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208B1 -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208B1
KR102024208B1 KR1020180030693A KR20180030693A KR102024208B1 KR 102024208 B1 KR102024208 B1 KR 102024208B1 KR 1020180030693 A KR1020180030693 A KR 1020180030693A KR 20180030693 A KR20180030693 A KR 20180030693A KR 102024208 B1 KR102024208 B1 KR 102024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luggable connector
connector body
charging
contact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6959A (ko
Inventor
알렉산더 브룰란트
카스텐 바임딕크
Original Assignee
하르팅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르팅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하르팅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106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1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crew or scre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신호 접촉 요소 및 2개 이상의 전력 접촉 요소(5)를 구비한 전기 차량용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1)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1)는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 및 접촉 캐리어(3)를 구비한다. 접촉 캐리어(3)는 삽입 측에서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에 배열되어 있고,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에 가역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접촉 캐리어가 필요에 따라 쉽게 교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1)는 특히 비용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AUTO CHARGING PLUG-TYPE CONNECTOR}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는 전기 차량의 충전 과정에서 고전류를 전달한다.
상기와 같은 유형의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는 JP H06-290358 A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특히 자동차용 충전 플러그로서 공지되어 있다. 전기 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 차량의 배터리를 재충전하기 위하여 취급이 용이한 가능성들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 목적을 위해, 자동차에 가솔린 또는 디젤을 채워주는 종래의 주유소에서와 유사하게, 전기 자동차에 전류를 "채워"줄 수 있는 충전 스테이션이 개발되었다.
US 2014/0084678 A1호는, 2개 이상의 접촉 요소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용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를 보여주며, 이 경우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는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 및 접촉 캐리어를 구비하고, 이 접촉 캐리어는 삽입 측에서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에 배열되어 있으며, 이 경우 접촉 캐리어는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에 가역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DE 10 2013 007 330 A1호, FR 2 979 490 A1호 및 US 2016/0288658 A1호는 각각,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가 다양한 국가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어댑터를 갖춘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를 보여준다.
DE 10 2011 106 335 A1호는,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가 국가 고유의 다양한 충전 전류에 매칭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전기 자동차는, 충전 케이블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충전 스테이션과 연결된다. 충전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충전 스테이션에 정착되어 있고, 그 단부에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으며,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는 이를 위해 제공된 전기 자동차의 충전 소켓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가 일상적인 사용에서 매우 빈번하게 충전되기 때문에,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는 많은 플러그 결합 주기를 견뎌야만 한다. 상당히 고가인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가 안전 상 이유로, 소정 횟수의 플러그 결합 주기 후에는 교환되어야 한다.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는 특히 누구나 간단히 삽입할 수 있고 재차 제거할 수 있어야만 한다. 이와 같은 사실은 특히, 전기 케이블이 설치된 상기와 같은 플러그를 마찬가지로 간단히 그리고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어야만 하는, 키가 작고, 힘이 없으며 아담한 사람들에게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간단히 취급될 수 있고 비용 효율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전기 차량용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를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 1의 대상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는 전기 차량을 충전하기 위해 제공되었다.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는 하나 이상의,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신호 접촉 요소 및 2개 이상의 전력 접촉 요소를 구비한다. 신호 접촉 요소를 통해서 충전 과정이 시작되고, 작동 중에는 충전될 배터리 및 외부 조건들에 따라 전자식으로 조절된다. 전력 접촉 요소를 통해서는, 충전 과정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기 위하여, 높은 충전 전류가 전달되는 경우가 많다.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는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 및 접촉 캐리어를 구비한다. 접촉 캐리어는 삽입 측에서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에 배열되어 있다. 접촉 캐리어는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에 가역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신호 접촉 요소는 케이블 연결부 및 접촉부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신호 접촉 요소는 2개 부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케이블 연결부는 삽입 측에서 소켓으로 구현되어 있고, 접촉부는 연결 측에서 상응하게 접촉 핀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소켓/핀 연결을 통해서는, 신호 접촉 요소들이 가역적으로 상호 삽입 결합되어, 전기 전도성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신호 접촉 요소의 케이블 연결부가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 내에 배열되어 있고 그곳에 또한 고정되어 있다. 신호 접촉 요소의 접촉부는 접촉 캐리어 내에 배열되어 있고 그곳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은 예를 들어 로킹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는 케이블 연결부 및 접촉부로 이루어진 2개 부의 PE-접촉 요소를 구비한다. PE-접촉 요소는 신호 접촉 요소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소켓/핀 원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케이블 연결부는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 내에 배열되어 있고 그곳에 또한 고정되어 있으며, 접촉부는 접촉 캐리어 내에 배열되어 있고 그곳에 고정되어 있다.
