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5153A - 차량 영상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영상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5153A
KR20210115153A KR1020200030533A KR20200030533A KR20210115153A KR 20210115153 A KR20210115153 A KR 20210115153A KR 1020200030533 A KR1020200030533 A KR 1020200030533A KR 20200030533 A KR20200030533 A KR 20200030533A KR 20210115153 A KR20210115153 A KR 20210115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unit
angle
vehicle
t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3631B1 (ko
Inventor
오원일
문재상
임도훈
이성욱
민휘식
최광호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건아정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건아정보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200030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631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329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06K2209/15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영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차량 영상 촬영장치는 차량의 번호판 식별을 위해 영상을 수집하는 차량 영상 촬영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 수집부가 형성되는 헤드부와, 영상 수집부의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헤드부와 결합되어 헤드부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트부, 그리고 영상 수집부로 투사되는 조도값에 기초하여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틸트부를 동작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본 차량 영상 촬영장치는 태양의 고도 및 방위에 따른 조도 변화에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하여 빛 반사 및 역광 발생 등을 저감시켜 수집된 영상을 통한 차량번호 인식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영상 촬영장치{Image photography apparatus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영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수집부의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틸트부가 구비되고 영상 수집부로 투사되는 조도값에 기초하여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틸트부를 동작 제어함으로써, 태양의 고도 및 방위에 따른 조도 변화에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하여 빛 반사 및 역광 발생 등을 저감시켜 차량번호 인식률이 향상되도록 하는 차량 영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속도로의 톨게이트에는 요금 징수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고속도로 정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하이패스(Hi-Pass)와 같이 차량이 요금소에서 멈추지 않고 정상 주행하면서 요금이 지불되도록 하는 통행료전자지불시스템(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이 설치되어 운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통행료전자지불시스템에는 일반적으로 통행료 미수납, 번호판 훼손, 번호판 가림과 같은 고의적 불법 행위에 의한 통행료 면탈 행위를 방지하거나, 또는 통행료를 수납을 위한 차량번호 인식을 목적으로 차량 영상 촬영장치가 설치 운영된다.
이러한 차량 영상 촬영장치는 수집된 영상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차량변호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차량의 번호판을 정면에서 촬영 가능하도록 차로에서 비교적 낮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차량 영상 촬영장치가 비교적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정면을 향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태양의 고도 및 방위에 따른 조도 변화에 의한 빛 반사 및 역광 발생 등의 원인으로 수집된 영상에서 차량번호 인식에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4479호 (2019.09.17)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태양의 고도 및 방위에 따른 조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빛 반사 및 역광 발생 등을 저감시켜 차량번호 인식률이 향상된 차량 영상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영상 수집부로 투사되는 조도값을 산출하기 위해 태양의 고도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고도값을 검증함으로써 신뢰도 높은 조도값을 산출할 수 있는 차량 영상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차량 영상 촬영장치의 기울기를 고려하여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조도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 영상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촬영 각도가 변화하여도 영상을 수집하고자 하는 대상 영역에 차량이 위치하였을 때 수집된 영상에 차량의 번호판이 포함되도록 하는 차량 영상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촬영 각도 조절이 신속히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조도 변화에 따른 대응이 신속히 이뤄지도록 하는 차량 영상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 촬영장치는, 차량의 번호판 식별을 위해 영상을 수집하는 차량 영상 촬영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 수집부가 형성되는 헤드부와, 영상 수집부의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헤드부와 결합되어 헤드부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트부, 그리고 영상 수집부로 투사되는 조도값에 기초하여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틸트부를 동작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는 태양의 고도값에 기초하여 조도값을 산출하는 조도값 산출부와, 산출된 조도값에 기초하여 목표 촬영 각도값을 판단하는 각도값 판단부, 그리고 판단된 목표 촬영 각도값에 따라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틸트부를 동작 제어하는 각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차량 영상 촬영장치가 설치되는 설치 위치의 위도값, 경도값, 현재 날짜 및 시간에 