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200B1 -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 및 양봉 벌통 - Google Patents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 및 양봉 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200B1
KR102019200B1 KR1020170153020A KR20170153020A KR102019200B1 KR 102019200 B1 KR102019200 B1 KR 102019200B1 KR 1020170153020 A KR1020170153020 A KR 1020170153020A KR 20170153020 A KR20170153020 A KR 20170153020A KR 102019200 B1 KR102019200 B1 KR 102019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p
wing
line
bee
b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5031A (ko
Inventor
송인택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송인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인택 filed Critical 송인택
Publication of KR20190045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7/00Appliances for providing, preventing or catching swarms; Drone-catc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는 벌통의 소문에 부착되어 말벌이 날개걸림선에 착륙하지 못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소문의 꿀벌 출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말벌은 출입은 미연에 방지되는 현저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 및 양봉 벌통{Attachment device for wasp prevention, and bee hive}
본 발명은 말벌이 꿀벌을 물어 죽이는 등의 말벌 침입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양봉 벌통의 소문에 부착되는 장치 또는 양봉 벌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은 벌꿀과 그에 따른 봉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사람이 인위적으로 꿀벌을 사육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양봉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벌통이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통은 대부분 목재나 합성수지 및 스티로폼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벌집을 수용하도록 보통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되고, 벌통의 개방된 상부에는 뚜껑이 덮여지며, 벌통 내부에는 육각형의 홈을 구비하여 판상으로 마련되는 다수의 벌집이 세워지도록 수용된다.
도 1에 종래의 소문이 형성된 양봉 벌통을 도시하였으며, 벌통의 일 측벽 하단에는 꿀벌의 출입을 위한 소문이 형성되고, 착륙판은 별도로 표기하지는 않았으나, 소문의 하부에는 착륙판이 설치된다. 착륙판은 소문으로부터 나온 꿀벌의 이륙과 벌통으로 들어가려는 꿀벌의 착륙을 가이드하고, 한편으로 벌통의 환기와 냉각을 위한 꿀벌들의 선풍 장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문과 소문 하부의 착륙판은 꿀벌들이 벌통 내부를 출입하면서 적정한 행동반경 내의 밀원식물로부터 채집한 꿀과 화분을 벌집에 저장하고, 벌통의 온도와 습도 유지를 위한 환기를 도모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양봉업자는 이와 같이 저장된 꿀과 화분 및 프로폴리스 등의 봉산물을 채취한다.
그러나 이러한 꿀벌들에게 치명적인 피해를 유발하는 말벌들에 의한 피해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육식성인 말벌은 지역에 따라 시기에 다소 차이는 있지만, 7월 중순부터 11월 중순까지 꿀벌을 대량 몰살시키거나 사냥해가는 해충으로 양봉인에게 엄청난 피해를 주고 있다. 좀말벌과 등검은말벌 등은 소문 앞에서 날아드는 꿀벌을 사냥해 가고, 꼬마장수말벌, 장수말벌 등은 착륙판에서 꿀벌을 모두 물어 죽인 다음 벌통에 침입하여 나머지 꿀벌을 죽이고 애벌레를 전부 물어 가는데, 좀말벌과 등검은말벌도 이례적이기는 하지만 소문 앞에서 비행중인 꿀벌이 없을 때에는 착륙판에 착륙하여 소문으로의 침입을 시도하기도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그동안 양봉가에서는 벌통 전면에 말벌이 드나들지 못하도록 그물망을 치거나, 말통이나 말벌 채집기에 말벌 유인액을 넣어서 말벌을 포획하거나, 매미채나 파리채 등으로 말벌을 수시로 잡거나 끈끈이 트랩을 설치하거나, 말벌에 농약을 묻혀 날려버리는 방법 등으로 대응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잠시도 양봉장을 비울 수 없으며, 그물망을 찢고 꿀벌의 방어 영역으로 침입하려는 장수말벌류와의 전쟁으로 인하여 수천마리의 꿀벌이 몰살당하는 등의 심각한 피해를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말벌에 의한 피해를 근원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연구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66794호에는 약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꿀벌을 보호할 수 있도록 마련된 양봉용 보호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허공보에는 꿀벌의 출입을 가능하되 말벌의 출입은 어렵도록 홀의 크기가 제어된 망부재가 구비된 관형의 장치를 벌통의 소문에 부착함으로써 꿀벌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함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 장치는, 꿀벌은 통과하고 말벌은 통과하지 못하도록 낸 홀(구멍)이 작은 이유로 꿀벌의 출입이 자유롭지 않아 꿀벌에게 많은 스트레스를 준다. 특히 말벌이 상기 망부재에 쉽게 착륙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이착륙 지점을 방어 영역으로 인식하는 꿀벌들과의 전쟁이 벌어지므로, 그 결과 꿀벌의 대량 몰살의 피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말벌이 망부재의 홀 사이를 비집고 들어가 꿀벌을 전멸시키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말벌의 날개폭, 비행행태와 습성을 관찰하고 연구하여 꿀벌이 죽음을 무릅쓰고 말벌에게 대항하는 방어 영역으로 말벌의 접근이 불가능하도록 하며, 동시에 꿀벌이 벌통의 출입에 스트레스를 실질적으로 받지 않는 탈부착 가능한 말벌 피해 방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66794호 (2010.06.22)