신호 접촉부 또는 PE-접촉부의 연결부에는, 충전 케이블의 도체가 바람직하게 크림핑(crimping) 기술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접촉부에서는, 충전 소켓의 대응 접촉 요소에 대한 전기 접촉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전력 접촉 요소가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 내에 고정되어 있고, 전력 접촉 요소의 적어도 일 부분이 축 방향으로 접촉 캐리어 내부로 돌출한다. 전력 접촉 요소는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 내에 정착되거나 고정되어 있지만, 다름 아닌 접촉 캐리어 내에는 정착되거나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접촉 캐리어가 포함하는 전력 접촉 요소 통로에 삽입가능하게 수용되어, 전력 접촉 요소가 접속 캐리어의 전력 접촉 요소 통로를 관통한다. 이 경우, 전력 접속 요소는 충전 소켓의 대응 전력 접촉 요소와 직접적으로 정합한다. 전력 접촉부는 전술된 발명에 따라 2개 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접촉 캐리어는 마모시에 교환될 수 있다.
접촉 캐리어는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에 가역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접촉 캐리어를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로부터 해체하는 경우에는, 2개 부의 신호 접촉 요소 및 2개 부의 PE-접촉 요소가 분리된다. 개별 연결부는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 내에 남아 있고, 개별 접촉부는 접촉 캐리어 내에 남아 있다. 하지만, 전력 접촉 요소는 다만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 내에만 정착되어 있고, 접촉 캐리어를 해체할 때 삽입 측에서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로부터 외부로 돌출한다. 순전히 이론적으로만 볼 때는,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가 접촉 캐리어 없이도 전기 자동차의 충전 소켓 내부로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접촉 캐리어 내에는 신호 접촉 요소의 접촉부가 없기 때문에,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충전 전류가 전달되지 않거나 충전 과정이 개시되지 않는다.
접촉 캐리어는 마모 후에 또는 상응하는 횟수의 플러그 결합 주기 후에 또한 예방적으로, 신호 접촉 요소 및 PE-접촉 요소의 접촉부와 함께 교환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다만 접촉 캐리어 내에 있는 접촉부만 간단한 방식으로 교환될 수도 있다. 하지만, 연결된 충전 케이블을 갖는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는 계속해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력 접촉 요소는 케이블 연결부 및 접촉부로 이루어진다. 케이블 연결부는 나사 연결을 통해서 접촉부와 가역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결은 기계적으로 특히 안정적이고, 전력 접촉 요소의 전류 용량 측면에서 장점을 갖는다. 접촉 캐리어가 해체되면, 충전 케이블의 상응하는 심선에 새로이 연결할 필요 없이 전력 접촉 요소의 접촉부가 교환될 수 있다. 이로써, 제안된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는 특히 유지 보수에 유리하다.
바람직하게, 접촉 캐리어는 나사 연결을 통해서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에 가역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접촉 캐리어의 교환은 간단히 그리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접촉 캐리어의 교환 가능성에 의해서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가 매우 비용 효율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 내에 설치되어 있는 고가의 구성 요소들 대부분이 계속해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는 접촉 캐리어가 해체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은 접촉 캐리어 및 충전 소켓이 없는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4는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 및 접촉 캐리어의 접촉 영역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면들은 부분적으로 간소화된 개략적인 도면들을 포함한다. 부분적으로는, 유사하지만 경우에 따라 동일하지 않은 요소들에 대해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사용된다. 유사 요소의 다양한 도면들은 상이하게 크기 조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1)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1)는 실질적으로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와, 삽입 측에서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에 나사 결합된 접촉 캐리어(3)로 이루어진다.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1)에는 충전 케이블(4)이 연결되어 있다. 충전 케이블(4) 내에는,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의 상응하는 접촉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개별 도체(도시되지 않음)가 있다. 충전 케이블(4)은 또한, 전력 접촉 요소(5)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냉각 유체 라인(도시되지 않음)도 포함한다. 이로써, 특히 높은 전류가 전달될 수 있고, 신속한 충전 과정이 구현될 수 있다. 전력 접촉 요소(5)는 플러그 측에 소켓 접촉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에는 핸들(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핸들 영역에서는 충전 전류를 전달하는 도체가 연장되지 않음으로써, 결과적으로 핸들 영역은 과열될 가능성이 없다. 이로써,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1)의 조작 안락감이 증가된다.
