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9842B1 - 철도교의 유도상화를 위한 보수공법 및 구조 - Google Patents

철도교의 유도상화를 위한 보수공법 및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9842B1
KR100729842B1 KR1020060037276A KR20060037276A KR100729842B1 KR 100729842 B1 KR100729842 B1 KR 100729842B1 KR 1020060037276 A KR1020060037276 A KR 1020060037276A KR 20060037276 A KR20060037276 A KR 20060037276A KR 100729842 B1 KR100729842 B1 KR 100729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steel wire
steel
installing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선영
Original Assignee
석정건설(주)
황윤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정건설(주), 황윤태 filed Critical 석정건설(주)
Priority to KR1020060037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98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교로 이루어진 철도교의 노후화 및 설계기준의 변경으로 교량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유도상화를 이루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거더가 있는 경우에도 거푸집과 PC 강선을 이용하여 시공 속도가 빠르고 견고하며 외력에 저항하면서 유지관리비가 필요치 않도록 하는 철도교의 유도상화를 위한 보수공법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존 거더(30)의 하측과 외측으로 내부에 중공(81)이 형성되도록 설치한 하부 슬래브(71)와; 상기 하부 슬래브(71)의 상측에 위치하며 양측으로 돌출된 상부 슬래브(74)와; 상기 하부 슬래브(71)와 상부 슬래브(74)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양 선단이 중공(81)의 내부에 형성된 측면 블럭 아웃(77)과 블럭 아웃(78)의 강선 고정부(77', 78')에 고정되는 PC 강선(72, 75)과; 상기 기존 거더(30) 중 하부 슬래브(71)와 상부 슬래브(74)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부 돌출부(31)와 하부 돌출부(32)가 제거되고 상측의 침목(40) 사이에 도상 자갈(80)이 부설되어 유도상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거더, 철도교, PC강선

Description

철도교의 유도상화를 위한 보수공법 및 구조{Repair work of railroad bridge and that structure}
도 1 은 종래 철도교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강재 거푸집을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
도 3 는 본 발명의 1차 강선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1차 콘크리트 타설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거푸집 및 2차 강선을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2차 콘크리트 타설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거푸집 철거 및 부대시설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 완성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강선을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1차 강선 긴장작업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2차 강선 긴장작업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강선에 대한 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강선에 대한 배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기존 거더를 철거한 상태의 단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도상 자갈을 부설한 상태의 단면도
도 16 은 본 발명의 궤도를 부설한 완성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교각 20 : 교좌장치
30 : 기존 거더 31 : 상부 돌출부
32 : 하부 돌출부 40 : 침목
50 : 레일 60 : 차량
70 : 강재 거푸집 71 : 하부 슬래브
72 : 1차 강선 73 : 거푸집
74 : 상부 슬래브 75 : 2차 강선
76 : 부대시설 77 : 측면 블럭 아웃
77', 78' : 강선 고정부 78 : 블럭 아웃
80 : 도상 자갈
본 발명은 강교로 이루어진 철도교의 노후화 및 설계기준의 변경으로 교량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유도상화를 이루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거더가 있는 경우에도 거푸집과 PC 강선을 이용하여 시공 속도가 빠르고 견고하며 외력에 저항하면서 유지관리비가 필요치 않도록 하는 철도교의 유도상화를 위한 보수공법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교는 슬래브 교에 비하여 많은 단점을 지닌 강교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강교를 슬래브 교로 바꿀 필요성이 있는데, 이는 철도 강교의 유도상화를 위해 필요하다.
유도상이란, 철도교에 있어서 레일 및 이를 받치고 있는 침목이다 거더 등에 자갈이 깔려있는 상태를 말한다. 무도상은 상기에서 자갈이 깔려 있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과거에 시공된 대부분의 철도료는 대부분이 강교로써 하천을 지나거나 계곡 사이를 지나는 등 지반에 설치되지 않은 대부분의 철도교는 도 1 과 같이 무도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철도교는 평행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레일(50)은 일정한 간격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침목(40)이 받침하고, 이 침목의 하부로는 기존 거더(30)가 길이 방향으로 받침되며, 이 거더의 교대 또는 교각(10)의 상부 위치에는 교좌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철도교는 거더(30) 바탕면을 그라인딩하여 콘크리트와의 부착을 좋게 하기 위한 계령작업을 하고, 거더(30)에 배근을 위한 구멍(310)을 뚫고, 상기 천공된 구멍을 통하여 철근을 배근하고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되, 교각 하부의 지면고르기 및 지장물 철거 등의 단계 및 동바리 서포트를 지지설치하며, 상기 슬래브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 후 서포트 및 거푸집의 탈형 후 슬래브 상부로 노출된 거더 돌출부를 절단해내어 그 자리에 슬래브의 방수처리를 하고, 자갈로 슬래브 상에 유도상화하여 완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 따른 방법은, 슬래브의 타설 및 양생중에도 철로 위로 차량이 운행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슬래브의 균열 및 재료 분리에 따른 구조적 강성에 문제가 발생한 무리한 보수 구조이다.
