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570B1 - 2개의 파이프를 연결시키기 위한 나사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2개의 파이프를 연결시키기 위한 나사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570B1
KR101820570B1 KR1020150049472A KR20150049472A KR101820570B1 KR 101820570 B1 KR101820570 B1 KR 101820570B1 KR 1020150049472 A KR1020150049472 A KR 1020150049472A KR 20150049472 A KR20150049472 A KR 20150049472A KR 101820570 B1 KR101820570 B1 KR 101820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projection
nut
screw connection
conn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8536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슈탄
외날 외쯔벤리칸
Original Assignee
테이 오토모티브 (하이델베르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이 오토모티브 (하이델베르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테이 오토모티브 (하이델베르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118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4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2Joints for pipes being spaced apart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16L19/0218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comprising only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5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5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 F16L19/028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the collars or flanges being obtained by deformation of the pip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파이프(1, 2)를 연결시키기 위한 나사 연결 장치로서, 플랜지형 파이프 단부(3, 4)를 갖는 2개의 파이프, 볼트(5), 너트(6), 및 스페이서(7)를 포함하며, 너트(6)는 수용 공간(8)을 포함하고, 스페이서는 수용 공간(8) 내에 견고하게 수용되는 것인 나사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페이서(7)는 제1 파이프(1)를 너트(6) 내에 견고하게 유지시키고, 제2 파이프(2)는 볼트(5)에 의해 너트(6)에 체결될 수 있다. 스페이서(7)의 외부면(9)은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섹션을 가지며, 스페이서(7)는 제1 단부면(10) 및 제2 단부면(11)을 갖는다. 수용 공간(8)의 구역에서 너트(6)와 결합되는 제1 돌출부(12)가 스페이서(7)에 제공되어, 스페이서(7)가 수용 공간(8) 내부에 견고하게 수용된다.

Description

2개의 파이프를 연결시키기 위한 나사 연결 장치{SCREW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TWO PIPES}
본 발명은 플랜지형 파이프 단부를 갖는 2개의 파이프, 볼트, 너트 및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2개의 파이프를 연결시키기 위한 나사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된 유형의 나사 연결 장치는 종래 문헌들에 기본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유럽 특허 공개 제2 642 172 A1호에는 2개의 파이프의 2개의 플랜지형 파이프 단부를 연결시키기 위한, 특히 브레이크 라인을 위한 나사 연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너트와 볼트를 포함하며, 스페이서는 너트로서 구성된 커플링 부재 내부의 2개의 파이프를 위한 유체 밀봉 커플링으로서 기능한다. 제2 파이프가 볼트에 의해 조여져 시일이 달성된다. 사전 조립체에서, 제1 파이프 및 스페이서가 너트에 삽입되고, 가능한 다른 위치에서 조립되는 동안 제1 파이프가 제2 파이프에 연결된다. 사전 조립체와 조립체 사이의 가능한 이송 중에 스페이서가 너트에서 확실히 이탈되지 않도록, 상술된 문헌에 따르면 스페이서는 수용 공간을 관통 연장하는 너트의 내부 나사산의 나사산 프로파일에 의해 수용 공간 내에 유지된다. 스페이서는 상부에 제공된 외부 나사산에 의해 너트의 내부 나사산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데, 외부 나사산은 너트의 내부 나사산과 더 이상 결합될 필요가 없고 나사산이 없는 수용 공간의 부분에 위치될 때까지 나사결합된다. 스페이서는 수용 공간을 관통 연장하는 너트의 내부 나사산에 의해 제 위치에 견고하게 유지됨으로써, 조립 중에 야기되는 어려움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그러나, 상술된 문헌의 방법에 따르면 스페이서가 외부 나사산을 갖도록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더 복잡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용 공간 내에서의 스페이서의 단순한 나사결합도 어느 정도의 복잡성을 야기한다.
