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479B1 - 차량 영상촬영장치가 포함된 함체 및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영상촬영장치가 포함된 함체 및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479B1
KR102024479B1 KR1020180160358A KR20180160358A KR102024479B1 KR 102024479 B1 KR102024479 B1 KR 102024479B1 KR 1020180160358 A KR1020180160358 A KR 1020180160358A KR 20180160358 A KR20180160358 A KR 20180160358A KR 102024479 B1 KR102024479 B1 KR 102024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mera
image
payment system
electronic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관
임도훈
김창엽
김상우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80160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4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5/225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차량 영상촬영장치들 사이의 인터페이싱을 통해 촬영된 차량 이미지를 획득하는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은, 제1 카메라, 제1 카메라 인터페이스, 제1 제어보드 및 이미지 처리 장치를 포함한 제1 차량 영상촬영장치; 및 제2 카메라, 제2 카메라 인터페이스 및 제2 제어보드를 포함한 제2 차량 영상촬영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차량 영상촬영장치의 이미지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제어 보드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영상촬영장치가 포함된 함체 및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HOUSING INCLUDING IMAGE PHOTOGRAPHY APPARATUS OF VEHICLE AND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본 발명은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에서 차량 영상촬영장치가 포함된 함체와 전후면 차량 영상촬영장치의 설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대교 등과 같이 도로주행에 따른 요금이 징수되는 도로에는 요금징수구간으로 진입되는 진입로 부근에 요금정산소 또는 카드 발급장치를 설치하여 차량에 대해 일일이 요금을 징수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요금징수방법은 인력이 낭비되거나 일회성 카드 제작으로 인해 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정산소 또는 발급장치의 대기 지점에서 차량 정차를 유발시키기 때문에 교통 정체가 심하게 발생된다. 이에 따라 인력이나 일회성 카드를 사용하지 않고 차량의 속도 감속을 줄이는 무인요금징수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차량 영상촬영장치와 그를 위한 운영시스템이 요구되는데, 특히 적어도 하나의 차량 영상촬영장치는 함체에 포함되어 차로나 갠트리(grantry)상에 설치된다. 이때, 전자의 경우 함체의 크기가 커 차로 상에 복수 개가 설치되면 차로 미관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차량 운행시 전방 시야 방해나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는 상기 함체의 크기로 인하여 갠트리의 구조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심리적으로 운전자에게 불안감을 줄 수 있으며 관련하여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그 밖에, 상기 시스템에 속하며 점차 그 개수가 증가하고 있는 차량 영상촬영장치들을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을 위한 차량 영상촬영장치가 포함된 함체를 슬림화하여 차로 미관을 개선하고 그 구성 간소화를 통하여 설치 원가를 절감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전후면 차량 영상촬영장치 설치 운영을 위하여 다수의 차량 영상촬영장치 사이의 호환성을 확보하고 유지 관리의 효율성을 높여 그로부터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의 설치 운영 효율설을 제고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차량 영상촬영장치들 사이의 인터페이싱을 통해 촬영된 차량 이미지를 획득하는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은, 제1 카메라, 제1 카메라 인터페이스, 제1 제어보드 및 이미지 처리 장치를 포함한 제1 차량 영상촬영장치; 및 제2 카메라, 제2 카메라 인터페이스 및 제2 제어보드를 포함한 제2 차량 영상촬영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차량 영상촬영장치의 이미지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제어 보드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차량 영상촬영장치의 이미지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차량 영상촬영장치의 이미지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를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차량 영상촬영장치의 이미지 처리 장치는, GenICAM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차량 영상촬영장치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싱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각 차량 영상촬영장치는, 렌즈, 조명장치, 조도감지기, 온도센서 및 팬/히터를 포함한 부대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대장치는, 제어 요청/응답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차량 영상촬영장치의 이미지 처리 장치를 통하여 각 제어보드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는, 상기 각 제어보드와 RS-422 및 TCI/IP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의 차량 영상촬영장치를 포함하며, 하이패스용과 TCS용을 모두 커버하는 함체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지지대의 너비보다 넓은 사면체 구조로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의 전면 제1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센서가 위치하고, 상기 본체는 요금 표시기가 탈부착을 위한 제2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그 일부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본체의 사면체 구조는, 가로 150 내지 300mm, 높이 200 내지 550mm, 그리고 깊이 200 내지 500mm로 형성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오버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탈부착을 위한 구조는, 상기 요금 표시기의 사이즈와 무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본체의 가로 사이즈는, 상기 요금 표시기의 가로 사이즈에 의해 결정되되, 상기 요금 표시기의 가로 사이즈와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 내 복수의 차량 영상촬영장치들 사이의 차량 이미지 획득을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은, 각 차량 영상촬영장치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차량 영상촬영장치들 중 하나의 차량 영상촬영장치에만 구비된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다른 