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237B1 - 기어펌프 - Google Patents
기어펌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6237B1 KR102026237B1 KR1020180075599A KR20180075599A KR102026237B1 KR 102026237 B1 KR102026237 B1 KR 102026237B1 KR 1020180075599 A KR1020180075599 A KR 1020180075599A KR 20180075599 A KR20180075599 A KR 20180075599A KR 102026237 B1 KR102026237 B1 KR 1020262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driven
- drive
- shaft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082—Details specially related to intermeshing engagement type machines or pumps
- F04C2/084—Toothed whe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088—Lubr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6—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으로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오일이 유입되는 제1 유입구 및 제2 유입구와 , 상기 오일이 배출되는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가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배치되고 외부의 구동력을 인가받아 회전하고, 구동 기어 유닛이 배치되는 구동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구동 기어 유닛과 치합되는 제1 종동 기어가 배치되는 제1 종동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구동 기어 유닛과 치합되는 제2 종동 기어가 배치되는 제2 종동축; 및 상기 제2 종동축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구동 기어 유닛과 상기 제2 종동 기어를 선택적으로 치합, 해제시키는 기어 이동 제어부; 를 포함하는 기어펌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변속기 측으로의 유압 공급이 필요한 경우에 구동기어와 치합되고, 유압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치합이 해제되는 종동기어를 배치하여, 차량의 주행 중, 차량 엔진으로 냉각 및 윤활용 오일을 공급할 수 있고, 필요시에는 변속기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변속기 측으로의 유압 공급이 필요한 경우에 구동기어와 치합되고, 유압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치합이 해제되는 종동기어를 배치하여, 차량의 주행 중, 차량 엔진으로 냉각 및 윤활용 오일을 공급할 수 있고, 필요시에는 변속기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어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 중, 차량의 엔진으로 냉각 및 윤활용 오일을 공급할 수 있고, 필요시에는 변속기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는 기어펌프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엔진룸에는 차량 주행을 위한 엔진 동작 중 발생된 열을 냉각시키고 엔진의 원활한 동작을 위한 윤활을 위해 오일을 공급하는 냉각 및 윤활유압회로가 배치된다. 또한, 차량의 엔진룸에는 차량의 변속기의 변속 동작을 위한 변속유압회로가 배치된다.
여기서, 변속유압회로에서 사용되는 펌프는 변속기 또는 클러치가 동작하는 시점에만 동작하므로, 변속기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시점에서는 동작하지 않지만, 냉각 및 윤활유압회로에서 사용되는 펌프는 차량 주행을 위한 엔진 동작 시 계속적으로 동작하므로, 냉각 및 윤활유압회로와 변속유압회로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펌프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변속유압회로와 냉각 및 윤활 유압회로의 공급을 수행하는 펌프에는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호스와 호스 또는 파이프류가 장착됨으로써 엔진룸의 공간이 좁아지고, 차량의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 2015-29072호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 엔진으로의 냉각 및 윤활용 오일의 공급과 변속기로의 오일 공급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기어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변속기로의 유압 공급이 필요한 경우에 구동기어와 치합되고, 유압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치합이 해제되는 종동기어를 배치하여, 차량의 주행 중, 차량 엔진으로 냉각 및 윤활용 오일을 공급할 수 있고, 필요시에는 변속기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는 기어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측으로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오일이 유입되는 제1 유입구 및 제2 유입구와 , 상기 오일이 배출되는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가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배치되고 외부의 구동력을 인가받아 회전하고, 구동 기어 유닛이 배치되는 구동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구동 기어 유닛과 치합되는 제1 종동 기어가 배치되는 제1 종동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구동 기어 유닛과 치합되는 제2 종동 기어가 배치되는 제2 종동축; 및 상기 제2 종동축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구동 기어 유닛과 상기 제2 종동 기어를 선택적으로 치합, 해제시키는 기어 이동 제어부; 를 포함하는 기어펌프를 제공한다.
상기 구동 기어 유닛은, 상기 구동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종동 기어와 치합되는 제1 구동 기어와, 상기 구동축 상에 상기 제1 구동 기어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종동 기어와 치합되는 제2 구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기어와 상기 제1 종동 기어가 치합되는 공간과 상기 제2 구동 기어와 상기 제2 종동 기어가 치합되는 공간을 분리하는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제1 배출구는 상기 제1 구동 기어와 상기 제1 종동 기어가 치합되는 공간과 연통하고, 상기 제2 유입구와 상기 제2 배출구는 상기 제2 구동 기어와 상기 제2 종동 기어가 치합되는 공간과 연통할 수 있다.
