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4116A - 단위 도로를 이용한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단위 도로를 이용한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4116A
KR20160144116A KR1020150080461A KR20150080461A KR20160144116A KR 20160144116 A KR20160144116 A KR 20160144116A KR 1020150080461 A KR1020150080461 A KR 1020150080461A KR 20150080461 A KR20150080461 A KR 20150080461A KR 20160144116 A KR20160144116 A KR 20160144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formation
lane
roa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엽
이창구
장지혜
Original Assignee
(주)와이티엔디엠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티엔디엠비 filed Critical (주)와이티엔디엠비
Priority to KR1020150080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4116A/ko
Publication of KR20160144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1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0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G08G1/09671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might be used to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where the received information does not generate an automatic action on the vehicle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7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 central st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위 도로를 이용한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 장치로부터 차선 및 교차로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단위 도로 중 유고 상황이 발생한 단위 도로와 상기 유고 상황의 종류를 나타내는 유고 상황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하나의 단위 도로와 연속되어 연결된 복수의 단위 도로에서 차량의 이동 속도인 단위 도로 속도를 수집한 후, 수집된 단위 도로 속도에 따라 상기 유고 상황이 발생한 단위 도로와 연속되어 연결된 단위 도로 중 차량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미만인 모든 단위 도로를 유고 영역으로 지정한 유고 영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유고 영역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와,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위 도로를 이용한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pparatus for presenting information of accident using road unit,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유고 정보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위 도로를 이용하여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위치기반서비스(LBS)란 GPS, 이동통신망 등의 IT 기술을 종합적으로 활용한 위치정보 기반의 시스템 및 서비스를 말한다. 이 서비스는 고객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정보뿐만 아니라 교통정보, 위치 추적 정보 등 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한 정보 제공에 활용될 수 있다. 2002년 들어 각 이동통신사에서 GPS(위성항법장치) 칩을 내장한 단말을 이용, 차세대 LBS서비스를 시작했다. 지금까지 제공되고 있는 위치정보는 사용자의 위치를 사용자가 있는 기지국 단위로만 파악하여,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에만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따라서 단말기가 어느 기지국하고 접속하고 있느냐에 따라 위치를 확인할 수밖에 없어 정확도가 1~2㎞에 달해 위치확인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이 현실이었다. 그러나 인공위성을 이용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항법장치)와 기지국 정보를 결합한 차세대 위치정보서비스(LBS)는 30∼50m 내에서 위치추적이 된다. 이러한 위치기반서비스에는 교통관련 정보로 운전편의정보, 대중교통정보 경로탐색 및 설정 등이 있으며, 위치추적 정보로는 위치 추적, 개인위치정보, 분실된 단말기 추적 등이 있다. 또한 생활편의 정보로는 물류, 생활편의 서비스, 전화번호서비스, 지역정보 등이 있고, 상거래 정보로는 원하는 상품에 대한 통보기능, 위치기반 마케팅/광고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사고, 공사 등의 이유로 인한 유고 상황이 발생했을 때 정체된 영역을 안내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고 상황으로 인해 정체된 영역을 부득이하게 경유해야 하는 차량에 대해 가장 빠른 차선을 안내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 장치로부터 차선 및 교차로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단위 도로 중 유고 상황이 발생한 단위 도로와 상기 유고 상황의 종류를 나타내는 유고 상황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하나의 단위 도로와 연속되어 연결된 복수의 단위 도로에서 차량의 이동 속도인 단위 도로 속도를 수집한 후, 수집된 단위 도로 속도에 따라 상기 유고 상황이 발생한 단위 도로와 연속되어 연결된 단위 도로 중 차량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미만인 모든 단위 도로를 유고 영역으로 지정한 유고 영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유고 영역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수집된 단위 도로 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유고 영역 내의 복수의 차선 중 빠른 차선을 안내하는 빠른 차선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빠른 차선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모듈은 기 저장된 유고 상황의 종류 및 차선에 따른 빠른 차선이 저장된 통계 정보와 상기 유고 상황 정보에 따른 상기 유고 상황의 종류 및 상기 유고 상황이 발생한 단위 도로의 차선을 비교하여 상기 유고 영역 내의 복수의 차선 중 빠른 차선을 도출하고, 도출된 빠른 차선을 안내하는 빠른 차선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빠른 차선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화면 표시부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차선 및 차선의 연장선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단위 도로 중 유고 상황이 발생한 단위 도로와 연속되어 연결된 단위 도로 중 