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893B1 - 조미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조미 김 - Google Patents

조미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조미 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893B1
KR102027893B1 KR1020190059924A KR20190059924A KR102027893B1 KR 102027893 B1 KR102027893 B1 KR 102027893B1 KR 1020190059924 A KR1020190059924 A KR 1020190059924A KR 20190059924 A KR20190059924 A KR 20190059924A KR 102027893 B1 KR102027893 B1 KR 102027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laver
weight
parts
flax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모
Original Assignee
이경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모 filed Critical 이경모
Priority to KR1020190059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8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2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from fruit, e.g. essential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미 김 제조방법은 김을 170~180℃의 온도에서 3~5초간 굽는 1차 구이단계(S10)와, 상기 구운 김에 혼합유를 도포하는 혼합유 도포단계(S20)와, 상기 혼합유가 도포된 김에 조미조성물을 도포하는 조미조성물 도포단계(S30) 및 상기 조미조성물이 도포된 김을 200~230℃의 온도에서 5~10초간 굽는 2차 구이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조미 김은 제조과정에서 옥배유, 들기름과 더불어 아마씨유 및 풋사과식초를 혼합하여 일반적인 조미 김보다 고소하고 담백하면서도 영양성분이 풍부하다.

Description

조미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조미 김{The manufacturing method of seasoning laver and it's seasoning laver}
본 발명은 조미 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조미 김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일반적인 옥배유, 들기름과 더불어 아마씨유 및 풋사과식초를 혼합하여 기존의 조미 김보다 고소하고 담백하면서도 영양성분이 풍부한 조미 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김(laver)은 홍조류 보리털과에 속하는 Porpyra seriata로 비타민 A의 함량이 14,000IU이며, 이는 쇠고기의 1,400배, 돼지고기의 70배, 당근(4,100IU)의 35배에 달하며 비타민 A의 항암 효과가 크게 부각됨에 따라 김의 가치 또한 크게 부각되고 있다. 칼슘 함량은 390㎎으로 쇠고기의 100배, 돼지고기의 80배, 우유(100㎎)의 4배에 달하는 알칼리성 식품이다. 또한, 고도 불포화지방산인 EPA(Eicosapentaenoic Acid) 함량이 전체 지방질 중 54.1% 이상을 차지하며, PGI3의 생성을 촉진하여 혈전을 방지하는 등 김의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은 건강한 삶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요구에 잘 부합하는 식품소재이다.
이러한 김은 양식 후의 가공 방법에 따라 마른 김(dried lavers)과 조미 김(seasoned dried lavers)으로 구분되며 조미 김은 마른 김의 접은 자리를 펴기 위해서 가열처리를 해서 편평하게 고르게 한 다음, 한쪽 면에 조미액을 도포하여 굽는다. 조미로서 참기름이나 정제 식용유 및 맛소금을 사용하는 수도 있고, 간장 설탕, 미림, 향신료 등을 배합한 것을 쓸 때도 있다. 그런데 국내외에 유통되는 대다수의 조미 김은 그 종류 및 가공 방법이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기존의 조미 김은 일반 마른 김에 식용유, 들기름, 옥배유, 참기름 같은 유지류를 바르고 소금을 뿌리는 전통적인 방법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스낵 형식과 간식용으로 즐기기에는 너무 짜고, 기름기가 많아 밥과 같이 먹는 것으로 한정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웰빙(Well-being) 열풍에 편승하여, 웰빙 식품을 선호하는 소비자를 위해 몸에 좋은 여러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소비자의 건강뿐만 아니라 입맛도 사로잡기 위한 조미 김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KR 10-2016-0146315 A (2016. 12. 14.) KR 10-2018-0136622 A (2018. 12. 26.)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미 김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일반적인 조미 김보다 고소하고 담백하면서도 영양성분이 풍부한 조미 김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조미 김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일반적인 조미 김의 높은 염도를 고려하여 건강을 생각하는 현대인의 기호에 알맞은 유효한 성분을 함유한 조미 김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미 김 제조방법은 김을 170~180℃의 온도에서 3~5초간 굽는 1차 구이단계(S10)와, 상기 1차 구운 김에 혼합유를 도포하는 혼합유 도포단계(S20)와, 상기 혼합유가 도포된 김에 조미조성물을 도포하는 조미조성물 도포단계(S30) 및 상기 조미조성물이 도포된 김을 200~230℃의 온도에서 5~10초간 굽는 2차 구이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1차 구이단계(S10)에서 구운 김 100중량부에 혼합유 10~20중량부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혼합유 도포단계(S20)의 혼합유는, 옥배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들기름 5~20중량부, 아마씨유 20~30중량부, 풋사과식초 3~5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조미조성물 도포단계(S30)의 조미조성물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대하여, 블루베리 분말 20~30중량부, 아마씨 분말 10~20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조미 김은 제조과정에서 옥배유, 들기름과 더불어 아마씨유 및 풋사과식초를 혼합하여 일반적인 조미 김보다 고소하고 담백하면서도 영양성분이 풍부하다.
