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329B1 - 벌크 백용 계량장치 - Google Patents

벌크 백용 계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329B1
KR102023329B1 KR1020190054830A KR20190054830A KR102023329B1 KR 102023329 B1 KR102023329 B1 KR 102023329B1 KR 1020190054830 A KR1020190054830 A KR 1020190054830A KR 20190054830 A KR20190054830 A KR 20190054830A KR 102023329 B1 KR102023329 B1 KR 102023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bulk bag
present
disposed
bu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호섭
Original Assignee
한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호섭 filed Critical 한호섭
Priority to KR1020190054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24Weighing mechanism 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feed or discharge
    • G01G13/241Bulk-final weighing apparatus, e.g. rough weighing balance combined with separate fine weighing bal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24Weighing mechanism 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feed or discharge
    • G01G13/247Checking quantity of material in the feeding arrangement, e.g. discharge material only if a predetermined quantity is pres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24Weighing mechanism 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feed or discharge
    • G01G13/28Weighing mechanism 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feed or discharge involving variation of an electrical variable which is used to control loading or discharge of the receptacle
    • G01G13/285Weighing mechanism 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feed or discharge involving variation of an electrical variable which is used to control loading or discharge of the receptacle involving comparison with a reference val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suspended loads
    • G01G19/18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suspended loads having electrical weight-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ight Measurement For Supplying Or Discharging Of Specified Amounts Of Material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크 백용 계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호퍼 아래에 배치된 프레임과; 벌크 백을 하부에 결속하고, 프레임의 내부에서 승하강가능하게 배치된 거치대; 거치대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된 다수의 로드 셀; 및 거치대의 승하강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리프트;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은 벌크 백을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현수 상태로 상승 이동시켜 벌크 백의 무게를 계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벌크 백용 계량장치 {Measuring apparatus for bulk container}
본 발명은 벌크 백용 계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별하기로 로드 셀을 이용한 벌크 백용 계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벌크 백(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은 곡물, 비료, 광물 등의 입자 혹은 필렛 형상의 내용물을 미리 설정된 무게만큼 포장 단위로 담는 중대형 포대를 의미하며, 일명 톤백(ton bag)으로도 불려진다.
특허문헌 1의 곡물 계량장치는 계량유닛 위에 내용물을 담는 톤백을 올려 놓고서 톤백 내에 곡물을 미리 설정된 정량을 담은 후에 포장하여 외부로 반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 알려져 있듯이, 대부분의 계량장치는 바닥에 배치된 계량유닛을 수단으로 하여 이의 위에 올려진 톤백에 담긴 곡물의 무게를 계량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곡물 계량장치는 계량유닛의 베이스 플레이트로 톤백을 지지하고 있는데, 이는 톤백의 저부 일부가 접혀진 상태로 내용물을 채워는 등의 문제점을 갖는다. 충전 중에서, 톤백이 접혀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톤백을 반복적으로 들어올려 톤백 내에 내용물(곡물)을 균일하게 충전시켜야만 한다.
또한 예상치 못하게, 내용물을 수용한 톤백의 하부 일부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로 톤백이 톤백 거치대에 고정되는 경우에 부정확하게 계량을 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질 수밖에는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3232호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벌크 백에 담길 내용물의 무게를 현수(懸垂) 상태 하에서 벌크 백을 계측할 수 있는 벌크 백용 계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벌크 백의 상부 개방부 둘레를 따라 다지점에서 벌크 백 내에 내용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크 백용 계량장치는 호퍼 아래에 배치된 프레임과; 벌크 백을 하부에 결속하고, 프레임의 내부에서 승하강가능하게 배치된 거치대; 거치대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된 다수의 로드 셀; 및 거치대의 승하강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리프트;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거치대는 벌크 백을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현수 상태로 상승 이동시켜 벌크 백의 무게를 계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거치대는 내부 중심에 호퍼의 취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갖춘 관통공을 배치한 플레이트로 형성되되, 바람직하기로 정사각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대의 