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321B1 - 초점조절 장치가 구비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번호인식 시스템 - Google Patents

초점조절 장치가 구비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번호인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8321B1
KR101268321B1 KR1020120048558A KR20120048558A KR101268321B1 KR 101268321 B1 KR101268321 B1 KR 101268321B1 KR 1020120048558 A KR1020120048558 A KR 1020120048558A KR 20120048558 A KR20120048558 A KR 20120048558A KR 101268321 B1 KR101268321 B1 KR 101268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alue
brightness value
external terminal
aper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면
Original Assignee
(주)토마토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마토전자 filed Critical (주)토마토전자
Priority to KR1020120048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8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8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8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36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image sharpness techniques, e.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generating autofocus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점조절이 수동식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렌즈를 하드웨어적으로 제어하여 자동으로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카메라와, 이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의 밝기값을 검출한 후 검출된 밝기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에 근접하도록 조리개가 자동 조절되며, 기 설정된 초점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초점거리값이 산출되어 자동 조절됨으로써 최적의 환경에서 카메라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차량번호 인식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기 설치된 카메라렌즈에 연동이 가능하여 교체 및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번호인식 인식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초점조절 장치가 구비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번호인식 시스템{A camera with focus adjusting device and recognizing system of car number therewith}
본 발명은 초점조절 장치가 구비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번호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초점조절이 수동식으로 이루어지는 카메라렌즈를 하드웨어적으로 제어하여 자동으로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카메라와, 이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의 밝기값을 검출한 후 검출된 밝기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에 근접하도록 조리개가 자동 조절되며, 기 설정된 초점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초점거리값이 산출되어 자동 조절됨으로써 최적의 환경에서 카메라의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차량번호 인식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기 설치된 카메라렌즈에 연동이 가능하여 교체 및 설치비용이 절감되는 번호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번호인식 장치는 통상적으로 도로, 주차장 및 건물출입구 등에 설치되어 통과차량을 촬영하여 획득된 영상을 통해 통과차량의 차량번호를 검출하는 장치이다. 특히 도로 단속시스템, 교통정보 수집시스템 및 주차시스템들이 점차 자동화됨에 따라 차량번호인식 장치의 사용 분야 또한 점차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차량번호인식 장치는 촬영영역의 조도, 기상조건 및 차량이동과 같은 다양한 환경 속에서 얼마나 차량번호를 정확하게 인식하는지에 따라 성능이 결정되고, 이에 따라 번호인식 알고리즘, 조리개 제어 기술 및 조리개 제어 및 초점 제어 등과 같이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번호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번호 인식률을 높이는 가장 큰 해결책은 고해상도의 카메라 또는 카메라렌즈를 사용하는 것이나 이러한 고해상도의 카메라 및 렌즈는 고가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다방면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번호인식 장치에 적용하기 어려운 한계점을 갖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종래의 차량번호인식 장치에는 차량번호인식이 가능하면서도 저가인 오토 아이리스 버리컬 렌즈(Auto Iris Varical Lens, AIV 렌즈라고 하기로 함)가 사용되고 있다. 이때 종래의 AIV 렌즈는 조리개는 자동식으로 지원되나, 초점거리는 수동식이기 때문에 초점거리를 맞추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직접 초점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구동되고 있다.
도 1의 (a)는 종래의 AIV 렌즈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b)는 (a)의 측면도이다.
도 1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AIV 렌즈(100)는 카메라바디(105)의 전면에 설치되며, 빛을 받아들여 피사체의 이미지를 입력받는 광학장치이다.
또한 종래의 AIV 렌즈(10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렌즈(미도시)들이 설치되는 경통(101)과, 경통(101) 내부에 설치되어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렌즈들의 거리를 조절시켜 선명한 피사체의 이미지가 결상면에 투영될 수 있도록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거리개링(10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거리개링(103)에 의하여 초점거리가 조절되는 방법 및 구성은 카메라 렌즈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경통(101)의 외면에는 외주연을 따라 일정길이의 홈(111)이 형성된다.
또한 거리개링(103)은 외주연에 외주연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레버(131)가 형성되고, 돌출레버(131)는 경통(101)의 홈(111)을 관통하여 단부가 경통(101)의 외주연으로부터 돌출되게 된다.
이때 거리개링(103)이 홈(111) 내부에서 외주연을 따라 일측으로 눌려지면 렌즈들이 조작되어 초점거리가 원거리로 형성되고, 타측으로 눌려지면 렌즈들이 조작되어 초점거리가 단거리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거리개링(103)의 돌출레버(131)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피사체와의 거리에 적합한 초점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AIV 렌즈(100)는 카메라 초점이 수동식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카메라 초점이 맞지 않을 때 관리자가 직접 카메라 소자에 투영되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눈으로 확인하여 수동으로 거리개링(103)의 돌출레버(131)를 조작하여 카메라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동식 초점조절 방식은 사람의 눈을 통해 초점을 확인하고, 사람이 직접 돌출레버(131)를 조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초점조절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AIV 렌즈(100)는 초점조절을 위해 관리자가 직접 현장을 방문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자동 초점조절 기능이 구비되는 고가의 카메라렌즈를 설치할 경우 설치비용이 현저하게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AIV 렌즈(100)를 이용한 번호인식 시스템에서 차량번호가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해서는 영상과의 초점이 정확하게 조준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적정한 광량이 렌즈로 입사되어야 한다. 이때 종래의 AIV 렌즈(100)는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초점조절을 수동식으로 지원되나 렌즈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는 자동식으로 지원된다.