이러한 결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특허 제415768호(2004. 1. 16. 공고)와 같이, 유도상화 시공 중에 열차의 동하중에 의한 진동 충격을 방지하면서 시공되게 하며, 지면으로부터 동바리 설치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교각 상에 설치되는 조립식 브래킷 동바리에 의한 시공을 한 것이고, 조립/분해 가능한 가설구조로써 유도상화를 위해 단계별로 이동하면서 시스템 이동식으로 그 시공이 양호하게 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평행하게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한 쌍의 레일은 일정 간격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목재 침목이 받침하고, 이 침목의 하부 길이방향으로는 거더가 받침되고, 이 거더와 교대 또는 교각 상부에는 교좌장치가 개재되어 있는 통상의 철도교에 있어서, 기존 거더를 철거하되,
각각의 교대 또는 교각상에 설치되는 유압잭 받침용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양측 상부면에 높이 보상재를 개재하여 설치되는 제1유압잭;
상기 제1유압잭이 설치된 각각의 교각 간격 정도의 길이를 갖고, 제1유압잭 상부에 얹어지는 한 쌍의 열차 하중 지지용 제2거더;
상기 제2거더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가지며 폭 방향으로 설치하되, 상기 각각의 목재침목 사이에 위치하여 레일 저면에 개재되어 제2거더에 조립 고정되는 강재 침목;
상기 브래킷의 양측 단차면으로 안착되는 제2유압잭;
상기 제2유압잭이 설치된 각각의 교각 간격 정도의 길이를 갖고 상기 제2유압잭 상부에 얹어지는 한 쌍의 종부재와;
이 종부재 상면의 폭방향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횡부재로 조립되는 격자형 공중 동바리;
상기 공중 동바리로 지지가 되는 거푸집에 의해 양생 된 슬래브; 및
목재 침목과 슬래브 사이에 자갈 메우기를 하여 유도상화한 구조로 된 것으로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는 교각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공중 동바리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므로 공중 동바리의 설치를 위한 시간과 해체를 위한 시간의 소모가 많아지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기존 거더의 높이가 매우 높아 기존 거더에서 도상자갈을 설치할 높이를 제외한 높이가 슬래브의 높이를 이루게 되므로 슬래브의 높이가 높아져 콘크리트의 소모가 많아지게 되므로 중량물로 설치되는 문제점이 있 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열차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고 기존 교량 외측에 강재 거푸집을 설치하여 시공하므로 시공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1차 및 2차 콘크리트 타설을 통하여 내부에 박스형태로 중공이 형성되어 경량화되면서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PC 강선을 사용하여 외력에 저항하며 재 도장에 의한 유지관리비가 필요치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교각(10)의 상부에 강재 거푸집(7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강재 거푸집(70)의 내부에 인장력을 갖도록 PC 강선(73)을 설치하는 1차 강선조립 단계;
상기 강재 거푸집(7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공급하여 양생 후 하부 슬래브(71)를 설치하는 1차 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하부 슬래브(71)의 상측으로 거푸집(73)을 설치하고 이 거푸집(73)의 내부에 PC 강선(75)을 설치하는 거푸집 및 2차 강선조립 단계;
상기 거푸집(73)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공급하여 양생 후 상부 슬래브(74)를 설치하는 2차 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하부 슬래브(71)와 상부 슬래브(74)의 중공(81)에 형성된 측면 블록 아웃(77)의 강선 고정부(77')에 PC 강선(72)을 긴장 고정하는 1차 강선 긴장작업 단계;
상기 중공(81)에 형성된 블록 아웃(78)의 강선 고정부(78')에 PC 강선(72, 75)을 긴장 고정하는 2차 강선 긴장작업 단계;
상기 하부 슬래브(71)와 상부 슬래브(74)에 노출된 기존 거더(30)의 상부 돌출부(31)와 하부 돌출부(32)를 제거하는 기존 거더 철거 단계;
상기 기존 거더를 철거한 후 상부 슬래브(74)에 도상 자갈(80)을 공급하는 도상 자갈 부설 단계;
상기 도상 자갈을 부설한 후 침목(40)과 레일(50)을 부설하는 궤도 부설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의 레일(50)이 설치된 침목(40)을 하측에서 받침하는 기존 거더(30)가 교좌장치(20)를 통하여 교각(10)에 설치된 철도교에 있어서,
상기 기존 거더(30)의 하측과 외측으로 내부에 중공(81)이 형성되도록 설치한 하부 슬래브(71)와;
