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796B1 - 마태반 발효물 및 생약성분을 이용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태반 발효물 및 생약성분을 이용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796B1
KR101658796B1 KR1020140042389A KR20140042389A KR101658796B1 KR 101658796 B1 KR101658796 B1 KR 101658796B1 KR 1020140042389 A KR1020140042389 A KR 1020140042389A KR 20140042389 A KR20140042389 A KR 20140042389A KR 101658796 B1 KR101658796 B1 KR 101658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fermented product
fermented
lactobacil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7088A (ko
Inventor
양승화
민정환
문영섭
문창훈
안용석
고창익
이태호
Original Assignee
(주)컬러핑크알앤디
(주)청룡수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컬러핑크알앤디, (주)청룡수산 filed Critical (주)컬러핑크알앤디
Priority to KR1020140042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796B1/ko
Publication of KR20150117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2Reproductive organs; Embryos,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태반 특유의 냄새 및 및 독성이 감소된 마태반(Horse placenta) 발효물과 생약성분을 이용하여 피부에 매우 안전하고, 주름 개선효과가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마태반 발효물, 황칠나무추출물, 유자추출물, 모과추출물, 향나무추출물 및 괴불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활성성분이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1 ~ 15중량%로 조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마태반 발효물 및 생약성분을 이용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ti-wrinkle effect containing Natural component and the Fermented extract of horse placenta}
본 발명은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태반 발효물 및 생약성분을 이용하여 피부에 안전하고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한 피부 주름개선 관리에 적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 주름은 피부의 수분 함유량, 콜라겐의 함유량, 외부 환경에 대한 면역 작용 능력 등 여러 가지요소들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피부의 유연성을 주는 섬유 조직으로서 진피 조직의 약 70%를 차지하는 콜라겐 섬유의 합성이 노화에 의해 감소되거나 외부 환경에 의해 콜라겐 섬유가 변형되는 것에 기인하여 피부에 주름이 많이 생성되고 깊어지게 된다.
종래에는 피부 주름의 개선을 위하여 경피수분 증발을 억제시키는 물질, 피부에 탄력을 제공하기 위해 콜라겐 등을 이용하여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공되어 왔으며, 근래에는 한약재가 보습력과 노화방지기능,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피부주름 개선 효과 면에서 우수하다고 보고된 후 화장품 분야에도 한약재의 사용이 두드러져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있었다.
최근에는 마태반(Horse placenta)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이 색소 침착을 예방하는 작용뿐만 아니라 미백작용도 나타내며,(Mallick Set el., Pigment Cell Res. Feb 18(1), 25-33, 2005), 피부주름 억제 및 개선에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고, 화장료 및 식품 등의 재료에 사용하고 있으나, 마태반 추출물에서는 특유의 냄새 및 불안정성으로 인해 쉽게 변폐되고, 고농도에서 사용시 피부에 자극이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선행기술은 다양하게 알려지고 있으며, 예를 들면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25225호에 센티페드그라스를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물에 녹인 후 n-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 순으로 계통 분획하여 수득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42541호에 백부자, 백지, 영릉향, 향부자, 백복령 및 감송향의 혼합생약재를 용매 추출하여 혼합생약재 조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혼합생약재 조추출물을 탄수화물 가수분해효소와 펙틴 가수분해효소로 처리하여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혼합생약재 추출물를 개시하고 있고,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57641호에는 참소리쟁이 꽃, 쇠비름, 하고초, 치자, 감초, 삼칠근, 레몬을 한약의 용법인 상수(相須)와 상사(相使)의 배오방법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배합시켜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생약성분 