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879B1 - 도로상태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도로상태 지도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도로상태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도로상태 지도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879B1
KR102031879B1 KR1020170148322A KR20170148322A KR102031879B1 KR 102031879 B1 KR102031879 B1 KR 102031879B1 KR 1020170148322 A KR1020170148322 A KR 1020170148322A KR 20170148322 A KR20170148322 A KR 20170148322A KR 102031879 B1 KR102031879 B1 KR 102031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information
vehicle
map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2550A (ko
Inventor
이상우
천세범
안종선
허문범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48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879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8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26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within the own vehicle, e.g. a local storage device, digital ma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로(車路) 단위의 도로상태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도로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으로,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도로에 대한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상태정보를 대응시켜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차량이 현재 주행중인 도로에서의 차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로상태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도로상태 지도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TRANSMITTING ROAD STATUS AND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MAKING ROAD STATUS MAP}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로상태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도로상태 지도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산업분야에서는 정보통신기술과 자동차 기술 등을 결합하여 주행중인 차량에서 추천 경로를 제공받는 등의 경로안내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차량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기술을 전제로 하는데, 현재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은 그 정확도가 높지 않아서 보다 정교한 경로 안내가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차로가 많은 다차로 도로의 경우, 각 차로 별로 도로의 상태가 상이하여 차로를 구분하여 경로를 안내할 필요가 있음에도, 차량의 위치 파악 정확도의 한계로 인해 차로별 안내를 하고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차로를 구분하여 경로를 안내하기 위해서는 각 차로의 상태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도로에 센서를 부착하는 등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센서의 유지 보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도로의 면적이 넓어서 모든 도로에 센서를 설치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나아가 보다 정확한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도로의 상태정보 지도를 생성할 수 있는 도로상태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도로상태 지도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 해당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입장에서 도로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도로상태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로상태 지도와,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위험도를 나타내는 위험도 지도를 획득할 수 있는 도로상태 지도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의 상태까지 고려하여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도로상태 지도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로(車路) 단위의 도로상태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도로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도로에 대한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상태정보를 대응시켜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차량이 현재 주행중인 도로에서의 차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외부장치로부터 위치 보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보정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보정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는 위치를 알고 있는 하나 이상의 기준 위치에서의 위치 측정에 따른 측정 위치와 상기 기준 위치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보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보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보정정보의 정확도를 더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의 측정 정확도 및 상기 보정정보의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정보의 신뢰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정보의 신뢰도를 상기 외부장치에 더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감지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로에 대한 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타이어 공기압 센서, 영상 센서, 레이저 센서, 진동 센서, 음향 센서, 관성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로(車路) 단위의 도로상태 지도를 생성하는 방법은, 차량으로부터 주행중인 도로의 위치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도로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도로상태 지도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도로상태 지도를 참조하여, 도로상태정보를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에서의 차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도로상태 지도 상의 상기 차로의 상태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지도를 생성하는 방법은, 상기 지도를 갱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도로상태 지도 및 부가정보를 참조하여 위험도 지도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도로의 기상정보, 상기 도로의 통행량 정보, 상기 도로에서 차량의 평균 주행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로부터 관심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도 지도를 참조하여, 상기 관심 위치의 위험도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심 위치는 복수의 위치를 포함하는 주행 경로이고,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위험도 지도를 참조하여, 상기 주행 경로의 적어도 일 부분에 대한 추천 차로를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로부터 관심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도로상태 지도를 참조하여, 상기 관심 위치의 도로상태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심 위치는 복수의 위치를 포함하는 주행 경로이고,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도로상태 지도를 참조하여, 상기 주행 경로의 적어도 일 부분에 대한 추천 차로를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의 신뢰도를 더 수신하고,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신뢰도를 더 참조하여 상기 도로상태 지도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로(車路) 단위의 도로상태 지도를 생성하기 위한 도로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제어부는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도로에 대한 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상태정보를 대응시켜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차량이 현재 주행중인 도로에서의 차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고, 외부장치로부터 위치 보정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보정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보정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는 위치를 알고 있는 하나 이상의 기준 위치에서의 위치 측정에 따른 측정 위치와 상기 기준 