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545B1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545B1
KR102032545B1 KR1020170153343A KR20170153343A KR102032545B1 KR 102032545 B1 KR102032545 B1 KR 102032545B1 KR 1020170153343 A KR1020170153343 A KR 1020170153343A KR 20170153343 A KR20170153343 A KR 20170153343A KR 102032545 B1 KR102032545 B1 KR 102032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e
lactobacillus plantarum
skin
present application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6176A (ko
Inventor
백세희
신민경
서용기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3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545B1/ko
Priority to PCT/KR2018/014094 priority patent/WO2019098751A1/ko
Priority to CN201880066842.3A priority patent/CN111465386B/zh
Priority to TW107140822A priority patent/TWI734048B/zh
Publication of KR20190056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oposition for anti-wrinkle comprising Lactobacillus plantarum culture}
본 출원은 단일 유산균 배양물을 함유하는 콜라겐 합성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tobacillus plantanium) CJLP133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콜라겐 합성 촉진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각종 산화 물질, 대기오염, 중금속, 자외선 (ultraviolet radiation, UV) 등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이 피부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며, 수분 손실을 막는 보호장벽 역할을 한다. 피부의 구조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의 3개 층으로 크게 분류되며, 이 중 90% 차지하는 진피층은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론산 및 당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구성물질 콜라겐은 인체의 단백질 총 질량 중 약 25%를 차지하는 중요한 섬유성 단백질로, 결체조직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세포간 매트릭스 역할, 구조적 지지체 기능, 세포의 분할과 분화 유도, 피부의 인장강도 제공 등의 중요한 기능을 한다. 이러한 콜라겐은 노화, 자외선, 유해 산소 등에 의해 생성이 감소하고 구조가 손상되어 피부의 주름 형성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미세먼지 등의 악화되는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피부장벽이 파괴되고, 이로 인해 콜라겐 합성의 감소 및 분해의 증가를 통해 피부노화는 계속 촉진 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성분들의 효과를 최대한 증진시키고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피부노화를 막아주는 것은 화장품에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며, 부작용이 없고, 비용이 저렴한 물질의 개발 및 그 물질을 함유하는 사용이 용이한 화장품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유산균은 탄수화물이나 섬유질을 발효시켜 유산(젖산)을 생성하는 인체 내에서 유익한 역할을 하는 세균으로, 지금까지 약 400여 종이 발견되었으며, 그 중 상품으로 개발된 것은 18종 정도이다. 유산균이 인체의 장내에 유입되면 자체적인 대사활동을 통해 특정 물질을 분비하는데, 이러한 물질들이 인체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유산균에 대하여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항균, 항산화 및 면역 활성에 대한 효과가 보고된 바 있으며, 근래에는 유산균의 미백 및 보습효능에 관해 연구가 되어 향장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유산균 중에서 특히 Lactobacillus균의 효능으로는 많은 연구가 되어 있으며 면역력 증진, 항균 효능, 피부미백 및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효과 등이 보고된 바 있다.
그 가운데 식물성 유산균(POLAB; Plant Originated Lactic Acid Bacteria)은 절임류, 김치 등의 식물 원료의 발효 식품에서 분리된 유산균으로, 동물성 유산균과 구분하여 지칭하고 있다. 식물성 유산균은 일반 동물성 유산균과 비교하여 그 종류가 10배 이상 많을 뿐 아니라, 외부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뛰어나다. 특히 고염분, 낮은 pH 및 천연 항균물질의 함량이 높은 김치에서 분리된 식물성 유산균은 척박한 환경에서 생육하기 때문에 각종 생리 활성 물질의 생산력이 뛰어나다. 그 대표적인 생리활성 물질로는 항균 펩타이드, 면역증강물질 및 다양한 생리 기능 중 항염증 및 면역 억제 효과를 발휘하는 GABA(Gamma-Amino Butyric Acid) 등을 꼽을 수 있다. 또한 유산균은 열에 안정한 펩타이드(peptide)로서 항미생물 작용을 하는 박테리오신(bacteriocin)을 생산한다. 박테리오신은 여러 종의 미생물이 생산하는 천연의 항균성 단백질 또는 단백질계 물질로서 일반적으로 이를 생산하는 미생물과의 형태, 계통학적으로 유사한 균종에 대하여 살균기작을 가지는 물질을 말한다. 따라서 이들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유산균 배양액, 또는 유산균 발효 식물 추출물 등을 이용한 화장품 소재 개발이 활발하고, 이는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물질을 선호하는 최근 추세에 부합된다.