약재를 준비하는 제1 단계(S101)와; 여러단계의 과정에 의해 중탕한 액재를 여과시켜 추출된 추출물을 점성이 끈적거릴 정도로 농도를 조절한 후, 정제된 마유를 첨가시켜 0.5~1시간 동안 70~80℃까지 재가열하여 고형화(Geled)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생약성분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87302호에는 i)마태반 30 내지 40 중량부에 파파인, 프로테아제, 펩티다아제, 펩신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 선택되는 단백분해효소 0.2 내지 0.6 중량부 및 물 65 내지 100 중량부를 첨가하여 60 내지 70℃에서 1차 단백분해반응을 시키는 단계; ii)상기 i)의 반응물에 상기 단백분해효소를 0.05 내지 0.2 중량부를 추가로 첨가하여 60 내지 70℃에서 2차 단백분해반응을 시키는 단계 및 iii)상기 ii)의 반응물에 수분 함량이 1 내지 3 중량%인 활성탄을 1.0 내지 1.5 중량부를 넣은 다음 고순도 질소 또는 0.1~0.5 기압의 진공압 하에서 냄새 및 색깔을 제거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이취가 제거된 마태반 추출물 0.0005~10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본 발명은 마태반 발효물에 의해 마태반 특유의 냄새의 제거 및 독성감소와 함께 생약성분을 조합하여 피부에 안전하고,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를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마태반(Horse placenta) 발효물 및 생약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태반 특유의 냄새 및 및 독성이 감소된 마태반(Horse placenta) 발효물과 생약성분을 이용하여 피부의 주름개선 효과가 단시간에 나타나면서도 오래 지속되고 매우 안전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해결수단으로서, 마태반 발효물 및 생약성분을 이용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마태반 발효물 60 ~ 80중량%, 황칠나무추출물, 유자추출물, 모과추출물, 향나무추출물 및 괴불나무추출물을 각각 4~ 8중량%로 함유하는 활성성분이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1 ~ 15중량%로 조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태반(Horse placenta)은 필수 아미노산, RNA, DNA 등의 핵산성분, 항산화효소인 SOD(Super Oxide Dismutase),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항산화제, 면역보조인자(cytocine), 태반펩타이드, 인슐린 유사 성장촉진인자(insulin-like growth factor), 표피성장 촉진인자(EGFS, Epidermal Growth Factors) 및 독특한 노쇠세포활성인자(SCAFS, Senescent Cell Adivating Factors) 등의 성장인자와 싸이토카인류가 포함되어 있어 피로회복, 면역증강 등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태반(Horse placenta) 발효물은 태반을 젖산균 속 미생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온도 38℃에서 10일간 발효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이후 미생물에 의한 발효 산물이 안정화되기 위한 숙성 단계를 3개월 정도 수행하며, 이렇게 숙성 과정이 끝난 것을 여과하여 마태반 발효물을 얻는다.
상기 마태반 발효물의 경우 발효과정 중에 조건을 잘못 설정하였을 경우 심한 악취를 동반하면서 부패되는 현상이 나타나며, 바람직한 정상적인 발효의 경우 악취를 동반하지 않으면서 발효액의 pH는 3 내지 4 정도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특성을 나타낸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젖산균으로는 락토바실러스 속 젖산균(Lactobacillus sp.)으로서,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카세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페디오코커스 세레비세(Pediococcus cerevisiae), 락토코커스 락티스 (Lactococcus lactis), 레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레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Bifidobacterium bifidum), 락토바실러스 헬벳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 로부터 하나 이상이 선택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마태반 발효물은 사용하는 미생물 균의 종류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서로 상이하게 나타나지만, 본 발명에서는 락토바실러스 속 젖산균들 중 마태반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을 향상시키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헬벳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 등이 바람직하지만, 이들 중에 락토바실러스 헬벳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 발명의 황칠나무, 유자, 모과, 향나무 및 괴불나무는 한약재 등 약용식물로 널리 알려진 식물이며, 황칠나무 추출물은 잘 건조한 황칠나무를 80℃의 열수로 3 ~ 5시간 추출한 후 냉각하여 여과한 것을 사용하며, 유자, 모과, 향나무, 괴불나무도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얻는다.