위치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보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보정정보의 정확도를 더 수신하고,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의 측정 정확도 및 상기 보정정보의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정보의 신뢰도를 산출하고, 상기 위치정보의 신뢰도를 상기 외부장치에 더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감지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감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로에 대한 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로(車路) 단위의 도로상태 지도를 생성하는 장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차량으로부터 상기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에서의 차로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의 위치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도로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도로상태 지도를 갱신하고, 상기 도로상태 지도를 참조하여 도로상태정보를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량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나아가 보다 정확한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도로의 상태정보 지도를 생성할 수 있는 도로상태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도로상태 지도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실제 해당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입장에서 도로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도로상태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로상태 지도와,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위험도를 나타내는 위험도 지도를 획득할 수 있는 도로상태 지도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의 상태까지 고려하여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도로상태 지도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지도 생성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구비되는 도로상태 전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전송 장치가 동작하는 예시적인 환경과, 이 때의 도로상태 전송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전송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도로상태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탑재되는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일 실시예에서의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제어부가 주행 경로의 적어도 일 부분에 대한 추천 차로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도로상태 지도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지도 생성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지도 생성 시스템은 도로(500)를 주행하는 차량(100), 차량(100)으로부터 위치정보와 해당 위치에서의 도로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도로상태 지도를 갱신하는 서버(200), 도로(500)에 대한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서버(300) 및 위치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지도 생성 시스템은 도로(500)를 주행하는 하나 이상의 차량(100)으로부터 도로의 위치정보와 해당 위치에서의 도로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도로상태 지도를 생성 및/또는 갱신할 수 있다.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서버(300)가 제공하는 부가정보를 더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위험도 지도를 생성 및/또는 갱신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생성 및/또는 갱신된 도로상태 지도와 위험도 지도에 기초하여 차량(100)이 현재 주행중인 도로(50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가령 선행하는 차량(100B)이 전송한 정보에 의해 도로상태 지도 및 위험도 지도가 생성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후행하는 차량(100A)에 대해 도로(50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차량(100)은 도로(500)상에서 주행하는 다양한 운송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차량(100)은 도로(500)상에서 주행하는 승용차, 버스, 트럭, 2륜자동차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차량(100)은 자신이 현재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위치정보와, 해당 위치에서의 도로의 상태정보를 획득하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에서 개별적인 차량(100)은 도로상태 수집기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로(5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로(車路)를 갖는 차량(100) 통행을 위한 길을 의미할 수 있다. 도로(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차로를 갖는 도로일 수도 있고, 단 한 개의 차로만을 갖는 도로일 수도 있다. 이때 각 차로는 차선에 의해 구분되는 도로 상의 어느 일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서버(300)는 도로(500)와 관련된 다양한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가령 서버(300)가 기상서버인 경우, 서버(300)는 도로(500)주변의 현재 날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가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인 경우, 서버(300)는 도로(500)의 통행량에 관한 정보, 도로(500)에서의 차량의 평균 주행 속도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로(500)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라면 본 발명의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서버(300)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서버(300)는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별도의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고, 후술하는 서버(200)와 병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서버(300)가 별도의 서버로 구성됨을 전제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위치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장치(400)는 차량(100) 또는 단말(미도시)에 구비되는 위치 파악 장치(가령 GPS 모듈 등)로 차량(100)의 위치를 파악할 경우 발생되는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400)는 다양한 방식에 따라 위치 보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가령 장치(400)는 위치를 알고 있는 하나 이상의 기준 위치에서의 위치 측정에 따른 측정 위치와 기준 위치(정확히 파악하고 있는)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위치 보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장치(400)는 위치 보정 정보가 이미 알고 있는 기준 위치와 측정에 따른 측정 위치 간의 거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위치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장치(400)는 복수일 수 있다. 차량(100)은 보다 정확한 보정을 위해, 자신과 가장 가까운 위치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장치(400)로부터 보정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가령 차량(100)은 세 개 이상의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장치(400)로부터 보정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버(200)는 하나 이상의 차량(100)으로부터 위치정보 및 도로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도로상태 지도를 갱신할 수 있다. 물론 서버(200)는 상술한 정보들에 기초하여 위험도 지도를 갱신할 수도 있고, 갱신된 도로상태 지도 및 위험도 지도를 다시 차량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전술한 시스템의 각 구성은 통신망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통신망은 가령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CDMA(Code-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D-AMPS(Digital-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WCDMA, HSDPA, Wibro 및 LTE(Long Term Evolution)의 무선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 이거나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통신망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중 어느 하나 이거나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이 서버(200)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먼저 설명하고, 서버(200)가 차량(100)으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각 지도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중에 설명한다.