오늘날, 소비자는 화장품에 대하여 일반적인 케어 효과를 기대할 뿐만 아니라, 노화방지, 잔주름 개선, 자극방지, 염증억제, 미백효과 등 다양한 기능을 복합적으로 가질 것을 요구한다. 최근 수년간 다양한 종류의 식물 추출물이 이러한 화장품의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특성을 결합하여 개선된 성능 특성분포를 보여주는 새로운 개념의 산물이 점점 기대 되고 있다.
본 출원에서는 친환경 시대에 맞추어 김치유래 유산균 배양으로부터 피부에 부작용이 없이 안전하고, 콜라겐 생합성의 증가를 통해 피부노화 방지, 피부탄력 개선, 피부주름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화장품으로써 효과를 검증하고, 나아가 국내 산업화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배양물이 피부 주름 개선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여 본 출원을 완성하였다.
KR 10-1486999 B1 (2015.01.21)
본 출원의 하나의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tobacillus plantarum)의 균체가 제거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출원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tobacillus plantarum)의 균체가 제거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출원에서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출원에서의 용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tobacillus plantarum)”은 락토바실러스 속의 미생물 중 하나로서, 그람 음성 세균이며 젖산을 생산하는 미생물이다. 사우어크라우트, 피클, 김치 등의 발효식품에서 발견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는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CJLP133 균주일 수 있으며, 이는 기탁번호 KCTC 11403BP 로 기탁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균주는 2008년 10월 16일자로 부다페스트 조약 하의 국제기탁기관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KCTC)에 국제기탁하여 KCTC 11403BP의 기탁번호를 부여받았다.
본 출원에서의 용어, “배양물”은 균주를 배지에 배양하여 영양분을 섭취하고 물질대사를 통해 생겨난 부산물이 포함된 배지를 의미하며, 상기 배지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배지를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 상기 배지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상기 배지를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배양물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양물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를 배양하여 얻은 배양물일 수 있으며, 배양 후 상기 균주의 균체를 제거한 것일 수 있다. 즉, 균주 배양 후 상기 균주의 균체를 제거한 배지를 배양물로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양물은 (a)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를 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결과물을 원심 분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의 결과물에서 상등액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수득한 배양물일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배지는 상기 균주를 배양 가능하며 배양 후 배양물을 수득 가능하다면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어떤 배지라도 사용가능하나, 구체적으로 액체 배지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MRS 액체배지일 수 있다.
