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541B1 -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541B1
KR102026541B1 KR1020170166440A KR20170166440A KR102026541B1 KR 102026541 B1 KR102026541 B1 KR 102026541B1 KR 1020170166440 A KR1020170166440 A KR 1020170166440A KR 20170166440 A KR20170166440 A KR 20170166440A KR 102026541 B1 KR102026541 B1 KR 102026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laminated body
layer
averag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8859A (ko
Inventor
다에코 마에다
나오키 세리자와
다카유키 나카니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판 도모에가와 옵티컬 필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판 도모에가와 옵티컬 필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판 도모에가와 옵티컬 필름
Publication of KR20180068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Abstract

거칠거칠한 느낌이 적고, 윤기가 있는 깊은 흑색 표시가 가능한 고품위의 방현성 필름으로서 적합한 광학 적층체, 및 이것을 사용한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투광성 기체 상에 광학 기능층이 적어도 1층 이상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광학 적층체이며, 광학 기능층 중 적어도 한쪽의 면에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고, 0.5mm 폭의 광학 빗을 사용한 투과상 선명도가 70 내지 95%이고, 광 간섭 방식에 의해 측정한, 광학 기능층의 최표면의 볼록부 평균 면적 및 산술 평균 높이 Sa의 곱이 10 내지 35㎛3이고, 평균 경사각 θa가 0.10 내지 0.40°인, 광학 적층체.

Description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표시 장치 {OPTICAL MULTILAYER ELEMENT, POLARIZER,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방현성 필름에 적합한 광학 적층체, 및 이것을 사용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최표면에는, 화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방현성을 갖는 기능성 필름이 설치된다. 방현성 필름은, 표면에 미세한 요철 구조를 갖고, 표면 반사광을 확산함으로써 외광의 정반사를 억제하여, 외광이 투영하는 것을 방지한다.
표면에 미세한 요철 형상 갖는 기능성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자외선 경화 수지 등의 바인더와 미립자(필러)를 함유하는 도포 시공액을 투광성 기체 상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이 도막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이고, 미립자의 입경이나 첨가량에 의해 방현성이나 기타의 여러 특성이 조정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 참조).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랜덤 응집 구조에 의해 표면의 요철 형상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9611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158536호 공보 일본 특허 제5802043호 공보
종래의 방현성 필름은, 디스플레이에 흑색 표시시켰을 때에, 외관의 흰 느낌이 강하고, 거칠거칠한 느낌이 강한 질감으로 되어 있어, 품위가 낮은 외견으로 되고 있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은 방현성을 갖고, 거칠거칠한 느낌이 적고, 윤기가 있는 깊은 흑색 표시가 가능한 고품위의 광학 적층체, 및 이것을 사용한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투광성 기체 상에 광학 기능층이 적어도 1층 이상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이며, 광학 기능층 중 적어도 한쪽의 면에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고, 0.5mm 폭의 광학 빗을 사용한 투과상 선명도가 70 내지 95%이며, 광 간섭 방식에 의해 측정한, 광학 기능층의 최표면의 볼록부의 평균 면적 및 산술 평균 높이 Sa의 곱이 10 내지 35㎛3이고, 평균 경사각 θa가 0.10 내지 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의 광학 적층체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현성을 갖고, 거칠거칠한 느낌이 적고, 윤기가 있는 깊은 흑색 표시가 가능한 고품위의 광학 적층체, 및 이것을 사용한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적층체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편광판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필러의 입경과 첨가량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적층체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적층체(100)는 투광성 기체(1)와, 투광성 기체(1)에 적층된 적어도 1층의 광학 기능층(2)을 구비한다. 광학 기능층(2)의 표면에는,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이 요철이 외교를 난반사시킴으로써 광학 기능층(2)이 방현성을 발휘한다.