< 차량(100)이 서버(200)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자신이 현재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위치정보와, 해당 위치에서의 도로의 상태정보를 획득하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차량(100)이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에 구비되는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는 차량(100)의 위치를 파악하고, 도로상태를 서버(200)제 전송하기 위해 제1제어부(111), 제1메모리(112), 제1통신부(113) 및 센서(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제어부(111)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메모리(112)는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메모리(112)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통신부(113)는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가 차량(100) 및/또는 서버(200)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일 수 있다. 이 때 제1통신부(113)는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따라 그 구성이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114)는 도로의 상태를 직접 감지하기 위한 진동 센서, 영상 센서 등과 같은 센서일 수도 있고, 차량(100)에 다른 목적을 위해 기 탑재된 타이어 공기압 센서, 레이저 센서, 음향 센서, 관성 센서 및 가속도 센서등과 같은 센서일 수도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114)는 도로의 상태를 직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센서까지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100)과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일 수도 있고, 차량(100)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가 동작하는 예시적인 환경과, 이 때의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도로(500)는 네 개의 차로(510, 520, 530, 540)를 포함하고, 곳곳에 파손된 부분(501 내지 505)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차량(100A)은 2차로로 계속 주행한다고 가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의 제1제어부(111)는 차량(100A)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위치정보는 차량(100A)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로, GPS좌표와 같이 차량(100A)의 절대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절대적인 위치 외에, 차량(100A)이 현재 주행중인 도로에서 주행중인 차로(52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차량(100A)이 현재 올림픽대로에서 김포공항 방향으로 진행중인 경우, 위치정보는 차량(100A)의 절대 위치에 대응되는 GPS좌표(37.533385, 127.033051)와 현재 주행중인 차로(520)에 관한 정보인 '2차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제어부(111)는 차량(100A)의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1제어부(111)는 다양한 방식으로 차량(100A)의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가령 제1제어부(111)는 차량의 GPS 좌표를 확인함으로써 차량(100A)의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술한 방법에 의한 차량(100A)의 위치 측정은 정확도가 높지 않을 수 있다. 가령 제1제어부(111)는 차량(100A)의 현재 위치를 다른 위치(601)로 파악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제어부(111)는 외부장치로부터 위치 보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가령 제1제어부(111)는 전술한 위치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장치(400)로부터 위치 보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위치 보정정보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서 제1제어부(111)가 측정한 차량(100A)의 위치(601)의 측정 오차를 줄이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위치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장치(400)는 위치를 알고 있는 하나 이상의 기준 위치(603)에서의 위치 측정에 따른 측정 위치(602)와 기준 위치(603)간의 거리 에 기초하여 위치 보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음은 전술하였다.
바꾸어 말하면 위치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장치(400)는 실제 위치(603)와 측정 위치(602)간의 거리를 파악하고, 이에 기초하여 차량(100A)의 위치(601)를 어떻게 보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보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제어부(111)는 복수의 위치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장치(400) 중 가장 가까운 장치로부터 이러한 보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제어부(111)는 위치 보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제어부(111)는 복수의 위치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장치(400) 중 가까운 수 개의 장치(가령 3개의 장치)로부터 이러한 보정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제1제어부(111)는 외부장치로부터 보정정보의 정확도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보정정보의 정확도는 외부장치가 산출한 보정정보를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보정정보의 산출에 소요된 시간, 사용된 인공위성의 수 등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가령 제1제어부(111)는 위치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장치(400)로부터 정확도를 80%와 같은 수치로 수신할 수도 있고, 신뢰 가능/불가능의 형태로 수신할 수도 있고, 지도상의 후보 영역 형태로 수신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신된 보정정보의 정확도는 후술하는 신뢰도 산출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제어부(111)는 위치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위치 보정정보를 참조하여 측정된 위치(601)를 보정하여 올바른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제어부(111)는 다른 위치(601)를 보정정보에 포함된 차이만큼 이동시킴으로써 차량(100A)의 올바른 위치를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차량(100A)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나아가 보다 정확한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도로의 상태정보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제어부(111)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보정정보의 정확도와 차량(100A)의 현재 위치의 측정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술한 과정에 의해 생성된 위치정보의 신뢰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차량(100A)의 현재 위치의 측정 정확도는 측정된 위치(601)와 실제 위치(즉 보정된 위치)의 차이, 차량(100A)의 현재 위치 측정에 소요된 시간, 위치 측정에 사용된 인공위성의 수 등에 기초하여 제1제어부(111)에 의해 산출된것일 수 있다. 산출된 위치정보의 신뢰도는 위치정보와 함께 서버(200)에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제어부(111)는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도로(500)에 대한 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제어부(111)는 차량(100A)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감지정보를 획득하고, 이에 기초하여 도로(500)에 대한 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가령 차량(100A)에 영상 센서와 진동 센서가 탑재되고, 차량(100A)이 파손된 부분(505)을 지나가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이러한 경우 제1제어부(111)는 영상 센서로부터 파손된 부분(505)의 영상을 수신하여 파손된 부분의 크기(가령 포트홀의 면적)를 산출하고, 진동 센서로부터 진동 정보를 수신하여 파손된 정도(가령 포트홀의 깊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제어부(111)는 파손된 부분의 크기 및 정도에 기초하여 도로(500), 특히 2차로(520)에 대한 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제어부(111)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 생성된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대응시켜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제어부(111)는 가령 서버(200)로 정보들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1제어부(111)는 위치정보와 함께 전술한 과정에 의해서 산출된 위치정보의 신뢰도를 외부장치(가령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실제 해당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입장에서 도로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에 의해 수행되는 도로상태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4 내지 도 5b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는 차량(100A)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10)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도로(500)는 네 개의 차로(510, 520, 530, 540)를 포함하고, 곳곳에 파손된 부분(501 내지 505)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차량(100A)은 2차로로 계속 주행한다고 가정한다.