차량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미만의 모든 단위 도로인 유고 영역에 진입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유고 영역 내의 복수의 차선 중 빠른 차선을 안내하는 빠른 차선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빠른 차선 정보에 따른 빠른 차선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고 영역에 진입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빠른 차선 정보에 따라 상기 빠른 차선으로 차선을 변경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통해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사용자 장치로부터 차선 및 차선의 연장선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단위 도로 중 유고 상황이 발생한 단위 도로와 상기 유고 상황의 종류를 나타내는 유고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의 단위 도로와 연속되어 연결된 복수의 단위 도로에서 차량의 이동 속도인 단위 도로 속도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단위 도로 속도에 따라 상기 유고 상황이 발생한 단위 도로와 연속되어 연결된 단위 도로 중 차량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미만인 모든 단위 도로를 유고 영역으로 지정한 유고 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유고 영역 정보를 복수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집된 단위 도로 속도에 따라 상기 유고 영역 내의 복수의 차선 중 빠른 차선을 안내하는 빠른 차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빠른 차선 정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기 저장된 유고 상황의 종류 및 차선에 따른 빠른 차선이 저장된 통계 정보와 상기 유고 상황 정보에 따른 상기 유고 상황의 종류 및 상기 유고 상황이 발생한 단위 도로의 차선을 비교하여 상기 유고 영역 내의 복수의 차선 중 빠른 차선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도출된 빠른 차선을 안내하는 빠른 차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빠른 차선 정보를 복수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차선 및 차선의 연장선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단위 도로 중 유고 상황이 발생한 단위 도로와 연속되어 연결된 단위 도로 중 차량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미만의 모든 단위 도로인 유고 영역에 진입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유고 영역 내의 복수의 차선 중 빠른 차선을 안내하는 빠른 차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빠른 차선 정보에 따른 빠른 차선을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빠른 차선 정보에 따라 상기 빠른 차선으로 차선을 변경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고 상황에 따라 정체된 영역을 지나는 차량에 장착된 사용자 장치로부터 이동 속도를 수집하여, 유고 상황에 의해 실제로 정체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정체된 영역을 통과하는 차량에 장착된 사용자 장치에 빠른 차선을 안내하기 때문에 정체된 영역을 통과하는 차량이 보다 신속하게 해당 영역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로 주행 중인 사용자에게 실용적인 사용자 경험(UX)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고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 도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고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고 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빠른 차선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고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고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고 정보 제공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차량을 운전하는 사용자에게 차량 주행 경로, 차량 주행과 관련된 교통 정보, 차량 주행 시 주변 지역과 관련된 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고 정보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장치(100) 및 서비스 서버(2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선 안내 시스템은 GPS 위성(10) 및 기준국(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GPS 위성(10)은 위성 신호를 주기적으로 방사하고, 기준국(20)은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위성 신호로부터 오차를 검출하여 DPGS(Differential GPS) 방식의 보정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정 정보를 서비스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0)는 네트워크의 일 엔티티가 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 운영하는 서버이다. 사용자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차량에 장착되거나, 사용자가 휴대하는 장치이다. 사용자 장치(100)와 서비스 서버(200)는 이동통신망, IP망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호 간에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방송망을 통해 사용자 장치(100)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GPS 위성(10)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직접 제공한다. 사용자 장치(100)는 정밀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기 위하여, 위치 정보를 DGPS 방식의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보정 정보는 서비스 서버(200)가 기준국(20)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보정 정보를 사용자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서버(200)는 방송망, 이동통신망 및 IP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보정 정보를 사용자 장치(100)에 제공한다. 서비스 서버(200)는 정보를 방송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데이터 방송 신호에 포함시켜 방송송출기를 통해 사용자 장치(100)에 전송하거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기지국 또는 AP(Access Point)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예컨대, DGPS에 따른 보정 정보, 차량의 목적지까지의 다양한 경로에 대한 정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고 정보, 혹은, 차량이 지나가는 경로 주변 영업점의 광고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유니캐스트 등의 기법으로 전술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고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고 정보는 단위 도로를 기초로 제공된다. 