투광성 기체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르보네이트(PC),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염화비닐(PVC), 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COC), 노르보르넨 함유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셀로판,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각종 수지 필름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투광성 기체의 전체 광선 투과율(JIS K7105)은,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투광성 기체의 두께는, 광학 적층체의 생산성이나 핸들링성을 고려하면, 1 내지 7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내지 2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투광성 기체에는, 광학 기능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표면 개질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개질 처리로서는, 알칼리 처리, 코로나 처리, 플라스마 처리, 스퍼터 처리, 계면 활성제나 실란 커플링제 등의 도포, Si 증착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광학 기능층은, 전리 방사선 또는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기재 수지와 무기 미립자를 적어도 함유하는 도포 시공액을 투광성 기체에 도포하고, 도막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광학 기능층 형성용의 도포 시공액에는, 수지 입자(필러)를 추가로 첨가해도 된다.
이하, 광학 기능층의 형성에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의 구성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재 수지로서는, 전리 방사선 또는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전리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수지 재료로서는, 아크릴로일기, 메타크릴로일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등의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나, 에폭시기, 비닐에테르기, 옥세탄기 등의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 올리고머, 예비 중합체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량체로서는, 아크릴산메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올리고머, 예비 중합체로서는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다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아크릴레이트, 알키드아크릴레이트,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나 각종 지환식 에폭시 등의 에폭시계 화합물, 3-에틸-3-히드록시메틸옥세탄, 1,4-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벤젠, 디[1-에틸(3-옥세타닐)]메틸에테르 등의 옥세탄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상술한 수지 재료는, 광 중합 개시제의 첨가를 조건으로 하여,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시킬 수 있다. 광 중합 개시제로서는,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티오크산톤계,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등의 라디칼 중합 개시제,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술포늄염, 방향족 요오도늄염, 메탈로센 화합물 등의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학 기능층의 기재 수지에 첨가하는 무기 미립자는, 평균 입경이 10 내지 200nm인 무기 나노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미립자의 첨가량은 0.1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어 팽윤성 점토를 사용할 수 있다. 팽윤성 점토는 양이온 교환능을 갖고, 해당 팽윤성 점토의 층간에 용매를 도입하여 팽윤하는 것이면 되고, 천연물이어도 합성물(치환체, 유도체를 포함함)이어도 된다. 또한, 천연물과 합성물과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팽윤성 점토로서는, 예를 들어 운모, 합성 운모, 버미큘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철 몬모릴로나이트, 바이델라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스티븐사이트, 논트로나이트, 마가디아이트, 아이라라이트, 카네마이트, 층상 티타늄산, 스멕타이트, 합성 스멕타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팽윤성 점토는, 1종을 사용해도 되고, 복수를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무기 미립자로서 콜로이달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아연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술한 팽윤성 점토에 첨가하여, 콜로이달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아연의 1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무기 미립자로서는, 층상 유기 점토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층상 유기 점토란, 팽윤성 점토의 층간에 유기 오늄 이온을 도입한 것을 말한다. 유기 오늄 이온은, 팽윤성 점토의 양이온 교환성을 이용하여 유기화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무기 미립자로서, 예를 들어 합성 스멕타이트(층상 유기 점토 광물)를 사용할 수 있다. 합성 스멕타이트는, 광학 기능층 형성용 수지 조성물의 점성을 증가시키는 증점제로서 기능한다. 증점제로서의 합성 스멕타이트의 첨가는, 수지 입자 및 무기 미립자의 침강을 억제하여, 광학 기능층의 표면의 요철 구조 형성에 기여한다.
수지 입자(필러)는 기재 수지 중에서 응집하여, 광학 기능층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 구조를 형성한다. 수지 입자를 배합하지 않고, 광학 기능층 중에 랜덤 응집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방현성 발현에 필요한 요철 구조를 부여할 수도 있지만, 광학 기능층에 수지 입자를 함유시킴으로써, 광학 기능층 표면의 요철 형상의 크기나 수를 조정하기 쉬워진다. 수지 입자로서는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스티렌-(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불화에틸렌계 수지 등의 투광성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 입자의 재료 굴절률은 1.40 내지 1.75인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률이나 수지 입자의 분산을 조정하기 위해서, 재질(굴절률)이 다른 2종 이상의 수지 입자를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수지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광학 기능층 중의 수지 입자의 평균 입경 A(㎛) 및 함유 비율 B(%)가, 이하의 조건식 (1)을 충족한다.