도 3에서는,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도시되지 않음)에서 발견할 수 있는 충전 소켓(7)을 볼 수 있다. 충전 소켓(7)은 숫자 8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다. 하부 영역에는, 충전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2개의 접촉 요소(8)가 배열되어 있다. 접촉 요소(8)는 접촉 측에서 접촉 핀으로 형성되어 있다. 충전 소켓(7)의 상부 영역에는, 충전 과정을 위한 PE-접촉부로서 또는 신호 접촉 요소로서 기능 하는 추가의 접촉 요소(9)가 배열되어 있다. 이론적으로 볼 때,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캐리어(3)가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충전 소켓(7)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력 접촉 요소(5)가 충전 소켓(7)의 관련 접촉 요소(8)에 접촉할 수도 있지만,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는데, 그 이유는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의 신호 접촉 요소가 충전 소켓의 상응하는 접촉 요소(9)에 대한 전기 접촉부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 4에는, PE-접촉 요소(10)의 예에서, 2개 부로 구현된 신호 접촉 요소 및 PE-접촉 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신호 접촉 요소는 PE-접촉 요소(10)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개관을 명확하게 할 목적으로, 도 4에는 전력 접촉 요소(5)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 PE-접촉 요소(10)는 케이블 연결부(10.1) 및 접촉부(10.2)로 이루어진다. 케이블 연결부(10.1)에는, 충전 케이블(4)의 PE-도체(11)가 연결되어 있다. 이를 위해, 크림핑 연결이 선택된다. 삽입 측에서는, 케이블 연결부(10.1)가 소켓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는 연결 측에서는 상응하게 접촉 핀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삽입 측에서는 소켓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연결부(10.1)는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 내에 고정되어 있다. 접촉부(10.2)는 접촉 캐리어(3) 내에 로킹되어 있거나, 대안적으로, 시판되는 스냅 링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접촉부(10.2)의 그루브 내에 배열된 밀봉부(12)는, 침투하는 습기로부터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1)를 보호해준다.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와 접촉 캐리어(3)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PE-접촉 요소(10)의 케이블 연결부(10.1)와 접촉부(10.2)가 결합되고, 서로의 내부로 삽입되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동일한 연결 상황은 신호 접촉 요소와도 이루어진다. 전력 접촉 요소(5)는 다만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 내에만 정착되어 있다. 소켓으로서 형성된 전력 접촉 요소(5)의 전방 부분은 축 방향으로 접촉 캐리어(3)를 관통하지만, 이 경우에는 로킹되어 있거나 어떤 다른 방법으로도 고정되어 있지 않다.
1: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
2: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
3: 접촉 캐리어
4: 충전 케이블
5: 전력 접촉 요소
6: 핸들
7: 충전 소켓
8: 접촉 요소
9: 접촉 요소
10: PE-접촉 요소
11: PE-도체
12: 밀봉부

Claims (11)

  1.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 접촉 캐리어(3), 1개 이상의 신호 접촉 요소 및 2개 이상의 전력 접촉 요소(5)를 포함하는 전기 차량용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1)이며,
    접촉 캐리어(3)는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의 삽입 측에 배열되어 있고,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에 가역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2개 이상의 전력 접촉 요소(5)는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 내에 고정되어 있고,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의 삽입 측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고, 접촉 캐리어(3)가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로부터 제거될 때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에 고정된 상태로 남아있도록 구성되고,
    접촉 캐리어(3)는 2개 이상의 전력 접촉 요소 통로를 포함하고, 각 전력 접촉 요소 통로는 접촉 캐리어(3)가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에 고정될 때 2개 이상의 전력 접촉 요소(5) 중 1개를 각각 삽입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2개 이상의 전력 접촉 요소(5)는 접촉 캐리어(3)가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에 고정될 때, 접촉 캐리어(3)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접촉 캐리어(3)의 전력 접촉 요소 통로를 관통하고, 충전 소켓의 대응 전력 접촉 요소와 직접적으로 정합하기 위해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1).
  2. 제1항에 있어서,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1)는 2개 이상의 신호 접촉 요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1).
  3. 제1항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신호 접촉 요소는 케이블 연결부(10.1) 및 접촉부(10.2)를 포함하고, 이로써 2개 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1).