독일 특허 제10 107 246 C5호에는 수용 공간 내에 견고하게 유지되어야 하지만 외부 나사산이 없는 스페이서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 구성은 링에 의해 달성되는데, 수용 공간의 에지에는 수용 공간 내로 연장되는 나사산이 없으며, 제1 파이프와 스페이서가 축방향으로의 코킹(caulking)에 의해 삽입된 후에 링이 형성된다. 종단면에서 보면 코킹으로 인해 노즈 형상의 단면을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매우 정교한 링이 형성된다. 그러 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코킹 공구가 정밀하게 배향되어야 하는데, 이로 인해 복잡성이 증가된다. 코킹 공구를 배향하는데 있어서의 아주 약간의 부주의로도 링이 파손되거나 링 내에 갭이 발생되어, 불량률이 증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확실히 조립될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구별되는 도입부에 개시된 유형의 나사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어서의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상술된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2개의 파이프를 연결시키기 위한 나사 연결 장치로서, 플랜지형 파이프 단부를 갖는 2개의 파이프, 볼트, 너트, 및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너트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고, 스페이서는 수용 공간 내에 견고하게 수용되고, 스페이서는 제1 파이프를 너트 내에 견고하게 유지시키고, 제2 파이프는 볼트에 의해 너트에 체결될 수 있고, 스페이서의 외부면은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섹션을 가지며, 스페이서는 제1 단부면 및 제2 단부면을 갖는, 나사 연결 장치에 있어서, 수용 공간의 구역에서 너트와 결합되는 제1 돌출부가 스페이서에 제공되어, 스페이서가 수용 공간 내부에 견고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플랜지형(flanged)"이란 용어는 자동차 분야에서 통상적인 표준에 대응하는 플랜지를 의미한다. 특히, 그런 플랜지는 F-플랜지 및 E-플랜지를 포함한다.
"견고하게(securely)"라는 용어는 사전 조립된 스페이서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사람의 손에 의해 인가될 수 있는 힘을 초과하는 힘이 인가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전 조립된(pre-assembled)"이란 용어는 볼트가 너트에 나사결합되어 있지 않거나 부분적으로만 나사결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사전 조립된 상태에서는, 어떤 압축력도 볼트에 의해 제2 플랜지에 인가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반면, "조립된(assembled)"이란 용어는 제2 플랜지가 액체 밀봉 방식으로 스페이서에 대해 가압되어 있으며 스페이서는 압축력에 의해 유체 밀봉 방식으로 제1 플랜지에 대해 가압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조립된 상태에서는 유체는 파이프를 통해 유체 밀봉 방식으로 유동될 수 있다. 유체는 브레이크 유체 또는 연료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 공간은 원형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수용 공간에 대응하게, 스페이서도 적어도 하나의 단면에서 원통형이다. 따라서, 스페이서도 제1 단부면과 제2 단부면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는 원통형 외부면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원통형(cylindrical)"이란 용어는 6각형 및 더 큰 정도의 다각형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페이서의 단부면은 파이프 단부의 플랜지에 상보적이도록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단부면은 F-플랜지를 위한 수용부로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양쪽 단부면은 F-플랜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돌출부(projection)"라는 용어는 상술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 스페이서의 일부분이 돌출되어, 상술된 형상과 달리 외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스페이서와 돌출부(들)는 일체형 부재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런 부재는 2부분 부재이거나 복수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engage)"이라는 용어는 제1 돌출부와 너트가 상호 작용하여 스페이서가 너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 결합에 대한 기준값은 사람의 손에 의해 인가되는 힘이다. 또한, "결합"이라는 용어는 스페이서를 견고하게 수용하는 것이 형태 피팅(form fitting)에 의해 달성된다는 것도 의미한다. (예컨대, 접착제를 이용하는)재료 본딩의 경우와 같이 조립이 여전히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힘-로킹(force-locking)은 실용적이지 않으며, 이로 인해 사전 조립이 더 복잡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페이서의 제1 돌출부는 스페이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돌출부는 원통형 외부면의 둘레를 따라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가 스페이서를 완전히 둘러싸는 경우, 링이 형성된다. 그러나, 돌출부는 스페이서를 부분적으로만 둘러쌀 수 있으며, 예컨대 2개의 만입부(indentation)가 개재되어 있는 2개의 반원형 돌출부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만입부는 각각의 디텐트(detent) 또는 단지 하나의 개별 디텐트가 가능한 가장 작은 형상의 돌출부이도록 더 큰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돌출부는 스페이서의 원통형 외부면에 접한다. 이런 식으로, 제1 돌출부는 양쪽 축방향으로 스페이서의 원통형 외부면에 접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돌출부는 한쪽 축방향으로만 스페이서의 원통형 외부면에 접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제1 돌출부는 제1 단부면에 접한다. 특히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제1 돌출부는 스페이서의 제1 단부면에 그리고 원통형 외부면에 접한다. 이런 식으로, 제1 돌출부는 원통형 외부면을 제1 단부면으로부터 분리시킨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돌출부의 제1 플랭크(flank)는 스페이서의 제1 단부면과 동일한 높이로 위치된다. 