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429B1 -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법 및 그 스티커 - Google Patents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법 및 그 스티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429B1
KR102328429B1 KR1020200057360A KR20200057360A KR102328429B1 KR 102328429 B1 KR102328429 B1 KR 102328429B1 KR 1020200057360 A KR1020200057360 A KR 1020200057360A KR 20200057360 A KR20200057360 A KR 20200057360A KR 102328429 B1 KR102328429 B1 KR 102328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er
fabric
adhesive
mesh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항섭
Original Assignee
고항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항섭 filed Critical 고항섭
Priority to KR1020200057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4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02Pretreat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41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05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backing impregnating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14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 F26B13/18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heated or cooled, e.g. from inside, the material being dried on the outside surface by condu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법 및 그 스티커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어느 하나의 특정 대상물품에 구애받음 없이 다양한 물품에 광범위하게 부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포함하고, 특히, 대상물품에 부착된 스티커를 사용자의 선택 및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떼었다 붙였다를 반복하며 다른 위치 내지 다른 제품에 손쉽게 재부착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효율성과, 경제성, 그리고, 취급성을 극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법 및 그 스티커를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원단 전처리공정과, 원단 메쉬공극 확보공정과, 점착제 함침공정과, 점착층 성형공정과, 점착층 숙성건조공정과, 점착 에어프리 가공공정과, 스티커 인쇄공정을 행함으로써, 달성한다.
또한, 상기 일련의 제조공정을 통해 메쉬공극이 형성된 스티커원단과, 스티커원단의 메쉬공극으로 점착제가 스며들며 형성된 메쉬메움층과, 상기 메쉬메움층과 일체화 연결되며 스티커원단의 일측 전면으로 형성되는 점착제 성분의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 표면으로 형성되는 박리유도패턴과, 상기 점착층을 보호하는 이형지로 이루어진 스티커를 형성하여 달성한다.

Description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법 및 그 스티커{Sticker manufacturing method with improved adhesion and desorption and its sticker}
본 발명은 스티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방이나 의류 등과 같은 각종 잡화는 물론 자동차나 가전제품 등에 이르기까지 어느 특정된 하나의 물품에 구애받음 없이 모든 물품을 대상으로 자유롭게 탈,부착시키며 장식용 또는 광고용 수단으로 사용하도록 마련된 스티커에 있어, 그 스티커의 점착기능을 향상되게하여 대상물품에 부착된 스티커의 고정력과 밀착력을 오래도록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반면, 부착된 스티커를 대상물품으로부터 떼어내고자 할 경우에 있어서는 점착제의 전이현상 방지기능에 의해 대상물품으로부터 스티커를 쉽고 편리하게 흔적없이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법 및 그 스티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커라 함은, 선전광고 내지 장식용으로 널리 이용되는 붙임 수단을 의미한다.
이러한, 스티커는 앞면에 글이나 그림을 인쇄하고, 뒷면에 접착층을 형성하여, 가방, 의류, 다이어리, 핸드폰, 학용품 등은 물론, 자동차, 가전제품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제품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그들 제품의 심미감을 상승 되게 하는 효과를 행하게 된다.
통상적인 스티커 제조방법의 일예를 살펴보면, 이는 이형지위에 점착제와 프라스티졸 잉크를 실크스크린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도포한 후, 이를 가열하여 유연한 프라스티졸 층으로 필름화시키고, 재차 프라스티졸 층 상부면에 염료를 도포하여 다양한 장식 인쇄층을 코팅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스티커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이형지를 분리하여, 점착제에 의한 부착방식에 의해 필요로 하는 물품의 표면에 장식용도로 견고히 결합 되게 함으로써, 그 사용관계를 갖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스티커는 단순한 일회성 용도로서, 선택한 대상물품의 표면에 부착이 완료될 경우, 이를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없는 것일 뿐만 아니라, 특히 부착된 스티커의 교환 내지 제거를 위해 대상물품의 표면으로부터 스티커를 떼어내고자 할 경우 점착제의 전이현상, 예컨대, 스티커의 점착제가 대상물품의 표면에 눌어붙는 현상을 유발하며 스티커의 제거를 용이하지 못하게 함은 물론, 그 눌어붙은 점착제가 물품의 표면을 오염시킴에 따라 별도 스티커 제거제를 사용해야 하는 등 매우 번거롭과 불편하며, 비경제적인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 있어서는 전술한 스티커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선출원 등록된 "스티커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081368호)" 이 창안된 바 있다.