본 발명의 목적은 벌통의 소문으로 꿀벌의 출입은 자유로우면서, 말벌은 소문과 착륙판에는 물론 더 나아가 꿀벌이 방어영역으로 인식하는 지점으로의 접근 자체를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말벌에 의한 꿀벌의 대량 몰살 피해를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말벌 방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부착이 반복 가능하고, 접고 펼 수 있는 구조를 가져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한 접이식 탈부착 말벌 방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봉 벌통 부착용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는, 양측부가 개방되어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개방된 일측부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날개걸림선; 및 양봉 벌통의 소문에 결합되기 위한, 상기 개방된 일측부의 타측부에 형성되는 부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봉 벌통은, 꿀벌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양봉 벌통; 상기 꿀벌 수용 공간과 연통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일측부가 개방되는 말벌 방어기 몸체부; 및 상기 개방된 일측부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날개걸림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날개걸림선은 둘 이상이 서로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날개걸림선과 교차하여 접하는 선이 배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날개걸림선은, 상기 하단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단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완곡되어 연장 형성된 후, 상기 하단의 상부 방향으로 더 연장 형성되는 굴절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는, 상기 날개걸림선이 위치한 방향으로의 저면의 측단부가 저면 내측으로 들어가 형성되는 꿀벌 출입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말벌 방어기는 벌통의 소문으로 꿀벌의 출입은 자유로우면서, 말벌은 소문과 착륙판에는 물론 더 나아가 꿀벌이 방어영역으로 인식하는 지점으로의 접근 자체를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말벌에 의한 꿀벌의 대량 몰살 피해를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말벌 방어기는 탈부착이 가능하고, 사용 후 접어서 보관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내재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은 종래의 양봉 벌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가 종래의 양봉 벌통의 소문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가 종래의 양봉 벌통의 소문에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의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말벌 침입 방지를 위한 양봉 벌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 및 양봉 벌통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기재되어 있는 도면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상기 도면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단수 형태는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별한 언급 없이 불분명하게 사용된 %의 단위는 중량%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말벌’은 장수말벌, 꼬마장수말벌, 등검은말벌 등, 꿀벌에 해를 끼치는 다양한 종류의 말벌들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자유로운 후퇴가 어려운 좁은 공간에서는 말벌이 꿀벌들에게 잡혀 죽을 위험 때문에 좁은 공간으로 들어가는 것을 매우 꺼려하는 특성, 특히 날개의 손상은 비행곤충에게는 죽음에 이르는 매우 치명적인 문제이므로 날개가 부딪힐 수 있는 공간은 날아 들어가지 않는 말벌의 특성을 발견함에 따라, 이를 바탕으로 양봉 벌통의 소문에 부착되는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 및 말벌 출입 방지를 위한 양봉 벌통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 및 말벌 출입 방지를 위한 양봉 벌통은 꿀벌이 방어영역으로 인식하는 지점으로 말벌의 접근 자체를 불가능하게 하는 효과와, 꿀벌의 출입이 자유로운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말벌 방어기는 탈부착이 가능하고, 사용 후 접어서 보관이 용이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사용 시기에 맞춰서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전술한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로선의 