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8643B1 - 도로 보수를 위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공법 및 이를 위한 철근 유도 장치 - Google Patents

도로 보수를 위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공법 및 이를 위한 철근 유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8643B1
KR102028643B1 KR1020180153848A KR20180153848A KR102028643B1 KR 102028643 B1 KR102028643 B1 KR 102028643B1 KR 1020180153848 A KR1020180153848 A KR 1020180153848A KR 20180153848 A KR20180153848 A KR 20180153848A KR 102028643 B1 KR102028643 B1 KR 102028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longitudinal
cutting
rebar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범준
양정식
김종섭
이민철
Original Assignee
(주)삼우아이엠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아이엠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삼우아이엠씨
Priority to KR1020180153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6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05Methods or materials for repairing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2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with power-driven tools, e.g. vibrated, percussive cutters
    • E01C23/0933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pening-out, cleaning, drying or heating cuts, grooves, recesses or, excluding forming, cracks, e.g. cleaning by sand-blasting or air-jet ; for trimming paving edges with power-driven tools, e.g. vibrated, percussive cutters rotary, e.g. circular-saw joint cu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 E01C23/12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power-driven tools, e.g. oscillated hammer apparatus
    • E01C23/127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power-driven tools, e.g. oscillated hammer apparatus rotary, e.g. rotary ham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보수를 위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공법 및 이를 위한 철근 유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요구되는 기존의 도로 포장을 일정깊이 절삭하여 절삭면을 형성하는 노면 절삭단계; 상기 절삭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방향 철근을 구비하는 철근 구비단계; 및 철근 유도장치가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길이방향 철근을 높이방향의 정위치로 가이드하고, 정위치로 가이드된 길이방향 철근의 상부에 새로운 포장재를 포설하는 포장재 포설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별도의 스페이서나 보조철근이 없이도 길이방향 철근을 간편하게 정위치에 배근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도로 보수를 위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공법 및 이를 위한 철근 유도 장치{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for Road Maintenance and Reinforcing Device}
본 발명은 도로 보수를 위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공법 및 이를 위한 철근 유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지보수가 요구되는 기존의 도로 포장을 일정깊이 절삭하여 절삭면을 형성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방향 철근을 구비하며, 철근 유도장치가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길이방향 철근을 높이방향의 정위치로 가이드하고, 정위치로 가이드된 길이방향 철근의 상부에 새로운 포장재를 포설하는 도로 보수를 위한 연도로 보수를 위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공법 및 이를 위한 철근 유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도로 포장에는 포장체에 미소한 결함을 유발시키는 응력(stress)이 계속적으로 작용하여 결함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모든 포장은 유지보수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응력은 온도와 습도의 변화, 교통 하중, 포장체 하부의 미소한 변동 등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다. 균열이나 포장 표면의 침하 등은 포장체의 눈에 보이는 파손이며 이들은 포장체가 시공된 후 교통 및 환경하중이, 지속적으로 가해져 발현된 결과이다.
따라서, 도로 포장은 지속적인 유지보수가 요구되며, 유지보수의 종류로는 초기 단계의 균열이나 파손을 발견하여 사전에 심각한 파손을 예방하는 예방적 유지보수, 포장 표면에 러터, 라벨링, 균열 등의 결함이 발생시 상시적으로 행하는 일상 유지보수, 블로우업, 심판 포트홀 등의 긴급한 경우에 행하는 긴급 유지보수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포장의 파손 유형으로는 균열, 변형, 탈리, 미끄럼 저항 감소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전체두께 또는 부분두께에 걸쳐 표층을 제거하고 새롭게 포설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공법은 보수되는 포장의 규모에 따라 국부적인 부분을 보수하는 소파 보수공법, 전면적인 재포장을 실시하기까지는 이르지 않았으나 균열이나 바퀴 자국 패임 등이 심하게 발전된 경우에 적용되는 절삭 덧씌우기 공법, 표층뿐만 아니라 기층 및 경우에 따라서는 노상부까지도 제거한 후 다시 포장을 실시하는 재포장 공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술한 공법은 통상적으로 도로의 일정범위를 일정깊이 절삭하고, 절삭된 노면의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며, 그 상부에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를 포설함으로써 파손된 도로의 노면상태를 보수한다.