상기 하부 슬래브(71)의 상측에 위치하며 양측으로 돌출된 상부 슬래브(74)와;
상기 하부 슬래브(71)와 상부 슬래브(74)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양 선단이 중공(81)의 내부에 형성된 측면 블럭 아웃(77)과 블럭 아웃(78)의 강선 고정부(77', 78')에 고정되는 PC 강선(72, 75)과;
상기 기존 거더(30) 중 하부 슬래브(71)와 상부 슬래브(74)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부 돌출부(31)와 하부 돌출부(32)가 제거되고 상측의 침목(40) 사이에 도상 자갈(80)이 부설되어 유도상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 거더(30)는 교각(10)의 상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한 교좌장치(20)의 상측으로 "H" 빔 또는 형강이 연결되어 상측으로 침목(40)과 레일(50)을 지지하며 도상자갈(80)을 설치하여 차량(60)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재 거푸집 조립을 나타낸 것으로 기존 거더(30)의 외측을 차지하며 교각(10)의 상측 교좌장치(20) 상부에 하측은 일자형으로 형성되며 양측에서 경사지에 돌출한 강재 거푸집(70)을 이용하여 하부 슬래브(71)를 구성하며, 내부에 박스 형태의 중공(81)을 갖도록 거푸집 고정대(79)를 이용하여 안정되게 고정한다.
강재 거푸집(70)은 교각(10)의 상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교좌장치(20)를 설치하고, 그 상측에 하부 슬래브(71)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갖도록 설치한다.
상기 거푸집 고정대(79)는 강재 거푸집(70)의 내부 사면에서 X자 형태로 교차되게 연결하여 견교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강선 조립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강재 거푸집(70)의 설치가 완성되면 내부에 PC 강선(72)을 일정한 형태로 조립하는 1차 강선조립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PC 강선(72)은 도 1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를 관통하여 양 선 단에서는 측면 블럭 아웃(77)으로 노출되도록 배치하되, 도 1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측면에 배치되는 PC 강선(72)은 중앙부분의 폭이 가깝고 양측 선단으로 갈수록 넓게 벌어지는 형태를 갖도록 한다.
상기 PC 강선(72, 75)는 하부 슬래브(71)와 상부 슬래브(74)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중공(81)으로 돌출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콘크리트 타설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강재 거푸집(70)의 상측에서 콘크리트를 공급하여 양생 후 강재 거푸집(70)의 내부 형태를 갖는 하부 슬래브(71)를 성형한다.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푸집 및 2차 강선 조립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하부 슬래브(71)의 상측에서 하부 슬래브(71)의 안쪽 상측과 외부에 돌출하도록 거푸집(73)을 설치하고 이 거푸집(73)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에 다수의 PC 강선(75)을 설치하여 2차 강선을 조립한다.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콘크리트 타설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거푸집(73)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공급하여 양생 후 상부 슬래브(74)를 형성한다.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푸집 철거 및 부대시설 설치를 나타낸 것으로 상부 슬래브(74)를 형성한 후에 콘크리트가 양생하면 거푸집(73)을 제거하고 부대시설(76)을 설치한다.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성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부 슬래브(74)의 상측으로 기존 거더(30)의 상측인 상부 돌출부(31)가 노출되고, 중공(81)에는 하측 돌출부(32)가 노출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슬래브(71)와 상부 슬래브(74)의 내부에 PC 강선(72, 75)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르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강선 긴장작업을 나타낸 것으로 하부 슬래브(71)와 상부 슬래브(74)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81)의 양측면에 측면 블럭 아 웃(77)을 설치하여 PC 강선(72)의 선단을 내부로 노출시켜 강선 고정부(77')를 통하여 긴장 작업을 완성한다.