이러한 단위 도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 도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위 도로는 차선과 교차로에 의해 구분된다. 예컨대, 도 2에 도로가 도시되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는 복수의 차선 및 교차로를 가진다. 이러한 도 2와 같은 도로는 도 3과 같이 복수의 단위 도로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도면 부호 A1 내지 A4, B1 내지 B4, C1, D1 내지 D4, E1 내지 E4, F1과 F2, G1, H1과 H2, 그리고 I1 내지 I4는 각각 단위 도로가 된다. 이와 같이, 차선 및 교차로를 기준으로 단위 도로를 구분하는 경우, 단순히 해당 영역 부근에 대한 정보가 아닌 차선 단위로 세분화하여 유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전술한 단위 도로 기반의 유고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200)는 통신 모듈(210), 저장 모듈(220) 및 제어 모듈(230)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2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종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데이터는 보정 정보, 유고 영역 정보, 빠른 차선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0)은 데이터를 전송할 때, 디지털 방송을 통해 방송 채널로 제공하거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무선 채널로 제공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0)은 해당 데이터를 방송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경우, 데이터 방송 신호에 데이터를 포함시켜 방송송출기(미도시)에 전달하며, 방송송출기는 이를 사용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0)이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기지국(미도시) 또는 AP(미도시)를 통해 사용자 장치(100)에 해당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저장 모듈(2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 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DGPS에 따른 보정 정보, 복수의 사용자 장치들이 전송한 유고 상황 정보, 유고 영역 정보, 빠른 차선 정보 등을 포함한다. 특히, 저장 모듈(220)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파일 형식 혹은 데이터베이스 형식으로 저장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 측의 의도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제어 모듈(230)은 위치 정보를 보정할 수 있도록, 통신 모듈(210)을 통해 기준국(20) 등으로부터 보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모듈(220)에 저장하고, 저장된 보정 정보를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제어 모듈(230)은 통신 모듈(210)을 통해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복수의 단위 도로 중 유고 상황이 발생한 단위 도로와 유고 상황의 종류를 나타내는 유고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 모듈(230)은 통신 모듈(210)을 통해 유고 상황이 발생한 단위 도로와 연속되어 연결된 복수의 단위 도로에서 사용자 장치(100)가 장착된 차량의 이동 속도인 단위 도로 속도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모듈(230)은 수집된 단위 도로 속도에 따라 유고 상황이 발생한 단위 도로와 연속되어 연결된 단위 도로 중 차량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미만인 모든 단위 도로를 유고 영역으로 지정한다. 그리고 제어 모듈(230)은 유고 영역으로 지정된 단위 도로를 나타내는 유고 영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 모듈(230)은 생성된 유고 영역 정보를 통신 모듈(210)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 모듈(230)은 유고 영역 내에서 단위 도로를 기준으로 빠른 차선을 안내하는 빠른 차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230)은 수집된 단위 도로 속도를 비교하여 유고 영역 내의 복수의 차선 중 빠른 차선을 안내하는 빠른 차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230)은 기 저장된 유고 상황의 종류 및 차선에 따른 빠른 차선이 저장된 통계 정보와 유고 상황 정보에 따른 유고 상황의 종류 및 유고 상황이 발생한 단위 도로의 차선을 비교하여, 유고 영역 내의 복수의 차선 중 빠른 차선을 도출하고, 도출된 빠른 차선을 안내하는 빠른 차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일 실시예 혹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빠른 차선 정보를 생성한 후, 제어 모듈(230)은 통신 모듈(210)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장치(100)로 빠른 차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단위 도로 기반으로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자체로 동작하는 스탠드얼론(standalone)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장치(100)는 이동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장치(100)는 위치 정보 수신부(110), 방송 신호 수신부(120), 통신부(130), 입력부(140), 터치스크린부(150), 저장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위치 정보 수신부(110)는 복수의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이 위치 정보는 C/A(Coarse/Acquisition code 또는 Standard code)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신부(110)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방송 신호 수신부(120)는 기본적으로, 데이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방송 신호 수신부(120)는 데이터 방송 신호로부터 각 종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어부(170)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방송 신호는 위치 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방송 신호 수신부(120)는 데이터 방송 신호로부터 보정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보정 정보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사용자 장치(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13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하고, 제어부(17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30)는 제어부(170)로부터 유고 상황 정보, 단위 도로 속도 등을 수신하여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140)는 사용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입력부(140)는 전원 on/off를 위한 전원 키, 숫자 키, 방향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100)의 일면에 소정의 기능키로 형성될 수 있다. 