차량 영상촬영장치의 제어보드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상기 다른 차량 영상촬영장치의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해당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를 조합하여 차량 이미지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에 기재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을 위한 차량 영상촬영장치가 포함된 함체를 슬림화하여 차로 미관을 개선하고 그 구성 간소화를 통하여 설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전후면 차량 영상촬영장치 설치 운영을 위하여 다수의 차량 영상촬영장치 사이의 호환성을 확보하고 유지 관리의 효율성을 높여 그로부터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의 설치 운영 효율설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영상촬영장치를 포함한 함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촬영장치를 포함한 함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금표시기가 탈부착 가능한 함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후면 영상촬영장치 사이의 시스템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도 5의 운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히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몇몇의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일(a 또는 an)", "하나(on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을 개시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는 차량 영상촬영장치가 포함된 함체(housing) 구조와 적어도 둘 이상의 차량 영상촬영장치 사이의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하여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100)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100)은, 스마트 톨링 시스템(Smart Tolling system)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으며, 다수의 장치들(110,120)와 프로세서(processor)(130)로 구성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장치들은 두 개만 도시하였으며, 프로세서는 한 개만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장치는 상기 프로세서(130)를 제외한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100)의 모든 구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는, 함체를 의미할 수도 있고, 차량용 영상촬영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장치는, 차량 등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를 의미하거나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100) 운영자의 단말을 의미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장치는 반드시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100)의 내부 구성요소가 아니라 차량이나 차량 내 운전자나 차량 동승자의 단말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1(110)은 차량용 영상촬영장치가 포함된 함체이고, 상기 장치2(120)는 운행중인 차량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치1(110)의 함체 내 차량용 영상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상기 장치2(120) 즉, 차량이 감지되고, 감지된 차량을 번호판 등의 식별을 통해 식별하면,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100)은 상기 장치2(120)로 통행료 요금과 관련된 정보를 다른 장치(예컨대, 요금 표시기 등)를 통해 출력하거나 상기 장치2(120)의 장치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100)의 구성요소 간 또는 차량이나 차량 내 단말(들)과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관련하여, 상기 장치는, 단말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 장치, 터미널(Terminal),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 장치(Device-to-Device)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일실시예로 할 수 있다.
물론, 어디까지나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에서의 단말은 상술한 예시들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또는 향후 개발될 데이터 또는 신호 전송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에서, 프로세서(130)는 서버(server), 시스템 등 다양한 이름으로 명명될 수도 있으며, 도로에서 운행중인 차량의 운행, 통행료 등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수신, 수집, 처리, 출력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는 본 발명을 위한 펌웨어 등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하드웨어를 의미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프로세서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내부 또는 외부에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100)에서 생성되거나 그를 위한 다양한 데이터나 정보를 일시 저장하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단말(110,120) 또는/및 프로세서(130)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등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개체를 지칭하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의 각 구성요소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100) 내에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호간에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실시예에 따라 전용 통신 프로토콜을 정의하고 그를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현재 개발되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기존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을 이용하여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 프로토콜은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필요시 실시예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적절히 변환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100)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이미지 데이터 외에 텍스트(Text), 디지털 음성 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하며, 그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정의하지 않는 한, 이미지 데이터라 함은 정지영상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할 수 있으며, 문맥의 의미로부터 그 의미가 해석될 수 있다.