본 발명에서 위치정보는 차량(100A)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로, GPS좌표와 같이 차량(100A)의 절대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절대적인 위치 외에, 차량(100A)이 현재 주행중인 도로에서 주행중인 차로(52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차량(100A)이 현재 올림픽대로에서 김포공항 방향으로 진행중인 경우, 위치정보는 차량(100A)의 절대 위치에 대응되는 GPS좌표(37.533385, 127.033051)와 현재 주행중인 차로(520)에 관한 정보인 '2차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는 차량(100A)의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S411) 이때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는 다양한 방식으로 차량(100A)의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가령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는 차량의 GPS 좌표를 확인함으로써 차량(100A)의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술한 방법에 의한 차량(100A)의 위치 측정은 정확도가 높지 않을 수 있다. 가령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는 차량(100A)의 현재 위치를 다른 위치(601)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는 외부장치로부터 위치 보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412) 가령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는 전술한 위치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장치(400)로부터 위치 보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위치 보정정보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서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가 측정한 차량(100A)의 위치(601)의 측정 오차를 줄이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위치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장치(400)는 위치를 알고 있는 하나 이상의 기준 위치(603)에서의 위치 측정에 따른 측정 위치(602)와 기준 위치(603)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위치 보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음은 전술하였다.
바꾸어 말하면 위치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장치(400)는 실제 위치(603)와 측정 위치(602)간의 거리를 파악하고, 이에 기초하여 차량(100A)의 위치(601)를 어떻게 보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보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는 복수의 위치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장치(400) 중 가장 가까운 장치로부터 이러한 보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로써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는 위치 보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는 복수의 위치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장치(400) 중 가까운 수 개의 장치(가령 3개의 장치)로부터 이러한 보정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는 외부장치로부터 보정정보의 정확도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보정정보의 정확도는 외부장치가 산출한 보정정보를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보정정보의 산출에 소요된 시간, 사용된 인공위성의 수 등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가령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는 위치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장치(400)로부터 정확도를 80%와 같은 수치로 수신할 수도 있고, 신뢰 가능/불가능의 형태로 수신할 수도 있고, 지도상의 후보 영역 형태로 수신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신된 보정정보의 정확도는 후술하는 신뢰도 산출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는 위치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위치 보정정보를 참조하여 측정된 위치(601)를 보정하여 올바른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413)
바꾸어 말하면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는 다른 위치(601)를 보정정보에 포함된 차이만큼 이동시킴으로써 차량(100A)의 올바른 위치를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차량(100A)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나아가 보다 정확한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도로의 상태정보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보정정보의 정확도와 차량(100A)의 현재 위치의 측정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전술한 과정에 의해 생성된 위치정보의 신뢰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차량(100A)의 현재 위치의 측정 정확도는 측정된 위치(601)와 실제 위치(즉 보정된 위치)의 차이, 차량(100A)의 현재 위치 측정에 소요된 시간, 위치 측정에 사용된 인공위성의 수 등에 기초하여 제1제어부(111)에 의해 산출된것일 수 있다. 산출된 위치정보의 신뢰도는 위치정보와 함께 서버(200)에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는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도로(500)에 대한 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20)
보다 구체적으로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는 차량(100A)에 탑재된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감지정보를 획득하고(S421), 이에 기초하여 도로(500)에 대한 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22)
가령 차량(100A)에 영상 센서와 진동 센서가 탑재되고, 차량(100A)이 파손된 부분(505)을 지나가는 경우를 가정해 보자. 이러한 경우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는 영상 센서로부터 파손된 부분(505)의 영상을 수신하여 파손된 부분의 크기(가령 포트홀의 면적)를 산출하고, 진동 센서로부터 진동 정보를 수신하여 파손된 정도(가령 포트홀의 깊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는 파손된 부분의 크기 및 정도에 기초하여 도로(500), 특히 2차로(520)에 대한 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 생성된 위치정보와 상태정보를 대응시켜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430) 이때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는 가령 서버(200)로 정보들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는 위치정보와 함께 전술한 과정에 의해서 산출된 위치정보의 신뢰도를 외부장치(가령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실제 해당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입장에서 도로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 서버(200)가 각 지도를 생성하는 방법 >