상술한 도로 포장 보수공법과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문헌으로는 출원인의 선 등록특허 제10-1060103호의 "도로 보수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공법 및 그 구조"(2011 8 23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은 노면의 절삭 후에 절삭된 부위의 바닥면에 시트를 설치하고, 상기 시트의 상부에 횡방향의 보조철근과 길이방향의 텐던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텐던을 인장시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균열이나 변형을 억제하여 포장 및 도로에 구비되는 센서의 파손을 방지하고 수명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 1은 절삭된 부위의 바닥면에 시트를 설치하고 보조철근과 텐던을 일일이 배치하여야 하는 시공상의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시트에 의하여 새롭운 포장층과의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전면적인 보수가 요구되는 경우에 새로운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를 포설하기 위하여 대규모의 장비를 현장에 반입하여야 하나, 차량이 절삭된 부위의 상부로 진행하면 바닥면에 배근된 보조철근이나 텐던에 변형 및 위치 변경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이드측에 포설 작업을 위한 추가적인 여유공간이 요구되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출원인은 철근이 정위치에 배근됨과 동시에 포장면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CRCP(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공법을 제안하여 등록특허 제10-1245828호의 "철근 유도고정 장비를 이용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 공법"(2013 3 14 등록, 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을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2는 최초 철근을 포장면 양 사이드에 배치한 후 포설장비가 운행됨에 따라 폭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정위치에 배근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포장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안되었으나, 포장면의 길이가 일정 이상 확보되지 않는 경우에는 포설장비가 철근을 자연스럽게 정위치로 가이드하는 것에 한계가 발생되어 보수면의 길이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얇은 두께의 포장층만이 도포되는 보수공법의 특성상 그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스페이서나 보조철근이 없이도 철근을 간편하게 정위치에 배근할 수 있으며, 장치의 운행에 따른 철근의 변형이나 위치 변경을 미연에 방지하면서도 작업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아 시공성이 향상되고, 기존 포장과 새로운 포장의 결합력이 증진되어 내구성이 증진될 수 있는 도로 보수를 위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공법 및 이를 위한 철근 유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도로 보수를 위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공법은, 유지보수가 요구되는 기존의 도로 포장(P)을 일정깊이 절삭하여 절삭면(1)을 형성하는 노면 절삭단계(S10); 상기 절삭면(1)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안착홈(2)을 형성하되, 상기 안착홈(2) 사이의 횡방향 간격은 길이방향 철근(3)의 배근 간격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안착홈 형성단계(S20); 상기 절삭면(1)에 형성된 복수의 안착홈(2)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방향 철근(3)을 구비하는 철근 구비단계(S30); 및 철근 유도장치(RD)가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길이방향 철근(3)을 높이방향의 정위치로 가이드하고, 정위치로 가이드된 길이방향 철근(3)의 상부에 새로운 포장재(NP)를 포설하는 포장재 포설단계(S40);를 포함한다.
삭제
또한, 상기 안착홈 형성단계(S20)는, 절삭장치(G)에 구비된 복수의 절삭 디스크(GD)의 간격을 형성하고자 하는 안착홈(2)의 횡방향 간격에 대응되도록 조절하는 간격 조절단계(S21); 및 상기 절삭장치(G)를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복수의 안착홈(2)을 형성하는 안착홈 절삭단계(S22);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안착홈(2)의 은 길이방향 철근(R)의 직경 이상으로 형성되고, 깊이는 상기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장재 포설단계(S40)는, 상기 철근 유도장치(RD)가 상기 절삭면(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안착홈(2) 상부를 이동하면서 상기 길이방향 철근(3)을 높이방향의 정위치로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도로 보수를 위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공법에 적용되는 철근 유도장치(RD)는, 운행차체(100)에 의해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절삭면(1)의 안착홈(2)에 구비된 길이방향 철근(3)을 들어올려 높이방향의 정위치로 유도하는 리프터(200)가 구비되되, 상기 리프터(200)는 상기 리프터 몸체(210)가 운행차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리프터 