상기에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아이피(IP)망 또는 서로 다른 IP 망을 통합한 올 아이피(All IP) 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Long Term Evolution) 망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LTE ad-vanced(LTE-A)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위성 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 중 하나이거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영상촬영장치를 포함한 함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함체의 정면도를 그리고 도 2의 (b)는 함체의 측면도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도 2의 (a)를 참조하면, 상기 함체는 가로 642mm 그리고 높이는 624mm이다.
또한, 도 2의 (b)를 참조하면, 상기 함체의 깊이는 532mm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촬영장치를 포함한 함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요금표시기가 탈부착 가능한 함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함체의 정면도를 그리고 도 3의 (b)는 상기 함체의 측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3은, 상기 도 2의 함체가 사면체이되, 전체적으로 정사면체에 근사하게 구현된 것과 다르게 모양 내지 사이즈가 더욱 슬림하게 구현된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에 도시된 정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함체는 가로 150 내지 300mm 그리고 높이 200 내지 550mm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체는 가로 280mm이고 높이 530mm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측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함체는 깊이 200 내지 500mm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체는 깊이 465mm로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함체의 형상이나 사이즈와 관련된 수치는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도 2와 3에 도시된 내용으로 함체들의 사이즈를 비교하면, 도 3의 함체는 도 2의 함체에 비하여, 가로 약 56%, 높이 약 15% 그리고 깊이 약 13% 정도의 축소된 형태로 구현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100)의 차량 영상촬영장치를 포함하는 함체는 하이패스용과 TCS용 두 가지 타입이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의 함체는 TCS용을 위하여 요금 표시기(310)를 포함한 실시예일 수 있다.
한편, 하이패스용 함체의 경우에는, 상기 도 3의 (a)에서 요금 표시기(310) 부분을 제외한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이패스용 함체는 도 3의 (a)에 비하여 사이즈를 더욱 슬림하게 구현할 수 있다. 관련하여, 이 경우, 상기 도 3의 (a)의 함체에서 제1 센서(310)와 제2 센서(320)를 좌우 병렬 구조로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상하 직렬 구조로 구현하면, 더욱 슬림화된 함체를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함체는 하이패스용과 TCS용을 구분하여 제작하는 경우에는 미리 설계하고 정해진 바에 따라 설치하여 이용하여야만 하고 그 설치 위치 등의 제한이 있어 도로 사정이나 다양한 상황에서 유연하게 대처하기가 어려우며, 구분 제작에 따라 원가 증가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함체를 슬림화하며서 하이패스용과 TCS용의 구분없이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범용 함체는, 특히 TCS용을 위해 필요한 요금 표시기(330)를 상기 함체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다.
관련하여,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요금 표시기가 탈부착 가능한 구조를 가진 범용 함체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었다.