제1 플랭크는 나사 연결 장치의 종단면도에서 볼 때 나사 연결 장치의 축에 수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랭크가 축에 수직이도록 배향되지 않는 경우, F-플랜지의 경우에는 예컨대 스페이서의 콘 각도(cone angle)의 연장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돌출부는 외향으로 돌출된다. "반경방향(radial)"이란 용어는 나사 연결 장치의 축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2개의 파이프의 축과도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반경방향 돌출부는 스페이서로부터 너트를 향해 연장되는 돌출부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돌출부의 벽은 반경방향 요소뿐만 아니라 축방향 요소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라는 용어는 돌출부의 벽이 원통형 외부면에 대해 임의의 각도를 형성해야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신에, 돌출부의 벽으로부터 원통형 외부면으로의 전이부는 둥근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돌출부는 제1 돌출부의 구역에서 스페이서의 반경의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0%에 상응하는 높이를 갖는다. 따라서, 높이는 원통형 외부면의 반경과 제1 돌출부의 구역에서의 반경 사이의 차이와 관련된다. 제1 돌출부의 구역에서의 반경은 이 구역에서의 최대 반경인 반경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의 높이는 제1 돌출부의 구역에서의 스페이서의 반경의 5% 내지 12% 또는 7% 내지 9%에 각각 상응한다. 제1 돌출부의 높이에 대한 공차는 ±0.01㎜ 내지 0.2㎜,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1㎜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돌출부는 스페이서의 전체 폭의 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가장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25%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다. 제1 돌출부의 폭에 대한 공차는 ±0.02㎜ 내지 0.4㎜,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2㎜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는 제1 돌출부와 함께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루브를 형성하는 제2 돌출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2 돌출부는 상술된 특징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제1 돌출부에 대응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돌출부는 원통형 외부면의 둘레를 따라 스페이서를 둘러싼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돌출부는 서로 평행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돌출부만이 스페이서를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가장 극단적인 경우, 제2 돌출부는 일지점에 형성된 디텐트만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돌출부는 스페이서의 원통형 외부면에 접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돌출부는 스페이서의 제2 단부면에 접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제2 돌출부의 제2 플랭크는 스페이서의 제2 단부면과 동일한 높이로 위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너트는 수용 공간의 구역에서 내향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를, 바람직하게는 내향 연장되는 3개의 디텐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디텐트(들)는 스페이서를 향해 수용 공간 내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너트는 2개, 4개, 5개 또는 6개의 디텐트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너트는 다수로 제공되어 서로 전이되는 복수의 디텐트를 포함함으로써, 링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디텐트 또는 3개의 디텐트는 각각 너트의 외부면의 만입부에 각각 할당된다. 이는 스탬핑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너트는 수용 공간의 구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어도 4개의 측면을 갖는, 적어도 4개의 편평한 서브-표면(sub-surface)을 갖는 외부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너트의 외부면은 6각형이며, 6개의 편평한 서브-표면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면은 예컨대 8개의 또는 10개의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런 구성은 원통형 외부면에 대응하는 임의의 다수의 편평한 서브-표면을 갖는 너트에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3개의 만입부가 하나의 또는 3개의 편평한 서브-표면에 각각 할당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서브-표면은 만입부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6개의 서브-표면은 하나 걸러서 교번식으로 만입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3개의 디텐트는 90°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00°내지 14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내지 130°, 가장 바람직하게는 115°내지 125°의 각도로 너트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2개의 파이프를 연결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나사 연결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나사 연결 장치는 플랜지형 파이프 단부를 갖는 2개의 파이프, 볼트, 너트, 및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너트는 수용 공간을 갖고, 스페이서의 외부면은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섹션을 가지며, 스페이서는 제1 단부면 및 제2 단부면을 갖고, 제1 돌출부는 스페이서에 배치되며, 제1 파이프가 플랜지형 단부에 의해 너트에 삽입되고, 스페이서가 후속하여 너트에 삽입되며, 후속적으로 너트가 반경방향 내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수용 공간의 구역에서 코킹되어 스페이서가 너트와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수용 공간의 구역 내의 제1 돌출부로 인해 풀리지 않으며, 제2 파이프가 볼트에 의해 너트에 체결됨으로써, 2개의 파이프 사이에 유체 밀봉 본드(fluid-tight bond)가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나사 연결 장치는 용이하게 조립되는 동시에 단순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페이서는 사전 조립된 상태에서도 수용 공간 내에 확실히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이송 중에는 스페이서를 풀 수가 없어 조립의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너트의 서브-표면의 스탬핑의 결과로서, 스페이서가 신속하고 단순한 방식으로 손실되지 않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불량품으로 인한 손실이 감소됨으로써 직간접적으로 오류 발생 경향으로 인한 단가가 감소될 수 있다.