상기 (a)단계는 순수 분리된 균주를 얻기 위하여 (a)단계의 앞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를 고체배지에 도말하고 배양하여 순수 분리된 것이 확인된 집락을 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단계는 고속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1℃ 내지 7℃, 구체적으로 2℃ 내지 6℃, 보다 구체적으로 3℃ 내지 5℃의 온도에서 1,500rpm 내지 3,500rpm, 구체적으로 2,000rpm 내지 3,000rpm, 보다 구체적으로 2,200rpm 내지 2,800rpm의 회전력으로 10분 내지 30분, 구체적으로 15분 내지 25분, 보다 구체적으로 17분 내지 23분 동안 원심분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c)단계는 상등액을 여과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는 여과된 상등액을 동결 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화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의 용어, “주름”은 피부가 노화하여 생긴 잔줄을 의미하는 것으로, 유전자에 의한 원인, 피부 진피에 존재하는 콜라겐의 감소, 외부 환경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 수준을 향상시켜 콜라겐의 감소를 막는 방법으로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콜라겐은 인체의 단백질 총 질량 중 약 25%를 차지하는 중요한 섬유성 단백질로, 결체조직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세포간 매트릭스 역할, 구조적 지지체 기능, 세포의 분할과 분화 유도, 피부의 인장강도 제공 등의 기능을 갖는 단백질을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의 용어. “개선”은 본 출원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주름의 증상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나타난 피부 주름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출원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 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출원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피부 유익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를 사용하여 피부에 부작용이 없이 안전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효과를 갖는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배양물의 콜라겐 합성능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출원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출원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배양물의 제조
기탁번호 KCTC 11403BP 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CJLP133 균주를 MRS 고체배지(BD Difco, Lactobacilli MRS Agar)에 도말하고 37℃에서 약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순수 분리된 것이 확인된 집락(colony)을 백금이(platinum loop)로 취하여 MRS 액체배지(BD Difco, Lactobacilli MRS Broth)에 접종하고 37℃에서 약 1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완료 후 배양액의 농도는 1.0 * 109 CFU/mL 임을 확인하였다. 배양액의 균체를 분리하기 위하여 고속원심분리기(LABOGENE 1248R)를 이용하여 4℃, 2,500rpm, 20min 조건에서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였다. 배양액의 상등액을 여과하고, 여과된 상등액을 동결건조기(HETO PL90000)를 이용하여 분말화 하였다. 위의 방법으로 제조된 배양물을‘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배양물’이라 하였다.
실시예 2.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배양물의 콜라겐 합성 효능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배양물의 콜라겐 합성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섬유아세포 내 콜라겐 발현 양을 측정하였다.
24-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5 * 104 세포/디쉬 농도의 피부 섬유아세포(NHDF, Human fibroblast)를 10% 소 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이 함유된 DMEM(Gibco,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를 넣고 37℃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무혈청 DMEM 배지에 양성 대조군(TGF-β 10ng/mL)과 실험군인 MRS배지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배양물을 각각 0.25 mg/mL, 0.5 mg/mL, 1.0 mg/mL 농도로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액을 취하여 PICP EIA kit (Procollagen Type I C-Peptide Enzyme ImmunoAssay KIT, Takara)를 사용하여 콜라겐 합성능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배양물을 처리한 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콜라겐 발현 양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농도 3 (1 mg/mL) 실험군에서 기존 MRS배지 대비 약 1.6배 가량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양성대조군인 TGF-β 결과와 동등한 수준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배양물이 피부 섬유아세포에 대하여 우수한 콜라겐 합성능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결과를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17114165718-pat00001
상기 결과로부터, 본 출원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CJLP133 배양물이 피부를 구성하는 기질단백질의 합성이 감소하거나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가 증대되어 주름이 생성되는 피부 노화기전에서 가장 주요하게 작용한다고 알려진 콜라겐의 합성을 증가시켜줌으로써, 피부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출원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출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수탁번호]
기탁기관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수탁번호 : KCTC11403BP
수탁일자 : 20081009

Claims (3)

  1.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tobacillus plantarum)의 균체가 분리 제거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는 기탁번호 KCTC 11403BP 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CJLP133 균주이며,
    상기 피부 주름 개선은 이미 나타난 피부 주름의 증상에 대한 것인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물은 (a)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를 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결과물을 원심 분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b)의 결과물에서 상등액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수득한 배양물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53343A 2017-11-16 2017-11-16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2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343A KR102032545B1 (ko) 2017-11-16 2017-11-16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CT/KR2018/014094 WO2019098751A1 (ko) 2017-11-16 2018-11-16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201880066842.3A CN111465386B (zh) 2017-11-16 2018-11-16 包括植物乳杆菌培养物的用于改善皮肤皱纹的化妆品组合物
