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464B1 - 자외선 및 청색광 차단 수성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자외선 및 청색광 차단 수성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464B1
KR102024464B1 KR1020180031630A KR20180031630A KR102024464B1 KR 102024464 B1 KR102024464 B1 KR 102024464B1 KR 1020180031630 A KR1020180031630 A KR 1020180031630A KR 20180031630 A KR20180031630 A KR 20180031630A KR 102024464 B1 KR102024464 B1 KR 102024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 light
absorbing dye
formula
ultraviolet
d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승호
전시영
최창현
서초현
Original Assignee
문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승호 filed Critical 문승호
Priority to KR1020180031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2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ix 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흡수 염료, 청색광 흡수 염료, 컬러용 유기 염료 및 아크릴 수지 중합이 가능한 모노머를 유화중합하여 제조된 자외선 및 청색광 차단 수성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외선 흡수 염료와 청색광 흡수 염료는 모노머에 대한 용해도가 우수한 나프탈이미드계 염료인 것이 바람직하며, 내광성, 색선명도, 저장안정성이 뛰어나 화장품이나 물감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자외선 및 청색광 차단 수성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ltraviolet and blue light blocking aqueous emulsion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외선 및 청색광 차단 수성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 흡수 염료와 청색광 흡수 염료를 유화 중합 과정에 도입함으로써 내광성, 색선명도, 저장안정성이 뛰어나 화장품이나 수성 아크릴 물감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수성 컬러 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화장품을 비롯한 착색 재료 시장의 급성장과 함께 이들 기초 원료에 대한 안정성 및 다양한 기능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컬러감이 뛰어난 수용성 착색 바인더 개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색조 화장품은 전체 화장품 시장의 17% 수준을 차지하는 큰 시장규모를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착색 화장품의 경우 유성 바인더를 기초로 유색 안료를 분산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유성 바인더의 특성상 피부가 약한 아동, 노약자 및 여성에게 피부 부작용 일으킬 수 있는 잠재적 위험요소가 되고 있다. 한편 페이스 페인트 등과 같이 특수한 분야의 경우 수성 제품이 출시되어 있지만 중금속이 검출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공개특허 제2006-0066744호에는 평균분자량이 10,000 이상 40,000 이하이며 유리전이온도가 50 ~ 80 ℃인 네일 에나멜용 수성 분산체 및 수성 네일 에나멜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12-0039080호에는 유리전이온도가 -5 ~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방법들은 화장품용 수지 자체에 한정되어 있고 이러한 기술로 만들어진 수성 수지에 착색 안료가 수분산되어 있는 컬러 토너를 단순 혼합해서 최종 제품을 제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경우 원래의 염료가 가지고 있는 색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착색 안료의 분산성을 개선하기 위해 분산제를 추가로 투입해야 한다. 또한 시간이 경과하면서 착색 안료의 응집 등이 발생해서 최종 제품의 저장 안정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안료 대신 형광 염료 등을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유기 염료들은 일반 염료에 비해 색발현성은 뛰어나지만 빛에 의한 안정성 즉, 내광성(Light Fastness)는 매우 떨어진다. 착색 화장품의 경우 옥외에서 태양광 및 자외선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내광성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자외선뿐만 아니라 청색광을 차단할 수 있는 화장품으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17-0003391호에는 옥분말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통상의 자외선 차단제들은 400nm 이전까지의 파장만 차단하므로 청색광 영역인 400 ~ 500nm 영역은 차단할 수 없기 때문에 눈의 피로감 유발이나 망막의 기능저하 뿐만 아니라 피부손상에도 영향을 끼친다고 알려져 있는 청색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자외선 및 청색광은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색조 화장품 등에 함유되어 있는 염료의 안정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며 이러한 짧은 파장의 빛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색이 변색되고 원래의 색감이 저하되는 등 제품의 품질이 나빠지게 된다.