0<B≤-2.33A+9.67(단, A>0)…(1)
수지 입자의 평균 입경 A와 함유 비율 B가 이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후술하는 평균 경사각과, 볼록부의 평균 면적 및 산술 평균 높이 Sa의 곱이 바람직한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거칠거칠한 느낌 및 흑색 표시 시의 흰 느낌이 강해져, 광학 적층체의 외견 품위가 저하된다.
또한, 광학 기능층 형성용의 수지 조성물에는, 레벨링제를 첨가해도 된다. 레벨링제는, 건조 과정의 도막 표면에 배향하여, 도막의 표면 장력을 균일화하고, 도막의 표면 결함을 저감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광학 기능층 형성용의 수지 조성물에는, 적절히 유기 용제를 첨가해도 된다. 유기 용제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부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IPA), 이소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MEK), 시클로헥사논,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등의 케톤류; 디아세톤알코올 등의 케톤 알코올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에틸카르비톨, 부틸카르비톨, 디에틸셀로솔브, 디에틸카르비톨,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에테르류;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미드, 락트산메틸, 락트산에틸,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아밀 등의 에스테르류; 디메틸에테르, 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물 등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학 기능층의 막 두께는,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내지 7.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다. 광학 기능층의 막 두께가 1㎛ 미만인 경우, 산소 저해에 의한 경화 불량을 발생하고, 광학 기능층의 내찰상성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한편, 광학 기능층의 막 두께가 10.0㎛를 초과하면, 기재 수지층의 경화 수축에 의한 컬이 강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적층체에 있어서, 0.5mm 폭의 광학 빗을 사용하여 측정한 투과상 선명도가 70 내지 95%이다. 투과상 선명도는, 방현성에 관계하는 파라미터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적층체에서는, 투과상 선명도의 값이 이 범위 내인 경우에, 시인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양호한 방현성이 얻어진다. 투과상 선명도가 70% 미만인 경우, 과잉 방현성이 되어 시인성이 악화된다. 한편, 투과상 선명도가 95%를 초과하면, 방현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적층체에 있어서, 광 간섭 방식으로 계측한 광학 기능층의 최표면의 볼록부 평균 면적과 산술 평균 높이 Sa의 곱이 10 내지 35㎛3이다. 여기서, 볼록부란, 측정면에 존재하는 모든 볼록부의 정점 및 오목부의 최하점의 평균 레벨을 통과하는 평균면을 기준으로 했을 때에, 이 평균면보다 높은 부분을 가리키고, 볼록부의 평균 면적은, 산술 평균 높이 Sa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단면적 평균값이다. 또한, 산술 평균 높이 Sa는, ISO 25178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값이며, 산술 평균 조도 Ra를 면 방향으로 확장한 파라미터이고, 소정의 기준면 내에 있어서의 평균면과 요철 표면과의 편차의 절댓값 평균을 나타낸다. 볼록부의 평균 면적과 산술 평균 높이 Sa와의 곱은, 각 볼록부를 주상체로서 모델화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평균면 상에 존재하는 볼록부의 평균 체적의 근사 값에 상당한다. 볼록부의 평균 면적과 산술 평균 높이 Sa의 곱은, 평균면 상에 존재하는 볼록부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광학 기능층 표면의 평활감(거칠거칠한 느낌의 적음)에 상관성이 있는 파라미터이다. 볼록부의 평균 면적과 산술 평균 높이 Sa와의 곱이 작을수록 평활감이 양호해지고, 커짐에 따라서 거칠거칠한 느낌이 증가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록부의 평균 면적과 산술 평균 높이 Sa의 곱이 10㎛3 미만인 경우, 광학 기능층 표면에 형성되는 볼록부의 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에, 평활감은 양호해지지만 방현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볼록부의 평균 면적과 산술 평균 높이 Sa와의 곱이 35㎛3을 초과하는 경우, 광학 기능층 표면에 형성되는 볼록부의 사이즈가 너무 커져, 거칠거칠한 느낌이 강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기능층 표면의 요철 형상의 평균 경사각 θa는, 0.10 내지 0.40°이다. 평균 경사각은, 볼록부의 정점과 이 볼록부에 인접하는 오목부의 최하점을 연결하는 직선이 평균면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의 평균값이고, θa=tan- 1Δa로 정의되는 값이다. Δa는, 일반적으로는 촉침식 표면 조도계를 사용하여 조면 형상을 측정하고, 측정에서 구한 요철 단면의 조도 곡선에 있어서, 기준 길이 L 내에 있는 볼록부의 정점 및 이 볼록부에 인접하는 오목부의 최하점의 차의 절댓값 합계를, 기준 길이 L로 제산한 값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의 Δa의 값을 면 방향으로 확장하고, 광 간섭 방식으로 측정한 측정면 내에 있는 모든 볼록부 및 오목부를 사용하여 산출한 값으로 하였다. 