날개걸림선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구조를 가지는 출입구에 의해, 말벌이 중력방향으로 복수 배치된 날개걸림선에 착륙하지 못하도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예에서는 상기 출입구의 하단에서 기어 올라와 들어가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날개걸림선이 상기 출입문 하부로 더 연장 형성되고 완곡되어 상부로 돌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말벌의 출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 및 말벌 출입 방지를 위한 양봉 벌통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는, 양측부가 개방되어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개방된 일측부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날개걸림선; 및 양봉 벌통의 소문이 상기 내부 공간과 통하도록 결합되기 위한 상기 개방된 타측부인 부착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날개걸림선들은 서로 이격하여 위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양봉 벌통은 상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며, 벌집을 수용하도록 벌통의 개방된 상부에는 뚜껑이 덮여지며, 벌통 내부에는 육각형의 홈을 구비하여 판상으로 마련되는 다수의 벌집시트가 세워지도록 수용된다. 그리고 벌통의 일 측벽 하단에는 꿀벌의 출입을 위한 소문이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양봉 벌통의 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말벌 방어기가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말벌 방어기의 부착부가 종래 양봉 벌통의 소문과 연통되어 결합되되, 상기 소문 전체가 상기 부착부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의 결합 구조는 상기 부착부가 상기 양봉 벌통의 소문에 결합되어 부착될 수 있는 구조라면 알려진 다양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말벌 출입을 방지하기 위한 양봉 벌통은, 꿀벌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양봉 벌통; 상기 꿀벌 수용 공간과 연통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일측부가 개방되는 말벌 방어기 몸체부(입구부); 및 상기 개방된 일측부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날개걸림선;을 포함한다. 이의 구체적 일 예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날개걸림선들은 서로 이격하여 위치한다. 또한 상기 양봉 벌통과 상기 몸체부의 연결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체결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3의 일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봉 벌통의 소문에 상기 말벌 침입 방지용 말벌 방어기가 부착된 경우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말벌 출입을 방지하기 위한 양봉 벌통의 경우, 사용 시 상기 날개걸림선이 중력 방향을 향하여 위치되어야 한다. 말벌은 수평으로 비행하고, 수평면에 착륙하여 기어가는 특성이 있으므로, 말벌이 세로선의 날개걸림선을 딛고 착륙할 수 없으므로, 날개걸림선들간의 이격공간을 통해 출입할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날개걸림선들은 중력방향으로 형성되며, 중력과 수직한 방향으로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 좋다. 즉, 상기 날개걸림선들은 중력방향의 세로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로선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날개걸림선들과 수직 또는 수직과 근접한 각도로 교차되는 선이 없는 것이 좋다. 상기 날개걸림선들과 교차하여 접하는 선이 존재할 경우, 말벌이 그 선을 딛고 착륙할 확률이 있으므로, 날개걸림선들간의 이격공간을 비집고 들어가 출입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종래의 세로선과 가로선이 교차 형성된 망형 차단막에서 매우 높은 확률로 발생한다. 그러나 전술한 가로선이 존재하지 않는, 즉, 날개걸림선과 교차하는 선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바람직한 일 예로서 설명한 것일 뿐, 비제한적인 일 예로,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일측부의 상부, 하부 부분 등에 위치하는 날개걸림선에 지지체 용도로서 교차 형성된 가로선이 소수 형성되는 등의 말벌 침입을 최소화하는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해치지 않는 정도로서 날개걸림선과 교차되는 가로선이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몸체부의 형태는 내부에 꿀벌이 드나들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일 예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각관 형태, 즉, 직육면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벌이 답답한 밀폐공간으로 느껴 침입을 기피하고 햇볕이 차단되도록 하는 측면에서 몸체부의 길이는 높이의 1.5 내지 2 배일 수 있으며, 몸체부의 너비는 소문의 너비보다 크면 좋다. 구체적인 일 예로, 몸체부의 평균높이는 70 내지 100 mm일 수 있고, 몸체부의 평균길이는 100 내지 200 mm일 수 있으며, 몸체부의 평균너비는 50 내지 250 mm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구체적이며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몸체부의 개방된 일측부의 상단, 하단, 좌단, 우단은 도 3에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몸체부의 개방된 일측부의 테두리의 상단, 하단, 좌단, 우단을 의미한다.