도 4의 (a)는 요금 표시기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의 범용 함체의 정면도이고, 도 4의 (b)는 상기 도 4의 (a)의 범용 함체의 측면도이다. 반면, 도 4의 (c)는 도 4의 (a)에서 요금 표시기가 부착된 상태의 범용 함체의 정면도이고, 도 4의 (d)는 상기 도 4의 (c)의 범용 함체의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대(410)에 의해 지지되는 본체(420)를 함체로 명명하여 설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420)는 상기 지지대(41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지지대(410)의 너비와 같거나 그보다 넓은 너비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420)는 사면체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일실시예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면체 구조의 본체(420)는, 전술한 도 3에서 개시한 함체 사이즈와 동일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본체(420)의 전면을 기준으로, 제1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영역(450)은 도 4의 (c)와 같이, 요금 표시기의 탈/부착을 지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과 4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420)의 제1 영역에는 제1 센서(310,430)와 제2 센서(320,440)가 배치되었고, 상기 제1 센서(310,430)은 차량 감지를 위한 센서이고, 상기 제2 센서(320,440)는 차량 영상촬영을 위한 카메라 센서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본체(420)의 구조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체(420)는 전술한 상기 제1 센서와 제2 센서 중 적어도 하나(예컨대, 제2 센서)만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4의 (b)와 (d)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센서(310,430)와 제2 센서(320,440)는 본체(420)의 정면으로부터 일부(예를 들면, 렌즈 등)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와 (d)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420)의 일면은 개폐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본체(420) 내에 구비된 장치 등의 교체, 수리 등의 편의를 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420)의 상기 제1 영역과 요금 표시기가 부착되는 제2 영역(450)은 서로 오버랩(overlap)되지 않도록 할당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두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오버랩되도록 할당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420)의 제2 영역은, 상기 요금 표시기의 탈/부착을 위하여, 벨크로(Velcro), 볼트/너트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요금 표시기가 상기 본체(420)로부터 임의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요금 표시기의 본체(42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지된 기술을 포함한 모든 방법이나 구조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420)의 탈/부착 구조는 상기 요금 표시기의 사이즈, 무게 등을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본체(420)의 가로 사이즈는, 상기 요금 표시기의 가로 사이즈와 같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요금 표시기의 가로 사이즈는 상기 본체(420)의 가로 사이즈와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본체(420)의 사이즈(특히, 가로 사이즈)는 요금 표시기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요금 표시기의 일 부분은 지지대(410)의 일부와 오버랩될 수도 있다.
도 4의 (d)를 참조하면, 요금 표시기는 상기 본체의 전면상에 부착되어 노출되되, 상기 노출되는 요금 표시기는 상기 제1 영역의 센서들과 같은 깊이로 형성되어 노출되거나 그보다 낮은 깊이로 형성되어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도 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요금 표시기가 부착되기 전 상기 제2 영역의 노출 깊이는 상기 제1 영역의 센서들의 노출 깊이에 비하여 낮을 수 있다.
상기한 수치, 사이즈 등과 관련된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함체 본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그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후면 영상촬영장치 사이의 시스템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도 5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4에 도시된 장치는 전면 또는 후면 영상촬영장치가 포함된 함체를 도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통상,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100)을 구성할 때, 전면 영상촬영장치와 후면 영상촬영장치를 모두 구비하여 번호판 훼손, 가림 등과 같은 고의 불법 행위를 통한 통행료 면탈을 하는 차량을 식별한다.
따라서,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100)을 운용함에 있어서, 상기 전면 및 후면 영상촬영장치의 호환성을 유지하고 보다 효율적인 운용이 요구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일실시예로, 좌측에 A 제조사에 의해 제조된 전면 영상촬영장치(510)가 우측에 B 제조사에 의해 제조된 후면 영상촬영장치(550)이 도시되었다. 여기서, 상기 전면 영상촬영장치(510)의 A 제조사와 후면 영상촬영장치(550)의 B 제조사는 서로 다른 제조사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비록 도 5에서는 각 영상촬영장치의 구성요소는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경우에도 각 구성요소들의 스펙(SPEC)이나 데이터 처리 방식은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서 비록 전면 영상촬영장치(510)에만 IPU(Image Process Unit, 이미지 처리/제어 장치)(520)가 도시되었으나, 후면 영상촬영장치(550)에도 IPU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그 경우에도 본 발명과 관련하여 기능하지 않을 수 있다.
각 영상촬영장치에 각각 IPU가 존재하고, 각 IPU에서 해당 영상촬영장치에서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고 별도의 장치나 둘 중 어느 하나의 IPU에서 이를 다시 수신하여 조합할 수도 있고, 프로세서에서 일괄 처리할 수도 있다.