상기 구동 기어 유닛은, 양단부에 상기 제1 종동 기어와 상기 제2 종동 기어와 각각 치합되는 구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제1 종동 기어가 치합되는 공간과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제2 종동 기어가 치합되는 공간을 분리하는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제1 배출구는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제1 종동 기어가 치합되는 공간과 연통하고, 상기 제2 유입구와 상기 제2 배출구는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제2 종동 기어가 치합되는 공간과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제1 배출구로는, 차량 엔진의 윤활 및 냉각용 오일이 이동하고, 상기 제2 유입구와 상기 제2 배출구로는, 차량 변속기용 오일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기어 이동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배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압이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압 공급구와, 상기 유압 공급구 상에 배치되고, 외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유압 공급구를 통한 상기 유압의 공급을 제어하는 유압 공급 제어부와, 상기 제2 종동축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유압 공급구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유압을 인가받아 상기 제2 구동 기어와 상기 제2 종동 기어의 치합이 해제되도록 상기 제2 종동축을 이동시키는 유압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종동축에 대하여 탄성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2 구동 기어와 상기 제2 종동 기어의 치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압 공급구로는 상기 제1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오일의 일부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기어 이동 제어부는, 외부의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 엔진으로의 냉각 및 윤활용 오일의 공급과 변속기로의 오일 공급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속기로의 유압 공급이 필요한 경우에 구동기어와 치합되고, 유압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치합이 해제되는 종동기어를 배치하여, 차량의 주행 중, 차량 엔진으로 냉각 및 윤활용 오일을 공급할 수 있고, 필요시에는 변속기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펌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펌프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펌프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펌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펌프(100)는 하우징(110), 구동축(120), 제1 종동축(130), 제2 종동축(140), 기어 이동 제어부(150) 및 격벽(16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소정의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10)의 내측으로는 후술하는 구성 요소들이 배치되고 이송 대상인 오일의 이동 공간을 제공한다. 하우징(110)의 크기와 형상은 도면에 도시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일측으로는 냉각 및 윤활 오일이 유입되는 제1 유입구(112A)와, 변속기용 오일이 유입되는 제2 유입구(112B)가 배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타측으로는 냉각 및 윤활 오일이 배출되는 제1 배출구(114A)와 변속기용 오일이 배출되는 제2 배출구(114B)가 배치된다.
여기서, 제1 유입구(112A)와 제2 유입구(112B)는 서로 근접하여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1 배출구(114A)와 제2 배출구(114B)도 서로 근접하여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유입구(112A, 112B)와 제1 및 제2 배출구(114A, 114B)는 하우징(110) 상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유입구(112A, 112B)와 제1 및 제2 배출구(114A, 114B)는 하우징(11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하우징(110)의 일측으로는 제2 종동축(140)의 이동 제어를 위한 제어 오일이 공급되는 후술하는 제어 오일 공급부(150)가 배치된다.
구동축(120)은 하우징(110)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때, 구동축(120)은 제1 및 제2 유입구(112A, 112B)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구동축(120)은 하우징(110)의 외부에 배치되는 소정의 구동 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수단은 차량의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120) 상에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제1 및 제2 구동 기어(124A, 124B)를 포함하는 구동 기어 유닛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기어 유닛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및 제2 구동 기어(124A, 124B)를 포함하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후술하는 제1 및 제2 종동 기어의 이격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구동 기어를 단일개로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구동 기어 유닛이 제1 및 제2 구동 기어(124A, 124B)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및 제2 구동 기어(124A, 124B)는 소정의 직경과 기어이를 갖고, 후술하는 제1 및 제2 종동 기어(134, 144)와 각각 치합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구동 기어(124A, 124B)의 직경과 기어잇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종동축(130)은 하우징(110)의 내측에 구동축(120)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 종동축(130) 상에는 제1 구동 기어(124A)와 치합하는 제1 종동 기어(134)가 배치된다.