상기 선등록 기술은 신축성을 가지는 기재시트와, 기재시트의 일면측에 도포되어 피착면에 부착되거나 피착면으로부터 박리되는 제1점착제층과, 제1점착제층과 기재시트 사이에 도포되어 제1점착제층과 기재시트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제2점착제층과, 기재시트의 타면에 도포되는 방수 코팅층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의 선등록 스티커는 신축성을 갖는 직물지 등에 주로 부착 사용하는 것으로, 섬유조직 등의 피착면에 부착할 경우, 안정적인 결합력에 의해 세탁 등과 같은 물리적 외력작용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박리되지 않는 반면,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의류 등의 피착면으로부터 스티커를 강제 제거할 경우에 있어서는 그 피착면에 점착제의 잔류없이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행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선등록 기술로서의 스티커는, 점착제의 구성이 2단 적층구성, 예컨대, 접착력 증대기능을 행하는 제2점착제층에 박리기능을 행하는 제1점착제층이 다단 적층구조로 코팅처리된 것인바, 따라서, 그들 각 점착제층별로 도포와 건조, 그리고, 숙성 공정을 일정 시간간격을 두고 각각 개별적으로 행해야 함으로 점착제 형성공정을 매우 복잡하고 난해하게 함은 물론 제조시간 또한 과다 소모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르게, 전술한 바와 같은, 선등록 기술로서의 스티커는, 제1점착제와 제2점착제가 단순한 코팅 적층구조를 취하며 이루어진 것으로, 섬유조직(의류) 등의 피착면에 부착된 상태가 오랜시간 지속될 경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열이나 압력 등에 의해 점착제가 피접착면으로 전이되는 현상이 필연적으로 유발될 수 밖에 없고, 그러한 상태에서 피착면으로부터 스티커를 제거할 경우, 전이된 점착제가 잔류하며 피착면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스티커의 부착 대상물이 직물소재로 이루어진 의류인 경우, 전이된 점착제의 눌어붙음 현상으로 인해 의류에 늘어짐 손상을 가하게 되는 등 단순한 제조상의 문제점 뿐만 아니라 사용기능상의 문제점 또한 상존하는 폐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스티커 및 그 스티커 제조방법에 대한 제반적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의 목적은 어느 하나의 특정 대상물품에 구애받음 없이 다양한 물품에 광범위하게 부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포함하고, 특히, 대상물품에 부착된 스티커를 사용자의 선택 및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떼었다 붙였다를 반복하며 다른 위치 내지 다른 제품에 손쉽게 재부착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효율성과, 경제성, 그리고, 취급성을 극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법 및 그 스티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티커 원단의 메쉬공극내에 점착제를 함침처리방식으로 침투시켜 스티커원단과 점착제를 층별 격리구조가 아닌 일체화된 단층 결합구조로 형성하고, 그와 같은 결합구조에 의해 스티커원단과 점착제의 결속력 및 수밀성을 증대되게 하여 기존 스티커원단의 기공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고, 유입된 수분에 의해 스티커원단과 점착제 결합면이 박리되는 현상을 원천 예방되게 함으로써, 스티커의 내구성과 부착 효율성, 그리고, 방수성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 사용수명 또한 극히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법 및 그 스티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티커원단의 메쉬공극에 점착제가 함침처리된 메쉬메움층을 형성하고, 메쉬메움층과 동일한 점착제 성분을 이용하여 스티커원단 일측 전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며, 재차, 점착층에 에어프리 가공을 통해 엠보싱 구조의 박리유도패턴을 형성하여 그 박리유도패턴에 의해 스티커가 부착된 물품의 표면에 점착제가 전이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아울러, 물품에 부착된 스티커를 떼어냄에 있어서는, 용이한 박리유도작용에 의해 스티커 및 그 스티커가 부착된 물품의 손상없이 간편하고 쉽게 떼어낼 수 있게 하여 취급의 편리성과 안정성, 그리고, 재사용성을 극히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법 및 그 스티커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법 및 그 스티커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원단 전처리공정과, 원단 메쉬공극 확보공정과, 점착제 함침공정과, 점착층 성형공정과, 점착층 숙성건조공정과, 점착 에어프리 가공공정과, 스티커 인쇄공정을 행함으로써, 달성한다.