상기 개방된 일측단은 꿀벌들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를 의미하며, 여기서 말벌의 침입이 제한되도록 한다.
도 3의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걸림선은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일측부인 출입구의 상단에서 상기 출입구의 하단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날개걸림선의 끝 부분이 출입구의 상단에 부착되며, 부착 구조는 날개걸림선이 출입구 상단에 결합되어 부착될 수 있는 구조라면 접착제, 나사못 등의 알려진 다양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일 예로, 몸체부의 개방된 일측부의 상단에 날개걸림선이 이격되어 부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상단을 포함하는 상단부에 홈을 3 내지 4개를 뚫어주고, 그 구멍을 위 아래로 교차로 통과시켜 고정하는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다. 몸체부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날개걸림선의 부착 길이는 원활한 고정을 위해 10 내지 30 cm의 길이, 일 실시예로 20 cm의 길이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말벌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도시된 도 5를 참고하면, 하기 식 1에서, Dl은 상기 날개걸림선들간의 이격거리이고, Dh는 날개를 최대로 펼쳤을 때 꿀벌의 폭이며, Dw는 날개를 최대로 펼쳤을 때의 말벌의 폭이다.
[식 1]
Dh < Dl < Dw
상기 식 1을 만족할 경우, 상기 날개걸림선들간의 이격 공간으로 꿀벌들의 출입은 자유로우면서 말벌의 출입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식 1을 만족할 경우, 날개걸림선들간의 이격공간에 비행 중인 말벌의 날개가 걸려 비행이 불가하므로, 비행 중에 출입이 불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날개걸림선들간의 이격거리(Dl)는 침입 방지를 위한 말벌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예컨대 25 내지 50 mm, 모든 말벌의 방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0 mm 등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좀말벌의 평균 날개폭은 40 내지 50 mm일 수 있고, 꼬마장수말벌의 평균 날개폭은 50 내지 60 mm일 수 있으며, 장수말벌의 평균 날개폭은 60 내지 70 mm일 수 있다. 따라서 날개걸림선들간의 이격거리(Dl)은 침입이 예상되는 말벌의 날개폭을 참고하여 조절될 수 있다. 즉, 이는 바람직한 일 예로서 설명한 것일 뿐, 실제 침입하는 말벌과 꿀벌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도 5에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의 개방된 일측단인 출입구의 좌단과 날개걸림선간의 이격거리(DlL)와, 몸체부의 개방된 일측단인 출입구의 우단과 날개걸림선간의 이격거리(DlR)도 날개걸림선들간의 이격거리(Dl)의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상기 출입구의 좌단부와 우단부로 말벌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는 하기 식 2 및 하기 식 3을 만족하는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
[식 2]
Dh < DlL < Dw
[식 3]
Dh < DlR < Dw