도 1a는 조립된 상태의 본 발명의 나사 연결 장치의 종단면도.
도 1b는 도 1a의 본 발명의 나사 연결 장치의 단면도.
도 1c는 도 1a 및 도 1b의 본 발명의 스페이서의 개략도.
도 2a는 사전 조립된 상태의 본 발명의 제2 나사 연결 장치의 종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본 발명의 스페이서의 측면도 및 정면도.
본 발명은 도시된 2개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플랜지형 파이프 단부(3, 4)를 갖는 2개의 파이프(1, 2), 볼트(5), 너트(6), 및 스페이서(7)를 포함하는 나사 연결 장치가 도 1a에 도시되어 있다. 플랜지형 파이프 단부(3, 4)는 F-플랜지로서 구성된다. 스페이스(7)는 각각의 단부면(10, 11)에 내부 원추형 밀봉면을 가지며, 이 내부 원추형 밀봉면은 F-플랜지의 원추형 표면에 대해 압축된다. 그런 압축은 너트(6)의 내부 나사산과 결합되어 파이프(2)를 스페이서(7)에 대해 가압하는 볼트(5)에 의해 달성된다. 유체 밀봉 연결부가 압력에 의해 달성된다.
사전 조립된 상태에서는, 도 1a에 도시되어 있진 않지만 파이프(1)와 스페이서(7)만이 너트(6)의 수용 공간(8) 내부에 위치된다. 스페이서(7)의 돌출부(12)와 너트(6)의 3개의 디텐트(17)(도 1b 참조)가 서로 결합되어 스페이서(7)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파이프(1)가 수용 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a로부터, 특히 1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디텐트(17)는 만입부(18)에 할당된다. 만입부는 스탬핑에 의해 달성됨으로써, 힘을 반경방향 내향으로 너트에 인가한다. 디텐트(17)와 만입부(18)는 너트(6)의 제2 서브-표면(19)에 하나 걸러서 교번식으로 할당된다. 특히, 6개의 서브-표면(19)으로 인해 나사 연결 장치의 단순한 조작이 가능해진다.
스페이서(7)의 개략적인 치수 기입은 도 1c로부터 알 수 있다. 제1 돌출부(12)는 스페이서(7)의 단부면(10)의 벽과 동일한 동일한 높이에 있는 제1 플랭크(flank; 13)를 갖는다. 따라서, 제1 돌출부(12)의 높이 h는 제1 돌출부(12)의 최대 반경방향 확장 치수 R과 원통형 외부면(9)의 구역에서의 스페이서(7)의 반경 r 사이의 차이에 상응한다. 본 실시예에서, 높이 h는 0.35㎜이며, 공차는 0.025㎜이다. 원통형 외부면(9)의 구역에서의 반경은 4.0㎜이며, 공차는 0.025㎜이다. 제1 돌출부(12)의 폭 b는 1.0㎜이며, 공차는 0.1㎜이다. 스페이서(7)의 폭 B는 5.0㎜이며, 공차는 0.2㎜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2 나사 연결 장치로서, 스페이서(7)가 제2 플랭크(16)를 갖는 제2 돌출부(14)를 갖는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제1 나사 연결 장치와 실질적으로 상이하다. 제1 돌출부(12)와 제2 돌출부(14)는 디텐트(17)가 내부에 결합되는 그루브(15)를 형성한다.