편의상 전면 영상촬영장치(510)와 후면 영상촬영장치(550)의 구성요소를 함께 설명한다. 다만 여기서, 상기 영상촬영장치의 구성요소들과 관련하여 그 기능 등은 기공지된 내용 및 관련 내용을 참고하여 이해할 수 있는바,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따라서, 해당 구성들에 대해 참조번호를 부여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상기한 구성(들)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아니며, 상기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렌즈는 렌즈조명 제어보드(통신 모듈)의 제어를 받으며, 카메라의 렌즈일 수도 있고 별도의 이미지 획득이나 전방이나 주변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의 하나일 수 있다.
조명장치는 렌즈조명 제어보드의 제어를 받으며 조도감지기에 의해 감지된 조도를 참고하여 영상촬영장치의 이미지 획득을 지원한다.
온도센서는 렌즈조명 제어보드의 제어를 받으며 영상촬영장치가 포함된 함체 내부 또는 영상촬영장치의 주변 온도를 센싱한다.
팬/히터는 렌즈조명 제어보드의 제어를 받으며 온도센서에 의해 센싱된 온도를 참고하여 팬을 작동하여 열을 낮추거나 히터를 작동하여 열을 높일 수 있다.
카메라 인터페이스(카메라 I/F)는 카메라와 렌즈조명 제어보드 사이의 인터페이싱을 지원하고, IPU(520)과 통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 영상촬영장치(510)와 후면 영상촬영장치(550)는 동일한 차량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촬영하는바, 차량 식별을 위하여 양 장치(510,550)의 데이터를 조합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에서, 카메라 인터페이스는 IPU와 통신하여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데, 후면 영상촬영장치의 카메라 인터페이스는 카메라 센서를 통하여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IPU(52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IPU(520)는 렌즈조명 제어보드와 통신할 수 있는바, 전면 영상촬영장치(510)의 IPU(520)는 상기 후면 영상촬영장치(550)에서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후면 영상촬영장치(550)의 렌즈조명 제어보드로 전달한다.
렌즈조명 제어보드는 제어 데이터가 수신되면,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카메라 센서를 통하여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IPU(520)로 전달하도록 요청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피드백(feedback) 그리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IPU(520) 전달에 따른 피드백 등을 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IPU가 전면 영상촬영장치에만 존재하고 후면 영상촬영장치의 IPU는 존재하지 않거나 기능하지 않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다시 말해, 상기 IPU는 후면 영상촬영장치에 존재하고 전면 영상촬영장치의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후면 영상촬영장치의 IPU로 전달되어 차량의 전면과 후면에 대하여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의 조합을 할 수도 있다.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상기 카메라 인터페이스와 IPU(520) 사이의 영상 데이터의 전송 등을 위하여 인터페이스는 GenICAM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GenICAM 인터페이스는 EMVA(European Machine Vision Associa-tion, 유럽머신비전협회)에 의해 제안된 표준으로서 카메라의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와 무관하게 모든 종류의 카메라에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렌즈, 조명 등 부대 장치 제어 역시, 요청/응답 인터페이스를 새롭게 정의하여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IPU는 복수의 영상촬영장치에 속한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IPU는 RS-422, TCP/IP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여 전술한 통신 프로토콜을 참조하여 다른 영상촬영장치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여 다양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IPU(520)는 적어도 둘 이상의 차량 영상촬영장치를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IPU(520)는 인접한 다른 차량 영상촬영장치와 본 발명에 따라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여 이를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IPU(520)는 각 차량 영상촬영장치의 이미지 데이터를 직접 조합하지 않고, 단지 수신하여 프로세서(130)로 전달하여 상기 프로세서(130)에서 상기 각 차량 영상촬영장치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가 조합되도록 도울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 내 복수의 차량 영상촬영장치들 사이의 차량 이미지 획득을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이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인터페이싱 방법은 상기 복수의 차량 영상촬영장치들 중 제1 차량 영상촬영장치에만 구비된 이미지 처리 장치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각 차량 영상촬영장치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한다(S601).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다른 차량 영상촬영장치의 제어보드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한다(S602). 한편,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는, 동시에 또는 이시에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가 속한 차량 영상촬영장치 즉, 제1 차량 영상촬영장치의 이미지 데이터도 획득한다.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상기 다른 차량 영상촬영장치의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해당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다(S603).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를 조합하여 차량 이미지를 구성한다(S604).