일 예로 도시된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식 2 및 상기 식 3에서, DlL 및 DlR은 각각 상기 날개걸림선과 상기 개방된 일측부의 좌단간의 이격거리 및 상기 날개걸림선과 상기 개방된 일측부의 우단간의 이격거리이고, Dh는 날개를 최대로 펼쳤을 때 꿀벌의 폭이며, Dw는 날개를 최대로 펼쳤을 때의 말벌의 폭이며, 상기 식 2 및 상기 식 3의 Dh들은 서로 독립적이며, 상기 식 2 및 상기 식 3의 Dw들은 서로 독립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날개걸림선과 상기 개방된 일측부의 좌단간의 이격거리(DlL) 및 상기 날개걸림선과 상기 개방된 일측부의 우단간의 이격거리(DlR)는 침입 방지를 위한 말벌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예컨대 서로 독립적으로 30 내지 50 mm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로서 설명한 것일 뿐, 실제 침입하는 말벌과 꿀벌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 예로 도시된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날개걸림선은, 상기 하단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단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완곡되어 연장 형성된 후, 상기 하단의 상부 방향으로 더 연장 형성되는 굴절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굴절 돌출부는 다양한 방향으로 완곡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원형, U자형, 좌측으로 90도 회전된 ㄷ자 형 또는 사각형 등,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굴절 돌출부가 형성될 경우, 말벌이 몸체부의 일측부의 하단, 즉, 몸체부의 하측단에서 기어 올라와 몸체부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날개걸림선들간의 이격공간으로는 비행 중인 말벌의 날개가 걸려 비행이 불가하므로, 말벌은 몸체부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기 위해 몸체부의 저면으로의 착륙을 시도할 수 있으나, 몸체부 전면에 설치된 날개걸림줄에 근접하기도 전에 상기 굴절 돌출부에 날개가 걸려 몸체부의 저면으로의 착륙 시도 자체를 포기하도록 한다. 따라서 말벌의 접근 영역을 꿀벌들의 방어영역보다 훨씬 더 멀도록 할 수 있음에 따라, 꿀벌이 말벌을 신경 쓰지 않고,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일측면 방향의 저면의 부분에서 꿀벌의 비행과 착륙을 자유롭게 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상기 날개걸림선이 굴절 돌출부를 포함할 경우,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4를 만족하는 것이 예시될 수 있다.
[식 4]
Dh < DuB < Dw
일 예로 도시된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식 4에서, DuB는 상기 하단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날개걸림선과, 상기 날개걸림선의 굴절 돌출부간의 이격거리이고, Dh는 날개를 최대로 펼쳤을 때 꿀벌의 폭이며, Dw는 날개를 최대로 펼쳤을 때의 말벌의 폭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날개걸림선과, 상기 날개걸림선의 굴절 돌출부의 이격거리(DuB)는 침입 방지를 위한 말벌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예컨대 서로 독립적으로 30 내지 50 mm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로서 설명한 것일 뿐, 실제 침입하는 말벌과 꿀벌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의 하측단과 수평 대응하는 굴절 돌출부의 위치에서 굴절 돌출부의 끝단까지의 길이(DuT)는 10 내지 3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만족할 경우, 말벌이 몸체부의 일측부의 하단, 즉, 몸체부의 하측단에서 기어 올라와 몸체부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문제를 방지하면서, 꿀벌들의 출입 및 꿀벌들의 공간 활용성을 최대화할 수 있다.
상기 날개걸림선의 평균 두께는 말벌이 날개걸림선을 인식할 수 있을 정도라면 무방하며, 예컨대 1 내지 10 mm, 구체적으로 1 내지 5 mm, 일 실시예로 3 mm일 수 있다. 이는 말벌은 날개걸림선은 장애물로 인식하여 비행 중에 날개에 걸릴 행동을 하지 않는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날개걸림선의 색은 말벌이 날개걸림선을 인식할 수 있을 정도라면 무방하다.