입력부(140)의 각 종 키들의 기능이 터치스크린부(150)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부(150)만으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입력부(140)는 생략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부(150)는 터치센서부(151) 및 표시부(152)를 포함한다. 터치센서부(15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센서부(151)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들 이외에도 물체의 접촉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센서 기기가 본 발명의 터치센서부(151)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부(15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상기 감지 신호에는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한 좌표 데이터가 포함된다. 사용자가 터치 위치 이동 동작을 입력한 경우에 터치센서부(151)는 터치 위치 이동 경로의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표시부(152)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10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52)는 사용자 장치(10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160)는 사용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사용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사용자 장치(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 장치(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또한, 저장부(160)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100)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각 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위치 정보, 보정 정보, 유고 상황 정보, 유고 영역 정보, 빠른 차선 정보, 디지털 맵, 이벤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60)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사용자 장치(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7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등이 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제어부(170)는 차량의 위치 정보, 차량의 위치 정보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정보(예컨대, DGPS 방식의 보정 정보) 등을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보정정보를 통해 보정하여, 보정된 위치 정보를 통해 보다 정밀한 위치 정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차선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단위 도로 중 어떤 단위 도로에 차량이 위치하는지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더욱이, 제어부(170)는 센서 모듈(171)을 포함하며, 센서 모듈(171)은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의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보정 정보에 의해 보정된 위치 정보와 센서 모듈(171)을 통해 측정되는 속도를 통해 어느 하나의 단위 도로를 이동하였을 때, 해당 단위 도로 내에서의 이동 속도인 단위 도로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70)는 방송 신호 수신부(120) 혹은 통신부(130)를 통해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유고 영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70)는 유고 영역 정보로부터 유고 영역을 나타내는 단위 도로를 추출하고, 사용자가 유고 영역을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부(152)를 통해 유고 영역으로 지정된 단위 도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방송 신호 수신부(120) 혹은 통신부(130)를 통해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빠른 차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빠른 차선으로 지정된 단위 도로로 진행하도록 빠른 차선 정보로부터 빠른 차선으로 지정된 단위 도로를 추출하여, 추출된 단위 도로로 경로를 안내하는 화면을 표시부(152)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고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고 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 두 종류의 사용자 장치(100)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제1 사용자 장치(101)는 유고 상황을 알리기 위한 사용자 장치(100)이며, 복수의 제2 사용자 장치(102)는 제1 사용자 장치(101) 이외의 사용자 장치(100)이다. 또한, 제1 사용자 장치(101) 및 제2 사용자 장치(102)는 차량에 부착되거나 차량 내에서 사용자가 소지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제1 사용자 장치(101)의 사용자는 유고 상황이 발생한 것을 인지하고, 유고 상황을 제보할 수 있다. 이러한 제보를 위하여, 제1 사용자 장치(101)의 제어부(1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분된 복수의 단위 도로와 그 단위 도로에서 제1 사용자 장치(101)가 부착된 차량의 위치(71)를 표시하는 화면을 표시부(152)를 통해 제공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해당 화면에서 유고 상황이 발생한 위치(73)를 터치센서부(151)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장치(101)의 제어부(170)는 유고 상황의 종류를 나열하는 화면을 표시부(152)를 통해 제공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해당 화면에서 유고 상황의 종류를 터치센서부(151)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사용자 장치(101)의 제어부(170)는 S110 단계에서 유고 상황이 발생한 단위 도로와 상기 유고 상황의 종류를 포함하는 유고 상황 정보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제1 사용자 장치(101)의 제어부(170)는 S120 단계에서 유고 상황 정보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한다.