이에 따라 조리개를 조절하여 최적의 밝기값의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번호인식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도 2는 국내등록특허 제10-0247660호(명칭 : 디지털 카메라의 자동 조리개 조절 회로)에 기재된 자동 조리개 조절 회로도이다.
자동 조리개 조절 회로도(200)는 촬상영역 내의 피사체의 윈도우를 결정하는 윈도우 설정 데이터와 기준밝기 데이터를 발생하는 로컬 컴퓨터(201)와, 윈도우 설정 데이터의 영역에 위치된 영상신호 밝기의 평균값을 추출하며 상기 평균값과 임의로 설정된 기준밝기값을 비교하여 그 차이값에 따라 조리개의 개폐에 의한 제어데이터를 발생하는 조리개 제어부(210)와, 조리개 제어부(2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데이터를 기반으로 조리개 모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220)로 이루어진다.
또한 조리개 제어부(210)는 영상신호 중 로컬 컴퓨터(201)로부터 출력되는 윈도우 설정 데이터의 영역에 위치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평균값을 연산하는 윈도우 평균기(211)와, 윈도우 평균값과 로컬 컴퓨터(201)로부터의 기준밝기 값을 비교하여 그 비교차에 따라 제어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조리개 제어기(213)로 이루어진다.
즉 도 2의 자동 조리개 조절 회로도(200)는 기 설정된 윈도우 영역의 영상신호의 밝기 평균값을 산출한 후 평균값과 기준밝기값의 차이에 따라 발생되는 제어데이터를 기반으로 조리개가 조절됨으로써 시간대, 날씨 등과 같은 주변환경에 대응하여 최적의 밝기로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차량번호 인식률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자동 조리개 조절 회로도(200)는 차량번호 인식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차량번호판 영역에 대한 밝기값을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번호판 영역과는 무관한 전체 윈도우 영역에 대한 밝기값을 검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제어데이터를 발생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특히 차량번호판 영역이 특정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또는 다른 물체에 의해 그림자를 형성하는 등과 같이 변수가 발생되는 경우 도 2의 자동 조리개 조절 회로도(200)는 이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차량번호 인식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 설치된 AIV 렌즈에 연동되어 초점조절을 원격에서 제어함으로써 교체 및 설치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초점조절 작업이 외부 단말기를 통해 간단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수동식 카메라렌즈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차량번호인식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수단은 차량이 촬영될 때 차량번호판이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위치값(픽셀값)을 기 설정하여 저장하며, 기 설정된 영역의 밝기값을 기반으로 조리개 제어데이터를 생성하여 실질적으로 차량번호 인식에 적용되는 영역에 대한 밝기값을 조절함으로써 효율성 및 번호인식률이 높은 차량번호인식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연에 상기 외주연을 따라 홈이 형성되는 경통과, 상기 경통 내부에 설치되는 렌즈들과, 상기 경통 내부에 설치되어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렌즈들을 제어하여 초점거리를 조절시키는 거리개링과, 일단부는 상기 거리개링에 연결되되 타단부가 상기 경통의 홈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레버로 구성되어 초점거리 조절이 수동식으로 이루어지는 오토 아이리스 버리컬 렌즈(Auto Iris Varical Lens, 이하, AIV 렌즈라고 하기로 함)의 상기 돌출레버를 조절하는 초점거리 조절수단에 있어서: 전면이 개구되되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AIV 렌즈가 상기 전면을 향하여 설치되는 함체; 중앙에 홈이 형성되는 판재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함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지지판;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모터;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를 관통하되 일단부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몸체 외부로 돌출되는 회전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축이 상기 지지판의 홈을 관통하도록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설치되는 연결부재; 상기 지지판의 타면에 설치되되 상기 지지판의 홈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은 길이를 갖는 판재로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 인접되는 지점에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에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타측 단부에 인접되는 지점을 향해 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AIV 렌즈의 상기 돌출레버가 상기 삽입홈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돌출레버가 상기 경통의 외주연을 따라 최대로 회전될 때 상기 돌출레버가 상기 삽입홈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되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에 연결되는 타측면에 삽입공들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베벨기어; 일단부는 상기 베벨기어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몸체의 일측면의 삽입공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 회전축; 일단부는 상기 베벨기어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몸체의 타측면의 삽입공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판의 홈과 상기 회전판의 삽입공을 관통하는 제2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가 회전되면 회전운동은 상기 제1 회전축, 상기 베벨기어 및 상기 제2 회전축으로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수단은 차량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기 설정된 촬영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며, 조리개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하는 조리개모터를 포함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로부터 상기 영상정보를 전송받으며, 전송받은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검출하는 외부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단말기는 차량번호 인식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영상의 밝기값인 기준밝기값과, 상기 기준밝기값의 오차값인 제1 설정값(TH1:Threshold1)과, 기 설정된 단위 밝기값 대비 조리개제어값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부; 상기 영상정보의 히스토그램(Histogram)을 검출한 후 검출된 상기 히스토그램을 기반으로 상기 영상정보의 밝기값을 검출하는 밝기값 검출부; 상기 밝기값 검출부에서 검출된 밝기값을 상기 기준밝기값에서 차감하여 차이값을 산출하는 차이값 산출부; 상기 차이값을 상기 제1 설정값(TH1)에 비교하여 상기 차이값이 상기 제1 설정값(TH1)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조리개제어 판단부; 상기 