이상에서는 도 2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가 위치정보 및 상태정도를 생성하고 이를 서버(200)로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서버(200)가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정보들에 기초하여 도로상태 지도 및 위험도 지도를 생성하고, 이를 다른 차량(100) 등에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에 탑재되는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는 도로상태 전송 장치(110)가 송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도로상태 지도 및 위험도 지도를 생성하고, 이를 다른 차량(100)에 제공하기 위해 제2제어부(211), 제2메모리(212) 및 제2통신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제어부(211)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메모리(212)는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2메모리(212)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통신부(213)는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가 서버(200),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서버(300) 및/또는 차량(100)과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일 수 있다. 이 때 제2통신부(213)는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따라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와같은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는 서버(200)와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일 수도 있고, 서버(200)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일 실시예에서의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여, 도로(500)는 네 개의 차로를 포함하고, 곳곳에 파손된 부분(501 내지 505)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차량(100A)은 2차로(520)로 계속 주행하면서 주행중인 도로의 위치정보 및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도로, 특히 2차로(520)의 상태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고 가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의 제2제어부(211)는 차량(100A)으로부터 주행중인 도로(500)의 위치정보 및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도로(500)의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100A)은 2차로(520)를 주행하면서 정보를 전송하므로, 제2제어부(211)는 2차로(520)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2제어부(211)는 차량(100A)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의 신뢰도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신뢰도는 추후 제2제어부(211)가 도로상태 지도를 갱신하는데 참조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제어부(211)는 차량(100A)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도로상태 지도를 갱신할 수 있다.
도 7b는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가 갱신한 도로상태 지도(600)의 예시이다.
도 7a에서와 같이 차량(100A)은 2차로(520)로 계속 주행하면서 주행중인 도로의 위치정보 및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도로, 특히 2차로(520)의 상태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며, 도로(500)에 대한 기존 도로상태 지도가 없는 경우라고 가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제어부(211)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서 수신한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도로상태 지도(600)를 갱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100A)이 2차로(520)를 주행하였으므로, 차량(100A)으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는 2차로(520)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제어부(211)는 도로상태 지도(600)에서 2차로(520)에 대응되는 부분(620)을 도시된 바와 같이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제어부(211)는 이후에 다른 차량이 해당 도로(500)의 다른 차선을 통과할 때의 정보를 더 수신하여, 도로상태 지도(600)의 나머지 부분도 갱신할 수 있다. 물론 제2제어부(211)는 동일한 차로(520)를 통과하는 다른 차량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도로상태 지도(600)의 해당 부분(620)을 갱신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제어부(211)는 차량(100A)으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의 신뢰도를 더 참조하여 도로상태 지도를 갱신할 수 있다. 가령 제2제어부(211)는 신뢰도가 낮은 경우, 해당 위치정보를 도로상태 지도의 갱신에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제어부(211)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 생성된 도로상태 지도(600)와 부가정보를 참조하여 위험도 지도를 갱신할 수 있다. 이때 부가정보는 제2제어부(211)가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서버(300)로부터 획득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가령 부가정보는 도로(500)의 기상정보, 도로(500)의 통행량 정보, 도로(500)에서 차량의 평균 주행 속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7c는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가 갱신한 위험도 지도(700)의 예시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로상태 지도(600)가 도 7b와 같이 생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제어부(211)는 도로상태 지도(600)를 참조하여 주행 시 위험도가 높은 부분을 확인하고, 위험도 지도(700)에서 해당 부분(720)의 위험도가 높게 갱신할 수 있다. 이 때 제2제어부(211)는 차량(100A)이 통과한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720)의 위험도를 갱신할 수 있다.