또한, 상기 일련의 제조공정을 통해 메쉬공극이 형성된 스티커원단과, 스티커원단의 메쉬공극으로 점착제가 스며들며 형성된 메쉬메움층과, 상기 메쉬메움층과 일체화 연결되며 스티커원단의 일측 전면으로 형성되는 점착제 성분의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 표면으로 형성되는 박리유도패턴과, 상기 점착층을 보호하는 이형지로 이루어진 스티커를 형성하여 달성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법 및 그 스티커는 대상물품에 부착된 스티커를 사용자의 선택 및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떼었다 붙였다를 반복하며 다른 위치 내지 다른 제품에 손쉽게 재부착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는, 사용효율성과, 경제성, 그리고, 취급성을 향상되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법 및 그 스티커는 스티커 원단의 기공내에 점착제를 함침처리방식으로 침투시켜 스티커 원단과 점착제를 층별 격리구조가 아닌 일체화된 단층 결합구조로 형성하고, 그와 같은 결합구조에 의해 스티커 원단과 점착제의 결속력 및 수밀성을 증대되게 하여 수분 유입에 의한 스티커 원단과 점착제 결합면의 박리현상을 원천 예방되게 한 것으로, 이는, 스티커의 내구성과 부착 효율성, 그리고, 방수성을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 사용수명 또한 극히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버 및 그 스티커는, 스티커원단의 메쉬공극에 점착제가 함침처리된 메쉬메움층을 형성하고, 메쉬메움층과 동일한 점착제 성분을 이용하여 스티커원단 일측 전면에 점착층을 형성하며, 재차, 점착층에 에어프리 가공을 통해 엠보싱 구조의 박리유도패턴을 형성하여 그 박리유도패턴에 의해 스티커가 부착된 물품의 표면에 점착제가 전이되는 현상을 방지한 것이고, 아울러, 물품에 부착된 스티커를 떼어냄에 있어서는, 용이한 박리유도작용에 의해 스티커 및 그 스티커가 부착된 물품의 손상없이 간편하고 쉽게 떼어낼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는, 취급의 편리성과 안정성, 그리고, 재사용성을 향상되게 한 것으로,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법의 공정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히팅로울러의 공정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크린부스와 원단공급드럼의 공정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 함침장치의 공정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2 함침장치의 공정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숙성가공실의 공정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엠보성형장치와 패턴보호 피복장치의 공정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쇄처리기의 공정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법 및 그 스티커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을 참고로하여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공정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원단전처리공정(S1)과, 원단 메쉬공극 확보공정(S2)과, 점착제 함침공정(S3)과, 점착층 성형공정(S4)과, 점착층 숙성건조공정(S5)과, 점착 에어프리 가공공정(S6)과, 스티커 인쇄공정(S7)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먼저, 상기 원단전처리공정(S1)은, 본 발명의 기초 소재가 되는 스티커원단(1)을 준비하는 과정인바, 이와 같은, 원단전처리공정(S1)은, 폴리에스터 원사로 직조된 스티커원단(1)을 대전방지제, 예컨대, 나노입자크기로 가공된 황화동 분말과, 나노입자크기로 가공된 난연재 분말, 그리고, 카올린분말 첨가용액을 산업용 믹싱기(도시생략)에 투입하여 30~40분간의 혼합교반과정을 통해 생성한 조성물질로서의 대전방지제에 침지처리하고, 상기 대전방지제에 침지처리된 스티커원단(1)을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흐름방식으로 이동시키며 저온 발열작용을 행하는 히팅 로울러(100)에 의해 가압 탈수하여 건조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원단전처리공정(S1)에 있어, 상기 대전방지제 조성물질로 포함되는 황화동은 주지된 바와 같이, 인체 및 생활환경에 무해한 안전성 물질로서,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등의 유해균 박멸기능,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 차단기능, 악취를 없애는 소취 기능은 물론, 조류인플루엔자 억제기능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작용을 행하는 물질 특성을 갖는 것으로, 이러한, 황화동을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주지된 황화동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예컨대, 황화수소와 유기용매를 적용한 제조방법 또는 황화수소와 수계용매를 적용한 제조방법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에 의해 5nm ~ 10nm 입자크기로 추출된 황화동 나노입자 원료를 이용한다.