몸체(2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220)가 구비되며, 상기 길이방향 철근(3)이 정위치로 가이드된 상태에서 새로운 포장재(NP)를 포설하는 포설부(300)가 구비되고, 상기 리프터 몸체(210)에는 폭방향을 따라 복수의 리프트 후크부(213)가 구비되되, 상기 리프트 후크부(213)는 각각 로드(213a)의 하부에 후크(213b)가 결합되며, 상기 후크(231b)는 폭방향 일측으로 만곡되는 안착부(213b-2)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213b-2)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가이드부(213b-3)가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또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리프터 몸체(210)에는 폭방향을 따라 복수의 반원형 홈부(211)가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리프터 몸체(210)에는 폭방향을 따라 복수의 가이드 롤러(212)가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 롤러(212)는 각각 자성몸체(212a)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롤러(212b)가 일정 간격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도로 보수를 위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공법 및 이를 위한 철근 유도장치에 의하면, 철근 유도장치가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안착홈에 구비된 길이방향 철근을 높이방향의 정위치로 가이드하고, 상기 길이방향 철근이 정위치로 가이드된 상태에서 상부에 새로운 포장재를 포설함으로써, 별도의 스페이서나 보조철근이 없이도 길이방향 철근을 간편하게 정위치에 배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길이방향 철근이 절삭면의 안착홈에 구비된 상태에서 철근 유도장치가 그 상부로 운행함에 따라 장치의 하중에 의하여 철근의 변형이나 위치 변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아 시공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로써, 한 개 차로폭 이내의 도로 포장의 보수시에도 추가적인 작업공간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제한된 폭 안에서 모든 공정이 마무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기존 포장에 형성된 절삭면에 안착홈이 형성됨에 따라 새로운 포장재와의 결합력이 증진되어 보수된 도로포장의 내구성이 보다 증진된다.
또한, 안착홈의 횡방향 간격을 길이방향 철근의 배근 간격에 대응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길이방향 철근이 높이방향은 물론 횡방향으로도 정위치에 배근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안착홈의 폭은 길이방향 철근의 직경 이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의 깊이는 폭 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길이방향 철근이 높이방향으로 가이드되는 과정에서 이동 방향을 유도하여 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철근 유도장치는 리프터에 길이방향 철근이 안착되도록 반원형 홈부를 지니는 리프터 몸체가 운행차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길이방향 철근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터 몸체의 높이와 그 사이에 구비되는 반원형 홈부, 가이드 롤러 또는 리프트 후크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설계위치에 따라 길이방향 철근의 높이방향 정위치와 인접 길이방향 철근과의 간격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터 몸체에는 반원형 홈부, 가이드 롤러 또는 리프트 후크를 구비함으로써, 길이방향 철근을 안정적으로 정위치로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공법에 따른 시공장면을 나타낸 사진.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보수를 위한 연속 철근 콘크리트 포장공법(M)의 시계열적 단계를 도시한 블록도와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근 유도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를 도시한 개념도.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를 도시한 것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사항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공법의 시계열적인 순서를 도시한 블록도 및 도 3의 개념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노면 잘삭단계(S10), 안착홈 형성단계(S20), 철근 구비단계(S30), 포장재 포설단계(S40) 및 노면 평탄화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이 되는 기존의 도로 포장(P)이란, 아스팔트 포장과 콘크리트 포장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노면 절삭단계(S10)는 유지보수가 요구되는 기존의 도로 포장(P)을 일정깊이 절삭하여 절삭면(1)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노면 절삭단계(S10)는 기존의 도로 포장(P)의 상태에 따라 일정 범위의 면적을 일정깊이로 절삭하는 단계로서 그라인더와 같은 종래의 절삭장비를 이용하여 진행된다. 절삭되는 깊이는 포장의 종류와 포장면의 면적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100 내지 200mm의 범위에서 이루어진다.