한편 제2제어부(211)는 해당 도로(500)에 대한 부가정보를 확인하고,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위험도 지도(700)를 갱신할 수도 있다. 가령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서버(300)가 기상서버이고 도로(500)의 일부 구간의 온도가 영하인 경우, 제2제어부(211)는 해당 구간에 대응되는 영역(721)의 위험도가 높게 갱신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도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로상태 지도(600)와,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위험도를 나타내는 위험도 지도(700)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제어부(211)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 갱신된 도로상태 지도를 참조하여, 도로상태 정보를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외부장치는, 차량(100)일 수도 있고, 차량에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다른 서버(미도시)일 수도 있다. 또한 외부장치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제어부(211)는 외부장치로부터 관심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관심위치는 상태를 알고자 하는 도로상의 어느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관심 위치는 단수의 지점일 수도 있고, 복수의 위치를 포함하는 경로일 수도 있다. 가령 외부장치가 차량인 경우, 관심 위치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에 이르는 주행경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제어부(211)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 갱신된 도로상태 지도를 참조하여, 수신된 관심 위치의 도로상태 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가령 관심위치가 어떤 지점인 경우, 제2제어부(211)는 해당 지점의 도로상태가 좋음, 나쁨 등의 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심위치가 복수의 위치를 포함하는 주행 경로인 경우, 제2제어부(211)는 복수의 위치 각각에 대한 도로상태와 더불어 주행 경로의 적어도 일 부분에 대한 추천 차로를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추천 차로는 도로의 상태에 기반하여 판단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제어부(211)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 갱신된 위험도 지도를 참조하여, 수신된 관심 위치의 위험도 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가령 관심위치가 어떤 지점인 경우, 제2제어부(211)는 해당 지점의 위험도가 높음, 낮음 등의 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심위치가 복수의 위치를 포함하는 주행 경로인 경우, 제2제어부(211)는 복수의 위치 각각에 대한 위험도와 더불어 주행 경로의 적어도 일 부분에 대한 추천 차로를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추천 차로는 위험도에 기반하여 판단되는 것일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제어부(211)가 주행 경로의 적어도 일 부분에 대한 추천 차로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여, 출발지(801) 및 도착지(802)가 도시된 바와 같다고 가정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도 8b와 같이 단순히 출발지(801)에서 도착지(802)에 이르는 경로(810)만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나 도 8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제어부(211)는 출발지(801)에서 도착지(802)에 이르는 경로(820)와 더불어, 각 구간에서의 추천 차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도로의 상태까지 고려하여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에 의해 수행되는 도로상태 지도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b을 통해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는 차량으로부터 주행중인 도로의 위치정보 및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도로의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910)
다시 도 7a를 참조하여, 도로(500)는 네 개의 차로를 포함하고, 곳곳에 파손된 부분(501 내지 505)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차량(100A)은 2차로(520)로 계속 주행하면서 주행중인 도로의 위치정보 및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도로, 특히 2차로(520)의 상태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고 가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100A)은 2차로(520)를 주행하면서 정보를 전송하므로,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는 2차로(520)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는 차량(100A)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의 신뢰도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신뢰도는 추후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가 도로상태 지도를 갱신하는데 참조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는 차량(100A)으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도로상태 지도를 갱신할 수 있다.(S920)
도 7a에서와 같이 차량(100A)은 2차로(520)로 계속 주행하면서 주행중인 도로의 위치정보 및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도로, 특히 2차로(520)의 상태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며, 도로(500)에 대한 기존 도로상태 지도가 없는 경우라고 가정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서 수신한 위치정보 및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도로상태 지도(600)를 갱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100A)이 2차로(520)를 주행하였으므로, 차량(100A)으로부터 수신한 상태정보는 2차로(520)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는 도로상태 지도(600)에서 2차로(520)에 대응되는 부분(620)을 도시된 바와 같이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는 이후에 다른 차량이 해당 도로(500)의 다른 차선을 통과할 때의 정보를 더 수신하여, 도로상태 지도(600)의 나머지 부분도 갱신할 수 있다. 물론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는 동일한 차로(520)를 통과하는 다른 차량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도로상태 지도(600)의 해당 부분(620)을 갱신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는 차량(100A)으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의 신뢰도를 더 참조하여 도로상태 지도를 갱신할 수 있다. 가령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는 신뢰도가 낮은 경우, 해당 위치정보를 도로상태 지도의 갱신에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 생성된 도로상태 지도(600)와 부가정보를 참조하여 위험도 지도를 갱신할 수 있다.(S930) 이때 부가정보는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가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서버(300)로부터 획득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가령 부가정보는 도로(500)의 기상정보, 도로(500)의 통행량 정보, 도로(500)에서 차량의 평균 주행 속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로상태 지도(600)가 도 7b와 같이 생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는 도로상태 지도(600)를 참조하여 주행 시 위험도가 높은 부분을 확인하고, 위험도 지도(700)에서 해당 부분(720)의 위험도가 높게 갱신할 수 있다. 이 때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는 차량(100A)이 통과한 부분과 대응되는 부분(720)의 위험도를 갱신할 수 있다.