  4. 제3항에 있어서, 케이블 연결부(10.1)는 삽입 측에서 소켓으로 형성되어 있고, 접촉부(10.2)는 연결 측에서 접촉 핀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1).
  5. 제3항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신호 접촉 요소의 케이블 연결부(10.1)는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 내에 배열 및 고정되어 있고, 신호 접촉 요소의 접촉부(10.2)는 접촉 캐리어(3) 내에 배열 및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1).
  6. 제1항에 있어서,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는 케이블 연결부(10.1) 및 접촉부(10.2)를 포함하는 2개 부의 PE-접촉 요소(10)를 포함하며, 케이블 연결부(10.1)는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 내에 배열 및 고정되어 있고, 접촉부(10.2)는 접촉 캐리어(3) 내에 배열 및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1).
  7. 제1항에 있어서, 각 전력 접촉 요소(5)의 적어도 일 부분이 충전 소켓의 대응 전력 접촉 요소와 직접적으로 정합하기 위해 축 방향으로 접촉 캐리어(3) 내부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1).
  8. 제1항에 있어서, 전력 접촉 요소(5)는 케이블 연결부 및 접촉부를 포함하고, 케이블 연결부는 나사 연결을 통해서 접촉부와 가역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1).
  9. 제1항에 있어서, 접촉 캐리어(3)는 나사 연결을 통해서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에 가역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1).
  10. 제1항에 있어서,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에는 핸들(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1).
  11. 전기 차량용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1)이며,
    1개 이상의 신호 접촉 요소의 제1 부분과 2개 이상의 전력 접촉 요소가 제공된 삽입 측을 갖는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 및
    1개 이상의 신호 접촉 요소의 제2 부분으로서,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에 접촉 캐리어(3)가 부착되었을 때 제1 부분과 접속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의 삽입 측에 착탈식으로 부착 가능한 접촉 캐리어(3)를 포함하고,
    2개 이상의 전력 접촉 요소(5)는,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 내에 고정되어 있고,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의 삽입 측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고, 접촉 캐리어(3)가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로부터 제거될 때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에 고정된 상태로 남아있도록 구성되고,
    접촉 캐리어(3)는 2개 이상의 전력 접촉 요소 통로를 포함하고, 각 전력 접촉 요소 통로는 접촉 캐리어(3)가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에 고정될 때 2개 이상의 전력 접촉 요소 중 1개를 각각 삽입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2개 이상의 전력 접촉 요소(5)는 접촉 캐리어(3)가 플러그형 커넥터 바디(2)에 고정될 때, 접촉 캐리어(3)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접촉 캐리어(3)의 전력 접촉 요소 통로를 관통하고, 충전 소켓의 대응 전력 접촉 요소와 직접적으로 정합하기 위해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1).
KR1020180030693A 2017-03-17 2018-03-16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 KR102024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05835.4 2017-03-17
DE102017105835 2017-03-17
DE102017108174.7A DE102017108174A1 (de) 2017-03-17 2017-04-18 Autoladesteckverbinder
DE102017108174.7 2017-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959A KR20180106959A (ko) 2018-10-01
KR102024208B1 true KR102024208B1 (ko) 2019-09-24

Family

ID=63372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693A KR102024208B1 (ko) 2017-03-17 2018-03-16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340623B2 (ko)
JP (1) JP6720239B2 (ko)
KR (1) KR102024208B1 (ko)
CN (1) CN108631090B (ko)
DE (1) DE102017108174A1 (ko)
DK (1) DK3375657T3 (ko)
ES (1) ES2785689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8501A (ko) *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 유라 자동차 충전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8802B2 (en) 2016-06-24 2020-05-19 Gyrus Acmi, Inc. Gravity plug and connector
DE102017113162A1 (de) * 2017-06-14 2018-12-20 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Verfahren zum Erfassen eines Steckvorgangs
DE102018100828B4 (de) 2018-01-16 2023-07-2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Ladestecker für eine Ladesäule und Ladesäule mit einem solchen Stecker
DE102018100831A1 (de) * 2018-01-16 2019-07-1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Ladestecker für Elektroautos und dessen Herstellung