아직까지는 자외선 및 청색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수성 컬러 에멀젼이 개발되지 않았으며, 특히 에멀젼이 충분한 차단효과를 가지기 위해서는 자외선 흡수 염료 및 청색광 흡수 염료가 모노머 및 폴리머에 대한 높은 용해도를 가져야 하는데 이러한 염료의 합성 방법 또한 구체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6674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3908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03391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내광성, 색선명도 및 저장안정성이 뛰어나면서, 자외선과 청색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수성 컬러 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자외선 흡수 염료, b) 청색광 흡수 염료, c) 컬러용 유기 염료 및 d) 아크릴 수지 중합이 가능한 모노머를 유화중합하여 제조된 자외선 및 청색광 차단 수성 에멀젼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a) 자외선 흡수 염료와 b) 청색광 흡수 염료는 모노머에 대한 용해도가 우수한 나프탈이미드계 염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i) 자외선 흡수 염료, 청색광 흡수 염료, 컬러용 유기 염료 및 아크릴 수지 중합이 가능한 모노머를 혼합하여 프리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및 ii) 상기 프리에멀젼에 중합개시제를 첨가하여 중합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외선 및 청색광 차단 수성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수성 에멀젼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 염료, 청색광 흡수 염료 및 컬러용 유기 염료를 유화중합 중에 투입하여 완전히 용해되기 때문에 컬러의 선명도는 유지되면서 응집, 마이그레이션(migration) 등의 문제는 전혀 발생되지 않는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화장품이나 물감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합성예 및 비교예에 따른 염료의 자외선 및 청색광 영역에서의 투과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수성 에멀젼을 이용하여 형성된 도막의 투과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및 청색광 차단 수성 에멀젼 조성물은 a) 자외선 흡수 염료, b) 청색광 흡수 염료, c) 컬러용 유기 염료 및 d) 아크릴 수지 중합이 가능한 모노머를 유화중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a) 자외선 흡수 염료와 b) 청색광 흡수 염료는 모노머에 대한 용해도가 우수하며, 자외선과 청색광 차단 효과가 뛰어난 나프탈이미드계 염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a) 자외선 흡수 염료의 예시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나프탈이미드계 염료를 들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27368795-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의 알킬기, C6 내지 C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치환된"은 작용기 중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24의 사이클로알킬기, 탄소수 1 내지 24의 알콕시기, 시아노기, 할로겐기, 탄소수 6 내지 24의 아릴기, 탄소수 2 내지 24의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6 내지 24의 아릴옥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된 것임)
또한,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b) 청색광 흡수 염료의 예시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나프탈이미드계 염료를 들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8027368795-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3, R4, R5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의 알킬기, C6 내지 C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치환된"은 작용기 중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24의 사이클로알킬기, 탄소수 1 내지 24의 알콕시기, 시아노기, 할로겐기, 탄소수 6 내지 24의 아릴기, 탄소수 2 내지 24의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6 내지 24의 아릴옥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된 것임)
일반적으로 나프탈이미드계 염료는 400nm 전후하여 빛을 흡수하는 염료로 알려져 있는데 치환기의 종류에 따라서 흡수 영역이 달라지고 모노머에 대한 용해도가 변화하는 등 다양한 특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나프탈이미드계 염료의 경우 파장 범위가 360 nm 내지 400 nm인 빛을 흡수하는 반면 상기 [화학식 2] 로 표현되는 나프탈이미드계 염료의 경우 파장 범위가 400 nm 내지 450 nm인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 로 표현되는 두 종류의 나프탈이미드계 염료들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 일반적인 아크릴 모노머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우수하다는 것도 발견하였다. 염료의 용해도가 낮을 경우 유화중합 중에 투입할 수 있는 염료의 농도가 떨어져 자외선 및 청색광 차단 효과가 현저히 저감되며, 만약 과도하게 염료의 농도를 높이는 경우에는 염료가 수지층에 녹아들어가지 못하고 석출되는 등 최종 제품의 품질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자외선 흡수 염료와 청색과 흡수 염료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에 대한 용해도는 20g/100mL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자외선 흡수 염료와 상기 청색광 흡수 염료의 함량은 각각 모노머 100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염료의 투입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자외선 및 청색광 차단 효과가 미비하며,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염료가 석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컬러용 유기 염료는 모노머에 용해가능하고 색을 나타낼 수 있는 유기 염료로서, 예를 들어, 페릴렌계, 나프탈이미드계, 시아닌계, 아조계, 프탈로시아닌계 색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염료의 종류 및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및 청색광 차단 수성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i) 자외선 흡수 염료, 청색광 흡수 염료, 컬러용 유기 염료 및 아크릴 수지 중합이 가능한 모노머를 혼합하여 프리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및 ii) 상기 프리에멀젼에 중합개시제를 첨가하여 중합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중합 반응은 유화 중합(emulsion polymerization) 반응인 것이 특징이다.