도 1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강선 긴장작업을 나타낸 것으로 하부 슬래브(71)와 상부 슬래브(74)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81)의 상, 하측면에 블럭 아웃(78)을 설치하여 하부 슬래브(71)의 하측면에 형성된 PC 강선(72)과 상부 슬래브(74)에 형성된 PC 강선(75)의 선단을 내부로 노출시켜 강선 고정부(78')를 통하여 긴장 작업을 완성한다.
도 1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 거더 철거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부 슬래브(74)의 성형으로 상부 슬래브(74)에 묻히지 않고 상측으로 노출된 상부 돌출부(31)와, 하부 슬래브(71)와 상부 슬래브(74)를 형성하고 난 후 노출된 하측 돌출부(32)는 침목(40)과 레일(50)은 들어 올려두고 콘크리트로 매립되지 않고 노출된 기존 거더(30)의 상부 돌출부(31)와 하부 돌출부(32)를 절단하여 제거한다.
상기 기존 거더(30)의 상부 돌출부(31)와 하부 돌출부(32)인 강재를 제거한 부분에는 방수처리를 하여 물이 내부로 스며들지 않도록 한다.
도 1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상 자갈의 부설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부 슬래브(74)의 상측으로 도상 자갈(80)을 부설한다.
도 1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궤도 부설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상 자갈(80)을 부설한 이후에 들어 올려두었던 침목(40)과 레일(50)을 도상 자갈(80) 상에 내려놓아 궤도를 부설한다.
상기 침목(40)과 레일(50)은 분리한 후 다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치 순서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기존 거더(30)의 하측 부분에서 강재 거푸집(70)이 내부에 중공(81)을 갖도록 조립하되, 중공(81)부분에서 X자 형태로 거푸집 고정대(79)를 교차시켜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강재 거푸집(70)을 조립한 후에는 그 내부에 PC 강선(72)을 일정한 간격에 설치하여 1차 강선조립 단계를 마친다.
상기 PC 강선(72)의 양측면은 외력에 저항하도록 인장력이 크게 작용하도록 중앙부분이 하측으로 내려와 전체적으로는 부채꼴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한다.
강재 거푸집(7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공급하여 1차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에 의해 하부 슬래브(71)를 완성한다.
상기 하부 슬래브(71)의 상측으로 거푸집(73)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PC 강선(75)을 설치한다.
상기 거푸집(73)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공급하여 2차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에 의해 상부 슬래브(74)를 완성한다.
상부 슬래브(74)가 완성되면 거푸집(73)을 철거하고 부대시설(76)을 설치한 후 완성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부 슬래브(74)의 상측에는 상부 돌출부(31)가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중공(81)의 내부에는 하부 돌출부(32)가 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완성된 상태에서 상부 돌출부(31)와 하부 돌출부(32)와 같이 노출된 것을 제거한다.
상부 돌출부(31)와 하부 돌출부(32)와 같이 노출된 부분을 제거한 후에는 조 립된 강선의 양 선단을 중공(81)의 측면 블럭 아웃(77)과 블럭 아웃(78)에 강선 고정부(77', 78')를 고정시켜 강선의 긴장작업을 완료한다.