FR3087955B1 (fr) * 2018-10-26 2023-04-28 Aptiv Tech Ltd Ensemble de connexion, contact femelle et procede de connexion
DE102019101979A1 (de) 2019-01-28 2020-07-30 HARTING Automotive GmbH Zugentlastung für einen Kabelschlauch
US20220200193A1 (en) * 2019-04-10 2022-06-23 Hirschmann Automotive Gmbh Battery connector for electric bicycle
NL2023045B1 (en) * 2019-05-01 2020-12-02 Prysmian Spa Cable assembly
FR3098156A1 (fr) * 2019-07-01 2021-01-08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interconnexion à court-circuit anti champ magnétique, pour un véhicule
EP3771045A1 (en) * 2019-07-25 2021-01-27 ABB Schweiz AG Charging arrangement for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TWM590795U (zh) * 2019-08-22 2020-02-11 映興電子股份有限公司 連接器結構
DE102020105389A1 (de) 2020-02-28 2021-09-02 Airbus Operations Gmbh Steckeranordnung für Flachbandkabel
KR102130598B1 (ko) * 2020-03-13 2020-07-06 조종철 전기차 충전기용 커넥터
DE102020108535A1 (de) 2020-03-27 2021-09-30 Audi Aktiengesellschaft Ladesystem, Ladestation für ein Ladesystem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Ladesystems
USD1022888S1 (en) 2021-03-30 2024-04-16 Atieva Inc. Portable charger for electric vehicle
USD1005969S1 (en) 2021-03-30 2023-11-28 Atieva Inc. Stationary wall mount for storing a portable electric vehicle charger
USD1005944S1 (en) 2021-03-30 2023-11-28 Atieva Inc. Stationary wall-mounted electric vehicle charger
US11752891B2 (en) * 2021-05-27 2023-09-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harging system for a vehicle
USD998571S1 (en) * 2021-10-27 2023-09-12 Ti-Lane Precision Electronic Co., Ltd. Vehicle charging connector
TWD220018S (zh) * 2021-12-24 2022-07-11 華新麗華股份有限公司 充電連接器
CN116068233B (zh) * 2023-01-13 2024-02-27 兴智众(重庆)新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电池容量紧固式测试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5513A (ja) 2010-11-12 2012-05-31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源コネクタ
JP2015082340A (ja) 2013-10-21 2015-04-27 矢崎総業株式会社 充電コネクタ
US20150251551A1 (en) 2014-03-04 2015-09-10 Lear Corporation Wall plu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JP2016509824A (ja) 2013-12-06 2016-03-31 リ,ジン−クク 電気車用充電装置
DE102015002703B3 (de) 2015-03-03 2016-05-19 Sumitomo Electric Bordnetze Gmbh Adaptersystem und Verfahren zum Verbinden einer Adapterbasis mit einem wechselbaren Adapter
DE202013012354U1 (de) 2013-09-30 2016-06-09 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Trennmodul für Ladesteckdos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0358A (ja) 1993-03-31 1994-10-18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避難誘導システム
DE19544942C2 (de) * 1994-12-01 2001-12-06 Yazaki Corp Verbindungsvorrichtung mit einem Spannungszufuhrsteckverbinder und einem Spannungsaufnahmesteckverbinder und Verfahren zum Verbinden/Trennen einer Spannungszufuhreinrichtung
DE202008005101U1 (de) * 2008-01-21 2009-06-18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Steckverbindung mit Adaptergehäusen zur Aufnahme einer Stecker- bzw. einer Buchsenanordnung
DE102009021594B4 (de) * 2009-04-09 2018-04-12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nd elektrische Steckverbindung sowie Verfahren zum Anschließen der Andern eines mehradrigen Kabels an einen elektrischen Steckverbinder
DE102010002176B4 (de) * 2010-02-22 2011-12-15 Tyco Electronics Amp Gmbh Kontakteinrichtung
JP2011198566A (ja) * 2010-03-18 2011-10-06 Sumitomo Wiring Syst Ltd 充電用コネクタ
US8025526B1 (en) * 2010-04-21 2011-09-27 Coulomb Technologies, Inc. Self powered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nector locking system
EP2418742B1 (en) * 2010-08-13 2016-04-27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Finger protection for 90° header
US8226424B1 (en) * 2011-05-25 2012-07-24 Tongt-Huei Wang Plug device with a changeable adapter
FR2977390B1 (fr) * 2011-06-29 2013-10-11 Legrand France Fiche electrique et ensemble electrique associe.