상기 중합 반응은 일반적으로 50 내지 95℃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60 내지 85℃에서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가 50℃ 미만이면 유화중합의 속도가 너무 느리며 반응이 잘 진행되지 않고, 반면 반응 온도가 너무 높을 경우 분자량 분포가 넓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모노머는 아크릴 수지 중합이 가능한 모노머는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며,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아크릴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 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중합개시제로는 통상적으로 에멀젼 중합에 사용되는 임의의 중합개시제가 모두 가능하며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구체적으로 벤조일퍼옥사이드, 라우릴퍼옥사이드,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의 퍼옥사이드계 화합물; 2,2'-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아조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중합개시제의 함량은 모노머 100 중량부에 대해서 0.1 내지 1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개시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반응 속도가 느려지고 또한 생성된 중합체의 분자량이 너무 증가하는 단점이 있고, 반면 중합개시제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고분자의 중합체를 얻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유화제 및 가교제를 첨가하여 수성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유화제로는 라디칼 중합가능한 반응성 유화제 및 비반응성 유화제 등 종래 공지의 것을 임의로 사용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반응성 유화제로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류를 사용 할 수 있으며 반응성 유화제의 경우 라디칼 중합반응기를 가지는 알킬페닐에테르계 혹은 알킬페닐에스테르계, 아크릴레이트황산에스테르계 등을 사용 할 수 있다.
유화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 되지는 않으나 0.5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유화제의 함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모노머에 대한 유화가 충분치 않아 유화중합이 잘 진행되지 않으며, 유화제가 10 중량부 이상이면 작은 크기의 마이셀이 너무 많이 생성되는 등 최종 수지 물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유화제로 인해 수지의 저장안정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지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합 과정에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사용가능한 가교제는 특별이 한정되지 않으나 구체적인 예시로서,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디비닐벤젠(divinylbenzene),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1,4-butanediol diacrylat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모노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부의 함량으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함량이 너무 낮을 경우 제조된 중합체의 응집 특성이 낮아져 기계적 물성이 감소하고, 반면 가교제의 함량이 너무 높은 경우 기계적 물성은 증가하지만 가공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외에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가소제, 동결방지제, 점도 조절제 등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수성 컬러 에멀젼 조성물을 이용하여 도막을 형성할 경우 330nm 내지 400nm 사이의 파장 범위에서 투과율이 10% 이하이며, 400nm 내지 450nm 사이의 파장 범위에서 차단율은 35% 이상으로써, 자외선과 청색광 차단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컬러 에멀젼 조성물은 자외선 흡수 염료, 청색광 흡수 염료 및 일반 유기 염료를 유화중합 중에 투입하여 완전히 용해되기 때문에 컬러의 선명도는 유지되면서 응집, 마이그레이션(migration) 등의 문제는 전혀 발생되지 않는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화장품이나 물감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패치, 클렌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네일 에나멜, 스프레이 등의 다양한 제형의 화장품에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자외선 흡수 염료 및 청색광 흡수 염료의 합성
< 합성예 1 > 자외선 흡수 나프탈이미드계 염료 (화합물 C) 의 합성
Figure 112018027368795-pat00003
4-브로모-1,8-나프탈렌 무수물(화합물 A) 10g을 2-에틸헥실아민 5g 및 에탄올 100g 과 혼합한 후 80℃까지 승온시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물을 이용하여 결정을 석출시켰고 이를 여과한 후 건조하여 분자량 388.30 인 화합물 B를 얻었다. 건조된 파우더 10g을 K2CO310g과 함께 메탄올 100ml와 혼합한 후 80℃까지 승온시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물을 이용하여 결정을 석출시켰고 이를 여과한 후 건조하여 화합물 C를 얻었다
< 합성예 2 > 청색광 흡수 나프탈이미드계 염료 (화합물 E) 의 합성
Figure 112018027368795-pat00004
4-브로모-1,8-나프탈렌 무수물 (화합물 A) 10g을 2-에틸헥실아민 5g 및 에탄올 100g과 혼합한 후 80℃까지 승온시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물을 이용하여 결정을 석출시켰고 이를 여과한 후 건조하여 분자량 388.30인 화합물 B를 얻었다. 화합물 B 18g에 알릴 알코올(Allyl alcohol) 3g, KOH 3g 혼합하여 90℃에서 3시간 반응시켜 화합물 D를 얻었으며, N,N-디메틸아닐린을 이용하여 12시간 환류시켜 청색광 차단 염료인 화합물 E를 얻었다.