강선의 긴장 작업을 완료한 이후에는 상부 슬래브(74)에 도상 자갈(80)을 공급하고 침목(40)과 레일(50)을 깔아 궤도의 부설작업을 완성하여 열차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상부 돌출부(31)와 하부 돌출부(32)를 제거하는 과정은 부대시설을 설치한 이후에 하거나, 강선의 긴장작업을 종료한 이후에 작업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 거더(30)를 통하여 열차가 통행하는 과정에서 모든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열차를 멈추지 않고 작업할 수 있는 것이며, 기존 거더(30)의 일부분인 하부 슬래브(71)와 상부 슬래브(74)의 아주 국부적인 부분에서만 약간의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콘크리트의 양생에 의해 설계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열차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고 기존 교량 외측에 강재 거푸집을 설치하여 시공하므로 시공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1차 및 2차 콘크리트 타설을 통하여 내부에 박스형태로 중공이 형성되어 경량화가 가능하면서 설계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PC 강선을 사용하여 인장력이 크고 외력에 저항하여 안정성을 제공하며, 재 도장에 의한 유지관리비가 필요치 않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5)

  1. 교각(10)의 상측 교좌장치(20) 상부에 하측이 일자형으로 형성되며 양측에서 경사지게 돌출한 강재 거푸집(70)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강재 거푸집(70)의 내부에 인장력을 갖도록 PC 강선(73)을 설치하는 1차 강선조립 단계;
    상기 강재 거푸집(7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공급하여 양생 후 교좌장치(20)에 올려진 하부 슬래브(71)를 설치하는 1차 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하부 슬래브(71)의 상측과 양측으로 돌출하는 거푸집(73)을 설치하고 이 거푸집(73)의 내부에 PC 강선(75)을 설치하는 거푸집 및 2차 강선조립 단계;
    상기 거푸집(73)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공급하여 양생 후 하부 슬래브(71)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슬래브(74)를 설치하는 2차 콘크리트 타설 단계;
    상기 하부 슬래브(71)와 상부 슬래브(74)의 중공(81)에 형성된 측면 블록 아웃(77)의 강선 고정부(77')에 PC 강선(72)을 긴장 고정하는 1차 강선 긴장작업 단계;
    상기 중공(81)에 형성된 블록 아웃(78)의 강선 고정부(78')에 PC 강선(72, 75)을 긴장 고정하는 2차 강선 긴장작업 단계;
    상기 하부 슬래브(71)와 상부 슬래브(74)를 설치할 때 상부 슬래브(74)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기존 거더(30)의 상부 돌출부(31)와 상부 돌출부(31)의 하측과 하부 슬래브(71)의 내부에 기존 거더(30)에서 노출되는 하부 돌출부(32)를 제거하는 기존 거더 철거 단계;
    상기 기존 거더(30)를 철거한 후 상부 슬래브(74)에 도상 자갈(80)을 공급하는 도상 자갈 부설 단계;
    상기 도상 자갈을 부설한 후 침목(40)과 레일(50)을 부설하는 궤도 부설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의 유도상화를 위한 보수공법.
  2. 한 쌍의 레일(50)이 설치된 침목(40)을 하측에서 받침하며 철구조물로 형성한 기존 거더(30)가 교좌장치(20)를 통하여 교각(10)에 설치된 철도교에 있어서,
    상기 교좌장치(20) 상부에 하측이 일자형으로 형성되며 양측에서 경사지게 돌출한 강재 거푸집(70)으로 성형하며,
    기존 거더(30)의 하측과 외측으로 내부에 중공(81)이 형성되도록 설치한 하부 슬래브(71)와;
    상기 하부 슬래브(71)의 상측과 양측에서 돌출되게 위치하며 양측으로 돌출된 상부 슬래브(74)와;
    상기 하부 슬래브(71)와 상부 슬래브(74)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양 선단이 중공(81)의 내부에 형성된 측면 블럭 아웃(77)과 블럭 아웃(78)의 강선 고정부(77', 78')에 고정되는 PC 강선(72, 75)과;
    상기 하부 슬래브(71)와 상부 슬래브(74)를 설치할 때 상부 슬래브(74)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기존 거더(30)의 상부 돌출부(31)와, 상부 슬래브(74)의 하측과 하부 슬래브(71)의 내부에 기존 거더(30)에서 노출되는 하부 돌출부(32)가 제거되고 상측의 침목(40) 사이에 도상 자갈(80)이 부설되어 유도상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의 유도상화를 위한 보수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PC 강선(72, 75)은 하부 슬래브(71)의 중앙부는 하측에 위치하고 양 선단으로 갈수록 멀어지는 부채꼴 모양으로 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의 유도상화를 위한 보수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유도상화하는 침목(40)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기존 거더(30)를 모두 철거하지 않고, 하부 슬래브(71)와 상부 슬래브(74)를 설치 한 후, 하부 슬래브(71)와 상부 슬래브(74)를 성형한 후 콘크리트에 매립되지 않고 노출된 상부 돌출부(31)와 하부 돌출부(32)만을 철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의 유도상화를 위한 보수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측면 블럭 아웃(77)과 블럭 아웃(78)은 중공(81)의 내부로 돌출되어 PC 강선(72, 75)가 통과되어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교의 유도상화를 위한 보수구조.