DE102011106335B4 (de) * 2011-07-01 2017-05-2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lektrischen Laden eines Elektrofahrzeuges an einer Ladestation
FR2979490B1 (fr) * 2011-08-31 2013-08-2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et dispositif de controle de l'alimentation en courant d'un equipement par analyse d'aptitude, et systeme de connexion associe
US20140084678A1 (en) * 2012-09-21 2014-03-27 Renault S.A.S. Modular electrical connection device/modular plug connector, electrical component for such a plug, set of electrical components and electric vehicle using said plug connector
US8967466B2 (en) * 2013-01-09 2015-03-03 Powertree Services, Inc. Automatic authentication for service access for fueling of vehicles
DE102013101823B4 (de) * 2013-02-25 2016-04-28 Phoenix Contact Gmbh & Co. Kg Kontaktträger mit einem Unterteil
EP2787577A1 (en) * 2013-04-02 2014-10-08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à r.l. Power plug
DE102013007330B4 (de) * 2013-04-27 2019-11-2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Teilesatz mit Wechselstecker zum länderübergreifenden elektrischen Laden eines Fortbewegungsmittels
US8968021B1 (en) * 2013-12-11 2015-03-03 JAE Oregon, Inc. Self-rejecting automotive harness connector
DE102015206047A1 (de) * 2015-04-02 2016-10-0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dapter für ein Ladestecksystem
CN204992175U (zh) * 2015-09-18 2016-01-20 浙江绿源电动车有限公司 电动车
DE102016105470A1 (de) 2016-03-23 2017-09-28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Leistungselektrische Kontakteinrichtung; austauschbares, leistungselektrisches Kontaktmodul sowie leistungselektrischer Verbinder
DE102016206914A1 (de) * 2016-04-22 2017-10-26 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Leistungskontakt mit auswechelbarem Kontaktbereich
CN205790623U (zh) * 2016-05-31 2016-12-07 深圳巴斯巴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便于维护的电动汽车充电连接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5513A (ja) 2010-11-12 2012-05-31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源コネクタ
DE202013012354U1 (de) 2013-09-30 2016-06-09 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Trennmodul für Ladesteckdose
JP2015082340A (ja) 2013-10-21 2015-04-27 矢崎総業株式会社 充電コネクタ
US20160197430A1 (en) * 2013-10-21 2016-07-07 Yazaki Corporation Charging connector
JP2016509824A (ja) 2013-12-06 2016-03-31 リ,ジン−クク 電気車用充電装置
US20150251551A1 (en) 2014-03-04 2015-09-10 Lear Corporation Wall plu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DE102015002703B3 (de) 2015-03-03 2016-05-19 Sumitomo Electric Bordnetze Gmbh Adaptersystem und Verfahren zum Verbinden einer Adapterbasis mit einem wechselbaren Adap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8501A (ko) *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 유라 자동차 충전 커넥터
KR102590201B1 (ko) 2021-05-24 2023-10-17 주식회사 유라 자동차 충전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31090B (zh) 2021-04-02
JP6720239B2 (ja) 2020-07-08
ES2785689T3 (es) 2020-10-07
CN108631090A (zh) 2018-10-09
DE102017108174A1 (de) 2018-09-20
JP2018163876A (ja) 2018-10-18
DK3375657T3 (da) 2020-04-20
US20180269619A1 (en) 2018-09-20
US10340623B2 (en) 2019-07-02
KR20180106959A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208B1 (ko) 자동차 충전 플러그형 커넥터
CN107230860B (zh) 功率电接触装置、可更换功率电接触模块和功率电连接器
US20170001529A1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and charging cable for an electric vehicle
CN111969363B (zh) 电连接器的电力端子
EP2686919B1 (en)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KR101699576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2660354B2 (ja) 電気コネクタ
US7413478B2 (en) Electric contact for contacting a protecting conductor with conductive housing
US5324214A (en) Blade type fuse block terminal adapter
US20120214042A1 (en) Quick Connect Battery Terminals
US9011180B2 (en) Connector with integrated fuse
US6036530A (en) Modular feed-through connector and mounting assembly for tank heater
CN107845887B (zh) 用于交通工具充电的连接器组件
CN210881703U (zh) 用于充电系统的插接连接件
CN112217017B (zh) 连接器
US7696854B2 (en) Heavy current coupling
CN112290265A (zh) 母电源触头
US10516243B2 (en) Wire harness connecting structure for two circuit assemblies
KR102302286B1 (ko) 커넥터
CN112242626A (zh) 具有拉力释放装置的插接连接件
US11621520B2 (en) Electrical data connector
US20240181909A1 (en) Automotive charging assembly
US20220384973A1 (en) Male and female power terminal assembly, female and male power terminals
CN118137185A (zh) 机动车充电组件
WO2013178434A1 (en) Interconnection assembly for vehicle devices and method of inter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