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272B1 - 두 관의 플레어형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나사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두 관의 플레어형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나사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272B1
KR101093272B1 KR1020040086039A KR20040086039A KR101093272B1 KR 101093272 B1 KR101093272 B1 KR 101093272B1 KR 1020040086039 A KR1020040086039 A KR 1020040086039A KR 20040086039 A KR20040086039 A KR 20040086039A KR 101093272 B1 KR101093272 B1 KR 101093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lare
nut part
fitting
screw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0109A (ko
Inventor
바이크게오르그
자우스너안드레아스
Original Assignee
테이 오토모티브 (하이델베르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이 오토모티브 (하이델베르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테이 오토모티브 (하이델베르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50040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4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5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 F16L19/028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the collars or flanges being obtained by deformation of the pipe wall
    • F16L19/0286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the collars or flanges being obtained by deformation of the pipe wall and being formed as a flang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두 관의 플레어형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나사 연결 장치가 제공된다. 제1 관의 단부에 있는 플레어를 끼워맞춤식으로 수용하는 제1 끼워맞춤 홈이 제1 단부에 마련되어 있고, 제2 관의 단부에 있는 플레어를 끼워맞춤식으로 수용하는 제2 끼워맞춤 홈이 제2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이격 요소를 구비한다. 또한, 제1 관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마련되는 너트부로서, 이 너트부에 수용되는 제1 관의 단부의 플레어가 상기 이격 요소의 관련 끼워맞춤 홈을 파지하도록, 연결 상태에서 상기 이격 요소가 삽입되어 있는 것인 너트부를 구비한다. 또한, 제2 관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해 마련되는 나사부로서, 이 나사부에 수용된 제2 관의 단부의 플레어가 상기 이격 요소의 관련 끼워맞춤 홈을 파지하도록, 연결 상태에서 상기 제2 관의 단부와 함께 너트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를 구비한다. 상기 너트부 및/또는 연결 상태에서 이 너트부에 수용되는 제1 관의 단부의 플레어는, 너트부에 대한 상대 회전에 대항하여 상기 수용된 제1 관의 단부를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는 끼워맞춤 요소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두 관의 플레어형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나사 연결 장치{SCREW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NG THE FLARED ENDS OF TWO PIPE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나사 연결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나사 연결부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나사 연결부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나사 연결부의 사시도.
도 5는 너트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관의 단부
3 : 너트부
4 : 나사부
5, 6 : 플레어
7 : 이격 요소
8, 9 : 끼워맞춤 홈
10 : 수용 개구
11 : 노브
12 : 수용 채널
13 : 정지면
14 : 노치
15 : 돌기
본 발명은 두 관의 플레어형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나사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사 연결 장치"란 용어는 두 관의 단부를 연결하는 데 필요한 장치 요소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압 분야에 사용되거나 또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인에 사용되는 관의 나사 연결부에 관한 것이다.