기초하여 태양의 고도값을 산출하는 고도값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설치 위치의 고도값을 외부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고도값을 산출된 고도값과 비교 검증하는 고도값 검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차량 영상 촬영장치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보정값을 생성하는 보정값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각도 제어부는 판단된 목표 촬영 각도값에서 생성된 보정값을 감산한 값에 따라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틸트부를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영상 촬영장치는 차량 영상 촬영장치의 실시간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보정값 생성부는 기울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기울기에 기초하여 보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면 영상 수집부의 포커스와 조리개값, 그리고 틸트부에 의한 촬영 각도를 초기화하는 초기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을 수집하고자 하는 대상 영역에 차량이 위치하였을 때, 수집된 영상에 차량의 번호판이 포함되도록 하는 각도 범위를 판단하는 각도 범위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각도 제어부는 판단된 각도 범위 내에서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틸트부를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목표 촬영 각도값이 판단되면 목표 촬영 각도값보다 작은 기준 각도값을 설정하는 기준 각도값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각도 제어부는 설정된 기준 각도값까지는 거친 조정을 통해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한 후, 목표 촬영 각도값에서 설정된 기준 각도값을 뺀 나머지 각도값 만큼은 미세 조정을 통해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틸트부를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 수집부의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틸트부가 형성되고 영상 수집부로 투사되는 조도값에 기초하여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제어부가 틸트부를 동작 제어함으로써, 태양의 고도 및 방위에 따른 조도 변화에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하여 빛 반사 및 역광 발생 등을 저감시켜 수집된 영상을 통한 차량번호 인식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 영상 촬영장치가 설치되는 설치 위치의 위도값, 경도값, 현재 날짜 및 시간을 통해 고도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고도값에 기초하여 조도값을 산출하되, 산출된 고도값을 주기적으로 외부로부터 수신된 태양의 고도값과 비교 검증함으로써 산출된 조도값의 신뢰도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상을 수집하고자 하는 대상영역에 차량이 위치하였을 때 수집된 영상에 차량의 번호판이 포함되도록 하는 각도 범위를 판단하고, 판단된 각도 범위 내에서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수집된 영상의 유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목표 촬영 각도값이 판단되면 판단된 목표 촬영 각도값보다 작은 기준 각도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 각도값 까지는 거친 조정을 통해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한 후, 나머지 각도값 만큼은 미세 조정을 통해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조도 변화에 따른 촬영 각도 대응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빛 반사 및 역광 발생 시간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각도 조절을 위해 헤드부의 기울기가 조절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범위 판단부의 각도 범위 판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각도 조절을 위해 헤드부(10)의 기울기가 조절되는 측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 촬영장치는 태양의 고도 및 방위에 따른 조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빛 반사 및 역광 발생 등을 저감시켜 차량번호 인식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헤드부(10), 틸트부(20), 지지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한다.
헤드부(10)에는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 수집부(11)가 형성되고, 영상을 수집하고자 하는 대상 영역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틸트부(20)는 영상 수집부(11)의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헤드부(10)와 결합되어 도 2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0)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지지부(30)는 틸트부(20) 및 헤드부(10)를 지지하도록 일단이 틸트부(20)와 결합하고 타단은 지면에 설치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40)는 영상 수집부(11)로 투사되는 조도값에 기초하여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틸트부(20)를 동작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40)는 태양의 고도값에 기초하여 조도값을 산출하는 조도값 산출부(41)와, 산출된 조도값에 기초하여 목표 촬영 각도값을 판단하는 각도값 판단부(42), 그리고 판단된 목표 촬영 각도값에 따라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틸트부(20)를 동작 제어하는 각도 제어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부의 조도값 산출부(41)는 태양의 고도에 따라 태양 빛이나 또는 대상 영역에 위치된 차량의 번호판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이 영상 수집부(11)로 투사되어 발생하는 조도값을, 태양의 고도값에 기초하여 산출한다. 그리고 각도값 판단부(42)는 산출된 조도값에 기초하여 적정 조도값으로 조도값을 낮출 수 있는 목표 촬영 각도값을 판단한다. 여기서, 조도값 산출부(41)는 태양의 고도값뿐 아니라 태양의 방위각도 함께 고려하여 조도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조도값 산출을 위해, 제어부(40)는 차량 영상 촬영장치가 설치되는 설치 위치의 위도값, 경도값, 현재 날짜 및 시간에 기초하여 태양의 고도값을 산출하는 고도값 산출부(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위도값 및 경도값은 최초 설치 시 주어지는 값이다. 여기서, 고도값 산출부(44)는 동일한 방법으로 태양의 방위각을 함께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조도값 산출부(41)는 고도값 산출부(44)에 의해 산출된 태양의 고도값에 기초하여 조도값을 산출한다.