제2 종동축(140)은 하우징(110)의 내측에 구동축(120)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종동축(140) 상에는 제2 구동 기어(124B)와 치합하는 제2 종동 기어(144)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종동축(140)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제1 종동축(130)과 제2 종동축(14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종동축(14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2 종동축(140)의 일단으로는 소정 형태의 유압 플레이트(156)가 배치될 수 있다. 유압 플레이트(156)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종동축(130)이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후술하는 제1 배출구(114A)로 배출되는 오일의 양을 가변하기 위하여 제1 종동축(130)이 소정량 이동하며 제1 구동 기어(124A)와 제1 종동 기어(134)의 치합 정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제1 구동 기어(124A)와 제1 종동 기어(134)가 치합되는 공간은 냉각 및 윤활 오일이 유입되는 제1 유입구(112A)와 냉각 및 윤활 오일이 배출되는 제1 배출구(114A)에 연통한다.
또한, 제2 구동 기어(124B)와 제2 종동 기어(144)가 치합되는 공간은 변속기용 오일이 유입되는 제2 유입구(112B)와 변속기용 오일이 배출되는 제2 배출구(114B)에 연통한다.
기어 이동 제어부(150)는 차량 변속기의 변속 동작에 대응하여 제2 종동축(140)의 이동을 제어하며, 제2 구동 기어(124B)와 제2 종동 기어(144)의 치합과 치합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기어 이동 제어부(150)는 유압 공급구(152), 유압 공급 제어부(154), 유압 플레이트(156) 및 스프링(158)을 포함한다.
유압 공급구(152)는 일단은 하우징(110) 외부로 연결되고, 타단은 제2 구동 기어(124B)와 제2 종동 기어(144)가 치합되는 공간 상의 후술하는 유압 플레이트(156) 측으로 연결된다.
유압 공급구(152)는 하우징(110)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압을 하우징(110) 내에 배치된 제2 종동축(140)의 일단 즉, 후술하는 유압 플레이트(156) 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유압 공급구(152)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은 하우징(152) 외부에 별도로 배치되는 유압 공급원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유압 공급구(152)는 제1 배출구(114A)와 연결되어, 제1 배출구(114A)를 통해 배출되는 오일의 유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유압 공급 제어부(154)는 유압 공급구(152) 상에 배치되어, 유압 공급구(152)로의 유압 공급을 단속할 수 있다. 또한, 유압 공급 제어부(154)는 유압 공급구(152)로 공급되는 유압량을 제어할 수 있다. 유압 공급구(152)가 제1 배출구(114A)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제1 배출구(114A)를 통해 배출되는 오일은 엔진의 냉각 및 윤활에 필요한 유압을 갖고 있으므로, 유압 공급 제어부(154)를 통해 제2 종동축(140)의 이동에 필요한 유압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압 플레이트(156)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유압 플레이트(156)는 제2 종동축(140)의 일단으로 즉, 제2 구동 기어(124B)와 제2 종동 기어(144)가 치합되는 공간 상의 제2 종동축(140)의 일단으로 배치되어, 유압 공급구(152)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을 인가받고, 이를 제2 종동축(140)으로 전달하여 제2 종동축(14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종동축(140)의 이동에 의해 제2 구동 기어(124B)와 제2 종동 기어(144)의 치합이 해제될 수 있다.
스프링(158)은 제2 종동축(140)의 타단으로 배치되어, 유압 플레이트(156)에 대하여 인가되는 유압이 제거되었을 때, 즉, 변속기 측으로 오일 공급을 필요로 할 때 제2 종동축(140)에 대하여 탄성력을 인가하여, 제2 종동축(140)이 이동하도록 하여 제2 구동 기어(124B)와 제2 종동 기어(144)가 치합하도록 한다.
여기서, 하우징(110)의 내측으로는 제1 구동 기어(124A)와 제1 종동 기어(134)가 치합되는 공간과 제2 구동 기어(124B)와 제2 종동 기어(144)가 치합되는 공간은 소정의 격벽(160)에 의해 분리되어, 냉각 및 윤활 오일이 변속기 측으로 공급되거나, 변속기용 오일이 엔진 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기어 이동 제어부(150)는 외부의 신호 즉, 변속기 조작 신호에 의해 직선 이동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어펌프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차량의 주행을 위해 차량 엔진이 동작하면, 엔진의 구동력이 구동축(120)으로 전달되어, 구동축(120)이 회전한다.
구동축(120)에 배치되는 있는 제1 구동 기어(124A)와 제2 구동 기어(124B)는 구동축(120)의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제1 종동 기어(134)는 제1 구동 기어(124A)에 치합되어 회전하며, 제1 배출구(114A)를 통해 냉각 및 윤활 오일이 배출되도록 한다.