실제적인 용례에서, 제1 관의 단부에는 소위 E-플레어가 마련되고 제2 관의 단부에는 상기 E-플레어에 상보적인 F-플레어가 마련되는 두 관의 나사 연결부가 공지되어 있다. E-플레어와 F-플레어는 예컨대 DIN 74234에 정의되어 있다. 공지된 나사 연결에서, 두 관의 플레어는 너트부 및 그와 관련된 나사부를 이용하는 나사 연결부에 의해 매우 큰 접촉 압력으로 서로에 대해 압박된다. 이는 관 단부의 기밀한 연결, 또는 고압하에서도 기밀한 연결을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당업계에 공지된 나사 연결부는 바람직하지 못한 몇가지 단점을 갖고 있다. 관 단부 중 어느 하나에 E-플레어를 형성하는 경우, 이 관 단부는 적어도 특정 영역에서 비교적 대규모로 소성 변형된다. 냉간 성형으로 인한 응결은, 이와 같이 형성된 연결부의 수명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예를 들어 진동에 노출되어, 나사 연결부에 기계적 부하가 걸리는 경우, 이러한 악영향이 초래된다. 또한, 나사 연결이 달성될 때, 나사 결합 단계의 끝무렵에 관의 단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도 회전한다. 또한, 나사 연결 장치에 대한 관 단부의 바람직하지 못한 회전이 종종 발생한다. 관은 대개 나사 연결부의 반대편에 있는 단부에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구성에서는 관의 비틀림이 일어난다. 이러한 관의 비틀림은 나사 연결부에 토크를 가하고, 이러한 토크는 나사 연결이 헐거워지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실제 용례에서 나사 연결부 또는 나사 연결 장치는 과도하게 조여진다. 나사 연결의 형성시에 관들이 서로에 대해 회전된다면, 두 관의 플레어 사이에서의 상호간의 마찰로 인해 밀봉면이 손상될 수 있다. 이는 불리한 것으로 이해된다. 요약하자면, 공지의 나사 연결부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전술한 것과 달리, 본 발명은 서두에 언급되어 있는 타입의 나사 연결부 또는 나사 연결 장치로서, 두 관의 단부의 연결이 간단한 방식으로 해제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기밀하고 또는 고압하에서도 기밀하며, 전술한 단점이 회피되고, 특히 바람직하지 못한 관 단부의 회전이 나사 연결의 형성 중에 방지 또는 최소화될 수 있는 나사 연결부 또는 나사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두 관의 플레어형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나사 연결 장치로서,
제1 관의 단부에 있는 플레어를 끼워맞춤식으로 수용하는 제1 끼워맞춤 홈이 제1 단부에 마련되어 있고, 제2 관의 단부에 있는 플레어를 끼워맞춤식으로 수용하는 제2 끼워맞춤 홈이 제2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이격 요소와,
제1 관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마련되는 너트부로서, 이 너트부에 수용되는 제1 관의 단부의 플레어가 상기 이격 요소의 관련 끼워맞춤 홈을 파지하도록, 연결 상태에서 상기 이격 요소가 삽입되어 있는 것인 너트부, 그리고
제2 관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해 마련되는 나사부로서, 이 나사부에 수용된 제2 관의 단부의 플레어가 상기 이격 요소의 관련 끼워맞춤 홈을 파지하도록, 연결 상태에서 상기 제2 관의 단부와 함께 너트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
를 포함하고, 너트부 및/또는 연결 상태에서 이 너트부에 수용되는 제1 관의 단부의 플레어는, 너트부에 대한 상대 회전에 대항하여 상기 수용된 제1 관의 단부를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는 끼워맞춤 요소를 구비하는 것인 나사 연결 장치에 의해 충족된다.
"연결 상태"란 용어는 2개의 플레어형 관 단부 사이의 나사 연결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너트부, 나사부 및 이격 요소를 구비하는 나사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고, 또는 본 발명은 너트부, 나사부 및 이격 요소를 필수 구성 요소로 하는 나사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는 너트부, 나사부, 이격 요소 및 연결할 2개의 관이나 관 단부를 구비하는 나사 연결 유닛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너트부는 내부에 내부 끼워맞춤 요소를 구비하고, 연결 상태에서 이 너트부에 수용되는 제1 관의 단부의 플레어는 상보적인 끼워맞춤 요소를 구비하며, 연결 상태에서 상기 너트부의 내부 끼워맞춤 요소와 상기 플레어 상의 상보적인 끼워맞춤 요소는 맞물린다. 이러한 방식에서, 상기 수용된 관 단부는 너트부에 대한 상대 회전에 대항하여 유효하게 고정되어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너트부에 마련된 끼워맞춤 요소는 노치이고, 이들 노치는 반경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플레어 상의 상보적인 끼워맞춤 요소는 너트부 상의 노치와 맞물려 끼워맞춤을 이룰 수 있는 대응 돌기로 되어 있는 것이 적절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어의 상보적인 끼워맞춤 요소는 노치로서 설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너트부 상의 끼워맞춤 요소는 플레어 상의 노치와 맞물려 끼워맞춤을 이룰 수 있는 돌기 또는 웹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치의 깊이 또는 돌기나 웹의 높이는, 끼워맞춤이 이루어질 때 상기 수용된 관 단부가 너트부에 대한 상대 회전에 대항하여 고정되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끼워맞춤"은 확고히 밀착되는 방식으로 끼워맞춤되는 포지티브 끼워맞춤(positive-fit)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너트부만이 내부 끼워맞춤 요소를 구비하고, 이 내부 끼워맞춤 요소는 나사 연결을 형성할 때, 연결 상태에서 상기 너트부에 수용되는 제1 관의 단부의 플레어에 박히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제1 관의 플레어에 상보적인 끼워맞춤 요소가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어는 처음에 상보적인 끼워맞춤 요소를 전혀 구비하지 않고, 그 대신에 상보적인 끼워맞춤 요소는, 나사 연결이 이루어질 때 상기 끼워맞춤 요소가 상기 플레어 상으로 작용하는 것에 기인하는 상응하는 압박 작용에 의해서만 형성된다. 