각 모서리에 로드 셀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로드 셀의 자유단은 거치대의 가장자리에서 외부를 향해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관통공을 중심으로 거치대의 하부면에 다수의 로드 셀을 등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거치대의 각 모서리에 인접한 하부면에 걸이용 후크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리프트는 거치대의 일측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프레임의 상부에 굴대 장착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정·역회전 가능한 구동축과; 구동축의 일측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한쌍의 제1 스프로킷; 구동축의 타측 단부에 배치된 한쌍의 제2 스프로킷; 각각의 스프로킷에서 로드 셀의 자유단으로 뻗어 있는 연결 벨트; 및 거치대의 타측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프레임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이격배치된 2개의 방향전환 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구동축의 일측 단부에 구동 스프로킷과, 구동 스포로킷과 구동수단의 작동 로드 사이에 배치된 동력전달 벨트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로드 셀을 수단으로 하여 벌크 백을 공중에 매달아 내용물의 무게를 계측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벌크 백의 상부 개방부 둘레를 따라 다수의 로드 셀을 배치하여 다지점에서 내용물의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호퍼를 통해 벌크 백의 내부로 내용물을 공급하는 동안에 벌크 백을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면서 벌크 백에 충전된 내용물의 무게를 계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벌크 백의 상하 왕복이동을 통해 벌크 백 내에서 내용물을 다지면서 충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충전 과정을 통해 내용물을 벌크 백 내에서 균일하게 분산배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크 백용 계량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프레임을 제외한 벌크 백용 계량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크 백용 계량장치에 벌크 백을 하강 이동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크 백용 계량장치에 벌크 백을 상승 이동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b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크 백용 계량장치는 다수의 로드 셀(400)을 수단으로 하여 벌크 백(B)에 포장될 내용물의 무게를 정확하게 계량(計量)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벌크 백(B)의 승하강 이동을 통해 벌크 백 내에서 내용물을 골고루 분산배치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크 백용 계량장치는 프레임(100)과, 내용물을 하측에 배치된 벌크 백으로 안내하는 호퍼(200), 호퍼(200) 아래에서 승하강가능하게 배치된 거치대(300), 거치대(30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벌크 백의 하중을 측정하는 다수의 로드 셀(400), 및 거치대(300)의 승하강을 돕는 리프트(500)로 이루어진다.
호퍼(200)는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듯이 내부로 투입된 내용물, 예컨대 입자상 또는 분말상의 내용물들을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시킬 수 있는 구성부재로,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될 벌크 백(B)의 상부 개방부로 내용물을 배출하는 취출부(210)를 구비한다.
거치대(300)는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100) 내부에서 승하강가능하게 배치되는데, 거치대는 원형, 사각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갖는 편평한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거치대(300)는 정사각형상의 편평한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300)는 편평한 플레이트의 내부영역 중심에 관통공(310)을 구비한다. 관통공(310)은 호퍼(200)의 취출부(21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되, 관통공을 가로질러 취출부(210)의 인입 및/또는 인출을 허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거치대(300)는 관통공(310)을 중심으로 하여 다수의 로드 셀(400;load cell)을 등간격으로 배치한다. 각각의 로드 셀(400)은 벌크 백(B)의 고리(참조부호 없음)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벌크 백의 전체 하중을 계량할 수 있다.
앞서 기술하였듯이, 본 발명은 각각의 로드 셀(400)에 걸리는 벌크 백(B)의 하중을 측정하는데, 벌크 백에 포장될 내용물의 무게가 로드 셀(400)을 통해 목표 중량(다시 말하자면, 미리 설정된 내용물의 포장 용량)에 도달하면 벌크 백으로 내용물의 공급을 중단하게 된다.
로드 셀(400)은 거치대(300)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되, 관통공(310)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다. 구체적으로, 4개의 로드 셀(400)이 정사각형상의 거치대(300)의 각 모서리(323a,323b,324a,324b)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로드 셀은 거치대의 각 모서리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시중에서 구매가능한 로드 셀을 채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 셀(400)의 고정단은 거치대의 하부면에 위치고정된다. 이와 달리, 로드 셀(400)의 자유단은 거치대(300)의 가장자리에서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프레임의 상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연결 벨트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벨트(553a,553b,554a,554b)는 스프로킷(530,540)에 치차 결합될 수 있는 체인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연결 벨트는 스프로킷(530,54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길이조절되어 로드 셀(400)을 장착한 거치대(300)의 승하강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걸이용 후크(330)는 거치대(300)의 하부면에서 길이연장되되,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 셀(400)에 인접한 거치대의 하부면에 위치고정되거나 로드 셀(400)의 고정단에 위치고정되어 벌크 백의 상부 개방부를 확장시킨 상태로 결속한다. 걸이용 후크(330)는 상부를 개방한 자루형 벌크 백(B)의 상부 개방부 둘레에 등간격으로 구비된 각각의 고리에 체결되어 로드 셀에 벌크 백의 하중으로 가해질 인장력을 전달하게 된다.