바람직한 일 예에 따른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걸림선이 위치한 방향으로의 저면의 측단부가 저면 내측으로 들어가 형성되는 꿀벌 출입 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일 예에 있어서, 날개걸림선이 위치한 방향으로의 저면의 측단부는 저면 내측으로 들어간 홈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말벌은 날개가 지면과 수평인 180도 형태로의 비행만 가능할 뿐, 날개의 각도를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45도 등의 기울어진 각도로는 비행하지 못하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날개걸림선이 위치한 방향의 방어기 저면에 꿀벌 출입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말벌의 침입은 방지하면서 꿀벌들의 출입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는, 꿀벌이 말벌을 방어해야 하는 영역으로 인식하는 지점인 이착륙 지점이 날개걸림선 뒤 소정 폭으로 내측으로 들어가 있음에도 날개걸림선 외부에 또 하나의 날개걸림선 장벽의 역할을 하는 날개걸림선의 굴절 돌출부에 의해, 말벌과의 전쟁으로 인한 꿀벌의 몰살피해를 보다 완벽히 방지하는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꿀벌들의 출입을 보다 자유로이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날개걸림선 끝을 상기 저면 하부에서 옆으로 굽혀 올려주는 날개걸림선 돌출부가 더 형성될 수 있음에 따라 꼬마장수말벌 등의 작은 말벌들일지라도 출입이 더욱 어려워지며, 날개걸림선들의 밀도를 높이는 효과도 갖는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꿀벌 출입 공간의 폭(DB)은 5 내지 30 mm, 바람직한 실시예로 15 mm일 수 있다. 이를 만족할 경우, 말벌이 날개걸림선에 부딪히는 지점에서는 방어기의 저면 끝단에 말벌의 다리가 닿지 않아 착륙 및 침입이 불가한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렇게 저면의 측단부를 이와 대응하는 상면의 측단부보다 짧도록 하여 꿀벌 출입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꿀벌이 방어하는 꿀벌의 이착륙 지점에 말벌이 접근하지 못하게 하고, 말벌의 침입 및 말벌과의 전쟁을 방지하면서 꿀벌들의 출입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걸림선이 위치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저면의 측단부가 저면 내측으로 들어가 형성되는 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부는 양봉 벌통의 소문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착륙판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 및 저면이 착륙판 위에 결합 형성되어 소문의 공간을 감소시키는 문제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홈부는 벌통의 소문이 연결되도록 하며, 소문 고정용 못으로 인한 벌통과의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부착장치 재질 두께로 인하여 소문 높이가 낮은 벌통에 부착할 경우 소문 공간이 작아져 소문으로 꿀벌이 드나들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 상기 홈부의 폭은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5 내지 30 mm, 바람직한 실시예로 20 mm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날개걸림선의 재질은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에도 배치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날개걸림선 자체를 지지할 수 있는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금속계 물질, 플라스틱계 물질 등 다양한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날개걸림선 자체가 바람에 의한 저항을 잘 받지 않는 선 형태를 가지므로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비제한적인 일 예로, 상기 날개걸림선의 표면은 마찰계수가 낮은 고분자 물질이 코팅되는 것이 말벌이 날개걸림선의 표면에 착륙할 수 있는 확률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물질은 마찰계수가 낮은 것이라면 다양한 것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불소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불소계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C),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PVDF-HFP) 등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몸체부는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꿀병곽, 축전용지 등의 종이, 아크릴계 고분자, 런치매트 등 내부 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접힐 수 있는 종이 또는 모서리 부분이 접힐 수 있는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한 일 예로 가격이 저렴하고 내구성이 비교적 우수하며 쉽게 접혀 부피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 박스, 통상의 박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방수 특성, 부식 방지 특성의 부여를 위해 내수성, 내구성 소재가 사용되거나, 내수성 물질이 표면에 코팅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내수성, 내구성 소재로는 힌지 형태로 구성된 방수 효과가 있는 플라스틱, 목재, 방수종이 합판, 부식 방지 금속 등의 예를 들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10 : 양봉 벌통, 11 : 소문, 15 : 벌집시트
20 :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
22 : 날개걸림선, 22u : 굴절 돌출부,
Dl : 날개걸림선들간의 이격거리,
DlL : 날개걸림선과 몸체부의 개방된 일측부의 좌단간의 이격거리
DlR : 날개걸림선과 몸체부의 개방된 일측부의 우단간의 이격거리
DuB : 몸체부의 개방된 일측부의 하단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날개걸림선과, 상기 날개걸림선의 굴절 돌출부간의 이격거리
DuT : 몸체부의 하측단과 수평 대응하는 굴절 돌출부의 위치에서 굴절 돌출부의 끝단까지의 길이
DB : 날개걸림선이 위치한 방향으로의 몸체부 저면의 측단부가 저면 내측으로 들어가 형성되는 꿀벌 출입 공간의 폭

