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077B1 -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077B1
KR102030077B1 KR1020180044617A KR20180044617A KR102030077B1 KR 102030077 B1 KR102030077 B1 KR 102030077B1 KR 1020180044617 A KR1020180044617 A KR 1020180044617A KR 20180044617 A KR20180044617 A KR 20180044617A KR 102030077 B1 KR102030077 B1 KR 102030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mbossed
base film
adhesive layer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종율
이문선
김정섭
최성환
김지성
Original Assignee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4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2201/162
    • C09J2201/3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09J2301/16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the carrier being a laminate constituted by plastic layer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comprising non-adhesive protrus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층, 기재필름, 엠보층 및 이형지를 순서대로 포함하는 점착시트로서, 상기 엠보층은 상기 기재필름 일면에 양각형태로 형성되는 수지층 및 상기 수지층 일면에 코팅되어 상기 이형지가 일면에 부착되는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은 상기 수지층의 양각형태에 따라 양각형태로 엠보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쇄층이 형성된 기재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재필름 일면에 수지를 코팅하면서 양각 형태로 형상화하여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수지층에 점착층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층에 이형지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은 상기 수지층의 양각형태에 따라 양각형태로 엠보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Adhesive sheet with embossed pattern adhesive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점착층에 엠보패턴을 형성하여 기재필름 또는 이형지에 직접 엠보패턴을 각인하지 않고도 에어프리 기능을 겸비할 수 있어 인쇄층 면성의 감소를 방지하고 다양한 소재의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는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외부, 인테리어 및 광고 등에 다양한 패턴이 인쇄된 점착 시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점착 시트는 압연 또는 캐스팅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베이스지 및 점착제층에 의하여 베이스지에 합지되어 베이스지를 보호하는 이형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점착 시트는 부착 시 점착층에 기포가 포집되어 접착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어, 최근 점착 시트에 엠보 패턴을 형성하여 점착층에 기포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부착력을 높이는 에어프리 기능을 겸비한 점착시트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에어프리 기능을 겸비한 점착시트는 한국등록특허 제10-1233149호(발명의 명칭: 엠보 이형 라이너층을 적용한 점착 시트)와 같이 점착 이형 라이너에 패턴이나 엠보를 형성하고 라미를 통하여 점착시트의 점착층에 패턴이나 요철이 형성되도록 하는 방법, UV-imprint 방식의 프리름패턴닝과 점착시트 필름을 엠보롤로 압착하여 textile 표면형성 방식을 택하였다.
상기 방식의 첫 번째 단점은 아크릴계 점착제에 한정된다. 우레탄 및 실리콘 점착제의 경우 복원력이 뛰어나 적용하기 어려운 기술이다.
두번째는 기재의 한계로 원단 자체에 패턴을 구현하는 기재는 PP나 PVC로 제한되며 점착제에 패턴을 구현할 때에는 원단과 점착제의 기재 부착력 문제로 primer 공정을 추가로 해야 한다.
따라서, 에어프리 기능을 겸비한 점착시트 제조 시 사용할 수 있는 점착제에 대한 한계가 없고, 인쇄층의 면성 및 부착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점착층에 엠보패턴을 형성하여 기재필름 또는 이형지에 직접 엠보패턴을 각인하지 않고도 에어프리 기능을 겸비할 수 있어 인쇄층 면성의 감소를 방지하고 다양한 소재의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는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는 인쇄층, 기재필름, 엠보층 및 이형지를 순서대로 포함하는 점착시트로서, 상기 엠보층은 상기 기재필름 일면에 양각형태로 형성되는 수지층 및 상기 수지층 일면에 코팅되어 상기 이형지가 일면에 부착되는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은 상기 수지층의 양각형태에 따라 양각형태로 엠보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필름은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층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스티렌, 아세탈,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공중합 폴리에틸렌(EAA),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및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중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층은 상기 기재필름에 코팅되는 동시에 음각형태의 패턴롤과 냉각롤 사이를 지나면서 양각형태로 형상화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의 제조방법은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쇄층이 형성된 기재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재필름 일면에 수지를 코팅하면서 양각 형태로 형상화하여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수지층에 점착층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층에 이형지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은 상기 수지층의 양각형태에 따라 양각형태로 엠보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지를 기재필름에 코팅하는 동시에 음각형태의 패턴롤과 냉각롤 사이에 통과시켜, 상기 기재필름에 코팅된 수지를 양각형태로 형상화하여 상기 수지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은 기재필름 및 이형지가 아닌 점착층만 