서비스 서버(200)는 유고 상황 정보를 수신하면, 도면 부호 A를 통해 나타낸 바와 같이, 유고 상황이 발생한 단위 도로와 연속되어 연결된 모든 단위 도로에 대한 이동 속도를 수집하여, 유고 상황에 따라 차량이 정체되는 영역인 유고 영역 정보를 생성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사용자 장치(101) 및 복수의 제2 사용자 장치(102) 각각의 제어부(170)는 자신이 속한 차량의 단위 도로 속도를 산출한다. 단위 도로 속도는 차량이 단위 도로를 이동했을 때, 그 이동 속도이다. 이때, 제1 사용자 장치(101) 및 제2 사용자 장치(102)의 제어부(170)는 위치 정보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위치 정보를 방송신호수신부(120) 혹은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보정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보정하고, 보정된 위치 정보와 센서 모듈(171)의 가속도 센서 혹은 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단위 도로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장치(101) 및 복수의 제2 사용자 장치(102) 각각의 제어부(170)는 S130 단계에서 산출된 단위 도로 속도를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한다.
복수의 사용자 장치로부터 단위 도로 속도를 수집한 서비스 서버(200)의 제어 모듈(230)은 S140 단계에서 유고 상황이 발생한 단위 도로와 연속되어 연결된 단위 도로 중 단위 도로 속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인 모든 단위 도로를 유고 영역으로 지정하고, 이러한 유고 영역을 나타내는 유고 영역 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도 8을 참조하면, 단위 도로 속도 수집 결과, 유고 상황이 발생한 위치(81)가 단위 도로 B1일 때, 제어 모듈(230)은 단위 도로 B1과 연속되어 연결된 단위 도로의 단위 도로 속도를 임계치와 비교한다. 이때, 제어 모듈(230)은 B1과 연속되어 연결된 단위 도로의 단위 도로 속도를 순차로 임계치와 비교하여 단위 도로 속도가 임계치 이상이 될 때까지 비교한다. 예컨대, 단위 도로 B1, B2, C1, D1 및 D2의 단위 도로 속도만이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라고 가정한다. 제어 모듈(230)은 B1->B2->B3->B4 순으로 비교하되, B1 및 B2는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지만, B3는 임계치 이상이기 때문에 B3에서 비교를 멈춘다. 또한, 제어 모듈(230)은 B1->C1->D1->D2->D3->D4 순으로 비교하되, B1, C1, D1 및 D2는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지만, D3는 임계치 이상이기 때문에 D3에서 비교를 멈춘다. 또한, 제어 모듈(230)은 B1->C1->A1->A2->A3->A4 순으로 비교하되, B1 및 C1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지만, A1은 임계치 이상이기 때문에 A1에서 비교를 멈춘다. 그리고 또한, 제어 모듈(230)은 B1->C1->E1->E2->E3->E4 순으로 비교하되, B1 및 C1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지만, E1은 임계치 이상이기 때문에 E1에서 비교를 멈춘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제어 모듈(230)은 유고 상황이 발생한 위치(81)로부터 연속되어 연결된 단위 도로에 대한 단위 도로 속도를 임계치와 비교하여 단위 도로 속도가 임계치 미만인 단위 도로를 도출한다. 이때, 제어 모듈(230)은 단위 도로 C1, G1 등과 같은 교차로의 경우에 임계치와의 비교 없이 연결된 다른 단위 도로에 대한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교차로가 넓은 경우, 일부는 정체되고, 일부는 정체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단위 도로 B1, B2, D1 및 D2만이 정체인 경우, 단위 도로 C1의 상부는 정체가 될 것이고, 하부는 정체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 모듈(230)은 단위 도로가 교차로인 경우, 교차로인 단위 도로와 연속되어 연결된 단위 도로의 단위 도로 속도를 비교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제어 모듈(230)은 교차로인 단위 도로 C1을 제외한 단위 도로 B1, B2, D1 및 D2를 유고 영역(83)으로 지정하고, 이러한 유고 영역(83)을 나타내는 유고 영역 정보를 생성한다. 