Claims (10)

  1. 양측부가 개방되어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개방된 일측부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날개걸림선;
    상기 몸체부의 타측부에 형성되며, 양봉 벌통의 소문에 결합되기 위한 부착부; 및
    상기 날개걸림선과 양봉 벌통의 소문을 연결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꿀벌 출입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날개걸림선은 둘 이상이 서로 이격하여 위치하며, 하단 단부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완곡되어 형성되되, 몸체부의 저면보다 아래로 돌출되고 상기 몸체부의 저면보다 상부 방향으로 더 연장 형성되는 굴절 돌출부를 포함하는 양봉 벌통 부착용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걸림선과 교차하여 접하는 선이 배제된 양봉 벌통 부착용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3항의 양봉 벌통 부착용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를 포함하는 양봉 벌통.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말벌 방어기가 양봉 벌통의 소문에 부착되는 양봉 벌통.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153020A 2017-10-23 2017-11-16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 및 양봉 벌통 KR102019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780 2017-10-23
KR20170137780 2017-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031A KR20190045031A (ko) 2019-05-02
KR102019200B1 true KR102019200B1 (ko) 2019-09-06

Family

ID=66581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020A KR102019200B1 (ko) 2017-10-23 2017-11-16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 및 양봉 벌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2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153A (ko) 2020-03-19 2020-04-08 김윤식 말벌방지망
US20220071178A1 (en) * 2018-12-21 2022-03-10 Bee-Iq Solutions Limited Anti-Predator Device for Beehive
KR20220096423A (ko) 2020-12-31 2022-07-07 김설아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벌통
KR20220096441A (ko) 2020-12-31 2022-07-07 김설아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3908A (ja) * 2001-07-10 2003-01-28 Akihiko Otsuki 養蜂巣箱のスズメバチ撃退用電気ゲート
JP2005160339A (ja) * 2003-12-01 2005-06-23 Fujio Hisashi ミツバチ保護用スズメバチ遮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794B1 (ko) 2008-12-18 2010-06-29 백영근 양봉용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3908A (ja) * 2001-07-10 2003-01-28 Akihiko Otsuki 養蜂巣箱のスズメバチ撃退用電気ゲート
JP2005160339A (ja) * 2003-12-01 2005-06-23 Fujio Hisashi ミツバチ保護用スズメバチ遮断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71178A1 (en) * 2018-12-21 2022-03-10 Bee-Iq Solutions Limited Anti-Predator Device for Beehive
KR20200037153A (ko) 2020-03-19 2020-04-08 김윤식 말벌방지망
KR20220096423A (ko) 2020-12-31 2022-07-07 김설아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벌통
KR20220096441A (ko) 2020-12-31 2022-07-07 김설아 꿀벌 천적방어용 올인원 게이트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031A (ko)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9200B1 (ko)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 및 양봉 벌통
US6792713B2 (en) Replenishable pest control apparatus
US7632167B1 (en) Selective insect trapping system
US20200396977A1 (en) Cage for capturing hymenoptera
KR101322341B1 (ko) 해충 포획용 다용도 콘트랩 장치
CN209390921U (zh) 蜂箱马蜂抓捕器
KR102093807B1 (ko) 벌통용 해충 피해 방지장치
US6450858B1 (en) Beehive movable top entrance
KR101436571B1 (ko) 해충의 애벌레 출입방지구조를 갖는 벌통
KR102073151B1 (ko) 해충 포획장치
US2013030558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killing flying insects
KR200405159Y1 (ko) 말벌 방어 울타리
KR20180005771A (ko)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
JP3203946U (ja) 防除器
US11304409B2 (en) Murder hornet excluder
JP3760320B2 (ja) ミツバチ保護用スズメバチ遮断装置
KR102108379B1 (ko) 꿀벌의 벌통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US9713325B2 (en) Insect elimination assembly
WO2017069220A1 (ja) 害虫捕獲方法および害虫捕獲器
KR100552350B1 (ko)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
JP2019080527A (ja) 防虫換気口
KR102145627B1 (ko) 꽃가루 부착장치가 구비된 뒤영벌용 봉군상자
KR200343501Y1 (ko)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
EP3897113B1 (en) Anti-predator device for bee hive
KR102230146B1 (ko) 꿀벌의 벌통 위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