다양한 형상의 엠보패턴을 형성하여 기재부착 시 점착층의 엠보패턴에 따라 기표가 제거되어, 즉, 기재와 점착시트 사이에 국소적으로 공기층이 잔류하지 않도록 하여 부착성을 높이고 시공의 편리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점착층은 수지층의 엠보패턴에 의해 엠보패턴을 형성하여 기재필름 또는 이형지에 직접 엠보패턴을 각인하지 않고도 에어프리 기능을 겸비할 수 있어 인쇄층 면성의 감소를 방지하고 다양한 소재의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의 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 양각 패터닝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의 수지층의 엠보패턴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의 수지층을 형성하는 수지 양각 패터닝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의 수지층의 엠보패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1)는 인쇄층(10), 기재필름(20), 엠보층(30) 및 이형지(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시트(1)는 이형지(40)를 제거하여 기재에 부착되는 것으로, 기재에 부착 시 기재와 점착시트(1) 사이에 국소적으로 공기층이 잔류하지 않도록 하여 부착성을 높이고 시공의 편리성을 개선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인쇄층(10)은 잉크를 흡수하여 이미지를 형성하는 층으로, 아크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PVC),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비닐알코올, 라텍스 등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소광 특성을 갖기 위하여, 인쇄층(10)은 실리카 입자 및 알루미나 입자 중 하나 이상의 무기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무기 입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인쇄층(10)은 또한 필요에 따라 자외선 안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쇄층(10)은 물, 유기 용제 또는 이들의 혼합 용제에 상기한 수지, 및 필요에 따라 무기 입자, 자외선 안정제, 분산제, 소포제, 습윤제, 레벨링제 등의 첨가제를 용해 및/또는 분산시켜 얻은 코팅액을 그라비아, 마이크로그라비아, 콤마, 또는 슬롯 등의 코팅 방식을 이용해 기재필름(20) 타면에 10 내지 5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인쇄층(10)의 두께가 10㎛미만일 경우 잉크 건조속도가 느려지고, 50㎛를 초과할 경우 인쇄층(10)의 깨짐 현상 및 잉크의 발색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균일한 두께로 인쇄층(10)을 형성하기 위해, 코팅액 내의 고형분은 15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기재필름(20)은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 필름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필름(20)은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티렌, 폴리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 하나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트라이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에터설폰,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수지, 폴리에스터, 폴리술폰, 폴리메틸펜텐, 폴리에터케톤, 다이아세틸렌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뷰틸레이트셀룰로오스, (메타)아크릴나이트릴 등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재필름(2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 100중량부에 대하여 TPAE(Thermoplastic Polyamide Elastomers) 5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TPAE의 배합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의 성형성에 대한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3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C)와 혼용성이 떨어져 기재필름(20)이 가지고 있는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기재필름(20)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비될 시 세라믹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표면이 수분을 배척하는 소수성을 형성하며, 통기성이 좋지 못한 플라스틱의 특성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라스틱 필름에 세라믹을 첨가함으로써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친수성과 통기성이 향상된 플라스틱 필름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세라믹은 이산화규소, 이산화 타이타늄, 운모, 점토, 황토, 제올라이트 중 하나의 입자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필름, 세라믹, 상용화제의 비율은 8:1:1 내지 5:4:1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용화제는 항상 1의 비율을 유지하며, 5:4:1의 비율로 근접할수록 친수성과 통기성이 우수하게 형성된다)
이때, 혼합은 플라스틱을 약 200℃ 내지 210℃로 용융한 후, 세라믹 입자와 상용화제를 혼합기에서 소정의 RPM (60 RPM이 바람직함)으로 8분 내지 12분간 회전시켜 혼합할 수 있으며, 혼합된 복합재료를 필름으로 제조하여 친수성과 통기성이 향상된 플라스틱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의 용융온도는 플라스틱의 점도를 고려한 용융온도의 실시예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의 형태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혼합 RPM과 혼합시간도 실시예로서 실시환경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세라믹은 향균성을 가미하기 위하여 플라스틱과의 혼합전에 은이 함유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세라믹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플라스틱 필름은 친수성과 통기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향균성도 향상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재필름(20)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될 시에 인쇄층(10)이 보다 잘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재필름(20)이 구성될 수 있으나 엠보 패턴을 엠보층(30)에 형성함으로써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기재필름(20)을 사용할 수 있다.