부연하면, 교차로를 제외하더라도 단위 도로 B1, B2, D1 및 D2을 유고 영역(83)으로 지정하고,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는 교차로 C1의 상황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200)의 제어 모듈(230)은 S150 단계에서 유고 영역 정보를 통신 모듈(210)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복수의 사용자 장치(100)는 제1 사용자 장치(101) 및 복수의 제2 사용자 장치(102)를 모두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고 영역을 나타내는 유고 영역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장치(100)는 유고 영역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유고 영역 정보를 표시부(152)를 통해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장치(100)가 내비게이션인 경우, 사용자 장치(100)는 현재 차량의 이동 경로를 유고 영역을 우회하도록 변경하고, 이를 안내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어쩔 수 없이 유고 영역을 경유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유고 영역을 부득이하게 경유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200)는 빠른 차선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장치(100)에 제공한다. 이러한 빠른 차선 정보와 관련된 유고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빠른 차선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200)의 제어 모듈(230)은 S210 단계에서 빠른 차선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빠른 차선 정보는 유고 영역에 속한 복수의 차선 중 다른 차선과 비교하여 보다 빠른 차선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빠른 차선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제어 모듈(230)은 앞서 수집된 단위 도로 속도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앞서 도 6의 S130 단계에서 수집된 복수의 단위 도로 속도를 비교하여, 유고 영역 내의 복수의 차선 중 다른 차선에 비해 빠른 단위 도로 속도를 가지는 차선을 결정하고, 이를 빠른 차선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과 같은 도로에서 도면 부호 101은 유고 상황이 발생한 위치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103 및 105는 유고 영역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단위 도로 속도 수집 결과, D1의 단위 도로 속도는 20km/h이며, D2의 단위 도로 속도는 15km/h이며, B1의 단위 도로 속도는 5km/h이며, B2의 단위 도로 속도는 15km/h라고 가정한다.
일례로, 제어 모듈(230)은 서로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단위 도로 중 보다 빠른 단위 도로 속도를 가지는 단위 도로를 빠른 차선으로 결정하고, 이를 빠른 차선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230)은 서로 병렬로 연결된 단위 도로 D1 및 D2 중 D1이 D2에 비해서 빠르기 때문에 단위 도로 D1을 빠른 차선으로 선택하고, 단위 도로 B1 및 단위 도로 B2 중 B2가 B1에 비해 빠르기 때문에 단위 도로 B2를 빠른 차선으로 선택한다. 그런 다음, 제어 모듈(230)은 단위 도로 D1 및 단위 도로 B2를 빠른 차선으로 안내하는 빠른 차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 모듈(230)은 유고 영역 전체에서 차량의 경로에서 직렬로 연결된 하나의 차선을 빠른 차선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경로는 유고 영역 103 및 105를 순차로 경유한다고 가정한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230)은 앞서 수집된 단위 도로 속도를 기초로 서로 직렬로 연결된 단위 도로 D1 및 B1의 이동 속도를 산출하고, 서로 직렬로 연결된 단위 도로 D2 및 B2의 이동 속도를 산출한다. 산출 결과, 단위 도로 D1 및 B1의 이동 속도는 12.5km/h이며, 단위 도로 D2 및 B2의 이동 속도는 15km/h이라면, 제어 모듈(230)은 빠른 차선으로 단위 도로 D2 및 B2를 선택한다. 그런 다음, 제어 모듈(230)은 단위 도로 D2 및 B2를 빠른 차선으로 안내하는 빠른 차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210 단계의 대안적인 실시예로, 빠른 차선 정보는 단위 도로 속도를 이용하는 대신 통계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모듈(220)은 유고 상황의 종류 및 유고 상황이 발생한 차선에 따른 빠른 차선이 저장된 통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통계 정보의 일례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유고 상황 종류 유고 상황 발생 단위 도로 빠른 차선 정보
접촉 사고 B1 D2, B2
도로 공사 B2 D1, B1
... ... ...