상기 황칠나무, 유자, 모과, 향나무 및 괴불나무 각각의 추출물은 고형분 함량이 추출물 중량비 기준으로 0.1 ~ 2.0 중량%의 비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형분 함량이 2.0 중량%를 초과하여 높으면 추출물의 침전 현상 등이 나타나 산업화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마태반 발효물 및 생약성분을 이용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마태반의 발효물을 시용함으로써 특유의 냄새 및 독성이 없으므로 피부에 비자극성이고, 안전하여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며 또한 항산화작용과 세포증식을 통한 세포활성, 콜라겐 합성증진효과, 면역 강화기능이 강화되는 효과에 의해 우수하여 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단시간에 나타나며, 오래 지속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마태반 발효물과 생약성분 추출물의 혼합물의 콜라겐 합성능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표.
도 2는 마태반 발효물과 생약성분 추출물의 혼합물의 콜라게나제 억제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표.
도 3은 마태반 발효물과 생약성분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한 제형을 사용한 후 피부 주름 개선 효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영상물.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겠으나,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마태반 발효물 제조
마태반은 채취하는 즉시 동결 상태로 보관하다가 발효 공정시 해동하여 사용하며, 마태반 분쇄물 2Kg에 설탕 200g, 올리고당 300g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락토바실러스 헬벳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를 3%(w/v)로 접종하여 발효 온도 38℃에서 10일간 발효하였다.
이후 미생물에 의한 발효산물을 안정화하기 위하여 3개월 정도 실온에서 숙성하였으며, 이렇게 숙성 과정이 끝난 것을 여과하여 마태반 발효물을 수득하였으며, 수득한 마태반 발효물의 고형분 함량은 1.2 중량%였으며, pH는 3.5로 확인되었다.
2). 생약성분 추출물 제조
잘 건조한 황칠나무 1 Kg을 80 ℃의 열수로 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여 여과하여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은 추출물 중량비 기준으로 1.5중량%를 가지며, pH는 6으로 확인되었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자, 모과, 향나무, 괴불나무도 추출하여 각각의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3). 마태반 발효물과 생약성분 추출물의 혼합물(활성성분) 제조
상기에 제조한 마태반 발효물과 생약성분 추출물을 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태반 발효물과 생약성분 추출물의 혼합물(활성성분)을 제조하였으며, 배합비율은 마태반 발효물 75중량%, 황칠나무추출물, 유자추출물, 모과추출물, 향나무추출물, 괴불나무추출물 각각 5중량%로 배합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에 따른 마태반 발효물과 생약성분 추출물의 혼합물(활성성분)을 이용하여 아래 <시험예>와 같이 주름개선 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시험예1> 세포내 콜라겐 생성시험
<시험예1> 의 시험방법은 섬유아세포 배양시 시료의 세포내 콜라겐생성 증가 정도를 공시험액과 비교하는 것이다.
사람피부섬유아세포 (human dermal fibroblasts)를 배양접시의 바닥에 접종한 후 페니실린(100 IU/㎖), 스트렙토마이신(100 ㎍/㎖), 10% FBS(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를 넣고 37℃를 유지하여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내에서 배양한다. 검액농도는 MTT assay를 이용한 예비실험을 통하여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를 선택하였다.
시험물질을 녹이거나 희석시킬 때는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DMEM 배지를 사용하였지만, 시험물질이 DMEM 배지에 녹지 않는 경우에는 에탄올 등 적당한 용매를 사용하여 녹였으며, TGF-β등을 양성대조 물질로 사용하였다. 섬유아세포를 48-well plate에 well당 5× 104 개로 분주한 다음 세포배양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한다. 배지를 버리고 10%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다음 검액 및 새로운 배지를 넣고 24시간 배양한다. 배양액을 취하여 콜라겐 양을 측정한다.