한편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는 해당 도로(500)에 대한 부가정보를 확인하고, 부가정보에 기초하여 위험도 지도(700)를 갱신할 수도 있다. 가령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서버(300)가 기상서버이고 도로(500)의 일부 구간의 온도가 영하인 경우,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는 해당 구간에 대응되는 영역(721)의 위험도가 높게 갱신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도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로상태 지도(600)와,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위험도를 나타내는 위험도 지도(700)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 갱신된 도로상태 지도를 참조하여, 도로상태 정보를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S940) 이때 외부장치는, 차량(100)일 수도 있고, 차량에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다른 서버(미도시)일 수도 있다. 또한 외부장치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는 외부장치로부터 관심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관심위치는 상태를 알고자 하는 도로상의 어느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관심 위치는 단수의 지점일 수도 있고, 복수의 위치를 포함하는 경로일 수도 있다. 가령 외부장치가 차량인 경우, 관심 위치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에 이르는 주행경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 갱신된 도로상태 지도를 참조하여, 수신된 관심 위치의 도로상태 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가령 관심위치가 어떤 지점인 경우,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는 해당 지점의 도로상태가 좋음, 나쁨 등의 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심위치가 복수의 위치를 포함하는 주행 경로인 경우,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는 복수의 위치 각각에 대한 도로상태와 더불어 주행 경로의 적어도 일 부분에 대한 추천 차로를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추천 차로는 도로의 상태에 기반하여 판단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는 전술한 과정에 의해 갱신된 위험도 지도를 참조하여, 수신된 관심 위치의 위험도 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가령 관심위치가 어떤 지점인 경우,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는 해당 지점의 위험도가 높음, 낮음 등의 정보를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심위치가 복수의 위치를 포함하는 주행 경로인 경우,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는 복수의 위치 각각에 대한 위험도와 더불어 주행 경로의 적어도 일 부분에 대한 추천 차로를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추천 차로는 위험도에 기반하여 판단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도 8a를 참조하여, 출발지(801) 및 도착지(802)가 도시된 바와 같다고 가정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도 8b와 같이 단순히 출발지(801)에서 도착지(802)에 이르는 경로(810)만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도 8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210)는 출발지(801)에서 도착지(802)에 이르는 경로(820)와 더불어, 각 구간에서의 추천 차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도로의 상태까지 고려하여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차량
100A, 100B: 차량
110: 도로상태 전송 장치
111: 제1제어부
112: 제1메모리
113: 제1통신부
114: 센서
200: 서버
210: 도로상태 지도 생성 장치
211: 제2제어부
212: 제2메모리
213: 제2통신부
300: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400: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장치
500: 도로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차로(車路) 단위의 도로상태 지도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으로부터 주행중인 도로의 위치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도로의 상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도로상태 지도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도로상태 지도를 참조하여, 도로상태정보를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보는
    알고 있는 하나 이상의 기준 위치에서의 위치 측정에 따른 측정 위치와 상기 기준 위치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생성한 위치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측정한 현재 위치를 보정한 위치정보로써, 상기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에서의 차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의 측정 정확도 및 상기 보정정보의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산출된 위치정보의 신뢰도를 더 수신하고,
    상기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신뢰도를 더 참조하여 상기 도로상태 지도 상의 상기 차로의 상태를 갱신하는, 도로상태 지도를 생성하는, 도로상태 지도를 생성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상태 지도를 생성하는 방법은
    상기 지도를 갱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도로상태 지도 및 부가정보를 참조하여 위험도 지도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도로의 기상정보, 상기 도로의 통행량 정보, 상기 도로에서 차량의 평균 주행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로상태 지도를 생성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로부터 관심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위험도 지도를 참조하여, 상기 관심 위치의 위험도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로상태 지도를 생성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위치는
    복수의 위치를 포함하는 주행 경로이고,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위험도 지도를 참조하여, 상기 주행 경로의 적어도 일 부분에 대한 추천 차로를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도로상태 지도를 생성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로부터 관심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도로상태 지도를 참조하여, 상기 관심 위치의 도로상태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로상태 지도를 생성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심 위치는
    복수의 위치를 포함하는 주행 경로이고,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도로상태 지도를 참조하여, 상기 주행 경로의 적어도 일 부분에 대한 추천 차로를 상기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도로상태 지도를 생성하는 방법.