상기 너트부 상의 끼워맞춤 요소는 상기 플레어에 박힐 수 있는 돌기 또는 웹인 것이 적절하다. 이러한 플레어로의 박힘 및 상보적인 끼워맞춤 요소의 형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에 맞게 상기 플레어용 재료를 선택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 이격 요소를 밀봉 이격 요소로 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이격 요소의 각 끼워맞춤 홈은 관련 플레어의 상보적인 밀봉면에 맞닿게 안착되는 밀봉면(들)을 구비한다. 또한,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너트부와, 연결 상태에서 상기 너트부의 암나사부와 맞물리는 상보적인 수나사부를 구비한 나사부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너트부는 제1 관의 단부를 수용한다. 나사부가 아직 너트부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 관의 단부는 이미 너트부에 수용되어 있다. 나사부가 제2 관의 단부와 함께 너트부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 너트부는 나사부에 수용된 제2 관의 단부도 둘러싼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매우 중요한 것으로 여겨지는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격 요소의 끼워맞춤 홈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관련 관의 단부에 있는 플레어를 끼워맞춤 수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플레어는 관의 외부에 있는 원추형 플랜지면으로 이루어지며, 해당 원추형부는 관의 단부의 정면 단부를 향해 테이퍼진다. 상기 이격 요소의 끼워맞춤 리세스는 그 내부에 상기 원추형 플랜지면에 상보적인 원추형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격 요소의 끼워맞춤 홈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관련 관의 단부에 있는 F-플레어를 끼워맞춤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상기 이격 요소의 양 단부에는 F-플레어에 상보적인 끼워맞춤 홈이 적어도 1개, 바람직하게는 2개 마련된다.
따라서, 연결할 2개의 관 단부 모두에 F-플레어가 마련되어 있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연결 상태에서 제1 관 단부의 F-플레어는 이격 요소의 제1 끼워맞춤 홈에 접하고, 이격 요소의 반대편 단부에서 제2 관 단부의 F-플레어는 이격 요소의 제2 끼워맞춤 홈을 파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F-플레어/이격 요소/F-플레어의 연결은 임의의 다른 요소 없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상태에서 이격 요소는 너트부의 수용 개구에 삽입된다. 이 실시예에서, 이격 요소는 너트부에서 나사 연결에 의해 수용되는 것이 아니라, 그 대신에 단지 너트부의 수용 개구에 끼워맞춤식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이격 요소는 상기 수용 개구의 표면 또는 내부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노브(knob)에 의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격 요소는 상기 노브에 의해 상기 수용 개구 내에 삽입되고, 실제로 노브 후방의 위치에 딸깍 소리를 내며 걸린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노브가 상기 수용 개구의 내주연부에 분포된다. 원통형 형상인 너트부의 수용 개구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너트부의 수용 개구는 암나사부를 구비하고, 이격 요소는 상기 암나사부에 상보적인 수나사부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상태에서 상기 이격 요소는 상기 너트부의 수용 개구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이격 요소는 나사 연결에 의해 상기 너트부의 수용 개구에 고정된다.
너트부의 수용 개구가 이격 요소 및 나사부를 수용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 나사부는 수용 개구의 암나사부와 맞물리는 수나사부에 의해 나사 결합된다.
또한, 너트부가 수용 개구의 직경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수용 채널을 구비하고, 이 수용 채널이 제1 관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상기 제1 관의 단부는 너트부의 수용 채널을 통과하도록 연장된다. 또한, 나사부는 제2 관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채널을 구비하는 것이 적절하다.
연결 상태에서 너트부에 수용된 제1 관 단부의 플레어를 후방으로부터 파지하는 정지면이 너트부에 마련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 정지면은 상기 너트부의 수용 개구와 수용 채널 사이에 있는 천이부에 배치된다. 또한, 나사부에 수용된 제2 관 단부의 플레어를 후방으로부터 파지하는 면이 나사부에 마련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앞서 개략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너트부에 수용되는 관 단부의 플레어 상에 있는 상보적인 끼워맞춤 요소와 맞물리는 내부 끼워맞춤 요소가 너트부에 마련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데, 여기서 상기 상보적인 끼워맞춤 요소는 플레어에 미리 마련될 수도 있고, 별법으로서 나사 연결의 형성 중에 상기 너트부에 있는 끼워맞춤 요소의 박힘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너트부의 끼워맞춤 요소는 상기 너트부의 정지면에 마련되는 것이 적절하다.