또한, 제어부(40)에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설치 위치의 고도값을 외부로부터 수신하고, 외부로부터 수신된 고도값과 고도값 산출부(44)로부터 산출된 고도값을 비교 검증하는 고도값 검증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도값 검증부(45)는 일에 한번, 또는 주에 한번, 또는 월에 한번과 같이 비교적 긴 기간마다 한국천문연구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설치 위치의 고도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고도값을 통해 산출된 고도값을 비교 검증할 수 있다. 이는 산출된 고도값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것이며, 만약 수신된 고도값과 산출된 고도값이 설정된 범위 이상의 오차를 보이면 고도값 검증부(45)는 이에 대한 오차 정보를 관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a,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도 범위 판단부(47)의 각도 범위 판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부(40)는 차량 영상 촬영장치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보정값을 생성하는 보정값 생성부(46)를 더 포함하고, 각도 제어부(43)는 판단된 목표 촬영 각도값에서 생성된 보정값을 감산한 값에 따라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틸트부(20)를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차량 영상 촬영장치가 설치 도로의 지면 각도에 의해 1˚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었고, 목표 촬영 각도값이 4로 가정하였을 때, 보정값 생성부(46)는 보정값 1˚를 생성하고, 각도 제어부(43)는 4˚에서 1˚를 감산하여 촬영 각도값이 3˚가 되도록 틸트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보정값은 차량 영상 촬영장치의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 음수일 수도 있다.
이때, 차량 영상 촬영장치의 기울기는 최초 설치 시 입력된 값일 수 있으며, 또는 실시간으로 감지된 기울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 영상 촬영장치에는 차량 영상 촬영장치의 실시간 기울기를 감지하도록 기울기 감지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보정값 생성부(46)는 기울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기울기에 기초하여 보정값을 생성함으로써, 차량 영상 촬영장치의 기울기가 환경 또는 주변의 간섭에 의해 최초 설치 시와 기울기가 변화하더라도 이에 대해 유기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부(40)는 촬영각도 조절에 의해 수집된 영상에 차량의 번호판(p)이 포함되지 않거나 일부만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상 영역에 차량(c)이 위치하였을 때, 수집된 영상에 차량의 번호판(p)이 포함되도록 하는 각도 범위를 판단하는 각도 범위 판단부(47)를 더 포함하고, 각도 제어부(43)는 판단된 각도 범위 내에서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틸트부(20)를 동작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도 범위 판단부(47)는 최초 설치 시 대상 영역에 차량(c)을 배치시킨 상태에서 영상 수집부(11)를 통해 영상을 수집하도록 하고, 수집된 영상에 차량의 번호판(p)이 온전히 포함되는 최대 촬영 각도와, 최소 촬영 각도를 판단함으로써 최대 촬영 각도와 최소 촬영 각도 사이의 각도 범위를 통해 차량의 번호판(p)이 포함되도록 하는 각도 범위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최소 촬영 각도를 판단할 때에 촬영 대상이 되는 차량과 최대 촬영 각도를 판단할 때의 촬영 대상이 되는 차량은 서로 다른 차량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번호판이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되는 차량과 번호판이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되는 차량의 번호판이 모두 촬영되도록 할 수 있는 각도 범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영상 촬영장치의 제어부(40)는 조도 변화에 따른 촬영 각도의 대응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뤄지도록 하기 위해, 목표 촬영 각도값이 판단되면 목표 촬영 각도값보다 작은 기준 각도값을 설정하는 기준 각도값 설정부(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도 제어부(43)는 설정된 기준 각도값까지는 거친 조정을 통해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한 후, 목표 촬영 각도값에서 설정된 기준 각도값을 뺀 나머지 각도값 만큼은 미세 조정을 통해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틸트부(20)를 동작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목표 촬영 각도값이 8.32˚인 경우, 기준 각도값 설정부(48)는 8˚를 기준 각도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각도 제어부(43)는 촬영 각도가 1˚씩 8번 거친 조정되도록 틸트부를 동작 제어하고, 이 후 촬영 각도가 0.08˚씩 4번을 미세 조정되도록 틸트부를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각도값 설정부(48)는 거진 조정 1회 실행 시 조절되도록 설정된 거진 조정 각도 값과 미세 조정 1회 실행 시 조절되도록 설정된 미세 조정 각도 값에 기초하여 기준 각도값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는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면 