또한, 조미 김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일반적인 조미 김의 높은 염도를 고려하여 천일염과 더불어 블루베리 분말, 아마씨 분말을 도포함으로써 염도는 낮추고 블루베리와 아마씨의 유효한 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미 김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계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미 김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계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미 김 제조방법은 1차 구이단계(S10), 혼합유 도포단계(S20), 조미조성물 도포단계(S30) 및 2차 구이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1차 구이단계(S10)
1차 구이단계(S10)는 김을 170~180℃의 온도에서 3~5초간 굽는 것이다.
김을 170~180℃의 온도에서 3~5초간 굽는 것은 김에 함유된 수분을 감소시키고, 바삭바삭하고 풍미를 높이기 위함이다.
2. 혼합유 도포단계(S20)
혼합유 도포단계(S20)는 상기 구운 김에 혼합유를 도포하는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구운 김 표면에 혼합유를 도포하되, 김 100중량부에 혼합유 10~20중량부를 도포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혼합유는 옥배유, 들기름, 아마씨유, 풋사과식초를 혼합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옥배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들기름 5~20중량부, 아마씨유 20~30중량부, 풋사과식초 3~5중량부를 혼합한 것이다.
상기 아마씨유는, 세척한 아마씨를 물에 15~20시간 동안 충분히 불리고, 상기 불린 아마씨를 55~60℃의 온도에서 10~15분 동안 볶은 후, 압착한 것이다.
아마씨의 성분은 오메가-3, 필수아미노산, 토크페롤, 리그닌,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엽산 등의 유효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반면에 '시안화배당체'라고 하는 독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아마씨의 독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아마씨를 볶는 열처리과정을 통해 시안화배당체가 분해되도록 함으로써 독성을 상쇄시키고 구수한 풍미를 갖도록 한다.
만약, 상기 불린 아마씨를 55℃ 미만의 온도에서 볶을 경우에는 아마씨에 함유되어 있는 시안화배당체가 분해되기 어려울 수 있으며, 60℃를 초과한 온도에서 볶을 경우에는 아마씨의 유효성분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불린 아마씨를 55~60℃의 온도에서 10분 미만으로 볶을 경우에는 아마씨에 함유되어 있는 시안화배당체가 충분히 분해되기 어려울 수 있으며, 15분을 초과하여 볶을 경우에는 필요 이상으로 열처리하게 되어 아마씨의 유효성분이 줄어들게 된다.
상기 풋사과식초는, 세척하여 씨를 제거한 풋사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백당 80~100중량부, 양조식초 80~100중량부, 계피 5~7중량부를 혼합하고 25~30℃에서 3~5일간 발효시킨 후, 여과 및 살균하여 식초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식초를 3~4℃에서 10~15일 동안 숙성시켜 제조된 것이다.
풋사과에 함유된 폴리페놀 성분은 잘 익은 사과에 일반적으로 함유된 것보다 10배 이상 함유되어 있어, 몸속에서 지방이 합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방을 분해하여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주고, 칼륨이 풍부하여 몸속 혈관에 있는 나트륨 배출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각종 혈관질환 예방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옥배유 100중량부에 들기름 5~20중량부, 아마씨유 20~30중량부, 풋사과식초 3~5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유는 상기 옥배유, 들기름의 영양성분 및 고소한 맛과 향, 상기 아마씨유의 오메가-3, 필수아미노산, 토크페롤, 리그닌,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엽산 등의 영양성분과 고소한 맛과 향, 상기 풋사과 식초의 폴리페놀, 칼륨 등의 영양성분이 뛰어나다.