하나의 관 단부에 의해 인가되는 토크가 안전한 방식으로 전달되는 면이, 상기 끼워맞춤 홈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에 마련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 끼워맞춤 요소의 면은, 예컨대 소정의 프로파일을 갖는 면일 수 있다. 연결 상태에서 관련 관 단부의 플레어의 플랜지면 상에 있는 상보적인 끼워맞춤 요소와 맞물리는 끼워맞춤 요소가 상기 끼워맞춤 홈의 면에 마련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원에서 마지막으로 언급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이용하면, 관 단부의 이격 요소에 대한 회전 또는 관 단부 끼리의 회전이 유효하게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나사 연결 장치를 이용하면 장기적으로 기밀하고 또는 고압하에서 기밀한 연결이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특히, 나사 연결 장치의 작동 중에 밀봉면의 유익하지 못한 손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나사 연결 장치를 이용하면, 연결할 관을 함께 나사 결합하는 동안에 이들 관의 서로에 대한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맥락에서 너트부에 수용된 관의 너트부에 대한 회전이 반드시 방지되어야 한다는 중요한 인식에 기초하는 것이다. 이로써, 관 또는 나사 연결 장치는, 예컨대 자동차에 쉽게 설치될 수 있다. 이격 요소에 대한 관의 회전이 회피되기 때문에, 마찰로 인한 밀봉면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나사부 측에 있는 플레어와 이격 요소 사이의 마찰은 이격 요소의 적절한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비교적 크게 유지될 수 있다. 만약, 나사부 측에 있는 플레어와 이격 요소 사이의 마찰이 나사부와 플레어 뒷부분 사이의 마찰보다 크다면, 나사 연결이 형성될 때 나사부는 그 내부에 수용된 관에 대해 회전할 것이다. 따라서, 두 관이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것이 억제되고, 그에 따라 임의의 해제 모멘트도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의 한 가지 예만을 보여주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후술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나사 연결부 또는 나사 연결 장치를 보여준다. 연결할 두 관의 단부(1, 2)는 너트부(3) 및 나사부(4)를 이용하는 나사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두 관의 단부(1, 2)는 플레어형이다. 제1 관의 단부(1)는 E-플레어(5)를 구비하고, 제2 관의 단부(2)는 F-플레어(6)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E-플레어(5)는 원추형으로 이루어진 플랜지면(5a)을 구비하고, 각 원추형부는 내부를 향해, 즉 관의 측면을 향해 테이퍼져 있다. 또한, F-플레어(6)도 원추형 플랜지면(6a)을 구비하지만, 이 원추형부는 외부를 향해, 즉 제2 관의 단부(2)의 정면 단부를 향해 테이퍼져 있다. 너트부(3)와 나사부(4)가 함께 나사 결합됨에 따라, 2개의 플레어(5, 6)는 매우 큰 접촉 압력으로 서로에 대해 가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밀하고 또는 고압하에서도 기밀한 연결이 달성된다. 그러나, 당업계에 공지된 나사 연결부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과 관련이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2개의 관의 플레어형 단부(1, 2)를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나사 연결부 또는 나사 연결 장치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단부에는 제1 끼워맞춤 홈(8)이 마련되어 있고 제2 단부에는 제2 끼워맞춤 홈(9)이 마련되어 있는 이격 요소(7)가 사용된다. 제1 끼워맞춤 홈(8)과 제2 끼워맞춤 홈(9)은 모두 관련 관의 단부(1, 2)에 있는 F-플레어(6)를 끼워맞춤 수용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상기 F-플레어(6)는 관의 외부에 있는 원추형 플랜지면으로 이루어지고, 각 원추형부는 관 단부(1, 2)의 정면 단부를 향해 테이퍼진다. 제1 끼워맞춤 홈(8)과 제2 끼워맞춤 홈(9) 양자 모두가 각 관의 단부(1, 2)에 있는 F-플레어(6)를 끼워맞춤 수용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F-플레어(6)는 관의 단부(1, 2)에 마련된다. 관을 통해 급송되는 액체가 상기 이격 요소(7)를 통과할 수 있도록, 이격 요소(7)의 내부는 비어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끼워맞춤 홈(8, 9)과 관련 F-플레어(6)는 연결 상태 시에 서로에 대해 가압되는 밀봉면을 구비한다. 도 2 및 도 4는 너트부(3)가 제1 관의 단부(1)를 수용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고, 연결 상태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3)에 의해 수용되는 제1 관 단부(1)의 F-플레어(6)가 이격 요소(7)의 관련 끼워맞춤 홈(8)을 파지하거나 상기 끼워맞춤 홈에 압입되도록, 너트부(3)에 이격 요소(7)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보여준다. 도 2 내지 도 4에 따른 실시예에서, 연결 상태시에 이격 요소(7)는 단지 너트부(3)의 수용 개구(10)에 삽입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이격 요소(7)는 수용 개구(10)의 내주연부에 분포된 노브(11)에 의해서 그 정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너트부(3)는 수용 개구(10)의 직경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수용 채널(12)을 구비한다. 제1 관의 단부(1)는 상기 수용 채널(12)에 끼워맞춤식으로 수용된다.