평균 경사각 θa는, 검은 느낌에 상관성이 있는 파라미터이다. 평균 경사각이 작을수록 검은 느낌이 강해지고, 커짐에 따라서 흰 느낌이 증가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균 경사각 θa가 0.10° 미만인 경우, 흑색 표시 시의 검은 느낌은 강해지지만, 광학 기능층 표면에 형성되는 볼록부의 사이즈가 너무 작은 것에 의해 방현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한편, 평균 경사각 θa가 0.40°를 초과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에 흑색 표시시켰을 때에 흰 느낌이 강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적층체에 있어서, 광학 기능층 중에 랜덤 응집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랜덤 응집 구조란, 상대적으로 수지 성분을 많이 함유하는 제1 상과, 상대적으로 무기 성분을 많이 함유하는 제2 상이 3차원적으로 뒤얽혀서 존재하고, 제2 상이 미립자(수지 입자)의 주위에 편재된 구조체를 말한다. 광학 기능층 중에 랜덤 응집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미세한 요철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방현성과 흑색 표시 시의 검은 느낌을 향상시킬 수 있다. 랜덤 응집 구조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580204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편광판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편광판(110)은 광학 적층체(100)와, 편광 필름(11)을 구비한다. 광학 적층체(100)는 도 1에 도시한 것이고, 투광성 기체(1)의 광학 기능층(2)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에, 편광 필름(편광 기체)(11)이 설치되어 있다. 편광 필름(11)은, 예를 들어 투명 기재(3)와 편광층(4)과 투명 기재(5)를 이 순서대로 적층한 것이다. 투명 기재(3 및 5), 편광층(4)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 편광 필름에 사용되는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표시 장치(120)는 광학 적층체(100)와, 편광 필름(11)과, 액정 셀(13)과, 편광 필름(편광 기체)(12)과, 백라이트 유닛(14)을 이 순서대로 적층한 것이다. 편광 필름(12)은, 예를 들어 투명 기재(6)와 편광층(7)과 투명 기재(8)를 이 순서대로 적층한 것이다. 투명 기재(6 및 8), 편광층(7)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 편광 필름에 사용되는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액정 셀(13)은 투명 전극을 갖는 한 쌍의 투명 기재 사이에 액정 분자가 봉입된 액정 패널과, 컬러 필터를 구비하고, 투명 전극 사이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서 액정 분자의 배향을 변화시킴으로써, 각 화소의 광 투과율을 제어하여 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백라이트 유닛(14)은 광원과 광 확산판(모두 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균일하게 확산시켜서 출사면으로부터 출사하는 조명 장치이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표시 장치(120)는 확산 필름, 프리즘 시트, 휘도 향상 필름이나, 액정 셀이나 편광판의 위상차를 보상하기 위한 위상차 필름, 터치 센서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적층체는, 번쩍임을 억제하는 광학 기능층에 첨가하여, 추가로, 저굴절률층 등의 굴절률 조정층, 대전 방지층, 방오층의 적어도 1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저굴절률층은, 광학 기능층 상에 설치되고, 표면의 굴절률을 저하시킴으로써 반사율을 저감하기 위한 기능층이다. 저굴절률층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폴리올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등의 전리 방사선 경화성 재료와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도액을 도포하고, 도막을 중합에 의해 경화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저굴절률층에는, 저굴절 입자로서는 LiF, MgF, 3NaF·AlF 또는 AlF(모두, 굴절률 1.4), 또는 Na3AlF6(빙정석, 굴절률 1.33) 등의 저굴절 재료를 포함하는 저굴절률 미립자를 분산시켜도 된다. 또한, 저굴절률 미립자로서는, 입자 내부에 공극을 갖는 입자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입자 내부에 공극을 갖는 입자에 있어서는, 공극의 부분을 공기의 굴절률(≒1)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낮은 굴절률을 구비하는 저굴절률 입자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공극을 갖는 저굴절률 실리카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굴절률을 낮출 수 있다.