또한, 전술한, 원단전처리공정(S1)에 있어, 상기 대전방지제 조성물질로 포함되는 난연재는, 화재발생시 불꽃의 전파를 지연 또는 단절시키기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는 통상의 물질소재로서, 이는 크게 첨가형 난연재와 반응형 난연재로 분리되는 것인바, 이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나노입자크기로 가공된 첨가형 난연재를 주로 이용함이 바람직하며, 부연적으로, 이와 같은 첨가형 난연재의 종류를 살펴보면 수산화 알미늄, 산화안티몬, 수산화 마그네슘과 같은 무기계 난연재가 있고, 기타, 할로겐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등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통상의 다양한 난연재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원단전처리공정(S1)에 있어, 상기 대전방지제 조성물질로 포함되는 카올린은 천연 점토광물, 즉, 규산염 광물로부터 생산되는 함수규산 알루미늄으로, 이는 백색 또는 유백색의 분말형태를 취하고, 화학식은 Al2Si2O5(OH)4로 이루어진 것으로, 촉감이 미끌미끌하고, 다량의 음이온과 양자에너지, 그리고, 원적외선 방출기능에 의해 항균, 제습, 탈취는 물론, 정화작용과 제독작용 등에 있어, 매우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주지의 물질 특성을 갖는 것인바, 이러한 카올린을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5nm ~ 10nm 입자크기로 가공된 미세분말 형태의 카올린을 정수에 투입하여 용해 시킨 카올린분말 첨가용액으로 이용한다.
또한, 상기 원단 메쉬공극 확보공정(S2)은, 전술한 스티커원단 전처리공정(S2)을 행한, 스티커원단(1)을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에 의한 자동 흐름방식에 의해 크린부스(200)를 경유되게 하여, 크린부스(200) 상부로 설치된 에어분사장치(201)에 의한 고압의 에어분사작용과, 크린부스(200) 하부로 설치된 진공흡입장치(202)에 의한 진공흡입작용에 의해 스티커원단(1)의 메쉬공극내 이물질, 예컨대, 스티커원단 직조과정에서 발생한 보플이나 먼지 등을 제거하고,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스티커원단(1)을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공급드럼(300)에 소정단위로 권취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제 함침공정(S3)은, 전술한 원단 메쉬공급 확보공정(S2)을 행한 스티커원단(1)을 컨베이어에 의한 자동 흐름방식에 의해 제1 함침장치(400)를 경유되게 하고, 상기 제1 함침장치를 경유하는 과정에 있어,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함침장치(400)로 형성된 제1 히팅노즐(401)을 통해 스티커원단(1) 일면에 점착제를 고압 분사토록하며, 상기와 같은 고압 분사작용에 의해 점착제를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커원단(1)의 메쉬공극(11)으로 스며들게하여 메쉬메움층(2)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점착제 함침공정(S3)이 있어, 상기 메쉬메움층(2)을 형성함에 있어 사용되는 점착제는, 아크릴산공중합체를 40~47%의 중량비율, 초산에틸을 40~46%의 중량비율, 아세톤을 10~12%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조성한 점착제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점착제를 조성하는 물질성분에 있어, 아크릴산공중합체는 카복실산과 비닐기를 포함하는 아크릴산 원료가 중합반응하여 생성된 점성물로서, 래커, 니스, 인쇄잉크 등에 사용되는 주지의 물질특성을 갖고;
상기 초산에틸은 에틸알코올과 아세트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으로 만들어지는 무색의 중성액체로서, 물에 잘 녹지 않고, 묽은 농도일때 과일향과 좋은 맛을 내어 식품첨가제로 또한 널리 이용되는 주지의 물질특성을 갖으며;