  13. 삭제
  14.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차로(車路) 단위의 도로상태 지도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차량으로부터 도로의 위치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와 대응되는 상기 도로의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도로상태 지도를 갱신하고, 상기 도로상태 지도를 참조하여 도로상태정보를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위치정보는
    알고 있는 하나 이상의 기준 위치에서의 위치 측정에 따른 측정 위치와 상기 기준 위치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생성한 위치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이 측정한 현재 위치를 보정한 위치정보로써, 상기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에서의 차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도로의 상태정보를 수신함에 있어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의 측정 정확도 및 상기 보정정보의 정확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산출된 위치정보의 신뢰도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도로상태 지도를 갱신함에 있어서, 상기 신뢰도를 더 참조하여 상기 도로상태 지도를 갱신하는, 도로상태 지도를 생성하는 장치.
KR1020170148322A 2017-11-08 2017-11-08 도로상태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도로상태 지도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31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322A KR102031879B1 (ko) 2017-11-08 2017-11-08 도로상태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도로상태 지도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322A KR102031879B1 (ko) 2017-11-08 2017-11-08 도로상태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도로상태 지도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550A KR20190052550A (ko) 2019-05-16
KR102031879B1 true KR102031879B1 (ko) 2019-10-14

Family

ID=66672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322A KR102031879B1 (ko) 2017-11-08 2017-11-08 도로상태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도로상태 지도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8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47592B (zh) * 2020-03-24 2023-09-2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确定传输资源的方法、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7044A (ja) * 2009-06-11 2010-12-24 Isuzu Motors Ltd 道路情報提供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6180797A (ja) * 2015-03-23 2016-10-13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道路情報生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7167053A (ja) * 2016-03-17 2017-09-2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位置決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4116A (ko) * 2015-06-08 2016-12-16 (주)와이티엔디엠비 단위 도로를 이용한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7044A (ja) * 2009-06-11 2010-12-24 Isuzu Motors Ltd 道路情報提供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6180797A (ja) * 2015-03-23 2016-10-13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道路情報生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7167053A (ja) * 2016-03-17 2017-09-2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位置決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550A (ko)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0604B2 (ja) 自己位置推定装置
US8265869B2 (en)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and vehicle navigation program
US11287524B2 (en) System and method for fusing surrounding V2V signal and sensing signal of ego vehicle
JP5422111B2 (ja) 走行経路検出用の車載器
JP6229523B2 (ja) 自車走行位置特定装置及び自車走行位置特定プログラム
JP6620720B2 (ja) 路面状態判定システム
CN102620741B (zh) 路线引导系统、路线引导方法以及路线引导程序
WO2013008888A1 (ja) 位置通知装置及び車両位置通知方法、並びに車載器、車両位置算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車両位置算出システム
WO2014132432A1 (ja) 車両位置表示制御装置および車両位置特定プログラム
CN103827633A (zh) 用于确定车辆的位置数据的方法
CN104280029A (zh) 确定交通工具本身位置的至少一个状态参量的方法和设备
JP2016218015A (ja) 車載センサ補正装置、自己位置推定装置、プログラム
US11215459B2 (en) Object recognition device, object recognition method and program
KR102031879B1 (ko) 도로상태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도로상태 지도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6916705B2 (ja) 自動運転の自車位置検出装置
JPH1137776A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6642192B2 (ja) 車両の位置検出装置
WO2021033312A1 (ja) 情報出力装置、自動運転装置、及び、情報出力方法
KR101236706B1 (ko) 실시간 가상 맵 매칭 방법 및 장치
JP5099450B2 (ja)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車両方位変更箇所判定プログラム
JP6083741B2 (ja) Gps信頼度判定装置、位置検出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6105257A (ja) 地図情報提供装置
WO2017026108A1 (ja) 補正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補正装置
JP6561913B2 (ja) 経路情報提供装置
JP2019158704A (ja) 走行軌跡取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