대전 방지층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폴리올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등의 전리 방사선 경화성 재료와, 중합 개시제와,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도액을 도포하고, 중합에 의해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대전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어 안티몬을 도핑한 산화주석(ATO), 주석을 도핑한 산화인듐(ITO) 등의 금속 산화물계 미립자, 고분자형 도전성 조성물이나, 4급 암모늄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대전 방지층은, 광학 적층체의 최표면에 설치되어도 되고, 광학 기능층과 투광성 기체 사이에 설치되어도 된다.
방오층은, 광학 적층체의 최표면에 설치되고, 광학 적층체에 발수성 및/또는 발유성을 부여함으로써, 방오성을 높이는 것이다. 방오층은 규소 산화물, 불소 함유 실란 화합물, 플루오로알킬실라잔, 플루오로알킬실란, 불소 함유 규소계 화합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등을 드라이 코팅 또는 웨트 코팅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저굴절률층, 대전 방지층, 방오층 이외에, 또는 저굴절률층, 대전 방지층, 방오층에 첨가하여, 적외선 흡수층, 자외선 흡수층, 색 보정층 등의 적어도 1층을 형성해도 된다.
[ 실시예 ]
이하,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적층체를 구체적으로 실시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이하에 나타내는 재료를 배합한 광학 기능층 형성용 도포 시공액을 조정하고, 조정한 도액을, 두께 40㎛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투광성 기체)에 도포하였다. 도막을 건조(용매를 휘발)시킨 후, 도막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 경화시킴으로써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한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광학 기능층 형성용 도포 시공액의 사용 재료]
각 성분의 첨가량은, 광학 기능층 형성용 도포 시공액의 전체 고형분 질량(100질량부)에 차지하는 비율(질량%)이다. 또한, 기재 수지의 첨가량은, 전체 고형분이 100질량부가 되도록, 수지 입자의 첨가량에 따라서 조절하였다.
·기재 수지: UV/EB 경화성 수지 라이트 아크릴레이트 PE-3A(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교에샤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제), 굴절률 1.52
87.7 내지 92.7질량부
·수지 입자(필러): 스티렌-메타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입자, 굴절률 1.515, 평균 입경 및 첨가량은 표 1에 기재된 대로
·무기 미립자 1: 합성 스멕타이트 0.5질량부
·무기 미립자 2: 알루미나 나노 입자, 평균 입경 40nm 2.0질량부
·광 중합 개시제: 이르가큐어 184(BASF 재팬제) 4.8질량부
또한, 도료 희석은, 톨루엔 및 이소프로필알코올을 16:37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 용제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한 광학 적층체의 투과상 선명도, 평균 경사각, 광학 기능층의 표면에 존재하는 볼록부의 평균 면적 및 산술 평균 높이 Sa를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투과상 선명도]
투과상 선명도는 JIS K7105에 따라, 사상성 측정기(ICM-1T, 스가 시껭끼 가부시끼가이샤제)를 사용하여, 광학 빗 폭 0.5mm로 측정하였다.
[평균 경사각 θa, 볼록부의 평균 면적 및 산술 평균 높이 Sa의 곱]
광학 기능층의 최표면의 요철 형상을, 비접촉 표면·층 단면 형상 계측 시스템(측정 장치: 버트 스캔 R3300FL-Lite-AC, 해석 소프트웨어: VertScan4, 가부시키가이샤 료까 시스템제)을 사용하여 광 간섭 방식에 의해 측정하고, 측정 데이터를 장치의 해석 소프트웨어로 해석하였다. 평균 경사각 θa는, 해석 소프트웨어의 경사각 해석 기능을 사용하여, 측정 영역 전체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하였다. 또한, 볼록부의 평균 면적 및 산술 평균 높이 Sa는, 해석 소프트웨어의 입자 해석 기능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평활감, 검은 느낌에 대해서는, 이하의 평가 방법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평활감 및 검은 느낌의 평가 방법과 평가 기준]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광학 적층체를 투명한 점착 층을 개재하여 흑색 아크릴판(스미펙스 960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제)에 접합한 것을 준비하였다. 흑색 아크릴판에 형광등의 광을 비추고, 흑색 아크릴판의 중심으로부터 수직으로 50cm 이격된 위치에서 광학 적층체 표면을 관찰하여, 평활감 및 검은 느낌을 관능 평가에 의해 5단계로 평가하였다. 20명의 시험자의 평가점을 평균하고, 평균값을 0.5 단위로 올림버림 변환한 값을 평가 스코어로 하였다. 또한, 평가 스코어가 4 이상이면, 평활감 또는 검은 느낌이 양호하다고 판정하였다.