조리개제어 판단부에서 상기 차이값이 상기 제1 설정값 이상일 때 구동되며, 상기 단위 밝기값 대비 조리개제어값을 기반으로 상기 차이값에 대응되는 조리개제어값을 생성하는 조리개제어값 생성부; 상기 조리개제어 판단부에서 상기 차이값이 상기 제1 설정값 미만일 대 구동되어 기 설정된 번호인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영상정보 내에서 차량번호를 검출하는 차량번호 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단말기는 상기 조리개제어값이 생성되면 상기 촬영부로 상기 조리개제어값을 전송하고, 상기 촬영부는 전송받은 상기 조리개제어값에 따라 상기 조리개모터를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단말기는 영상 내에서 차량번호판이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인 차량번호판 영역의 위치값을 기 설정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더 저장하고, 상기 밝기값 검출부는 상기 촬영부로부터 상기 영상정보를 전송받으면 상기 차량번호판 영역의 위치값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번호판 영역을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추출한 후 추출된 상기 차량번호판 영역의 밝기값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촬영부는 조명을 출력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단말기는 조명출력 여부에 대한 기준값인 최소 밝기값인 기 설정된 제2 설정값(TH2:Threshold2)을 더 저장하고, 상기 밝기값 검출부에서 밝기값이 검출되면 상기 밝기값을 상기 제2 설정값(TH2)에 비교하여 만약 상기 밝기값이 상기 제2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촬영부로 조명출력을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촬영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연에 상기 외주연을 따라 홈이 형성되는 경통과, 상기 경통 내부에 설치되는 렌즈들과, 상기 경통 내부에 설치되어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렌즈들을 제어하여 초점거리를 조절시키는 거리개링과, 일단부는 상기 거리개링에 연결되되 타단부가 상기 경통의 홈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레버로 구성되어 초점거리 조절이 수동식으로 이루어지는 오토 아이리스 버리컬 렌즈(Auto Iris Varical Lens, 이하, AIV 렌즈라고 하기로 함); 상기 AIV 렌즈의 후면에 설치되어 카메라 촬영을 제어하는 카메라바디; 전면이 개구되되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AIV 렌즈가 상기 전면을 향하여 설치되는 함체; 중앙에 홈이 형성되는 판재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함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지지판; 상기 함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돌출레버를 조절하는 초점거리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초점거리 조절수단은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모터; 내부 공간을 갖는 함체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를 관통하되 일단부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몸체 외부로 돌출되는 회전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축이 상기 지지판의 홈을 관통하도록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설치되는 연결부재; 상기 지지판의 타면에 설치되되 상기 지지판의 홈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은 길이를 갖는 판재로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 인접되는 지점에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에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타측 단부에 인접되는 지점을 향해 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AIV 렌즈의 상기 돌출레버가 상기 삽입홈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외부단말기는 기 설정된 초점거리 검출 알고리즘에 따라 초점거리를 검출하는 초점거리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는 상기 외부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초점거리값에 따라 상기 모터를 회전시켜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초점조절이 자동으로 외부단말기를 통해 제어될 뿐만 아니라 기 설치된 AIV 렌즈에 연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교체 및 설치 작업이 간단하고, 비용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초점자동 조절이 구동됨으로써 차량번호인식률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촬영 시 차량번호판이 위치하는 영역에 대한 위치값을 기 설정하여 저장하며,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밝기값을 기반으로 조리개를 밀폐 및 개방시키는 조리개 제어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번호인식률 및 효율성이 증가하게 된다.
도 1의 (a)는 종래의 AIV 렌즈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b)는 (a)의 측면도이다.
도 2는 국내등록특허 제10-0247660호(명칭 : 디지털 카메라의 자동 조리개 조절 회로)에 기재된 자동 조리개 조절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번호인식 시스템을 나타내는 관계도이다.
도 4는 도 3의 차량촬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도 5는 도 4의 초점제어부를 나타내는 조립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초점제어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회전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의 외부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번호인식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번호인식 시스템을 나타내는 관계도이다.
도 3의 번호인식 시스템(1)은 기 설정된 감지영역을 통과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2)와, 센서부(2)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으면 기 설정된 촬영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차량촬영부(3)와, 차량촬영부(3)와 통신망(4)으로 연결되어 차량촬영부(3)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탑재된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시키는 외부단말기(5)로 이루어진다. 이때 외부단말기(5)는 데스크탑(Desktop), 노트북(Notebook), PDP(Plasma Display Pan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2)는 감지영역으로 차량통과가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며, 발생된 감지신호를 차량촬영부(3)로 전송한다. 이때 센서부(2)는 광센서, 적외선센서, 도플러(Doffler) 센서 등과 같이 차량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 중의 하나로 구성될 수 있고, 특히 도로에 매립되어 차량이 통과하면 루프코일 신호를 발생시키는 루프코일 센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촬영부(3)는 기 설정된 촬영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센서부(2)로부터 감지신호를 전송받으면 카메라를 구동시켜 통과차량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촬영은 초당 20프레임(Frame)의 속도로 이루어진다.