수성 컬러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 실시예 1 >
교반기, 온도계, 환류기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교환수 53 중량부와 유화제로 Hitenol BC (다이이치코교세이야쿠사) 3 중량부를 투입한 후 교반하면서 80℃까지 승온하였다. 이온교환수 34.5 중량부, Hitenol BC 4 중량부 및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아크릴산 2 중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48 중량부 및 형광 염료인 Lumogen F 레드-305 (BASF 사) 3 중량부 그리고 상기 합성예에서 합성된 자외선 차단 염료 (화합물 C) 5 중량부 그리고 청색광 차단 염료 (화합물 E) 5 중량부를 혼합하여 프리에멀젼을 제조했으며, 얻어진 프리에멀젼 5%를 상기 반응 용기에 첨가하였다. 중합개시제로 벤조일퍼옥사이드 0.3 중량부를 투입하여 반응이 시작되는 것을 확인한 후 프리에멀젼을 4시간 동안 균등 투입하여 유화중합을 진행시켰다. 반응 종료 후 온도를 65℃까지 냉각시킨 후 벤조일퍼옥사이드 0.004 중량부를 투입하고 30분간 교반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25% 암모니아수 3.9 중량부 첨가하여 pH=8, 고형분 50 중량% 의 수성 컬러 에멀젼 조성물을 얻었다.
< 실시예 2 >
실시예 1에서 컬러 염료를 투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 실시예 3 >
실시예 1에서 화합물 C 및 화합물 E를 각각 8 중량부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 비교예 1 >
실시예 1에서 화합물 C 대신에 Violet 570을 3 중량부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 비교예 2 >
실시예 1에서 화합물 C, E 대신에 Tinosorb S를 5 중량부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 비교예 3 >
실시예 1에서 화합물 C, E 대신에 Violet 570을 0.1 중량부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염료와 수성 컬러 에멀젼 조성물의 특성은 하기 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 실험예 >
염료의 용해도 및 투과도 측정
상기 합성예에서 합성된 화합물 C, 화합물 E, 그리고 Violet 570 (BASF 사), Tinosorb S (BASF 사) 염료를 이용하여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0mL에 대한 용해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염료를 메틸비닐키톤에 용해시킨 후 스펙트로포토미터(Lamda 950 spectrophotometer, Perkin-Elmer 사 제품)를 이용하여 자외선 및 청색광 영역에서의 투과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과 [도 1]에 나타냈다.
Figure 112018027368795-pat00005
에멀젼 안정성 테스트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수성 에멀젼 조성물을 실온에서 30일간 방치한 후 수지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염료의 응집 등 입자가 관찰되지 않을 경우 O, 입자 등 부유물이 관찰될 경우 X로 표기 하여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도막 투과 특성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수성 에멀젼 조성물을 유리판 위에 25 micron 두께로 코팅한 후 건조시켜 도막을 형성한 다음 스펙트로포토미터(Lamda 950 spectrophotometer, Perkin-Elmer 사 제품)를 이용하여 자외선 및 청색광 영역에서의 투과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정리하였으며, 실시예 1, 2의 수성 컬러 에멀젼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도막에 대한 투과도 그래프를 [도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27368795-pat00006
상기 [표 1] 및 [표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외선과 청색광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수성 에멀젼을 만들기 위해서는 자외선 및 청색광 차단 염료의 용해도가 뛰어나야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4)

  1. a) 하기 [화학식 C]로 표시되는 자외선 흡수 염료, b) 하기 [화학식 E]로 표시되는 청색광 흡수 염료, c) 페릴렌계, 시아닌계, 아조계, 프탈로시아닌계 염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컬러용 유기 염료 및 d)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화중합하여 제조된 자외선 및 청색광 차단 수성 에멀젼 조성물:
    [화학식 C] [화학식 E]
    Figure 112019063491805-pat00011
    Figure 112019063491805-pat00012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 염료와 상기 청색광 흡수 염료의 함량은 각각 모노머 100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에멀젼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 염료와 상기 청색광 흡수 염료는 각각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에 대한 용해도가 20g/100mL 이상인 것을 수성 에멀젼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도막을 형성할 경우 330nm 내지 400nm 사이의 파장 범위에서 투과율이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에멀젼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도막을 형성할 경우 400nm 내지 450nm 사이의 파장 범위에서 차단율이 3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에멀젼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패치, 클렌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네일 에나멜,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장품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및 청색광 차단 수성 에멀젼 조성물.