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영상촬영장치를 위한 함체를 종래에 비하여 슬림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이패스용과 TCS용을 구분하여 제작하지 않고 범용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원가 절감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 차량 영상촬영장치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어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차량 영상촬영장치들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새롭게 정의하여 이용함으로써 상기한 장치들 사이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도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을 더욱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차량 영상촬영장치들 사이의 인터페이싱을 통해 촬영된 차량 이미지를 획득하는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은, 제1 카메라, 제1 카메라 인터페이스, 제1 제어보드 및 이미지 처리 장치를 포함한 제1 차량 영상촬영장치 및 제2 카메라, 제2 카메라 인터페이스 및 제2 제어보드를 포함한 제2 차량 영상촬영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차량 영상촬영장치의 이미지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제어 보드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차량 영상촬영장치의 이미지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를 조합하고, GenICAM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차량 영상촬영장치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싱을 하며, 상기 각 차량 영상촬영장치는, 렌즈, 조명장치, 조도감지기, 온도센서 및 팬/히터를 포함한 부대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대장치는, 제어 요청/응답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차량 영상촬영장치의 이미지 처리 장치를 통하여 각 제어보드에 의해 제어되되,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는, 상기 각 제어보드와 RS-422 및 TCI/IP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원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닌 설명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 아닌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복수의 차량 영상촬영장치들 사이의 인터페이싱을 통해 촬영된 차량 이미지를 획득하는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에 있어서,
    제1 카메라, 제1 카메라 인터페이스, 제1 제어보드 및 이미지 처리 장치를 포함한 제1 차량 영상촬영장치; 및
    제2 카메라, 제2 카메라 인터페이스 및 제2 제어보드를 포함한 제2 차량 영상촬영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차량 영상촬영장치의 이미지 처리 장치는,
    상기 제2 제어 보드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복수의 차량 영상촬영장치들은 하이패스용과 TCS용을 모두 커버하는 함체에 포함되는데,
    상기 함체는 하이패스용과 TCS용을 모두 커버하는 것으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지지대의 너비보다 넓은 사면체 구조로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의 전면 제1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센서가 위치하고,
    상기 본체는 요금 표시기가 탈부착을 위한 제2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그 일부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량 영상촬영장치의 이미지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량 영상촬영장치의 이미지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를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량 영상촬영장치의 이미지 처리 장치는,
    GenICAM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차량 영상촬영장치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싱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차량 영상촬영장치는,
    렌즈, 조명장치, 조도감지기, 온도센서 및 팬/히터를 포함한 부대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대장치는,
    제어 요청/응답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제1 차량 영상촬영장치의 이미지 처리 장치를 통하여 각 제어보드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는,
    상기 각 제어보드와 RS-422 및 TCI/IP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사면체 구조는,
    가로 150 내지 300mm, 높이 200 내지 550mm, 그리고 깊이 200 내지 500mm로 형성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오버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영상촬영장치가 포함된 함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을 위한 구조는,
    상기 요금 표시기의 사이즈와 무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영상촬영장치가 포함된 함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가로 사이즈는,
    상기 요금 표시기의 가로 사이즈에 의해 결정되되,
    상기 요금 표시기의 가로 사이즈와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영상촬영장치가 포함된 함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
  11.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 내 복수의 차량 영상촬영장치들 사이의 차량 이미지 획득을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에 있어서,
    각 차량 영상촬영장치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차량 영상촬영장치들 중 하나의 차량 영상촬영장치에만 구비된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다른 차량 영상촬영장치의 제어보드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상기 다른 차량 영상촬영장치의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해당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처리 장치에서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를 조합하여 차량 이미지를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 이미지 획득 인터페이싱 방법.