엠보층(30)은 엠보패턴이 형성되는 층으로 수지층(31) 및 점착층(32)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지층(31)은 기재필름(20) 일면에 양각형태로 형성되어 엠보패턴이 형성되는 층으로, 점착층(32)이 코팅되기 전에 형성되어 점착층(32)에 엠보패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층(31)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스티렌, 아세탈,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공중합 폴리에틸렌(EAA),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중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수지(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지층(31)은 콜라겐, 젤라틴, 알기네이트, 알긴산, 히알루론산, 키틴 및 키토산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지층(31)의 유연성 및 형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엠보층(30)의 에어프리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지층(31)은 슬롯 다이 코팅 방식을 통해 15 내지 70㎛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수지층(31)의 두께가 15㎛ 미만일 경우 점착층(32) 코팅 후 에어프리의 기능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수지층(31)의 코팅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 다이 코팅 방식으로 슬롯다이(100)에서 수지(R)가 공급되어 기재필름(20)에 코팅되는 동시에 음각형태의 패턴롤(200)과 냉각롤(300) 사이를 지나면서 양각형태로 입체 형상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음각형태의 패턴롤(200)의 패턴은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수지층(31)의 엠보패턴을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슬롯다이(100)는 수지를 170℃ 내지 200℃로 공급하며, 냉각롤(300)은 20 내지 30℃의 온도로 기재필름(20)에 코팅되고 입체 형상화된 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수지를 170℃ 내지 200℃의 온도로 공급하는 것은 PE인 수지를 용융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점착층(32)은 수지층(31) 일면에 코팅되어 수지층(31)의 양각형태에 따라 양각형태로 엠보패턴이 형성되며, 일면에 이형지(40)가 부착될 수 있다.
즉, 점착층(32)은 수지층(31) 일면에 박막코팅되어 수지층(31)의 양각형태에 따라 양각형태로 엠보패턴이 형성됨으로써, 이형지(40)를 제거하고 점착시트(1)를 기재에 부착할 시 에어프리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점착층(32)의 두께는 10 내지 10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두께가 10㎛ 미만일 경우 점착력이 저하되어 점착이 용이하지 않고 에어프리 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100㎛를 초과할 경우 점착시트(1)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점착층(32) 자체에 엠보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아닌 수지층(31)에 의해 점착층(32)이 엠보패턴을 가지게 함으로써, 실리콘, 우레탄, 아크릴, 불소 등 다양한 소재의 점접착제를 사용하여 점착층(32)을 한정할 수 있다.
이는 점착층(32) 자체에 패턴을 형성할 경우 복원력이 뛰어난 우레탄 및 실리콘 점착제를 사용하지 못하고 복원력이 낮은 아크릴 소재의 점착제에 한정되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패턴이 형성된 엠보층(30)이 형성되어 에어프리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형상은 예시에 불과하며,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엠보패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기재필름(20)에 엠보패턴을 형성하여 기재필름(20)의 종류가 한정되거나 기재필름(20)과 점착층(32)의 기재 부착력이 저하되어 추가 공정이 필요하였는데, 이와 같이 엠보층(30)을 형성함으로써 기재필름(20)의 종류가 한정되지 않고 추가 공정이 필요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형지(40)는 점착층(32) 일면에 부착되어 외부로부터 점착층(32)의 점착력이 저하되거나 엠보패턴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이형지(40)는 에폭시계, 에폭시-멜라민계, 아미노알키드계, 아크릴계, 멜라민계, 실리콘계, 불소계, 셀룰로오스계, 요수 수지계, 폴리올레핀계, 파라핀계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1㎛ ~ 2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형지(40)의 두께가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 너무 얇거나 두꺼울 경우에는 취급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점착시트(1)의 제조방법을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의 제조방법은 인쇄층이 형성된 기재필름을 준비하는 단계(S100), 기재필름 일면에 수지를 코팅하면서 양각 형태로 형상화하여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S200), 수지층에 점착층을 코팅하는 단계(S300) 및 점착층에 이형지를 부착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S100는 인쇄층(10)이 형성된 기재필름(20)을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인쇄층(10)은 그라비아, 마이크로그라비아, 콤마 또는 슬롯 등의 코팅방식을 이용하여 기재필름(20)의 타면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S200 단계는 S100 단계에서 준비한 기재필름(20)의 일면에 수지층(31)을 형성하는 단계로, 슬롯 다이 코팅 방식으로 슬롯다이(100)에서 수지(R)가 공급되어 기재필름(20)에 코팅되는 동시에 음각형태의 패턴롤(200)과 냉각롤(300) 사이에 통과시키는 것으로, 수지를 양각형태로 입체 형상화시켜 수지층(31)을 형성할 수 있다.