상술한 노면 절삭단계(S10) 이후에 진행되는 철근 구비단계(S30)는 상기 절삭면(1)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방향 철근(3)을 구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철근 구비단계(S30)는 절삭면(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길이방향 철근(3)을 배근하는 단계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철근을 상호 결속수단을 바탕으로 연속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결속수단은 띠철사, 커플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절삭면(1)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길이방향 철근(3)이 구비되면, 포장재 포설단계(S40)가 진행된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길이방향 철근(3)을 구비함에 있어서 이를 정위치에 구비하기 위하여 스페이서나 횡방향 보조철근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스페이서나 횡방향 보조철근이 없더라도, 보수과정에서 상기 길이방향 철근(3)이 높이방향으로 정위치에 구비될 수 있도록 이동을 가이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장재 포설단계(S40)는 철근 유도장치(RD)가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길이방향 철근(3)을 높이방향의 정위치로 가이드하고, 정위치로 가이드된 길이방향 철근(3)의 상부에 새로운 포장재(NP)를 포설한다. 상기 길이방향 철근(3)이 정위치에 가이드되는 시점에 동시에 새로운 포장재(NP)가 포설되도록 하는 것으로 시공간적으로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발명의 도로 보수를 위한 연속 철근 콘크리트 포장공법(M)에 의하면, 별도의 스페이서나 보조철근이 없이도 길이방향 철근을 간편하게 정위치에 배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철근 구비단계(S30) 이전에 상기 절삭면(1)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안착홈(2)을 형성하는 안착홈 형성단계(S20)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홈 형성단계(S20)는 간격 조절단계(S21) 및 안착홈 절삭단계(S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절단계(S21)는 절삭면(1)의 상부에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장치(G)에 구비된 복수의 절삭 디스크(GD)의 간격을 형성하고자 하는 안착홈(2)의 횡방향 간격에 대응되도록 조절하는 단계이다.
상기 절삭장치(G)는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복수의 절삭 디스크(GD)가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현장 설계조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절삭 디스크(GD)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삭 디스크(GD)의 간격에 의하여 상기 안착홈(2) 사이의 간격이 정해지므로, 인접한 절삭 디스크(GD) 간의 횡방향 간격은 설계조건으로서 사전에 계획된 길이방향 철근(3)의 배근 간격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이후 포장재 포설단계(S40)에서 상기 길이방향 철근(3)이 상술한 철근 유도장치(RD)에 의하여 높이방향의 정위치로 배근됨은 물론 상기 안착홈(2)에 의하여 횡방향으로도 정위치에 배근될 수 있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 절삭단계(S22)는 상기 절삭장치(G)를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복수의 안착홈(2)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보수가 요구되는 도로의 상황에 따라서, 절삭장치(G)의 폭에 대응되는 정도라면 1회로 절삭면(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도 복수의 안착홈(2)을 형성할 수 있으나, 도로의 폭이 매우 넓은 경우에는 상기 절삭장치(G)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안착홈(2)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착홈(2)의 폭과 깊이는 결국 상기 절삭장치(G)의 절삭 디스크(GD)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현장 설계조건에 따라 대응되는 절삭 디스크(GD)를 적용함으로써, 목적하는 안착홈(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착홈 형성단계(S20)가 진행된 이후에 상술한 철근 배근단계(S30)가 진행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철근 구비단계(S30)는 복수의 안착홈(2)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방향 철근(3)을 구비한다.
이로써, 상기 길이방향 철근(3)이 절삭면(1)의 안착홈(2)에 구비된 상태에서 철근 유도장치(RD)가 그 상부로 운행함에 따라 장치의 하중에 의하여 길이방향 철근(3)의 변형이나 위치 변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장치를 여유공간을 확보하지 않더라도 절삭면(1)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작업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아 시공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으며, 일 예로 한 개 차로폭 이내의 도로 포장의 보수시에도 추가적인 작업공간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제한된 폭 안에서 모든 공정이 마무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기한 표 1은 종래의 보수공법과 본 발명의 안착홈(2)을 형성하는 보수공법을 형성한 경우의 철근 배근을 대비한 표이다.
종래 보수공법 안착홈을 형성한 보수공법




단면
Figure 112018120976165-pat00001
Figure 112018120976165-pat00002






평면
Figure 112018120976165-pat00003
Figure 112018120976165-pat00004
다만, 상기 안착홈(2)은 길이방향 철근(3)의 직경 이상으로 형성되고, 깊이는 상기 폭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이후 포장재 포설단계(S40)에서 철근 유도장치(RD)가 상기 길이방향 철근(3)이 높이방향으로 가이드되는 과정에서 상기 안착홈(2)의 측면을 따라 상부로 이동 방향을 유도하여 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 포장(P)에 형성된 절삭면(1)에 안착홈(2)이 형성됨에 따라 새로운 포장재(NP)와의 결합력이 증진되어 보수된 도로포장의 내구성이 보다 증진될 수 있다.
하기한 표 2는 절삭면(1) 상에 바로 새로운 포장층을 형성한 경우와 안착홈(2)을 형성하여 새로운 포장층을 형성한 경우를 비교한 휨 성능 실험결과이다.