TW107140822A TWI734048B (zh) 2017-11-16 2018-11-16 包含胚芽乳酸桿菌培養物的改良皮膚皺紋用化粧品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343A KR102032545B1 (ko) 2017-11-16 2017-11-16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176A KR20190056176A (ko) 2019-05-24
KR102032545B1 true KR102032545B1 (ko) 2019-10-15

Family

ID=66540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343A KR102032545B1 (ko) 2017-11-16 2017-11-16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032545B1 (ko)
CN (1) CN111465386B (ko)
TW (1) TWI734048B (ko)
WO (1) WO20190987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470B1 (ko) 2020-09-11 2021-04-05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유산균주, 유산균 발효물 및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59781A (zh) * 2020-10-23 2021-01-01 深圳市沁帆科技有限公司 一种植物乳杆菌、微生物菌剂及其应用
KR102263479B1 (ko) * 2020-12-30 2021-06-10 주식회사 닥터제이코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유산균 사균체 또는 상기 유산균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TWI794766B (zh) * 2021-03-05 2023-03-01 葡萄王生技股份有限公司 含乳酸桿菌之組成物及其預防及/或改善皮膚老化的用途
CN115806914A (zh) * 2022-12-16 2023-03-17 廖梅香 一种植物乳杆菌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003B1 (ko) * 2013-04-29 2015-02-23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 효능을 갖는 신규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hy7714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14658B2 (en) * 2006-08-10 2012-02-14 House Wellness Foods Corporation Method of moisturizing skin
KR101486999B1 (ko) 2009-07-22 2015-01-28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442083B1 (ko) * 2012-08-17 2014-09-19 주식회사 바이오셀트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의 배양액을 방부제 또는 기능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8210B1 (ko) * 2012-10-31 2019-07-10 (주)아모레퍼시픽 녹차 유산균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조성물
KR101905517B1 (ko) * 2015-05-14 2018-10-10 주식회사 잇츠한불 과채류 발효물 제조방법 및 과채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003B1 (ko) * 2013-04-29 2015-02-23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피부 주름 개선 및 보습 효능을 갖는 신규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hy7714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Microbiol. Biotechnol. 201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470B1 (ko) 2020-09-11 2021-04-05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유산균주, 유산균 발효물 및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22223A (zh) 2019-06-16
WO2019098751A1 (ko) 2019-05-23
KR20190056176A (ko) 2019-05-24
CN111465386B (zh) 2023-06-20
CN111465386A (zh) 2020-07-28
TWI734048B (zh) 202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2546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2545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배양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4711B1 (ko) 새싹삼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25716B1 (ko) 신규의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균주,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42442B1 (ko) 발효 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68026B1 (ko) 노니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4384B1 (ko) 신규한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멀리스 락티스 lm1017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탄력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40508B1 (ko) 녹두 발효-효소 추출액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50857B1 (ko) 국화 및 목련 유성온천수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47965B1 (ko) 옥수수수염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51382B1 (ko) 포도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80000B1 (ko)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344703B1 (ko) 마름 발효물의 제조방법과 이로부터 제조된 마름 발효물이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항노화에 효과가 있는 조성물과 발효물로 이루어진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KR20220091409A (ko) 신규한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에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658799B1 (ko) 마태반 발효물 및 생약성분을 이용한 피부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658796B1 (ko) 마태반 발효물 및 생약성분을 이용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8301B1 (ko) 프로바이오틱스 배양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54768B1 (ko) 미강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43181B1 (ko) 천연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고기능 약산성 클렌징 조성물
KR102534977B1 (ko) 로얄젤리의 락토바실러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35682B1 (ko) 에퀴세툼 기간테움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6869B1 (ko) 겨우살이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17471A (ko) 예덕나무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40056111A (ko) 유산균 복합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피부 재생 및 모공수축용 조성물
KR20240008176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유산균 hk9 복합 발효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