나사부(4)는 제2 관의 단부(2)를 수용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연결 상태에 있어서, 나사부(4)에 의해 수용된 제2 관의 단부(2)의 F-플레어(6)가 상기 이격 요소(7)의 관련 끼워맞춤 홈(9)을 파지하거나 상기 끼워맞춤 홈에 압입되도록, 나사부(4)는 제2 관의 단부(2)와 함께 너트부(3)에 나사 결합된다. 도 2 및 도 4는 너트부(3)의 수용 개구(10)가 이격 요소(7)를 수용하기 위해, 그리고 나사부(4)와 그에 수용된 제2 관의 단부(2)를 함께 수용하기 마련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2, 도 4 및 도 5는 수용 채널(12)과 수용 개구(10) 사이에 있는 천이부에서 상기 너트부(3)가 정지면(13)을 구비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 정지면(13)은 너트부(3)의 수용 채널(12)에 수용된 제1 관 단부(1)의 F-플레어(6)를 후방으로부터 파지한다. 정지면(13)의 영역에서, 너트부(3)의 내부에는 노치(14) 형태로 끼워맞춤 요소가 마련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들 노치(14)는 V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이들 노치는 U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노치(14)는 너트부(3)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배열 또는 배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연결된 상태에서, 이들 노치(14)는 제1 관 단부(1)의 F-플레어의 뒷부분에 배치된 상보적인 끼워맞춤 요소와 맞물린다. 상기 제1 관 단부(1)의 F-플레어의 상보적인 끼워맞춤 요소는, 너트부(3)의 노치(14)와 맞물려 끼워맞춤을 이룰 수 있는 돌기(15)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 따르면, 우선 너트부(3)에만 끼워맞춤 요소를 마련하는 것도 본원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나사 연결을 달성하는 동안에만, 그리고 상기 끼워맞춤 요소를 각각 압박하는 동안에, 이러한 압력을 통해 너트부(3)의 끼워맞춤 요소는 제1 관 단부(1)의 플레어에 그에 대응하는 상보적인 끼워맞춤 요소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상보적인 끼워맞춤 요소는 나사 결합이 달성되고 끼워맞춤 요소가 함께 압박되는 경우에만 형성된다. 끼워맞춤 요소와 상보적인 끼워맞춤 요소는, 너트부(3)에 수용된 제1 관의 단부(1)가 너트부(3)에 대한 상대 회전에 대항하여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나사부(4)는 그에 수용된 제2 관 단부(2)의 F-플레어(6)를 후방으로부터 파지하는 면(16)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사 연결 장치는, 두 관의 단부의 연결이 간단한 방식으로 해제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기밀하고 또는 고압하에서도 기밀하며, 바람직하지 못한 관 단부의 회전이 나사 연결의 형성 중에 방지 또는 최소화될 수 있다.

Claims (12)

  1. 두 관의 플레어형 단부(1, 2)를 연결하기 위한 나사 연결 장치에 있어서,
    제1 단부 및 제2 단부가 마련된 이격 요소(7)로서, 상기 제1 단부는 제1 관의 단부(1)에 있는 플레어를 끼워맞춤식으로 수용하는 제1 끼워맞춤 홈(8)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는 제2 관의 단부(2)에 있는 플레어를 끼워맞춤식으로 수용하는 제2 끼워맞춤 홈(9)을 포함하는 것인 이격 요소(7);
    제1 관의 단부(1)를 수용하기 위해 마련되는 너트부(3)로서, 이 너트부(3)에 수용되는 제1 관의 단부(1)의 플레어가 상기 이격 요소(7)의 관련 끼워맞춤 홈(8, 9)을 파지하도록, 연결 상태에서 상기 이격 요소(7)는 너트부(3)에 삽입되어 있는 것인 너트부(3); 및
    제2 관의 단부(2)를 연결하기 위해 마련되는 나사부(4)로서, 이 나사부(4)에 수용된 제2 관의 단부(2)의 플레어가 상기 이격 요소(7)의 관련 끼워맞춤 홈(8, 9)을 파지하도록, 연결 상태에서 상기 나사부(4)는 상기 제2 관의 단부(2)와 함께 너트부(3)에 나사 결합되는 것인 나사부(4)
    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부(3)는 이 너트부(3)의 내면 상에 내부 끼워맞춤 요소를 구비하고, 연결 상태에서 이 너트부(3)에 수용되는 제1 관의 단부(1)의 플레어는 그 표면 내에 상보적인 끼워맞춤 요소를 구비하며, 연결 상태에서 상기 내부 끼워맞춤 요소와 상기 상보적인 끼워맞춤 요소는 맞물리는 것인 나사 연결 장치.