통계 정보는 유고 상황의 종류 및 유고 상황이 발생한 단위 도로에 따른 빠른 차전을 저장한다. 이러한 통계 정보는 앞서 S120 단계의 유고 상황이 발생된 위치를 나타내는 유고 상황 정보와 유고 상황 정보에 상응하여 앞서 S130 단계에서 수집되는 단위 도로 속도를 이용하여 도출된 빠른 차선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230)은 저장 모듈(220)에 저장된 통계 정보와 수신된 유고 상황 정보의 유고 상황의 종류 및 유고 상황이 발생한 단위 도로의 차선을 비교하여 유고 영역 내의 복수의 차선 중 빠른 차선을 도출하고, 도출된 빠른 차선을 안내하는 빠른 차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빠른 차선 정보를 생성한 후, 서비스 서버(200)의 제어 모듈(230)은 S220 단계에서 빠른 차선 정보를 통신 모듈(210)을 통해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사용자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방송 신호 수신부(120) 혹은 통신부(130)를 통해 빠른 차선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사용자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S230 단계에서 빠른 차선 정보를 안내한다.
일례로, 빠른 차선 정보가 서로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단위 도로 중 보다 빠른 단위 도로 속도를 가지는 단위 도로인 경우, 사용자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어느 하나의 단위 도로에서 다른 하나의 단위 도로로 진입하기 전, 빠른 차선 정보에 따라 빠른 차선을 나타내며 차선을 변경하도록 알리는 안내 기호를 표시부(152)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빠른 차선 정보가 유고 영역 전체에서 차량의 경로에서 직렬로 연결된 하나의 차선인 경우, 사용자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적어도 유고 영역 내에서 하나로 연결된 빠른 차선을 나타내는 안내 경로를 표시부(152)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고 정보 제공을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SSD(Solid State Disk), HDD(Hard Disk Drive)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 GPS 위성 20: 기준국
100: 사용자 장치 110: 위치 정보 수신부
120: 방송 신호 수신부 130: 통신부
140: 입력부 150: 터치스크린부
151: 터치센서부 152: 표시부
160: 저장부 170: 제어부
200: 서비스 서버 210: 통신 모듈
220: 저장 모듈 230: 제어 모듈

Claims (11)

  1. 서비스 서버의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 장치로부터 차선 및 교차로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단위 도로 중 유고 상황이 발생한 단위 도로와 상기 유고 상황의 종류를 나타내는 유고 상황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하나의 단위 도로와 연속되어 연결된 복수의 단위 도로에서 차량의 이동 속도인 단위 도로 속도를 수집한 후, 수집된 단위 도로 속도에 따라 상기 유고 상황이 발생한 단위 도로와 연속되어 연결된 단위 도로 중 차량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미만인 모든 단위 도로를 유고 영역으로 지정한 유고 영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유고 영역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수집된 단위 도로 속도를 비교하여 상기 유고 영역 내의 복수의 차선 중 빠른 차선을 안내하는 빠른 차선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빠른 차선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기 저장된 유고 상황의 종류 및 차선에 따른 빠른 차선이 저장된 통계 정보와 상기 유고 상황 정보에 따른 상기 유고 상황의 종류 및 상기 유고 상황이 발생한 단위 도로의 차선을 비교하여 상기 유고 영역 내의 복수의 차선 중 빠른 차선을 도출하고, 도출된 빠른 차선을 안내하는 빠른 차선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빠른 차선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4. 사용자 장치의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화면 표시부;
    통신을 위한 통신부; 및
    차선 및 차선의 연장선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단위 도로 중 유고 상황이 발생한 단위 도로와 연속되어 연결된 단위 도로 중 차량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미만의 모든 단위 도로인 유고 영역에 진입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유고 영역 내의 복수의 차선 중 빠른 차선을 안내하는 빠른 차선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빠른 차선 정보에 따른 빠른 차선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안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고 영역에 진입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빠른 차선 정보에 따라 상기 빠른 차선으로 차선을 변경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통해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6. 서비스 서버의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장치로부터 차선 및 차선의 연장선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단위 도로 중 유고 상황이 발생한 단위 도로와 상기 유고 상황의 종류를 나타내는 유고 상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의 단위 도로와 연속되어 연결된 복수의 단위 도로에서 차량의 이동 속도인 단위 도로 속도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단위 도로 속도에 따라 상기 유고 상황이 발생한 단위 도로와 연속되어 연결된 단위 도로 중 차량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미만인 모든 단위 도로를 유고 영역으로 지정한 유고 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유고 영역 정보를 복수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단위 도로 속도에 따라 상기 유고 영역 내의 복수의 차선 중 빠른 차선을 안내하는 빠른 차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빠른 차선 정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기 저장된 유고 상황의 종류 및 차선에 따른 빠른 차선이 저장된 통계 정보와 상기 유고 상황 정보에 따른 상기 유고 상황의 종류 및 상기 유고 상황이 발생한 단위 도로의 차선을 비교하여 상기 유고 영역 내의 복수의 차선 중 빠른 차선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도출된 빠른 차선을 안내하는 빠른 차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빠른 차선 정보를 복수의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9. 