제1 배출구(114A)를 통해 배출되는 냉각 및 윤활 오일은 엔진으로 공급되어, 엔진의 냉각과 윤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제2 종동 기어(144)는 평시에는 제2 구동 기어(124B)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변속기 측으로의 오일 공급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유압 공급 제어부(154)는 스프링(158)의 탄성력보다 큰 유압이 유압 공급구(152)를 통해 공급되도록 한다.
유압 공급구(152)를 통해 스프링(158)의 탄성력보다 큰 유압이 인가되면, 스프링(158)이 압축되고, 이에 따라 제2 종동축(140)이 이동하며 제2 구동 기어(124B)와 제2 종동 기어(144)의 치합이 해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종동축(140)이 외부의 유압에 의해 동작하고 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외부의 조작 신호 즉, 변속기 조작 신호를 입력받아 직선 방향으로 동작하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제2 종동축(140)이 이동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펌프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종동축(140)은 다음과 같이 이동하여 제2 구동 기어(124B)와 치합한다.
차량의 주행에 따라 변속기의 변속이 필요한 경우, 차량의 ECU(미도시)에서는 변속기가 변속되도록 소정의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 신호를 입력받은 유압 공급 제어부(154)는 유압 공급구(152)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이 스프링(158)의 탄성력보다 작아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스프링(158)의 탄성력이 제2 종동축(140)에 인가되어, 제2 종동축(140)은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2 구동 기어(124B)와 제2 종동 기어(144)가 치합된다.
제2 구동 기어(124B)와 제2 종동 기어(144)의 치합에 의해 제2 유입구(112B)를 통해 유입된 변속기용 오일은 제2 배출구(114B)를 통해 변속기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차량의 변속 동작이 완료되면, 유압 공급 제어부(154)는 제2 종동축(140)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유압 공급을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구동 기어(124B)와 제2 종동 기어(144)의 치합이 해제된다.
본 발명은, 차량 변속기 측으로의 유압 공급이 필요한 경우에 구동기어와 치합되고, 유압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치합이 해제되는 종동기어를 배치하여, 차량의 주행 중, 차량 엔진으로 냉각 및 윤활용 오일을 공급할 수 있고, 필요시에는 변속기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기어펌프 110: 하우징
120:구동축 130: 제1 종동축
140: 제2 종동축 150: 기어 이동 제어부
160: 격벽
120:구동축 130: 제1 종동축
140: 제2 종동축 150: 기어 이동 제어부
160: 격벽
Claims (11)
- 기어가 서로 치합하여 회전하며 냉각 및 윤활 오일과 변속기용 오일을 공급하는 기어 펌프로서,
내측으로는 공간을 제공하고, 일측으로는 상기 냉각 및 윤활 오일이 유입되는 제1 유입구 및 상기 변속기용 오일이 유입되는 제2 유입구와, 타측으로는 상기 제1 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냉각 및 윤활 오일이 배출되는 제1 배출구 및 상기 제1 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변속기용 오일이 배출되는 제2 배출구가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배치되고 외부의 구동력을 인가받아 회전하고, 구동 기어 유닛이 배치되는 구동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구동 기어 유닛과 치합되는 제1 종동 기어가 배치되는 제1 종동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구동 기어 유닛과 치합되는 제2 종동 기어가 배치되는 제2 종동축; 및
상기 제2 종동축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구동 기어 유닛과 상기 제2 종동 기어를 선택적으로 치합, 해제시키는 기어 이동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기어 유닛은,
상기 구동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종동 기어와 치합되는 제1 구동 기어와,
상기 구동축 상에 상기 제1 구동 기어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종동 기어와 치합되는 제2 구동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 이동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냉각 및 윤활 오일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압 공급구와,
상기 유압 공급구 상에 배치되고, 외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유압 공급구를 통한 상기 유압의 공급을 제어하는 유압 공급 제어부와,
상기 제2 종동축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유압 공급구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유압을 인가받아 상기 제2 구동 기어와 상기 제2 종동 기어의 치합이 해제되도록 상기 제2 종동축을 이동시켜 상기 제2 배출구를 통한 상기 변속기용 오일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유압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종동축에 대하여 탄성력을 인가하여 상기 제2 구동 기어와 상기 제2 종동 기어의 치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제2 배출구를 통해 상기 변속기용 오일이 공급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기어펌프.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기어와 상기 제1 종동 기어가 치합되는 공간과 상기 제2 구동 기어와 상기 제2 종동 기어가 치합되는 공간을 분리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기어펌프.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제1 배출구는 상기 제1 구동 기어와 상기 제1 종동 기어가 치합되는 공간과 연통하고,