S300 단계는 S200 단계에서 형성된 수지층(31)의 일면에 박막코팅하여 점착층(32)을 코팅하는 단계로, 점착층(32)은 수지층(31)의 일면에 코팅되어 수지층(31)의 양각형태에 따라 양각형태로 엠보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S400 단계는 S300 단계에서 코팅된 점착층(32)에 이형지(40)를 부착시켜 최종적인 점착시트(1)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은 기재필름 및 이형지가 아닌 점착층만 다양한 형상의 엠보패턴을 형성하여 기재부착 시 점착층의 엠보패턴에 따라 기표가 제거되어, 즉, 기재와 점착시트 사이에 국소적으로 공기층이 잔류하지 않도록 하여 부착성을 높이고 시공의 편리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점착층은 수지층의 엠보패턴에 의해 엠보패턴을 형성하여 기재필름 또는 이형지에 직접 엠보패턴을 각인하지 않고도 에어프리 기능을 겸비할 수 있어 인쇄층 면성의 감소를 방지하고 다양한 소재의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 실시예 1]
기재필름 일면상은 잉크젯 디지털프린팅이 가능한 인쇄층을 형성하고, 다른 일면상에는 수지로 엠보패턴을 가지는 수지층을 형성하고 실리콘계 점착제를 15㎛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점착시트를 제작하였다.
이때, 수지층은 기재필름에 수지가 공급되면서 음각형태의 패턴롤과 냉각롤 사이를 지나면서 양각형태로 입체 형상화되어 형성되었다.
[ 실시예 2]
실리콘계 점착제를 25㎛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작하였다.
[ 비교예 1]
기재필름 일면상은 잉크젯 디지털프린팅이 가능한 인쇄층을 형성하고, 다른 일면상에는 실리콘계 점착제를 15㎛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점착시트를 제작하였다.
[ 비교예 2]
실리콘계 점착제를 25㎛ 도포하여 점착층을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제작하였다.
[ 실험예 ] 점착력 및 에어프리기능 평가
실시예 1, 2, 비교예 1 및 2의 점착력 및 기재부착 시 에어프리기능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 내지 2, 비교예 1 내지 2의 점착시트를 MD 방향으로 25mm * 120mm로 절단하고 시편 각각을 Polyimide 필름(Apical 25NPI)에 부착한 후 무게 4kgf/cm 압력으로 합지하고, 23℃, 50%RH의 분위기에서 60분간 방치한 후 상기의 시료를 박리각도 180˚, 박리속도 300mm/min로 박리시 이에 대한 응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 : 뛰어남, ○ : 우수, △ : 보통, X : 나쁨)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점착층 두께(㎛) 15㎛ 25㎛ 15㎛ 25㎛
점착력(g/25mm) 20 40 50 50
에어프리기능 X X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 및 2의 에어프리기능은 비교예 1 및 2보다 훨씬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점착력은 비교예 1 및 2보다 다소 낮으나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점착시트
10: 인쇄층
20: 기재필름
30: 엠보층
31: 수지층
32: 점착층
40: 이형지
100: 슬롯다이
200: 패턴롤
300: 냉각롤
R: 수지

Claims (6)

  1. 인쇄층, 기재필름, 엠보층 및 이형지를 순서대로 포함하는 점착시트로서,
    상기 엠보층은,
    상기 기재필름 일면에 양각형태로 형성되는 수지층 및
    상기 수지층 일면에 코팅되어 상기 이형지가 일면에 부착되는 점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은,
    상기 수지층의 양각형태에 따라 양각형태로 엠보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기재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이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100중량부에 대하여 TPAE(Thermoplastic Polyamide Elastomers) 5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지층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스티렌, 아세탈,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공중합 폴리에틸렌(EAA),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및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중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수지로 이루어지며,
    콜라겐, 젤라틴, 알기네이트, 알긴산, 히알루론산, 키틴 및 키토산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상기 기재필름에 코팅되는 동시에 음각형태의 패턴롤과 냉각롤 사이를 지나면서 양각형태로 형상화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
  5.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쇄층이 형성된 기재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재필름 일면에 수지를 코팅하면서 양각 형태로 형상화하여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수지층에 점착층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층에 이형지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은,
    상기 수지층의 양각형태에 따라 양각형태로 엠보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기재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이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100중량부에 대하여 TPAE(Thermoplastic Polyamide Elastomers) 5 내지 30중량부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수지층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스티렌, 아세탈,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공중합 폴리에틸렌(EAA),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및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중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수지로 이루어지며,
    콜라겐, 젤라틴, 알기네이트, 알긴산, 히알루론산, 키틴 및 키토산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지를 기재필름에 코팅하는 동시에 음각형태의 패턴롤과 냉각롤 사이에 통과시켜, 상기 기재필름에 코팅된 수지를 양각형태로 형상화하여 상기 수지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의 제조방법.