1, 2 : 파이프 3, 4 : 플랜지형 파이프 단부
5 : 볼트 6 : 너트
7 : 스페이서 8 : 수용 공간
9 : 원통형 외부면 10, 11 : 단부면
12 : 제1 돌출부 17 : 디텐트
18 : 만입부

Claims (15)

  1. 2개의 파이프(1, 2)를 연결시키기 위한 나사 연결 장치로서,
    플랜지형 파이프 단부(3, 4)를 갖는 2개의 파이프, 볼트(5), 너트(6), 및 스페이서(7)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6)는 수용 공간(8)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수용 공간(8) 내에 견고하게 수용되고,
    상기 스페이서(7)는 제1 파이프(1)를 너트(6) 내에 견고하게 유지시키고,
    제2 파이프(2)는 볼트(5)에 의해 너트(6)에 체결될 수 있고,
    상기 스페이서(7)의 외부면(9)은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섹션을 가지며,
    상기 스페이서(7)는 상기 볼트(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제1 단부면(10) 및 상기 볼트(5)를 향해 있는 제2 단부면(11)을 갖는, 나사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8)의 구역에서 너트(6)와 결합되는 제1 돌출부(12)가 스페이서(7)에 제공되어, 스페이서(7)가 수용 공간(8) 내부에 견고하게 수용되고,
    상기 너트(6)는 상기 수용 공간(8)의 구역에서 내향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detent; 17)를 포함하며,
    디텐트(17)가 너트(6)의 외부면의 만입부(indentation; 18)에 각각 할당되고, 상기 제1 돌출부(12)는 제1 단부면(10)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12)는 스페이서(7)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것인 나사 연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12)는 상기 스페이서의 원통형 외부면(9)에 접하는 것인 나사 연결 장치.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12)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인 나사 연결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12)의 제1 플랭크(13)는 스페이서(7)의 제1 단부면(10)과 동일한 높이로 위치되는 것인 나사 연결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12)는 제1 돌출부(12)의 구역에서 스페이서(7)의 반경(R)의 1% 내지 20%에 상응하는 높이(h)를 갖는 것인 나사 연결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12)는 스페이서(7)의 전체 폭(B)의 5% 내지 50%에 상응하는 폭(b)을 갖는 것인 나사 연결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7)는 제1 돌출부(12)와 함께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루브(15)를 형성하는 제2 돌출부(14)를 포함하는 것인 나사 연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제2 돌출부(14)는 제2 단부면(11)과 동일한 높이로 위치되는 제2 플랭크(16)를 갖는 것인 나사 연결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6)는 수용 공간(8)의 구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어도 4개의 에지를 갖는, 적어도 4개의 편평한 서브-표면(sub-surface; 19)을 갖는 외부면을 포함하는 것인 나사 연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만입부(18)가 하나의 편평한 서브-표면(19)에 각각 할당되는 것인 나사 연결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3개의 디텐트(17)가 90°내지 150°의 각도로 너트(6)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것인 나사 연결 장치.
KR1020150049472A 2014-04-14 2015-04-08 2개의 파이프를 연결시키기 위한 나사 연결 장치 KR101820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4101748.8U DE202014101748U1 (de) 2014-04-14 2014-04-14 Schraubverbindungsvorrichtung zur Verbindung zweier Rohre
DE202014101748.8 2014-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536A KR20150118536A (ko) 2015-10-22
KR101820570B1 true KR101820570B1 (ko) 2018-01-19

Family

ID=50679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472A KR101820570B1 (ko) 2014-04-14 2015-04-08 2개의 파이프를 연결시키기 위한 나사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57876B2 (ko)
EP (1) EP2933541B1 (ko)
JP (1) JP6637249B2 (ko)
KR (1) KR101820570B1 (ko)
CN (1) CN105179838B (ko)
DE (1) DE202014101748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7408A1 (en) 2015-02-23 2016-09-01 Orhan Tosun Connection device for flared pipe and method for same
WO2021231645A1 (en) * 2020-05-14 2021-11-18 Siemens Healthcare Diagnostics Inc. Fitting, fitting assembly, and torque adap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06563A1 (en) * 2002-10-04 2004-04-04 Anis Muhammad Mechanical tube to fitting connection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816A (en) 1890-07-08 lomasney
US2445578A (en) 1945-01-01 1948-07-20 Chicago Forging & Mfg Co Joint for tubes
US3679237A (en) * 1970-06-23 1972-07-25 Technicon Instr Coupling for joining glass pipe sections and the like
JPH0135027Y2 (ko) 1985-01-29 1989-10-25
US5355908A (en) * 1986-01-15 1994-10-18 Hiltap Fittings, Ltd. Reusable pipe union assembly with automatic fluid flow checking
DE3701555C1 (de) 1987-01-21 1988-07-07 Mannesmann Ag Rohrverbindung fuer duennwandige,kleinkalibrige Metallrohre
US5076594A (en) * 1988-11-10 1991-12-31 Baugh Hollis A Sealing connection between tubular members
DE9016310U1 (ko) * 1990-11-30 1991-02-21 Hewing Gmbh, 4434 Ochtrup, De
JP3388291B2 (ja) * 1993-10-28 2003-03-17 忠弘 大見 管継手
JPH07248079A (ja) * 1994-03-11 1995-09-26 Usui Internatl Ind Co Ltd 細径金属配管相互の接続装置およびその接続方法
DE9409236U1 (de) * 1994-06-08 1994-09-15 Cohnen Beteiligungs Gmbh & Co Rohrverschraubung
DE10107246C5 (de) * 2001-02-16 2010-06-10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Wilmington Rohranordnung sowie Rohrelement
FR2835037B1 (fr) 2002-01-18 2006-11-03 Legris Sa Moyens de connexion bout a bout de deux elements de conduite
US20040066039A1 (en) * 2002-10-04 2004-04-08 Anis Muhammad Mechanical tube to fitting connection
ES2308086T3 (es) * 2003-10-27 2008-12-01 Ti Automotive (Heidelberg) Gmbh Dispositivo de union por atornillamiento para unir los extremos rebordeados de dos tubos.