즉, 다수의 로드 셀(400)은 거치대의 각 모서리에 위치고정된 걸이용 후크(330)를 통해 장착된 벌크 백의 하중을 다지점, 예컨대 4지점에서 동시에 전달받아 내용물을 수용한 벌크 백의 무게를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다지점이라 함은 벌크 백의 고리 갯수와 거치대에 장착된 로드 셀의 갯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내용물을 수용한 벌크 백의 하중을 더욱 정확하게 계량하기 위해 리프트(500)의 구동으로 거치대(300)를 상승 이동시켜 벌크 백의 저부를 지면과 떨어지도록 벌크 백을 공중에 매달아 현수 상태 하에서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본 발명은 각각의 로드 셀(400)에서 측정된 하중값을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한 다음에, 제어부로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벌크 백에 공급된 내용물의 무게, 내용물의 공급 중지 등을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벌크 백의 하강 이동을 통해 내용물을 담은 벌크 백을 포장하여 지게차, 컨베이어 등의 이송장치를 통해 외부로 반출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대의 반복적인 상승 및/또는 하강 이동으로 벌크 백의 내부공간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을 분산시켜 벌크 백의 각 고리에 가해질 하중값의 오차 범위를 줄여 보다 정확한 계량을 달성할 수 있다.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거치대(300)의 승하강 이동을 돕는 리프트(500)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승하강 이동시 거치대(300)의 수평도를 유지해야 한다.
리프트(500)는 구동수단(510)에 의해 정·역회전 가능한 구동축(520)과, 구동축(520)의 일측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한쌍의 제1 스프로킷(530;530a,530b), 구동축(520)의 타측 단부에 배치된 한쌍의 제2 스프로킷(540;540a,540b), 각 스프로킷(530,540)과 로드 셀(400)의 자유단을 연결하는 4개의 연결 벨트(553a,553b,554a,554b), 및 2개의 방향전환 휠(560)로 이루어진다. 한쌍의 제1 스프로킷(530)은 구동축(520)의 축선방향을 따라 하나의 제1 스프로킷(530a)과 나머지 하나의 제1 스프로킷(530b)을 평행인접하게 구비한다. 이와 대응되게, 한쌍의 제2 스프로킷(540)은 구동축(520)의 축선방향을 따라 하나의 제2 스프로킷(540a)과 나머지 하나의 제2 스프로킷(540b)을 평행인접하게 구비한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각 스프로킷(530a,530b,540a,540b)을 동일한 크기와 동일한 형상을 갖춰 각 스포로킷에 권선된 연결 벨트를 동일한 길이만큼 권출 또는 권취시켜, 거치대의 상하 이동시 수평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1 연결 벨트(553a)는 제1 스프로킷(530a)과 거치대(300)의 제1 모서리(323a)에 위치고정된 로드 셀(400) 사이를 연결한다. 제2 연결 벨트(553b)는 방향전환 휠(560)을 통해 제1 스프로킷(530b)과 거치대(300)의 제2 모서리(323b)에 위치고정된 로드 셀(40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연결 벨트(554a)는 제2 스프로킷(540a)과 거치대(300)의 제3 모서리(324a)에 위치고정된 로드 셀(400) 사이를 연결한다. 제4 연결 벨트(554b)는 방향전환 휠(560)을 통해 제2 스프로킷(540b)과 거치대(300)의 제4 모서리(342b)에 위치고정된 로드 셀(40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구동축(520)은 정사각형상의 거치대(300)에 일측 가장자리와 평행한 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되, 한쌍의 제1 스프로킷(530)은 거치대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열된 일 모서리(323a) 위에 배치되고 한쌍의 제2 스프로킷(540)은 거치대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열된 타 모서리(324a) 위에 배치된다. 덧붙여서, 2개의 방향전환 휠(560)은 구동축과 대향되게 거치대의 타측 가장자리와 평행한 프레임의 타측 상부에 이격배치되는바, 구체적으로 정사각형상의 거치대(300)의 타측 가장자리에 배열된 각 모서리(323b,324b) 상에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은 로드 셀의 갯수와 배열위치에 상응하게 구동축의 축선방향으로 스프로킷을 배열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기로, 리프트(500)는 구동축(520)의 일측 단부에 구동 스프로킷(521)을 구비하는 한편 구동수단(510)은 유압식 혹은 공압식 실린더일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구동수단은 실린더를 대신하여 구동모터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520)은 프레임(100)의 상부에 굴대 장착하고, 구동수단(510)의 작동 로드(511) 끝단과 구동 스프로킷(521) 사이에 배치된 동력전달 벨트(522)를 수단으로 하여 작동 로드의 전진 이동 혹은 후진 이동에 종속되어 구동축을 강제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크 백용 계량장치는 구동수단의 구동을 통해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이 벌크 백(B)을 현수 상태로 승하강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벌크 백의 저부가 바닥에서 완전히 이격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벌크 백의 저부가 바닥에 충분히 맞닿을 수 있게 벌크 백의 상하 이동 범위를 갖는다.