측정된 콜라겐 양은 로우리법(Lowry assay)로 구한 총 콜라겐 양으로 보정하였으며, 표준액은 콜라겐 표준품에 물을 넣어 녹여 각각 0, 10, 20, 40, 80, 160, 320, 640ng/㎖가 되도록 희석하고, Procollagen type I peptide EIA kit(Takara Biomedical Co.)를 사용하여 ELISA 방법으로 콜라겐 양을 정량하였다. Antibody-PoD conjugate solution 100㎕를 well에 넣은 다음 1/5로 희석한 배양액 및 표준액 20㎕를 넣고 37℃에서 3시간 배양한다. well에서 배양액을 제거한 다음 인산염완충액(PBS) 400㎕로 4회 씻는다. 발색시약 100㎕를 넣고 상온에서 15분간 배양하고 1 N 황산 100㎕을 넣은 다음 450nm에서 ELISA reader로 측정한다.
결과는 [도 1]로 첨부하였으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태반 발효물과 생약성분 추출액 혼합물의 콜라겐 합성률은 레티놀에 비해 콜라겐 합성률이 유사한 결과를 보인반면, 대조군(아데노신) 대비 0.1 ~ 0.001 농도%의 구간에서 마태반 발효물이 35% ~ 25%가 증가하여 마태반 발효물이 세포재생에 탁월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세포내 콜라게나제활성 억제시험
<시험예 2>의 시험방법은 섬유아세포(fibroblast) 배양시 시료가 세포내 콜라게나제 생성억제 정도를 공시료액과 비교하는 것이다.
세포내 콜라겐 합성시험에 나온 세포주를 선택하고 세포배양 후 검액을 제조한다. 섬유아세포를 48-well plate에 well당 5× 104 개로 분주한 다음 세포배양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한다.
배지를 버리고 10% 인산완충식염액(phosphate buffered saline(PBS))로 세척한 다음 검액 및 새로운 배지를 넣고 48시간 배양한다. 배양액을 취하여 콜라게나제 양을 측정한다. 측정된 콜라게나제 양은 로우리법으로 구한 총 단백질 양으로 보정하였다.
결과를 [도 2]로 첨부하였으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25 ppb의 농도에서 레티놀보다는 높지만, 레티놀은 순수한 화합물이고 본 발명에 의한 마태반 발효물과 생약성분 추출액의 혼합물은 혼합물인 점을 감안한다면 매우 우수한 콜라게나제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화장품 제형 제조
아래 <제형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이 제형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a). 제형예 1: 세럼
INCI Name 분량 (g) 비고
Butandiol 10.00
Dipotassium glycyrrhizate 0.10
Allantoin 0.10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0.10
Adenosine 0.04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15
Xanthan gum 0.05
Phenoxyethanol 0.30
Methylparaben 0.20
Water, Butylene glycol, Glycerine, Copper Tripeptide-1, Phenoxyethanol, Methylparaben, Butylparaben, Ethylparaben, Isobutylparaben, Propylparaben,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PPG-26-Buteth-26

0.01
Water, Lysine, Histidine, Arginine,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Ala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 Cysteine

0.01
Acetyl hexapeptide-8 0.10
마태반 발효물과 생약성분 추출액의 혼합물 1.00
Water to 100.00
b). 제형예 2: 영양 크림
INCI Name 분량 (%) 비고
Glycerin 5.00
Allantoin 0.10
Dipotassium glycyrrhizate 0.10
Propanediol 5.00
Sparassis crispa extract 1.50
Lactobacillus/Soymilk ferment extract 1.00
Hydrogenated lecithin 1.00
마태반 발효물과 생약성분 추출액의 혼합물 5.00
Xanthan gum 0.10
Bentonite 0.40
Cetearyl alcohol 1.50
Glyceryl stearate, PEG-100 stearate 1.00
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 1.00
Macadamia ternifolia seed oil 1.00
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1.00
Cetearyl olivate, Sorbitan olivate 3.00
Tocopheryl acetate 0.40
Dimethicone 1.00
Caprylhydroxamic acid, Caprylyl glycol, Glycerin 0.50
Phenoxyethanol 0.30
Water to 100.00
c). 제형예 3: 스킨 토너
INCI Name 분량 (g) 비고
Propandiol 7.00
Dipotassium glycyrrhizate 0.10
Allantoin 0.10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0.20
Dipropyleneglycol 5.00
Glycerin 4.00
Sodium carbomer 0.15
Phenoxyethanol 0.30
마태반 발효물과 생약성분 추출액의 혼합물 0.10
Hexanediol 2.00
Water to 100.00
d). 제형예 4: 아이 크림
INCI Name 분량 (%) 비고
Glycerin 5.00
Pentylene glycol 3.50
Glucose, Sorbitol, Citric acid 0.10
Butylene glycol 3.00