DK2085672T3 (da) 2007-10-19 2014-09-01 O N Ind Co Ltd Forbindelsesmekanisme mellem et tyndvægget rør af rustfrit stål og en samlingsdel
JP5515495B2 (ja) * 2009-08-03 2014-06-11 三菱樹脂株式会社 継手
DE202012101058U1 (de) 2012-03-23 2012-04-03 Ti Automotive (Heidelberg) Gmbh Schraubverbindungsvorrichtung zur Verbindung gebördelter Rohrenden zweier Rohre
CN202708384U (zh) * 2012-08-23 2013-01-30 四川川润液压润滑设备有限公司 一种非焊接扩口式密封管接头结构
CN103075585A (zh) * 2012-12-29 2013-05-01 平湖市瑞阳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管道连接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06563A1 (en) * 2002-10-04 2004-04-04 Anis Muhammad Mechanical tube to fitting conn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203497A (ja) 2015-11-16
EP2933541B1 (de) 2018-10-03
DE202014101748U1 (de) 2014-04-22
JP6637249B2 (ja) 2020-01-29
EP2933541A1 (de) 2015-10-21
US9657876B2 (en) 2017-05-23
KR20150118536A (ko) 2015-10-22
CN105179838B (zh) 2018-01-09
US20150292658A1 (en) 2015-10-15
CN105179838A (zh)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02275B (zh) 由合成树脂制成的管接头
KR101631852B1 (ko) 플랜지 조인트 접속 구조
RU2659946C2 (ru) Фитинг для монтажа на резьбовом присоединении трубы и способ монтажа фитинга на резьбовом присоединении трубы
US9651177B2 (en) Coupling connection for corrugated pipes
EP2180199A1 (en) Thread, fastening system, pipe fit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read
CN105276307A (zh) 管接头
EP1046853A1 (en) Resin pipe joint
RU2495316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130044320A (ko) 파이프 피팅
EP2609356B1 (en) Fitting
WO2015187958A1 (en) Compression fitting with torque nut
US10184598B2 (en) Aircraft washer
KR101820570B1 (ko) 2개의 파이프를 연결시키기 위한 나사 연결 장치
WO2014031577A1 (en) Hammer union assembly, hammer union seal therefor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hammer union seal
KR101317611B1 (ko) 튜브 커넥터
WO2018079633A1 (ja) シール構造およびシール方法ならびにこのシール構造を備えた継手
US20150069721A1 (en) Metal gasket
KR102033181B1 (ko) 2개의 튜브의 플랜지형 튜브 단부들을 연결하기 위한 나사 결합 장치
JP5739735B2 (ja) 合成樹脂製カバーのドレンプラグ取付構造
EP1031493A1 (en) A steering device for vehicles
CN104930283A (zh) 用于双壁管的螺纹连接装置
CN109073121A (zh) 用于连接管道的连接装置
US11585470B2 (en) Formed pipe end-section of a pipeline and pipe screw-connection
WO2018079632A1 (ja) シール構造およびシール方法ならびにこのシール構造を備えた継手
WO2013010191A1 (en) Pipe connector fitting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