또한 차량촬영부(3)는 외부단말기(5)로부터 조리개 및 초점거리 제어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조리개 제어데이터를 기반으로 조리개를 조절하며, 전송받은 초점거리 제어데이터를 기반으로 초점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외부단말기(5)에서 결정하는 최적의 환경(입사광량 및 초점거리)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차량촬영부(3)는 공지된 PID(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제어 방법을 이용하여 기준밝기에 대응되는 밝기값의 영상이 획득되도록 조리개를 제어한다.
또한 차량촬영부(3)는 하나의 영상정보가 획득되면 획득된 영상정보를 외부단말기(5)로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외부단말기(5)는 차량촬영부(3)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기 설정된 번호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촬영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검출하는 단말기이다.
또한 외부단말기(5)는 차량촬영부(3)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최적의 환경에 적합하도록 조리개 및 초점거리 제어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조리개 및 제어데이터를 차량촬영부(3)로 전송하고, 차량촬영부(3)는 전송받은 제어데이터 만큼 조리개 및 초점거리를 조절하여 최적의 환경에서 촬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외부단말기(5)는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여 차량촬영부(3)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정보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한다.
외부단말기(5)는 차량이 주행할 때 차량번호판 영역이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인 차량번호판 영역의 위치값들을 기 설정하여 저장하며, 차량번호 인식에 가장 적합한 밝기값인 기준밝기값을 기 설정하여 저장한다.
즉 외부단말기(5)는 차량촬영부(3)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정보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할 때 기 설정된 차량번호판 영역의 위치값을 이용하여 전시되는 영상의 차량번호판 영역을 별도의 알고리즘 없이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단말기(5)는 차량번호판 영역을 추출하면 추출된 차량번호판 영역의 히스토그램(Histogram)을 이용하여 추출된 차량번호판 영역의 밝기값을 검출한다. 이때 외부단말기(5)기 신호영상으로부터 밝기값을 검출하는 기술은 번호인식 알고리즘 및 시스템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외부단말기(5)는 기 설정된 기준밝기값에서 검출된 차량번호판 영역의 밝기값을 차감한 차이값을 산출한다.
또한 외부단말기(5)는 기 설정된 단위 밝기값 대비 조리개 제어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된 차이값에 대응되는 조리개 제어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조리개 제어데이터를 차량촬영부(3)로 전송한다.
또한 외부단말기(5)는 초점제어부(35)의 회전판(380)의 회전랸 및 방향을 결정하는 초점 제어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초점 제어데이터를 차량촬영부(3)로 전송한다.
또한 외부단말기(5)는 기 설정된 자동초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초점거리 제어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초점거리 제어데이터를 차량촬영부(3)로 전송한다. 이때 자동초점 알고리즘은 카메라 및 렌즈에 있어서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차량촬영부(3)는 외부단말기(5)로부터 전송받은 초점 제어데이터에 따라 초점을 조절한다.
도 4는 도 3의 차량촬영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의 차량촬영부(3)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함체(31)와, 함체(3) 내부에 설치되어 빛을 출력하는 조명부(33)와,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카메라바디(105)와, 카메라바디(105)의 전면에 설치되어 피사체의 이미지를 입력받는 도 1의 AIV 렌즈(100)와, 함체(31) 내부에 설치되되 AIV 렌즈(100)로부터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AIV 렌즈(100)의 거리개링(103)의 돌출레버(131)를 하드웨어적으로 제어하는 초점제어부(35)와, 상기 구성부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기소자들이 설치되는 회로기판(37)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함체(31)는 일면이 개구되고, 카메라바디(105) 및 AIV 렌즈(100)들은 함체(31)의 개구된 일면을 향하도록 일체로 결합된다.
도 5는 도 4의 초점제어부를 나타내는 조립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초점제어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의 초점제어부(35)는 카메라바디(105)를 고정하는 함체(31)의 고정판(39)에 결합되어 AIV 렌즈(100)로부터 상부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거리개링(103)의 돌출레버(131)를 회전시키는 장치이다.
또한 초점제어부(35)는 중앙에 홈(351)을 갖으며 양단부가 함체(31)의 고정판(39)에 결합되는 지지판(350)과,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판(350)의 일면에 설치되는 연결부재(360)와, 연결부재(360)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모터(370)와, 상기 연결부재(360)의 제2 회전축(369)에 결합되는 회전판(380)으로 이루어진다.
도 7은 도 5의 연결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연결부재(36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되 일측면과 일측면에 연결되는 타측면에 삽입공(362), (363)들이 형성되는 몸체(361)와, 몸체(361)는 직육면체 형상의 몸체(361)와, 몸체(361) 내부에 설치되는 베벨기어(366), (368)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는 몸체(36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삽입공(364)에 일체로 연결되며 타측에는 제1 기어(366)에 연결되는 제1 회전축(367)과,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는 몸체(361)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삽입공(363)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며 타단부는 제1 기어(366)에 베벨 기어방식으로 결합되는 제2 기어(368)에 연결되는 제2 회전축(369)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연결부재(360)의 일측면의 삽입공(364)으로는 모터(370)의 회전축이 삽입하게 되고, 삽입된 모터(370)의 회전축은 연결부재(360)의 제1 회전축(367)과 결합하게 된다. 이때 모터(370)의 회전축과 제1 회전축(367)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납땜이나 볼트체결 등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모터(370)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회전운동은 모터(370)의 회전축 -> 제1 회전축(367) -> 제1 기어(366) -> 제2 기어(368) -> 제2 회전축(369)을 통해 이동되어 모터(370)가 회전되면 제2 회전축(369)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연결부재(360)는 타측면이 지지판(350)의 일면에 대접되도록 지지판(350)의 일면에 결합되되 몸체(361)로부터 돌출되는 제2 회전축(368)이 지지판(350)의 홈(351)을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되도록 지지판(350)에 결합된다.