KR1020180160358A 2018-12-12 2018-12-12 차량 영상촬영장치가 포함된 함체 및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 KR102024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358A KR102024479B1 (ko) 2018-12-12 2018-12-12 차량 영상촬영장치가 포함된 함체 및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358A KR102024479B1 (ko) 2018-12-12 2018-12-12 차량 영상촬영장치가 포함된 함체 및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479B1 true KR102024479B1 (ko) 2019-09-23

Family

ID=68069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358A KR102024479B1 (ko) 2018-12-12 2018-12-12 차량 영상촬영장치가 포함된 함체 및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4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153A (ko) 2020-03-12 2021-09-27 한국도로공사 차량 영상 촬영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106B1 (ko) * 2010-02-23 2010-11-01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전후면 카메라모듈을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인식 방법
WO2017061650A1 (ko) * 2015-10-08 2017-04-13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전후면 카메라모듈을 적용한 영상해석 기반의 lpr 시스템
KR101753117B1 (ko) * 2016-09-21 2017-07-05 (주) 플래누리 카메라 및 차량 인식 모듈을 일체형으로 구현하여 차량의 입차 및 출차를 제어하는 lpr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07503B1 (ko) * 2018-05-10 2018-10-12 주식회사 맥서브 다차로 하이패스에서 차량 진입 방향을 안내하는 통합형 차로제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106B1 (ko) * 2010-02-23 2010-11-01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전후면 카메라모듈을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인식 방법
WO2017061650A1 (ko) * 2015-10-08 2017-04-13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전후면 카메라모듈을 적용한 영상해석 기반의 lpr 시스템
KR101753117B1 (ko) * 2016-09-21 2017-07-05 (주) 플래누리 카메라 및 차량 인식 모듈을 일체형으로 구현하여 차량의 입차 및 출차를 제어하는 lpr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07503B1 (ko) * 2018-05-10 2018-10-12 주식회사 맥서브 다차로 하이패스에서 차량 진입 방향을 안내하는 통합형 차로제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153A (ko) 2020-03-12 2021-09-27 한국도로공사 차량 영상 촬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49790B (zh) 一种路况信息获取方法
CN111932693B (zh) 城市路侧停车场管理系统
US9547797B2 (en) Managing vehicular traffic on a roadway
CN104424802A (zh) 一种车辆违规监控系统
JP2017534118A (ja) 駐車場を稼働させ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06447797B (zh) 一种停车场智能管理系统及其操作方法
CN105069861A (zh) 一种行车记录仪及其控制方法
KR102024479B1 (ko) 차량 영상촬영장치가 포함된 함체 및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
CN107085946A (zh) 一种基于图片识别技术的车辆定位方法及系统
CN202939800U (zh) 智能高清卡口系统
CN112185113A (zh) 一种城市智能交通控制系统
CN112907761B (zh) 用于停车管理的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KR20200058034A (ko) 전기자동차 충전소 관리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601307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차 위치 확인 방법
JP2014238636A (ja) バスロケ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中央装置
TW201928908A (zh) 停車管理系統
KR101951411B1 (ko) 주차 유도 시스템, 그의 설치 방법, 및 그의 제어 방법
CN210223049U (zh) 一种全景一体化车型识别器
CN208271389U (zh) 车牌识别装置
RU149201U1 (ru) Комплекс фотовидеофиксации нарушений правил дорожного движения и правил парковки
CN115035627B (zh) 一种自动化程度高的etc路侧停车巡检仪
KR20030034770A (ko) 주행차량 인식 시스템
KR20200110518A (ko) 다채널 양방향 무선데이터 통신모듈을 장착하여 모든 기능 및 장치 설정을 무선으로 조정 및 관리하는 애프터마켓용 지능형 운전자 보조지원시스템 및 구현방법
KR20110093433A (ko) 차량용 단말기의 화면 밝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25877A (ko) 차량용 영상 저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