만약, 옥배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들기름을 5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에는 옥배유의 느끼한 맛이 강하게 되고 들기름의 고소한 맛이 미미할 수 있으며,들기름을 20중량부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에는 들기름의 고소한 맛이 너무 강하게 되어 김 고유의 맛과 향이 희석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 옥배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마씨유를 20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에는 옥배유의 느끼한 맛이 강하게 되고 아마씨유의 영양성분 및 고소한 맛과 향이 미미할 수 있으며, 아마씨유를 30중량부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에는 아마씨유의 고소한 맛과 향이 너무 강하게 되어 김 고유의 맛과 향이 희석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 옥배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풋사과식초를 3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에는 풋사과 식초의 영양성분이 미미할 수 있으며, 풋사과식초를 5중량부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에는 풋사과식초의 향이 너무 강하게 되어 김 고유의 맛과 향이 희석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여기서, 김 100중량부에 혼합유 10~20중량부를 도포하는 것은 상기 김에 혼합유가 고르게 도포되어 혼합유에 함유된 영양성분과 더불어 향미가 풍부하면서도 눅눅하지 않고 저장성도 높이기 위함이다.
만약, 김 100중량부에 혼합유를 10중량부 미만으로 도포할 경우에는 김에 고르게 혼합유가 도포되지 못할뿐 아니라 영양성분 및 향미도 저하되고 저장성도 낮아지게 될 수 있으며, 혼합유를 20중량부 초과하여 도포할 경우에는 김에 혼합유가 과다하게 도포되어 눅눅할 뿐 아니라 김 고유의 맛과 향이 희석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3. 조미조성물 도포단계(S30)
조미조성물 도포단계(S30)는 상기 혼합유가 도포된 김에 조미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혼합유가 도포된 김 100중량부에 조미조성물 3~7중량부를 도포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미조성물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대하여, 블루베리 분말 20~30중량부, 아마씨 분말 10~20중량부를 혼합한 것이다.
상기 블루베리 분말은, 세척한 블루베리를 40~50℃의 건조기에서 20~25시간 동안 건조한 후, 입자크기를 10~20㎛의 크기로 분쇄한 것이다.
상기 블루베리는 안토시아닌, 비타민 A, 비타민 C 등이 풍부하고, 항암작용도 탁월하다. 또한, 적절한 당도와 산미를 함유하고 있어 맛이 좋으며 특히 안토시아닌 색소가 시력개선 및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주며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항산화 작용으로 노화방지 및 암예방에 효과가 있다.
세척한 블루베리를 40~50℃의 건조기에서 20~25시간 동안 건조함으로써, 건조된 블루베리의 수분함량이 전체 블루베리 건조 중량의 5~10%가 되며, 상기와 같은 범위 내에서 블루베리를 건조하는 경우에는 영양소의 파괴를 막을 수 있고, 아울러 블루베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척한 블루베리를 40~50℃의 건조기에서 20~25시간 동안 건조한 후, 입자크기를 10~20㎛의 크기로 분쇄하는 것은 김의 표면에 도포되어 취식시에 거리낌없는 씹힘성과 부드러운 식감을 제공할 뿐 아니라, 적절한 당도와 산미로 인하여 식감을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아마씨 분말은, 세척한 아마씨를 물에 15~20시간 동안 충분히 불리고, 상기 불린 아마씨를 55~60℃의 온도에서 10~15분 동안 볶은 후, 입자크기를 10~20㎛로 분쇄한 것이다.
아마씨의 성분은 오메가-3, 필수아미노산, 토크페롤, 리그닌,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엽산 등의 유효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반면에 '시안화배당체'라고 하는 독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아마씨의 독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아마씨를 볶는 열처리과정을 통해 시안화배당체가 분해되도록 함으로써 독성을 상쇄시키고 구수한 풍미를 갖도록 한다.