영상 수집부(11)의 포커스와 조리개값, 그리고 틸트부(20)에 의해 조절된 촬영 각도를 초기화하는 초기화부(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초기화부(49)는 외부의 관리자로부터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여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초기화 신호 생성부가 구비되어 임계 시간에 도달하면 초기화 신호를 생성하고 초기화부(49)에 전송함으로써 임계 시간 마다 초기화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초기화 신호 생성부는 고도값 산출부(44)에서 산출된 태양의 고도값에 기초하여 일몰 시간에 초기화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초기화부(49)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일몰 이후의 시간에는 태양 빛에 의한 빛 반사 및 역광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일몰 이후에는 차량의 번호판이 포함된 영상 수집에 최적화하여 최초 설정된 초기 설정값으로 촬영 각도 등이 초기화되도록 함으로써 번호판 인식에 최적화된 영상을 수집하기 위함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헤드부
11: 영상 수집부
12: 조명부
20: 틸트부
30: 지지부
40: 제어부
41: 조도값 산출부
42: 각도값 판단부
43: 각도 제어부
44: 고도값 산출부
45: 고도값 검증부
46: 보정값 생성부
47: 각도 범위 판단부
48: 기준 각도값 설정부

Claims (9)

  1. 차량의 번호판 식별을 위해 영상을 수집하는 차량 영상 촬영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 수집부가 형성되는 헤드부;
    상기 영상 수집부의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헤드부와 결합되어 상기 헤드부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트부; 및
    상기 영상 수집부로 투사되는 조도값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틸트부를 동작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영상 촬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태양의 고도값에 기초하여 조도값을 산출하는 조도값 산출부;
    산출된 조도값에 기초하여 목표 촬영 각도값을 판단하는 각도값 판단부; 및
    판단된 목표 촬영 각도값에 따라 상기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틸트부를 동작 제어하는 각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영상 촬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영상 촬영장치가 설치되는 설치 위치의 위도값, 경도값, 현재 날짜 및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태양의 고도값을 산출하는 고도값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영상 촬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설치 위치의 고도값을 외부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고도값을 산출된 고도값과 비교 검증하는 고도값 검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영상 촬영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영상 촬영장치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보정값을 생성하는 보정값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목표 촬영 각도값에서 생성된 보정값을 감산한 값에 따라 상기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틸트부를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영상 촬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영상 촬영장치는
    상기 차량 영상 촬영장치의 실시간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정값 생성부는 상기 기울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기울기에 기초하여 상기 보정값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영상 촬영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영상을 수집하고자 하는 대상 영역에 차량이 위치하였을 때, 수집된 영상에 차량의 번호판이 포함되도록 하는 각도 범위를 판단하는 각도 범위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 제어부는 판단된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틸트부를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영상 촬영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목표 촬영 각도값이 판단되면 상기 목표 촬영 각도값보다 작은 기준 각도값을 설정하는 기준 각도값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 제어부는 설정된 기준 각도값까지는 거친 조정을 통해 상기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한 후, 상기 목표 촬영 각도값에서 설정된 기준 각도값을 뺀 나머지 각도값 만큼은 미세 조정을 통해 상기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틸트부를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영상 촬영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영상 수집부의 포커스와 조리개값, 그리고 상기 틸트부에 의한 촬영 각도를 초기화하는 초기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영상 촬영장치.