종래 보수공법 안착홈을 형성한 보수공법






사진
Figure 112018120976165-pat00005
Figure 112018120976165-pat00006
Figure 112018120976165-pat00007
Figure 112018120976165-pat00008



균열양상도면
Figure 112018120976165-pat00009
Figure 112018120976165-pat00010
최대하중 27.13 (ton) 28.79 (ton)
(6% 개선)
새로운 포장층이 하부를 향하도록 하여 휨 성능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안착홈을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균열이 분열이 중앙에 집중됨이 없이 고르게 분산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최대 허용 하중도 안착홈을 형성한 경우가 대략 6% 가량 개선되는 결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포장재 포설단계(S40) 이후에는 포설된 새로운 포장재(NP)를 일정한 높이로 평탄화하는 노면 평탄화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기존 포장(P)의 절삭면 상부에 새로운 포장재(NP)로 평탄화된 보수된 노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평탄화면의 높이는 설계조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노면 절삭단계(S10)에서 절삭된 노면의 깊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도로 보수를 위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공법(M)에 적용되는 철근 유도장치(RD)에 대하여 상술하도록 한다.
상기 철근 유도장치(RD)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행차체(100)의 하부에 상술한 길이방향 철근(3)을 높이방향의 정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리프터(200)가 구비되고, 상기 리프터(300)가 길이방향 철근(3)을 정위치에 가이드한 상태에서 새로운 포장재(NP)를 포설하는 포설부(300)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철근 유도장치(RD)는 운행차체(100)에 의하여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리프터(200)는 상기 운행차체(100)의 하부에 구비되므로, 상기 운행차체(100)의 이동에 종속되어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연스럽게 그 위치가 이동된다. 상기 리프터(200)는 절삭면(1)의 안착홈(2)에 구비된 길이방향 철근(3)을 들어올려 높이방향의 정위치로 유도하며, 상기 길이방향 철근(3)이 정위치로 가이드된 상태에 이르게 되면 상부에 구비된 포설부(300)가 새로운 포장재(NP)를 포설한다. 상기 철근 유도장치(RD)는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술한 과정을 연속적으로 진행하게 되며 이로써, 별도의 스페이서나 횡방향 보조철근이 없더라도 도로 보수를 위한 길이방향 철근(RD)이 전체적으로 높이방향의 정위치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프터(20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철근(3)이 안착되도록 반원형 홈부(211)를 지니는 리프터 몸체(210)가 운행차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리프터 몸체(2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 몸체(210)는 복수의 길이방향 철근(3)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반원형 홈부(2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반원형 홈부(211)는 철근 유도장치(RD)의 이동간에 길이방향 철근(3)이 이탈됨이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상기 길이방향 철근(3)은 반원형 홈부(211)의 위치를 따라 가이드된다.
상기 높이 조절부(220)는 리프터(200)의 리프터 몸체(210)가 위치하는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현장여건에 따른 높이방향의 정위치가 변경되므로, 설계조건에 대응되도록 거이더(200)의 높이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터 몸체(210)에 구비된 복수의 반원형 홈부(211)는 상호 횡방향 간격이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설계조건에 따른 길이방향 철근(3)의 간격에 따라 유연하게 반원형 홈부(21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터 몸체(210)에 구비된 복수의 반원형 홈부(211)는 단면 형상이 철근이 유도되는 방향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두께가 얇아지거나 높이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길이방향 철근(3)이 가이드되는 과정에서 상기 반원형 홈부(211)와의 간섭이 발생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상기 리프터 몸체(210)에는 폭방향을 따라 복수의 가이드 롤러(2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212)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자성몸체(212a)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롤러(212b)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길이방향 철근(3)이 자성몸체(212a)의 자성에 의하여 이탈됨이 없이 정위치로 