<평활감의 평가 기준>
5: 거칠거칠한 느낌이 없고, 매끄러운 질감
4: 거칠거칠한 느낌이 적고, 약간 매끄러운 질감
3: 거칠거칠한 느낌이 있고, 매끄러움이 없는 질감
2: 거칠거칠한 느낌이 약간 강함
1: 거칠거칠한 느낌이 강함
<검은 느낌의 평가 기준>
5: 광학 적층체 표면에서의 난반사가 거의 없고, 윤기가 있는 깊은 색감
4: 광학 적층체 표면에서의 난반사가 적고, 윤기가 있는 색감
3: 광학 적층체 표면에서의 난반사가 약간 있음, 약간 흰 느낌이 드는 색감
2: 흰 느낌이 약간 강함
1: 흰 느낌이 강함
표 1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한 광학 기능층 형성용 도포 시공액에 사용한 필러의 입경 및 첨가량, 도포 시공액의 도포 막 두께, 투과상 선명도, 평균 경사각 θa, 볼록부의 평균 면적 및 산술 평균 높이 Sa의 곱, 평활감 및 검은 느낌의 평가 결과를 통합하여 나타낸다.
Figure 112017121505073-pat00001
또한, 표 1에 나타내는 필러의 첨가량은, 광학 기능층 형성용 도포 시공액의 전체 고형분 질량에 차지하는 비율(질량%)이다. 여기서, 광학 기능층 형성용 도포 시공액의 전체 고형분이란, 용제를 제외한 성분을 가리킨다. 따라서, 광학 기능층 형성용 도포 시공액의 전체 고형분 중의 수지 입자, 무기 미립자의 배합 비율(질량%)과, 광학 기능층 형성용 도포 시공액의 경화막인 광학 기능층 중의 수지 입자, 무기 미립자의 함유 비율(질량%)은 동등하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7에 관한 광학 적층체에서는, 0.5mm 폭의 광학 빗을 사용하여 측정한 투과상 선명도가 70 내지 95%의 범위 내이고, 볼록부의 평균 면적 및 산술 평균 높이 Sa의 곱이 10 내지 35㎛3의 범위 내이고, 또한, 평균 경사각 θa가 0.10 내지 0.40°의 범위 내인 경우에, 양호한 방현성을 발휘하고, 매끄러워서 거칠거칠한 느낌이 없고, 윤기가 있는 깊은 흑색 표시가 가능한 광학 적층체를 실현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2 내지 7에 관한 광학 적층체로부터, 평균 경사각 θa가 0.16 이상 0.40 이하, 또한, 볼록부 평균 면적 및 산술 평균 높이 Sa의 곱이 10 이상 30 이하임으로써, 높은 평활감과 윤기가 있는 흑색 표시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5 내지 7에 관한 광학 적층체로부터, 평균 경사각 θa가 0.27 이상 0.40 이하, 또한, 볼록부 평균 면적 및 산술 평균 높이 Sa의 곱이 10 이상 25 이하임으로써, 더 높은 평활감과 윤기가 있는 흑색 표시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비해, 비교예 1 내지 5에서는, 평균 경사각 θa가 0.40°를 초과하고, 볼록부의 평균 면적 및 산술 평균 높이 Sa의 곱도 35㎛3을 초과했기 때문에, 거칠거칠한 느낌이 두드러지고, 흑색 표시 시의 흰 느낌이 강해졌다.