Water, Sodium hyaluronate 7.00
Water, btylene glycol, carbomer, sodium stearate, hydrolyzed wheat protein, zinc gluconate, atelocollagen, Sodium Chondroitin Sulfate
0.50
Disodium EDTA 0.03
Petrolatum 4.00
Mineral oil, Lanolin alcohol 2.00
Ceresin 3.00
Butyrospermum parkii (Shea butter) 4.00
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2.00
Phenyl trimethicone 4.00
Limnanthes alba (Meadowfoam) seed oil 2.00
Vitis vinifera (Grape) seed oil 1.00
Tocopheryl acetate 0.50
Silica 0.50
Arachidyl alcohol, Behenyl alcohol, Arachidyl glucoside 2.00
PEG-8 Dilaurate 1.00
마태반 발효물과 생약성분 추출액의 혼합물 15.00
Phenoxyethanol 0.30
Caprylhydroxamic acid, Caprylyl glycol, Glycerin 0.50
Fragrance 0.10
Water to 100.00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도포용 화장료에 배합되는 보통의 성분을 필요한 만큼 적용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유상 성분 함량은 유화 능력의 보강 및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되며, 유상 성분으로서 주로 사용될 수 있는 오일로는 식물성 오일, 광물성 오일, 실리콘유 및 합성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외에 유화 능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 고급알콜 등을 0.1 내지 5 중량%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계면 활성제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인지질 등과 같은 통상적인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고급 알콜로는 탄소수가 12 내지 20인 알콜을 단독으로 또는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수상 성분은 수상의 점도 또는 경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카보머, 잔탄검, 벤토나이트 등과 같은 1종 이상의 점증제를 0.001 내지 5 중량% 더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고급 지방산, 비타민 등의 약효 성분과 자외선 차단제, 산화 방지제, 방부제, 향료, 착색제, pH 조절제 등 통상적인 화장품에서 사용되는 성분을 더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를 통해 흡수되는 제품으로, 유연화장수(스킨),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로션), 세안제,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겔, 팩, 파우더, 피부외용연고, 첩포제, 현탁액, 에멀젼, 스프레이, 또는 미용액 등의 통상의 화장료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각 제형에 적합하고 당업계에 주지된 각종의 통상적인 담체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제형예를 제시하였지만, 상기의 제형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의 마태반 발효물과 생약성분 추출액 혼합물의 첨가 함량 비율은 제형의 안정성과 기호성을 고려하여 0.01 ~ 15.00중량%까지 첨가가 가능하며, 0.01중량% 이하에서는 효능/효과가 부족하고, 15중량% 이상에서는 제형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베이스 취에 의한 변취 가능성 등이 높아 산업적으로 적용하기 곤란하므로 마태반 발효물과 생약성분 추출액 혼합물이 화장료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 15중량% 범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험예 3> 화장품 제형의 안정도 시험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제형예들을 대상으로 장기보존시험 (온도:25± 2 ℃/상대습도:60± 5 %), 가속시험 (온도 : 40 ± 2℃/상대습도 : 75 ± 5%), 가혹시험 (1 cycle : 40 ℃, 8 hrs → 20 ℃, 8hrs → 0 ℃, 8 hrs)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제형예들이 장기보존시험은 6개월, 가속시험은 3개월, 가혹시험은 1개월 이상 상의 분리, 친전, 변색 등 물리화학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아 매우 안정적인 제형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제형예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 검증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제형예 4의 아이크림을 대상으로 피부 주름이 있는 여성에게 8주간 사용하게 한 후 피부 주름 깊이의 변화를 replica를 이용한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으로 첨부하였으며,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름의 깊이와 높이가 모두 줄어들고 피부가 매끄러워지는 결과를 얻었으며, 약 17%의 주름 감소효과가 나타났다.