상기 제2 유입구와 상기 제2 배출구는 상기 제2 구동 기어와 상기 제2 종동 기어가 치합되는 공간과 연통하는 기어 펌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 유닛은,
양단부가 상기 제1 종동 기어 및 상기 제2 종동 기어와 각각 치합되는 구동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펌프.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제1 종동 기어가 치합되는 공간과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제2 종동 기어가 치합되는 공간을 분리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기어펌프.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제1 배출구는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제1 종동 기어가 치합되는 공간과 연통하고,
상기 제2 유입구와 상기 제2 배출구는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제2 종동 기어가 치합되는 공간과 연통하는 기어 펌프.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이동 제어부는,
외부의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기어 펌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5599A KR102026237B1 (ko) | 2018-06-29 | 2018-06-29 | 기어펌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5599A KR102026237B1 (ko) | 2018-06-29 | 2018-06-29 | 기어펌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26237B1 true KR102026237B1 (ko) | 2019-09-27 |
Family
ID=68096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5599A KR102026237B1 (ko) | 2018-06-29 | 2018-06-29 | 기어펌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6237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12445A (ja) * | 1995-10-20 | 1997-05-02 | Kayaba Ind Co Ltd | 歯車ポンプ |
KR19990031993U (ko) * | 1997-12-31 | 1999-07-26 | 정몽규 | 듀얼 모드 치차식 오일 펌프 |
KR20060055127A (ko) * | 2004-11-18 | 2006-05-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트윈 로터 오일 펌프 |
KR101449224B1 (ko) * | 2010-04-12 | 2014-10-08 | 파볼 피구라 | 연속 가변 출력 유량을 가진 기어펌프 |
-
2018
- 2018-06-29 KR KR1020180075599A patent/KR10202623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12445A (ja) * | 1995-10-20 | 1997-05-02 | Kayaba Ind Co Ltd | 歯車ポンプ |
KR19990031993U (ko) * | 1997-12-31 | 1999-07-26 | 정몽규 | 듀얼 모드 치차식 오일 펌프 |
KR20060055127A (ko) * | 2004-11-18 | 2006-05-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트윈 로터 오일 펌프 |
KR101449224B1 (ko) * | 2010-04-12 | 2014-10-08 | 파볼 피구라 | 연속 가변 출력 유량을 가진 기어펌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700181B (zh) | 可切换速度的减速机 | |
US3651904A (en) | Transmission with simultaneously engaged clutches for braking | |
JP4499689B2 (ja) | 連続可変伝動装置 | |
US4541510A (en) | Shift fork lubricating system for transmission | |
ITMI20010306A1 (it) | Dispositivo di trasmissione di momento torcente con almeno un primo dispositivo di frizione nonche' almeno un secondo dispositivo di frizion | |
US20160097445A1 (en) | Lubrication system for transfer case | |
CN105121917A (zh) | 车辆的控制装置以及方法 | |
KR102026237B1 (ko) | 기어펌프 | |
US6655232B2 (en) | Hydraulic controller for transmission | |
US9435401B2 (en) | Shift actuator | |
US10557547B2 (en) | Hydraulic control device | |
US8967351B2 (en) | Transmission clutch piston compensator feed circuit | |
KR101491267B1 (ko) | 더블 클러치 변속기용 유압 제어 장치 | |
CN104854379A (zh) | 油供给装置 | |
KR20120014281A (ko) | 건설장비 산업차량의 구동장치 | |
JP4745533B2 (ja) | 自動変速機 | |
JP2010126073A (ja) |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油圧回路 | |
JP4644381B2 (ja) | 無段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 |
JP7189703B2 (ja) | 油圧供給装置 | |
CN101725707A (zh) | 变速器 | |
KR101914585B1 (ko) | 변속장치 | |
JP6551191B2 (ja) | 作動油制御装置 | |
KR20190003353A (ko) | 동력 전달 장치 및 밸브 유닛 | |
RU24821U1 (ru) |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гидроуправления трансмиссией агрегата насосного | |
JP2996325B2 (ja) | 油圧作動型操向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