KR1020180044617A 2018-04-17 2018-04-17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0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617A KR102030077B1 (ko) 2018-04-17 2018-04-17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617A KR102030077B1 (ko) 2018-04-17 2018-04-17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077B1 true KR102030077B1 (ko) 2019-10-08

Family

ID=68208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617A KR102030077B1 (ko) 2018-04-17 2018-04-17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0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429B1 (ko) * 2020-05-13 2021-11-17 고항섭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법 및 그 스티커
KR102329817B1 (ko) * 2021-06-14 2021-11-23 주식회사 에스디코웍스 생분해성 친환경 점착필름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0424A (ko) * 2007-01-26 2008-07-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식용 라미네이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입체감이 우수한장식 투명패널
KR101702455B1 (ko) * 2016-06-22 2017-02-03 주식회사 가야 부착성 및 박리성이 우수한 점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1719750B1 (ko) * 2016-01-12 2017-03-2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엠보 점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41247B1 (ko) * 2016-01-04 2017-05-30 주식회사 스마트 점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0424A (ko) * 2007-01-26 2008-07-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장식용 라미네이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입체감이 우수한장식 투명패널
KR101741247B1 (ko) * 2016-01-04 2017-05-30 주식회사 스마트 점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719750B1 (ko) * 2016-01-12 2017-03-2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엠보 점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02455B1 (ko) * 2016-06-22 2017-02-03 주식회사 가야 부착성 및 박리성이 우수한 점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429B1 (ko) * 2020-05-13 2021-11-17 고항섭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법 및 그 스티커
KR102329817B1 (ko) * 2021-06-14 2021-11-23 주식회사 에스디코웍스 생분해성 친환경 점착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378467B1 (ko) * 2021-06-14 2022-03-25 주식회사 에스디코웍스 탈착시 잔사물을 최소화한 생분해성 점착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1971B2 (ja) 装飾模様入り積層体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EP2402159B1 (en) Decorative material
JP4927544B2 (ja) 離型シート及びその離型シートを用いて得られる成形品
CN101080470B (zh) 微结构化的隔离衬片
KR102030077B1 (ko)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EP2239139A2 (en) Composite stencils, methods of making, and methods of decorating with composite stencils
IL176379A (en) Method of forming a three-dimensional microstructure on a surface, uses thereof and microstructured products so obtained
CN105307850A (zh) 用于制备结构化粘合剂制品的方法
JP2006150965A (ja) 化粧材
JPH04301491A (ja) 離型シート及び転写シート
JP4680043B2 (ja) 化粧材
KR102153364B1 (ko) 장식 필름 및 장식 필름의 제조방법
JP6915378B2 (ja) 成型用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成型転写箔
IT201800003853A1 (it) Processo per la realizzazione di una blanket o lastra di verniciatura di sovrastampa
JP3868791B2 (ja) 離型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製造された合成皮革
JP4297260B2 (ja) 化粧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87800B1 (ko) 전사호일
JP4629352B2 (ja) 接着層用水系塗工液、積層体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H10157018A (ja) 化粧シート
JP5082654B2 (ja) 転写シート
KR200394625Y1 (ko) 수용성 잉크를 이용한 다층구조 장식시트
JP3873319B2 (ja) 転写シート
JP3827809B2 (ja) 転写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部材の製造方法
KR20090003190U (ko) 온도에 따른 다양한 색상효과를 갖는 바닥재
JP4978400B2 (ja) 転写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