  2. 두 관의 플레어형 단부(1, 2)를 연결하기 위한 나사 연결 장치에 있어서,
    제1 단부 및 제2 단부가 마련된 이격 요소(7)로서, 상기 제1 단부는 제1 관의 단부(1)에 있는 플레어를 끼워맞춤식으로 수용하는 제1 끼워맞춤 홈(8)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는 제2 관의 단부(2)에 있는 플레어를 끼워맞춤식으로 수용하는 제2 끼워맞춤 홈(9)을 포함하는 것인 이격 요소(7);
    제1 관의 단부(1)를 수용하기 위해 마련되는 너트부(3)로서, 이 너트부(3)에 수용되는 제1 관의 단부(1)의 플레어가 상기 이격 요소(7)의 관련 끼워맞춤 홈(8, 9)을 파지하도록, 연결 상태에서 상기 이격 요소(7)는 너트부(3)에 삽입되어 있는 것인 너트부(3); 및
    제2 관의 단부(2)를 연결하기 위해 마련되는 나사부(4)로서, 이 나사부(4)에 수용된 제2 관의 단부(2)의 플레어가 상기 이격 요소(7)의 관련 끼워맞춤 홈(8, 9)을 파지하도록, 연결 상태에서 상기 나사부(4)는 상기 제2 관의 단부(2)와 함께 너트부(3)에 나사 결합되는 것인 나사부(4)
    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부(3)는 이 너트부(3)의 내면 상에 내부 끼워맞춤 요소를 구비하고, 나사 연결을 형성할 때 상기 제1 관의 플레어의 표면 내에 상보적인 끼워맞춤 요소가 형성되도록 상기 내부 끼워맞춤 요소는 연결 상태에서 상기 너트부(3)에 수용되는 제1 관의 단부(1)의 플레어에 박히는 것인 나사 연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요소(7)의 끼워맞춤 홈(8, 9)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관련 관의 단부(1, 2)에 있는 플레어를 끼워맞춤 수용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플레어는 관의 외부에 있는 원추형 플랜지면으로 이루어지며, 해당 원추형부는 관의 단부(1, 2)의 정면 단부를 향해 테이퍼지는 것인 나사 연결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요소(7)의 끼워맞춤 홈(8, 9)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는 관련 관의 단부(1, 2)에 있는 플레어를 끼워맞춤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나사 연결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결 상태에서 상기 이격 요소(7)는 너트부(3)의 수용 개구(10)에 삽입되는 것인 나사 연결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3)의 수용 개구(10)는 암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격 요소(7)는 상기 암나사부에 상보적인 수나사부를 구비하며, 연결 상태에서 상기 이격 요소(7)는 상기 수용 개구(10)에 나사 결합되는 것인 나사 연결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3)의 수용 개구(10)는 이격 요소(7)의 수용 및 나사부(4)의 수용 모두를 위해 마련되는 것인 나사 연결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3)는 수용 개구(10)의 직경에 비해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수용 채널(12)을 구비하고, 이 수용 채널(12)은 제1 관의 단부(1, 2)를 수용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인 나사 연결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3)는 정지면(13)을 구비하고, 상기 정지면(13)은 연결 상태에서 상기 너트부(3)에 수용된 제1 관의 단부(1)의 플레어를 후방으로부터 파지하는 것인 나사 연결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4)는 이 나사부(4)에 수용되는 제2 관의 단부(2)의 플레어를 후방으로부터 파지하는 면(16)을 구비하는 것인 나사 연결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의 관 단부(1, 2)에 의해 인가되는 토크가 기능상 안전한 방식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된 면이, 상기 이격 요소(7)의 적어도 하나의 끼워맞춤 홈(8, 9)에 마련되는 것인 나사 연결 장치.