도 8은 도 5의 회전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회전판(38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를 갖는 판재로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 인접되는 지점에 상기 제2 회전축(369)이 관통되는 삽입공(381)이 형성된다. 이때 삽입공(381)으로 연결부재(360)의 제2 회전축(369)이 관통되면 제2 회전축(369)은 회전판(380)에 납땜 및 볼트체결 등에 의해 결합된다. 즉 제2 회전축(369)이 회전되면 회전판(380)은 삽입공(38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회전판(380)은 삽입공(381)에 이격된 지점에 삽입홈(38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회전판(380)은 삽입홈(383)에 도 1의 AIV 렌즈(100)의 돌출레버(131)가 하부로부터 상부로 관통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회전판(380)이 제2 회전축(369)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 AIV 렌즈(100)의 돌출레버(131)는 회전판(380)의 삽입홈(383)에 의해 경통(101)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홈(11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초점거리가 조절하게 된다.
도 9는 도 3의 외부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의 외부단말기(5)는 차량촬영부(3) 및 센서부(2)의 데이터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부(52)와,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53)와, 통신부(52)를 통해 차량촬영부(3)로부터 전송받은 영상정보를 전시하는 디스플레이부(54)와, 영상이 전시되면 기 설정된 차량번호판 영역의 밝기값을 검출하는 밝기값 검출부(55)와, 밝기값 검출부(55)에서 검출된 밝기값이 조명 출력이 요구되는 최소 밝기값인 제1 설정값(TH1:Threshold1) 미만인지를 비교하여 밝기값이 제1 설정값 미만이면 조명 출력을 결정하는 조명 판단부(56)와, 조명 판단부(56)에서 밝기값이 제1 설정값(TH1) 이상일 때 구동되어 검출된 밝기값과 기 설정된 기준밝기값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차이값 산출부(57)와, 차이값 산출부(57)에서 산출된 차이값을 기 설정된 제2 설정값(TH2:Threshold 2)에 비교하여 차이값이 제2 설정값 이상이면 조리개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조리개제어 판단부(58)와, 조리개제어 판단부(58)에서 차이값이 제2 설정값(TH2) 이상일 때 구동되어 기 설정된 단위 밝기값 대비 조리개 제어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된 차이값에 대응되는 조리개 제어데이터를 생성하는 조리개제어값 생성부(59)와, 기 설정된 자동초점 알고리즘을 통해 초점거리를 검출하는 초점거리 검출부(60)와, 조리개제어 판단부(60)에서 차이값이 제2 설정값(TH2) 미만이므로 조리개를 조절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구동되어 기 설정된 번호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현재 영상정보의 차량번호를 검출하는 차량번호 인식부(61)와, 이들 제어대상(52), (53), (54), (55), (56), (57), (57), (58), (59), (60), (61)들을 제어하는 제어부(51)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외부단말기(5)가 조리개제어값 및 초점거리값을 검출하여 차량촬영부(3)를 제어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외부단말기(5)의 기능 및 구성은 차량촬영부(3)에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밝기값을 검출하여 조리개를 조절하는 구성이나 초점거리를 검출하는 구성이 외부단말기(5)의 장치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외부단말기(5)의 각 구성부(54), (55), (56), (57), (58), (59), (60), (61)들의 기능은 소프트웨어(Software) 및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제어부(51)는 차량촬영부(3)로부터 통신부(52)를 통해 영상정보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부(54)로 입력하여 모니터에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51)는 조리개제어값 생성부(59) 및 초점거리 검출부(60)에서 조리개제어값 및 초점거리값이 검출되면 통신부(52)를 제어하여 검출된 조리개제어값 및 초점거리값을 차량촬영부(3)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51)는 조명 판단부(56)에서 조명출력을 결정하면 조명요청 데이터를 생성하여 차량촬영부(3)로 전송한다. 이때 차량촬영부(3)는 외부단말기(5)로부터 조명요청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조명부(33)를 제어하여 조명이 출력되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부(53)에는 기 설정된 기준밝기값, 제1 설정값(TH1) 및 제2 설정값(TH2)들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53)에는 기 설정된 차량번호판 영역의 위치값들, 번호인식 알고리즘 및 자동초점 알고리즘들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53)에는 전송받은 영상정보와 차량번호 인식부(61)에서 검출된 차량번호정보들이 매칭되어 저장된다.
밝기값 검출부(55)는 영상이 전시되면 데이터베이스부(53)에 저장된 차량번호판 영역의 위치값들을 데이터베이스부(53)로부터 추출하며, 추출된 차량번호판 영역의 위치값을 통해 전시되는 영상정보로부터 차량번호판 영역을 독출한 후 독출된 차량번호판 영역에 해당되는 영상신호의 히스토그램(Histogram)을 기반으로 차량번호판 영역의 밝기값을 검출한다.
또한 밝기값 검출부(55)에 의해 검출된 밝기값은 제어부(51)의 제어에 따라 조명 판단부(56)로 입력된다.