KR1020060037276A 2006-04-25 2006-04-25 철도교의 유도상화를 위한 보수공법 및 구조 KR100729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276A KR100729842B1 (ko) 2006-04-25 2006-04-25 철도교의 유도상화를 위한 보수공법 및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276A KR100729842B1 (ko) 2006-04-25 2006-04-25 철도교의 유도상화를 위한 보수공법 및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9842B1 true KR100729842B1 (ko) 2007-06-19

Family

ID=38372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276A KR100729842B1 (ko) 2006-04-25 2006-04-25 철도교의 유도상화를 위한 보수공법 및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98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31301A (zh) * 2015-02-12 2015-05-20 北京地圣科创建设工程有限公司 Psc u型梁桥及其施工方法
KR20170035289A (ko)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유지 보수가 가능한 높낮이 조절형 철도궤도선로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철도궤도선로 보수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768B1 (ko) * 2001-04-25 2004-01-16 코벡주식회사 철도교의 강교를 슬래브교로 치환하는 공법 및 그 가설구조
KR100556219B1 (ko) * 2004-05-14 2006-03-03 코벡주식회사 철도교량의 상부구조물 교체 및 이를 이용한 유도상화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768B1 (ko) * 2001-04-25 2004-01-16 코벡주식회사 철도교의 강교를 슬래브교로 치환하는 공법 및 그 가설구조
KR100556219B1 (ko) * 2004-05-14 2006-03-03 코벡주식회사 철도교량의 상부구조물 교체 및 이를 이용한 유도상화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415768
10-0556219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31301A (zh) * 2015-02-12 2015-05-20 北京地圣科创建设工程有限公司 Psc u型梁桥及其施工方法
KR20170035289A (ko)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유지 보수가 가능한 높낮이 조절형 철도궤도선로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철도궤도선로 보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6291B2 (ja) 橋梁床版の施工方法とプレキャスト床版の継手構造
KR100603906B1 (ko) 유자형 하로 유도상 피씨 거더
EP1700954A2 (en) Prefabricated modular member, permanent railway for tramways and subways including said member, and process for laying the same
KR100603901B1 (ko) 기존 거더의 일부를 활용한 판형교 유도상 구조 및 시공방법
KR100891961B1 (ko) 가설구조물을 이용하여 도로 또는 철도의 노후된 교량이나 무도상 교량을 유도상화 하기 위한 교량 교체공법 및 그 장치
KR100556219B1 (ko) 철도교량의 상부구조물 교체 및 이를 이용한 유도상화방법.
KR100788275B1 (ko) 반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갖는 교량 구조
KR100692952B1 (ko) 철도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철도교의 상부구조물 교체 시공방법
KR100454405B1 (ko) 철도교의 강교를 콘크리트교로 치환시켜 유도상화하는공법
KR100415768B1 (ko) 철도교의 강교를 슬래브교로 치환하는 공법 및 그 가설구조
CN105133493A (zh) 一种适合中小跨度桥梁的嵌入式轨道结构及施工方法
KR100729842B1 (ko) 철도교의 유도상화를 위한 보수공법 및 구조
CN110846951B (zh) 一种不中断运行条件下地铁无砟道床整体置换方法
KR100613862B1 (ko) 경량 피씨-강합성형 유도상 구조 및 시공법
KR100729844B1 (ko) 철도교의 유도상화를 위한 보수공법 및 구조
JP5848716B2 (ja) 床版取り替え工法
JP6889010B2 (ja) 橋梁の施工方法
CN202298390U (zh) 无砟轨道抢通设备
RU2352705C1 (ru) Способ укладки верхнего строения пути
KR100638578B1 (ko) 철도교의 상부구조물 교체 시공방법
KR200240457Y1 (ko) 철도교의 강교를 슬래브교로 치환하기 위한 가설구조
KR101302045B1 (ko) 개량형 철도교량 리모델링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06711B1 (ko) 무도상 플레이트 거더교를 유도상 강합성 철근콘크리트슬래브교로 치환하는 구조 및 공법
KR100603905B1 (ko) 기존 판형교 전체 거더를 활용한 판형교 유도상화 거더 및그 공법
KR101258841B1 (ko) 교량의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