유도되고, 상기 롤러(212b)에 의하여 상대적인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리프터 몸체(210)에는 폭방향을 따라 복수의 리프트 후크부(213)가 구비되되, 상기 리프트 후크부(213)는 도 8((a)는 사시도, (b)는 평면도, (c)는 일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로드(213a)의 하부에 후크(213b)가 결합되며, 상기 후크(231b)는 로드(213a)와 연결되는 수직부(213b-1)의 하부에 폭방향 일측으로 만곡되는 안착부(213b-2)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213b-2)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가이드부(213b-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231b)는 수직부(213b-1), 안착부(213b-2) 및 가이드부(213b-3)가 연속적인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점진적으로 그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가이드부(213b-3)은 그 형상에 의하여 안착홈(2)에 구비된 길이방향 철근(3)이 안정적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길이방향 철근(3)이 정위치에 구비되지 않고 간섭에 의하여 다른 위치에 걸리는 경우 상기 로드(213a)는 상하로 미세 유동될 수 있어 이를 바탕으로 길이방향 철근(3)을 정위치로 유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로드(213a)의 상부에는 탄성체(231c)가 구비됨으로써 로드(213a)나 후크부(213b)의 움직임을 유도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상하 미세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리프터 몸체(210)에 폭방향으로 구비된 복수의 가이드 롤러(212)와 리프트 후크부(213)도 상호 횡방향 간격이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는 도 5의 철근 유도장치(R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200)의 이동방향 후방으로 페이버(400)가 일체로 형성되어, 노면 평탄화를 즉각적으로 수행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보수를 위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공법(M) 및 이를 위한 철근 유도장치(RD)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도로 보수를 위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공법
S10:노면 절삭단계 S20:안착홈 형성단계
S21:간격 조절단계 S22:안착홈 절삭단계
S30:철근 구비단계 S40:포장재 포설단계
S50:노면 평탄화단계
1:절삭면 2:안착홈
3:길이방향 철근 P:도로 포장
NP:새로운 포장재 G:절삭장치
GD:절삭 디스크 RD:철근 유도장치
100:운행차체 200:리프터
210:리프터 몸체 211:반원형 홈부
220:높이 조절부 300:포설부
400:페이버

Claims (11)

  1. 유지보수가 요구되는 기존의 도로 포장(P)을 일정깊이 절삭하여 절삭면(1)을 형성하는 노면 절삭단계(S10);
    상기 절삭면(1)에 횡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안착홈(2)을 형성하되, 상기 안착홈(2) 사이의 횡방향 간격은 길이방향 철근(3)의 배근 간격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안착홈 형성단계(S20);
    상기 절삭면(1)에 형성된 복수의 안착홈(2)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방향 철근(3)을 구비하는 철근 구비단계(S30); 및
    철근 유도장치(RD)가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길이방향 철근(3)을 높이방향의 정위치로 가이드하고, 정위치로 가이드된 길이방향 철근(3)의 상부에 새로운 포장재(NP)를 포설하는 포장재 포설단계(S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보수를 위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공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 형성단계(S20)는,
    절삭장치(G)에 구비된 복수의 절삭 디스크(GD)의 간격을 형성하고자 하는 안착홈(2)의 횡방향 간격에 대응되도록 조절하는 간격 조절단계(S21); 및
    상기 절삭장치(G)를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복수의 안착홈(2)
    을 형성하는 안착홈 절삭단계(S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보수를 위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공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2)의 폭은 길이방향 철근(3)의 직경 이상으로 형성되고, 깊이는 상기 폭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보수를 위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공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 포설단계(S40)는,
    상기 철근 유도장치(RD)가 상기 절삭면(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안착홈(2) 상부를 이동하면서 상기 길이방향 철근(3)을 높이방향의 정위치로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보수를 위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공법.