  12. i) a) 하기 [화학식 C]로 표시되는 자외선 흡수 염료, b) 하기 [화학식 E]로 표시되는 청색광 흡수 염료, c) 페릴렌계, 시아닌계, 아조계, 프탈로시아닌계 염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컬러용 유기 염료 및 d) 아크릴계 모노머 또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혼합하여 프리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및
    [화학식 C] [화학식 E]
    Figure 112019063491805-pat00013
    Figure 112019063491805-pat00014

    ii) 상기 프리에멀젼에 중합개시제를 첨가하여 중합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외선 및 청색광 차단 수성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방법.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반응은 유화 중합(emulsion polymerization) 반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80031630A 2018-03-19 2018-03-19 자외선 및 청색광 차단 수성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4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630A KR102024464B1 (ko) 2018-03-19 2018-03-19 자외선 및 청색광 차단 수성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630A KR102024464B1 (ko) 2018-03-19 2018-03-19 자외선 및 청색광 차단 수성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4464B1 true KR102024464B1 (ko) 2019-09-23

Family

ID=68069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630A KR102024464B1 (ko) 2018-03-19 2018-03-19 자외선 및 청색광 차단 수성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44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476B1 (ko) * 2021-08-30 2022-04-25 김준석 블루라이트 차단용 유기 합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744A (ko) 2003-10-01 2006-06-16 도요 잉키 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네일 에나멜용 수성 분산체 및 수성 네일 에나멜 조성물
JP2007534781A (ja) * 2003-11-14 2007-11-29 ビーエーエスエ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有機材料を光の損傷作用から保護するための4−シアノ−ナフタレン−1,8−ジカルボキシミド誘導体および関連化合物の使用
KR20120039080A (ko) 2010-10-15 2012-04-25 주식회사 코삼 수용성 수지 제조방법을 이용한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KR20170003391A (ko) 2015-06-30 2017-01-09 (주)아모레퍼시픽 옥 분말을 함유하는 블루 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23972A (ko) * 2014-08-12 2017-03-06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자외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적층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744A (ko) 2003-10-01 2006-06-16 도요 잉키 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네일 에나멜용 수성 분산체 및 수성 네일 에나멜 조성물
JP2007534781A (ja) * 2003-11-14 2007-11-29 ビーエーエスエ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有機材料を光の損傷作用から保護するための4−シアノ−ナフタレン−1,8−ジカルボキシミド誘導体および関連化合物の使用
KR20120039080A (ko) 2010-10-15 2012-04-25 주식회사 코삼 수용성 수지 제조방법을 이용한 수성 매니큐어 조성물
KR20170023972A (ko) * 2014-08-12 2017-03-06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자외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적층체
KR20170003391A (ko) 2015-06-30 2017-01-09 (주)아모레퍼시픽 옥 분말을 함유하는 블루 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yes and Pigments, Vol.25, pp.109-114, 199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476B1 (ko) * 2021-08-30 2022-04-25 김준석 블루라이트 차단용 유기 합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11940T2 (de) Härtbare zusammensetzung und photochrome gehärtete gegenstände
TW201037018A (en) Particles for electrophoretic displays
KR101833612B1 (ko) 다량의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고분자 복합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WO2008134555A2 (en) Polymeric dyes based on polymerizable vinyl-group containing p-nitrophenyl-azo salicylic acid derivatives
KR102151724B1 (ko) 수계 고분자 분산제, 이를 포함하는 색 재료 밀 베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4464B1 (ko) 자외선 및 청색광 차단 수성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TW201217442A (en) Water-based liquid colorant preparations comprising thermally stable dispersing additives for the colouring of poly(meth)acrylates
JP2017195825A (ja) 波長変換フィルム及び農作物の栽培方法
KR100846720B1 (ko) 단분산 착색 고분자 미립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15865B1 (ko) 형광 수성 에나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S58128312A (ja) ニトロセルロ−ス無含有マニキユア合成物
WO2012102397A1 (ja) 有機蛍光剤含有マイクロカプセル
KR20210041281A (ko) 형광 수성 아크릴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방법
JP3202233B2 (ja) 微小樹脂粒子
JP7061756B2 (ja) フォトクロミック色素含有ナノカプ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02277A (ko) 폴리머 비드, 폴리머 비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학용 필름
JPS62265357A (ja) 眼用レンズ用染料
TW201706340A (zh) 聚合性珠粒、備製該聚合性珠粒的方法及使用該聚合性珠粒的光學膜
CN114206960A (zh) 聚合性组合物、化合物、聚合物、树脂组合物、紫外线遮蔽膜及层叠体
KR101958080B1 (ko) 청색광 차단 염료 및 이를 포함하는 청색광 차단 시트
KR20180002278A (ko) 폴리머 비드 및 폴리머 비드의 제조방법
JP3977536B2 (ja) 樹脂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46604B1 (ko) 레드 형광 수성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H0543870A (ja) フオトクロミツク性組成物
JPS61275209A (ja) メ−キヤツプ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