상기 아세톤은 에테르 냄새를 풍기는 무색의 화합물로, 용제, 유지, 왁스, 래커, 니스, 고무, 레이온, 도료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주지의 물질특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점착층 성형공정(S4)은, 전술한 점착제 함침공정(S3)을 행한 스티커원단(1)을 컨베이어에 의한 자동 흐름방식에 의해 제2 함침장치(500)로 경유되게 하고, 상기와 같이 제1 함침장치(500)를 경유하는 과정에 있어,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함침장치(500)로 형성된 제2 히팅노즐(501)을 통해 메쉬메움층(2)을 형성한 스티커원단(1)의 일측 전면에 점착제를 분사도포하여 메쉬메움층(2)과 일체화 성분구성으로 연장하며 스티커원단(1)의 일측 전면에 소정두께의 점착층(3)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점착층 성형공정(S4)에 있어, 상기 점착층(2)을 형성하는데 사용하는 점착제는, 전술한 점착제 함침공정(S3)에 사용하는 점착제, 예컨대, 메쉬메움층(2)을 형성하는 데 사용하는 점착제와 동일 성분의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그들 성분의 명칭과 특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점착층 숙성건조공정(S5)은, 전술한 점착층 성형공정(S4)을 행한 스티커원단(1)을 도 7로 도시된 바와 같은, 간극유지 거치대(601)에 상하 지그재그 펼침방식으로 거치하고, 상기와 같이 거치된 스티커원단(1)을 40℃~50℃의 온도범위를 유지하는 숙성가공실(600)에 투입하여 45~50시간 범위로 1차 숙성 건조하며, 재차, 상기 1차 숙성 건조된 스티커원단(1)을 숙성가공실(600)로부터 인출하여 자연상태의 상온에서 150~170시간 범위로 2차 숙성건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 에어프리 가공공정(S6)은, 전술한 점착층 숙성건조공정(S5)을 행한 스티커원단(1)을 컨베이어에 의한 자동 흐름방식에 의해 엠보성형장치(700)로 경유되게 하고, 그 경유과정에 있어, 도 8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성형장치(700)로 형성된 엠보가공롤러(701)에 의해 스티커원단(1)의 점착층(3)에 규칙적이고 반복적 배열구성으로 이루어진 요철형태의 박리유도패턴(31)을 형성하며, 재차, 상기 박리유도패턴(31)이 형성된 점착층(3)에 도 8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보호피복장치(800)를 이용하여 이형지(4)를 부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상기 스티커 인쇄공정(S7)은, 전술한 점착 에어프리 가공공정(S6)을 행한 스티커원단(1)을 컨베이어에 의한 자동 흐름방식에 의해 도 9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처리기(900)로 경유되게하여 스티커원단(1)의 타면에 다양한 형상과 모양의 글자 또는 도안 등으로 이루어진 스티커문양을 인쇄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러한, 일련의 제조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법을 구현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제조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스티커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점착제 함침공정(S3)과, 점착제 성형공정(S4)은, 제1 히팅노즐(401) 및 제2 히팅노즐(501)의 발열작용에 의해 점착제가 고형화되지 않은 상태, 예컨대, 용융된 액상의 상태로 스티커원단(1)에 분사되는 것이고, 분사된 점착제가 메쉬공극(11)으로 스며들며 형성되는 메쉬메움층(2)과, 상기 메쉬메움층(2)과 일체로 형성되는 점착층(3)은, 점착층 숙성건조공정(S5)을 통해 냉각 건조되어 반고체 상태로 스티커원단(1)에 일체로 결합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제조과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법은, 그 제조방법을 통해 가방, 의류, 다이어리, 핸드폰, 학용품 등은 물론, 자동차, 가전제품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제품의 표면에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그들 제품의 심미감을 상승 되게하는 용도의 스티커를 생산하는 것인바, 그와 같이 생산된 완성된 제품으로서의 스티커의 구조적 특징을 살펴보면;
이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스터 원사로 직조되고, 직조된 폴리에스터 원사와 원사 사이에 메쉬공극(11)을 형성한 스티커원단(1)을 기초구성으로 하여;
상기 스티커원단(1)의 메쉬공극(1)에 함침처리방식으로 점착제를 스며들게하여 메쉬메움층(2)을 형성하고;
상기 메쉬메움층(2)을 형성한 스티커원단(1) 일측 전면에 점착제를 분사 도포하여 메쉬메움층(2)과 일체화된 적층 연결형태의 점착층(3)을 형성하며;
재차, 상기 점착층(3) 표면에 점착 에어프리 가공에 의해 박리유도패턴(31)을 형성하고;
마무리 구성으로, 상기 박리유도패턴(31)이 형성된 점착층(3) 보호를 위한 수단으로, 그 점착층에 이형지를 결합 형성되게 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를 구현한다..