  12. 삭제
KR1020040086039A 2003-10-27 2004-10-27 두 관의 플레어형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나사 연결 장치 KR1010932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024646 2003-10-27
EP03024646.6 2003-10-27
EP04024492A EP1528309B1 (de) 2003-10-27 2004-10-14 Schraubverbindungsvorrichtung zur Verbindung der gebördelten Rohrenden zweier Rohre
EP04024492.3 2004-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109A KR20050040109A (ko) 2005-05-03
KR101093272B1 true KR101093272B1 (ko) 2011-12-14

Family

ID=34424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039A KR101093272B1 (ko) 2003-10-27 2004-10-27 두 관의 플레어형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나사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390033B2 (ko)
EP (1) EP1528309B1 (ko)
JP (1) JP4820543B2 (ko)
KR (1) KR101093272B1 (ko)
CN (1) CN100356101C (ko)
AT (1) ATE400764T1 (ko)
DE (1) DE502004007539D1 (ko)
ES (1) ES2308086T3 (ko)
PL (1) PL1528309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8184A (ko) * 2012-03-23 2013-10-02 테이 오토모티브 (하이델베르크) 게엠베하 2개의 튜브의 플랜지형 튜브 단부들을 연결하기 위한 나사 결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36862B4 (de) * 2006-08-03 2008-11-06 Tube Technology Systems Ag Rohrverbindung und Zwischenelement zu deren Herstellung
DE202006012064U1 (de) * 2006-08-03 2007-12-13 Tube Technology Systems Ag Rohrverbindung
DE502008001944D1 (de) * 2008-06-17 2011-01-13 Ti Automotive Heidelberg Gmbh Schraubelement und Rohranschlusseinrichtung für den Anschluss von Rohrleitungen
US7789433B2 (en) * 2008-12-22 2010-09-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Tube nut assembly
US9772056B2 (en) * 2009-03-05 2017-09-26 Gates Corporation Tube connector
JP6248407B2 (ja) * 2013-04-10 2017-12-20 横浜ゴム株式会社 ホース継手金具
CN103523002A (zh) * 2013-09-18 2014-01-22 上海双杰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制动硬管连接结构
DE202014101748U1 (de) * 2014-04-14 2014-04-22 Ti Automotive (Heidelberg) Gmbh Schraubverbindungsvorrichtung zur Verbindung zweier Rohre
JP2016094963A (ja) * 2014-11-12 2016-05-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配管用継手構造
US10072778B2 (en) * 2015-01-08 2018-09-1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Tube nut assembly
US9989185B2 (en) * 2015-02-02 2018-06-05 Ricoh Company, Ltd. Socket tool for servicing fluid connectors
DE112015006206T5 (de) * 2015-02-23 2017-11-16 Bantboru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Verbindungsvorrichtung für gebördeltes rohr und verfahren dafür
US10393304B1 (en) 2015-05-08 2019-08-27 Magic Plastics, Inc. Plastic union with integral locking structure
US10479339B2 (en) 2016-01-19 2019-11-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are-type brake line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1193616B2 (en) * 2019-05-02 2021-12-07 Shin Tai Spurt Water Of The Garden Tools Co., Ltd. Hose connector
US11543062B2 (en) * 2020-03-25 2023-01-03 Cooper-Standard Automotive Inc. Reversible brake tube connector
US10995720B1 (en) * 2020-07-29 2021-05-04 Delphi Technologies Ip Limited Fuel system having a connection between a fuel injector and a fuel distribution conduit
DE102021130048A1 (de) 2021-11-17 2023-05-17 Endress+Hauser Flowtec Ag Messrohrsystem, Messrohr, sowie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 Messrohr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6960A (ja) * 1998-05-28 1999-12-07 Sakura Rubber Co Ltd 継手金具
JP2002310346A (ja) * 2001-02-16 2002-10-23 Itt Mfg Enterp Inc 配管構造体および管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816A (en) * 1890-07-08 lomasney
US2189566A (en) * 1937-12-30 1940-02-06 Patex Sa Coupling for tubes and pipes
US2189556A (en) * 1938-09-27 1940-02-06 James L Younghusband Pipe cleaner
DE2407268C3 (de) * 1974-02-15 1979-02-08 Armaturenfabrik Hermann Voss Gmbh + Co, 5290 Wipperfuerth Rohranschluß