작동 로드의 전진 이동(도 3a 참조)시, 본 발명은 예컨대 거치대(300)의 자중(自重) 등의 매개변수로 인해 구동축(520)을 정회전시켜 각 스프로킷(530a,530b;540a,540b) 둘레에 권선된 연결 벨트(553a,553b;554a,554b)를 동시에 권출하여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거치대의 하강 이동을 안내한다. 본 발명은 거치대의 수평도를 보장하기 위해 4개의 연결벨트와 4개의 스프로킷 사이에 구름 회전없도록 상호 치차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작동 로드의 후진 이동(도 3b 참조)시, 본 발명은 작동 로드의 후진 이동에 종속되어 구동축(520)을 강제로 역회전시켜 각 스프로킷(530a,530b;540a,540b) 둘레로 연결 벨트(553a,553b;554a,554b)를 동시에 권취하여 거치대의 상승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거치대의 상승 이동시, 벌크 백의 저부는 바닥, 예컨대 지면과 닿지 않고 공중에 매달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퍼(200)로 공급될 내용물은 걸이용 후크(330)에 매달려 있는 벌크 백(B)의 내부로 안내되는데, 벌크 백 내로 공급될 내용물의 무게를 다수의, 바람직하기로 4개의 로드 셀을 통해 측정한다. 특히, 본 발명은 벌크 백의 상승 시, 즉 벌크 백을 공중에 매달아 벌크 백의 저부를 바닥에서 떨어져 있는 현수 상태에서 계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현수 상태의 벌크 백에 채워질 내용물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벌크 백에 내용물을 충전하는 동안에 거치대의 승하강 이동을 통해 벌크 백을 주기적으로, 연속적으로, 혹은 간헐적으로 상하 왕복이동시키면서 벌크 백 내에서 내용물을 균일하게 충전시킬 수 있도록 도와 더욱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대의 하강 이동시 벌크 백의 저부를 지면에 접촉되게 벌크 백을 메쳐서 벌크 백 내에서 내용물을 다지면서 충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호퍼 아래에 하나 이상, 바람직하기로 2개의 벌크 백용 계량장치를 배치하여 일측의 벌크 백용 계량장치에 거치된 벌크 백에 내용물을 목표 중량만큼 수용한 다음에 후속으로 타측의 벌크 백용 계량장치에 걸치된 벌크 백에 내용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벌크 백용 계량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프레임,
200 ----- 호퍼,
300 ----- 거치대,
400 ----- 로드 셀,
500 ----- 리프트,
B ----- 벌크 백.