1 : 스티커원단 2 : 메쉬메움층
3 : 점착층 4 : 이형지
11 : 메쉬공극 32 : 박리유도패턴
100 : 히팅로울러 200 : 크린부스
300 : 원단공급드럼 400 : 제1 함침장치
500 : 제2 함침장치 600 : 숙성가공실
700 : 엠보성형장치 800 : 패턴보호 피복장치
900 : 인쇄처리기 S1 : 원단전처리공정
S2 : 원단 메쉬공극 확보공정 S3 : 점착제 함침공정
S4 : 점착층 성형공정 S5 : 점착층 숙성 건조공정
S6 : 점착 에어프리 가공공정 S7 : 스티커 인쇄공정

Claims (5)

  1. 폴리에스터 원사로 직조된 스티커원단(1)을 대전방지제에 침지처리하고, 히팅 로울러(100)에 의해 가압 탈수하여 건조시키는 원단전처리공정(S1);
    상기 원단전처리공정(S1)을 행한 스티커원단(1)을 컨베이어 흐름방식에 의해 크린부스(200)를 경유되게 하여, 크린부스(200) 상부로 설치된 에어분사장치(201)에 의한 고압의 에어분사작용과, 크린부스(200) 하부로 설치된 진공흡입장치(202)에 의한 진공흡입작용에 의해 스티커원단(1)의 메쉬공극내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물질이 제거된 스티커원단(1)을 원단공급드럼(300)에 권취저장하는 원단 메쉬공극 확보공정(S2);
    상기 원단 메쉬공극 확보공정(S2)을 행한 스티커원단(1)을 컨베이어 흐름방식에 의해 제1 함침장치(400)로 경유되게 하여, 제1 함침장치(400)로 형성된 제1 히팅노즐(401)을 통해 스티커원단(1) 일측면에 점착제를 고압 분사하고, 그 고압 분사작용에 의해 점착제를 스티커원단(1)의 메쉬공극(11)으로 스며들게하여 메쉬메움층(2)을 형성하는 점착제 함침공정(S3);
    상기 점착제 함침공정(S3)을 행한 스티커원단(1)을 컨베이어 흐름방식에 의해 제2 함침장치(500)로 경유되게 하여, 제2 함침장치(500)로 형성된 제2 히팅노즐(501)을 통해 메쉬메움층(2)을 형성한 스티커원단(1)의 일측 전면에 점착제를 분사도포하여 메쉬메움층(2)과 일체화 성분구성으로 연장하며 스티커원단(1)의 일측 전면에 점착층(3)을 형성하는 점착층 성형공정(S4);
    상기 점착층 성형공정(S4)을 행한 스티커원단(1)을 간극유지 거치대(601)에 지그재그 펼침방식으로 거치하고, 거치된 스티커원단(1)을 40℃~50℃의 온도를 유지하는 숙성가공실(600)에 투입하여 45~50시간 범위로 1차 숙성 건조하고, 1차 숙성 건조된 스티커원단(1)을 숙성가공실(600)로부터 인출하여 자연상태의 상온에서 150~170시간 범위로 2차 숙성건조하는 점착층 숙성건조공정(S5);
    상기 점착층 숙성건조공정을 행한 스티커원단(1)을 컨베이어 흐름방식에 의해 엠보성형장치(700)로 경유되게 하여, 엠보성형장치(700)로 형성된 엠보가공롤러(701)에 의해 스티커원단(1)의 점착층(3)에 반복적 요철구성의 박리유도패턴(31)을 형성하고, 박리유도패턴(31)이 형성된 점착층(3)에 패턴보호피복장치(800)를 이용하여 이형지(4)를 부착하는 점착 에어프리 가공공정(S6);
    상기 점착 에어프리 가공공정(S6)을 행한 스티커원단(1)을 컨베이어 흐름방식에 의해 인쇄처리기(900)로 경유되게하여 스티커원단(1)의 타측면에 스티커문양을 인쇄처리하는 스티커 인쇄공정(S7)을 통해 스티커를 생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 전처리공정(S1)을 통해 스티커원단(1)을 침지처리하는 대전방지제는 나노입자크기로 가공된 황화동 분말과 난연재 분말, 그리고, 카올린분말 첨가용액을 산업용 믹싱기에 투입하여 30~40분간의 혼합교반과정을 통해 생성한 조성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함침공정(S3)은, 제1 히팅노즐(401)의 발열작용에 의해 점착제를 용융된 액상의 상태로 스티커원단(1) 일측면에 분사하고, 분사된 점착제가 메쉬공극(11)으로 스며들며 형성되는 메쉬메움층(2)은 냉각 건조에 의해 반고체 상태를 취하며 스티커원단(1)과 일체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법.