  7. 운행차체(100)에 의해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절삭면(1)의 안착홈(2)에 구비된 길이방향 철근(3)을 들어올려 높이방향의 정위치로 유도하는 리프터(200)가 구비되되, 상기 리프터(200)는 상기 리프터 몸체(210)가 운행차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리프터 몸체(2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220)가 구비되며, 상기 길이방향 철근(3)이 정위치로 가이드된 상태에서 새로운 포장재(NP)를 포설하는 포설부(300)가 구비되고,
    상기 리프터 몸체(210)에는 폭방향을 따라 복수의 리프트 후크부(213)가 구비되되, 상기 리프트 후크부(213)는 각각 로드(213a)의 하부에 후크(213b)가 결합되며, 상기 후크(213b)는 폭방향 일측으로 만곡되는 안착부(213b-2)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213b-2)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가이드부(213b-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유도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153848A 2018-12-03 2018-12-03 도로 보수를 위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공법 및 이를 위한 철근 유도 장치 KR102028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848A KR102028643B1 (ko) 2018-12-03 2018-12-03 도로 보수를 위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공법 및 이를 위한 철근 유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848A KR102028643B1 (ko) 2018-12-03 2018-12-03 도로 보수를 위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공법 및 이를 위한 철근 유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643B1 true KR102028643B1 (ko) 2019-11-04

Family

ID=6857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848A KR102028643B1 (ko) 2018-12-03 2018-12-03 도로 보수를 위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공법 및 이를 위한 철근 유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6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879B1 (ko) * 2019-11-22 2021-05-12 (주)삼우아이엠씨 철근 자동 배근 장치
KR102250881B1 (ko) * 2019-11-22 2021-05-12 (주)삼우아이엠씨 철근 자동 배근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0106A (ja) * 1993-12-24 1995-07-18 Tokyu Constr Co Ltd 鉄筋コンクリート舗装工法及び配筋装置
JPH11247128A (ja) * 1998-03-03 1999-09-14 Obayashi Road Corp 鉄筋補強増厚工法
JP2000226810A (ja) * 1999-02-08 2000-08-15 Nippon Hodo Co Ltd 舗装構造物の構築に際しての配筋方法、舗装構造物の構築に際しての配筋・材料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配筋機能付材料供給装置
JP2004124550A (ja) * 2002-10-03 2004-04-22 Nippo Corporation:Kk 路面加熱方法および路面切削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0106A (ja) * 1993-12-24 1995-07-18 Tokyu Constr Co Ltd 鉄筋コンクリート舗装工法及び配筋装置
JPH11247128A (ja) * 1998-03-03 1999-09-14 Obayashi Road Corp 鉄筋補強増厚工法
JP2000226810A (ja) * 1999-02-08 2000-08-15 Nippon Hodo Co Ltd 舗装構造物の構築に際しての配筋方法、舗装構造物の構築に際しての配筋・材料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配筋機能付材料供給装置
JP2004124550A (ja) * 2002-10-03 2004-04-22 Nippo Corporation:Kk 路面加熱方法および路面切削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879B1 (ko) * 2019-11-22 2021-05-12 (주)삼우아이엠씨 철근 자동 배근 장치
KR102250881B1 (ko) * 2019-11-22 2021-05-12 (주)삼우아이엠씨 철근 자동 배근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6291B2 (ja) 橋梁床版の施工方法とプレキャスト床版の継手構造
KR102028643B1 (ko) 도로 보수를 위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공법 및 이를 위한 철근 유도 장치
KR101801318B1 (ko) 콘크리트 도상 분기기 시공방법
CN103321111B (zh) 有轨电车轨道连铺的施工方法
CN110195382B (zh) 路基结构和采用该路基结构抬升轨道结构的方法
JP2011184969A (ja) 連続鉄筋コンクリート舗装用支持スペーサーの設置方法
KR100916973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의 시공 방법 및 그 구조
KR20170036921A (ko) 스틸 메시를 구비하는 도로 포장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454405B1 (ko) 철도교의 강교를 콘크리트교로 치환시켜 유도상화하는공법
KR101219788B1 (ko) 유압잭을 이용한 압축력 도입이 가능한 교량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시공방법
CN102852066A (zh) 混凝土道路型钢伸缩缝精确安装方法
KR100884780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0847726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JP5848716B2 (ja) 床版取り替え工法
US7021858B2 (en) Double joints pavement system
CN114562129A (zh) 一种履带吊上地下室顶板三位一体加固方法
JP2014181445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布設方法
KR102193641B1 (ko) 박층 프리캐스트 포장 구조, 박층 프리캐스트 포장의 시공방법
KR102120857B1 (ko) 교량 바닥판의 시공 시스템
KR101756965B1 (ko) 유지 보수가 가능한 높낮이 조절형 철도궤도선로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철도궤도선로 보수방법
KR100729842B1 (ko) 철도교의 유도상화를 위한 보수공법 및 구조
KR20100026917A (ko)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교량 및 시공방법
CN103510701A (zh) 整体钢筋绑扎台座
KR101653559B1 (ko) 철도 교량의 유도상화 공법
KR102196373B1 (ko) 프리캐스트 슬래브 패널을 이용한 철도궤도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