도 4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필러의 입경과 첨가량의 관계를 플롯한 그래프이다. 도 4의 그래프에 있어서, 검정색 동그라미는 실시예의 플롯이며, X표는 비교예의 플롯이다. 또한, 필러를 첨가하지 않은 실시예 1에 대해서는, 필러의 입경 A 및 필러의 첨가량 B 모두 제로로서 플롯하였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7에 관한 광학 적층체에서는, 볼록부의 필러 입경(평균 입자 직경) 및 첨가량이 일정한 범위 내(도 4의 파선 이하의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 평균 경사각과, 볼록부의 평균 면적 및 산술 평균 높이 Sa의 곱이 상술한 바람직한 범위 내가 되고, 이 결과, 표면의 평활감과 흑색 표시의 검은 느낌이 양호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필러를 첨가하는 경우, 필러의 입경 A(평균 입자 직경; ㎛)와 필러의 첨가량(%)이 이하의 조건 (1)을 충족하면 된다.
0<B≤-2.33A+9.67 (단, A>0)…(1)
또한, 도 4 및 표 1의 실시예 2 내지 7로부터, 볼록부의 필러 입경 A(평균 입자 직경; ㎛) 및 첨가량 B(%)가, 하기 조건 (2)를 충족하는 일정한 범위 내(도 4의 이중 파선 이상 일중 파선 이하의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 평균 경사각과, 볼록부의 평균 면적 및 산술 평균 높이 Sa의 곱이 상술한 것보다 바람직한 범위 내가 되어, 양호한 방현성을 발휘하고, 높은 평활감과 윤기가 있는 깊은 흑색 표시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2.33A+4.00≤B≤-2.33A+9.67 (단, A>0)…(2)
또한, 도 4 및 표 1의 실시예 5 내지 7로부터, 볼록부의 필러 입경 A(평균 입자 직경; ㎛) 및 첨가량 B(%)가, 하기 조건 (3)을 충족하는 일정한 범위 내(도 4의 이중 파선 이상 일중 파선 이하, 또한, 0.5≤B≤5, 또한 1.5≤A≤3.5의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 평균 경사각과, 볼록부의 평균 면적 및 산술 평균 높이 Sa의 곱이 상술한 더욱 바람직한 범위 내가 되고, 양호한 방현성을 발휘하고, 더 높은 평활감과 윤기가 있는 깊은 흑색 표시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0.5≤B≤-2.33A+9.67≤5 (단, 1.5≤A≤3.5)…(3)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적층체에 따르면, 투과상 선명도, 평균 경사각 θa, 볼록부의 평균 면적 및 산술 평균 높이 Sa의 곱 모두가 상술한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방현성을 가지면서도, 매끄러워서 윤기가 있는 깊은 흑색 표시가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적층체는,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 방현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적층체는, 방현성을 갖고, 거칠거칠한 느낌이 적고, 윤기가 있는 깊은 흑색 표시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특히 텔레비전에 사용하는 방현 필름으로서 적합하다.
1: 투광성 기체
2: 광학 기능층
3, 5, 6, 8: 투명 기재
4, 7: 편광층
11, 12: 편광판
13: 액정 셀
14: 백라이트 유닛
100: 광학 적층체
110: 편광판
120: 표시 장치

Claims (7)

  1. 투광성 기체 상에 광학 기능층이 적어도 1층 이상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광학 적층체이며,
    상기 광학 기능층 중 적어도 한쪽의 면에 요철 형상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학 기능층은, 기재 수지와 무기 미립자로서 합성 스멕타이트 및 알루미나와 수지 입자를 함유하며,
    상기 광학 기능층 중의 수지 입자의 평균 입경 A(㎛) 및 함유 비율 B(%)가, 이하의 조건 식 (1)을 충족하고,
    0<B≤-2.33A+9.67 (단, 1.5≤A≤3.5)…(1)
    0.5mm 폭의 광학 빗을 사용한 투과상 선명도가 70 내지 95%이고,
    광 간섭 방식에 의해 측정한, 상기 광학 기능층의 최표면의 볼록부의 평균 면적 및 산술 평균 높이 Sa의 곱이 10 내지 35㎛3이고,
    평균 경사각 θa가 0.10 내지 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기능층이 랜덤 응집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기능층이 방사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경화막을 포함하는 1층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적층체.
  4. 제1항에 있어서,
    굴절률 조정층, 대전 방지층, 방오층 중 적어도 1층을 더 구비하는, 광학 적층체.