  5. 삭제
KR1020200057360A 2020-05-13 2020-05-13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법 및 그 스티커 KR102328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360A KR102328429B1 (ko) 2020-05-13 2020-05-13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법 및 그 스티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360A KR102328429B1 (ko) 2020-05-13 2020-05-13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법 및 그 스티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429B1 true KR102328429B1 (ko) 2021-11-17

Family

ID=78702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360A KR102328429B1 (ko) 2020-05-13 2020-05-13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법 및 그 스티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4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01615A (zh) * 2022-09-15 2022-11-08 盐城雅楠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屏幕生产线的玻璃清洗机及其清洗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1769A (ja) * 2005-09-01 2007-03-15 Daikyo Giken Kogyo Kk 粘着テープの洗浄方法
JP2007297376A (ja) * 2006-04-03 2007-11-15 Sumitomo Chemical Co Ltd 植物の保護方法
JP2018131504A (ja) * 2017-02-14 2018-08-23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熱接着テープおよび熱接着テープの製造方法
KR102030077B1 (ko) * 2018-04-17 2019-10-08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1769A (ja) * 2005-09-01 2007-03-15 Daikyo Giken Kogyo Kk 粘着テープの洗浄方法
JP2007297376A (ja) * 2006-04-03 2007-11-15 Sumitomo Chemical Co Ltd 植物の保護方法
JP2018131504A (ja) * 2017-02-14 2018-08-23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熱接着テープおよび熱接着テープの製造方法
KR102030077B1 (ko) * 2018-04-17 2019-10-08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엠보패턴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01615A (zh) * 2022-09-15 2022-11-08 盐城雅楠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屏幕生产线的玻璃清洗机及其清洗方法
CN115301615B (zh) * 2022-09-15 2023-11-14 盐城雅楠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屏幕生产线的玻璃清洗机及其清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25846B (zh) 一种无折痕皮革的生产方法
ATE445731T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tmungsaktiven mehrschichtigen kunstleders sowie atmungsaktives mehrschichtiges kunstleder
KR102328429B1 (ko) 점착성과 탈착변형성을 개선시킨 스티커 제조방법 및 그 스티커
WO2005105429A9 (en) Textile constructions
JP2010125337A (ja) 面ファスナー用の複合材要素
JP4726636B2 (ja) 防汚性合成皮革
CN106103838B (zh) 牛巴革样片状物和其制造方法
JP2016069854A (ja) 簡易施工壁紙
KR101565376B1 (ko) 각종 가구용 및 생활용품에 적용되는 수분산형 폴리우레탄수지 코팅액을 이용한 친환경 합성피혁의 제조방법
CN108357283A (zh) 一种集成墙面3d套印装饰膜生产工艺
JP6818289B2 (ja) 繊維−樹脂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46736B1 (ko) 수성발포벽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05147A (ko) 웰빙 기능성 벽지의 도배방법
EP0900148B1 (en) Transfer and method for its preparation and use
KR100354714B1 (ko) 유리구슬 비드전사지 제조방법
CN202989642U (zh) 一种高效环保印花无纺布
KR20080004821U (ko) 점착식 직물시트지
CN102330386A (zh) 一种壁纸的生产方法
CN108914620A (zh) 一种足球用环保超纤革及其制备方法
KR100925504B1 (ko) 액상 실리콘 고무가 코팅된 메쉬의 제조방법
CN205474597U (zh) 可热升华转印的壁纸
CN102815161A (zh) 一种烫金转移粉化膜及其制备方法
CN1857910A (zh) 一种纤维材料粘合成型的方法
KR102310140B1 (ko) 기능성 점착벽지 및 그 제조방법
CN215480702U (zh) 一种桌面保护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