DE19958475A1 (de) * 1999-11-30 2001-06-13 Parker Hannifin Gmbh Rohrverbind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7108063B2 (en) * 2000-09-25 2006-09-19 Carstensen Kenneth J Connectable rod system for driving downhole pumps for oil field installations
DE10107246C5 (de) 2001-02-16 2010-06-10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Wilmington Rohranordnung sowie Rohrelement
DE102006036862B4 (de) * 2006-08-03 2008-11-06 Tube Technology Systems Ag Rohrverbindung und Zwischenelement zu deren Herstell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272B1 (ko) * 2003-10-27 2011-12-14 테이 오토모티브 (하이델베르크) 게엠베하 두 관의 플레어형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나사 연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22344B (zh) 2017-05-24
JP2013200037A (ja) 2013-10-03
JP6250292B2 (ja) 2017-12-20
CN103322344A (zh) 2013-09-25
PL2642172T3 (pl) 2017-01-31
EP2642172B1 (de) 2016-05-18
US9784390B2 (en) 2017-10-10
EP2642172A1 (de) 2013-09-25
ES2587904T3 (es) 2016-10-27
US20140125056A1 (en) 2014-05-08
KR20130108184A (ko) 2013-10-02
DE202012101058U1 (de) 2012-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181B1 (ko) 2개의 튜브의 플랜지형 튜브 단부들을 연결하기 위한 나사 결합 장치
KR101472299B1 (ko) 유체 이송 튜브 조인트 구조물
US9651177B2 (en) Coupling connection for corrugated pipes
US20090224536A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Hoses
US9599134B2 (en) Profile clamp
US9568037B2 (en) Machine element mounting assembly
KR101093272B1 (ko) 두 관의 플레어형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나사 연결 장치
US9214755B2 (en) Housing wall screw connection for an electrical plug-in connector
KR20080092933A (ko) 파이프 연결 장치
CN103807525A (zh) 用于管道、尤其用于汽车管道的螺纹连接装置
US8056939B2 (en) Plug connector for piping
KR102038188B1 (ko) 2개의 파이프라인을 동축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장치를 분리하기 위한 배열체
US7837236B2 (en) Pipe connection having a reshaped pipe
US20040119246A1 (en) Sealing device
JP2007100960A (ja) 圧力導管
KR20090042771A (ko) 패킹을 이용한 관 이음장치
KR20110005702A (ko) 구조 유닛
KR101638835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1820570B1 (ko) 2개의 파이프를 연결시키기 위한 나사 연결 장치
JP6187931B2 (ja) アイジョイントとアイボルトとワッシャとの組付構造
KR101139766B1 (ko) 유압 커플러
KR200467224Y1 (ko) 수도꼭지용 호스 연결구
KR101415598B1 (ko) 처짐방지용 압륜
KR20090048708A (ko) 플레어 너트 고정식 압력 게이지
KR20140001642U (ko) 스텐레스 주름관 파이프의 피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