조명 판단부(56)는 입력받은 밝기값을 기 설정된 제1 설정값(TH1)에 비교하여 밝기값이 제1 설정값(TH1) 미만이면 조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며 조명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조명출력 데이터를 제어부(51)로 입력한다. 이때 제어부(51)는 조명 판단부(56)로부터 조명출력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차량촬영부(3)로 조명을 요청한다.
또한 조명 판단부(56)는 밝기값이 제1 설정값(TH1) 이상이면 조명이 출력되지 않아도 된다고 판단하여 제어부(51)의 제어에 따라 입력받은 밝기값을 차이값 산출부(57)로 입력한다.
차이값 산출부(57)는 밝기값이 입력되면 데이터베이스부(53)에 저장된 기준밝기값에서 입력된 밝기값을 차감하여 차이값을 산출한다. 이때 차이값 산출부(57)에 의해 산출된 차이값은 제어부(51)의 제어에 따라 조리개제어 판단부(58)로 입력된다.
조리개제어 판단부(58)는 차이값산출부(57)로부터 입력받은 차이값을 기 설정된 제2 설정값(TH2)에 비교하며, 만약 차이값이 제2 설정값(TH2) 미만이면 조리개조절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만약 차이값이 제2 설정값(TH2) 이상이면 조리개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2 설정값(TH2)은 밝기값이 기준밝기값의 유효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임계값으로 정의된다.
또한 조리개제어 판단부(58)에 의해 차이값이 제2 설정값(TH2)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51)는 차량번호 인식부(61)를 제어하여 차량번호 인식부(61)가 현재 영상신호를 기반으로 차량번호를 검출하도록 하고, 조리개제어 판단부(58)에 의해 차이값이 제2 설정값(TH2)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제어부(51)는 차이값을 조리개제어값 생성부(59)로 입력한다.
조리개제어값 생성부(59)는 조리개제어 판단부(58)로부터 차이값을 입력받으면 데이터베이스부(53)에 기 저장된 단위 밝기값 대비 조리개 제어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부(53)로부터 추출하며, 추출된 단위 밝기값 대비 조리개 제어데이터를 기반으로 입력받은 차이값에 대응되는 조리개제어값을 생성한다. 이때 조리개제어값은 조리개의 밀폐 및 개방 정도를 나타내는 데이터이고, 차량촬영부(3)는 외부단말기(5)로부터 조리개제어값을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조리개제어값에 따라 조리개링(미도시)을 조절하여 촬영된 영상이 기준밝기값에 근접하도록 한다. 이때 외부단말기(5)와 차량촬영부(3)는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PID 제어를 통해 기준밝기값에 근접되도록 조리개링을 제어한다.
초점거리 검출부(60)는 영상이 전시되면 제어부(51)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며, 데이터베이스부(53)에 기 저장된 자동초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초점거리값을 검출한다. 이때 초점거리 검출부(60)는 검출된 초점거리값을 제어부(51)의 제어에 따라 차량촬영부(3)로 전송한다.
차량번호 인식부(61)는 조리개제어 판단부(58)에서 차이값이 제2 설정값(TH2) 미만이므로 조리개를 조절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구동되며, 기 설정된 번호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현재 영상신호를 통해 차량번호를 검출한다. 이때 차량번호 인식부(61)에서 차량번호가 검출되면 제어부(51)는 검출된 차량번호정보와 영상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부(53)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외부단말기(5)는 차량촬영부(3)로부터 영상정보를 전송받으면 해당 영상을 분석하여 조리개제어값 및 초점거리값을 생성 및 검출하여 차량촬영부(3)로 전송하고, 차량촬영부(3)는 입력받은 조리개제어값에 따라 조리개링을 조절하며, 초점거리값을 전송받으면 전술하였던 도 5의 초점제어부(51)가 AIV 렌즈의 거리개링(103)을 회전시켜 초점거리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최적의 여건에서 차량이 촬영되도록 한다.
또한 외부단말기(5)는 영상정보 상에서 차량번호판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영역을 기 설정하여 저장하며, 기 설정된 영역의 밝기값만을 이용하여 조리개를 제어함으로써 차량번호 인식률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번호인식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센서부(2)가 차량을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차량촬영부(3)로 전송한다(S10).
차량촬영부(3)는 기 설정된 촬영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촬영은 초당 20프레임의 속도로 진행되고, 획득된 영상정보는 실시간으로 외부단말기(5)로 전송된다(S20).
외부단말기(5)는 단계 20(S20)을 통해 전송받은 영상정보를 모니터에 전시시키며(S30), 기 설정된 차량번호판 영역의 밝기값을 검출한 후(S40) 밝기값이 제1 설정값(TH1)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이때 외부단말기(5)는 밝기값이 제1 설정값(TH1) 미만이면 단계 120(S120)을 수행하고, 밝기값이 제1 설정값(TH1) 이상이면 다음 단계(S60)를 수행한다(S50).
단계 50(S50)에서 밝기값이 제1 설정값(TH1) 이상일 때 진행되어 외부단말기(5)는 기 설정된 기준밝기값에서 단계 40(S40)을 통해 산출된 차이값을 차감한 차이값을 산출한다(S60).
또한 외부단말기(5)는 단계 60(S60)을 통해 산출된 차이값을 기 설정된 제2 설정값(TH2)에 비교하며, 만약 차이값이 제2 설정값(TH2) 미만이면 단계 100(S100)을 수행하고, 만약 차이값이 제2 설정값(TH2) 이상이면 다음 단계(S80)를 수행한다(S70).