Claims (7)

  1. 호퍼(200)를 통해 벌크 백(B)에 포장될 내용물의 무게를 계량할 수 있는 계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퍼(200) 아래에 배치된 프레임(100)과;
    상기 벌크 백(B)을 하부에 결속하고,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에서 승하강가능하게 배치된 거치대(300);
    상기 거치대(300)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된 다수의 로드 셀(400); 및
    상기 거치대(300)의 승하강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리프트(50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거치대(300)는 상기 벌크 백(B)을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현수(懸垂) 상태로 상승 이동시켜 상기 벌크 백의 무게를 계측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거치대(300)는 내부 중심에 상기 호퍼(200)의 취출부(21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갖춘 관통공(310)을 배치한 플레이트이며,
    상기 거치대(300)는 정사각형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거치대(300)는 각 모서리(323a,323b,324a,324b)의 하부면에 로드 셀(400)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로드 셀(400)의 자유단은 상기 거치대(300)의 가장자리에서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백용 계량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300)는 상기 관통공(310)을 중심으로 상기 다수의 로드 셀(400)를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백용 계량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300)는 각 모서리에 인접한 하부면에 걸이용 후크(3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백용 계량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500)는,
    상기 거치대(300)의 일측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굴대 장착되고, 구동수단(510)에 의해 정·역회전 가능한 구동축(520)과;
    상기 구동축의 일측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한쌍의 제1 스프로킷(530;530a,530b);
    상기 구동축의 타측 단부에 배치된 한쌍의 제2 스프로킷(540;540a,540b); 및
    상기 각각의 스프로킷(530a,530b,540a,540b)에서 상기 로드 셀(400)의 자유단으로 뻗어 있는 연결 벨트(553a,553b,554a,554b); 및
    상기 거치대(300)의 타측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이격배치된 2개의 방향전환 휠(5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백용 계량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520)은 일측 단부에 구동 스프로킷(521)과, 상기 구동 스프로킷(521)과 상기 구동수단(510)의 작동 로드(511) 사이에 배치된 동력전달 벨트(5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백용 계량장치.
KR1020190054830A 2019-05-10 2019-05-10 벌크 백용 계량장치 KR102023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830A KR102023329B1 (ko) 2019-05-10 2019-05-10 벌크 백용 계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830A KR102023329B1 (ko) 2019-05-10 2019-05-10 벌크 백용 계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329B1 true KR102023329B1 (ko) 2019-09-20

Family

ID=68067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830A KR102023329B1 (ko) 2019-05-10 2019-05-10 벌크 백용 계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3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3370Y2 (ja) * 1993-06-08 2000-03-06 大和製衡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計重機
WO2007028251A1 (en) * 2005-09-09 2007-03-15 Control And Metering Limited Modular bag filling apparatus
CN107747999A (zh) * 2017-11-06 2018-03-02 成都新澳冠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物流件称量装置
KR101863232B1 (ko) 2016-05-16 2018-06-01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곡물 계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3370Y2 (ja) * 1993-06-08 2000-03-06 大和製衡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計重機
WO2007028251A1 (en) * 2005-09-09 2007-03-15 Control And Metering Limited Modular bag filling apparatus
KR101863232B1 (ko) 2016-05-16 2018-06-01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곡물 계량장치
CN107747999A (zh) * 2017-11-06 2018-03-02 成都新澳冠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物流件称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9512A (en) Top-off and weighing apparatus for filling bags
US901038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multi-chamber containers with bulk materials
US10167098B2 (en) Box filler for produce packaging
US20040182469A1 (en) Apparatus for filling bags with loose material and automatic machine equipped with said apparatus
KR20190115273A (ko) 다열 업다운 중량 선별 장치
KR20160021724A (ko) 분립체 충전 장치
KR102023329B1 (ko) 벌크 백용 계량장치
US7045721B1 (en) Lifting device for use with drum weighing machine
CN215437285U (zh) 一种自动包装系统
IT201900012513A1 (it) Macchina per il riempimento e pesatura di contenitori e relativo metodo di pesatura.
CN215476094U (zh) 一种食品包装用装填装置
CN210284678U (zh) 一种药品装箱机
US11390402B2 (en) Vacuum apparatus for filling bulk containers
CN206288261U (zh) 一种定量称重装袋机
CN210175294U (zh) 一种包装机的自动卸料装置
CN112208844A (zh) 一种块状合金包装设备及使用方法
CN210047680U (zh) 一种称重组合包装设备
CN216660525U (zh) 一种带滚筒的吨袋包装机
CN207242091U (zh) 一种具有辅助称量装置的打包机
CN216660524U (zh) 一种带起重吊钩的吨袋包装机
CN213705947U (zh) 一种块状合金包装设备
CN210410299U (zh) 一种紧凑型智能配肥设备
CN216660522U (zh) 一种可调定位的吨袋包装机
JP2019135191A (ja) 果菜自動箱詰め排出方法、果菜収容箱自動積み重ね排出方法、果菜自動箱詰め排出装置、果菜収容箱自動積み重ね排出装置
KR20190035366A (ko) 저울을 구비한 랩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