GB1501995A (en) * 1974-04-27 1978-02-22 Bosch Gmbh Robert Pipe connections
US4029345A (en) * 1974-05-20 1977-06-14 Antonio Romanelli Pipe fittings
US4133565A (en) * 1977-07-25 1979-01-09 Shutt George V Fitting employing flexible plastic tubing with rolled back end
GB2032035B (en) * 1978-09-23 1983-05-18 Motaproducts Automotive Ltd Pipes having a connecting end formation
JPS6089488U (ja) * 1983-11-28 1985-06-19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管継手
JPH0135027Y2 (ko) * 1985-01-29 1989-10-25
GB8618235D0 (en) * 1986-07-25 1986-09-03 Lucas Ind Plc Pressure cylinder pipe coupling
JPS6366684U (ko) * 1986-10-21 1988-05-06
DE3701555C1 (de) * 1987-01-21 1988-07-07 Mannesmann Ag Rohrverbindung fuer duennwandige,kleinkalibrige Metallrohre
CN2041757U (zh) * 1988-12-06 1989-07-26 沈阳工程机械厂 高压管接头
JPH07248079A (ja) * 1994-03-11 1995-09-26 Usui Internatl Ind Co Ltd 細径金属配管相互の接続装置およびその接続方法
DE9409236U1 (de) * 1994-06-08 1994-09-15 Cohnen Beteiligungs Gmbh & Co Rohrverschraubung
US6357801B1 (en) * 1998-12-28 2002-03-19 Usui Kokosai Sangyo Kaisha Limited Flared connection structure of pipe end portion
DE20002170U1 (de) * 2000-02-08 2001-06-13 Voss Armaturen Bördelverschraubung für Rohrleitungen
CN2465029Y (zh) * 2000-12-19 2001-12-12 门研茹 一种防腐胶带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6960A (ja) * 1998-05-28 1999-12-07 Sakura Rubber Co Ltd 継手金具
JP2002310346A (ja) * 2001-02-16 2002-10-23 Itt Mfg Enterp Inc 配管構造体および管部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8184A (ko) * 2012-03-23 2013-10-02 테이 오토모티브 (하이델베르크) 게엠베하 2개의 튜브의 플랜지형 튜브 단부들을 연결하기 위한 나사 결합 장치
KR102033181B1 (ko) * 2012-03-23 2019-11-08 테이 오토모티브 (하이델베르크) 게엠베하 2개의 튜브의 플랜지형 튜브 단부들을 연결하기 위한 나사 결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56101C (zh) 2007-12-19
EP1528309A1 (de) 2005-05-04
ES2308086T3 (es) 2008-12-01
JP4820543B2 (ja) 2011-11-24
ATE400764T1 (de) 2008-07-15
CN1637335A (zh) 2005-07-13
DE502004007539D1 (de) 2008-08-21
JP2005133943A (ja) 2005-05-26
PL1528309T3 (pl) 2008-12-31
US7390033B2 (en) 2008-06-24
EP1528309B1 (de) 2008-07-09
KR20050040109A (ko) 2005-05-03
US20050087984A1 (en) 200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3272B1 (ko) 두 관의 플레어형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나사 연결 장치
US4304422A (en) Tube coupling with frangible sleeve
JP3430237B2 (ja) 管継手
CA2368198C (en) Pipe connector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US8240719B2 (en) Adaptor and method for converting standard tube fitting/port to push-to-connect tube fitting/port
US5484174A (en) Pipe coupling and method of joining materials
US4848808A (en) Mechanical pipe joint
US8038181B2 (en) Connecting arrangement for a fluid-conducting tube
US6619701B1 (en) Connection of a metal pipe with a metal sleeve
US20080136178A1 (en) Adaptor and Method For Converting Standard Tube Fitting/Port to Push-To-Connect Tube Fitting/Port
CA2637939C (en) Adaptor and method for converting standard tube fitting/port to push-to-connect tube fitting/port
US3765708A (en) Tubing union
US10113678B2 (en) Quick-coupling sliding joints
EP1041330A1 (en) Pipe joint made of resin
US5997050A (en) Double cone coupling nipple of a steel tub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2033181B1 (ko) 2개의 튜브의 플랜지형 튜브 단부들을 연결하기 위한 나사 결합 장치
JP4766707B2 (ja) プラスチック樹脂パイプ用の管継手
US4406483A (en) Universal connector
RU138954U1 (ru) Обжимной фитинг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US6350078B1 (en) Shaft depressor for a slap yoke in a steering assembly
NO137163B (no) R¦rkobling.
KR200269757Y1 (ko) 원터치식 관 연결장치
CN100510496C (zh) 管接头
EP1063463A1 (en) Releasable tube coupling devices
US4765659A (en) High pressure tube attachment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725

Effective date: 201110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