KR1020200030533A 2020-03-12 2020-03-12 차량 영상 촬영장치 KR102383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533A KR102383631B1 (ko) 2020-03-12 2020-03-12 차량 영상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533A KR102383631B1 (ko) 2020-03-12 2020-03-12 차량 영상 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153A true KR20210115153A (ko) 2021-09-27
KR102383631B1 KR102383631B1 (ko) 2022-04-07

Family

ID=77925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533A KR102383631B1 (ko) 2020-03-12 2020-03-12 차량 영상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63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6503A (ko) * 2008-06-04 2009-12-09 오형순 태양전지 패널의 경사각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043626B1 (ko) * 2010-02-03 2011-06-24 (주)보성전자 시시티브이 감시카메라 제어장치
KR101146583B1 (ko) * 2011-11-11 2012-05-16 아이티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주차장 내 차량 인식용 스마트 컴퓨터 카메라
KR20170034978A (ko) * 2015-09-21 2017-03-30 (주)운하 태양광 발전 장치
WO2018180954A1 (ja) * 2017-03-28 2018-10-0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生育調査画像作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024479B1 (ko) 2018-12-12 2019-09-23 한국도로공사 차량 영상촬영장치가 포함된 함체 및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6503A (ko) * 2008-06-04 2009-12-09 오형순 태양전지 패널의 경사각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043626B1 (ko) * 2010-02-03 2011-06-24 (주)보성전자 시시티브이 감시카메라 제어장치
KR101146583B1 (ko) * 2011-11-11 2012-05-16 아이티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주차장 내 차량 인식용 스마트 컴퓨터 카메라
KR20170034978A (ko) * 2015-09-21 2017-03-30 (주)운하 태양광 발전 장치
WO2018180954A1 (ja) * 2017-03-28 2018-10-0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生育調査画像作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024479B1 (ko) 2018-12-12 2019-09-23 한국도로공사 차량 영상촬영장치가 포함된 함체 및 통행료 전자지불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631B1 (ko) 2022-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695B1 (ko) 차량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286174B1 (ko) 운전 지원 장치 및 운전 지원 방법
US7226173B2 (en) Projector with a plurality of cameras
US20170064165A1 (en) Vehicle-mounted camer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vehicle-mounted camera
KR101691312B1 (ko) 주차지역 안내 방법 및 시스템
US11380130B2 (en) Face authentication device having database with small storage capacity
KR102383631B1 (ko) 차량 영상 촬영장치
CN104917957A (zh) 用于控制摄像机成像的设备及其系统
KR20190093301A (ko) 차량용 레이더의 오차 보정 방법 및 시스템
US9197819B2 (en) Exposure-suppressing imaging system
KR102368927B1 (ko) 과속방지턱에 의한 빛 공해를 차단할 수 있는 전조등제어장치 및 전조등제어방법
US8531589B2 (en)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pickup method
KR102092936B1 (ko) 레이더를 이용한 무인 교통단속시스템 및 방법
KR102482341B1 (ko) 차량 단속영역좌표 자동 보정 시스템
JP2009146259A (ja) 車両ナンバー撮影システム、車両ナンバー撮影方法
KR101268321B1 (ko) 초점조절 장치가 구비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번호인식 시스템
KR101881321B1 (ko) 다중 이진화 영상인식 기반 주차위치확인 및 주차유도 관제시스템
JP2000013782A (ja) エプロン監視方法及びその装置
KR20210025855A (ko) 야간에 저속도 차량에 대한 차량번호 판별장치
KR102655684B1 (ko) 인공지능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 요금관리 시스템
KR102664120B1 (ko) 차량의 조도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JP7038522B2 (ja) 車軸画像生成装置、車軸画像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399093B (zh) 闸机及其控制方法
KR20180047339A (ko) 물체감지장치 및 차량제어방법
KR102379866B1 (ko) 무인 비행체 및 무인 비행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