만약, 상기 불린 아마씨를 55℃ 미만의 온도에서 볶을 경우에는 아마씨에 함유되어 있는 시안화배당체가 분해되기 어려울 수 있으며, 60℃를 초과한 온도에서 볶을 경우에는 아마씨의 유효성분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불린 아마씨를 55~60℃의 온도에서 10분 미만으로 볶을 경우에는 아마씨에 함유되어 있는 시안화배당체가 충분히 분해되기 어려울 수 있으며, 15분을 초과하여 볶을 경우에는 필요 이상으로 열처리하게 되어 아마씨의 유효성분이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마씨의 입자크기를 10~20㎛로 분쇄하는 것은 김의 표면에 도포되어 취식시에 거리낌없는 씹힘성과 부드러운 식감을 제공할 뿐 아니라, 소화기관에서 아마씨의 유효한 영양소가 충분히 흡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천일염 100중량부에 블루베리 분말 20~30중량부, 아마씨 분말 10~20중량부를 혼합한 조미조성물은 높은 염도를 고려하여 천일염과 더불어 블루베리 분말, 아마씨 분말을 혼합하여 도포함으로써 염도는 낮추고 블루베리의 영양성분 및 상큼한 향, 아마씨의 영양성분 및 고소한 향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 혼합유가 도포된 김 100중량부에 조미조성물을 3중량부 미만으로 도포할 경우에는 김에 고르게 조미조성물이 도포되지 못할 뿐 아니라 영양성분 및 향미도 저하되며, 조미조성물을 7중량부 초과하여 도포할 경우에는 김에 조미조성물이 과다하게 도포되어 짠맛이 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천일염 100중량부에 오이분말 5~10중량부, 탱자분말 3~7중량부, 주꾸미분말 3~7중량부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이분말은 세척 후 -15~-10℃의 온도에서 20~30시간 동안 동결건조시킨 후, 분쇄기에서 입자크기가 10~20㎛로 분쇄한 것이며, 오이는 칼륨이 많이 들어있는 알카리성 식품으로 체내의 나트륨염(소금)을 많이 배설하게 할 뿐 아니라 노폐물을 배설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탱자분말은 껍질과 함께 세척 후 -20~-15℃의 온도에서 25~30시간 동안 동결건조시킨 후, 분쇄기에서 입자크기가 10~20㎛로 분쇄한 것이며, 탱자는 비타민 C, 칼륨, 베타카로틴, 헤스페리딘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감기예방, 피부질환 개선,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탱자 특유의 상큼한 향으로 식감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주꾸미분말은 세척 후 분말화하는 것으로, 주꾸미 100중량부에 물 300~400중량부, 천일염 10~20중량부, 식초 5~10중량부를 혼합하여 세척 후, 상기 세척된 주꾸미를 -25~-30℃의 온도에서 25~30시간 동안 동결건조시킨 후, 분쇄기에서 입자크기가 10~20㎛로 분쇄한 것으로, 주꾸미는 DHA 등의 불포화 지방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 효과가 있고, 타우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피로회복에도 효과가 뛰어나다.
4. 2차 구이단계(S40)
2차 구이단계(S40)는 상기 조미조성물이 도포된 김을 200~230℃의 온도에서 5~10초간 굽는 것이다.
상기 조미조성물이 도포된 김을 200~230℃의 온도에서 5~10초간 굽는 것은 김의 고소한 맛과 향을 증진시키며 바삭바삭한 식감을 높이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 조미조성물이 도포된 김을 상기 온도 및 시간 미만으로 구울 경우에는 김이 잘 구워지지 않고 김의 고소한 맛과 향, 바삭바삭한 식감을 높이기 어려우며, 상기 온도 및 시간을 초과하여 구울 경우에는 원료 김이 탈 뿐 아니라 기름이 산화되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조미김은 제조과정에서 옥배유, 들기름과 더불어 아마씨유 및 풋사과식초를 혼합하여 일반적인 조미 김보다 고소하고 담백하면서도 영양성분이 풍부할 뿐 아니라, 일반적인 조미 김의 높은 염도를 고려하여 천일염과 더불어 블루베리 분말, 아마씨 분말을 도포함으로써 염도는 낮추고 블루베리와 아마씨의 유효한 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사실이다. 즉,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시예 1 :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조미 김
-5℃의 저온창고에서 보관중인 마른 김 원료를 1장씩 컨베이어로 자동 공급해준 다음, 170~180℃의 구이 터널에서 3초간 구워준다. 상기 구운 김 약100g에 혼합유 15g을 고르게 도포하고, 조미조성물머 5g을 도포한다. 상기 도포된 김을 200~230℃의 구이 터널에서 5초간 구워준다.