Claims (5)

  1. 마태반 발효물 60 ~ 80중량%와, 황칠나무추출물, 유자추출물, 모과추출물, 향나무추출물 및 괴불나무추출물이 각각 4 ~ 8중량%로 조성되는 활성성분이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01 ~ 15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태반 발효물 및 생약성분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마태반 발효물은 마태반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델브루에키(Lactobacillus delbrueckii),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헬벳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균주에 의해 발효시킨 다음, 발효산물을 3개월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태반 발효물 및 생약성분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스킨),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로션), 세안제,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에센스, 겔, 팩, 파우더, 피부외용연고, 첩포제, 현탁액, 에멀젼, 스프레이 또는 미용액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태반 발효물 및 생약성분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042389A 2014-04-09 2014-04-09 마태반 발효물 및 생약성분을 이용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58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389A KR101658796B1 (ko) 2014-04-09 2014-04-09 마태반 발효물 및 생약성분을 이용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389A KR101658796B1 (ko) 2014-04-09 2014-04-09 마태반 발효물 및 생약성분을 이용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088A KR20150117088A (ko) 2015-10-19
KR101658796B1 true KR101658796B1 (ko) 2016-09-23

Family

ID=54399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389A KR101658796B1 (ko) 2014-04-09 2014-04-09 마태반 발효물 및 생약성분을 이용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7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114B1 (ko) * 2019-04-04 2019-09-23 한국콜마주식회사 풀브산 함유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장벽 강화를 위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5988A (ja) * 1996-05-27 1997-12-09 Shiseido Co Ltd 抗酸化剤
KR101132392B1 (ko) * 2009-08-14 2012-04-03 (주)청룡수산 발효 태반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1805015B1 (ko) * 2011-08-04 2017-12-07 (주)아모레퍼시픽 유자, 유근피 및 함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114493A (ko) * 2012-04-09 2013-10-17 주식회사 엔에스텍 황칠나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088A (ko) 2015-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7441B1 (ko) 락토바실러스 카세이 균주를 이용한 고순도 진세노사이드 Rd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83082A (ko) 난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 조성물
TWI668009B (zh) 用於皮膚美白之包含經醱酵之小麥胚芽的皮膚外用劑
TWI734048B (zh) 包含胚芽乳酸桿菌培養物的改良皮膚皺紋用化粧品組成物
KR20160129453A (ko) 마태반 발효물 및 마유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139472B1 (ko) 기능성 펩타이드와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노화 개선용 조성물
KR102088728B1 (ko)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2842950A (zh) 乳酸菌发酵的桦树汁及其在具有抗环境压力功效的化妆品组合物中的应用
JP6807535B2 (ja) 線維芽細胞増殖剤
JP2019038760A (ja) 皮膚外用剤
KR102350857B1 (ko) 국화 및 목련 유성온천수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98311B1 (ko) 두유 복합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7105745A (ja) 皮膚外用剤
CN107362127A (zh) 含有烟酰肽及天然发酵物的化妆品组合物
KR101658796B1 (ko) 마태반 발효물 및 생약성분을 이용한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8197211A (ja) 皮膚外用剤
US20130164399A1 (en) Cytoprotective agent
KR101658799B1 (ko) 마태반 발효물 및 생약성분을 이용한 피부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351382B1 (ko) 포도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97231B1 (ko) 효소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된 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34977B1 (ko) 로얄젤리의 락토바실러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77991A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20119520A (ko) 대나무수액의 균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60087507A (ko) 녹두·강낭콩·흑콩 발효-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