단계 70(S70)을 통해 차이값이 제2 설정값(TH2) 이상일 때 구동되며, 외부단말기(5)가 기 저장된 단위 밝기값 대비 조리개 제어데이터를 기반으로 단계 60(S60)을 통해 산출된 차이값에 대응되는 조리개제어값을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조리개제어값은 차량촬영부(3)로 전송된다(S80).
차량촬영부(3)는 단계 80(S80)을 통해 전송받은 조리개제어값에 따라 조리개링을 조절한다(S90).
단계 70(S70) 이후에 수행되고, 외부단말기(5)는 초점자동 알고리즘을 통해 초점거리값을 검출한다. 이때 생성된 초점거리값은 제어부(51)의 제어에 따라 차량촬영부(3)로 전송된다(S100).
또한 차량촬영부(3)는 단계 100을 통해 전송받은 초점거리값에 따라 초점제어부(51)를 제어하여 초점을 맞춘다(S110).
단계 50(S50)에서 밝기값이 제1 설정값(TH1) 미만일 때 수행되고, 외부단말기(5)는 차량촬영부(3)로 조명출력을 요청한다(S120).
차량촬영부(3)는 단계 120(S120)을 통해 조명출력을 요청받으면 조명부(33)를 제어하여 조명을 출력시킨다(S130).

Claims (9)

  1.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연에 상기 외주연을 따라 홈이 형성되는 경통과, 상기 경통 내부에 설치되는 렌즈들과, 상기 경통 내부에 설치되어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렌즈들을 제어하여 초점거리를 조절시키는 거리개링과, 일단부는 상기 거리개링에 연결되되 타단부가 상기 경통의 홈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레버로 구성되어 초점거리 조절이 수동식으로 이루어지는 오토 아이리스 버리컬 렌즈(Auto Iris Varical Lens, 이하, AIV 렌즈라고 하기로 함)의 상기 돌출레버를 조절하는 초점거리 조절수단에 있어서:
    전면이 개구되되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AIV 렌즈가 상기 전면을 향하여 설치되는 함체;
    중앙에 홈이 형성되는 판재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함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지지판;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모터;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를 관통하되 일단부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몸체 외부로 돌출되는 회전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축이 상기 지지판의 홈을 관통하도록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설치되는 연결부재;
    상기 지지판의 타면에 설치되되 상기 지지판의 홈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은 길이를 갖는 판재로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 인접되는 지점에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에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타측 단부에 인접되는 지점을 향해 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AIV 렌즈의 상기 돌출레버가 상기 삽입홈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거리 조절수단.
  2. 청구항 1에서, 상기 돌출레버가 상기 경통의 외주연을 따라 최대로 회전될 때 상기 돌출레버가 상기 삽입홈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거리 조절수단.
  3. 청구항 1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되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에 연결되는 타측면에 삽입공들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베벨기어;
    일단부는 상기 베벨기어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몸체의 일측면의 삽입공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 회전축;
    일단부는 상기 베벨기어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몸체의 타측면의 삽입공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판의 홈과 상기 회전판의 삽입공을 관통하는 제2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가 회전되면 회전운동은 상기 제1 회전축, 상기 베벨기어 및 상기 제2 회전축의 순서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거리 조절수단.
  4. 차량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기 설정된 촬영영역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며, 조리개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하는 조리개모터를 포함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로부터 상기 영상정보를 전송받으며, 전송받은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검출하는 외부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단말기는
    차량번호 인식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영상의 밝기값인 기준밝기값과, 상기 기준밝기값의 오차값인 제1 설정값(TH1:Threshold1)과, 기 설정된 단위 밝기값 대비 조리개제어값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부;
    상기 영상정보의 히스토그램(Histogram)을 검출한 후 검출된 상기 히스토그램을 기반으로 상기 영상정보의 밝기값을 검출하는 밝기값 검출부;
    상기 밝기값 검출부에서 검출된 밝기값을 상기 기준밝기값에서 차감하여 차이값을 산출하는 차이값 산출부;
    상기 차이값을 상기 제1 설정값(TH1)에 비교하여 상기 차이값이 상기 제1 설정값(TH1)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조리개제어 판단부;
    상기 조리개제어 판단부에서 상기 차이값이 상기 제1 설정값 이상일 때 구동되며, 상기 단위 밝기값 대비 조리개제어값을 기반으로 상기 차이값에 대응되는 조리개제어값을 생성하는 조리개제어값 생성부;
    상기 조리개제어 판단부에서 상기 차이값이 상기 제1 설정값 미만일 대 구동되어 기 설정된 번호인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영상정보 내에서 차량번호를 검출하는 차량번호 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단말기는 상기 조리개제어값이 생성되면 상기 촬영부로 상기 조리개제어값을 전송하고, 상기 촬영부는 전송받은 상기 조리개제어값에 따라 상기 조리개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인식 시스템.
  5. 청구항 4에서, 상기 외부단말기는 영상 내에서 차량번호판이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인 차량번호판 영역의 위치값을 기 설정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더 저장하고,
    상기 밝기값 검출부는 상기 촬영부로부터 상기 영상정보를 전송받으면 상기 차량번호판 영역의 위치값을 이용하여 상기 차량번호판 영역을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추출한 후 추출된 상기 차량번호판 영역의 밝기값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인식 시스템.