여기서, 혼합유는 옥배유 100g에 들기름 10g, 아마씨유 20g, 풋사과식초 3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고, 조미조성물은 천일염 100g에 블루베리 분말 25g, 아마씨 분말 15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조미 김
-5℃의 저온창고에서 보관중인 마른 김 원료를 1장씩 컨베이어로 자동 공급해준 다음, 170~180℃의 구이 터널에서 3초간 구워준다. 상기 구운 김 약100g에 혼합유 15g을 고르게 도포하고, 조미조성물 5g을 도포한다. 상기 도포된 김을 200~230℃의 구이 터널에서 5초간 구워준다.
여기서, 혼합유는 옥배유 100g에 들기름 10g, 아마씨유 20g, 풋사과식초 3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고, 조미조성물은 천일염 100g에 블루베리 분말 25g, 아마씨 분말 15g, 오이분말 7g, 탱자분말 5g, 주꾸미분말 5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일반적으로 제조된 조미 김
-5℃의 저온창고에서 보관중인 마른 김 원료를 1장씩 컨베이어로 자동 공급해준 다음, 170~180℃의 구이 터널에서 3초간 구워준다. 상기 구운 김 약100g에 옥배유와 들기름으로 이루어진 혼합유 15g을 고르게 도포하고, 천일염 5g을 도포한다. 상기 도포된 김을 200~230℃의 구이 터널에서 5초간 구워준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하되 블루베리 분말과 아마씨 분말 미포함
-5℃의 저온창고에서 보관중인 마른 김 원료를 1장씩 컨베이어로 자동 공급해준 다음, 170~180℃의 구이 터널에서 3초간 구워준다. 상기 구운 김 약100g에 혼합유 15g을 고르게 도포하고, 천일염 5g을 도포한다. 상기 도포된 김을 200~230℃의 구이 터널에서 5초간 구워준다.
여기서, 혼합유는 옥배유 100g에 들기름 10g, 아마씨유 20g, 풋사과식초 3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3 :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하되 아마씨유와 풋사과식초 미포함
-5℃의 저온창고에서 보관중인 마른 김 원료를 1장씩 컨베이어로 자동 공급해준 다음, 170~180℃의 구이 터널에서 3초간 구워준다. 상기 구운 김 약100g에 옥배유와 들기름으로 이루어진 혼합유 15g을 고르게 도포하고, 조미조성물 5g을 도포한다. 상기 도포된 김을 200~230℃의 구이 터널에서 5초간 구워준다.
여기서, 조미조성물은 천일염 100g에 블루베리 분말 25g, 아마씨 분말 15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험 1] 관능검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조미 김을 이용한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2, 3을 관능검사요원(2년 이상 관능검사 경험을 지닌 30명(남자 15명, 여자 15명))으로 하여금 맛, 풍미, 식감, 전체적인 기호도로 나누어 관능검사(5점 측정법 : 1:매우 나쁨, 2: 나쁨, 3:보통, 4:좋음, 5:매우 좋음)를 실시하였다. 실시한 결과는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풍미 식감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 1 4.1 4.3 4.3 4.3
실시예 2 4.2 4.3 4.4 4.4
비교예 1 3.3 3.3 3.5 3.5
비교예 2 3.6 3.5 3.8 3.8
비교예 3 3.8 3.8 3.9 3.8
상기 표 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모든 항목에서 비교예 1, 2, 3보다 실시예 1, 2가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제조과정에서 옥배유, 들기름과 더불어 아마씨유 및 풋사과식초를 혼합하여 일반적인 조미 김보다 고소하고 담백하며, 천일염과 더불어 블루베리 분말, 아마씨 분말을 도포함으로써 염도는 낮추어줌으로써 소비자들의 기호도를 향상시킨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실시예 2는 는 제조과정에서 천일염과 더불어 블루베리 분말, 아마씨 분말, 오이분말, 탱자분말, 주꾸미분말을 도포함으로써 맛이나 식감을 더욱 향상시킨 것으로 보인다.