  5. 제1항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를 구성하는 상기 투광성 기체 상에, 편광 기체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6. 제1항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삭제
KR1020170166440A 2016-12-14 2017-12-06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1020265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42209 2016-12-14
JP2016242209A JP6674371B2 (ja) 2016-12-14 2016-12-14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859A KR20180068859A (ko) 2018-06-22
KR102026541B1 true KR102026541B1 (ko) 2019-09-27

Family

ID=62633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440A KR102026541B1 (ko) 2016-12-14 2017-12-06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674371B2 (ko)
KR (1) KR102026541B1 (ko)
TW (1) TWI6398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63976B (zh) * 2018-07-25 2022-05-11 日商日東電工股份有限公司 易接著薄膜及其製造方法、偏光板、以及影像顯示裝置
CN113167939B (zh) * 2019-02-12 2023-03-10 株式会社大赛璐 笔输入设备用表面材料
JP6873411B2 (ja) * 2019-10-17 2021-05-19 株式会社ダイセル 光学積層体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6497A (ja) 2006-08-18 2008-02-28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積層体、そ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1013238A (ja) 2009-06-01 2011-01-20 Tomoegawa Paper Co Ltd 防眩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13083914A (ja) * 2011-09-27 2013-05-09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防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4149504A (ja) 2013-02-04 2014-08-21 Dainippon Printing Co Ltd 防眩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43A (ja) 1981-06-29 1983-01-07 Fujitsu Ltd 多層配線層の形成方法
JP2967474B2 (ja) * 1997-03-27 1999-10-25 株式会社巴川製紙所 防眩材料及びそれを使用した偏光フィルム
JP2002196117A (ja) 2000-12-25 2002-07-10 Nitto Denko Corp 光拡散層、光拡散性シート及び光学素子
JP2005140890A (ja) * 2003-11-05 2005-06-02 Sumitomo Chemical Co Ltd 防眩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WO2007000856A1 (ja) 2005-06-28 2007-01-04 Nitto Denko Corporation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07156132A (ja) * 2005-12-06 2007-06-21 Sumitomo Chemical Co Ltd 防眩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7187952A (ja) * 2006-01-16 2007-07-26 Sumitomo Chemical Co Ltd 防眩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そのための金型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JP5135871B2 (ja) * 2007-05-08 2013-02-06 住友化学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防眩性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TWI454753B (zh) * 2010-04-19 2014-10-01 Tomoegawa Co Ltd 光學積層體、偏光板、顯示裝置及光學積層體之製造方法
JP5826104B2 (ja) * 2012-04-27 2015-12-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拡散性反射防止フィルム、光拡散性反射防止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6212844B2 (ja) * 2012-09-14 2017-10-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5072413A (ja) * 2013-10-04 2015-04-16 住友化学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
JP2015106040A (ja) * 2013-11-29 2015-06-08 住友化学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
JP2015106041A (ja) * 2013-11-29 2015-06-08 住友化学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
JP2015206837A (ja) * 2014-04-17 2015-11-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634685B2 (ja) * 2015-03-03 2020-01-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6497A (ja) 2006-08-18 2008-02-28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積層体、そ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1013238A (ja) 2009-06-01 2011-01-20 Tomoegawa Paper Co Ltd 防眩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13083914A (ja) * 2011-09-27 2013-05-09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防眩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14149504A (ja) 2013-02-04 2014-08-21 Dainippon Printing Co Ltd 防眩フィルム、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859A (ko) 2018-06-22
JP2018097187A (ja) 2018-06-21
TW201821837A (zh) 2018-06-16
JP6674371B2 (ja) 2020-04-01
TWI639861B (zh) 2018-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1644B2 (en) Optical laminate, polarizer, and display apparatus
KR102520205B1 (ko)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6221017B1 (ja) 光学積層体、偏光板及び表示装置
KR102026541B1 (ko)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6492683B2 (ja) 防眩性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7293324A (ja) 光学積層体
KR102194639B1 (ko)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표시 장치
CN113039463A (zh) 防眩性薄膜、防眩性薄膜的制造方法、光学构件和图像显示装置
US20090136713A1 (en) Optical layered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