  6. 청구항 4에서, 상기 촬영부는 조명을 출력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단말기는
    조명출력 여부에 대한 기준값인 최소 밝기값인 기 설정된 제2 설정값(TH2:Threshold2)을 더 저장하고,
    상기 밝기값 검출부에서 밝기값이 검출되면 상기 밝기값을 상기 제2 설정값(TH2)에 비교하여 만약 상기 밝기값이 상기 제2 설정값 미만이면 상기 촬영부로 조명출력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인식 시스템.
  7. 청구항 4에서, 상기 촬영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연에 상기 외주연을 따라 홈이 형성되는 경통과, 상기 경통 내부에 설치되는 렌즈들과, 상기 경통 내부에 설치되어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렌즈들을 제어하여 초점거리를 조절시키는 거리개링과, 일단부는 상기 거리개링에 연결되되 타단부가 상기 경통의 홈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레버로 구성되어 초점거리 조절이 수동식으로 이루어지는 오토 아이리스 버리컬 렌즈(Auto Iris Varical Lens, 이하, AIV 렌즈라고 하기로 함);
    상기 AIV 렌즈의 후면에 설치되어 카메라 촬영을 제어하는 카메라바디;
    전면이 개구되되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AIV 렌즈가 상기 전면을 향하여 설치되는 함체;
    중앙에 홈이 형성되는 판재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함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지지판;
    상기 함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돌출레버를 조절하는 초점거리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인식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초점거리 조절수단은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모터;
    내부 공간을 갖는 함체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를 관통하되 일단부는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몸체 외부로 돌출되는 회전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축이 상기 지지판의 홈을 관통하도록 상기 지지판의 일면에 설치되는 연결부재;
    상기 지지판의 타면에 설치되되 상기 지지판의 홈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은 길이를 갖는 판재로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 인접되는 지점에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에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타측 단부에 인접되는 지점을 향해 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AIV 렌즈의 상기 돌출레버가 상기 삽입홈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인식 시스템.
  9. 청구항 8에서, 상기 외부단말기는 기 설정된 초점거리 검출 알고리즘에 따라 초점거리를 검출하는 초점거리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는 상기 외부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초점거리값에 따라 상기 모터를 회전시켜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인식 시스템.
KR1020120048558A 2012-05-08 2012-05-08 초점조절 장치가 구비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번호인식 시스템 KR101268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558A KR101268321B1 (ko) 2012-05-08 2012-05-08 초점조절 장치가 구비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번호인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558A KR101268321B1 (ko) 2012-05-08 2012-05-08 초점조절 장치가 구비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번호인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8321B1 true KR101268321B1 (ko) 2013-05-30

Family

ID=4866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558A KR101268321B1 (ko) 2012-05-08 2012-05-08 초점조절 장치가 구비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번호인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83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7800A (zh) * 2020-01-08 2020-06-23 深圳深知未来智能有限公司 一种适应复杂光照环境的全天候车载视觉系统及方法
WO2022076481A1 (en) * 2020-10-05 2022-04-14 Pied Parker, Inc. Dynamic image-based parking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011B1 (ko) 2010-10-07 2011-02-23 주식회사 하나씨엔에스 차량 번호인식 방범 cctv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011B1 (ko) 2010-10-07 2011-02-23 주식회사 하나씨엔에스 차량 번호인식 방범 cctv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27800A (zh) * 2020-01-08 2020-06-23 深圳深知未来智能有限公司 一种适应复杂光照环境的全天候车载视觉系统及方法
CN111327800B (zh) * 2020-01-08 2022-02-01 深圳深知未来智能有限公司 一种适应复杂光照环境的全天候车载视觉系统及方法
WO2022076481A1 (en) * 2020-10-05 2022-04-14 Pied Parker, Inc. Dynamic image-based parking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9042B2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US20170061210A1 (en) Infrared lamp control for use with iris recognition authentication
KR100869998B1 (ko) 원거리 홍채 영상 획득 시스템
KR100977499B1 (ko) 거울의 패닝과 틸팅을 이용한 원거리 홍채 영상 획득시스템
WO2020078440A1 (zh) 采集高清晰度面部图像的装置和摄像头云台自动俯仰调节的方法
US11190698B2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9936112B2 (en) Monitoring camera
US20080100721A1 (en) Method of detecting specific object region and digital camera
KR101625538B1 (ko) 도시방범이 가능한 다차선 자동차 번호판 인식시스템
CN109714533B (zh) 电子设备
CN109451233B (zh) 一种采集高清晰度面部图像的装置
JP2021033189A (ja) 制御装置、撮像装置、レン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9485407B2 (en) Method of capturing images and obtaining information of the images
CN105763860A (zh) 一种能识别前方障碍物并修正输出投影画面的控制方法
EP2725781A1 (en) Method of setting focus of a digital video camera and a digital video camera doing the same
JP2011109630A (ja) カメラ装置用雲台
KR101268321B1 (ko) 초점조절 장치가 구비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번호인식 시스템
KR20110114096A (ko) 열상 카메라를 채용하는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야간 감시 방법
KR100958352B1 (ko)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통한 감시 방법
KR102482341B1 (ko) 차량 단속영역좌표 자동 보정 시스템
JPH0447773A (ja) 撮像装置
KR101471187B1 (ko) 카메라 이동 제어 시스템 및 이동 제어 방법
KR100744804B1 (ko) 호환성을 향상시킨 적외선 조명장치
CN220085063U (zh) 一种双目雷视一体机装置
WO2023106118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