사용자 장치의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차선 및 차선의 연장선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단위 도로 중 유고 상황이 발생한 단위 도로와 연속되어 연결된 단위 도로 중 차량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 미만의 모든 단위 도로인 유고 영역에 진입한 것을 감지하면, 상기 유고 영역 내의 복수의 차선 중 빠른 차선을 안내하는 빠른 차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빠른 차선 정보에 따른 빠른 차선을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하는 단계는 상기 빠른 차선 정보에 따라 상기 빠른 차선으로 차선을 변경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50080461A 2015-06-08 2015-06-08 단위 도로를 이용한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601441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461A KR20160144116A (ko) 2015-06-08 2015-06-08 단위 도로를 이용한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461A KR20160144116A (ko) 2015-06-08 2015-06-08 단위 도로를 이용한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116A true KR20160144116A (ko) 2016-12-16

Family

ID=57735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461A KR20160144116A (ko) 2015-06-08 2015-06-08 단위 도로를 이용한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41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550A (ko) * 2017-11-08 2019-05-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도로상태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도로상태 지도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550A (ko) * 2017-11-08 2019-05-1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도로상태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도로상태 지도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9970B2 (en) Navigation device,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541405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US87620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avigational guidance using landmarks
US10094672B2 (en) Map information update apparatus and map information update system
JP667933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136755A (ko) 휴대 단말기의 고도 측정 방법 및 장치
WO2007105583A1 (ja) 移動支援システム、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9093384A (ja) Poi検索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poi検索方法
CN101769749A (zh) 导航方法及设备
US9207083B2 (en) Electronic device and navigation method for tracking target device
KR101802503B1 (ko) 자전거의 경로 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JP2006275837A (ja) ナビゲーションサーバ、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ナビゲーション端末及び方法、並びに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867548B1 (ko) 무선 신호 특성들에 기초한 이동 기기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검색하는 방법
KR20160144116A (ko) 단위 도로를 이용한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135447B1 (ko) 휴대 단말의 부가 정보 서비스 장치와 방법 및 그 기록매체와 부가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29857B1 (ko) 사용자 경험 기반의 차량 주행 경로 탐색 시스템 및 방법
US20210105581A1 (en) Common platform for personalized/branded applications
KR101448264B1 (ko) 위치 정보 기반의 유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50095589A (ko) 위치 정보 기반의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98699B1 (ko) 경로 추천 시스템 및 방법
US2024017569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N103017779B (zh) 移动摄像机对路景图像的处理方法及系统
KR101635018B1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50455A (ko) 택시 합승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60117099A (ko) 경로 탐색 장치 및 방법 및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