Claims (5)

  1. 김을 170~180℃의 온도에서 3~5초간 굽는 1차 구이단계(S10);
    상기 1차 구운 김 100중량부에 혼합유 10~20중량부를 도포하는 혼합유 도포단계(S20);
    상기 혼합유가 도포된 김에 조미조성물을 도포하는 조미조성물 도포단계(S30); 및
    상기 조미조성물이 도포된 김을 200~230℃의 온도에서 5~10초간 굽는 2차 구이단계(S40);
    를 포함하되,
    상기 혼합유 도포단계(S20)의 혼합유는,
    옥배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들기름 5~20중량부, 아마씨유 20~30중량부, 풋사과식초 3~5중량부를 혼합한 것이고,
    상기 조미조성물 도포단계(S30)의 조미조성물은,
    천일염 100중량부에 대하여, 블루베리 분말 20~30중량부, 아마씨 분말 10~20중량부, 오이분말 5~10중량부, 탱자분말 3~7중량부, 주꾸미분말 3~7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 김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조미 김.
KR1020190059924A 2019-05-22 2019-05-22 조미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조미 김 KR102027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924A KR102027893B1 (ko) 2019-05-22 2019-05-22 조미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조미 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924A KR102027893B1 (ko) 2019-05-22 2019-05-22 조미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조미 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893B1 true KR102027893B1 (ko) 2019-10-02

Family

ID=68422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924A KR102027893B1 (ko) 2019-05-22 2019-05-22 조미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조미 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8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9138A (ko) 2021-10-05 2023-04-13 주식회사 블루존 홍삼과 포스트바이오틱스를 이용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279A (ko) * 2014-02-28 2015-09-07 김태진 아로니아가 함유된 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09445A (ko) * 2014-07-16 2016-01-26 농업회사법인 한백식품(주) 신맛이 도포된 구이 김
KR20160146315A (ko) 2015-06-12 2016-12-21 솔브레인 주식회사 터치패널
KR20170002789U (ko) * 2016-01-27 2017-08-04 서랑석 김에 부착시키는 기술
KR20180060723A (ko) * 2016-11-29 2018-06-07 김인숙 아마씨 성분 함유 김 조미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36622A (ko) 2017-06-15 2018-12-26 이성일 인삼분말을 함유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279A (ko) * 2014-02-28 2015-09-07 김태진 아로니아가 함유된 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09445A (ko) * 2014-07-16 2016-01-26 농업회사법인 한백식품(주) 신맛이 도포된 구이 김
KR20160146315A (ko) 2015-06-12 2016-12-21 솔브레인 주식회사 터치패널
KR20170002789U (ko) * 2016-01-27 2017-08-04 서랑석 김에 부착시키는 기술
KR20180060723A (ko) * 2016-11-29 2018-06-07 김인숙 아마씨 성분 함유 김 조미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36622A (ko) 2017-06-15 2018-12-26 이성일 인삼분말을 함유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9138A (ko) 2021-10-05 2023-04-13 주식회사 블루존 홍삼과 포스트바이오틱스를 이용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722B1 (ko) 갈비용 양념 소스의 제조방법 및 그 소스를 이용한 갈비
KR20140016736A (ko) 약선재료와 산채분말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밥의 제조방법
KR102134615B1 (ko) 한방치킨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해 제조된 치킨
KR101865115B1 (ko) 대추분말이 포함된 김 자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185292A (zh) 一种富硒补血枣沫糊代餐粉及其制备方法
KR102027893B1 (ko) 조미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조미 김
KR102465223B1 (ko) 훈연멸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훈연멸치
KR101240093B1 (ko) 즉석죽용 식품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2162B1 (ko) 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김
CN110403192A (zh) 一种营养代餐食品及其制备方法
KR101889745B1 (ko) 커피초콩 및 그 제조방법
KR101074735B1 (ko) 된장콜라비장아찌의 제조방법
CN103815309A (zh) 即食蔬菜饼的加工方法
KR101287375B1 (ko) 함초염 및 구기자를 이용한 조미김의 제조방법
KR101897029B1 (ko) 영양강화 쌀눈식품의 제조방법
KR102168277B1 (ko) 김가루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김가루
KR20090050464A (ko) 뽕잎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83969B1 (ko) 양송이 선식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34099A (ko) 산야초 백숙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산야초 백숙
KR102583970B1 (ko) 양송이 선식 및 그 제조방법.
KR102160696B1 (ko) 한방장각치킨 수제비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해 제조된 한방장각치킨 수제비
KR102620559B1 (ko) 굴국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굴국
KR102474105B1 (ko) 김 제조방법
KR102633320B1 (ko) 소고기무국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소고기무국
KR101555442B1 (ko) 현미야채밥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현미야채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